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580B1 - 다층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창 - Google Patents

다층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580B1
KR101600580B1 KR1020140081000A KR20140081000A KR101600580B1 KR 101600580 B1 KR101600580 B1 KR 101600580B1 KR 1020140081000 A KR1020140081000 A KR 1020140081000A KR 20140081000 A KR20140081000 A KR 20140081000A KR 101600580 B1 KR101600580 B1 KR 101600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methyl methacrylate
multilayer sheet
polyvinylidene fluoride
poly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513A (ko
Inventor
이희정
김상열
권창모
김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폴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폴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폴리
Priority to KR1020140081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580B1/ko
Publication of KR20160002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5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2Weather resistant

Abstract

폴리카보네이트계 기재층 상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실리카와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스킨층을 포함하는 다층시트와 이의 용도가 제공되며, 이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기재층과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스킨층을 포함하는 다층시트이면서도 공압출 가공성이 우수하고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수분흡수율을 낮추며 자외선에 의한 황변에 대한 저항성을 갖추어 내후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고경도인 특성을 나타내어 추가적인 하드코팅층을 필요로 하지 않아 박막화 및 대면화되는 디스플레이 시장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액정 윈도우용 시트로 유용하다.

Description

다층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창{Multi-layered Sheet and Usage thereof}
본 발명은 다층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도가 높고 내후성이 우수하며 흡수율이 낮고 압출 가공성이 우수한 다층시트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의 액정창 등에 주로 사용되어 오던 윈도우용 재료는 유리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유리는 무거워 취급에 어려움이 있고 충격에 취약하며 인장강도가 낮아 쉽게 깨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액정창의 대면화 추세에 근거할 때 유리의 사용은 여러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
이에 유리의 대체재로 강도가 강하고 높은 광투과율을 보이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인 폴리카보네이트(PC)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는 표면에 스크래치가 쉽게 생기거나 자외선에 쉽게 산화되어 변색이 쉽게 생기는 단점이 있다.
내스크래치성의 측면에서는 폴리메틸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를 주원료로 하는 액정창이 있는데, 이는 내후성이나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반면 내충격성이 약한 문제가 있고 또 수분 흡수에 의한 치수의 변형이 큰 단점이 있다. 최근의 추세인 초슬림 휴대폰 생산을 위해 휴대폰 윈도우의 두께가 기존의 절반 정도인 0.5T 정도로 줄어들고 전체 모듈 두께 감소를 위해 각종 보호필름을 제거하면서 내충격성이 더욱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약한 내충격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일환으로 국내특허 공개 10-2010-0038844호(2010.04.15. 공개)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층과 폴리카보네이트층을 포함하는 내후성, 가공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다층시트와 이를 이용한 액정창에 대하여 개시하였다. 하지만 이 경우 다층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압출에서 냉각롤의 온도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가공온도의 조건으로 제품이 생산되어야 하는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이 온도에서 과냉각되어 냉각롤의 둥근 형태로 고화되어 최종적으로 시트를 제단하면 이미 둥글게 휘게 된다. 압출 뒤 후공정에서 열처리 등의 방법으로 평판화가 가능하나 언급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높은 수분 흡수로 시트가 휘고 또 치수 변화가 생기는 후변형 문제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카보네이트와 저흡수 고경도 개질 폴리카보네이트 다층시트가 시도되어 압출시의 휘는 문제와 흡수에 의한 후변형을 해결해 평판 시트의 제조가 가능하나 이 경우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의 경도가 충분치 않고 또 자외선에 의해 쉽게 변색이 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계 기재와의 열적특성 차이를 최소화하고 수분의 흡수를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공압출 가공성과 수분 흡수에 의한 후변형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다층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투명성을 유지하면서도 고경도, 낮은 수분흡수율 및 고내후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다층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1층; 및 제1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실리카(SiO2)와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제2층;을 포함하는 다층시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있어서, 제2층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를 수지 조성 중 5 내지 70중량%,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30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있어서, 제2층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실리카를 