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1024A -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 - Google Patents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1024A
KR20220141024A KR1020210047027A KR20210047027A KR20220141024A KR 20220141024 A KR20220141024 A KR 20220141024A KR 1020210047027 A KR1020210047027 A KR 1020210047027A KR 20210047027 A KR20210047027 A KR 20210047027A KR 20220141024 A KR20220141024 A KR 20220141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rod
slope
welding
type
fee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349B1 (ko
Inventor
김창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Priority to KR1020210047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349B1/ko
Publication of KR20220141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4Circuits or methods for feeding weld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23K9/1336Dri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다양한 종류의 용접봉을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는 용접봉이 공급되면 제1 이송수단에 의해 용접봉이 용접부위로 이동되어 노출되도록 전진시키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로 용접봉을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로 차례로 용접봉을 공급하고, 용접봉이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최하단에 하나의 용접봉이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용접봉을 상기 안내부로 밀어 공급하는 제2 이송수단을 구비한 슬로프형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Slope type Feeder for welding rod}
본 발명은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용접봉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접기법은 융접, 압접, 납접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용접의 종류에는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산업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레이저 용접 기술은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모재를 녹여 용접하는 기술이며, 사용되는 레이저의 생성방법에 따라 여러가지로 나뉘게 된다. 일반적으로 CO2 아크용접에 사용되는 용접봉은 와이어 형태를 사용하며, 원형의 피더(feeder)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반면, 본 기술에 사용되는 레이저는 CO2 레이저이며, 쿼츠(Quartz)소재의 용접봉을 용융시키기 위해서는 고출력의 CO2 레이저가 적합하다. 석영재질의 경우 재질이 단단하고 취성이 커서 용접봉을 스풀(spool)에 감아서 자동으로 송급하는 와이어 피더(wire feeder)형태의 사용이 어렵다. 광통신에 주로 사용되는 와이버 옵틱 와이어(FIBER OPTIC WIRE)의 경우 피복이 폴리머로 코팅이 되어 있어 스풀(Spool)에 쉽게 감을 수 있으나, 반도체 부품소재의 특성상 높은 순도의 석영유리 재료에 폴리머(Polyamide)를 사용해서는 반도체 IC소자 생산에 필요한 석영유리 제품 제작에 사용되는 용접봉이 직접적으로 외부 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치명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용접봉 직경이 1~5mm로 다양하게 사용해야하는 석영유리제품 용접 특성상 최대 직경 2mm까지만 스풀(Spool)에 감을 수 있다.
더불어 코어(CORE) 외부에 폴리머 코팅 처리된 와이버 옵틱 와이어(FIBER OPTIC WIRE)는 석영유리 제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용접봉으로는 부적합한 실정이다. 본 고안의 경우 이러한 석영유리 재질 용접봉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용접봉을 수동으로 용접 연결해서 사용해야하는 작업상의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서 종래에 사용하는 동일 재질의 직선형태의 석영유리 용접봉을 연속으로 투입하면서 레이져 CO2 용접할 수 있도록 용접봉 자동 송급장치를 고안하였다.
석영의 일반적인 용접기술은 화염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용접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수소와 산소가스를 혼합하여 화염을 발생시킨 후 모재를 용융시켜 용접을 진행하게 된다. 용접 시 용접부에 용가제를 공급하기 위하여 석영 용접봉을 사용하며, 사용되는 용접봉은 직경1 ~ 5mm크기의 직선 형상이다.
