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999B1 -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999B1
KR101375999B1 KR1020120050220A KR20120050220A KR101375999B1 KR 101375999 B1 KR101375999 B1 KR 101375999B1 KR 1020120050220 A KR1020120050220 A KR 1020120050220A KR 20120050220 A KR20120050220 A KR 20120050220A KR 101375999 B1 KR101375999 B1 KR 101375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vert
deformation
distance
delete delete
corrugate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6260A (ko
Inventor
이병주
서진원
이지영
서정욱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20050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999B1/ko
Publication of KR20130126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3/00Testing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암거(200) 내부에서 이동하기 위한 본체(110);
본체(110)에 탑재되어 암거의 파형강판(210)에 대하여 원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원격 거리측정부(120), 원격 거리측정부(120)에 의하여 측정된 파형강판(210)에 대한 연속적인 거리 값으로부터 요철부(212)를 판별하기 위한 요철판별부(130A), 및 요철판별부(130A)에 의하여 판별된 요부(212a) 또는 철부(212b)의 위치에 대하여 원격 거리측정부(120)에 의하여 측정된 거리에 대한 측정 높이값(H)과 기준 높이값(Hc)에 대한 차이를 검출하여 암거의 변형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변형 데이터생성부(140)를 포함하는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Measure system for the culvert deformation with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로에 매설된 파형 강판 암거의 변형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관리하기 위한 파형 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에 매설된 파형 강판을 구비한 암거에 대하여 공용하중 등으로 인하여 작용하는 횡압력에 의하여 변형이 일어나는 암거를 정확하고 자동으로 측정하고 이를 데이터화 함으로써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대한 측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고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에 대한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의 경우 차량 진행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차량이나 사람의 통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도로의 아래쪽에 암거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암거는 일반적으로 현장타설하거나, 파형강판의 조립과 이에 대한 타설하거나, 또는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 유닛(이하, "암거 유닛"라 함)을 종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콘크리트 박스 암거(이하, "박스 암거"라 함)를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암거가 구축되어 사용되고 있을 때, 주변의 진동, 지반의 변형과 같은 지반의 부등침하, 또는 공용하중에 의하여 박스 암거에는 휨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휨모멘트에 의해 암거 유닛의 접합부에는 휨인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암거의 변형과 더불어 누수 및 균열로 인한 도로의 파손과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암거의 변형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암거의 변형에 대한 점검은 암거 내부에서 점검자가 암거 내부의 특정 위치마다 마크를 하고 지면으로부터 마크 위치까지의 거리를 일일이 재면서 그 거리의 변화에 따라 암거의 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고소 사다라차를 이용하여 일일이 암거 내부의 상부와 측면에 마크를 부착한 후에 마크된 위치와 지면까지의 수직 거리를 직접 측정함으로써 그 거리의 변화에 따라 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일일이 암거 내부의 상부와 측면에 일일이 마크를 규칙적으로 부착하기 위하여 사전 위치 선정에 대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고 그 후에 선정된 위치마다 고소 장치를 이용하여 마크를 부착하며 마크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를 자로 일일이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암거의 변형인 휨에 관한 측정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휨의 변형 진행도에 대한 데이터의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암거 변형에 의한 측정은 일일이 수작업에 의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암거의 일부 위치에 대하여서만 선별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암거의 전체 형상에 대한 구조해석의 자료를 획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암거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대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정된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대한 데이터에 대하여 이를 위치 기반으로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차후 해당 위치에서의 암거 변형의 진행도를 용이하게 모니터링함으로써 암거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게 할 수 있는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암거의 