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191B1 - 구동형 용접 와이어 송급 장치 - Google Patents

구동형 용접 와이어 송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191B1
KR101602191B1 KR1020140136667A KR20140136667A KR101602191B1 KR 101602191 B1 KR101602191 B1 KR 101602191B1 KR 1020140136667 A KR1020140136667 A KR 1020140136667A KR 20140136667 A KR20140136667 A KR 20140136667A KR 101602191 B1 KR101602191 B1 KR 101602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obbin
pulley
driv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일
이재열
최태중
김효희
박중휘
서영진
박용환
Original Assignee
고려용접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용접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용접봉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6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4Circuits or methods for feeding weld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23K9/1333Deree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23K9/1336Dri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에 의해 보빈의 회전 속도와 와이어의 송급 속도가 동기화되고, 구동형 풀리에 의해 와이어에 가해지는 송급 부하가 최소화 된 와이어 송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지부(101); 상기 지지부 상단에 위치하는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Bobbin, 102); 상기 보빈(102)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보빈(102)로부터 송급되는 상기 와이어의 송급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고정형 풀리(103);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형 풀리(105); 및 상기 고정형 풀리(103)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부에 제공하는 제1 센서(104);를 포함하는 와이어 송급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동형 용접 와이어 송급 장치 {WIRE-DRIVEN TYPE WELDING WIRE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구동형 풀리를 구비한 용접 와이어 송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센서에 의해 보빈의 회전 속도와 와이어의 송급 속도가 동기화되고, 구동형 풀리에 의해 와이어에 가해지는 송급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와이어 송급 장치가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CO2 아크용접기는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 주전원 공급장치, 와이어 송급기, 케이블, 토오치(torch)로 구성되어 있으며, 와이어 송급기의 송급롤러에 가압력을 가하면서 회전시켜 와이어를 송급한다.
와이어가 권취되어 있는 보빈과 일정거리가 이격된 상기 와이어 송급기가 와이어를 송급할 때에 와이어에는 필연적으로 장력이 가해지며, 상기 장력에 의해 상기 보빈이 회전하면서 와이어가 송급된다. 상기 와이어 송급 방식은 송급성이 미흡하며, 특히 대용량의 와이어가 권취된 무거운 보빈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와이어에 과도하게 많은 장력이 부여되거나 또는 와이어가 상기 보빈을 회전시키기 위한 무게를 견디지 못하므로 원활한 송급이 불가능하다.
이에 대해, 와이어의 송급기의 송급과 함께 와이어 보빈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와이어 송급기의 송급 속도와 와이어 보빈의 회전 속도가 일치하지 않아 와이어에 부여되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으므로 송급성이 미흡하다.
상기 보빈의 회전 속도와 상기 와이어 송급기의 송급 속도를 일치시키기 위한 방법 역시 개발되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구현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고자 다양한 방법을 강구한 결과, 와이어를 공급하는 보빈의 회전 속도 및 와이어의 송급 속도를 간단하게 동기화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와이어에 부여되는 송급 부하가 최소화된 송급성이 우수한 용접 와이어 송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지지부(101); 상기 지지부 상단에 위치하는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Bobbin, 102); 상기 보빈(102)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보빈(102)로부터 송급되는 상기 와이어의 송급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고정형 풀리(103);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형 풀리(105); 및 상기 고정형 풀리(103)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부에 제공하는 제1 센서(104);를 포함하는 와이어 송급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형 풀리(105)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에 제공하는 제2 센서(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빈(102)의 하단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2 이상의 구동 롤러(10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롤러(108)는 탄성소재로 피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소재는 실리콘, 천연 고무, 우레탄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101) 하면에 구비된 이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를 송급하는 와이어 송급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빈(102) 및 상기 고정형 풀리(103) 사이에 가이드 롤러(1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접 와이어 송급 장치(100)는 와이어의 송급 속도와 보빈의 회전 속도가 동기화 되고, 구동형 풀리(105)를 통해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특히 대용량의 와이어 송급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송급 장치는 구조가 단순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와이어 송급 장치에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송급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송급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송급 장치(100)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와이어 송급 장치(100)