실리카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50중량% 되는 양,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40중량% 되는 양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제1층과 제2층 전체 두께는 두께의 제한은 없으나 용도에 따라 0.3 에서 2mm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제2층은 그 두께가 5에서 500㎛, 좋기로는 20에서 150 ㎛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있어서, 다층시트는 제1층과 제2층을 공압출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구현예는 상기 일 구현예들에 의한 다층시트를 포함하는 액정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시트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기재층과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실리카와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스킨층을 갖는 다층시트이면서 공압출 가공성이 우수하고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수분흡수율을 낮추며 자외선에 의한 황변에 대한 저항성을 갖추어 내후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고경도인 특성을 나타내어 추가적인 하드코팅층을 필요로 하지 않아 박막화 및 대면화되는 디스플레이 시장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액정 윈도우용 시트로 유용하다. 또한 추가의 하드 코팅을 통하여 유리에 근접하는 표면경도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액정 윈도우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이다. 이는 내충격성, 가공성, 내후성, 자기소화성, 투명성 등이 우수한 특성이 있으며 강화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닌 것으로 이는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다층시트는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제1층(이하, '기재층'으로 일컬어질 수 있다.)으로 한다.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는 표면에 스크래치가 생기거나 화학약품에 취약하여 이에 의한 균열이 생기기 쉽고 장시간 빛의 노출에 쉽게 변색되는 단점이 있어 단층으로만은 휴대폰 액정창 등의 원도우용 시트로는 유용하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다층시트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 상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층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기재층 상에 형성되는 스킨층에 해당되는 제2층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실리카와의 복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독 중합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50중량% 이상으로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공중합체에 있어서 공단량체의 예로는 예컨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메타))아크릴산,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및 이소프렌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CH2CF2) 단독중합체 및 CH2CF2 50중량% 이상과 CH2CF2와 공중합 가능한 1종 이상의 다른 단량체를 함유하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공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공단량체의 일예로는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1,2-디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 퍼플루오로(에틸)비닐에테르 및 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 에테르와 같은 퍼플루오로(알킬)비닐 에테르, 퍼플루오로(1,3-디옥솔), 퍼플루오로(2,2-디메틸-1,3-디옥솔)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층과 폴리카보네이트층은 열적특성이 달라 압출시 스킨층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층이 롤에 들러 붙어 이형되지 않거나 롤에 붙었다 떨어졌다를 반복함으로써 시트류에 줄무늬를 발생시켜 결과적으로 불량률을 높인다. 이를 해결하고자 공정온도를 낮추면 압출시 폴리카보네이트 기재가 과냉각되어 생산된 제품 자체가 둥글게 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킨층에 다른 수지를 혼용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상분리에 의하여 투명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스킨층으로서의 요구 물성을 충분히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광학적 투명도와 균질성이 좋으나 다른 수지와 혼용하는 경우 투명성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수지와 혼용되는 경우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는 유리한 점이 있다.
더욱이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를 혼용하는 경우 수분흡수율을 낮출 수 있어 수분 흡수에 의한 휨과 치수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또한 내광성이 우수하여 장시간의 빛의 노출에도 변색되는 않는다. 또한 폴리비닐리렌플루오라이드가 갖는 좋은 이형성에 근거하여 공압출 시 롤에 스킨층이 들어붙는 현상을 줄여 공압출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킨층 수지 조성 중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수분흡수율은 낮아진다. 그러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갖는 스킨층으로서의 유리한 특성인 내스크래치성과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첨가량을 제어할 것이 요구되는바,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함량은 스킨층 수지 조성 중 5 내지 7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중량%인 것이 좋을 수 있다.
그런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만을 혼용하여서는 충분한 공압출 가공성을 확보하기는 어렵다. 이는 충분한 열적특성의 향상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른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하드코팅층 없이도 충분한 경도를 발현할 정도의 고경도성을 충족하는 데 있어서도 미흡한 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다층시트의 제2층(스킨층)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복합체에 더하여 나노실리카를 첨가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나노실리카와의 복합체를 포함한다.
