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660B1 - 망분리 전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 - Google Patents

망분리 전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660B1
KR101842660B1 KR1020170160326A KR20170160326A KR101842660B1 KR 101842660 B1 KR101842660 B1 KR 101842660B1 KR 1020170160326 A KR1020170160326 A KR 1020170160326A KR 20170160326 A KR20170160326 A KR 20170160326A KR 101842660 B1 KR101842660 B1 KR 101842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unit
computer
switching
usb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관옥
장승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주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주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주컴텍
Priority to KR1020170160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분리 전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드웨어적으로 망분리 기능에 대한 변경과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일례로,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각각 연결되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 컴퓨터와 연결되는 공용 USB 포트부; 상기 공용 USB 포트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공용 USB 포트부의 활성화를 제어하기 위한 USB 포트 스위치부; 온/오프 스위칭이 가능한 다수의 보호 스위치를 포함하는 보호 스위치부; 및 상기 보호 스위치의 온/오프 조합에 따라, 마우스를 통한 망전환 기능 및 상기 공용 USB 포트부의 인식에 대한 활성화가 각각 설정되도록 상기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USB 포트 스위치부를 제어하고, 망전환 시 입력되는 핫키를 변경하기 위한 보호키 모드, 및 지정된 다수의 핫키를 이용하여 망전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망전환 동작 모드를 갖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망분리 전환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망분리 전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DEVICE FOR SWITCHING NETWORKS SEPARATION AND COMPUTER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망분리 전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와 컴퓨터 장치에 발달에 따라, 대부분의 업무 환경은 네트워크 기반의 컴퓨터 환경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네트워크는 그 성격에 따라 외부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여 보안성이 높은 내부 인트라넷과, 외부와 연결이 자유로운 인터넷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업무 환경에 따라 이러한 네트워크를 구분하여 업무 환경을 설정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업체나 관공서 등에서 사용되는 컴퓨터는,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내부 구성원 간에 서로 업무를 공유하고, 또한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서 외부와 각종 정보 및 컨텐츠 등을 검색하고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컴퓨터 환경에서, 하나의 컴퓨터가 내부 네트워크과 외부 네트워크에 동시에 연결되게 되어 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이 가능해지는 문제가 있다. 즉,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에 침입 가능하게 되어 기밀 문서 유출 등의 피해 방지를 위한 내부 네트워크의 보안성을 강화해야 하는 등의 비용이 크게 유발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 간의 설정을 용이하게 변경하면서도,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를 분리하여 내부 네트워크의 보안성을 증진시키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망분리 기술의 경우, 사용자가 망 분리 상태에 대한 확인이 번거롭고, 또한 그러한 망 분리 기술의 제어 방식 등이 직관적이지 않은 한계가 있고, 망전환을 위한 핫키(hot key)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망전환 장치에 변경된 펌웨어를 다시 기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며, 캐드나 설계 프로그램 등 마우스의 휠을 자주 사용하는 경우 휠 눌림에 의해 의도치 않게 망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상황이 발생되며, USB 포트의 경우 망전환 시 사용을 원치 않을 경우 일명 "USB Blocker"라는 장치를 사용해야 함에 따른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망 분리 기술에 대한 보다 사용자 친화적이면서 직관적이고, 보다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운영 환경에 대한 요구가 점점 커지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1450667호(등록일자: 2014년10월07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드웨어적으로 망분리 기능에 대한 변경과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망분리 전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는,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각각 연결되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 컴퓨터와 연결되는 공용 USB 포트부; 상기 공용 USB 포트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공용 USB 포트부의 활성화를 제어하기 위한 USB 포트 스위치부; 온/오프 스위칭이 가능한 다수의 보호 스위치를 포함하는 보호 스위치부; 및 상기 보호 스위치의 온/오프 조합에 따라, 마우스를 통한 망전환 기능 및 상기 공용 USB 포트부의 인식에 대한 활성화가 각각 설정되도록 상기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USB 포트 스위치부를 제어하고, 망전환 시 입력되는 핫키를 변경하기 위한 보호키 모드, 및 지정된 다수의 핫키를 이용하여 망전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망전환 동작 모드를 갖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호키 모드는, 상기 보호 스위치의 제1 온/오프 조합에 따라 키보드 및 마우스가 망전환 명령의 입력수단으로서 사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제1 보호키 모드; 상기 보호 스위치의 제2 온/오프 조합에 따라 상기 마우스가 망전환 명령의 입력수단으로서 배제되도록 상기 마우스의 망전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되, 상기 키보드만 망전환 명령의 입력수단으로서 사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제2 보호키 모드; 상기 보호 스위치의 제3 온/오프 조합에 따라 상기 USB 포트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공용 USB 포트부를 선택적으로 비활성화시켜 외부 장치가 인식되지 않도록 하는 제3 보호키 모드; 및 상기 보호 스위치의 제4 온/오프 조합에 따라 망전환 명령을 위해 미리 정의된 다수의 핫키 내에서 어느 하나의 핫키로 변경하는 제4 보호키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망전환 동작 모드는, 키보드 및 마우스를 이용하여 망전환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공용 USB 포트부에 포함된 각 공용 USB 포트에 대한 개별 활성화 설정을 사용할 수 있는 일반 모드; 서로 다른 망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컴퓨터를 서로 다른 