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442B1 -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442B1
KR101600442B1 KR1020080133745A KR20080133745A KR101600442B1 KR 101600442 B1 KR101600442 B1 KR 101600442B1 KR 1020080133745 A KR1020080133745 A KR 1020080133745A KR 20080133745 A KR20080133745 A KR 20080133745A KR 101600442 B1 KR101600442 B1 KR 101600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gradation
signal
corrected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5123A (ko
Inventor
박봉임
김강현
박종현
김우철
김윤재
정재원
전봉주
최용준
이우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3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442B1/ko
Priority to US12/503,454 priority patent/US8674922B2/en
Priority to EP09011359A priority patent/EP2202719A3/en
Priority to JP2009210027A priority patent/JP5639751B2/ja
Priority to CN200910180038.0A priority patent/CN101763833B/zh
Publication of KR20100075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123A/ko
Priority to US14/165,037 priority patent/US881049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7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for displaying colours or for displaying grey scales with a specific pixel layout, e.g.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6Determination of a pixel data signal depending on the signal applied in the previous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내지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공받아, 제1 내지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로, 제1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1 계조에 대응하는 제1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제2 원시 영상 신호가 제1 계조보다 작은 제2 계조에 대응될 때,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2 계조보다 큰 제3 계조에 대응되는 제2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제2 변환 영상 신호와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제1 내지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 보정 영상 신호, DCC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화소 전극이 구비된 제1 표시판, 공통 전극이 구비된 제2 표시판, 제1 표시판과 제2 표시판 사이에 주입된 유전율 이방성(dielectric anisotropy)을 갖는 액정, 다수의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이들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외부의 그래픽 소스로부터 원시 영상 신호가 입력되며, 원시 영상 신호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거쳐 액정 패널로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타이밍 컨트롤러는 액정의 응답 속도를 향상 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DCC (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및/또는 ACC(Adapted Color Correction) 방법을 이용하여 원시 영상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내지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공받아, 제1 내지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로, 상기 제1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1 계조에 대응하는 제1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가 상기 제1 계조보다 작은 제2 계조에 대응될 때,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계조보다 큰 제3 계조에 대응되는 제2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변환 영상 신호와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1 내지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공받아, 제1 내지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되, 상기 제1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1 계조에 대응하는 제1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가 상기 제1 계조보다 작은 제2 계조에 대응될 때,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계조보다 큰 제3 계조에 대응되는 제2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변환 영상 신호와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고, 액정 패널 상에 상기 제1 내지 제3 보정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타이밍 컨트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정 표시 장치(10)는 액정 패널(100), 게이트 구동부(300), 데이터 구동부(400), 및 타이밍 컨트롤러(200)를 포함한다.
액정 패널(100)은 등가 회로로 볼 때 다수의 표시 신호선(G1-Gn, D1~Dm)과 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PX)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2을 참조하면, 액정 패널(100)은 서로 마주 보는 제1 표시판(110), 제2 표시판(120) 및 둘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15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신호선(G1~Gn, D1~Dm)은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선(G1~Gn)과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D1~Dm)을 포함한다. 게이트선(G1~Gn)은 대략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데이터선(D1~Dm)은 대략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가 거의 평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 1의 한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를 나타내었다. 제1 표시판(110)의 화소 전극(PE)과 대향하도록 제2 표시판(120)의 공통 전극(CE)의 일부 영역에 색 필터(CF)가 형성될 수 있다. 각 화소, 예를 들면 i번째(i=1~n) 게이트선(Gi)과 j번째(j=1~m) 데이터선(Dj)에 연결된 화소는 신호선(Gi, Dj)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Q)와 이에 연결된 액정 커패시터(liquid crystal capacitor)(Clc) 및 유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Cst)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외부의 그래픽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원시 영상 신호(DATn) 및 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외부 클럭 신호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원시 영상 신호(DATn)은 R, G, B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클럭 신호들은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메인 클럭 신호(Mcl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는 원시 영상 신호(DATn)가 입력되는 구간 동안 하이 레벨을 유지하여 그래픽 제어기(미도시)에서 제공되는 신호가 원시 영상 신호(DATn)임을 알리는 신호이고, 수직 동기 신호(Vsync)는 한 프레임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이고, 수평 동기 신호(Hsync)는 게이트 라인을 구별하는 신호이며, 메인 클럭 신호(Mclk)는 액정 표시 장치(10)의 동작에 필요한 모든 신호들의 동기가 되는 클럭 신호이다.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외부 클럭 신호를 기초로 게이트 제어 신호(CONT1)와 데이터 제어 신호(CONT2)를 생성하고, 게이트 제어 신호(CONT1)를 게이트 구동부(300)에, 데이터 제어 신호(CONT2)를 데이터 구동부(400)로 보낸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원시 영상 신호(DATn)를 제공받아 원시 영상 신호(DATn)를 보정한 보정 영상 신호(DATn')를 출력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제1 내지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공받아, 제1 내지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제1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1 계조에 대응되는 제1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제2 계조에 대응되는 제2 원시 영상 신호가 제1 계조보다 작을 때,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2 계조보다 큰 제3 계조에 대응되는 제2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제2 변환 영상 신호와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제2 변환 영상 신호 및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에 관하여는 도 3 및 도 4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게이트 구동부(300)는 타이밍 컨트롤러(200)로부터 게이트 제어 신호(CONT1)를 제공받아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선(G1~Gn)에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이 때, 게이트 제어 신호(CONT1)는 게이트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 게이트 구동부(300)의 동작을 개시하는 수직 시작 신호(STV), 게이트 온 전압의 출력 시기를 결정하는 게이트 클럭 신호(CPV) 및 게이트 온 전압의 펄스 폭을 결정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신호는 게이트 온/오프 전압 발생부(미도시)로부터 제공된 게이트 온 전압(Von)과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구동부(400)는 타이밍 컨트롤러(200)로부터 데이터 제어 신호(CONT2) 및 보정 영상 신호(DATn')를 제공받아 영상 데이터 전압을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데이터 제어 신호(CONT2)는 데이터 구동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로써, 데이터 구동부(400)의 동작을 개시하는 수평 개시 신호(STH), 데이터 전압의 출력을 지시하는 출력 지시 신호(T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전압은 계 조 전압 발생부(500)로부터 제공되는 계조 전압을 이용하여, 보정 영상 신호(DATn')에 대응하는 계조에 대한 전압일 수 있다.
