KR101603256B1 - 인접한 유사 선반시설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개선된 랙연계 감쇠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접한 유사 선반시설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개선된 랙연계 감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256B1
KR101603256B1 KR1020140050477A KR20140050477A KR101603256B1 KR 101603256 B1 KR101603256 B1 KR 101603256B1 KR 1020140050477 A KR1020140050477 A KR 1020140050477A KR 20140050477 A KR20140050477 A KR 20140050477A KR 101603256 B1 KR101603256 B1 KR 101603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vibration
mass portion
racks
coup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4476A (ko
Inventor
옥승용
Original Assignee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50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256B1/ko
Publication of KR20150124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접한 유사 선반시설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개선된 랙연계 감쇠시스템은 물품보관용 선반들이 각각 구비되고 서로 마주보는 인접한 두 개의 랙을 포함하는 랙시스템에 있어서, 두 개의 랙 중 하나의 랙에만 설치됨으로써 개별 랙간 진동변위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랙진동감쇠부와, 마주보는 인접한 두 개의 랙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어 전체 랙시스템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랙연계 진동감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지진동 발생시 상기 랙진동감쇠부에 의해 개별 랙의 진동변위차를 발생시키고, 상기 랙연계 진동감쇠부에서 두 랙의 병합진동에 의한 전체 랙시스템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접한 유사 선반시설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개선된 랙연계 감쇠시스템{Enhanced rack-coupling damper system for vibration control of adjacent similar rack facilities}
본 발명은 물류보관용 선반시설물의 랙연계 감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한 유사 선반시설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개선된 랙연계 감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물류시스템의 물류창고 등에 있어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다수의 선반이 적층되고 또한 선반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랙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랙 시스템에서 랙의 선반에 물품을 보관하거나 선반으로부터 물품을 꺼낼 때 물품의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경우 또는 자동화된 시스템에서는 지게차 등 운반차량을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물류시스템의 경우에 운반차량을 이용하여 물품을 신속하게 이동,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부주의로 인해 운반차량이 랙에 부딪힐 경우 그 충격이나 진동으로 인해 선반에 보관된 물품이 떨어져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 충격 또는 진동발생시 물품이 선반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랙의 다리에 고무로 이루어진 탄성부재가 설치된 랙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으나, 이러한 장치의 경우 충격부위의 국부적인 부재 손상을 저감시키고 적은 진동을 감쇠시키는 기능은 있으나 전체 랙 시스템의 진동에 대한 안정성 및 신뢰성은 보장하지 못하고 일정 이상의 큰 충격 또는 지진동을 억제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지진과 같은 지반운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전체 랙 시스템에 진동이 발생하여 이로부터 선반에 보관된 물품이 낙하,비래함으로써 물품의 파손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부상 등 2차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제10-1334141호 “물류보관용 경량프레임구조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랙연계 감쇠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 특허에서는 인접한 두개의 랙을 연계하고 그 위에 진동제어부를 설치함으로써 랙 자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랙을 연계하는 베이스플레이트상에 설치된 진동제어부에 의해 랙시스템에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을 억제함으로써 랙의 선반에 보관된 물품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특허의 경우 두 개의 랙에서 보관되는 물류의 양의 차이가 클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동적 특성치, 즉 주파수응답특성차이가 크게 되고 이럴 경우에는 랙연계 감쇠부에 의한 진동저감효과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두 개의 랙은 동일 높이, 동일 부재로 구성되는 쌍둥이 구조체이고 통상적으로 보관물류의 양이 비슷할 경우에는 주파수응답특성차이가 작게 되고 랙간 변위차가 작게 되어 이러한 경우에는 랙연계 감쇠부에 의한 진동저감효과가 작아질 수 있는 한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사 랙간 미소한 변위차를 증폭시켜 이로부터 감쇠성능을 발휘하여 전체 랙시스템의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개별 랙간 주파수특성차이가 작을 경우에도 