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268A -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4268A
KR20120014268A KR1020100076190A KR20100076190A KR20120014268A KR 20120014268 A KR20120014268 A KR 20120014268A KR 1020100076190 A KR1020100076190 A KR 1020100076190A KR 20100076190 A KR20100076190 A KR 20100076190A KR 20120014268 A KR20120014268 A KR 20120014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output
controller
unit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6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4268A/ko
Priority to US13/167,242 priority patent/US20120036294A1/en
Publication of KR20120014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06F13/4081Live connection to bus, e.g. hot-plu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내장 USB 디바이스와;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USB 컨트롤러와; USB 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는 출력용 USB 접속부와; 스위칭부와; 소정 조건에 따라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가 상기 USB 컨트롤러 또는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내장 USB 디바이스의 기능을 외부에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COMPUTER INTEGRATED DISPLAY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USB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올인원 컴퓨터는 데스크 탑 컴퓨터의 일 형태로, 기존의 컴퓨터 본체의 구성들을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병합시킨 컴퓨터를 의미한다. 올인원 컴퓨터는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가 별도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 그 구성이 간단하고 디바이스가 차지하는 공간도 작은 이점으로 인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올인원 컴퓨터에는 캠코더, 마이크, 특히 터치 패널과 같은 고가의 새로운 기능들이 집적되고 있어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는 주변기기의 종류 및 성능은 점차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컴퓨터와 주변기기의 데이터 통신은 USB(universal serial bus) 표준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장 USB 디바이스의 기능을 외부에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외부에 제공할 내장 USB 디바이스의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터치패널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부를 외부 장치와 공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내장 USB 디바이스와;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USB 컨트롤러와; USB 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는 출력용 USB 접속부와; 스위칭부와; 소정 조건에 따라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가 상기 USB 컨트롤러 또는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컴퓨터는 상기 스위칭부의 연결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의한 설정에 따라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를 상기 USB 컨트롤러 또는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는 외부의 USB 디바이스가 접속될 수 있는 입력용 USB 접속부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상기 USB 케이블이 접속되면,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를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가 외부의 USB 디바이스가 접속될 수 있는 입력용 USB 접속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상기 USB 케이블이 접속되면, 상기 USB 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디바이스가 USB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USB 디바이스가 아니면,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를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를 상기 USB 컨트롤러 또는 소정의 노드에 연결하기 위한 제1스위치와;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를 상기 USB 컨트롤러 또는 상기 노드에 연결하기 위한 제2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상기 USB 케이블이 접속되면, 상기 USB 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디바이스가 USB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USB 디바이스가 아니면,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를 상기 노드에 연결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상기 USB 케이블이 접속되면, 상기 USB 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디바이스가 USB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USB 디바이스이면,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와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가 상기 USB 컨트롤러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는 복 수개이고,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의 개수는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는 복 수개이고, 상기 복수의 내장 USB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는 터치 패널,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내장 USB 디바이스,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USB 컨트롤러, 및 USB 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는 출력용 USB 접속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의 제어방법은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상기 USB 케이블이 접속되면, 상기 USB 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디바이스가 USB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USB 디바이스가 아니면,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를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내장 USB 디바이스,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USB 컨트롤러, 및 USB 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는 출력용 USB 접속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의 제어방법은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를 상기 USB 컨트롤러 또는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연결하는 설정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를 상기 USB 컨트롤러 또는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장 USB 디바이스의 기능을 외부에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에 제공할 내장 USB 디바이스의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패널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부를 외부 장치와 공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는 외부 컴퓨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의 컴퓨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의 제1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컴퓨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의 제2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의 또 다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의 제어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는 외부 컴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컴퓨터 중 하나는 올인원 컴퓨터로 불리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100; 이하 올인원 컴퓨터)이고, 다른 하나는 모니터가 연결될 수 있는 통상적인 데스크 탑 컴퓨터(200)이다 올인원 컴퓨터는 역시 데스크 탑 컴퓨터의 일 형태이며, 모든 기능을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병합시킨 컴퓨터를 의미한다. 올인원 컴퓨터는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가 별도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 그 구성이 간단하고 디바이스가 차지하는 공간도 작은 이점으로 인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올인원 컴퓨터의 가장 큰 장점은 모니터를 외부의 컴퓨터와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통하여 올인원 컴퓨터의 모니터를 외부 컴퓨터에 연결하여 이용하기도 한다.
