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318B1 - 운전석 에어백모듈과 스티어링휠의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운전석 에어백모듈과 스티어링휠의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318B1
KR101601318B1 KR1020100114348A KR20100114348A KR101601318B1 KR 101601318 B1 KR101601318 B1 KR 101601318B1 KR 1020100114348 A KR1020100114348 A KR 1020100114348A KR 20100114348 A KR20100114348 A KR 20100114348A KR 101601318 B1 KR101601318 B1 KR 101601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driver
airbag module
seat airba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3198A (ko
Inventor
정태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4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3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53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석 에어백모듈과 스티어링휠의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이 스티어링휠(20)의 허브(21)에 안착되어 조립될 때 조립공수의 감축을 통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이 스티어링휠(20)에 조립 완료된 상태에서 차량 사고에 의한 충격이 상기 스티어링휠(20)에 가해지게 되더라도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이 스티어링휠(20)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운전석 에어백모듈과 스티어링휠의 조립장치{Apparatus for assembling driver air bag module and steering wheel}
본 발명은 운전석 에어백모듈과 스티어링휠의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공수 저감을 통해 작업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스티어링휠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스티어링휠로부터 에어백모듈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운전석 에어백모듈과 스티어링휠의 조립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에어백모듈은 충돌 및 추돌사고시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정도의 큰 충격력이 발생될 때 에어백튜브가 실내측으로 전개되면서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운전석 에어백모듈과 조수석용 에어백모듈 그리고 측면 에어백모듈 및 커튼식 에어백모듈 등 용도와 장착위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 중,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스티어링휠(20)의 허브(21)에 장착되는 것으로, 차량 사고시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에어백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11), 상기 인플레이터(11)로부터 분사되는 에어백가스에 의해 운전자를 향해 전개되는 에어백쿠션(12), 상기 에어백쿠션(12)의 전면을 감싸고 상기 인플레이터(11)의 작동시 상기 에어백쿠션(12)이 실내측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티어라인(Tear line)이 형성된 쿠션커버(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10)과 스티어링휠(20)의 종래 조립구조는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이 스티어링휠(20)의 허브(2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허브(21)를 관통하여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10)에 체결되는 볼트(30)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조립구조는 볼트(30) 사용에 의한 조립공수 증가로 인해 작업의 편의성이 감소하고, 또한 볼트(30) 사용에 따른 원가상승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3 및 도 4와 같이 운전석 에어백모듈(10)에서 스티어링휠(20)의 허브(21)와 대면하는 저면의 바깥 테두리에 다수개의 스프링고정돌기(14)를 이용하여 에어백스프링(41)을 설치하고, 상기 스티어링휠(20)의 허브(21)에 걸림후크(22)를 형성하여,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이 상기 스티어링휠(20)의 허브(21)에 안착될 때 상기 걸림후크(22)가 상기 에어백스프링(41)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을 상기 스티어링휠(20)의 허브(21)에 조립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볼트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조립공수 감소 및 작업의 편의성 향상을 이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차량 사고시 스티어링휠(2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상기 걸림후크(22)가 도시된 화살표 M1과 같이 외측(에어백스프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질 확률이 높으며, 이럴 경우 상기 걸림후크(22)가 에어백스프링(41)으로부터 벗어나 서로의 조립이 분해됨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휠(20)로부터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이 분리되는 더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석 에어백모듈을 스티어링휠에 안착시켜서 조립할 때에 조립공수 감소를 이룩하여 작업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외부의 충격이 스티어링휠에 가해질 경우 스티어링휠로부터 운전석 에어백모듈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운전석 에어백모듈과 스티어링휠의 조립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운전석 에어백모듈과 스티어링휠의 조립장치는, 스티어링휠의 허브와 대면하는 운전석 에어백모듈의 저면 테두리에 다수개의 스프링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고정돌기를 관통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된 에어백스프링과;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이 상기 스티어링휠의 허브에 안착될 때 상기 에어백스프링에 걸려져서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티어링휠의 허브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에어백스프링에 걸려진 상태일 