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728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728B1
KR101578728B1 KR1020090045141A KR20090045141A KR101578728B1 KR 101578728 B1 KR101578728 B1 KR 101578728B1 KR 1020090045141 A KR1020090045141 A KR 1020090045141A KR 20090045141 A KR20090045141 A KR 20090045141A KR 101578728 B1 KR101578728 B1 KR 101578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connector
portable terminal
terminal body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6089A (ko
Inventor
장준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5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728B1/ko
Priority to US12/647,370 priority patent/US8838171B2/en
Publication of KR20100126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38Universal adap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단일의 USB포트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를 USB호스트와 주변장치로 모두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USB호스트 또는 주변장치의 설정은 추가적인 지시를 요함이 없이 감지 작업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편리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USB 포트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은 종합적으로 탑재되어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를 구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는 또한 컴퓨터와 같은 USB호스트 장치에 연결되어 이동 저장장치로서도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USB메모리스틱과 같은 USB주변장치류는 휴대 단말기에 직접 꽂아 사용될 수 없어 휴대 단말기의 이용성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USB호스트와 주변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의 사용성을 극대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USB메모리스틱과 같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USB타입 A의 포트 형식으로서도 휴대 단말기가 USB호스트와 주변장치로 충돌없이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USB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USB포트를 통하여 외부장치와 접속됨에 따라 USB호스트 또는 USB주변장치로 사용될 수 있게 구성되는 단말기바디; 상기 USB포트에 설치되고, USB커넥터가 삽입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디텍터; 및 상기 디텍터에 의하여 상기 USB커넥터가 감지된 경우, 상기 단말기바디를 USB호스트 또는 USB주변장치로 설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USB커넥터로부터 USB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USB전원식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 USB포트는 4핀의 USB 타입A의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기바디는 적어도 USB메모리장치를 읽거나 읽고 쓸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기바디는 USB마우스 또는 USB키보드 를 인식할 수 있도록 장치드라이버를 저장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USB전원식별부에 의하여 전원이 있는 경우로서 상기 외부장치가 컴퓨터인 경우, 상기 단말기바디는 USB메모리장치로서의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디텍터는 상기 USB커넥터가 미삽입시 상기 단말기바디의 그라운드로부터 플로팅(floating)되어 있다가 상기 USB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그라운드에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디텍터는, 상기 USB포트에 고정되는 고정핀; 및 탄성 변형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USB커넥터가 미삽입시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가, 상기 USB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USB커넥터에 의하여 밀려 변형됨으로써 상기 고정핀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가동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USB포트는 상기 단말기바디에 내장되는 메인PCB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단일한 USB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USB포트를 통하여 외부장치와 접속됨에 따라 USB호스트 또는 USB주변장치로 사용될 수 있게 구성되는 단말기바디; USB커넥터가 상기 USB포트에 접속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에 의하여 접속이 감지되면, 상기 USB호스트 또는 USB주변장치의 선택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기바디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시키는 USB선택 UI제어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USB포트에 USB커넥터가 삽입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USB커넥터의 삽입이 감지된 경우, 상기 USB커넥터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USB커넥터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단말기바디를 USB주변장치로 설정하고, 일정 시간 내에 상기 USB커넥터로부터 전원 공급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바디를 USB호스트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USB 연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USB 연결방법은 USB포트에 USB커넥터가 접속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USB커넥터의 접속이 감지되면, USB호스트 및 USB주변장치 중의 어느 하나로 인식될 것인지 선택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단일의 USB포트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를 USB호스트와 주변장치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USB호스트 또는 주변장치의 설정은 추가적인 지시를 요함이 없이 감지 작업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편리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단일의 USB타입 A형의 포트는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형태로서, 제5의 핀인 인식핀을 사용하는 USB타입B와 접속하기 위해 별도의 어댑터류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디텍터를 USB포트에 설치한 것이므로 USB포트에 삽입되는 USB커넥터에 어떠한 변환이나 추가 장착을 요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진동 생성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외관을 구성하는 단말기 바디(101)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용 전자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101)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으로 불릴 수 있다)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어 케이스(103)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어 케이스(103)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어 케이스(103)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음향출력부(152), 제1 영상입력부(121)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페이퍼(e-paper)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있으면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된다.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2)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제1음향출력부(152)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101)의 측면에는 사이드키(132), USB포트(170) 및 음향입력부(122) 등이 배치된다.