향상된 진동감쇠기능을 가지는 랙연계 감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접한 유사 선반시설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개선된 랙연계 감쇠시스템은 물품보관용 선반들이 각각 구비되고 서로 마주보는 인접한 두 개의 랙을 포함하는 랙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랙 상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정의 질량을 가지는 제1매스부와, 제1매스부가 설치되는 랙의 상면에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매스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부재와, 제1매스부가 설치되는 랙의 상면에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매스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댐퍼를 포함하여 두 개의 랙 중 하나의 랙에만 설치됨으로써 개별 랙의 진동변위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랙진동감쇠부와,
마주보는 인접한 두 개의 랙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일단이 하나의 랙의 상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계플레이트와, 상기 연계플레이트의 상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정의 질량을 가지는 제2매스부와, 상기 연계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제2매스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각 랙의 상면에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제2매스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스프링부재와, 상기 연계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제2매스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각 랙의 상면에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제2매스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댐퍼로 구성되어 전체 랙시스템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랙연계 진동감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지진동 발생시 상기 랙진동감쇠부에 의해 개별 랙의 진동변위차를 발생시키고, 상기 랙연계 진동감쇠부에서 두 랙의 병합진동에 의한 전체 랙시스템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랙연계 진동감쇠부의 제2댐퍼는 피스톤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이 이동됨에 따라 실린더 내의 제1영역으로부터 유체가 제2영역으로 이동되는 이동덕트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덕트 내에는 유체의 통과단면이 감소되도록 이동덕트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유체안내부재와, 이동덕트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유체안내부재를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과가변부재가 설치되어 미세진동 또는 작은 충격에서는 스프링이 유체안내부재를 가압하여 유체통과면적이 감소되고, 이에 의해 유량이 감소됨으로써 증가된 감쇠기능을 발휘하여 불필요한 변위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계플레이트의 저면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하나의 랙의 상면에는 끼움돌기가 결합되도록 랙의 가로로 끼움홈이 형성되어 연계플레이트가 하나의 랙의 상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홈이 형성되는 랙 상면의 일단에는 과도한 지진동으로 인해 상기 연계플레이트가 랙의 상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낙하방지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 랙간 진동변위차를 발생시키고 이에 의해 발생되는 병합진동을 랙연계 진동감쇠부를 이용하여 저감시킴으로써 전체 랙시스템의 병합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향상된 진동감쇠성능을 발휘하는 랙연계 감쇠시스템이 제공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랙연계 감쇠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2는 도1에서 댐퍼구조의 상세도이며,
도3 및 도4는 도2에 도시된 댐퍼구조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5는 도3에 도시된 댐퍼구조에서 변위에 따른 감쇠력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랙연계 감쇠시스템에서 주파수응답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랙연계 감쇠시스템의 주파수응답특성에 대한 수치해석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접한 유사 선반시설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개선된 랙연계 감쇠시스템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랙연계 감쇠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2는 도1에서 랙연계 진동감쇠부의 댐퍼구조의 상세도이며, 도3 및 도4는 도2에 도시된 댐퍼구조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5는 도3에 도시된 댐퍼구조에서 변위에 따른 감쇠력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랙연계 감쇠시스템에서 주파수응답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랙연계 감쇠시스템은 물품보관용 선반(1)들이 각각 구비되고 서로 마주보는 인접한 두 개의 랙을 포함하는 랙시스템에 있어서, 두 개의 랙(10,11) 중 하나의 랙(11)에만 설치됨으로써 랙간 진동변위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랙진동감쇠부(20)와, 두 개의 랙(10,11)의 병합진동에 의한 전체 랙시스템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랙연계 진동감쇠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랙진동감쇠부(20)는 