일 측면에 따르면, 지지부(101); 상기 지지부 상단에 위치하는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Bobbin, 102); 상기 보빈(102)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보빈(102)로부터 송급되는 상기 와이어의 송급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고정형 풀리(103);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형 풀리(105); 및 상기 고정형 풀리(103)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부에 제공하는 제1 센서(104);를 포함하는 와이어 송급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송급 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송급 장치(100)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송급 장치(100)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 송급 장치(100)는 지지부(101), 보빈(102), 구동부, 고정형 풀리(103), 구동형 풀리(105), 및 제 1 센서(1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1)는 상기 와이어 송급 장치(100)를 지지하는 기본 구성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각형의 판형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부(101)의 소재 및 형태는 특정 소재 및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중량을 지탱하고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보빈(102)은 와이어가 권취된 실패 형태의 부재를 지칭하는 것으로, 용접에 사용되는 와이어를 공급한다. 상기 보빈(102)는 일정한 외력(外力)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보빈(102)이 회전하면서 권취된 상기 와이어가 송급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빈(102)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빈(102)에 일정한 회전력을 제공하며, 그 공급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빈(102)의 하단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2 이상의 구동 롤러(1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롤러(108)는 상기 지지체(101)의 내면에 구비되어 있는 구동 모터(109)와 동력 전달 매개, 이를 테면 스프로킷(sprocket)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빈(10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보빈(102) 하단에는 원통형 구동 롤러(108)가 밀착하고, 상기 구동 롤러(108)는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므로, 그에 맞닿은 상기 보빈(102)은 그와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롤러(108) 단부에는 기어(gear)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구동 모터(109)와 상호 연결된 스프로킷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원통형 구동 롤러(108)는 구름 베어링과 같은 기계 요소에 의해 더욱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보빈(102)은 상기 원통형 구동 롤러(108)와 밀착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보빈(102)와 상기 원통형 구동 롤러(108)의 접촉 부분에서 마찰이 일어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보빈(102)와 상기 원통형 구동 롤러(108)의 접촉 부분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마찰계수가 낮으므로, 상기 구동 롤러(108)와 맞닿는 부분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상기 보빈(102)에 회전력이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회전력 손실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 롤러(108)는 탄성소재로 피복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소재는 실리콘, 천연 고무, 우레탄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즉, 상기 구동 롤러(108)의 표면을 상기 탄성소재로 피복하여 마찰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보빈(102)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는 외력 또는 자력으로 회전하는 상기 보빈(102)으로부터 송급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상기 보빈(102)은 상기 구동부 이외에도 상기 지지체(101)와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와이어 송급기(미도시)에 의해 제공되는 힘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가스 아크용접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송급기(미도시)는 금속전극의 역할을 하는 와이어(Wire)를 모재에 송급하고, 토치 선단의 노즐을 통해서 이산화탄소 또는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와이어가 모재와 함께 용융되어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와이어 송급기(미도시)는 상기 보빈(102)과 용접 토치(미도시) 사이에 위치하여 와이어에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와이어를 연속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상기 보빈(102)이 대용량인 경우 부피 및 무게로 인해 상기 보빈(102)을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기 어려우므로, 상기 보빈(102)과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상기 와이어 송급기(미도시)를 작업 위치로 이동 시켜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송급기(미도시)는 용접 작업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송급기일 수 있으며, 그 종류나 송급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송급기 내부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단롤러 및 하단롤러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상단롤러 및 하단롤러가 와이어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단롤러 및 하단롤러 사이에 개재된 와이어를 송급시킬 수 있다.
상기 상단롤러 및 하단롤러의 회전 속도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송급 속도가 결정되므로, 용접의 작업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상단롤러 및 하단롤러의 회전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보빈(102)과 상기 와이어 송급기(미도시)는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있으며 와이어가 인입된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보빈(102)의 회전 속도 및 상기 와이어 송급기(미도시)의 송급 속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없다.