계조 전압 발생부(500)는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노드와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저항을 포함하여,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을 분배하여 다수의 계조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계조 전압 발생부(500)의 내부 회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의 타이밍 컨트롤러(200)의 동작을 살펴본다.
도 3을 참조하면,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신호 변환부(210), 메모리(220), 신호 보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제1 내지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공받아, 제1 내지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되, 제1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1 계조에 대응되는 제1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제2 계조에 대응되는 제2 원시 영상 신호가 제1 계조보다 작을 때,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2 계조보다 큰 제3 계조에 대응되는 제2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제2 변환 영상 신호와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제1 내지 제3 원시 영상 신호는 연속되는 제1 내지 제3 프레임 동안 액정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에 각각 대응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라고 할 경우, 제2 원시 영 상 신호는 이전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를, 제1 원시 영상 신호는 전전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신호 보정부(2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와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를 보정하여 보정 영상 신호(DATn')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는 메모리(22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보정 영상 신호(DATn')는 액정 패널(100)로 전송되어 보정 영상 신호(DATn')에 대응하는 영상을 액정 패널(100) 상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신호 보정부(230)는 액정 패널(100)에 포함된 액정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DCC (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보정을 진행할 수 있다. 나아가, 신호 보정부(230)는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다수의 계조와,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다수의 계조의 조합에 대응하는 계조값을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가 a 계조에 대응되고,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가 b 계조에 대응될 때, 신호 보정부(230)는 상기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현재 프레임의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다수의 계조 중 a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와, 이전 프레임의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다수의 계조 중 b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의 조합에 대응되는 계조값을 현재 프레임의 보정 영상 신호(DATn')에 대응하는 계조로 결정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에 저장되는 계조값 및, 현재 및 이전 프레임의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다수의 계조 등은 하나의 예시적인 것에 불과할 뿐이며, 액정 표시 장치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다양 한 방식으로 변경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신호 변환부(210)는,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를 입력 받고,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를 변환하여 현재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를 출력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신호 변환부(210)는 외부에서 제공된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와, 메모리(220)에서 제공된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를 변환 영상 신호(tDATn)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신호 변환부(210)에서 생성된 현재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는 메모리(220)에 제공되고, 예를 들어 한 프레임 동안 메모리(220)에 저장되었다가 신호 변환부(210)에 제공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신호 변환부(210)는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제1 내지 제3 원시 영상 신호에 대하여, 제1 원시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제1 원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제1 변환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2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제2 변환 영상 신호와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신호 변환부(210)는 타이밍 컨트롤러(200)에 제공되는 원시 영상 신호 중 일부만을 변환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에 대응되는 제2 계조가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에 대응되는 제1 계조보다 작을 때,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를 변환 영상 신호(tDATn)로 변환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신호 변환부(210)는 현재 프레임 의 원시 영상 신호(DATn)에 대응되는 제2 계조가 기준 계조보다 작고, 이전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제1 계조는 기준 계조보다 큰 때,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를 변환할 수 있다.
즉, 원시 영상 신호가 고계조에서 저계조로 급감할 때, 신호 보정부(230)가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를 보정하도록 함으로써, 이전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를 보정하는 경우보다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신호 변환부(210)는 예를 들어, 룩업 테이블(Luck Up Table, 미도시)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를 생성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은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와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의 조합에 대응하는 다수의 계조값을 포함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의 각 계조값은, 이전 프레임에서 변환 영상 신호(tDATn-1)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액정 패널(100)에,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를 인가할 때 한 프레임의 시간 동안 액정 패널(100)이 도달한 계조값을 측정한 실험값일 수 있다. 룩업 테이블은 액정 표시 장치의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된 계조값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변환부(210)는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와,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의 조합에 대응하는 계조값을 현재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로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신호 변환부(210)에서 제공된 현재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 호(tDATn)를 예를 들어, 한 프레임 동안 저장하였다가,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로 신호 변환부(210) 및 신호 보정부(230)에 출력할 수 있다. 즉, 메모리(220)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는, 전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와 이전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신호로,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는 전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메모리(220)에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를 저장함으로써, 한 프레임의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메모리 용량으로, 세 프레임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를 고려하여 현재 영상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타이밍 컨트롤러(200)의 동작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속되는 제1 내지 제3 프레임에 원시 영상 신호를 각각 제1 내지 제3 원시 영상 신호(DAT1, DAT2, DAT3)라고 하며, 각 프레임 단위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제1 내지 제3 프레임으로 표시하였으나, 제1 내지 제3 프레임보다 선행하는 프레임들과, 후행하는 프레임들에 대한 원시 영상 신호들이 연속적으로 제공됨은 물론이다.
