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926B1 - 유아용 변기 커버 - Google Patents

유아용 변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926B1
KR101600926B1 KR1020140068094A KR20140068094A KR101600926B1 KR 101600926 B1 KR101600926 B1 KR 101600926B1 KR 1020140068094 A KR1020140068094 A KR 1020140068094A KR 20140068094 A KR20140068094 A KR 20140068094A KR 101600926 B1 KR101600926 B1 KR 101600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fixing member
cover body
footres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0009A (ko
Inventor
최태성
Original Assignee
최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성 filed Critical 최태성
Priority to KR1020140068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926B1/ko
Publication of KR20150140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6Auxiliary or portable sea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05Auxiliary or portabl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유아용 변기 커버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유아용 변기 커버는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변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변기 위에 올려져서 유아가 앉을 수 있는 커버 본체; 상기 커버 본체에 앉은 유아의 발이 얹어질 수 있는 발 받침; 상기 커버 본체의 전측부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 본체와 상기 발 받침을 연결시키는 발 받침 연결 부재;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가 상기 커버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힌지 부재; 및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와 함께 상기 변기의 전후에서 상기 변기를 조여줄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본체의 전측부의 저면 후측에 연결되어,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 본체의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루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가 상기 변기의 전측부의 전면과 대면되고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변기의 전측부의 후면과 대면되도록 상기 커버 본체가 상기 변기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커버 본체에 앉은 유아의 발이 상기 발 받침에 얹어지면,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가 상기 변기 쪽으로 회동되어,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변기의 전후에서 상기 변기를 조여주게 됨으로써, 상기 유아용 변기 커버가 상기 변기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유아용 변기 커버에 의하면, 유아의 체중에 의해서 유아용 변기 커버가 변기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볼트 등의 별도의 결합 수단 없이도 변기에 유아용 변기 커버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사용 후에 유아가 유아용 변기 커버에서 내려오면 발 받침과 발 받침 연결 부재가 원위치되면서 유아용 변기 커버가 간편하게 변기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변기 커버{Toilet seat cover for baby}
본 발명은 유아용 변기 커버에 관한 것이다.
유아용 변기 커버는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 좌대 등에 고정되어, 성인에 비해 둔부가 작은 유아가 앉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보조 기구이다.
이러한 유아용 변기 커버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등록실용신안이다.
그러나, 종래의 유아용 변기 커버에 의하면, 유아용 변기 커버에 유아가 앉았을 때 유아의 발이 허공에 떠있는 상태가 되어, 대변을 볼 때 유아가 배에 힘을 제대로 주지 못하게 되고, 그에 따라 유아가 대변을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여 유아 변비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유아용 변기 커버에 유아의 발을 얹을 수 있는 발받침을 설치하기도 하였으나, 이 경우 유아의 발이 발받침에 닿아 그 발받침 쪽으로 유아의 체중이 많이 쏠리는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유아가 움직이는 경우 유아용 변기 커버가 전복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 20-0373176호, 등록일자: 2005년01월05일, 고안의 명칭: 유아용 변기 보조 좌대
본 발명은 볼트 등의 별도의 결합 수단 없이도 변기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간편하게 변기에서 분리될 수 있는 유아용 변기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는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변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변기 위에 올려져서 유아가 앉을 수 있는 커버 본체; 상기 커버 본체에 앉은 유아의 발이 얹어질 수 있는 발 받침; 상기 커버 본체의 전측부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 본체와 상기 발 받침을 연결시키는 발 받침 연결 부재;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가 상기 커버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힌지 부재; 및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와 함께 상기 변기의 전후에서 상기 변기를 조여줄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본체의 전측부의 저면 후측에 연결되어,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 본체의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루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가 상기 변기의 전측부의 전면과 대면되고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변기의 전측부의 후면과 대면되도록 상기 커버 본체가 상기 변기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커버 본체에 앉은 유아의 발이 상기 발 받침에 얹어지면,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가 상기 변기 쪽으로 회동되어,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변기의 전후에서 상기 변기를 조여주게 됨으로써, 상기 유아용 변기 커버가 상기 변기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에 의하면, 유아의 체중에 의해서 유아용 변기 커버가 변기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볼트 등의 별도의 결합 수단 없이도 변기에 유아용 변기 커버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사용 후에 유아가 유아용 변기 커버에서 내려오면 발 받침과 발 받침 연결 부재가 원위치되면서 유아용 변기 커버가 간편하게 변기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가 변기에 