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303B1 -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303B1
KR101598303B1 KR1020140171970A KR20140171970A KR101598303B1 KR 101598303 B1 KR101598303 B1 KR 101598303B1 KR 1020140171970 A KR1020140171970 A KR 1020140171970A KR 20140171970 A KR20140171970 A KR 20140171970A KR 101598303 B1 KR101598303 B1 KR 101598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rrugated steel
steel plate
data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1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주
조준식
김태수
윤주용
강형택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40171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7/00Tracing profiles
    • G01C7/06Tracing profiles of cavities, e.g. tu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파형강판(C)의 하부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식별 마커(T), 이동되는 본체(B)에 구비되어 식별 마커(T)에 대한 영상을 입력받아 이미지 추출에 의한 변위측정의 기준 영역을 생성하기 위한 기준영역 생성부(10), 파형강판(C)에 대하여 레이저광(L)을 조사하여 조사면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부(20), 및 거리 측정부(20)에 의하여 연속 측정된 파형강판(C)에 대한 거리(D10, D11, D12,..., Dn1-1, Dnn)로부터 주기적인 첨점거리에 관한 첨점 데이터(D_peak)로 이루어진 클라우드를 추출하여 그에 대한 선형 데이터(D_lin)를 생성하여 추출하기 위한 선형프레임 추출부(30)로 이루어지는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 for culvert of corrugated steel plate}
본 발명은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진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진 암거의 변위측정에 필요한 타켓을 최소로 설치하여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다중 입체를 위하여 도로와 관련하여 터널이나 암거의 설치가 보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그 중에서 시공의 편리성으로 인하여 파형강판을 이용한 암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파형강판은 지반의 침하나 하중으로 인하여 지속적인 변위를 측정할 필요성이 있다.
파형 강판으로 이루어진 암거의 변위를 측정하여 사전에 안전 사고를 방지하고자 육안으로 관찰하여 관리하고 있으나, 작업의 주관적 판단이나 정밀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타켓을 암거에 설치한 후에 타켓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돌아오는 레이저광의 거리를 측정하여 변위를 측정하는 기술이 특허공개공보 제10-2011-0088201호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공개공보 제10-2011-0088201호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T)에 지지플레이트(100)로 고정된 타켓(200)을 설치한 후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변위를 측정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 의하여 변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반드시 타켓을 암거나 터널의 전체적으로 설치해야 하며, 더욱이 암거나 터널의 천정 주위의 모든 면에 걸쳐 타켓의 설치에 따른 암거나 터널의 사용제한 기간이 긴 문제점과 미관상에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드시 타켓을 정조준하여 변위를 조정해야 하기 때문에 타켓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가지고 레이저를 조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진 암거에 대한 변위측정시 필요한 타켓의 소요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켓에 대하여 반드시 레이저 조사를 할 필요없이 파형강판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진 암거의 변위측정시 신속하게 변위측정과 그에 따른 구조해석이 이루어질 수 있는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파형강판(C)의 하부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식별 마커(T), 이동되는 본체(B)에 구비되어 식별 마커(T)에 대한 영상을 입력받아 이미지 추출에 의한 변위측정의 기준 영역을 생성하기 위한 기준영역 생성부(10), 파형강판(C)에 대하여 레이저광(L)을 조사하여 