전체적인 형상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구조해석의 대한 자료로 활용하여 암거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를 할 수 있는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암거(200) 내부에서 이동하기 위한 본체(110), 본체(110)에 탑재되어 암거의 파형강판(210)에 대하여 원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원격 거리측정부(120), 원격 거리측정부(120)에 의하여 측정된 파형강판(210)에 대한 연속적인 거리 값으로부터 요철부(212)를 판별하기 위한 요철판별부(130A), 및 요철판별부(130A)에 의하여 판별된 요부(212a) 또는 철부(212b)의 위치에 대하여 원격 거리측정부(120)에 의하여 측정된 거리에 대한 측정 높이값(H)과 기준 높이값(Hc)에 대한 차이를 검출하여 암거의 변형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변형 데이터생성부(140)를 포함하는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원격 거리측정부(120)에 의하여 측정된 측정 위치점(212m)에 대한 좌표의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좌표 생성부(150A)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변형 데이터생성부(140)에 의하여 생성된 암거의 변형에 대한 데이터와 좌표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부(160)에 의하여 저장된 암거의 변형에 대한 데이터에 대하여 시간과 좌표를 기준으로 시간적으로 비교하여 변형으로 인한 암거의 열화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열화판별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10)에는 본체(11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1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부(112)는 암거(200)의 내부에서 암거의 중앙에서 종축에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유도장치에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격 거리측정부(120)는 원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원격 거리측정기(122), 원격 거리측정기(122)가 장착된 고도를 측정하기 위한 고도계(124), 및 고도계(124)에 의하여 측정된 원격 거리측정기(122)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고도 조절부(126)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격 거리측정기(122)는 레이저 빔(120L)이 조사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광학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도 조절부(126)는 고도계(124)로부터 고도에 관하여 입력받은 고도의 데이터에 대하여 원격 거리측정기(122)의 마운트가 일정한 고도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리니어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요철판별부(130A)는 원격 거리측정부(120)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측정된 파형강판(210)의 요철부(212)의 측정 높이값(H)에 대하여 연속되는 최대 거리와 최소 거리의 데이터로부터 연속되는 최대 거리의 위치점은 요부(212a)로 판별하며 연속되는 최소 거리의 위치점은 철부(212b)로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형 데이터생성부(140)는 요철판별부(130A)에 의하여 판별된 요부(212a) 또는 철부(212b)의 측정 위치점(212m)에서 기준 높이값(Hc)에 대하여 원격 거리측정부(120)의 원격 거리측정기(122)에 의하여 측정된 측정 높이값(H)의 차이값(Hc-H=△H)를 검출하여 거리의 차이값(△H)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준 높이값(Hc)는 설계상의 기준 높이 또는 시공상의 기준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표 생성부(150A)는 원격 거리측정부(120)에 의하여 측정된 측정 위치점(212m)에 대한 좌표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표 생성부(150A)는 좌표를 생성하기 위하여 본체(110)의 이동에 대한 거리값을 측정하기 위한 엔코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표 생성부(150A)는 엔코더 대신에 삼각측량에 의하여 본체(110) 또는 원격 거리측정기(122)의 위치를 측량하기 위한 삼각측량 측정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부(160)는 변형 데이터생성부(140)에 의하여 생성된 암거의 변형에 관한 데이터와 변형 위치에 관하여 좌표 생성부(150A)에 의하여 생성된 좌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화판별부(170)는 저장부(160)에 의하여 저장된 좌표를 기준으로 암거의 변형에 관한 데이터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비교하여 변형의 진행도를 나타내며, 설계 내하력에 따른 기준 변형의 값을 초과하였는지를 비교하여 그 열화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철판별부(130A) 대신에 암거 내부의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요철을 판별하기 위한 요철판별부(130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요철판별부(130B)는 암거(200)의 내부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입력부(132B), 영상 입력부(132B)로부터 입력된 이미지에 대하여 연속되는 음영에 대한 음영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이미지 추출부(134B), 및 이미지 추출부(134B)에 의하여 추출된 음영 데이터로부터 최상의 명도를 가지고 횡방향으로 연속되는 이미지의 부분을 철부(212b)로 식별하며, 최하의 명도를 가지고 횡방향으로 연속되는 이미지에 연속되며 중간의 명도를 가지고 횡방향으로 연속된 이미지 부분을 요부(212a)로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영상 입력부(132B)는 CCD 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본체에 탑재되어 암거 내부의 파형강판면에 대하여 