상기 보빈(102) 및 와이어 송급기(미도시)의 정토크 및 정속도 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제어장치를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 경우 고장 발생률이 증가하게 되고, 내부 회로의 구성이 복잡하여 수리가 어려우며 수리 비용이 과다해질 수 있다. 또한, 회전 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더라도 상기 보빈(102)의 회전 속도 및 와이어 송급기(미도시)의 송급 속도에는 편차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와이어 송급 장치(100)는 상기 보빈(102) 및 상기 와어어 송급기 사이에 구동형 풀리(105)를 위치시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상기 보빈(102)로부터 와이어 송급기(미도시)까지의 와이어에 부여되는 장력은 필연적으로 변할 수 밖에 없으므로, 상기 구동형 풀리(105)는 이와 같이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장력의 변화를 흡수할 수 있다.
상기 보빈(102)에 권취되어 있는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보빈(102) 전면 또는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구동형 풀리(105)를 경유하여 송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빈(102) 전면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형 풀리(103)가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형 풀리(103) 하부에는 외력에 의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구동형 풀리(105)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보빈(102)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는 상기 고정형 풀리(103)를 거쳐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형 풀리(105)에 1회 또는 수회 감겨 있으며, 상기 와이어는 다시 상기 고정형 풀리(103)를 거쳐 상기 와이어 송급기(미도시) 방향으로 송급될 수 있다.
상기 고정형 풀리(103) 및 구동형 풀리(105)에는 와이어가 이탈되지 않고, 외면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요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가 송급될 때 상기 고정형 풀리(103) 및 구동형 풀리(105)는 상기 와이어의 송급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송급기(미도시)의 송급 속도가 변하는 경우, 상기 와이어에 부여되는 장력은 변화하게 되는데, 상기 장력은 상기 구동형 풀리(105)의 구동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 송급기의 송급 속도가 증가하고, 상기 보빈(102)의 회전 속도가 상기 와이어의 송급 속도와 아직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은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구동형 풀리(105)는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형 풀리(105)가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와이어에 부여되는 장력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보빈(102)의 회전 속도는 와이어의 송급 속도와 동기화 된다. 또한, 상기 보빈(102)의 회전 속도와 상기 와이어의 송급 속도가 동일해지면, 상기 와이어에는 장력이 더 이상 작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구동형 풀리(105)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다만, 상기 고정형 풀리(103) 및 구동형 풀리(105)의 위치 관계, 또는 상기 구동형 풀리(105)의 구동 경로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구동형 풀리(105)가 장력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장력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형 풀리(105)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측단부가 결합되고 타측단부가 상하 운동하는 암(arm)에 의해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측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타측단부는 자유단을 형성하는 암(arm)이 상기 고정형 풀리(103)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암의 자유단에는 상기 구동형 풀리(105)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암은 외력에 의해 상기 일측단부를 중심으로 암의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상하 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암은 상기 와이어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원호를 그리며 상하로 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형 풀리(105)의 구동 방식은 상기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외력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여 장력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빈(102)의 회전 속도는 상기 와이어 송급기(미도시)의 송급 속도와 동기화(synchronization)되어야 하므로 상기 와이어 송급 장치(100)는 송급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센서(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104)는 회전 부재의 회전 속도, 회전량, 및 회전 방향 등의 데이터를 측정하는 기계 장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센서(104)는 상기 고정형 풀리(103)의 회전축에 연결된 디스크가 회전하면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장치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서(104)는 상기 고정형 풀리(103)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형 풀리(103)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 데이터를 상기 구동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빈(102)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게 되므로, 상기 보빈(102)의 회전 속도 및 와이어의 송급 속도가 동기화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와이어 송급기(미도시)가 와이어를 송급할 때 와이어의 진행에 따라 상기 고정형 풀리(103)가 회전하고, 이어서 제1 센서(104)가 상기 고정형 풀리(103)의 회전 속도를 측정한 후 상기 구동부로 전송하게 되므로 상기 보빈(102)의 회전 속도와 와이어의 송급 속도가 동기화되기까지 일정한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차에 의해 와이어에 필연적으로 가해지는 불필요한 장력은 상기 구동형 풀리(105)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빈(102)의 회전 속도를 더욱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 송급 장치(100)는 상기 구동형 풀리(105)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에 제공하는 제2 