두 개의 랙(10,11) 중 하나의 랙(11)에만 설치되어 랙(11)의 진동을 감쇠시키고 랙(10,11)간 진동변위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랙(11)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매스부(21)와, 랙(11)의 상면에 설치되는 측벽(24)과 제1매스부(21)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부재(23) 및 제1댐퍼(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매스부(21)는 소정의 질량을 가지고 랙(11)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매스부(21)의 하부에는 전, 후방측에 휠이 결합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매스부(21)는 랙(11)에 충격 또는 진동 발생시 일정 변위를 가짐으로서 랙(11)의 진동을 억제하고 시간에 따른 진동변위를 변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스프링부재(23)는 제1매스부(21)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1스프링부재(23)는 랙(11)의 상면에 형성되는 측벽(24)과 제1매스부(21)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제1댐퍼(22)(damper) 또한 제1스프링부재(23)와 나란하게 랙(11)의 상면에서 제1매스부(21)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댐퍼(22)는 랙(11)의 상면에 형성되는 측벽(24)과 제1매스부(21)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랙진동감쇠부(20)는 두 개의 랙 중 하나의 랙(11)에만 설치되어 그 랙(11)의 진동을 감쇠시킴과 동시에 랙(11)의 진동변위를 변화시켜 다른 랙(10)과 진동변위차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랙연계 진동감쇠부(30)는 두 개의 랙(10,11)이 연계되어 두 랙(10,11)의 병합진동에 의한 전체 랙시스템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두 개의 랙(10,11)에 연계되어 설치되는 연계플레이트(31)와, 연계플레이트(31) 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매스부(33)와, 제2매스부(33)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스프링부재(38) 및 한 쌍의 제2댐퍼(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계플레이트(31)는 인접한 두 개의 랙(10,11)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연계플레이트(31)의 일단은 하나의 랙(11)의 상면에 고정결합되며 타단은 나머지 랙(10)의 상면에 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된다. 이를 위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플레이트(31)의 저면에는 끼움돌기(31a)가 형성되고, 이와 결합되는 랙(10)의 상면에는 끼움돌기(31a)가 결합되도록 랙(10)의 가로로 끼움홈(10a)이 형성된다. 따라서, 횡진동 발생시 연계플레이트(31)의 끼움돌기(31a)가 끼움홈(10a) 내에서 이동됨으로써 연계플레이트(31)의 타단이 랙(10)의 상면에서 이동되게 된다. 또한, 랙(10) 상면의 끼움홈(10a) 일단에는 과도한 지진동으로 인해 연계플레이트(31)가 랙(10)의 상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낙하방지턱(10b)이 구비된다.
상기 제2매스부(33)는 소정의 질량을 가지고 상기 연계플레이트(31)의 상면에 설치되며, 제2매스부(33)의 하부에는 전, 후방측에 휠이 결합되어 연계플레이트(31)의 상면에서 이동가능하게 된다. 제2매스부(33)는 랙(10,11)의 병합진동에 의한 전체 랙시스템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한 쌍의 제2스프링부재(38)는 연계플레이트(31)의 상면에서 제2매스부(33)의 양측에 배치되는데, 각각의 제2스프링부재(38)는 각 랙(10,11)의 상면에 형성되는 측벽(32)과 제2매스부(33)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제2댐퍼(34)는 제2스프링부재(38)와 나란하게 연계플레이트(31)의 상면에서 제2매스부(33)의 양측에 배치되고, 각각의 댐퍼(34)는 각 랙(10,11)의 상면에 형성되는 측벽(32)과 제2매스부(33)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각각의 제2댐퍼(34)는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35)와, 실린더(35)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36)과, 실린더(35) 외부에 형성되는 이동덕트(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동덕트(37)에는 통과가변부재(40)가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이동덕트(37)는 실린더(35) 외부에 형성되어 피스톤(36)에 의해 구분되는 실린더(35)의 제1영역(35a)과 제2영역(35b) 사이의 감쇠 유체의 이동통로로서 역할을 한다.
상기 통과가변부재(40)는 미세진동 또는 작은 충격에서 증가된 감쇠력을 발휘하여 불필요한 변위발생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덕트(37) 내에서 이동덕트(37)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체안내부재(41)와, 이동덕트(37)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스프링(42)과, 스프링(42)에 의해 유체안내부재(41)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큰 진동 발생시에는 이동덕트(37) 내의 유체의 압력이 증가됨에 따라 유체안내부재(41)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42)이 후퇴되어 통과면적이 증가됨으로써 유량이 증가되어 댐퍼에 의해 일반적인 진동감쇠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미세진동 또는 작은 충격에서는 스프링(42)이 유체안내부재(41)를 가압하여 유체통과면적이 감소되어 유량이 더욱 감소됨으로써 증가된 감쇠기능을 발휘하여 불필요한 변위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통과가변부재(40)가 설치된 댐퍼구조의 작동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2댐퍼(34)에서 변위에 따른 감쇠력의 변화가 도5에 도시되어 있다.