조사면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부(20), 및 거리 측정부(20)에 의하여 연속 측정된 파형강판(C)에 대한 거리(D10, D11, D12,..., Dn1-1, Dnn)로부터 주기적인 첨점거리에 관한 첨점 데이터(D_peak)로 이루어진 클라우드를 추출하여 그에 대한 선형 데이터(D_lin)를 생성하여 추출하기 위한 선형프레임 추출부(30)로 이루어지는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선형프레임 추출부(30)에 의하여 추출된 선형 데이터(D_lin)에 대하여 기준영역 생성부(10)에 의하여 생성되는 기준 영역을 연속하여 전개하여 파형강판(C)의 전체 면에 대한 하중과 응력에 관한 데이터(D_los)를 생성하며 그에 대한 구조해석 알고리즘에 의하여 열화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구조 해석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별 마커(T)는 파형강판(C)의 양단부를 지면에 매립하기 위하여 암거 내부의 도로(R)의 양측에 돌설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준영역 생성부(10)는 식별 마커(T)의 이미지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력부(12)와, 영상 입력부(12)에 의하여 입력된 식별 마커(T)의 이미지로부터 식별 마커(T)를 식별하여 식별 마커(T)로 인식된 영역에 해당하는 기준영역을 생성하기 위한 마커 식별부(1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별 마커(T)에는 다면의 형상을 가진 3차원 형상의 아이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커 식별부(14)는, 식별 마커(T)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2차원의 이미지로 입력될 때를 기준으로 변위측정의 기준영역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리 측정부(20)는 파형강판(C)에 대하여 레이저광(L)을 조사하여 수신하기 위한 레이저 송수신부(22)와, 레이저 송수신부(22)에 의하여 수신되는 레이저광(L)의 송수신 시간에 대한 결과로부터 조사된 파형강판(C)에 대한 거리를 연산하기 위한 거리 연산부(2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형프레임 추출부(30)는 거리 측정부(20)에 의하여 연속 측정되는 파형강판(C)에 대한 거리(D10, D11, D12,..., Dn1-1, Dnn)로부터 주기적인 첨점거리에 관한 불연속적인 데이터를 이루는 첨점 데이터(D_peak)로 이루어진 클라우드를 추출하기 위한 클라우드 추출부(32)와, 클라우드 추출부(32)에 의하여 추출된 첨점 데이터(D_peak)로부터 얻어지는 각 첨점에 대한 불연속적인 3차원 좌표에 대하여 인접하는 3차원 좌표를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3차원 매핑(mapping)이 이루어지도록 연속되는 선형(p1, p2,..., pn)이 형성되도록 하는 선형 데이터(D_lin)를 생성하기 위한 선형데이터 생성부(3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형프레임 추출부(30)의 클라우드 추출부(32)는 거리 측정부(20)에 의하여 연속 측정되는 파형강판(C)에 대한 거리(D10, D11, D12,..., Dn1-1, Dnn)에 관한 데이터 중에서 주기적으로 연속되는 최단 거리에 해당하는 첨점(P)의 철부(P1, P2,..., Pn)의 위치에 관한 첨점 데이터(D_peak)로 이루어진 클라우드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형프레임 추출부(30)의 클라우드 추출부(32)에 의하면, 도로(R) 면으로부터 정상적인 파형강판(C)의 첨점(P)까지의 거리 D0에 비하여 작은 거리인 파형강판(C)의 요부(Q1, Q2,.., Qn)와 철부(P1, P2,..., Pn) 사이의 거리를 d(D0>>d)라 할 때, 거리 측정부(20)에 의하여 측정되는 파형강판(C)까지의 연속 측정 거리(D10, D11, D12,.., Dn0, Dn1, Dn2,..) 중에서 최단 주기적 거리(D10=D1, D20=D2,.., Dn0=Dn)로 이루어진 클라우드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라우드 추출부(32)는 주기적인 함수를 적용하여 최단 주기적 거리(D10=D1, D20=D2,.., Dn0=Dn)로 이루어진 클라우드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파형강판(C)의 하부 내측에 고정된 식별 마커(T)의 이미지를 입력받아 식별 마커(T)를 식별하여 변위 측정의 기준영역을 생성하는 단계(제1 단계), 파형강판(C)에 대한 레이저조사로 인한 파형강판(C)의 연속거리 측정하는 단계(제2 단계), 및 파형강판(C)까지의 연속 측정 거리(D10, D11, D12,.., Dn0, Dn1, Dn2,..)