원격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암거 내부의 파형강판면에 대하여 측정된 원격거리의 연속적인 측정값으로부터 최대/최소 값에 따라 파형강판면의 요철을 판별하는 단계, 측정된 요철의 요부 또는 철부까지의 거리에 대하여 설계 거리 또는 시공거리를 비교하여 거리차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측정되는 원격 거리의 위치에 대한 좌표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차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좌표에 대한 데이터를 연동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에 대하여 별도의 마크를 요하지 않음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하게 암거의 변형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암거의 변형 측정을 위한 암거의 위치를 기반으로 암거의 변형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한 후에 해당 위치에 대한 암거 변형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암거의 변형 진행도를 모니터링하여 암거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이 암거 내부에 위치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이 암거 내부에서 암거의 변형을 측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암거 내부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구비한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이 암거 내부에 위치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이 암거 내부에서 암거의 변형을 측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암거 내부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은 암거(200) 내부에서 이동하기 위한 본체(110), 본체(110)에 탑재되어 암거 내부면에 대하여 원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원격 거리측정부(120), 원격 거리측정부(120)에 의하여 측정된 파형강판(210)을 구비한 암거 내부면에 대한 연속적인 거리 값으로부터 요철부(212)를 판별하기 위한 요철판별부(130A), 요철판별부(130A)에 의하여 판별된 요부(凹部; 212a) 또는 철부(凸部; 212b)의 위치에 대하여 원격 거리측정부(120)에 의하여 측정된 거리에 의한 위치값과 기준 위치값에 대한 차이를 검출하여 변형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변형 데이터생성부(140), 원격 거리측정부(120)에 의하여 측정된 측정 위치점(212m)에 대한 좌표의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좌표 생성부(150A), 변형 데이터생성부(140)에 의하여 생성된 암거의 변형에 관한 데이터와 좌표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60), 저장부(160)에 의하여 저장된 암거의 변형에 관한 데이터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비교하여 변형으로 인한 암거의 열화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열화판별부(170), 및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80)로 이루어진다.
도면 중의 미설명부호 220은 파형강판(210)을 보강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이며, 230은 보강토이며, 240은 포장도로이며, 250은 암거 내부 도로이다.
여기서, 본체(110)에는 본체(11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12)를 구비한다. 구동부(112)는 암거(200)의 내부에서 암거의 중앙에서 종축에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유도장치(미도시)에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격 거리측정부(120)는 원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원격 거리측정기(122), 원격 거리측정기(122)가 장착된 고도를 측정하기 위한 고도계(124), 및 고도계(124)에 의하여 측정된 원격 거리측정기(122)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고도 조절부(126)로 이루어진다.
원격 거리측정기(122)는 레이저 빔(120L)이 조사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광학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도계(124)는 원격 거리측정기(122)로부터 발진되어 조사되는 레이저 빔(120L)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발진되어 조사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디지털 고도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고도계에 의하여 출력되는 고도의 데이터는 고도 조절부(126)로 입력된다.
고도 조절부(126)는 입력된 고도의 데이터에 대하여 원격 거리측정기(122)의 마운트가 일정한 고도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리니어 모터(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니어 모터는 고도계(124)로부터 입력된 고도에 관한 데이터와 기준 고도에 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에 따라 원격 거리측정기(122)의 마운트를 선형구동시킨다.
요철판별부(130A)는 원격 거리측정부(120)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측정된 파형강판(210)의 요철부(212)의 측정 높이값(H)에 대하여 연속되는 최대 거리와 최소 거리의 데이터로부터 연속되는 최대 거리의 위치점은 요부(212a)로 판별하며 연속되는 최소 거리의 위치점은 철부(212b)로 판별한다.
변형 데이터생성부(140)는 요철판별부(130A)에 의하여 판별된 요부(212a) 또는 철부(212b)의 측정 위치점(212m)에서 기준 높이값(Hc)에 대하여 원격 거리측정부(120)의 원격 거리측정기(122)에 의하여 측정된 측정 높이값(H)의 차이값(Hc-H=△H)를 검출하여 거리의 차이값(△H)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기준 높이값(Hc)는 설계상의 기준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시공 직후의 시공 높이이어도 좋다.