적용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가 변기에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아용 변기 커버에 유아가 앉은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를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의 일부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가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유아용 변기 커버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를 구성하는 고정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를 구성하는 커버 본체의 앞부분을 아래에서 올려다본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를 구성하는 고정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가 변기에 적용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가 변기에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100)는 커버 본체(110)와, 발 받침(140)과, 발 받침 연결 부재(130)와, 힌지 부재(120)와, 고정 부재(115)를 포함하고,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에 적용되어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 본체(110)는 상기 변기 위에 올려져서 유아가 앉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중앙부(111)가 관통되어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110)에 앉은 유아가 배설한 용변이 아래의 변기의 도기(10) 내부로 낙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커버 본체(110)가 상기 변기의 도기(10)에 고정되는 것을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커버 본체(110)는 상기 변기에서 성인이 앉을 수 있는 변기 좌대(15)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발 받침(140)은 상기 커버 본체(110)에 앉은 유아의 발이 얹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발 받침(140) 상단에는 얹어진 유아의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 돌기(1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130)는 상기 커버 본체(110)와 상기 발 받침(140)을 연결시키는 것이다.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130)는 상기 커버 본체(110)와 연결되는 커버 본체 연결부(131)와, 상기 커버 본체 연결부(131)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 즉 상기 변기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연결 경사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경사부(132) 말단에 상기 발 받침(140)이 연결된다. 그러면, 상기 발 받침(140)이 상기 커버 본체(110)의 전방으로 일정 각도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힌지 부재(120)는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130)가 상기 커버 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힌지 부재(120)는 상기 커버 본체(110)에 고정되는 힌지 축 삽입부(121)와,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130)에 고정되는 힌지 축(122)으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 축(122)이 상기 힌지 축 삽입부(1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130)가 상기 커버 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고정 부재(115)는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130)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 본체(110)의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부재(115)가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130)와 이격된 위치인 상기 커버 본체(110)의 저면에 수직으로 삽입된 원형 단면 등의 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130)는 상기 힌지 부재(120)에 의해 상기 커버 본체(110)의 전측부의 전면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 부재(115)는 상기 커버 본체(110)의 전측부의 저면 후측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130)가 상기 변기의 도기(10) 전측부(11)의 전면과 대면되고 상기 고정 부재(115)가 상기 변기의 도기(10) 전측부(11)의 후면과 대면되도록 상기 커버 본체(110)가 상기 변기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본체(110)에 앉은 유아의 발이 상기 발 받침(140)에 얹어지면, 상기 발 받침(140)에 얹어진 유아의 발과 다리 무게에 의해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130)가 상기 변기의 도기(10) 쪽으로 회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130)와 상기 고정 부재(115)가 상기 변기의 도기(10)의 전후에서 상기 변기의 도기(10)를 조여주게 됨으로써, 상기 유아용 변기 커버(100)가 상기 변기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아의 체중에 의해서 상기 유아용 변기 커버(100)가 상기 변기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볼트 등의 별도의 결합 수단 없이도 변기에 상기 유아용 변기 커버(10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사용 후에 유아가 유아용 변기 커버(100)에서 내려오면 상기 발 받침(140)과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130)가 원위치되면서 상기 유아용 변기 커버(100)가 간편하게 변기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아용 변기 커버에 유아가 앉은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215)가 하측으로 갈수록 발 받침 연결 부재(230) 쪽으로 근접되도록 전방으로 일정 각도(θ1)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커버 본체(210)에 앉은 유아의 발과 다리 하중에 의해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230)가 상기 고정 부재(215) 쪽으로 근접될 때, 상기 고정 부재(215)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고정 부재(215)와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230)가 더욱 근접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아용 변기 커버(200)가 변기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 본체(210)의 상단에서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230)가 연결된 쪽에 비해 상기 고정 부재(215)가 연결된 쪽이 상대적으로 더 낮도록 일정 각도(θ2)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커버 본체(210)에 유아가 앉을 때, 상기 커버 본체(210)의 경사진 형태에 의해 상기 커버 본체(210)에 앉은 유아의 체중이 그 중앙부(211) 쪽으로 편중되고, 그에 따라 상기 중앙부(211) 쪽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고정 부재(215) 쪽에 유아의 편중된 체중이 실리게 되어, 전방으로 일정 각도(θ1) 기울어진 형태로 설치된 상기 고정 부재(215)가 더욱 