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385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385B1
KR101595385B1 KR1020090069672A KR20090069672A KR101595385B1 KR 101595385 B1 KR101595385 B1 KR 101595385B1 KR 1020090069672 A KR1020090069672 A KR 1020090069672A KR 20090069672 A KR20090069672 A KR 20090069672A KR 101595385 B1 KR101595385 B1 KR 101595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sensor
terminal body
motion
impact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2110A (ko
Inventor
조충열
이성철
오한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9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385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터치방식으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바디; 상기 단말기바디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단말기바디에 가해진 충격 또는 상기 단말기바디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제1모션센서 및 제2모션센서; 및 상기 제1모션센서와 제2모션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들로부터 상기 충격 또는 움직임이 가해진 상기 단말기바디 상의 특정 위치를 터치된 위치로 파악하여 입력정보로서 활용하는 터치입력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터치 방식으로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기도 한다. 이와 같은 기능들은 한꺼번에 탑재됨으로써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를 구현하기도 한다.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에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보다 심플하고도 슬림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 공하기 위해 터치에 의한 입력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터치방식에 의하는 경우 입력 방식이 단조로울 수 있으며, 터치감지를 위한 부품의 가격이 상승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표면의 특정 위치에 충격 또는 움직임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입력신호화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바디; 상기 단말기바디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단말기바디에 가해진 충격 또는 상기 단말기바디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제1모션센서 및 제2모션센서; 및 상기 제1모션센서와 제2모션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들로부터 상기 충격 또는 움직임이 가해진 상기 단말기바디 상의 특정 위치를 터치된 위치로 파악하여 입력정보로서 활용하는 터치입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모션센서 및 제2모션센서는 상기 단말기바디의 마주보는 한 쌍의 모서리들 부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모션센서 및 제2모션센서는 가속도 센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기바디의 일 면에 디스플레이가 설치되고, 상기 터치입력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로 활용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기바디의 일 면에 입력을 위한 숫자 또는 기호를 의미하는 복수의 제1키표지가 형성되고, 상기 터치입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키표지들 중 어느 하나에 가해진 충격 또는 움직임을 터치된 위치로 파악하여 입력신호로 활용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입력신호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바디의 표면상의 각 위치에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1모션센서 및 제2모션센서의 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특정위치를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기바디의 측면에 서로 다른 방향을 지시하는 복수의 제2키표지가 형성되고, 상기 입력신호 제어부는 제2키표지들 중 어느 하나에 가해진 충격 또는 움직임을 터치된 위치로 파악하여 입력신호로 활용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입력신호 제어부는 상기 제1모션센서 및 제2모션센서가 기준치보다 높은 결과값이 발생할 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모션센서 및 제2모션센서의 감지값이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진동 또는 사운드에 의한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은 단말기바디에 설치된 제1모션센서와 제2모션센서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바디 상에 가해진 충격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모션센서와 제2모션센서의 감지값이 각각 기준치보다 큰 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모션센서와 제2모션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들로부터 상기 충격 또는 움직임이 가해진 상기 단말기바디 상의 특정 위치를 터치된 위치로 파악하여 입력정보로서 활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단말기바디 표면의 특정 위치에 가해진 충격 또는 움직임(터치 또는 태핑)을 이격되어 있는 제1모션센서와 제2모션센서에 의하여 감지하고 파악하는 것이므로 터치 또는 태핑에 대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입력 작용은 전통적인 방식의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구현을 위한 감지센서를 일원화할 수 있어 소요부품의 수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것이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사상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구성도(block diagram)이다.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일반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 또는 휴대 단말기(100)와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 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 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일반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일반 사용자 입력부(130)는 후술하는 제1모션센서(141) 및 제2모션센서(142)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에 따라 입력작용을 하는 것과 대비되기 위해 사용된 용어로서,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말한다.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 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이외에도 센싱부(140)는 제1모션센서(141)와 제2모션센서(142)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은 일반 사용자 입력부(130)에 의한 입력작용 외에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하여 또다른 입력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모션센서(141)와 제2모션센서(142)는 단말기 상에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장착되어 있으며, 단말기 상에 가해진 충격 또는 움직임이 유발된 직접적인 특정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하에서 그러한 '특정 위치'는 본 개시에서는 '터치 위치'라고 부르기로 한다.