에 관한 데이터 중에서 주기적으로 연속되는 최단 거리에 해당하는 첨점(P)의 철부(P1, P2,..., Pn)의 위치에 관한 첨점 데이터(D_peak)로 이루어진 클라우드를 추출하는 단계(제3 단계)를 포함하는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진 암거에 대한 변위측정시 필요한 타켓의 소요량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켓에 대하여 반드시 레이저 조사를 할 필요없이 파형강판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으며,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진 암거의 변위측정시 신속하게 변위측정과 그에 따른 구조해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타켓을 이용한 터널의 변위 측정에 관한 종래 기술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정상상태의 파형강판에 조사된 레이저와 클라우드의 생성관계를 도 2의 AA 단면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비정상상태의 파형강판에 조사된 레이저와 클라우드의 생성관계를 도 2의 AA 단면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정상상태의 파형강판에 조사된 레이저와 클라우드의 생성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비정상상태의 파형강판에 조사된 레이저와 클라우드의 생성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은 이동되는 본체(B)에 구비되어 파형강판(C)의 하부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식별 마커(T)에 대한 영상을 입력받아 이미지 추출에 의한 변위측정의 기준 영역을 생성하기 위한 기준영역 생성부(10), 파형강판(C)에 대하여 레이저광(L)을 조사하여 조사면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부(20), 거리 측정부(20)에 의하여 연속 측정된 파형강판(C)에 대한 거리(D10, D11, D12,..., Dn1-1, Dnn)로부터 주기적인 첨점거리에 관한 첨점 데이터(D_peak)로 이루어진 클라우드를 추출하여 그에 대한 선형 데이터(D_lin)를 생성하여 추출하기 위한 선형프레임 추출부(30), 및 선형프레임 추출부(30)에 의하여 추출된 선형 데이터(D_lin)에 대하여 기준영역 생성부(10)에 의하여 생성되는 기준 영역을 연속하여 전개하여 파형강판(C)의 전체 면에 대한 하중과 응력에 관한 데이터(D_los)를 생성하며 그에 대한 구조해석에 의하여 열화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구조 해석부(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식별 마커(T)는 파형강판(C)의 하부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다. 이 때, 식별 마커(T)는 파형강판(C)의 양단부를 지면에 매립하기 위하여 암거 내부의 도로(R)의 양측에 돌설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식별 마커(T)가 파형강판(C)의 양단부를 지면에 매립하기 위하여 암거 내부의 도로(R)의 양측에 돌설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형강판(C)이 하중에 의하여 변형되더라도 식별 마커(T)의 위치는 변하지 않게 된다.
기준영역 생성부(10)는 식별 마커(T)의 이미지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력부(12)와, 영상 입력부(12)에 의하여 입력된 식별 마커(T)의 이미지로부터 식별 마커(T)를 식별하여 식별 마커(T)로 인식된 영역에 해당하는 기준영역을 생성하기 위한 마커 식별부(14)로 이루어진다.
한편, 식별 마커(T)에는 다면의 형상을 가진 3차원 형상의 아이콘으로 이루어진다. 식별 마커(T)가 다면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영상 입력부(12)에 의하여 입력되는 식별 마커(T)의 이미지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2차원의 이미지로 입력될 때를 기준으로 마커 식별부(14)는 변위측정의 기준영역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식별 마커(T)가 다면의 형상을 가진 3차원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본체(B)가 이동하면서 거리 측정부(20)에 의하여 파형강판(C)에 대한 거리를 연속 측정되더라도 각 식별 마커(T)에 의한 변위측정의 기준영역이 일정 단위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식별 마커(T)는 파형강판(C)의 하부 내측에 대향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식별 마커(T)가 좌우 대칭으로 파형강판(C)의 하부 내측에 구비됨으로써 본체(B)가 도로(R) 상에서 이동될 때 한 쌍의 식별 마커(T)로 인하여 경로의 이탈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데이터의 획득이 가능하다. 이 때 영상 입력부(12)도 본체(B)의 좌우측에 한 쌍으로 구비된다.
거리 측정부(20)는 파형강판(C)에 대하여 레이저광(L)을 조사하여 수신하기 위한 레이저 송수신부(22)와, 레이저 송수신부(22)에 의하여 수신되는 레이저광(L)의 송수신 시간에 대한 결과로부터 조사된 파형강판(C)에 대한 거리를 연산하기 위한 거리 연산부(24)로 이루어진다.
선형프레임 추출부(30)는 거리 측정부(20)에 의하여 연속 측정되는 파형강판(C)에 대한 거리(D10, D11, D12,..., Dn1-1, Dnn)로부터 주기적인 첨점거리에 관한 불연속적인 데이터를 이루는 첨점 데이터(D_peak)로 이루어진 클라우드를 추출하기 위한 클라우드 추출부(32)와, 클라우드 추출부(32)에 의하여 추출된 첨점 데이터(D_peak)로부터 얻어지는 각 첨점에 대한 불연속적인 3차원 좌표에 대하여 인접하는 3차원 좌표를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3차원 매핑(mapping)이 이루어지도록 연속되는 선형(p1, p2,..., pn; 도 4a와 도 4b 참조)이 형성되도록 하는 선형 데이터(D_lin)를 생성하기 위한 선형데이터 생성부(34)로 이루어진다.