제3 프레임에서 신호 보정부(230)는 제3 원시 영상 신호(DAT3)를 이용하여 제3 보정 영상 신호(DAT3')를 생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3 보정 영상 신호(DAT3')는 제2 변환 영상 신호(tDAT2)와 제3 원시 영상 신호(DAT3)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보정 영상 신호(DAT3')를 생성하는 것은 제2 변환 영상 신호(tDAT2)와 제3 원시 영상 신호(DAT3)의 조합에 대응하는 다수의 계조값을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을 참조할 수 있으며, 각 계조값은 제2 변환 영상 신호(tDAT2)와 제3 원시 영상 신호(DAT3)의 조합에 대응하는 DCC 보정값일 수 있다.
제2 프레임에서 신호 변환부(210)는 제2 원시 영상 신호(DAT2)를 이용하여 제2 변환 영상 신호(tDAT2)를 생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변환 영상 신호(tDAT2)는 메모리(220)에 이미 저장되어 있던 제1 변환 영상 신호(tDAT1)와 제2 원시 영상 신호(DAT2)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변환부(210)는 제1 변환 영상 신호(tDAT1)와 제2 원시 영상 신호(DAT2)의 조합에 대응되는 다수의 계조값을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을 참조할 수 있다.
제2 원시 영상 신호(DAT2)에 대응되는 제2 계조(G2)는 제1 변환 영상 신호(tDAT1)의 제1 계조(G1)보다 작다. 즉, 제2 원시 영상 신호(DAT2)의 제2 계조(G2)가 제1 계조(G1)보다 작을 때, 제2 원시 영상 신호(DAT2)를 이용하여 제3 계조(G3)에 대응되는 제2 변환 영상 신호(tDAT2)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3 계조(G3)는 제2 계조(G2)보다 크다. 또한, 제3 계조(G3)는 제3 원시 영상 신호(DAT3)에 대응하는 제4 계조(G4)보다 작을 수 있다.
나아가, 임의의 기준 계조(Gref)에 대하여, 제1 계조(G1)는 기준 계조(Gref)보다 크고, 제2 계조(G2)는 기준 계조(Gref)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계조(G1)는 고계조이고, 제2 계조(G2)는 저계조일 수 있다. 또한, 제3 원시 영상 신호(DAT3)에 대응되는 제4 계조(G4)는 제2 계조(G2)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신호가 고계조에서 저계조로 급감하였다가 다시 상승하 는 계조 변화를 포함할 때, 제2 원시 영상 신호(DAT2)에 대응하는 제2 계조(G2)를 보다 높은 제3 계조(G3)로 변환함으로써, 액정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2 원시 영상 신호(DAT2)가 제1 변환 영상 신호(tDAT1)보다 작은 계조에 대응될 때, 예를 들어 고계조인 제1 변환 영상 신호(tDAT1)에서 저계조인 제2 원시 영상 신호(DAT2)로 전이될 때,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2 원시 영상 신호(DAT2)에 대응하는 제2 변환 영상 신호(tDAT2)를 생성하여 메모리(220)에 저장하였다가, 제3 원시 영상 신호(DAT3)를 제공받아 제2 변환 영상 신호(tDAT2)와 제3 원시 영상 신호(DAT3)를 이용하여 제3 보정 영상 신호(DAT3')를 생성하고, 제3 보정 영상 신호(DAT3')에 대응하는 영상을 액정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따르면, 영상 신호가 고계조에서 저계조로 급감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계조 전이를 포함할 때, 액정의 응답 속도를 고려하여 저계조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를 보다 높은 계조에 대응하는 변환 영상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현재 프레임의 보정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표시되는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타이밍 컨트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제2 신호 변환부의 동 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은 신호 보상부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구별된다. 상술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타이밍 컨트롤러(201)는, 신호 변환부(211), 메모리(220), 신호 보상부(241), 및 신호 보정부(231)를 포함한다.
신호 변환부(211)는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외부에서 제공된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와, 메모리(220)에서 제공된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의 조합에 대응하는 계조값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현재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는 한 프레임 동안 메모리(220)에 저장되었다가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로 신호 변환부(211) 및 신호 보상부(241)에 전송될 수 있다.
신호 변환부(211)는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에 대응되는 제2 계조(G2)가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에 대응되는 제1 계조(G1)보다 작을 때,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를 제2 계조(G2)보다 큰 제3 계조(G3)에 대응되는 변환 영상 신호(tDATn)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신호 변환부(211)는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가 변환되었음을 알리는 신호, 예를 들어 변환 플래그 신호(FLAG)를 신호 보상부(241)로 전송하여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 호(DATn)의 변환 여부에 따라 신호의 보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변환 플래그 신호(FLAG)는 제2 원시 영상 신호(DAT2)가 제2 변환 영상 신호(tDAT2)로 변환되었을 때, 온(ON)의 상태로 전송될 수 있다.