사이드키(132)는 조작유닛으로 통칭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사이드키(132)는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사이드키(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 다. 예를 들어, 사이드키(132)에 의하여, 제2영상입력부(121')의 제어, 음향출력부(152,154)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음향입력부(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USB(Univeral Serial Bus)포트(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는 USB호스트 및 USB주변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휴대 단말기(100)가 컴퓨터와 같은 USB호스트에 접속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USB주변장치로서 동작하며, 휴대 단말기(100)가 USB메모리 스틱과 같은 장치에 접속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USB호스트로 동작한다. 도 1에서는 휴대 단말기(100)에 접속될 수 있는 외부장치로서, 컴퓨터(200)와 USB메모리스틱(300)을 각각 예시하고 있다. USB메모리스틱(300)이 접속되면 USB메모리스틱(300)의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들이거나 USB메모리스틱(300)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반대로 휴대 단말기(100)가 본 발명과 관련된 USB포트(170)를 통하여 컴퓨터(200)에 접속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컴퓨터(200)에 대하여 USB메모리의 일종으로서 사용된다.
비사용시 USB포트(170)는 덮개(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가려질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덮개는 고무 재질의 플러그 형태 또는 슬라이드 형태 등의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USB포트(170)의 입구는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 것을 보 이고 있다. 이외에도 USB포트(170)는 단말기바디(101)의 상단 또는 하단의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으며, USB포트(170) 자체가 단말기바디(101)에 대하여 회전이나 돌출(또는 팝업)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USB포트(170)를 이루는 금속 부분은 무선 이동통신용, 방송 수신용, 또는 GPS용 등의 안테나를 겸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USB포트(170)를 이루는 금속 부분은 단말기바디(101)의 내부의 회로기판의 도체 그라운드와 연결됨으로써 회로기판에서 발생되는 열을 소산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101)의 후면에는 제2영상입력부(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영상입력부(121')는 전면에 배치된 제1영상입력부(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제2영상입력부(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영상입력부(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 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101)의 후면에는 제2음향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부(152')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배치된 제1음향출력부(152)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101)의 후면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USB포트(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에서 집중적으로 설명되었거나 앞으로 설명될 USB포트(170) 외에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 또는 휴대 단말기(100)와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 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마이크(12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의 수집을 위한 감지 요소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이크(122)는 제어부(180)에 사용자가 소리 또는 입김과 같은 방법으로 공기에 가하는 진동을 입력받아 전달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이라 부른다는 점은 전술한 바와 같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이동 단말기의 방위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UI)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감지센서(133)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이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따라 서,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상당히 길며 그 활용도 또한 상당히 높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는, 발진회로에서 정파의 고주파를 발진하는 상태에서 감지물체가 센서 감지면 근방에 접근을 후면 발진회로의 발진 진폭이 감쇄 또는 정지하며, 이런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감지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 발진 근접센서와 감지물체 사이에 금속성이 아닌 어떠한 물질이 온다 하더라도 근접스위치는 그 물체의 간섭없이 검출하고자 하는 감지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 센서가 굳이 장착되지 않더라도,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는 접촉되지 않았지만 근접되어 위치되는 경우에는 포인터의 위치 및 포인터와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가 검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근접되어 포인터가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하도록 하겠다. 또한,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포인터가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근접센서를 이용후면,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부(160)에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한편, 메모리부(160)는 본 발명과 관련된 USB포트(170)를 통하여 USB호스트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그 USB호스트 장치의 외부 저장장치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0)가 USB포트(170)를 통하여 외부 USB호스트 장치에 접속되면, 외부 USB호스트 장치는 USB포트(170)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며 메모리부(160)의 데이터를 읽거나 쓰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USB포트(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 USB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USB호스트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외에 휴대 단말기(100)는 USB주변장치와도 접속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USB호스트 장치로 동작한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100)는 USB호스트 컨트롤러(host controller;172)를 구비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에 접속될 수 있는 USB주변장치류는 키보드, 마우스, 게임패드, 조이스틱,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PDA, 저장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는 이러한 USB주변장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각각의 USB드라이버(173)를 포함할 수 있다.