터치 위치는 제1모션센서(141)와 제2모션센서(142)에 의하여 감지된 각각의 값을 제어부(180)에 의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파악된다. 제어부(180)가 이러한 기능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제어부(180)는 '터치입력 제어부'라 부를 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터치입력 제어부'는 본 설명의 제어부(180)에 대응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이동단말기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 ㅊ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UI)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장치로 사용되는 것 이외에, 제1모션센서(141) 및 제2모션센서(142)와 더불어 사용되는 경우 입력장치로도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장치로서의 디스플레이는 제1모션센서(141) 및 제2모션센서(142)가 반드시 레이어 구조를 이루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방식의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널 등과는 구별된다. 다만, 전통적인 방식의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널'은 단말기 상에 별도로 구비되거나 디스플레이에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부(160)에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 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101)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단말기 바디(101)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3)와 리어 케이스(104)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3)와 리어 케이스(104)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어 케이스(103)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프론트 키표지(131) 및 영상입력부(121)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페이퍼(e-paper)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밝은 곳에서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 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2)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제1음향출력부(152)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론트 키표지(131)는 그 내부에 터치센서 또는 스위치를 둘 필요가 없이 인쇄, 또는 조명에 의하여 식별될 수 있는 것 또는 새겨진 것만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론트 키표지(131)는 그 내부에 터치센서 또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제1모션센서(141) 및 제2모션센서(142)에 의하여 입력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단말기 바디(101)의 측면에는 사이드 키표지(132), 인터페이스부(170) 및 음향입력부(122) 등이 배치된다.
사이드 키표지(132) 역시 프론트 키표지(131)와 마찬가지로 그 내부에 터치센서 또는 스위치를 둘 필요가 없이 인쇄, 또는 조명에 의하여 식별될 수 있는 것 또는 새겨진 것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모션센서(141) 및 제2모션센서(142)에 의하여 입력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기능적으로, 프론트 키표지(131) 및 사이드 키표지(132)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음향입력부(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101)의 측면에는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인터페 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101)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1모션센서(141) 및 제2모션센서(142)가 상호 이격되어 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1모션센서(141)와 제2모션센서(142)는 단말기바디에 가해진 충격 또는 단말기바디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제1모션센서(141)와 제2모션센서(142)가 감지한 결과는 위에서 설명한 터치입력 제어부(180)에 의하여 비교분석됨으로써 충격 또는 움직임이 가해진 직접적인 위치, 즉 터치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제1모션센서(141)와 제2모션센서(142)는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함으로써 터치된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의하면, 제1모션센서(141)와 제2모션센서(142)는 단말기 바디(101)의 마주보는 한 쌍의 모서리들 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보이고 있다. 다만, 더욱 정확한 위치의 파악을 위하여 모션센서는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1모션센서와 제2모션센서가 단말기바디 내에 장착된 일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제1모션센서(141)와 제2모션센서(142)는 단말기 바디(101)의 표면에 가해진 가벼운 충격이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기 바디(101)의 표면에 가해진 충격은 제1모션센서(141) 및 제2모션센서(142)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제1모션센서(141) 및 제2모션센서(142)는 케이스의 내측 장착부에 견고하게 부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모션센서(141) 및 제2모션센서(142)의 배치는 키표지(131)의 내부에 스위치를 두거나,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에 터치감지용 필름 또는 시트를 설치하는 종래의 예와 달리, 키표지(131)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장착된 위치와 독립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다만, 제1모션센서(141) 또는 제2모션센서(142)는 단말기 바디(101)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에 직접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1모션센서와 제2모션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기에 가해진 충격 또는 움직임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보인 개념도이다.