신호 보상부(241)는 변환 플래그 신호(FLAG)에 따라 메모리(220)로부터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를 제공받아,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를 참조하여 이전 프레임의 보상 영상 신호(ttDATn-1)를 생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에 대응하는 제4 계조(G4)가 이전 프레임의 보상 영상 신호(tDATn-1)에 대응하는 제3 계조(G3)보다 작을 때, 신호 보상부(241)는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를 이용하여 제3 계조(G3)보다 작은 제5 계조(G5)에 대응되는 이전 프레임의 보상 영상 신호(ttDATn-1)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계조(G1)의 제1 변환 영상 신호(tDAT1) 및 제2 계조(G2)의 제2 원시 영상 신호(DAT2)에 따라, 제2 원시 영상 신호(DAT2)를 제3 계조(G3)의 제2 변환 영상 신호(tDAT2)로 변환하고, 제3 원시 영상 신호(DAT3)의 제4 계조(G4)따라 제2 변환 영상 신호(tDAT2)를 제5 계조(G5)의 보상 영상 신호(ttDAT2)로 보상하고, 제5 계조(G5)의 보상 영상 신호(ttDAT2)를 이용하여 제3 원시 영상 신호(DAT3)를 보정하여 제3 보정 영상 신호(DAT3')를 생성할 수 있다.
제4 계조(G4)에 따라,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2)를 보상하여 이전 프레임의 보상 영상 신호(ttDAT2)를 생성하는 것은, 예를 들어, 임의의 기준 계조를 기준으로, 제4 계조(G4)가 기준 계조(Gref)보다 큰 경우와, 제4 계조(G4)가 기준 계조(Gref)보다 작은 경우에 대하여 서로 다른 보상법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원시 영상 신호(DAT3)의 제4 계조(G4)에 따라 둘 이상의 보상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보상 영상 신호(ttDAT2)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제4 계조(G4)에 대응되는 제3 원시 영상 신호(DAT3)와, 제3 계조(G3)에 대응되는 제2 변환 영상 신호(tDAT2)에 대한 보상 영상 신호(ttDAT2)로 적당한 제5 계조(G5)를 실험적으로 구한 예시적인 그래프이다. 범례에 표시된 "255-0, 16, 32-"는 "제1 계조-제2 계조-"를 의미한다. 즉, 제1 계조(G1)가 255이고, 제3 계조(G3)가 0, 16, 및 32일 때, 제4 계조(G4)에 따라 변하는 제5 계조(G5)에 대한 실험값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각각의 꺽은선 그래프는 0 내지 255 계조 중 16개의 계조 단계에 대한 모든 조합을 의미하며, 각 조합에 대하여 제3 원시 영상 신호(DAT3)의 제4 계조(G4)가 달라짐에 따라 보상되어야 하는 제5 계조(G5)를 나타낸다.
실험 대상으로 사용하였던 액정 패널(100)의 경우, 128 계조를 기준으로 산포의 기울기가 서로 다른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영역의 그래프(a)로부터 기울기 A를 가지는 일차식을 도출할 수 있었고, 제2 영역의 그래프(b)로부터 기울기 B를 가지는 일차식을 도출할 수 있었다. 즉, 128 계조를 기준 계조라고 할 때, 제4 계조(G4)가 기준 계조, 예를 들어 128 계조보다 작아 제1 영역에 포함될 경우, 제2 변환 영상 신호(tDAT2)에 하기 보상식 1을 적용하여 보상 영상 신호(ttDAT2)를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계 조(G4)가 기준 계조, 예를 들어 128 계조보다 큰 제2 영역에 포함될 경우, 제2 변환 영상 신호(tDAT2)에 하기 보상식 2을 적용하여 보상 영상 신호(ttDAT2)를 생성할 수 있다. 보상식 1 및 보상식 2는 다음과 같다.
[보상식 1]
Figure 112008088973760-pat00001
[보상식 2]
Figure 112008088973760-pat00002
기준 계조의 설정이나, 보상식은 액정 패널의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것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함은 물론이다.
요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따르면, 액정의 응답 특성을 고려하여, 영상 신호가 고계조에서 저계조로 급감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계조 전이를 포함할 때 제2 원시 영상 신호가 변환된 제2 변환 영상 신호를 보상함으로써,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보상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프레임의 보정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표시되는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타이밍 컨트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 신호 보상부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룩업 테이블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은, 보상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계조 및 제3 원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계조에 따라,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재보정한다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들과 구별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별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앞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타이밍 컨트롤러(202)는, 신호 변환부(211), 메모리(220), 신호 보상부(242), 및 신호 보정부(232)를 포함한다.
신호 변환부(211)는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외부에서 제공된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와, 메모리(220)에서 제공된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의 조합에 대응하는 계조값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현재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는 한 프레임 동안 메모리(220)에 저장되었다가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로 신호 변환부(211) 및 신호 보상부(242)에 전송될 수 있다.
신호 변환부(211)는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에 대응되는 계조가, 이전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1)에 대응되는 계조보다 작고, 이전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1)에 대응되는 계조와의 차이가 제1 기준값보다 크며,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에 대응되는 계조와의 차이가 제2 기준값보다 클 때, 변환 플래그 신호(FLAG)를 신호 보상부(242) 및 신호 보정부(232)로 전송할 수 있다.