종래의 쿼츠(Quartz) 용접은 작업자가 수소-산소가스를 사용한 화구를 손으로 들고 작업하는 수동 용접 방식이다. 용접하고자 하는 모재와 용접봉은 모두 석영 재질이며, 한 손에 화구를 들고 다른 손에 용접봉을 잡은 후 용접부위를 가열하면서 용접봉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법의 문제점은 작업자가 고온에 장시간 노출되기 때문에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동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작업자별로 용접품질이 다르며, 숙련된 작업자와 비숙련 작업자 간의 품질 차이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레이저 용접은 수소-산소 가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방법에 비해 작업자의 안전확보에 유리하다. 추가적으로 용접에 사용되는 석영 용접봉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균일한 품질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그러나 석영 용접봉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수동에 의존하게 되어 역시 생산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602191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면을 따라 다양한 직경의 용접봉을 차례로 용접 부위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는, 용접봉이 공급되면 제1 이송수단에 의해 용접봉이 용접부위로 이동되어 노출되도록 전진시키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로 용접봉을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로 차례로 용접봉을 공급하고, 용접봉이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최하단에 하나의 용접봉이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용접봉을 상기 안내부로 밀어 공급하는 제2 이송수단을 구비한 슬로프형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접봉이 용접부위에 제공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부의 프레임에 연결된 각도 및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도 및 위치 조절부는 전후방향 조절부, 상하방향 조절부, 그리고 각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로프형 공급부는 한 쌍의 경사면을 포함하고, 한 쌍의 경사면은 안착부에서 서로 만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경사면에 공급되는 용접봉의 직경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로프형 공급부는 상기 안착부로 이송되는 용접봉의 이송을 물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승강하는 스톱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톱퍼는 일정간격 이격되고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개의 판상형 스톱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판상형 스톱퍼는 상기 용접봉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제2 면과,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경사면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진 제3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톱퍼는 용접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승강하는 복수개의 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면의 상부에는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새로운 용접봉을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 박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는, 경사면을 타고 하나씩 용접봉이 연속하여 자동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작업을 멈추지 않고 오랜 시간 연속하여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슬로프형 공급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슬로프형 공급부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슬로프형 공급부의 작동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는 용접부위에서 인접한 순서로 노즐부(20), 제1이송수단(21), 안내부(22), 각도 및 위치 조절부, 그리고 슬로프형 공급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부(2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용접봉(1)이 공급되면 제1 이송수단(21)에 의해 용접봉(1)이 용접부위로 이동되어 노출되도록 전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즐부(20)는 프레임(10)에 연결 고정되어 지지될 것이고, 전방 단부가 콘 형태로 이루어지되, 용접봉(1)이 토출되는 토출구(2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부(20)는 공급되는 용접봉(1)의 직경에 따라 피스를 이용하여 분해 및 재조립이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교체가 용이하다.
이때, 상기 안내부(22)에는 용접봉(1)의 이송을 전자적으로 감지 및 이송 거리를 인식하기 위한 엔코더(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는 전자적으로 연결된 연동장치를 감지하고 이들 입력 신호를 기초로 해서 시그널을 컨트롤러에 전달하여 실제 입력한 이송거리 값만큼 전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이송수단(21)은 상기 안내부(22)로부터 이송되는 용접봉(1)을 노즐부(2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이송수단(21)은 엔코더(30)와 노즐부(20) 사이에 설치되고 상하 패널로 이루어진 몸체(21a)에 상하로 이송 롤러가 설치되고 이송 롤러는 마찰력에 의해 용접봉(1)을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이송 롤러는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고, 용접봉(1)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어들(21b), 타이밍 벨트(21c), 스프링의 부품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송 롤러는 탄성력에 의해 용접봉(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용접봉(1)을 노즐부(20)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안내부(22)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슬로프형 공급부(100)로부터 제공되는 각 용접봉(1)을 상기 제1 이송수단(21) 및 노즐부(20)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각도 및 위치 조절부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용접봉(1)이 용접부위에 제공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부(21,22)의 프레임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각도 및 위치 조절부는 전후방향 조절부(13), 상하방향 조절부(12), 그리고 각도 조절부(11, 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후방향 조절부(13)는 핸들(13a)을 회전시킴으로써 조절부의 몸체(14)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핸들(13a)의 회전과 이동은 핸들(13a)이 스크류 부재를 회전시키고 스크류 부재는 조절부의 몸체(14)에 나사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스크류 부재의 양쪽에는 가이드 봉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 봉 또한 상하방향 조절부(12)의 몸체에 삽입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하방향 조절부(12) 또한 조절부 몸체(14)에 동일한 방식으로 핸들(12a), 스크류, 그리고 가이드 봉을 통하여 연결되어 전체적인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하방향 조절부(12)의 하단부에는 연결 패널(12)이 고정되어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연결 패널(12)에 프레임에 고정된 아암 패널(1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 패널(12)과 아암 패널(11)의 회전과 고정은 기존의 다양한 방식으로 가능할 것이다. 