두 개의 컴퓨터(100, 200)는 컴퓨터와 주변 기기를 연결하는 데 쓰이는 입출력 표준 가운데 하나인 USB(universal serial bus)에 기반한 USB 케이블(300)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올인원 컴퓨터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내부에 USB 규격에 의하여 구동되는 USB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올인원 컴퓨터의 제어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올인원 컴퓨터(100)는 복수의 내장 USB 디바이스(11, 12, 13; 10), 이들을 제어하는 USB 컨트롤러(20), 출력용 USB 접속부(30), 스위칭부(40),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올인원 컴퓨터(100)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디바이스(210)는 도 1의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210)는 USB포트(미도시)를 포함하고 있으며, USB포트와 출력용 USB 접속부(30)를 연결하는 케이블에 의하여 올인원 컴퓨터(100)에 접속된다.
내장 USB 디바이스(10)는 USB 규격을 따르는 전자 디바이스로서, 별도의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지 않고 올인원 컴퓨터(100)에 장착되어 USB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예컨대, 내장 USB 디바이스(10)는 터치패널, 디지털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내장 USB 디바이스(10)는 복수 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올인원 컴퓨터(100)는 하나의 내장 USB 디바이스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USB 컨트롤러(20)는 USB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반도체 칩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루트 허브를 통해 두 개의 USB 디바이스를 지원한다. 설명의 편의상 USB 컨트롤러(20)는 복수의 내장 USB 디바이스(10)와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블록으로 표시하였으나 구체적인 구성 및 개수는 내장 USB 디바이스(10)의 개수 및 컴퓨터 내부의 구성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출력용 USB 접속부(30)는 USB 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는 포트에 해당하며, USB 디바이스가 접속될 수 있는 입력용 USB 접속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스위칭부(40)는 내장 USB 디바이스(10), 출력용 USB 접속부(30) 및 USB 컨트롤러(20) 사이에 마련되어 있으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하여 스위칭된다. 스위칭부(4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 내장 USB 디바이스(10)마다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의 제1상태 및 제2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4에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내장 USB 디바이스(11)만을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40)는 내장 USB 디바이스(11)를 USB 컨트롤러(20) 또는 소정의 노드(Ⅰ)에 연결하기 위한 제1스위치(40a), 출력용 USB 접속부(30)를 USB 컨트롤러(20) 또는 노드(Ⅰ)에 연결하기 위한 제2스위치를 포함한다. 스위치의 접속 관계는 아래에서 상세히 기술된다.
제어부(50)는 일정한 조건에 따라 내장 USB 디바이스(11)가 USB 컨트롤러(20) 또는 출력용 USB 접속부(30)에 연결되도록 스위칭부(40)를 제어한다. 내장 USB 디바이스(11)가 USB 컨트롤러(20)에 연결되면, 올인원 컴퓨터(100)에서 내장 USB 디바이스(11)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내장 USB 디바이스(11)가 내부의 USB 컨트롤러(20)가 아닌 출력용 USB 접속부(30)에 연결되어 외부 디바이스(210)에 접속 될 경우 올인원 컴퓨터(100)가 포함하고 있는 내장 USB 디바이스(11)의 기능은 외부 디바이스(210)에서 실행 가능하다. 예를 들어, 내장 USB 디바이스(11)가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에서 동작하는 터치 패널이라고 가정하자. 통상적으로 올인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부를 외부의 다른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터치 패널의 기능은 올인원 컴퓨터에만 구현되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올인원 컴퓨터(100)는 터치 패널의 기능을 외부 디바이스(210)에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터치 패널이 결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지 않아도 터치 기능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마이크, 디지털 카메라 또는 다른 부가적인 기능을 갖는 USB 디바이스를 컴퓨터에 연결할 경우, USB 디바이스 구입에 대한 경제적 부담감이 증가한다. 