센서(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110)는 상기 구동형 풀리(105)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동작 데이터를 상기 구동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센서(104)에서 측정된 상기 고정형 풀리(103)의 회전 속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보빈(102)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게 되나, 상기 와이어에 인가되는 장력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는 동기화에 필요한 수준의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없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2 센서(110)는 특정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광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센서(110)는 상기 구동형 풀리(105)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데이터를 상기 구동부로 전송하여 보빈(102)의 회전속도 및 와이어의 송급 속도가 더욱 정확하게 동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형 풀리(105)가 위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다시 말해, 상기 와이어에 작용하는 장력이 증가하는 경우에 상기 보빈(102)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 상기 와이어에 작용하는 불필요한 장력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센서(104) 및 상기 제2 센서(1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보빈(10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게 되므로, 상기 와이어 송급 장치(100)는 상기 보빈(102) 및 상기 와이어의 송급 속도를 정밀하게 동기화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에 작용하는 불필요한 장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센서(104) 및 상기 제2 센서(1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보빈(102)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는 연산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 장치는 전자 회로를 이용한 고속의 자동 계산기를 지칭하며, 숫자 계산, 자동 제어, 데이터 처리, 사무 관리, 언어나 영상 정보 처리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컴퓨터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송급 장치(100)는 상기 보빈(102) 및 상기 고정형 풀리(103)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 롤러(1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102)에 권취된 와이어는 상기 고정형 풀리(103)를 거쳐 와이어 송급기(미도시)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며, 상기 와이어의 송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정형 풀리(103) 및 상기 보빈(102) 사이에 가이드 롤러(107)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107)의 형태나 크기는 특별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롤러(107)는 상호 인접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원통형 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원통형 롤러 사이에 개재되어 송급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와이어가 송급 경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보조하며, 상기 와이어에 일정한 지지력을 부여하여 송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송급 장치(100)는 상기 지지부(101) 하면에 구비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바퀴 등의 이동부재일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와이어 송급 장치(100)에 대용량의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102)이 탑재된 경우,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100)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와이어 송급 장치
101: 지지부
102: 보빈
103: 고정형 풀리
104: 제1 센서
105: 구동형 풀리
106: 암
107: 가이드 롤러
108: 구동 롤러
109: 구동 모터
110: 제2 센서
200: 와이어

Claims (8)

  1. 지지부(101);
    상기 지지부 상단에 위치하는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Bobbin)(102);
    상기 보빈(102)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보빈(102)로부터 송급되는 상기 와이어의 송급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고정형 풀리(103);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형 풀리(105);
    상기 고정형 풀리(103)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부에 제공하는 제1 센서(104); 및
    상기 구동형 풀리(105)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에 제공하는 제2 센서(110)를 포함하는 와이어 송급 장치.
  2. 삭제
  3. 지지부(101);
    상기 지지부 상단에 위치하는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Bobbin)(102);
    상기 보빈(102)의 하단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2 이상의 구동 롤러(108)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보빈(102)로부터 송급되는 상기 와이어의 송급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고정형 풀리(103);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형 풀리(105); 및
    상기 고정형 풀리(103)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부에 제공하는 제1 센서(104);를 포함하는 와이어 송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롤러(108)는 탄성소재로 피복된 와이어 송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소재는 실리콘, 천연 고무, 우레탄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와이어 송급 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1) 하면에 구비된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송급 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를 송급하는 와이어 송급기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송급 장치.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102) 및 상기 고정형 풀리(103) 사이에 가이드 롤러(107)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송급 장치.