단말기 표면의 일 영역을 'A'라 하면, 그 표면 A 상에 가해진 충격은 제1모션센서(141)와 제2모션센서(142)에 의하여 감지된다. 제1모션센서(141)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만으로는 그러한 충격이 제1모션센서(14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어느 위치에 있는지 충분한 정보가 되기 어려우므로 제1모션센서(141)에 대하여 이격되어 있는 제2모션센서(142)의 감지결과를 이용한다.
만약, 도 4와 같이, P의 위치에서 충격이 있는 경우, 제1모션센서(141)는 그 충격을 제1모멘트벡터(R1)로 인식하고, 제2모션센서(142)는 그 충격을 제2모멘트벡터(
Figure 112009046691953-pat00001
)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모멘트벡터(
Figure 112009046691953-pat00002
)와 제2모멘트벡터(
Figure 112009046691953-pat00003
)는 A영역 상의 각 위치마다 다르므로 대응되는 벡터의 방향의 조합을 활용함으로써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제1모션센서(141)와 제2모션센서(142)를 잇는 선 상에서 충격이 있는 경우, 제1모멘트벡터(
Figure 112009046691953-pat00004
)와 제2모멘트벡터(
Figure 112009046691953-pat00005
)는 그 방향만 반대이게 된다. 이 경우,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제1모멘트벡터(
Figure 112009046691953-pat00006
)와 제2모멘트벡터(
Figure 112009046691953-pat00007
)의 크기까지 비교하여 상대적인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제1모션센서(141)와 제2모션센서(142)는 가볍게 두드리는 정도(tapping)를 감지하기 적합한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모션센서(141)와 제2모션센서(142)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센서, 자이로센서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제1모션센서 및 제2모션센서를 통하여 단말기바디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적인 도표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시간이며, 세로축은 충격의 세기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모션센서(141)와 제2모션센서(142)는 계속해서 단말기 바디(101)에 가해진 충격 또는 진동을 감지한다. 다만, 제1모션센서(141) 및 제2모션센서(142)가 감지한 결과가 기준치(1.3g) 이하인 경우, 의도하지 않은 충격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한 충격으로 간주한다.
기준치(1.3g) 이상의 충격이 발생하고, 그것이 일정 시간 사이에 발생한 경 우 터치입력 제어부(180)는 제1모션센서(141)의 감지한 결과와 제2모션센서(142)의 감지한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한다.
일정 시간을 초과하는 기준치 이상의 충격 또는 움직임은 입력을 위한 태핑보다는 단말기의 자세의 변화로서 감지하고 이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방향에 대하여 일정시간 이상동안의 충격이나 기울임이 있는 경우, 그에 맞게 디스플레이부(151)의 출력화면이나 모드를 전환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우선, 제1모션센서(141)와 제2모션센서(142)를 초기화시키고 단말기 바디(101)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준비시킨다(S10). 이 과정에서 제1모션센서(141)와 제2모션센서(142)의 기준위치에 대한 위치의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제1모션센서(141)와 제2모션센서(142)는 감지를 수행하게 된다(S20). 감지된 결과가 기준치 이상의 충격이나 움직임이 있는 경우라면, 제1모션센서(141)의 감지결과 및 제2모션센서(142)의 감지결과를 비교하여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단말기 바디(101)의 표면 상의 각 위치에 대응되는 제1모션센서(141) 및 제2모션센서(142)의 비교결과(
Figure 112009046691953-pat00008
,
Figure 112009046691953-pat00009
; 도 4 참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향후 특정 시점에서 감지된 제1모션센서(141) 및 제2모션센 서(142)의 감지결과에 따른 터치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자료가 된다.