자동으로는 스텝 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고, 수동으로는 방사형으로 고정 홀을 형성하고 여기에 핀 등의 피스를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각도를 조절 및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장치의 프레임은 2개의 핸들을 이용하여 전후방향과 상하방향의 용접봉(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연결 패널과 아암 패널(11)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용접봉(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로프형 공급부(1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안내부(21,22)로 차례로 용접봉(1)을 공급하고, 용접봉(1)이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면(101)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01)의 최하단에 하나의 용접봉(1)이 안착되도록 안착부(103)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103)에 안착된 용접봉(1)을 상기 안내부(21,22)로 밀어 공급하는 제2 이송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이송수단으로는 솔레노이드 작동체, 이송 롤러, 이송 실린더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슬로프형 공급부(100)는 한 쌍의 경사면(101)을 포함하고, 한 쌍의 경사면(101)은 안착부(103)에서 서로 만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경사면(101)에 공급되는 용접봉(1)의 직경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쪽의 경사면(101)에 적층된 용접봉(1)과 반대편에 적층된 용접봉(1)의 직경이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슬로프형 공급부(100)는 상기 안착부(103)로 이송되는 용접봉(1)의 이송을 물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승강하는 스톱퍼(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톱퍼(102)는 일정간격 이격되고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개의 판상형 스톱퍼(102)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판상형 스톱퍼(102)는 상기 용접봉(1)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제2 면과,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경사면(101)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진 제3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판상형 스톱퍼(102)가 일정시간 동안 승강하게 되면, 최하부의 용접봉(1)은 제1 면에 걸려 있다가, 제2면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한 다음 제3 면에서 중력에 의해 안착부(103)로 안착될 것이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판상형 스톱퍼(102)는 동시에 승강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톱퍼가 적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톱퍼(102)는 용접봉(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승강하는 복수개의 핀(112)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복수개의 핀(112)들은 용접봉(1)이 안착부(103)로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있다가 새로운 용접봉(1)을 공급하려면 짧은 시간 동안 승강하여 최하부의 용접봉(1)이 안착부(103)로 하강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로프형 공급부(100)와 엔코더(30) 사이에는, 도 1을 참고하면, 포토 센서(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포토 센서(40)는 상기 슬로프형 공급부(100)에서 솔레노이드 작동체와 같은 제2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엔코더(30) 쪽으로 이송되는 용접봉(1)의 연속적인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엔코더(30)로 이송되는 용접봉(1)의 후단이 포토 센서(40)를 통과하게 되면 포토 센서(40)의 시그널에 의해 스톱퍼(102)가 다음 용접봉(1)이 안착부(103)로 공급될 수 있도록 작동하고, 제2 이송수단에 의해 신속하게 엔코더(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인 용접봉(1) 공급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경사면(101)의 상부에는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새로운 용접봉(1)을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 박스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박스(2)의 홀을 통하여 하나씩 용접봉(1)이 공급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가 각도 및 위치 조절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후방의 슬로프형 공급부(100)로부터 용접봉(1)은 공급될 제2 이송수단에 의해 공급될 것이고, 용접봉(1)은 안내부(22)를 거쳐 제1 이송수단(21)에 의해 노즐부(20)로 공급될 것이다. 그 다음 노즐부(20)의 토출구(20a)를 통하여 제1 이송수단(21)에 의해 용접 위치까지 용접봉(1) 단부가 이동할 것이다. 이때 각도 및 위치 조절부의 핸들 조작에 의해 프레임의 각도와 전후 상하 방향 위치가 조절 및 세팅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슬로프형 공급부(100), 안내부(22), 그리고 노즐부(20)는 용접봉(1)이 직선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공급과 이송을 위하여 직선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안착부(103)로 떨어진 용접봉(1)은 제2 이송수단에 의해 안내부(22)를 거쳐 제1 이송수단(21)에 이르게 되고, 제1 이송수단(21)에 의해 노즐부(20)까지 이송될 것이고, 노즐부(20)의 토출구(20a)를 통과한 용접봉(1)의 끝단은 제1 이송수단(21)에 의해 그 위치가 제어되면서 용접 위치에서 용접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때 용접봉(1)의 경사면(101)이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톱퍼(102)를 제어함으로써 둘 중 원하는 용접봉(1)이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공급박스(2)의 용접봉(1)은 공급박스(2)로부터 순차적으로 경사면(101)으로 낙하하게 되고 순서에 따라 스톱퍼(102)에 밀착하게 된다. (a)의 상태에서 (b)의 상태로 스톱퍼(102)가 일순간 하강한 다음 원위치로 상승하게 되면, 해당 용접봉(1)은 중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제2 면의 수평면을 따라 이동한 다음 스톱퍼(102)가 올라오더라도 제3 면을 따라 안착부(103)로 하강하여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양쪽의 스톱퍼(102)의 승강을 제어함으로써 다음 제공될 용접봉(1)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a)의 상태는 복수개의 핀(112)들에 의해 최하부 용접봉(1)이 적층된 상태로 멈추어 있고, (b)의 상태는 복수개의 핀(112)들이 순간적으로 하강한 다음 다시 원위치로 올라오는 상태로서 그 사이에 하나의 용접봉(1)이 안착부(103)로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안착될 것이다. 