KR1020140136667A 2014-10-10 2014-10-10 구동형 용접 와이어 송급 장치 KR101602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667A KR101602191B1 (ko) 2014-10-10 2014-10-10 구동형 용접 와이어 송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667A KR101602191B1 (ko) 2014-10-10 2014-10-10 구동형 용접 와이어 송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191B1 true KR101602191B1 (ko) 2016-03-10

Family

ID=5553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667A KR101602191B1 (ko) 2014-10-10 2014-10-10 구동형 용접 와이어 송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19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568B1 (ko) 2017-06-14 2018-11-20 (주)일신오토클레이브 고압용기 제작을 위한 와이어 와인딩장치
WO2020138832A1 (ko) * 2018-12-24 2020-07-02 (주)디케이텍인더스트리 와이어 텐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61201B1 (ko) 2019-12-26 2021-06-07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용접봉 송급장치
KR20220038967A (ko) 2020-09-21 2022-03-29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레이저 용접 시스템
CN114473136A (zh) * 2022-01-27 2022-05-13 上海太瀚航天科技有限公司 一种电弧熔丝增材装置
CN114892035A (zh) * 2022-06-14 2022-08-12 山东信通铝业有限公司 一种铝钛硼丝喂机的运行状态监控报警装置
KR20220141024A (ko) 2021-04-12 2022-10-19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
CN116944678A (zh) * 2023-09-05 2023-10-27 江苏国中芯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ic芯片加工用焊接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228Y1 (ko) * 2000-04-18 2001-02-15 허병완 납공급장치를 가진 납땜인두
KR20100097062A (ko) * 2009-02-25 2010-09-02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용접 와이어의 수납 방법
JP2014184475A (ja) * 2013-03-25 2014-10-02 Komatsu Ltd ワイヤ送給装置、ワイヤ送給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溶接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228Y1 (ko) * 2000-04-18 2001-02-15 허병완 납공급장치를 가진 납땜인두
KR20100097062A (ko) * 2009-02-25 2010-09-02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용접 와이어의 수납 방법
JP2014184475A (ja) * 2013-03-25 2014-10-02 Komatsu Ltd ワイヤ送給装置、ワイヤ送給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溶接システ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568B1 (ko) 2017-06-14 2018-11-20 (주)일신오토클레이브 고압용기 제작을 위한 와이어 와인딩장치
WO2020138832A1 (ko) * 2018-12-24 2020-07-02 (주)디케이텍인더스트리 와이어 텐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61201B1 (ko) 2019-12-26 2021-06-07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용접봉 송급장치
KR20220038967A (ko) 2020-09-21 2022-03-29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레이저 용접 시스템
KR20220141024A (ko) 2021-04-12 2022-10-19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
CN114473136A (zh) * 2022-01-27 2022-05-13 上海太瀚航天科技有限公司 一种电弧熔丝增材装置
CN114892035A (zh) * 2022-06-14 2022-08-12 山东信通铝业有限公司 一种铝钛硼丝喂机的运行状态监控报警装置
CN116944678A (zh) * 2023-09-05 2023-10-27 江苏国中芯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ic芯片加工用焊接设备
CN116944678B (zh) * 2023-09-05 2024-05-17 江苏国中芯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ic芯片加工用焊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191B1 (ko) 구동형 용접 와이어 송급 장치
CN101804927B (zh) 往复移动控制方法及其装置
US20120160819A1 (en) Wire feed speed measurement device
KR20000036139A (ko) 카테테르, 안내와이어에 컷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090596A (ko) 굽힘 기계 내에서 가공물의 전진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유닛
US202203649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tion transfer
US6695027B2 (en) Speed matching system for a web splicer mechanism in a web-fed printing press or the like
KR20150011186A (ko) 솔더링 와이어 공급 장치
US20080004746A1 (en) Live tape position sensor
CN203011348U (zh) 一种圆周测量装置
JP2001171875A (ja) アライメント印を有するウェブ及びそのウェブを給送・加工する装置
JP2009122047A (ja) 角度検出装置
JP5740283B2 (ja) 配管厚測定装置
CN207738161U (zh) 一种含自动对中装置的接纸机
CN206488762U (zh) 电梯导轨垂直度检测系统
CN103673873A (zh) 印章位置检测机构及滚印盖章装置
CN106041272A (zh) 一种窄间隙埋弧焊机
CN203727772U (zh) 一种落地式平面贴标机
CN206711869U (zh) 一种反光焊带打标装置
US9592684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JP2011149762A (ja) ねじれ量測定装置
KR20140135066A (ko) 용접영역의 빗면 각도를 이용한 강관 자동용접장치
KR20130055172A (ko) 기판 정렬 유닛,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기판 정렬 방법
KR20180056220A (ko) 롤러 표면 마모도 측정 장치
JP5301416B2 (ja) グルーローラの位置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