좌표 생성부(150A)는 원격 거리측정부(120)의 원격 거리측정기(122)에 의하여 측정된 측정 위치점(212m)에 대한 좌표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좌표를 생성하기 위하여 본체(110)의 이동에 대한 거리값을 측정하기 위한 엔코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좌표 생성부(150A)는 엔코더 대신에 삼각측량에 의하여 본체(110) 또는 원격 거리측정기(122)의 위치를 측량하기 위한 삼각측량 측정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도 좋다.
저장부(160)는 변형 데이터생성부(140)에 의하여 생성된 암거의 변형에 관한 데이터와 변형 위치에 관하여 좌표 생성부(150A)에 의하여 생성된 좌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다.
열화판별부(170)는 저장부(160)에 의하여 저장된 좌표를 기준으로 암거의 변형에 관한 데이터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비교하여 변형의 진행도를 나타내며, 설계 내하력에 따른 기준 변형의 값을 초과하였는지를 비교하여, 그 열화여부를 판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에 의하면, 암거(200) 내부에 대하여 거리 측정을 위한 기준 마크 대신에 원격 거리측정부(120)에 의하여 연속 측정되는 거리 값의 최대/최소의 극치값에 의하여 거리측정의 기준 위치점을 자동 설정함으로써 암거(200)의 내측면을 이루는 파형강판(210)의 변형 유무를 판별하기 위한 거리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변형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거리의 데이터에 대하여 동시에 측정위치의 좌표 데이터를 생성함과 동시에 시간 기반으로 거리의 데이터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암거의 열화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판별하고 암거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은 파형강판의 요철부을 판별하기 위하여 거리조사에 의한 거리측정 대신에 영상 이미지의 분석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거리측정에 의한 요철을 판단하는 요철판별부(130A) 대신에 암거 내부의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요철을 판별하기 위한 요철판별부(130B)를 구비한다.
요철판별부(130B)는 암거(200)의 내부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입력부(132B), 영상 입력부(132B)로부터 입력된 이미지에 대하여 연속되는 음영에 대한 음영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이미지 추출부(134B), 및 이미지 추출부(134B)에 의하여 추출된 음영 데이터로부터 최상의 명도를 가지고 횡방향으로 연속되는 이미지의 부분을 철부(212b)로 식별하며, 최하의 명도를 가지고 횡방향으로 연속되는 이미지에 연속되며 중간의 명도를 가지고 횡방향으로 연속된 이미지 부분을 요부(212a)로 식별하기 위한 요철 식별부(136B)로 이루어진다.
영상 입력부(132B)는 CCD 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표 생성부(150B)는 요철판별부(130B)의 요철 식별부(136B)에 의하여 판별된 요부(212a) 또는 철부(212b)의 위치에 대한 이미지의 위치를 이미지의 화면상에서 공지의 좌표 연산 프로그램에 의하여 산출되는 화면상의 좌표를 본체(110)의 좌표에 보정하여 요부(212a) 또는 철부(212b)의 좌표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표에 대하여 원격 거리측정부(120)에 의한 파형강판(210)의 거리 측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에 의하면, 출원인에 의하여 개발 진행중인 암거(200) 내부의 균열을 분석하기 위하여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입력부(132B)를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방법이 제공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방법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에 탑재되어 암거 내부의 파형강판면에 대하여 원격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암거 내부의 파형강판면에 대하여 측정된 원격거리의 연속적인 측정값으로부터 최대/최소 값에 따라 파형강판면의 요철을 판별하는 단계, 측정된 요철의 요부 또는 철부까지의 거리에 대하여 설계 거리 또는 시공거리를 비교하여 거리차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거리측정 위치에 대한 좌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차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좌표에 대한 데이터를 연동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 거리차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좌표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 시간에 대한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0: 본체 112: 구동부
120: 원격 거리측정부 120L: 레이저 빔
122: 원격 거리측정기 124: 고도계
126: 고도 조절부 130A, 130B: 요철판별부
132B: 영상 입력부 134B: 이미지 추출부
136B: 요철 식별부 140: 변형 데이터생성부
150A, 150B: 좌표 생성부 160: 저장부
170: 열화판별부 180: 제어부
200: 암거 210: 파형강판
210m: 측정 위치점 212: 요철부
212a: 요부 212b: 철부
220: 콘크리트 구조물 230: 보강토
240: 포장도로 250: 암거도로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암거(200) 내부에서 이동하기 위한 본체(110);
    본체(110)에 탑재되어 암거의 파형강판(210)에 대하여 원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원격 거리측정부(120);
    원격 거리측정부(120)에 의하여 측정된 파형강판(210)에 대한 연속적인 거리 값으로부터 요철부(212)를 판별하기 위한 요철판별부(130A); 및