이때 안착부(103)는 도 5의 경우보다 경사면(101)에 더욱 가깝게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크기를 조금 더 작게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용접봉
2 : 공급박스 10 : 프레임
11 : 아암 패널 12 : 연결 패널
13 : 전후방향 조절부 20 : 노즐부
20a : 토출구 21 : 제1 이송수단
22 : 안내부 30 : 엔코더
40 : 포토 센서 100 : 슬로프형 공급부
101 : 경사면 102 : 스톱퍼
103 : 안착부 112 : 핀

Claims (10)

  1. 용접봉이 공급되면 제1 이송수단에 의해 용접봉이 용접부위로 이동되어 노출되도록 전진시키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로 용접봉을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로 차례로 용접봉을 공급하고, 용접봉이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최하단에 하나의 용접봉이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용접봉을 상기 안내부로 밀어 공급하는 제2 이송수단을 구비한 슬로프형 공급부;
    를 포함하는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봉이 용접부위에 제공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부의 프레임에 연결된 각도 및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및 위치 조절부는 전후방향 조절부, 상하방향 조절부, 그리고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프형 공급부는 한 쌍의 경사면을 포함하고, 한 쌍의 경사면은 안착부에서 서로 만나도록 형성된,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경사면에 공급되는 용접봉의 직경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프형 공급부는 상기 안착부로 이송되는 용접봉의 이송을 물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승강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일정간격 이격되고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개의 판상형 스톱퍼인,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판상형 스톱퍼는 상기 용접봉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제2 면과,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경사면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진 제3 면을 포함하는,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용접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승강하는 복수개의 핀인,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상부에는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새로운 용접봉을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 박스가 구비된,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
KR1020210047027A 2021-04-12 2021-04-12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 KR102477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027A KR102477349B1 (ko) 2021-04-12 2021-04-12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027A KR102477349B1 (ko) 2021-04-12 2021-04-12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024A true KR20220141024A (ko) 2022-10-19
KR102477349B1 KR102477349B1 (ko) 2022-12-14

Family

ID=83804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027A KR102477349B1 (ko) 2021-04-12 2021-04-12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3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4015B2 (ja) * 1993-06-14 1996-09-11 中小企業事業団 連続溶接装置
KR101470375B1 (ko) * 2013-02-19 2014-12-09 홍용표 레이저 파이프 절단장치
KR101602191B1 (ko) 2014-10-10 2016-03-10 고려용접봉 주식회사 구동형 용접 와이어 송급 장치
KR101807489B1 (ko) * 2017-08-24 2018-01-18 주식회사 태선엔지니어링 금속파이프용 천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4015B2 (ja) * 1993-06-14 1996-09-11 中小企業事業団 連続溶接装置
KR101470375B1 (ko) * 2013-02-19 2014-12-09 홍용표 레이저 파이프 절단장치
KR101602191B1 (ko) 2014-10-10 2016-03-10 고려용접봉 주식회사 구동형 용접 와이어 송급 장치
KR101807489B1 (ko) * 2017-08-24 2018-01-18 주식회사 태선엔지니어링 금속파이프용 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349B1 (ko) 202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839B1 (ko) 폼워크생산용 자동용접장치
KR102279690B1 (ko) 금속 와이어 송급 시스템 및 방법
KR101269945B1 (ko) 축전지용 자동 용접장치
KR100715423B1 (ko) 강관 용접장치
JP4346054B2 (ja) ハンダ付け方法およびハンダ付け装置
KR101665127B1 (ko) 이동식 자동 용접장치
CN107160050B (zh) 一种焊线机
CN111299738B (zh) 一种定量裁剪锡丝夹融激光锡焊系统及其锡焊方法
CN107414227B (zh) 激光焊接方法及装置
KR20170134107A (ko) 티그용접 토치 어셈블리 및 티그 자동용접장치
KR20220141024A (ko) 슬로프형 용접봉 자동 송급 장치
CN108817663B (zh) 一种主梁激光自动焊接设备
KR101084575B1 (ko) 자동 용접장치
KR101862559B1 (ko) Pcb용 단자 삽입기의 삽입력 조절장치
CN218396408U (zh) 一种中部槽点焊装置
CN209835984U (zh) 一种光纤预制棒拉锥装置
KR20180004626A (ko) 수직 및 수평 자동용접장치와 수평 자동용접장치
KR200415243Y1 (ko) 강관 용접 시스템
KR101306432B1 (ko) 앵글 오버랩 부위의 6축 자동 용접 시스템 및 앵글 오버랩 부위의 6축 자동 용접 방법
CN112573809B (zh) 一种石英管内壁自动火抛光装置
JP2002018650A (ja) ボルトフィーダ
KR102055634B1 (ko) 축전지용 용접 장치
KR102261201B1 (ko) 용접봉 송급장치
KR101949807B1 (ko) 자동 포인터 솔더링 장치
CN218396623U (zh) 一种中部槽焊接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