이렇게 하여 터치된 위치가 파악되면, 다음으로 실행되도록 저장된 기능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기능을 불러들인다(S30). 이러한 저장된 기능은, 문자 또는 숫자의 입력이거나, 디스플레이부 상에 터치된 경우 마치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이나 웹브라우징, 또는 드럼을 포함하는 악기의 실행 등일 수 있다.
그러한 피드백은 디스플레이부(151)에 의한 출력, 진동신호의 생성 또는 사운드의 출력 등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작동 상태도들이다.
도 7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입력 가능한 숫자를 출력할 수 있으며, 특정 숫자에 대하여 터치(태핑)가 있는 경우, 제1모션센서(141)와 제2모션센서(142)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 감지된 결과를 통하여 그 특정 숫자가 있는 위치를 파악하고 그 특정 숫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거친다.
도 8은 디스플레이부(151)에 입력 가능한 문자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특정 문자에 대하여 터치(태핑)이 있는 경우, 그 문자를 입력하는 모습을 보인다.
도 9는 프론트 키표지(131)에 대하여 태핑이 있는 경우 마찬가지로 제1모션센서(141)와 제2모션센서(142)가 이를 감지하여 그에 따라 화면을 전환시키고 있는 것을 보인다.
도 10은 사이드 키표지(132)에 대하여 태핑이 있는 경우 종전 방식에 의한 사이드키 누름 효과를 구현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11은 단말기 바디(101)의 임의 위치에 태핑이 있는 경우 그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드럼을 부여하고 드럼의 사운드 효과를 구현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의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들이다.
도 12A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는 전면 일측에 디스플레이부(251)가 배치되어 있고, 다른 일측에는 임의의 모양이나 패턴(I)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모양이나 패턴(I)은 조명에 의하여 식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B와 같이, 다른 모드에서 상기 패턴(I)이 형성된 부위에는 키패드 표지(231)가 보여지면서 입력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임의의 모양이나 패턴(I)은 입력을 위한 키패드 장치를 겸할 수 있으며, 키패드 표지(231)에 대한 터치(태핑)이 있는 경우 제1모션센서(241) 및 제2모션센서(242)의 조합에 의하여 터치가 있는 위치에 대응되는 내용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1모션센서와 제2모션센서가 단말기바디 내에 장착된 일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1모션센서와 제2모션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기에 가해진 충격 또는 움직임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보인 개념도
도 5는 제1모션센서 및 제2모션센서를 통하여 단말기바디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적인 도표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작동 상태도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의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들

Claims (10)

  1.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에서 현재 실행중인 모드에 대응되는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단말기 바디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단말기 바디에 가해진 충격 또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모션센서 및 제2모션센서; 및
    상기 제1모션센서와 제2모션센서 각각에 설정된 기준위치 값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바디에 가해진 충격 또는 움직임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위치에 대응되는 충격 또는 움직임이 유지되는 시간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 또는 움직임이 유지되는 시간이 일정 시간 이하로 판단된 경우, 상기 파악된 위치에 대응되는 입력정보를 상기 화면에 표시한 후, 상기 현재 실행중인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파악된 위치와 다른 위치에 대응되는 충격 또는 움직임 감지를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모션센서 각각에 설정된 상기 기준위치 값을 보정하고,
    상기 충격 또는 움직임이 유지되는 시간이 상기 일정 시간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현재 실행중인 모드를 기 설정된 모드로 전환하면서 상기 화면이 상기 기 설정된 모드에 대응되는 화면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션센서 및 제2모션센서는 상기 단말기바디의 마주보는 한 쌍의 모서리들 부분에 각각 배치된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션센서 및 제2모션센서는 가속도 센서의 형태로 구현된 이동 단말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 면에 숫자 또는 기호를 의미하는 복수의 제1키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 또는 움직임이 일정 시간 이하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복수의 제1키표지들 중 상기 파악된 위치에 대응되는 숫자 또는 기호가 상기 입력정보로써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표면상의 각 위치에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1모션센서 및 제2모션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값을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 바디에 가해진 충격 또는 움직임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서로 다른 방향을 지시하는 복수의 제2키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 또는 움직임이 일정 시간 이하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복수의 제2키표지들 중 상기 파악된 위치에 대응되는 키표지의 방향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화면이 변경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모션센서 및 제2모션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값이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충격 또는 움직임이 유지되는 시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모션센서 및 제2모션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값이 