큰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유아용 변기 커버(200)가 변기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의 일부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315)가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변기의 도기 등의 내면 형상에 맞추어지도록 일정 곡률로 굽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고정 부재(315)가 상기 변기의 도기와 닿는 면적이 넓어져서, 유아용 변기 커버가 변기의 도기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가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유아용 변기 커버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400)는 커버 본체(410)의 저면에 형성되어, 고정 부재(415)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 부재 삽입 부재(4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 부재 삽입 부재(450)는 내부에 상기 고정 부재(415)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 부재 삽입 홀(45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 삽입 홀(452)의 내벽에는 나사산(45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415)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 부재 삽입 홀(452)의 내벽에 형성된 나사산(451)에 맞추어질 수 있는 나사산(416)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고정 부재(415)를 회전시켜가면서 상기 고정 부재 삽입 홀(452)에 삽입하는 정도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고정 부재 삽입 부재(450)에 상기 고정 부재(415)가 삽입되는 정도가 변경됨으로써, 상기 커버 본체(410)에서 상기 고정 부재(415)의 돌출 길이가 가변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다양한 크기, 깊이 등을 가진 변기의 도기에 최적화되도록 상기 고정 부재(415)의 돌출 길이가 간편하게 가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부재(415)가 하측으로 갈수록 발 받침 연결 부재(430) 쪽으로 근접되도록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부재 삽입 부재(450)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430) 쪽으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430)의 길이는 가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430)를 구성하는 커버 본체 연결부(431)와 연결 경사부(432)는 서로 분리된 형태를 이루고, 상기 커버 본체 연결부(431)에는 복수 개의 높이 조절 홀(433)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연결 경사부(432)에는 상기 커버 본체 연결부(431)가 관통될 수 있는 커버 본체 연결부 관통 홀(434)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 본체 연결부 관통 홀(435)에는 연결 핀(436)이 관통될 수 있는 연결 핀 관통 홀(435)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 본체 연결부(431)가 상기 커버 본체 연결부 관통 홀(434)에 관통된 상태로, 복수 개의 상기 높이 조절 홀(433) 중 유아의 다리 길이에 맞는 위치에 있는 높이 조절 홀(433)과 상기 연결 필 관통 홀(435)이 서로 맞추어지도록 한 다음, 상기 연결 핀(436)이 관통됨으로써, 유아의 다리 길이 등에 맞게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430)의 길이가 간편하게 가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430)의 길이는 가변될 수 있으므로, 유아의 다리 길이 등에 따라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430)의 길이가 간편하게 가변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를 구성하는 고정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를 구성하는 고정 부재(515)는 금속 재질의 고정 부재 몸체(516)와, 상기 고정 부재 몸체(516)를 감싸는 미끄럼 방지부(517)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부재 몸체(516)는 원형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그 상부가 상기 미끄럼 방지부(517) 위로 노출되며, 그 노출된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커버본체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517)는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져서, 변기의 도기 등과 직접 닿아, 상기 고정 부재 몸체(516)의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517)는 상기 고정 부재 몸체(516)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를 구성하는 커버 본체의 앞부분을 아래에서 올려다본 저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를 구성하는 고정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를 구성하는 커버 본체(610)의 저면에는 고정 부재(615)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 부재 삽입 홀(612)이 복수 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고정 부재 삽입 홀(612)이 상기 커버 본체(610)의 양 측방으로 일정 간격으로 나열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유아용 변기 커버가 적용되는 도기의 형태, 크기 등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고정 부재 삽입 홀(612)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고정 부재(615)가 삽입되어, 상기 유아용 변기 커버가 도기 등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를 구성하는 고정 부재(615)는 금속 재질의 고정 부재 몸체(616)와, 상기 고정 부재 몸체(616)의 일 측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617)를 포함한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617)는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져서, 변기의 도기 등과 직접 닿아, 상기 고정 부재 몸체(616)의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아용 변기 커버에 의하면, 볼트 등의 별도의 결합 수단 없이도 변기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간편하게 변기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10 : 커버 본체 115 : 고정 부재
120 : 힌지 부재 130 : 발 받침 연결 부재
140 : 발 받침

Claims (11)

  1.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변기에 적용되는 유아용 변기 커버에 있어서,
    상기 변기 위에 올려져서 유아가 앉을 수 있는 커버 본체;
    상기 커버 본체에 앉은 유아의 발이 얹어질 수 있는 발 받침;