신호 보상부(242)는 제1 신호 보상부(245)와 제2 신호 보상부(2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 보상부(245)는 메모리(220)로부터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를 제공받아, 초기 보상 영상 신호(ttDATn-1)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신호 보상부(245)는 생성된 초기 보상 영상 신호(ttDATn-1)를 제2 신호 보상부(246)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 보상부(245)는 도 10의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초기 보상 영상 신호(ttDATn-1)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신호 보상부(246)는, 변환 플래그 신호(FLAG) 및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에 따라 초기 보상 영상 신호(ttDATn-1)를 이용하여 재보상 영상 신호(sttDATn-1)를 생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신호 보상부(246)는 변환 플래그 신호(FLAG)를 제공받아 변환 플래그 신호(FLAG)가 제1 레벨, 예를 들어 ON 신호이고,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에 대응하는 계조와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에 대응하는 계조의 차이가 기준값보다 작을 때, 재보상 영상 신호(sttDATn-1)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신호 보상부(246)에 제공된 초기 보상 영상 신호(ttDATn-1)는, 메모리(220)에 한 프레임 동안 저장되었다가 제1 신호 보상부(245)에 제공된 것으로,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에 대응할 수 있 다. 따라서, 제2 신호 보상부(246)에 제공되는 변환 플래그 신호(FLAG)도, 이전 프레임에 대응하는 신호일 수 있다.
요컨대, 제2 신호 보상부(246)는 변환 플래그 신호(FLAG)가 제1 레벨일 때,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에 대응하는 계조보다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에 대응하는 계조가 낮고,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에 대응하는 계조가 기준 계조보다 작을 경우 초기 보상 영상 신호(ttDATn-1)를 이용하여 재보상 영상 신호(sttDATn-1)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신호 보상부(246)는 생성된 재보상 영상 신호(sttDATn-1)를 제1 신호 보정부(235)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보상 영상 신호(ttDATn-1)를 이용하여 재보상 영상 신호(sttDATn-1)를 생성하는 것은, 하기 보상식 3을 적용할 수 있다.
[보상식 3]
Figure 112008088973760-pat00003
(단, 0 ≤ C ≤1)
신호 보정부(232)는 제1 신호 보정부(235)와 제2 신호 보정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 보정부(235)는 재보상 영상 신호(sttDATn-1)를 제공받아,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초기 보정 영상 신호(aDATn)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신호 보정부(235)는 초기 보정 영상 신호(aDATn)를 제2 신호 보정부(236)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신호 보정부(236)는, 변환 플래그 신호(FLAG) 및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에 따라 초기 보정 영상 신호(aDATn)를 이용하여 재보정 영상 신호(DATn')를 생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신호 보정부(236)는 변환 플래그 신호(FLAG)를 제공받아 변환 플래그 신호(FLAG)가 제1 레벨, 예를 들어 ON 신호이고,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에 대응하는 계조보다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에 대응하는 계조가 낮을 때, 재보정 영상 신호(DATn')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보정 영상 신호(aDATn)를 이용하여 재보정 영상 신호(DATn')를 생성하는 것은, 하기 보정식 4를 적용할 수 있다.
[보정식 4]
Figure 112008088973760-pat00004
(단, 0 ≤ D ≤1)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신호 보정부(236)는, 제2 신호 보상부(246)로부터 재보상 영상 신호(sttDATn-1)를 제공받고, 재보상 영상 신호(sttDATn-1) 및 초기 보정 영상 신호(aDATn)를 이용하여 재보정 영상 신호(DATn')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신호 보정부(236)는, 변환 플래그 신호(FLAG)가 제1 레벨, 즉 ON 신호이고, 이전 프레임의 변환 영상 신호(tDATn-1)에 대응하는 계조보다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에 대응하는 계조가 낮고, 현재 프레임의 원시 영상 신호(DATn)에 대응하는 계조가 기준 계조보다 작을 때, 재보정 영상 신호(DATn')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하는 제1 내지 제4 프레임에 대한 제1 내지 제4 원시 영상 신호(DAT1~DAT4)에서, 제2 내지 제4 원시 영상 신호(DAT2~DAT4)는 각각 제2 계조(G2), 제4 계조(G4), 및 제10 계조(G10)에 대응될 수 있다. 이 때, 제2 계조(G2)가 제1 계조(G1)보다 작고, 제1 계조(G1)와의 차이가 제1 기준값 보다 클 경우, 신호 변환부(211)는 제2 계조(G2)에 대응하는 제2 원시 영상 신호(DAT2)를 이용하여 제3 계조(G3)에 대응하는 제2 변환 영상 신호(tDAT2)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신호 변환부(211)는 제1 레벨의 변환 플래그 신호(FLAG)를 신호 보상부(242) 및 신호 보정부(232)에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2 계조(G2), 제4 계조(G4), 및 제10 계조(G10)가 서로 동일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계조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제3 원시 영상 신호(DAT3)에 대응하는 제4 계조(G4)가 기준 계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신호 보상부(245)는, 상술한 실시예의 신호 보상부(도 5의 241 참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즉, 제4 계조(G4)에 대응하는 제3 원시 영상 신호(DAT3)에 따라, 제3 계조(G3)의 제2 변환 영상 신호(tDAT2)를 이용하여 제5 계조(G5)의 보상 영상 신호(ttDAT2)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원시 영상 신호(DAT2)에 대응하는 제5 계조(G5)의 보상 영상 신호(ttDAT2)를 이용하여, 제1 신호 보정부(235)는 제4 계조(G4)에 대응하는 제3 원시 영상 신호(DAT3)를 제6 계조(G6)에 대응하는 초기 보정 영상 신호(aDAT3)로 보정할 수 있다. 제2 신호 보정부(236)는, 변환 플래그 신호(FLAG)의 신호 레벨 및 제5 계조(G5)의 보상 영상 신호(ttDAT2)와 제4 계조(G4)의 제3 원시 영상 신호(DAT3) 간의 계조차에 따라, 제6 계조(G6)의 초기 보정 영상 신호(aDAT3)를 제7 계조(G7)의 재보정 영상 신호(DAT3')로 보정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앞서 제2 원시 영상 신호(DAT2)에 대응하는 제2 변환 영상 신호(tDAT2)를 생성한 것과 마찬가지로, 제3 원시 영상 신호(DAT3)에 대응하는 제3 변환 영상 신호에 대해서도 제8 계조(G8)의 제3 초기 보상 영상 신호(ttDAT3)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초기 보상 영상 신호(ttDAT3)에 대하여, 변환 플래그 신호(FLAG)가 제1 레벨이고, 제3 원시 영상 신호(DAT3)에 대응되는 제4 계조(G4)와 제2 변환 영상 신호(tDAT2)에 대응되는 제3 계조(G3) 사이의 차이가 기준값보다 클 때, 제2 신호 보상부(246)는 제8 계조(G8)의 제3 초기 보상 영상 신호(ttDAT3)를 제9 계조(G9)의 제3 재보상 영상 신호(sttDAT3)로 보상할 수 있다.