상기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진동 또는 사운드에 의한 피드백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단말기 바디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단말기에서 현재 실행중인 모드에 대응되는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바디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제1모션센서와 제2모션센서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 바디에 가해진 충격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모션센서와 제2모션센서에 의하여 각각 감지된 값이 기준치보다 큰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모션센서에 의하여 각각 감지된 값이 상기 기준치보다 크면, 상기 제1 및 제2 모션센서 각각에 설정된 기준 위치값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 바디에 가해진 충격 또는 움직임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위치에 대응되는 충격 또는 움직임이 유지되는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충격 또는 움직임이 유지되는 시간이 일정시간 이하로 판단된 경우, 상기 파악된 위치에 대응되는 입력정보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현재 실행중인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파악된 위치와 다른 위치에 대응되는 충격 또는 움직임 감지를 위하여 상기 제1모션센서와 제2모션센서 각각에 설정된 상기 기준위치 값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충격 또는 움직임이 유지되는 시간이 상기 일정시간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현재 실행중인 모드를 기 설정된 모드로 전환하면서 상기 화면을 상기 기 설정된 모드에 대응되는 화면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KR1020090069672A 2009-07-29 2009-07-29 이동 단말기 KR101595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672A KR101595385B1 (ko) 2009-07-29 2009-07-29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672A KR101595385B1 (ko) 2009-07-29 2009-07-29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110A KR20110012110A (ko) 2011-02-09
KR101595385B1 true KR101595385B1 (ko) 2016-02-18

Family

ID=43772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672A KR101595385B1 (ko) 2009-07-29 2009-07-29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3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2755B2 (en) 2018-10-26 2021-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indicating impact of external shock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1898A (ja) 2004-05-06 2005-11-17 Fdk Corp タッチパネル
JP2009009252A (ja) 2007-06-27 2009-01-15 Panasonic Corp タッチ式入力装置
JP2009129248A (ja) * 2007-11-26 2009-06-11 Seiko Epson Corp 叩きコマンド処理システム、電子機器の操作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457B1 (ko) * 2006-02-06 2012-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패드 및 그를 적용한 이동단말기와 키입력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1898A (ja) 2004-05-06 2005-11-17 Fdk Corp タッチパネル
JP2009009252A (ja) 2007-06-27 2009-01-15 Panasonic Corp タッチ式入力装置
JP2009129248A (ja) * 2007-11-26 2009-06-11 Seiko Epson Corp 叩きコマンド処理システム、電子機器の操作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2755B2 (en) 2018-10-26 2021-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indicating impact of external shock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110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345B1 (ko) 단말기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64418B1 (ko) 이동 단말기
KR101559178B1 (ko) 명령어 입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78728B1 (ko) 휴대 단말기
KR101529502B1 (ko) 인스턴트 메시지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53119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맵 표시 방법
KR101558211B1 (ko) 문자 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3012059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0093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2007839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 패턴 인식에 따른 지도 위치 검색 방법
KR101781072B1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1494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센서의 오작동 방지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1803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
KR101595385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5912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30006154A (ko) 화면 방향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5211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KR2014010352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002170A (ko) 이동 단말기
KR101586086B1 (ko)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545590B1 (ko) 휴대 단말기
KR10146399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맵 제공 방법
KR1015385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진동 출력 방법
KR101623003B1 (ko) 이동 단말기와 그 문자 입력 방법
KR101748664B1 (ko)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