USB의 특징인 전원공급 기능으로부터 본 발명과 관련된 USB포트(170)는 외부의 USB방식의 충전장치에도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USB포트(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충전장치와 연결될 때 충전장치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충전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휴대 단말기가 충전장치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USB포트(170)에는 USB커넥터가 삽입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디텍터(171)를 포함할 수 있다. 디텍터(171)는 도 4에서 제시한 기구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텍터(171)에 의하여 USB커넥터의 삽입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그 USB커넥터가 USB호스트 장치에 연결된 것인지 USB주변장치에 연결된 것인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하여, USB포트(170)에는 USB커넥터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감지하는 USB전원식별부(174)가 마련된다. 제어부(180)는 디텍터(171)에 의하여 USB커넥터의 삽입이 감지된 상태에서 USB전원식별부(174)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된 것이 감지되면 그 USB커넥터가 USB호스트 장치에 연결된 것으로 결정하고 휴대 단말기(100)를 USB주변장치로 설정한다. 반대로, 디텍터(171)에 의하여 USB커넥터의 삽입이 감지된 상태에서 USB전원식별부(174)로부터 일정 시간 내에 전원이 공급된 것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100)를 USB호스트로 설정하고, USB커넥터에 연결된 USB주변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USB포트(170) 외에 휴대 단말기(100)는 다른 형태의 인터페이스(17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USB포트(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 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USB포트(170)에 삽입되는 USB커넥터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휴대 단말기(100)를 USB주변장치로 설정하고, 일정 시간 내에 USB커넥터로부터 전원 공급이 감지되지 않으면 휴대 단말기(100)를 USB호스트로 설정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USB커넥터의 접속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USB호스트 및 USB주변장치 중의 어느 하나로 인식될 것인지 선택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USB포트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와 같이, 물리적인 USB포트(170)는 단말기바디(101)에 내장되는 회로기판(105)에 실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USB커넥터의 반복적인 입출로부터 회로기판(105)에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USB포트에는 회로기판()에 삽입 고정되는 앵커용 돌기(176a)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에 의하면, USB포트(170)는 4개의 핀(175)을 갖는 USB타입A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USB주변장치의 경우 제5의 핀인 ID핀이 추가적으로 포함된 5개의 핀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USB타입B 보다는 타입A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타입A가 단말기바디(101)에 장착되는 기본적인 USB포트(170)가 된다. 이에 따라, 4개의 핀(175)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VBUS,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D+ 과 D- 및, 그라운드 GND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USB포트(170)는 외부장치에 연결된 USB커넥터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한 디텍터(171)를 포함하고 있다. 디텍터(171)는 USB커넥터(400)가 미삽입시 단말기바디의 그라운드로부터 플로팅(floating)되어 있다가 USB커넥터(400)가 삽입되면 상기 그라운드에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디텍터(171)의 구성을 설명하면, 디텍터(171)는 USB포트(170)를 구성하는 바디부(176)에 고정되는 고정핀(178)과, 고정핀(178)에 대하여 일정 갭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가동핀(179)을 포함한다. USB커넥터의 미삽입시 고정핀(178)은 그라운드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며, 가동핀(179)은 고정핀(178)에 대하여 이격되어 있으므로 그라운드로부터 플로팅되어 있다.
가동핀(179)은 USB커넥터(400)에 의하여 밀려지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USB커넥터(400)가 진입되면 가동핀(179)은 USB커넥터(400)에 의하여 밀려지며 고정핀(178)에 접촉되어 있다가 USB커넥터(400)가 USB포트(170)로부터 이탈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USB커넥터의 진입에 의한 디텍터의 동작을 도 5A와 도 5B에 도시하였다. 도 5A는 USB커넥터(400)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이고, 도 5B는 USB커넥터가 USB포트(17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보인다.