제9 계조(G9)의 제3 재보상 영상 신호(sttDAT3)는 제1 신호 보정부(235)에 제공되고, 제10 계조(G10)에 대응되는 제4 원시 영상 신호(DAT4)를 보정한 제4 보정 영상 신호(DAT4')를 생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4 보정 영상 신호(DAT4')는 제2 보정부(236)를 거치지 않고 액정 패널(100)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제2 신호 보상부에서 재보상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신호 보정부에서 재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액정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이 더욱 안정화될 수 있어 표시 품질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액정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13은 본 발병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타이밍 컨트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은 보정 영상 신호를 제1 서브 영상 신호와 제2 서브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신호 보정부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 구별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액정 표시 장치(12)는 액정 패널(100), 게이트 구동부(300), 데이터 구동부(400), 및 타이밍 컨트롤러(203)를 포함한다.
액정 패널(100)은 다수의 화소(PX)와 다수의 게이트 라인(G1-Gn) 및 다수의 데이터 라인(D1-D2m)을 포함한다.
다수의 게이트 라인(G1-Gn)에는 게이트 구동부(300)로부터 출력된 게이트 온/오프 전압(Von, Voff)이 인가되고, 다수의 데이터 라인(D1-D2m)에는 데이터 구동부(40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전압이 인가된다. 게이트 라인(G1-Gn)은 대략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다수의 데이터 라인(D1-D2m)은 각 화소 열당 2개씩 구비되어 대략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하나의 화소(PX)는 제1 서브 화소(410)와 제2 서브 화 소(420)를 포함한다. 제1 서브 화소(410)와 제2 서브 화소(420)는 제1 화소 전극(411) 및 제2 화소 전극(421)이 형성된 제1 기판(130)과, 공통 전극(CE) 및 컬러 필터(CF)가 형성된 제2 기판(140)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Dj, Dj+1)과 게이트 라인(Gi)이 구비된다.
하나의 화소(PX)에는 각각 서로 다른 제1 데이터 전압과 제2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데, 제1 데이터 전압은 도 8의 타이밍 컨트롤러(203) 가 출력한 제1 서브 영상 신호(HDATn')에 대응하는 전압이고, 제2 데이터 전압은 제2 서브 영상 신호(LDATn')에 대응하는 전압이다. 여기서, 제1 데이터 전압은 제2 데이터 전압보다 크다.
제1 서브 화소(410)는 게이트 온 전압에 인에이블 되어 제1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제1 스위칭 소자(Q1)와, 제1 데이터 전압이 충전되는 제1 커패시터(C1)를 포함한다. 제2 서브 화소(420)는 게이트 온 전압에 인에이블 되어 제2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제2 스위칭 소자(Q2)와, 제2 데이터 전압이 충전되는 제2 커패시터(C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화소 전극(411)과, 제2 화소 전극(421)의 형상은 도 1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타이밍 컨트롤러(203)는 원시 영상 신호(DATn)를 입력받고, 제1 서브 영상 신호(HDATn')와, 제2 서브 영상 신호(LDATn')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제1 서브 영상 신호(HDATn')와, 제2 서브 영상 신호(LDATn')는 원시 영상 신호(DATn)에 대응하는 보정 영상 신호(DATn')를 제2 보정하여 출력된 신호이다. 이러한 타이밍 컨트롤러(203)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살펴본다.