때 상기 걸림후크의 상단부를 감싸서 상기 걸림후크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의 저면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후크캡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고정돌기는 서로 인접하게 이격된 2개의 돌기가 1개의 스프링고정돌기를 이루면서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의 저면 테두리를 따라 적어도 2군데 이상의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캡은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의 저면 측면에서 상기 2개의 돌기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후크캡 1개마다 1개씩 삽입되도록 상기 스티어링휠의 허브에 형성된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크캡의 바깥면에는 강성확보를 위한 보강리브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석 에어백모듈이 스티어링휠의 허브에 안착되어 조립될 때 조립공수의 감축을 통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운전석 에어백모듈이 스티어링휠에 조립 완료된 상태에서 차량 사고에 의한 충격이 상기 스티어링휠에 가해지게 되더라도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이 스티어링휠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조립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운전석 에어백모듈과 스티어링휠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상태 단면도,
도 3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조립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운전석 에어백모듈과 스티어링휠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상태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운전석 에어백모듈과 스티어링휠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은 사고 발생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도 5 및 도 6과 같이 에어백ECU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에어백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11)와, 상기 인플레이터(11)로부터 분사되는 에어백가스에 의해 운전자를 향해 전개되는 에어백쿠션(12)과, 상기 에어백쿠션(12)의 전면을 감싸고 상기 인플레이터(11)의 작동시 상기 에어백쿠션(12)이 실내측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티어라인(Tear line)이 형성된 쿠션커버(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은 스티어링휠(20)의 허브(21)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바, 본 발명은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이 스티어링휠(20)의 허브(21)에 안착되어 조립될 때 조립공수의 감축을 이룩하여 작업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하고, 특히 외부의 충격이 상기 스티어링휠(20)에 가해질 경우 상기 스티어링휠(20)로부터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모듈(10)과 스티어링휠(20)의 조립장치는, 상기 스티어링휠(20)의 허브(21)와 대면하는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의 저면 테두리에 다수개의 스프링고정돌기(15)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고정돌기(15)를 관통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된 에어백스프링(51)과,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이 상기 스티어링휠(20)의 허브(21)에 안착될 때 상기 에어백스프링(51)에 걸려져서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티어링휠(20)의 허브(21)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걸림후크(52)와, 상기 걸림후크(52)가 상기 에어백스프링(51)에 걸려진 상태일 때 상기 걸림후크(52)의 상단부를 감싸서 상기 걸림후크(52)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의 저면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후크캡(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고정돌기(15)는 서로 인접하게 이격된 2개의 돌기(15a,15b)가 1개의 스프링고정돌기(15)를 이루면서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의 저면 테두리를 따라 적어도 2군데 이상의 부위에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후크캡(53)은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의 저면 측면에서 상기 2개의 돌기(15a,15b)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후크(52)는 상기 후크캡(53) 1개마다 1개씩 삽입되도록 상기 스티어링휠(20)의 허브(21)에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후크캡(53)의 바깥면에는 강성확보를 위한 보강리브(54)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의 저면이 상기 스티어링휠(20)의 허브(21)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을 상기 허브(21)에 안착시키게 되면, 걸림후크(52)의 상단이 후크캡(53)속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후크(52)가 상기 에어백스프링(51)에 걸려져 고정되는 바, 이에 따라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10)과 상기 스티어링휠(20)은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조립구조는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전술한 종래의 구조와 비교하여 볼 때 볼트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조립공수 감소 및 이를 통한 작업의 편의성 향상을 이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을 스티어링휠(20)에 조립 완료하였을 때에 걸림후크(52)의 상단이 후크캡(53)속으로 삽입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차량 사고시 스티어링휠(2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상기 걸림후크(52)가 외측(에어백스프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는 힘을 받게 되더라도 상기 후크캡(53)이 걸림후크(52)를 지지하여 상기 걸림후크(52)의 외측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걸림후크(52)가 에어백스프링(51)으로부터 벗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바, 이 결과 차량 사고에 의한 충격으로 운전석 에어백모듈(10)이 스티어링휠(20)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갖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후크캡(53)에 다수개의 보강리브(54)가 형성된 구조로, 상기 보강리브(54)에 의해 후크캡(53)의 강성이 크게 향상되는 바, 이로 인해 상기 후크캡(53)은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10 - 운전석 에어백모듈 15 - 스프링고정돌기