이러한 디텍터(171)는 USB커넥터(400)가 USB주변장치에 연결되었을 때 실질적인 역할을 한다. 즉, USB커넥터(400)가 USB호스트인 경우에는 USB호스트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므로 공급된 전원에 의하여 USB호스트인 것을 인식할 수 있으나, USB 커넥터(400)가 USB주변장치로부터 나온 것인 경우에는 삽입 전과 후 모두 전원이 감지되지 않을 것이어서 올바른 결정을 할 수 없으므로 USB커넥터(400)의 삽입시점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음을 판단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의 기준점이 된다.
도 3에 보인 고정핀(178)과 가동핀(179)에 의한 구성 외에도, 디텍터는 USB커넥터(400)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수단(예를 들어 광센서, 자기 센서 등)에 의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고정핀(178)과 가동핀(179)의 형상과 설치된 위치에 있어서도 USB포트(170)에 따라 변형된 형상과 위치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과 관련된 USB연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전원공급과 관련된 USB_Vbus 핀, 데이터 송수신과 관련된 D+/D-핀을 모두 초기상태로 설정한다(S11).
초기값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USB커넥터가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 여기서 USB커넥터(400)의 삽입여부는 도 3 및 도 4A와 도 4B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디텍터에 의하여 감지할 수 있다.
USB커넥터(400)가 삽입되면, USB커넥터(400)의 전압을 체크한다(S13). 만약 USB커넥터(400)를 통하여 감지되는 전압이 일정치 이상인 경우 USB커넥터(400)에 연결된 외부기기는 USB호스트가 되고, 전압이 일정치 이하인 경우 USB커넥터(400)에 연결된 외부기기는 USB주변장치가 된다. 따라서, USB커넥터(400)의 전압이 일정치 이상이면 휴대 단말기(100)의 모드를 USB호스트모드로 변환시키고(S21), USB커 넥터의 전압이 일정치 이하이면 USB주변장치모드로 변환시킨다(S31).
이하, 휴대 단말기가 USB호스트 모드인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USB주변장치에 USB_Vbus핀을 통하여 100mA의 전류를 공급하고 주변장치로부터 일정시간 이내에 리셋신호가 들어오는지 대기한다(S23).
USB주변장치로부터 리셋신호가 있는 경우, 주변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패킷을 USB주변장치에 전송한다(S24).
이렇게 USB주변장치의 인식작업이 종료되면, USB주변장치에 500mA 이하의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S26).
이하, 휴대 단말기가 USB주변장치 모드인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연결되어 있는 USB호스트로부터 100mA 이하의 전류를 받는다(S32). 그리고, D+ 또는 D- 핀을 통하여 리셋신호를 전송한다(S33).
다음으로, USB호스트에 장치구성을 위한 패킷을 송수신한다(S34).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USB호스트의 인식작업이 종료되면, USB호스트로부터 500mA 이하의 전류를 공급받는다(S36).
만약 USB커넥터가 분리여부를 확인하고(S27,S37), 분리가 되면 USB_Vbus핀, D+/D-핀을 초기상태로 설정시키게 된다(S11).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가 USB호스트 장치에 연결되는 과정을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7(a)와 같이 대기상태로부터 도 7(b)와 같이, USB호스트 장치(200)의 커넥터(201)가 접속되면 우선, 도 6a와 같은 순서에 의하여 USB호스트 장치를 인식하 게 되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이를 위한 식별중 알림 메시지(151a)를 출력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USB주변장치 모드로 설정이 되면, 자동적으로 휴대 단말기가 USB주변장치로 사용되고 있음을 디스플레이부(151)에 메시지(151b)를 통하여 알릴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가 USB메모리스틱에 연결되는 과정을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8(a)와 같이 대기상태로부터 도 8(b)와 같이, USB메모리스틱(300)의 커넥터가 접속되면 마찬가지로 도 6b와 같은 순서에 의하여 USB주변장치를 인식하게 되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이를 위한 식별중 알림 메시지(151a)를 출력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USB호스트 모드로 설정이 되고, USB메모리스틱(300)이 식별작업이 완료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어느 작업을 할 것인지 작업 가능한 선택항목들(151c)을 곧바로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선택항목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가 USB키보드 장치에 연결되는 과정을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대기상태로부터 도 9(b)와 같이, USB키보드장치(500)의 커넥터(501)가 접속되면 마찬가지로 도 6b와 같은 순서에 의하여 USB주변장치를 인식하게 되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이를 위한 식별중 알림 메시지(151a)를 출력할 수 있다.