    상기 커버 본체의 전측부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 본체와 상기 발 받침을 연결시키는 발 받침 연결 부재;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가 상기 커버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힌지 부재; 및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와 함께 상기 변기의 전후에서 상기 변기를 조여줄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본체의 전측부의 저면 후측에 연결되어,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 본체의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루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가 상기 변기의 전측부의 전면과 대면되고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변기의 전측부의 후면과 대면되도록 상기 커버 본체가 상기 변기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커버 본체에 앉은 유아의 발이 상기 발 받침에 얹어지면,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가 상기 변기 쪽으로 회동되어,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변기의 전후에서 상기 변기를 조여주게 됨으로써, 상기 유아용 변기 커버가 상기 변기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커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 쪽으로 근접되도록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커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의 상단에서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가 연결된 쪽에 비해 상기 고정 부재가 연결된 쪽이 상대적으로 더 낮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커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커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변기 커버는
    상기 커버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 부재 삽입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 삽입 부재에 상기 고정 부재가 삽입되는 정도가 변경됨으로써, 상기 커버 본체에서 상기 고정 부재의 돌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커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 쪽으로 근접되도록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부재 삽입 부재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 쪽으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커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 받침 연결 부재의 길이는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커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고정 부재 몸체와,
    상기 고정 부재 몸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변기에 닿아 상기 고정 부재 몸체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커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 부재 삽입 홀이 복수 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고정 부재 삽입 홀은 상기 커버 본체의 양 측방으로 일정 간격으로 나열된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커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고정 부재 몸체와,
    상기 고정 부재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변기에 닿아 상기 고정 부재 몸체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커버.
KR1020140068094A 2014-06-05 2014-06-05 유아용 변기 커버 KR101600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094A KR101600926B1 (ko) 2014-06-05 2014-06-05 유아용 변기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094A KR101600926B1 (ko) 2014-06-05 2014-06-05 유아용 변기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009A KR20150140009A (ko) 2015-12-15
KR101600926B1 true KR101600926B1 (ko) 2016-03-08

Family

ID=55021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094A KR101600926B1 (ko) 2014-06-05 2014-06-05 유아용 변기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9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234B1 (ko) * 2021-04-05 2021-09-17 박채성 발받침대가 구비된 변기좌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562B1 (ko) * 2017-03-30 2018-10-18 이경노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5721A (ja) * 1999-10-01 2001-04-10 Aron Kasei Co Ltd 補助便座
JP2007181488A (ja) * 2005-12-29 2007-07-19 Inax Corp 補高便座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3093U (ko) * 1985-09-25 1987-04-02
KR200196449Y1 (ko) * 2000-04-03 2000-09-15 오재욱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도어의 투시창
KR200373176Y1 (ko) 2004-10-22 2005-01-15 조태현 유아용 변기 보조 좌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5721A (ja) * 1999-10-01 2001-04-10 Aron Kasei Co Ltd 補助便座
JP2007181488A (ja) * 2005-12-29 2007-07-19 Inax Corp 補高便座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234B1 (ko) * 2021-04-05 2021-09-17 박채성 발받침대가 구비된 변기좌판
WO2022216004A1 (ko) * 2021-04-05 2022-10-13 박채성 발받침대가 구비된 변기좌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009A (ko) 201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6135B1 (en) Baby bath support pillow
US8893317B2 (en) Toilet training device
USD627075S1 (en) Foot spa bowl
US7810193B1 (en) Inflatable support cushion
KR101600926B1 (ko) 유아용 변기 커버
EP3424386A1 (en) Toilet footrest
CN101646374B (zh) 婴儿马桶训练器
KR101226741B1 (ko)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발 받침대
JP4995979B1 (ja) 便器
US9237812B1 (en) Bodily cushion assembly
KR101802120B1 (ko) 욕실용 발받침 부재
KR200434792Y1 (ko) 양변기용 발 받침대
JP2006289035A (ja) 和、洋式便器
JP2006334387A (ja) 浴槽
WO2012007767A1 (en) A baby support arrangement
JP3125762U (ja) 尿の飛散を防ぐ小便器
JP6093259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US20140007333A1 (en) Inclined Platform for Male Urination
JP3211620U (ja) 小便用椅子
CN211961909U (zh) 一种婴童辅助坐便圈
KR101494666B1 (ko) 노약자용 좌변기 좌대
JP2013158502A (ja) 椅子
JP5674982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JP5867946B1 (ja) 椅子
JP3193443U (ja) ポータブル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