선형프레임 추출부(30)의 클라우드 추출부(32)는 거리 측정부(20)에 의하여 연속 측정되는 파형강판(C)에 대한 거리(D10, D11, D12,..., Dn1-1, Dnn)에 관한 데이터 중에서 주기적으로 연속되는 최단 거리에 해당하는 첨점(P)의 철부(P1, P2,..., Pn; 도 3a와 도 3b 참조)의 위치에 관한 첨점 데이터(D_peak)로 이루어진 클라우드를 추출한다.
즉, 선형프레임 추출부(30)의 클라우드 추출부(32)에 의하면, 도로(R) 면으로부터 정상적인 파형강판(C)의 첨점(P)까지의 거리 D0에 비하여 매우 작은 거리인 파형강판(C)의 요부(Q1, Q2,.., Qn; 도 3a와 도 3b 참조)와 철부(P1, P2,..., Pn; 도 3a와 도 3b 참조) 사이의 거리를 d(D0>>d)라 할 때, 거리 측정부(20)에 의하여 측정되는 파형강판(C)까지의 연속 측정 거리,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10, D11, D12,.., Dn0, Dn1, Dn2,..'중에서 최단 주기적 거리인 'D10=D1, D20=D2,.., Dn0=Dn'로 이루어진 클라우드를 추출한다. 이 때, 클라우드 추출부(32)는 주기적인 함수, 예를 들면 sin함수를 적용하여 최단 주기적 거리인 'D10=D1, D20=D2,.., Dn0=Dn'로 이루어진 클라우드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선형프레임 추출부(30)의 클라우드 추출부(32)는 주기적인 첨점거리에 관한 첨점 데이터(D_peak)로 이루어진 클라우드를 추출하며, 그에 따라 레이저 송수신부(22)에 레이저광(L)의 송수신시 일시적인 장애물 있거나 파형강판(C)의 철부에 사선으로 입사되어 음영의 데이터가 발생되더라도, 음영 데이터가 발생되는 위치에 대하여 이와 인접하는 비음영지대의 위치에서 주기적으로 얻어지는 첨점 데이터들 사이의 3차원 좌표의 기울기 변화를 통하여 주기적인 최단 거리의 데이터를 의사적(疑思的)으로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선형프레임 추출부(30)의 선형데이터 생성부(34)는 신속하고 정밀하게 파형강판(C)에 대한 첨점 데이터(D_peak)로부터 연속되는 선형(p1, p2,..., pn)이 형성되도록 하는 선형 데이터(D_lin)를 생성할 수 있다.
구조 해석부(40)는 선형프레임 추출부(30)에 의하여 추출된 선형 데이터(D_lin)에 대하여 기준영역 생성부(10)에 의하여 생성되는 기준 영역을 연속하여 전개하여 파형강판(C)의 전체 면에 대한 하중과 응력에 관한 데이터(D_los)를 생성하기 위한 라이브러리부(42)와, 라이브러리부(42)에 의하여 생성된 하중과 응력에 관한 데이터(D_los)의 구조해석의 알고리즘에 의하여 열화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열화 판별부(44)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식별 마커(T)를 파형강판(C)의 하부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만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변위 측정을 위한 식별 마커를 파형강판(C)의 전체 영역에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변위 측정의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송수신부(22)에 레이저광(L)의 송수신시 일시적인 장애물 있거나 파형강판(C)의 철부에 사선으로 입사되어 음영의 데이터가 발생되더라도, 음영 데이터가 발생되는 위치에 대하여 이와 인접하는 비음영지대의 위치에서 주기적으로 얻어지는 첨점 데이터들 사이의 3차원 좌표의 기울기 변화를 통하여 주기적인 최단 거리의 데이터를 의사적(疑思的)으로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최단 측정 거리로 이루어진 클라우드를 추출하여 파형강판(C)의 선형을 재생성함으로써 장애물이나 음영에 의한 데이터 오류 없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형강판(C)의 구조해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구축하여 열화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10: 기준영역 생성부
12: 영상 입력부
14: 마커 식별부
20: 거리 측정부
22: 레이저 송수신부
24: 거리 연산부
30: 선형프레임 추출부
32: 클라우드 추출부
34: 선형데이터 생성부
40: 구조 해석부
42: 라이브러리부
44: 열화 판별부
B: 본체
C: 파형강판
I: 이미지 광로
L: 레이저광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파형강판(C)의 하부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식별 마커(T);
    이동되는 본체(B)에 구비되어 식별 마커(T)에 대한 영상을 입력받아 이미지 추출에 의한 변위측정의 기준 영역을 생성하기 위한 기준영역 생성부(10);
    파형강판(C)에 대하여 레이저광(L)을 조사하여 조사면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부(20); 및