    요철판별부(130A)에 의하여 판별된 요부(212a) 또는 철부(212b)의 위치에 대하여 원격 거리측정부(120)에 의하여 측정된 거리에 대한 측정 높이값(H)과 기준 높이값(Hc)에 대한 차이를 검출하여 암거의 변형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변형 데이터생성부(140)를 포함하며,
    원격 거리측정부(120)는 원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원격 거리측정기(122), 원격 거리측정기(122)가 장착된 고도를 측정하기 위한 고도계(124), 및 고도계(124)에 의하여 측정된 원격 거리측정기(122)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고도 조절부(12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원격 거리측정기(122)는 레이저 빔(120L)이 조사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광학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고도 조절부(126)는 고도계(124)로부터 고도에 관하여 입력받은 고도의 데이터에 대하여 원격 거리측정기(122)의 마운트가 일정한 고도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리니어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20050220A 2012-05-11 2012-05-11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75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220A KR101375999B1 (ko) 2012-05-11 2012-05-11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220A KR101375999B1 (ko) 2012-05-11 2012-05-11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260A KR20130126260A (ko) 2013-11-20
KR101375999B1 true KR101375999B1 (ko) 2014-03-21

Family

ID=49854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220A KR101375999B1 (ko) 2012-05-11 2012-05-11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9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500B1 (ko) * 2016-08-04 2018-04-09 한국도로공사 이동 설치식 파형 강판의 변위측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303B1 (ko) * 2014-12-03 2016-02-29 한국도로공사 파형강판 암거의 변위 측정 시스템
CN113607077B (zh) * 2021-08-11 2022-09-30 中国科学院西北生态环境资源研究院 一种冻土微变形自动测量设备及测量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192B1 (ko) * 2006-11-20 2008-09-05 한국랜드비젼(주) 지하공간 계측 장치 및 계측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192B1 (ko) * 2006-11-20 2008-09-05 한국랜드비젼(주) 지하공간 계측 장치 및 계측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500B1 (ko) * 2016-08-04 2018-04-09 한국도로공사 이동 설치식 파형 강판의 변위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260A (ko)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84529A1 (en) Determining milled volume or milled area of a milled surface
JP5014464B2 (ja) 道路検査方法及び道路検査車両
US106257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wooden crosstie plate cut measurements and rail seat abrasion measurements based on rail head height
JP2020190186A (ja) 舗装層の層厚を決定するロードフィニッシャおよび方法
KR102084305B1 (ko) 주행차량계측 센서의 보정 장치 및 방법
US10704211B2 (en) Measuring paving layer thickness by means of a road roller
US11093877B2 (en) Inspection plan drafting support system, method, and program
KR101375999B1 (ko) 파형강판을 구비한 암거의 변형에 관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279620A1 (en) Three-dimensional bridge deck finisher
RU2526793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состояния поверхности покрытия автомобильной дороги по ее геометрическим параметрам
JP2023182722A (ja) プロファイル作成方法、プロファイル作成システム、プロファイル及びプロファイル作成プログラム
CN114935776A (zh) 一种道路检查井井盖的监测分析系统及监测分析方法
FI123605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liikenneväylän rakennekerroksen muodostamiseksi
US20220235522A1 (en) Ground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ground information detection system, ground information detection program, and profile
CN110487167A (zh) 路基变形检测系统及利用该系统评估路基变形的方法
KR101379216B1 (ko) 구조물의 실시간 변위 자동 복원방법
CN111102932A (zh) 一种基坑安全自动巡查方法及系统
KR20130082880A (ko)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시간 경과에 따른 매립지 침하 거동 경향 분석 시스템
JP2000321063A (ja) スリップフォーム工法における墨出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