USB키보드 장치(500)이 식별작업이 완료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USB키보드 장치(500)가 연결되었음을 알림창(d)을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출력하고(도 9(c)) 곧바로 편집창(e)을 출력할 수 있다(도 9(d)). 만약 메지지의 편집 중에 USB키보드 장치(500)가 연결되는 것이라면, USB키보드 장치(500)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창만을 출력하고 계속해서 편집작업을 수행하도록 편집모드를 속행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가 USB충전장치에 연결되는 과정을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대기상태로부터 도 10B와 같이, USB충전장치(600)의 커넥터(601)가 접속되면 마찬가지로 도 6과 같은 순서에 의하여 USB주변장치를 인식하게 되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이를 위한 식별중 알림 메시지(151a)를 출력할 수 있다.
USB충전장치(600)이 식별작업이 완료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곧바로 ㅠ충전장치(6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이 때, USB충전장치(600) 또는 그 커넥터(601)의 지시램프(602)를 통하여 충전여부를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USB포트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USB커넥터의 진입에 의한 디텍터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과 관련된 USB연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가 USB호스트 장치에 연결되는 과정을 보인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가 USB메모리스틱에 연결되는 과정을 보인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가 USB키보드 장치에 연결되는 과정을 보인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가 USB충전장치에 연결되는 과정을 보인 작동 상태도

Claims (13)

  1. USB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USB포트를 통하여 외부장치와 접속됨에 따라 USB호스트 또는 USB주변장치로 사용될 수 있게 구성되는 단말기바디;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단말기바디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USB포트에 설치되고, USB키보드의 USB커넥터가 삽입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디텍터;
    상기 디텍터에 의하여 상기 USB커넥터가 감지된 경우, 상기 단말기바디를 USB호스트로 설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USB커넥터로부터 USB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USB전원식별부; 및
    상기 디텍터에 의하여 상기 USB커넥터의 삽입이 감지되면 상기 USB키보드를 인식하고, 상기 USB키보드를 USB주변장치로 설정하고,
    상기 USB키보드를 인식하면,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가 대기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정보를 입력 받는 새로운 창을 출력하는 제1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단말기가 편집모드인 경우, 상기 새로운 창을 출력하지 않고 상기 편집모드를 속행하는 제2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포트는 4핀의 USB 타입A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바디는 적어도 USB메모리장치를 읽거나 읽고 쓸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바디는 상기 USB키보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장치드라이버를 저장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SB전원식별부에 의하여 전원이 있는 경우로서 상기 외부장치가 컴퓨터인 경우, 상기 단말기바디는 USB메모리장치로서의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터는 상기 USB커넥터가 미삽입시 상기 단말기바디의 그라운드로부터 플로팅(floating)되어 있다가 상기 USB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그라운드에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터는,
    상기 USB포트에 고정되는 고정핀; 및
    탄성 변형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USB커넥터가 미삽입시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가, 상기 USB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USB커넥터에 의하여 밀려 변형됨으로써 상기 고정핀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가동핀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포트는 상기 단말기바디에 내장되는 메인PCB에 실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커넥터가 접속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USB키보드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창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삭제
KR1020090045141A 2009-05-22 2009-05-22 휴대 단말기 KR101578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141A KR101578728B1 (ko) 2009-05-22 2009-05-22 휴대 단말기
US12/647,370 US8838171B2 (en) 2009-05-22 2009-12-24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141A KR101578728B1 (ko) 2009-05-22 2009-05-22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089A KR20100126089A (ko) 2010-12-01
KR101578728B1 true KR101578728B1 (ko) 2015-12-21

Family

ID=4312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141A KR101578728B1 (ko) 2009-05-22 2009-05-22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38171B2 (ko)
KR (1) KR1015787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6051B2 (en) * 2010-07-26 2014-09-02 Apple Inc. Dynamic allocation of power budget to a system having non-volatile memory and a processor