    거리 측정부(20)에 의하여 연속 측정된 파형강판(C)에 대한 거리(D10, D11, D12,..., Dn1-1, Dnn)로부터 주기적인 첨점거리에 관한 첨점 데이터(D_peak)로 이루어진 클라우드를 추출하여 그에 대한 선형 데이터(D_lin)를 생성하여 추출하기 위한 선형프레임 추출부(30)로 이루어지며,
    선형프레임 추출부(30)에 의하여 추출된 선형 데이터(D_lin)에 대하여 기준영역 생성부(10)에 의하여 생성되는 기준 영역을 연속하여 전개하여 파형강판(C)의 전체 면에 대한 하중과 응력에 관한 데이터(D_los)를 생성하며 그에 대한 구조해석 알고리즘에 의하여 열화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구조 해석부(40)를 더 포함하며,
    기준영역 생성부(10)는 식별 마커(T)의 이미지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력부(12)와, 영상 입력부(12)에 의하여 입력된 식별 마커(T)의 이미지로부터 식별 마커(T)를 식별하여 식별 마커(T)로 인식된 영역에 해당하는 기준영역을 생성하기 위한 마커 식별부(14)로 이루어지며,
    거리 측정부(20)는 파형강판(C)에 대하여 레이저광(L)을 조사하여 수신하기 위한 레이저 송수신부(22)와, 레이저 송수신부(22)에 의하여 수신되는 레이저광(L)의 송수신 시간에 대한 결과로부터 조사된 파형강판(C)에 대한 거리를 연산하기 위한 거리 연산부(24)로 이루어지며,
    선형프레임 추출부(30)는 거리 측정부(20)에 의하여 연속 측정되는 파형강판(C)에 대한 거리(D10, D11, D12,..., Dn1-1, Dnn)로부터 주기적인 첨점거리에 관한 불연속적인 데이터를 이루는 첨점 데이터(D_peak)로 이루어진 클라우드를 추출하기 위한 클라우드 추출부(32)와, 클라우드 추출부(32)에 의하여 추출된 첨점 데이터(D_peak)로부터 얻어지는 각 첨점에 대한 불연속적인 3차원 좌표에 대하여 인접하는 3차원 좌표를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3차원 매핑(mapping)이 이루어지도록 연속되는 선형(p1, p2,..., pn)이 형성되도록 하는 선형 데이터(D_lin)를 생성하기 위한 선형데이터 생성부(34)로 이루어지며,
    선형프레임 추출부(30)의 클라우드 추출부(32)는 거리 측정부(20)에 의하여 연속 측정되는 파형강판(C)에 대한 거리(D10, D11, D12,..., Dn1-1, Dnn)에 관한 데이터 중에서 주기적으로 연속되는 최단 거리에 해당하는 첨점(P)의 철부(P1, P2,..., Pn)의 위치에 관한 첨점 데이터(D_peak)로 이루어진 클라우드를 추출하며,
    클라우드 추출부(32)는 주기적인 함수를 적용하여 최단 주기적 거리(D10=D1, D20=D2,.., Dn0=Dn)로 이루어진 클라우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본체는 구동부에 의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식별 마커(T)는 파형강판(C)의 하부 내측에 대향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기준영역 생성부(10)의 영상 입력부(12)는 본체(B)의 좌우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40171970A 2014-12-03 2014-12-03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 KR101598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1970A KR101598303B1 (ko) 2014-12-03 2014-12-03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1970A KR101598303B1 (ko) 2014-12-03 2014-12-03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303B1 true KR101598303B1 (ko) 2016-02-29

Family

ID=55448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1970A KR101598303B1 (ko) 2014-12-03 2014-12-03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3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3918A (zh) * 2017-08-17 2017-12-12 武汉大学 基于激光点云与影像数据融合的车道线提取方法
TWI641807B (zh) * 2017-06-21 2018-11-21 亞亞科技股份有限公司 Steel plate inspection machine
CN109269434A (zh) * 2018-10-23 2019-01-25 四川大学 一种直贴式岩壁变形激光扫描系统及其使用方法
CN117288115A (zh) * 2023-11-23 2023-12-26 中信重工开诚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基于激光点云的巡检机器人巷道形变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1651A (ja) * 1999-07-06 2001-01-26 Hitachi Engineering & Services Co Ltd トンネル内壁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2001124546A (ja) * 1999-10-27 2001-05-11 Nishimatsu Constr Co Ltd トンネル坑内の写真測量方法及びトンネル坑内の写真測量システム