도 13을 참조하면, 타이밍 컨트롤러(203)는 신호 변환부(211), 신호 보상부(243), 메모리(220), DCC 보정부(233), 및 ACC 신호 보정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2)의 신호 변환부(211), 신호 보상부(243), 메모리(220), 및 DCC 보정부(23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ACC 보정부(253)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ACC 보정부(253)는 DCC 보정부(233)로부터 현재 프레임의 보정 영상 신호(DATn')를 제공받아, 보정 영상 신호(DATn')를 보정 영상 신호(DATn')의 계조보다 높은 계조에 대응하는 제1 서브 영상 신호(HDATn')와, 보정 영상 신호(DATn')의 계조보다 낮은 계조에 대응하는 제2 서브 영상 신호(LDATn')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ACC 보정부(253)는 색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ACC(Adapted Color Correction) 보정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따르면, 액정의 응답 속도를 고려하여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계조를 보정함으로써 액정 패널의 표시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정 영상 신호를 제1 서브 영상 신호와, 제2 서브 영상 신호로 구분하여 제공함으로써 색 특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타이밍 컨트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타이밍 컨트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제2 신호 변환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타이밍 컨트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 신호 보상부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룩업 테이블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액정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13은 본 발병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타이밍 컨트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2: 액정 표시 장치 110, 130: 제1 표시판
120, 140: 제2 표시판 150: 액정층
200, 201, 202, 203: 타이밍 컨트롤러
210, 211: 신호 변환부 220: 메모리
230, 231, 232: 신호 보정부 233: DCC 보정부
235: 제1 신호 보정부 236: 제2 신호 보정부
241, 242: 신호 보상부 245: 제1 신호 보상부
246: 제2 신호 보상부 253: ACC 보정부
300: 게이트 드라이버 400: 데이터 드라이버
410: 제1 서브 화소 411: 제1 화소 전극
420: 제2 서브 화소 421: 제2 화소 전극
500: 계조 전압 발생부

Claims (20)

  1. 연속되는 제1 내지 제3 프레임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공받아, 제1 내지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1 계조에 대응하는 제1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가 상기 제1 계조보다 작은 제2 계조에 대응될 때,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계조보다 큰 제3 계조에 대응되는 제2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변환 영상 신호와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3 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조는 기준 계조보다 크고, 상기 제2 계조는 기준 계조보다 작은 액정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는 제4 계조에 대응되고,
    상기 제2 계조는 상기 제4 계조보다 작은 액정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3 계조보다 작은 제5 계조에 대응되는 초기 보상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초기 보상 영상 신호와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는 제4 계조에 대응되고,
    상기 제4 계조가 상기 제3 계조보다 작을 때,
    상기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제5 계조에 대응되는 초기 보상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5 계조보다 작은 제6 계조에 대응되는 재보상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재보상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는 제4 계조에 대응되고,
    상기 제4 계조가 상기 제3 계조보다 작을 때,
    상기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초기 보상 영상 신호와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3 초기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초기 보정 영상 신호와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초기 보정 영상 신호를 재보정 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는 제4 계조에 대응되고,
    상기 제4 계조가 기준 계조보다 클 때 제1 보상식을 이용하여 상기 초기 보상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4 계조가 상기 기준 계조보다 작을 때 상기 제1 보상식과 다른 제2 보상식을 이용하여 상기 초기 보상 영상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제1 보상식은,
    Figure 112015064338914-pat00018
    이고,
    상기 제2 보상식은,
    Figure 112015064338914-pat00019
    인 액정 표시 장치.
    (G3=3계조, G4=4계조, G5=5계조, A, B는 기준 계조를 기준으로 산포의 기울기가 서로 다른 영역 각각의 기울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보정 영상 신호 각각은,
    상기 각 보정 영상 신호보다 높은 계조를 가지는 제1 서브 영상 신호와, 상기 각 보정 영상 신호보다 낮은 계조를 가지는 제2 서브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는 제4 계조에 대응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변환 영상 신호와,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의 조합에 대응하는 다수의 계조값을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룩업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4 계조를 제공받아 상기 제2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의 상기 각 계조값은,
    상기 액정 패널이 상기 제1 변환 영상 신호에서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로 전이될 때, 한 프레임의 시간 동안 상기 액정 패널이 도달한 계조값을 측정한 실험값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연속되는 제1 내지 제3 프레임에 각각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공받아, 제1 내지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되, 상기 제3 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3 보정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1 계조에 대응하는 제1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가 상기 제1 계조보다 작은 제2 계조에 대응될 때,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계조보다 큰 제3 계조에 대응되는 제2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변환 영상 신호와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하고,
    액정 패널 상에 상기 제1 내지 제3 보정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조는 기준 계조보다 크고, 상기 제2 계조는 기준 계조보다 작은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는 제4 계조에 대응되고,
    상기 제2 계조는 상기 제4 계조보다 작은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제2 변환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3 계조보다 작은 제5 계조에 대응되는 초기 보상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초기 보상 영상 신호와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는 제4 계조에 대응되고,
    상기 제4 계조가 상기 제3 계조보다 작을 때,
    상기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제5 계조에 대응되는 초기 보상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5 계조보다 작은 제6 계조에 대응되는 재보상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재보상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는 제4 계조에 대응되고,
    상기 제4 계조가 상기 제3 계조보다 작을 때,
    상기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초기 보상 영상 신호와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3 초기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초기 보정 영상 신호와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초기 보정 영상 신호를 재보정 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는 제4 계조에 대응되고,
    상기 제4 계조가 기준 계조보다 클 때 제1 보상식을 이용하여 상기 초기 보상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4 계조가 상기 기준 계조보다 작을 때 상기 제1 보상식과 다른 제2 보상식을 이용하여 상기 초기 보상 영상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제1 보상식은,
    Figure 112015064338914-pat00020
    이고,
    상기 제2 보상식은,
    Figure 112015064338914-pat00021
    인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G3=3계조, G4=4계조, G5=5계조, A, B는 기준 계조를 기준으로 산포의 기울기가 서로 다른 영역 각각의 기울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보정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각 보정 영상 신호보다 높은 계조를 가지는 제1 서브 영상 신호와, 상기 각 보정 영상 신호보다 낮은 계조를 가지는 제2 서브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 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는 제4 계조에 대응되고,