KR20120014268A (ko) * 2010-08-09 2012-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US8838868B2 (en) * 2010-12-17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port and connector
US9052758B2 (en) * 2010-12-31 2015-06-09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ccidental peripheral device disconnection
US20120191880A1 (en) * 2011-01-26 2012-07-26 Bossa Nova Robotics IP, In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ccessories connected to apparatus
KR101885133B1 (ko) * 2011-02-01 2018-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자동 인스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929961B2 (en) * 2011-07-15 2015-01-06 Blackbird Technology Holdings, Inc. Protective case for adding wireless functionality to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1294818B1 (ko) * 2011-08-01 201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895312B1 (ko) * 2011-09-29 2018-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30063131A (ko) * 2011-12-06 2013-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감지 파라미터 설정 방법 및 장치
US9122813B2 (en) * 2012-03-06 2015-09-01 Smsc Holdings S.A.R.L. USB host determination of whether a USB device provides power via a USB coupling
US8897007B2 (en) 2012-10-18 2014-11-25 Apple Inc. Grounding features of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20140145673A1 (en) * 2012-11-29 2014-05-29 Joseph Heilbrun System for Simultaneously Charging Multipl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40219465A1 (en) 2013-02-06 2014-08-07 Zeikos Inc. Power transferring headphones
US9271063B2 (en) 2013-02-06 2016-02-23 Zeikos Inc. Power transferring headphones
US9276539B2 (en) 2013-02-06 2016-03-01 Zeikos Inc. Power transferring headphones
KR101534488B1 (ko) * 2013-10-07 2015-07-09 (주)디엠에이씨인터내셔널 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KR102146733B1 (ko) * 2013-10-31 2020-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US9529411B2 (en) * 2014-06-13 2016-12-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saving mode for USB power delivery sourcing device
AU2014406514B2 (en) * 2014-09-15 2018-03-15 Micro Motion, Inc. A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a mode of a device
KR20160040961A (ko) * 2014-10-06 2016-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충방전 방법
KR20160041282A (ko) * 2014-10-07 201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TWI565162B (zh) * 2015-07-20 2017-01-0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應用於數位視訊介面的控制電路及相關的控制方法
CN105117193A (zh) * 2015-09-12 2015-12-02 侯明鑫 基于光的投影电脑
KR102415898B1 (ko) * 2015-10-21 2022-07-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장치 연결에 따른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PL3214726T3 (pl) * 2016-01-05 2019-04-3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posób szybkiego ładowania, terminal mobilny i zasilacz sieciowy
WO2018144766A1 (en) * 2017-02-03 2018-08-09 Sps Inc. Rack for electrically connecting mobile electronic device
US10795421B2 (en) * 2017-08-04 2020-10-06 Dell Products L.P. Power transfer synchronization f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and external device
TWI635347B (zh) * 2017-08-31 2018-09-11 宏碁股份有限公司 攝像組件
KR102536143B1 (ko) * 2018-02-09 202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연결이 가능한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11363745B1 (en) * 2020-07-07 2022-06-14 Waymo Llc Housing for display electromagnetic shielding and electrostatic grounding
CN118113649A (zh) * 2022-01-12 2024-05-31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otg接口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2245B1 (en) * 1999-09-10 2004-08-24 Logitech Europe S.A. Wireless peripheral interface with universal serial bus port
US6130518A (en) * 1999-12-22 2000-10-1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battery
US6936936B2 (en) * 2001-03-01 2005-08-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ultifunctional charger system and method
KR20040015710A (ko) * 2001-03-19 2004-02-19 이상열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와,휴대통신단말 접속 구조 및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
JP2003158561A (ja) * 2001-11-21 2003-05-30 Nec Corp 携帯電話機
US20040075589A1 (en) * 2002-10-21 2004-04-22 Lichen Wang Universal mobile keyboard