또한 이러한 USB 디바이스를 컴퓨터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어댑터 등이 부가되어 설치 공간이 증가하고 사용자가 일일이 설치해야 하는 불편도 존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올인원 컴퓨터(100)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올인원 컴퓨터(100)에 친숙한 기능을 외부의 다른 컴퓨터에서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제어부(50)에 따른 스위칭부(4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에 의하여, 출력용 USB 접속부(30)에 USB 케이블이 접속되면(S10), 제어부(50)는 USB 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디바이스(210)가 USB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출력용 USB 접속부(30)와 기존의 입력용 USB 접속부가 동일하기 때문에 외부 디바이스(210)가 USB 디바이스인지 여부에 따라 처리 과정이 달라진다. 제어부(50)는 외부 디바이스(210)의 아이디 체크를 통하여 이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외부 디바이스(210)가 USB 디바이스가 아니면, 대부분 경우 컴퓨터가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될 것이다. 이런 경우 제어부(50)는 내장 USB 디바이스(11)를 출력용 USB 접속부(30)에 연결하도록 스위칭부(40)를 제어한다(S3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과 같이, 제어부(50)는 내장 USB 디바이스(11)가 노드에 연결되도록 제1스위치(40a)를 제어하고, 노드가 출력용 USB 접속부(30)에 연결되도록 제2스위치(40b)를 제어한다. 제1스위치(40a) 및 제2스위치(40b) 모두 노드(Ⅰ)에 연결되기 때문에 내장 USB 디바이스(11)와 출력용 USB 접속부(30) 사이에 신호전달 경로가 형성되고 내장 USB 디바이스(11)는 외부 디바이스(210)에 연결된다.
외부 디바이스(210)는 외부에서 통상적인 USB 디바이스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USB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내장 USB 디바이스(11)를 구동한다.
반면, 판단 결과, 외부 디바이스(210)가 USB 디바이스로 판단되면, 제어부(50)는 내장 USB 디바이스(11)를 포함하는 모든 USB 디바이스가 USB 컨트롤러(20)에 연결되도록 스위칭부(40)를 제어한다(S40). 도 4와 같이, 제1스위치(40a)는 내장 USB 디바이스(11)가 USB 컨트롤러(20)에 연결되도록 하고, 제2스위치(40b)는 외부에 연결된 USB 디바이스를 USB 컨트롤러(20)에 연결시킨다. 즉, 도 4는 통상적인 USB 디바이스가 올인원 컴퓨터(100)에 연결된 경우에 해당하므로, 외부의 USB 디바이스는 올인원 컴퓨터(100)에서 구동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의 제어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올인원 컴퓨터(101)는 사용자 입력부(60)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60)는 사용자에 의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해당한다. 사용자 입력부(60)는 핫 키,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패드, 터치 패널 또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올인원 컴퓨터(101)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스위칭부(40)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출력용 USB 접속부(30)에 USB 케이블이 접속되면(S10),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스위치 연결에 대한 설정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BIOS의 설정 변경으로 스위칭부(40)의 접속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스위치 연결에 대한 설정신호를 수신하면(S50), 사용자 입력부(60)에 의한 설정에 따라 내장 USB 디바이스(10)를 USB 컨트롤러(20) 또는 출력용 USB 접속부(30)에 연결한다(S60).
S10와 S50 단계는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BIOS의 설정 변경 후 출력용 USB 접속부(30)에 USB 케이블이 접속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올인원 컴퓨터(101)의 다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출력용 USB 접속부(30)에 USB 케이블이 접속되면(S10), 제어부(50)는 USB 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디바이스(210)가 USB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판단 결과, 외부 디바이스(210)가 USB 디바이스로 판단되면, 제어부(50)는 외부 디바이스(210)가 USB 컨트롤러(20)에 연결되도록 스위칭부(40)를 제어한다(S40). 상기 과정은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외부 디바이스(210)가 USB 디바이스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어, 내장 USB 디바이스(10)를 출력용 USB 접속부(30)에 연결해야 할 경우, 제어부(50)는 사용자 입력부(60)를 통하여 복수의 내장 USB 디바이스(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수신한다(S70).
올인원 컴퓨터(101)가 캠코더, 마이크, 터치 패널 등과 같이 복수의 내장 USB 디바이스를 포함하면, 사용자는 그 중 어느 하나를 외부의 컴퓨터에서 이용할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설정은 사용자 입력부(60)를 통하여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출력용 USB 접속부(30)에 USB 케이블이 연결되면 출력용 USB 접속부(30)에 연결되는 특정 내장 USB 디바이스가 디폴트로 설정될 수도 있다.