나노실리카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복합체에 분산될 때 가시광선 영역에서 나노 복합체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개개의 입자크기가 60nm 이하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30 nm 이하이어야 한다. 또 나노 실리카는 굳이 구형일 필요가 없으며 나노 실리카 튜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튜브의 지름 또한 60nm 이하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30nm 이하이어야 한다.
나노 입자는 통상 비 표면적이 매우 커 자체 응집이 심하게 일어나 고분자 매질에 골고루 분산을 시키기가 어려우며 응집이 일어날 경우 가시광선이 산란하게 되 매질을 불투명하게 만드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나노 실리카 입자 표면의 하이드록시기(-OH)를 실란 계열의 커플링제(일예로, γ-methacryloyloxypropyltrimethoxysilane Hengda Trade Name: KH-570)로 처리한 다음 메틸메타그릴레이트(MMA)를 첨가하여 중합하였다. 결과물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실리카 표면에 그라프트(grafted) 되었다. 이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실리카'로 본 발명에서는 명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실리카를 사용함으로써 분산문제를 해결하여 매우 투명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실리카와의 복합체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시트는 스킨층에 이와 같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실리카와의 복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적어도 경도 4H 내지 5H 정도의 고경도를 구현할 수 있다. 이로써 추가적인 하드코팅층을 요하지 않는 다층시트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추가 하드코팅을 통하여 유리에 근접하는 8H 내지 9H의 경도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무기물인 나노실리카의 첨가에도 불구하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복합체가 갖는 우수한 광투과율을 저해하지 않는다.
다만 이러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실리카와의 복합체를 스킨층에 포함하는 경우 그 함량에 따라 열적 특성이 달라지고 또 나노실리카의 높은 가격을 고려하여 나노실리카의 함량을 제어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나노실리카의 첨가량이 많아지게 되면, 즉 스킨층에 실리카 함량이 증가할수록 스킨층의 유리전이온도는 높아지고 나아가 경도가 높아지게 되며 따라서 기재층인 폴리카보네이트의 높은 열적 특성에 근접하게 되어 공압출시 냉각롤의 온도른 폴리카보네이트의 가공 온도로 냉각롤을 가열할 수 있어 평탄한 시트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하지만 나노 실리카의 높은 가격을 고려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 실리카의 함량은 스킨층 전체 조성 중 중량 기준으로 3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4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시트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실리카와의 복합체를 컴파운딩하여 얻어진 제2층용 컴파운드 조성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제1층 조성과 함께 공압출하여 고경도의 휨이 없는 편평한 판상의 다층시트로 얻어질 수 있다. 휨이 없는 편평한 판상의 다층시트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공압출 가공성의 완전한 구현에 의해 가능해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층시트는 폴리카보네이트가 갖는 장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갖는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보다 낮은 수분흡수율을 만족시킬 수 있고 그 표면의 고경도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추가적인 하드코팅층없이도 액정창으로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층시트는 제1층의 일면에만 제2층이 형성될 수도 있고, 제1층의 양면에 제2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2층이 제1층의 양면에 형성되는 경우 양면에 형성된 각각의 제2층은 그 두께 또는 조성이 서로 대칭일 것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층시트에 있어서, 제2층의 두께는 5에서 500μm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스킨층에 해당하는 제2층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면에서는 유리할 수 있으나 경제성 측면에서는 불리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제2층의 두께는 20 내지 150μm 정도일 수 있다.
한편 제1층과 제2층의 전체 두께는 0.3 내지 2mm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제2층(스킨층) 조성에 있어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함량 변화가 수분흡수율에 미치는 영향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실리카는 석경 AT사로부터 평균입경 20nm의 실리카를 입수하여 실란커플링제인 KH 570으로 그 표면을 처리한 후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함께 중합하여 건조한 후 얻어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실리카 파우더(실리카 로딩량 70중량%)를 사용하였다.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로는 아케마사로부터 구입(상품명 Kynar PVDF, Homopolymer)하여 사용하였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는 대산 MMA사로부터 구입(상품명:VH5)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들을 컴파운딩하여 제2층 조성물을 얻은 다음 사출하여 직경 15 cm, 두께 2mm의 시편을 얻었다. 여기서 사출시편의 두께는 수분흡수율 평가의 기준에 따라 그 두께를 정한 것이다.