도5에서 타원으로 표시된 부분이 일반적인 댐퍼에서 변위에 따른 감쇠력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고, 평행사변형으로 표시된 부분이 본 발명의 댐퍼구조에서 변위에 따른 감쇠력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가 가장 클 경우에는 일반 댐퍼와 감쇠력에서 큰 차이가 없으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변위가 작을 경우에는 일반 댐퍼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증가된 감쇠력을 보인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미세진동 또는 작은 충격의 작은 변위에서 스프링(42)이 유체안내부재(41)를 가압하여 유체통과면적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이동덕트 내의 유량을 더욱 감소시킴으로써 감쇠력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한편, 한 쌍의 제2스프링부재(38) 및 한 쌍의 제2댐퍼(34)는 제2매스부(33)의 양 측에서 서로 다른 스프링계수와 서로 다른 감쇠계수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양 측에 동일한 스프링계수와 감쇠계수를 사용하는 시스템보다 향상된 제어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인접한 유사선반시설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개선된 랙연계 감쇠시스템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랙시스템에서 지진동과 같은 횡진동 발생시 먼저 랙진동감쇠부(20)가 설치되지 않은 랙(10)의 경우 진동변위는 도6에서 파란색 점선과 같이 나타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 하나의 랙(11)에 설치되는 랙진동감쇠부(20)에 의해 두 랙간 진동변위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랙연계 진동감쇠부(30)에 의해 진동변위차를 보이는 두 진동이 병합되고 따라서 이 병합진동에 의해 전체 랙시스템의 진동은 저감되게 된다. 도6에서 빨간색 선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시스템에서의 전체 진동을 보여주는 것으로, 한 쪽 랙에만 설치되는 랙진동감쇠부(20)와 랙연계 진동감쇠부(30)가 설치된 본 발명의 경우 도6에서 빨간색 선과 같이 병합진동에 의한 주파수특성을 보이고 따라서 두 진동의 병합진동에 의해 제진성능을 큰 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랙연계 감쇠시스템의 주파수응답특성에 대한 수치해석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표이다. 도7에서의 수치해석의 결과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진동변위차에 의한 병합진동의 결과 주파수응답저감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미세진동이나 작은 충격의 경우에도 제2댐퍼(34)의 통과가변부재(40)에 의해 감쇠유체의 흐름을 조절하여 증가된 감쇠력을 발휘하여 불필요한 변위발생으로 인한 랙시스템 전체의 불안정성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접한 유사 선반시설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랙연계 감쇠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개의 랙을 포함하는 랙시스템에서 랙간 진동변위차를 발생시키고 두 랙의 병합진동에 의한 전체 랙시스템의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향상된 진동감쇠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10,11 : 랙 10b : 끼움홈
20 : 랙진동감쇠부 21 : 제1매스부
22 : 제1댐퍼 23 : 제1스프링부재
30 : 랙연계 진동감쇠부 31 : 연계플레이트
31a : 끼움돌기 31b : 낙하방지턱
40 : 통과가변부재 41 : 유체안내부재
42 : 스프링 43 : 가압판

Claims (4)

  1. 물품보관용 선반들이 각각 구비되고 서로 마주보는 인접한 두 개의 랙을 포함하는 랙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랙 상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정의 질량을 가지는 제1매스부와, 상기 제1매스부가 설치되는 랙의 상면에서 상기 제1매스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제1매스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부재와, 상기 제1매스부가 설치되는 랙의 상면에서 상기 제1매스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제1매스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두 개의 랙 중 하나의 랙에만 설치됨으로써 지진동 발생시 개별 랙간 진동변위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랙진동감쇠부와,
    마주보는 인접한 두 개의 랙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일단이 하나의 랙의 상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계플레이트와, 상기 연계플레이트의 상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정의 질량을 가지는 제2매스부와, 상기 연계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제2매스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각 랙의 상면에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제2매스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스프링부재와, 상기 연계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제2매스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각 랙의 상면에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제2매스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댐퍼로 구성되어 전체 랙시스템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랙연계 진동감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지진동 발생시 상기 랙진동감쇠부에 의해 개별 랙간 진동변위차를 발생시키고, 상기 랙연계 진동감쇠부에서 두 랙의 병합진동에 의한 전체 랙시스템의 진동을 저감시키고,
    상기 랙연계 진동감쇠부의 제2댐퍼는 피스톤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이 이동됨에 따라 실린더 내의 제1영역으로부터 유체가 피스톤에 의해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구분되는 제2영역으로 이동되는 이동덕트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덕트 내에는 이동덕트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유체안내부재와, 상기 이동덕트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의해 유체안내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과가변부재가 설치되어 미세진동 또는 작은 충격에서는 상기 통과가변부재의 스프링이 유체안내부재를 가압하여 유체통과면적을 감소시키고, 이에 의해 유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증가된 감쇠기능을 발휘하여 불필요한 변위발생을 방지하는 인접한 유사 선반시설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개선된 랙연계 감쇠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플레이트의 저면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하나의 랙의 상면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결합되도록 랙의 가로로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계플레이트가 하나의 랙의 상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한 유사 선반시설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개선된 랙연계 감쇠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이 형성되는 랙 상면의 일단에는 과도한 지진동으로 인해 상기 연계플레이트가 랙의 상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낙하방지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한 유사 선반시설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개선된 랙연계 감쇠시스템.