선택신호에 따라, 내장 USB 디바이스(10) 중 어느 하나를 출력용 USB 접속부(30)에 연결한다(S80).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의 제어블럭도이다.
올인원 컴퓨터(102)는 내장 USB 디바이스(10)를 컴퓨터(200)로 연결하기 위한 출력용 USB 접속부(31)와 USB 디바이스(300)가 접속될 수 있는 입력용 USB 접속부(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출력용 USB 접속부(31)와 입력용 USB 접속부(70)는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즉, 올인원 컴퓨터(102)는 기존의 USB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는 USB 포트와 상이한 형상을 갖는 출력용 USB 접속부(31)를 포함한다.
이런 경우, 출력용 USB 접속부(31)에 USB 케이블이 연결되면, 제어부(50)는 USB 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체크 하지 않아도 된다. 제어부(50)는 USB 케이블이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내장 USB 디바이스(10)를 출력용 USB 접속부(31)에 연결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의 제어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올인원 컴퓨터(103)는 복수의 출력용 USB 접속부(81, 82, 83)를 포함한다. 출력용 USB 접속부(81, 82, 83)의 개수는 내장 USB 디바이스(10)의 개수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외부 디바이스(210)는 올인원 컴퓨터(103)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내장 USB 디바이스(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복수의 내장 USB 디바이스(10)와 복수의 출력용 USB 접속부(81, 82, 83)는 서로 일대일로 매칭될 수 있기 때문에 각 내장 USB 디바이스(10)에 대응하는 출력용 USB 접속부(81, 82, 83)은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올인원 컴퓨터에서 활용 가능했던 USB 디바이스의 기능을 외부 컴퓨터에 지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 : 내장 USB 디바이스 20 : USB 컨트롤러
30 : 출력용 USB 접속부 40 : 스위칭부
50 : 제어부 60 : 사용자 입력부
70 : 입력용 USB 접속부 100 : 올인원 컴퓨터
210 : 외부 디바이스

Claims (16)

  1.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내장 USB 디바이스와;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USB 컨트롤러와;
    USB 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는 출력용 USB 접속부와;
    스위칭부와;
    소정 조건에 따라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가 상기 USB 컨트롤러 또는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의 연결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의한 설정에 따라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를 상기 USB 컨트롤러 또는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는 외부의 USB 디바이스가 접속될 수 있는 입력용 USB 접속부와 상이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상기 USB 케이블이 접속되면,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를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가 외부의 USB 디바이스가 접속될 수 있는 입력용 USB 접속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상기 USB 케이블이 접속되면, 상기 USB 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디바이스가 USB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USB 디바이스가 아니면,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를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를 상기 USB 컨트롤러 또는 소정의 노드에 연결하기 위한 제1스위치와;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를 상기 USB 컨트롤러 또는 상기 노드에 연결하기 위한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상기 USB 케이블이 접속되면, 상기 USB 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디바이스가 USB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USB 디바이스가 아니면,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를 상기 노드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상기 USB 케이블이 접속되면, 상기 USB 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디바이스가 USB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USB 디바이스이면,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와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가 상기 USB 컨트롤러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는 복 수개이고,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의 개수는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의 개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는 복 수개이고,
    상기 복수의 내장 USB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는 터치 패널,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13. 적어도 하나의 내장 USB 디바이스,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USB 컨트롤러, 및 USB 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는 출력용 USB 접속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상기 USB 케이블이 접속되면, 상기 USB 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디바이스가 USB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USB 디바이스가 아니면,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를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는 복 수개이고,
    상기 복수의 내장 USB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연결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제어방법.
  15. 적어도 하나의 내장 USB 디바이스,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USB 컨트롤러, 및 USB 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는 출력용 USB 접속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를 상기 USB 컨트롤러 또는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연결하는 설정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를 상기 USB 컨트롤러 또는 상기 출력용 USB 접속부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제어방법.
  16. 제13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USB 디바이스는 터치 패널,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제어방법.