US6999008B2 (en) * 2002-10-21 2006-02-14 Actisys, Corporation Universal mobile keyboard
US20040103223A1 (en) * 2002-11-26 2004-05-27 Motorola, Inc. USB accessory adaptor
KR20040049932A (ko) * 2002-12-05 2004-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Usb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휴대폰
KR100516296B1 (ko) * 2003-01-21 2005-09-2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장치
US7433712B2 (en) * 2003-02-06 2008-10-07 Modu Ltd. Multi-access solid state memory devices and a telephone utilizing such
KR20050066127A (ko) * 2003-12-26 2005-06-3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부가장치에서 커넥터 연결 시스템 및 방법
US7904113B2 (en) * 2004-11-12 2011-03-0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selectively utilizing peripheral devices
KR100675153B1 (ko) * 2004-12-03 2007-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니코드 문자열 처리방법
US7541776B2 (en) * 2004-12-10 2009-06-02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a power-limited manner
EP1854220A4 (en) * 2005-01-13 2012-08-08 Alan L Pocrass CELL PHONE WITH FLASH MEMORY AND CONNECTORS MALE AND FEMALE INCORPORATED
US20070143120A1 (en) * 2005-11-28 2007-06-21 Amit Phadnis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 input arrangement for a computing device
EP2469417A1 (en) * 2006-04-26 2012-06-27 Nokia Corporation Usb connection
US20100201308A1 (en) * 2006-06-29 2010-08-12 Nokia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battery charging
KR100734203B1 (ko) * 2006-06-30 2007-07-02 주식회사 스타칩 모바일폰에 연결되는 통합 인터페이싱 정보를 내장한통신환경 설정 장치 및 그 설정방법
EP1990887A1 (en) * 2007-05-07 2008-11-12 STMicroelectronics S.r.l. A power management unit for battery-operated devices
KR101397932B1 (ko) * 2007-07-04 2014-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접속 장치 판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KR20090016293A (ko) * 2007-08-10 2009-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외부기기 연결 방법
US10091345B2 (en) * 2007-09-04 2018-10-02 Apple Inc. Media out interface
JP2011523739A (ja) * 2008-05-19 2011-08-18 スマート・インターネット・テクノロジー・シーアールシー・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協働的な相互作用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P2318897B1 (en) * 2008-05-28 2018-05-16 Google LLC Motion-controlled views on mobile computing devices
US7635280B1 (en) * 2008-07-30 2009-12-22 Apple Inc. Type A USB receptacle with plug detection
US20100052620A1 (en) * 2008-09-03 2010-03-04 Intersil Americas Inc. Battery charger ic including built-in usb detection
US20100070659A1 (en) * 2008-09-17 2010-03-18 Kenneth Ma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nd/or charging a battery powered usb device based on a usb port type
US20100069117A1 (en) * 2008-09-18 2010-03-18 Knighton Mark S USB enabled mobile phone handset
US20110014947A1 (en) * 2008-12-29 2011-01-20 Hui-Hu Lia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the Operation of an Image Device to an External Apparatus
US8909803B2 (en) * 2009-03-16 2014-12-09 Apple Inc. Accessory identification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089A (ko) 2010-12-01
US20100298029A1 (en) 2010-11-25
US8838171B2 (en) 201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728B1 (ko) 휴대 단말기
KR101537692B1 (ko) 휴대 단말기
KR101909603B1 (ko) 이동 단말기
KR10172538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29835B1 (ko) 이동 단말기
KR102007225B1 (ko) 이동 단말기
KR2009011702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알림 방법
KR101909605B1 (ko) 이동 단말기
KR101822939B1 (ko) 이어폰 및 이어폰이 적용된 이동 단말 시스템
KR101689601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1561906B1 (ko) 이동 단말기
KR101929811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04186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첨부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786545B1 (ko) 이동 단말기
KR101984089B1 (ko) 이동 단말기
KR101984087B1 (ko) 이동 단말기
KR20100116278A (ko) 이동 단말기
KR101586086B1 (ko)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613926B1 (ko) 이동 단말기
KR101921174B1 (ko) 이동 단말기
KR101595353B1 (ko) 휴대 단말기
KR101999733B1 (ko)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전자기기
KR10163738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3749B1 (ko) 이동 단말기
KR101561916B1 (ko) 휴대 단말기의 진동 생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