KR1020140050477A 2014-04-28 2014-04-28 인접한 유사 선반시설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개선된 랙연계 감쇠시스템 KR101603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477A KR101603256B1 (ko) 2014-04-28 2014-04-28 인접한 유사 선반시설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개선된 랙연계 감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477A KR101603256B1 (ko) 2014-04-28 2014-04-28 인접한 유사 선반시설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개선된 랙연계 감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476A KR20150124476A (ko) 2015-11-06
KR101603256B1 true KR101603256B1 (ko) 2016-03-15

Family

ID=54600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477A KR101603256B1 (ko) 2014-04-28 2014-04-28 인접한 유사 선반시설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개선된 랙연계 감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2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0189A (ja) 2002-06-03 2004-01-15 Mitsubishi Heavy Ind Ltd 立体自動倉庫および立体自動倉庫の制振方法
JP3800511B2 (ja) 2001-11-29 2006-07-26 清水建設株式会社 ラック倉庫の耐震化構造および方法
KR101334141B1 (ko) 2012-05-03 2013-11-29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물류보관용 경량프레임 구조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랙 연계 감쇠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0511B2 (ja) 2001-11-29 2006-07-26 清水建設株式会社 ラック倉庫の耐震化構造および方法
JP2004010189A (ja) 2002-06-03 2004-01-15 Mitsubishi Heavy Ind Ltd 立体自動倉庫および立体自動倉庫の制振方法
KR101334141B1 (ko) 2012-05-03 2013-11-29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물류보관용 경량프레임 구조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랙 연계 감쇠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476A (ko) 2015-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7757B1 (en) Shielded pallet
US9676517B2 (en) Server packing assembly
RU2578419C1 (ru) Виброизолятор ходаковой для оборудования
US8458854B2 (en) Device comprising at least a body and a bumper, and robot cleaner comprising such a device
CN205132076U (zh) 一种缓冲性能可调节的减震托盘
CN207582304U (zh) 一种桥梁用防撞护栏
KR101334141B1 (ko) 물류보관용 경량프레임 구조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랙 연계 감쇠시스템
JP6136294B2 (ja) 制振ラック倉庫
KR101603256B1 (ko) 인접한 유사 선반시설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개선된 랙연계 감쇠시스템
JP5670368B2 (ja) ラック制振装置
KR102078985B1 (ko) 내진 보강용 댐퍼
JP6187016B2 (ja) 落下防止部材及び収容棚
KR101416703B1 (ko) 통로방향 진동감쇠기능을 구비한 물류보관용 랙시스템
JP6397256B2 (ja) 転倒防止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物品
JP5917291B2 (ja) マスダンパー型制振装置
JP6275537B2 (ja) 被梱包品の梱包構造
JP6291272B2 (ja) ラック制振装置
JP6200233B2 (ja) ラック制振装置
US20040195741A1 (en) Force protector for pallet rack systems
JP6753072B2 (ja) 免震装置
KR101639658B1 (ko)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
JP5855977B2 (ja) ラック制振装置
JP6137244B2 (ja) 制振ラック倉庫
JP6804021B2 (ja) 梱包容器
JP6080719B2 (ja) ラック制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