20 - 스티어링휠 21 - 허브
51 - 에어백스프링 52 - 걸림후크
53 - 후크캡 54 - 보강리브

Claims (3)

  1. 스티어링휠의 허브와 대면하는 운전석 에어백모듈의 저면 테두리에 다수개의 스프링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고정돌기를 관통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된 에어백스프링과;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이 상기 스티어링휠의 허브에 안착될 때 상기 에어백스프링에 걸려져서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티어링휠의 허브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에어백스프링에 걸려진 상태일 때 상기 걸림후크의 상단부를 감싸서 상기 걸림후크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의 저면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후크캡
    을 포함하는 운전석 에어백모듈과 스티어링휠의 조립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고정돌기는 서로 인접하게 이격된 2개의 돌기가 1개의 스프링고정돌기를 이루면서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의 저면 테두리를 따라 적어도 2군데 이상의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캡은 상기 운전석 에어백모듈의 저면 측면에서 상기 2개의 돌기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후크캡 1개마다 1개씩 삽입되도록 상기 스티어링휠의 허브에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모듈과 스티어링휠의 조립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캡의 바깥면에는 강성확보를 위한 보강리브가 일체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모듈과 스티어링휠의 조립장치.
KR1020100114348A 2010-11-17 2010-11-17 운전석 에어백모듈과 스티어링휠의 조립장치 KR101601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348A KR101601318B1 (ko) 2010-11-17 2010-11-17 운전석 에어백모듈과 스티어링휠의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348A KR101601318B1 (ko) 2010-11-17 2010-11-17 운전석 에어백모듈과 스티어링휠의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198A KR20120053198A (ko) 2012-05-25
KR101601318B1 true KR101601318B1 (ko) 2016-03-09

Family

ID=4626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348A KR101601318B1 (ko) 2010-11-17 2010-11-17 운전석 에어백모듈과 스티어링휠의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3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065A (ja) 1999-11-25 2001-06-05 Takata Corp エアバック装置
KR100747397B1 (ko) 2006-03-23 2007-08-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과 스티어링 휠의 마운팅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506B1 (ko) * 2006-09-15 2013-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백 모듈의 마운팅부 구조
KR20100003966A (ko) * 2008-07-02 2010-0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석에어백의 마운팅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065A (ja) 1999-11-25 2001-06-05 Takata Corp エアバック装置
KR100747397B1 (ko) 2006-03-23 2007-08-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과 스티어링 휠의 마운팅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198A (ko) 201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3958B2 (en) Bracket for securing side airbag for automotive vehicle
KR101091693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JP5066188B2 (ja) エアバッグカバー保持方法
JP5495367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ユニット
JP6307214B2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US76412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irbag module cover attachment
JP2004338703A (ja) 座席に装着されるエアバッグ・ユニットの改良
US7654563B2 (en) Cover to wheel attachment method for improved gap control
US20080296933A1 (en) Interior parts for a vehicle
US8672343B2 (en) Mounting apparatus of side airbag for vehicle
JP2011046368A (ja) ルーフエアバッグの装着構造
KR101113673B1 (ko) 차량의 엠블럼 비산 방지 장치
KR101601318B1 (ko) 운전석 에어백모듈과 스티어링휠의 조립장치
US20150054262A1 (en) Airbag device for vehicle
KR101988615B1 (ko) 차량용 범퍼 결합 구조
JP2010095225A (ja) フロントピラートリムの誤組み付け防止構造
JP2013067291A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KR101071736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1284295B1 (ko) 후방 외장 에어백
JP7180577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304716B1 (ko) 자동차용 사이드에어백
KR101046131B1 (ko) 에어백 커버의 결합구조
JP2017177930A (ja) ハンドル
US20130069346A1 (en) Interior roof retainer
KR100452846B1 (ko) 차량용 에어백 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