제2층 조성 중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함량을 다음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변화시키면서 사출 시편을 얻었으며 이에 대하여 수분흡수율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로 나타내었다. 이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실리카의 함량은 전체 스킨층 조성 중 실리카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인 것으로 고정하였다.
수분흡수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직경 15cm, 두께 2mm인 사출 시편을 ASTM D 570 규격에 따라 24시간 동안 물에 완전히 함침시킨 후 건져 표면의 물기를 제거한 다음 그 전후 무게를 정밀저울로 측정하였다.
PVDF 함량
(제2층 수지 조성 100중량%에 대한 중량%)
수분흡수율(%)
0 0.31
15 0.19
30 0.11
45 0.075
100 0.039
상기 표에서 0 중량%와 100 중량%는 각각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독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단독 사출 시편을 의미한다.
상기 표 1의 결과와 같이 스킨층 조성 중 PVDF의 함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수분흡수율이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적의 수분흡수율은 기재인 제1층 수지, 즉 폴리카보네이트의 흡수율과 유사한 것이 최적인바 바람직한 PVDF 함량은 스킨층의 수지 조성 중 10 내지 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제2층(스킨층) 조성에 있어서 나노복합체(실리카)의 함량 변화가 열적특성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1에 기재한 제2층 성분들을 이용하여 2축 압출기로 컴파운딩하여 펠렛(pellet)을 얻었다.
다만 첨가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실리카의 첨가량을 전체 조성 중 다음 표 2와 같이 변화시켜가면서 각각의 컴파운딩 펠렛을 얻었으며, 이에 대하여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함량비는 수지 총량을 기준으로 70:30중량%로 고정되도록 하였다.
유리전이온도의 측정은 DS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실리카
(실리카 중량을 기준으로 한 중량%)
유리전이온도(℃)
0 62
10 73
20 85
30 100
50 135
상기 표 2의 결과와 같이 스킨층 조성 중 나노실리카의 함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유리전이온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스킨층 조성 중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실리카의 함량이 증가됨으로 이에 바람직한 나노실리카의 함량은 스킨층의 전체 조성에 대하여 실리카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전이 온도(145 ℃)로 접근하는 35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과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함량비는 수지 총량을 기준으로 70:30중량%로 고정된 경우의 결과인바, 유리전이온도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함량에 따라 달라지므로 나노실리카의 세 성분에 대한 조성비의 최적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스킨층이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층과 공압출되는데 있어서 스킨층이 롤에 들어붙어 이형되지 않거나 붙었다 떨어졌다를 반복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을 것임을 예견할 수 있도록 하는 결과치일 수 있다.
실시예 3: 투명성 평가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얻어진 사출 시편에 대하여 투명성을 평가하였다.
투명성의 평가는 Nippon Denshokyu사의 NDH 2000으로 수행하였다.
PVDF 함량
(제2층 수지 조성 100중량%에 대한 중량%)
투과율(%)
0 92.0
15 92.5
30 92.4
45 92.4
100 88.0
상기 표에서 0 중량%와 100 중량%는 각각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독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단독 사출 시편을 의미한다.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단독 시편의 경우 그 결정성으로 인해 투과율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실시예 4: 제2층(스킨층) 조성에 있어서 나노실리카의 함량 변화가 경도특성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1에 기재한 제2층 조성 성분들을 이용하여 두께 2mm인 사출시편을 제작하였다.
다만 첨가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실리카의 첨가량을 전체 조성 중 다음 표 4와 같이 변화시켜가면서 각각의 시편을 얻었으며, 이에 대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함량비는 수지 총량을 기준으로 70:30중량%로 고정되도록 하였다.