    상기 제2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제1 원시 영상 신호의 제1 변환 영상 신호와,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의 조합에 대응하는 다수의 계조값을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4 계조를 제공받아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변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의 상기 각 계조값은,
    상기 액정 패널이 상기 제1 변환 영상 신호에서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로 전이될 때, 한 프레임의 시간 동안 상기 액정 패널이 도달한 계조값을 측정한 실험값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080133745A 2008-12-24 2008-12-24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600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745A KR101600442B1 (ko) 2008-12-24 2008-12-24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2/503,454 US8674922B2 (en) 2008-12-24 2009-07-15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EP09011359A EP2202719A3 (en) 2008-12-24 2009-09-04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09210027A JP5639751B2 (ja) 2008-12-24 2009-09-11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CN200910180038.0A CN101763833B (zh) 2008-12-24 2009-10-23 液晶显示器及其驱动方法
US14/165,037 US8810496B2 (en) 2008-12-24 2014-01-27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745A KR101600442B1 (ko) 2008-12-24 2008-12-24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123A KR20100075123A (ko) 2010-07-02
KR101600442B1 true KR101600442B1 (ko) 2016-03-08

Family

ID=42040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745A KR101600442B1 (ko) 2008-12-24 2008-12-24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674922B2 (ko)
EP (1) EP2202719A3 (ko)
JP (1) JP5639751B2 (ko)
KR (1) KR101600442B1 (ko)
CN (1) CN1017638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419B1 (ko) * 2010-11-22 2017-09-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보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KR20140037309A (ko) * 2012-09-13 2014-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압축 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60542B1 (ko) * 2013-05-21 2019-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신호 보정 장치 및 영상 신호 보정 방법
JP2015125245A (ja) * 2013-12-26 2015-07-06 シナプティクス・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合同会社 液晶表示装置、液晶ドライバ、及び、液晶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KR20160031606A (ko) 2014-09-12 2016-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안 기능을 구비한 표시 장치
CN107293262B (zh) * 2016-03-31 2019-10-18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用于驱动显示屏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显示装置
KR102519427B1 (ko) * 2018-10-05 2023-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 제어부,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102580221B1 (ko) * 2018-12-04 2023-09-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JPWO2020262452A1 (ko) 2019-06-25 2020-12-30
WO2020262451A1 (ja) 2019-06-25 2020-12-30 学校法人立教学院 テレフタル酸系配位子を有する金属有機構造体
JPWO2021117741A1 (ko) 2019-12-11 2021-06-17
CN115151523A (zh) 2020-02-27 2022-10-04 学校法人立教学院 将具有三联苯骨架的羧酸根离子作为配体的金属有机结构体
WO2022150347A1 (en) * 2021-01-05 2022-07-14 Google Llc Subsurface display interfa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7531A (ja) 2003-09-30 2005-04-21 Sharp Corp ディスプレイに画像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2007219474A (ja) 2006-02-17 2007-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データ処理装置、この駆動方法、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5676B2 (ja) 2003-03-19 2010-03-03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液晶表示装置の駆動装置、液晶テレビ、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EP2372687B1 (en) * 2003-04-07 2016-04-06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964566B1 (ko) * 2003-09-29 2010-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060120899A (ko) 2005-05-23 200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장치
KR20070084902A (ko) * 2006-02-22 2007-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계조 레벨 설정 방법
WO2007108436A1 (ja) 2006-03-20 2007-09-27 Sharp Kabushiki Kaisha 液晶表示装置
KR101254030B1 (ko) * 2006-06-27 2013-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JP2008039816A (ja) 2006-08-01 2008-02-21 Sharp Corp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7531A (ja) 2003-09-30 2005-04-21 Sharp Corp ディスプレイに画像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2007219474A (ja) 2006-02-17 2007-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データ処理装置、この駆動方法、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10496B2 (en) 2014-08-19
JP5639751B2 (ja) 2014-12-10
KR20100075123A (ko) 2010-07-02
EP2202719A3 (en) 2010-08-25
EP2202719A2 (en) 2010-06-30
CN101763833A (zh) 2010-06-30
CN101763833B (zh) 2014-01-22
JP2010152320A (ja) 2010-07-08
US8674922B2 (en) 2014-03-18
US20100156949A1 (en) 2010-06-24
US20140139563A1 (en) 201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442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544843B1 (ko) 표시 장치와 그 구동 방법
US958954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070707B1 (ko) 표시 장치
KR102340326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100134384A1 (en) Multi-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5319897B2 (ja) 表示装置とそれ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JP4523348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773419B1 (ko) 데이터 보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US871107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230302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영상 신호 보정 방법
KR20150139101A (ko) 픽셀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채용한 표시 시스템
KR101323469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0964566B1 (ko)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방법
US9997113B2 (en) Display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ight source luminance of each display area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587913B1 (ko) 영상 신호 보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
KR101443390B1 (ko) 데이터 변조 방법,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461034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830603B1 (ko) 평판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90099668A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10151315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951909B1 (ko)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KR101432568B1 (ko) 2도트 인버젼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090052237A (ko) 액정표시장치의 오버드라이빙 회로 및 방법
KR20060119267A (ko)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