KR20060033108A (ko) * 2004-10-14 2006-04-19 한국토지공사 연성관의 변형량 측정장치
KR20130126260A (ko) * 2012-05-11 2013-11-20 한국도로공사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1651A (ja) * 1999-07-06 2001-01-26 Hitachi Engineering & Services Co Ltd トンネル内壁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2001124546A (ja) * 1999-10-27 2001-05-11 Nishimatsu Constr Co Ltd トンネル坑内の写真測量方法及びトンネル坑内の写真測量システム
KR20060033108A (ko) * 2004-10-14 2006-04-19 한국토지공사 연성관의 변형량 측정장치
KR20130126260A (ko) * 2012-05-11 2013-11-20 한국도로공사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41807B (zh) * 2017-06-21 2018-11-21 亞亞科技股份有限公司 Steel plate inspection machine
CN107463918A (zh) * 2017-08-17 2017-12-12 武汉大学 基于激光点云与影像数据融合的车道线提取方法
CN107463918B (zh) * 2017-08-17 2020-04-24 武汉大学 基于激光点云与影像数据融合的车道线提取方法
CN109269434A (zh) * 2018-10-23 2019-01-25 四川大学 一种直贴式岩壁变形激光扫描系统及其使用方法
CN109269434B (zh) * 2018-10-23 2020-02-07 四川大学 一种直贴式岩壁变形激光扫描系统及其使用方法
CN117288115A (zh) * 2023-11-23 2023-12-26 中信重工开诚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基于激光点云的巡检机器人巷道形变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303B1 (ko)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
JP6381100B2 (ja) 3次元路面下診断システムおよび3次元路面下診断方法
CN109522804B (zh) 一种道路边沿识别方法及系统
Tuckey An integrated field mapping-numerical modelling approach to characterising discontinuity persistence and intact rock bridges in large open pit slopes
EP2984233B1 (en) Automatic track alignment control kit and method for automated track alignment
CN101416025B (zh) 扫描场景的方法和相应的扫描装置
KR20160121452A (ko) 철도 시설물 정보 생성 시스템 및 방법
US1167157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e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a plurality of captured images of a traveling surface where a moveable apparatus travels
CN102359780A (zh) 一种应用于视频监控系统中的定位地面目标的方法
JP6412658B2 (ja) 点検計画立案支援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9059879A (zh) 一种定曲率小口径曲线顶管的导向方法
CN105136134A (zh) 一种掘进机位姿检测调整方法及系统
CN111060022B (zh) 一种盾构下穿结构物形变的激光自动化分析系统及方法
JP7144993B2 (ja) 三次元地図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6050876A (ja) 打音検査記録装置
JP6451858B2 (ja) 段差検出装置及び段差検出方法
JP6524527B2 (ja) 計測システム、計測処理装置及び計測方法
KR102207792B1 (ko) 지중 구조물의 3차원 모델링 장치 및 그 방법
JP5451457B2 (ja) 3次元モデル生成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463464B1 (ko) 주행가능영역 추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체와 주행가능영역 추정방법
JP6794289B2 (ja) 凹凸面の平滑度検出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375999B1 (ko)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Majcherczyk et al. Roadway stability evaluation on the basis of modern monitoring of displacement
KR102431752B1 (ko) 입체마커의 cctv 영상인식기술을 이용한 건설용 가시설 및 구조물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36987A (ko) 최소비용경로 분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