KR1020100076190A 2010-08-09 2010-08-09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14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190A KR20120014268A (ko) 2010-08-09 2010-08-09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US13/167,242 US20120036294A1 (en) 2010-08-09 2011-06-23 Computer integrated display integrated display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190A KR20120014268A (ko) 2010-08-09 2010-08-09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268A true KR20120014268A (ko) 2012-02-17

Family

ID=45556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190A KR20120014268A (ko) 2010-08-09 2010-08-09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36294A1 (ko)
KR (1) KR201200142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22539A3 (en) 2013-04-07 2024-05-01 Guangzhou Shirui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an all-in-one machine to realize quick touch in all channels
CN107368219B (zh) * 2017-07-12 2020-01-14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触摸响应方法、芯片及智能设备
TWM576682U (zh) * 2018-11-30 2019-04-1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TWI757646B (zh) * 2019-10-15 2022-03-11 宏正自動科技股份有限公司 Usb設備及其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9175B2 (ja) * 2000-04-25 2011-03-30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JP2003058488A (ja) * 2001-08-20 2003-02-28 Teac Corp 周辺装置
US6732218B2 (en) * 2002-07-26 2004-05-04 Motorola, Inc. Dual-role compatible USB hub device and method
US20050275641A1 (en) * 2003-04-07 2005-12-15 Matthias Franz Computer monitor
TW586645U (en) * 2003-06-25 2004-05-01 Asustek Comp Inc Connection structure of USB
US7774523B2 (en) * 2004-03-31 2010-08-10 Aten International Co., Ltd. Interface switch system for simultaneously connecting multiple I/O devices
CN100592242C (zh) * 2004-08-13 2010-02-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usb接口的显示装置
TWI296376B (en) * 2005-10-06 2008-05-01 Holtek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type of interface to which a peripheral device is connetced
US7730243B2 (en) * 2007-05-18 2010-06-01 Avocent Corporation KVM switch system with a simplified external controller
US20100060571A1 (en) * 2008-09-10 2010-03-11 Aten International Co., Ltd. Kvm switch using a touch screen
US20100161871A1 (en) * 2008-12-22 2010-06-24 Musa Ibrahim Kakish Computer
US20100180055A1 (en) * 2009-01-13 2010-07-15 Lyon Geoff M Monitor sharing system
US7953910B2 (en) * 2009-02-10 2011-05-31 I/O Interconnect Ltd. All-in-one personal computer with external video input
US20100228902A1 (en) * 2009-03-03 2010-09-09 Cheng-Sheng Chou Kvm switch apparatus with bridging function
KR101578728B1 (ko) * 2009-05-22 2015-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20110016253A1 (en) * 2009-07-16 2011-01-20 Musa Ibrahim Kakish Auto-function USB 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36294A1 (en)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15556B (zh) 显示装置
US8213463B2 (en) Location-based sharing of multimedia control resources
US20050216620A1 (en) KVM and USB peripheral switch
TWI544337B (zh) 共用通用串列匯流排(usb)裝置之雙作業系統架構,以及雙作業系統架構共用通用串列匯流排(usb)裝置之方法
US9645960B2 (en) KVM switch
US20080250350A1 (en) Switch and On-Screen Display Systems and Methods
US20120075213A1 (en) Multi-host touch control display device
KR20170003541A (ko) 임베디드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클래스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하나의 호스트 인터페이스와 통합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024237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20014268A (ko)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KR101708441B1 (ko) 멀티 커넥팅 디스플레이 장치
US9952998B2 (en) Thunderbolt sharing console and switching method thereof
US20110060849A1 (en) Monitoring method and keyboard video mouse switch
CN101387914B (zh) 线控装置及其控制方法
TWI537905B (zh)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1842660B1 (ko) 망분리 전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
KR20000008714A (ko) Ieee1394를 지원하는 컴퓨터에서의 주변기기 연결장치 및그 방법
CN103607620B (zh) 控制智能电视的移动通信终端方法及装置
CN110806806B (zh) 切换方法以及相关的电子系统
US8392646B2 (en) Programmable controlled computer switch
TWM564191U (zh) 多裝置切換系統與多裝置切換系統使用之控制裝置
TWI781654B (zh) 電腦裝置及多電腦系統
US11876902B2 (en) Modules attachable to computing devices
US20150220106A1 (en) Connection Box with Integrated Multi-port Connectors for Laptop and Mobile Devices
TWM497303U (zh) 多電腦裝置之連接介面切換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