경도의 측정은 연필경도시험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나노복합체 함량
(실리카 중량을 기준으로 한 중량%)
경도(연필경도)
0 1 H
10 2 H
20 4 H
30 5 H
50 7 H
상기 표 3의 결과와 같이 스킨층 조성 중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실리카의 함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경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본 발명의 다층시트는 추가적인 하드코팅층없이도 액정층으로 요구되는 고경도를 달성할 수 있을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7)

  1.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1층; 및
    제1층에 인접한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실리카와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제2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층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노실리카를 실리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 되는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제2층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를 수지 조성 중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시트.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층과 제2층의 전체 두께가 0.3 내지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제2층은 그 두께가 20 내지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제1층과 제2층을 공압출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시트.
  7. 제 1 항의 다층시트를 포함하는 액정창.
KR1020140081000A 2014-06-30 2014-06-30 다층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창 KR101600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000A KR101600580B1 (ko) 2014-06-30 2014-06-30 다층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000A KR101600580B1 (ko) 2014-06-30 2014-06-30 다층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513A KR20160002513A (ko) 2016-01-08
KR101600580B1 true KR101600580B1 (ko) 2016-03-08

Family

ID=55170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000A KR101600580B1 (ko) 2014-06-30 2014-06-30 다층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5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5185A (ko) * 2016-05-03 2017-11-14 주식회사 이노폴리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표면층의 제조방법
KR20200113681A (ko)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케이에이피에스 향상된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13683A (ko)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케이에이피에스 향상된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844A (ko) * 2008-10-07 2010-04-15 세원정공 주식회사 내후성, 가공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다층시트
US9285584B2 (en) * 2010-10-06 2016-03-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ti-reflective articles with nanosilica-based coatings and barrier lay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5185A (ko) * 2016-05-03 2017-11-14 주식회사 이노폴리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표면층의 제조방법
KR101916710B1 (ko) * 2016-05-03 2019-01-25 주식회사 이노폴리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표면층의 제조방법
KR20200113681A (ko)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케이에이피에스 향상된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13683A (ko)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케이에이피에스 향상된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513A (ko) 2016-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0456B1 (ko) 투명 플라스틱 시트
JP4816506B2 (ja) 偏光板保護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EP2346913B1 (en) Nano-structure coated sheets/films for optical electronic displays and photovoltaic modules
WO2016157908A1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成形体、フィルム並びに物品
TW201434630A (zh) 光學膜及其製造方法、偏光板及液晶顯示裝置
KR101600580B1 (ko) 다층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창
KR101948422B1 (ko) 수지 적층체의 제조 방법
US10563097B2 (en) Composite system comprising a matrix and scattering elements, process for preparing it and use thereof
KR20140109315A (ko)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편광판 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
KR20190006192A (ko) 보호 필름을 구비하는 수지 적층체
KR20120089264A (ko) 광전지 사용을 위한 임의의 아크릴 냄새가 없는 플루오르화 중합체 및 산화아연 필름
JP2006199850A (ja) 熱線遮蔽成分含有マスターバッチと熱線遮蔽透明樹脂成形体および熱線遮蔽透明樹脂積層体
KR100831497B1 (ko) 고해상 방현성 보상필름의 제조방법
US20080248294A1 (en) Low Moisture Absorbing Acrylic Sheet
KR102088684B1 (ko) 비산방지 필름용 하드코팅 조성물, 비산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66690B1 (ko) 수지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2008094064A (ja) 透明導電膜形成用耐熱アクリル系樹脂積層体
KR20190052712A (ko) 수지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219140B1 (ko) 내충격성 및 표면경도가 우수한 액정화면 보호용 투명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0277A (ko) 다층시트
KR101227552B1 (ko) 단층 PVdF 연신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백시트
JP4449688B2 (ja) アクリル積層フィルム
KR101519422B1 (ko) 디스플레이용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윈도우 패널
JP2012102266A (ja) 熱線遮蔽ポリカーボネートシート、熱線遮蔽ポリカーボネートシート積層体および熱線遮蔽ポリカーボネート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437145B1 (ko) 액정화면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