모니터와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시켜 각각의 모니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환하는 독립 모니터 모드; 및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내부망과 외부망 사이가 주기적으로 자동 전환되도록 하는 오토 스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운영체제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동하여 상기 망전환 동작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망전환 전용 응용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망전환 전용 응용 프로그램은 실행 시 선택한 망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운영체제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보호키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펌웨어 업데이트 전용 응용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망분리 장치 장치는, 하나의 본체 케이스에 내장된 제1 컴퓨터 유닛과 제2 컴퓨터 유닛 간을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제1 컴퓨터 유닛은 내부망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컴퓨터 유닛은 외부망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망분리 전환 장치는, 메인보드의 확장슬롯에 장착된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망분리 전환 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컴퓨터 장치와 연결되어 컴퓨터 장치 상호 간의 망분리 및 망전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망분리 전환 장치는, 서로 다른 컴퓨터 장치 간을 외부에서 연결하는 외장형으로 구현되어 컴퓨터 장치 상호 간의 망분리 및 망전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는 망분리 전환 장치; 및 하나의 본체 케이스에 내장된 제1 컴퓨터 유닛과 제2 컴퓨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망분리 전환 장치는 상기 제1 컴퓨터 유닛과 제2 컴퓨터 유닛 간을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제1 컴퓨터 유닛은 내부망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컴퓨터 유닛은 외부망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드웨어적으로 망분리 기능에 대한 변경과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망분리 전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의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의 공용 USB 포트부와 USB 포트 스위치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의 보호 스위치부와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의 보호 스위치부의 온/오프 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의 보호키 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의 망전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의 제1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의 제2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의 제3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의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의 공용 USB 포트부와 USB 포트 스위치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의 보호 스위치부와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100)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10), 공용 USB 포트부(120), USB 포트 스위치부(130), 보호 스위치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망분리 전환 장치(100)는 망전환 전용 응용 프로그램(160)과 펌웨어 업데이트 전용 응용 프로그램(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망분리 전환 장치(100)는 내부망(내부 네트워크)과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연결되어 망전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컴퓨터 장치는 두 개의 컴퓨터 즉 제1 및 제2 컴퓨터(1, 2)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내부망(내부 네트워크)과 연결된 제1 컴퓨터(1) 및 외부망(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2 컴퓨터(2) 사이에 연결되고, 키보드(10), 모니터(OSD 등 소프트웨어 포함)(20), 마우스(30) 등 망전환 명령 입력 수단을 통해 제1 및 제2 컴퓨터(1, 2)의 연결망이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망분리 전환 장치(100)는 내부망 및 외부망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및 제2 컴퓨터(1, 2)의 리소스와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함으로써 망전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10)는 키보드(10), 모니터(20) 및 마우스(30)와 각각 연결되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오디오 장치와도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10)는 USB 단자,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P(Data Port) 등 다양한 외부 기기와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용 USB 포트부(120)는 제1 및 제2 컴퓨터(1, 2)와 연결되며, 다수의 공용 USB 포트(121, 122, 123, 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용 USB 포트(121, 122, 123, 124)는 프린터, 스캐너 등을 컴퓨터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단자로 후술하는 보호 스위치부(140)의 온/오프 조합에 따라 USB 포트 스위치부(130)에 의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USB 포트 스위치부(130)는 공용 USB 포트부(120)와 각각 연결되어 공용 USB 포트부(120)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 USB 포트부(120)가 제1 내지 제4 공용 USB 포트(121, 122, 123, 124)를 포함하는 경우, USB 포트 스위치부(130)는 제1 내지 제4 USB 포트 스위치(131, 132, 133, 13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USB 포트 스위치(131)는 제1 공용 USB 포트(121)에 연결되고, 제2 USB 포트 스위치(132)는 제2 공용 USB 포트(122)에 연결되고, 제3 USB 포트 스위치(133)는 제3 공용 USB 포트(123)에 연결되고, 제4 USB 포트 스위치(134)는 제4 공용 USB 포트(12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4 USB 포트 스위치(131, 132, 133, 134)는 제1 내지 제4 공용 USB 포트(121, 122, 123, 124)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제어하기 위한 물리적인 스위치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보호 스위치부(140)는 온/오프 스위칭이 가능한 다수의 보호 스위치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보호 스위치(141, 142, 143, 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4 보호 스위치(141, 142, 143, 144)는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온/오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4개의 스위치인 경우 16개의 온/오프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제1 및 제2 컴퓨터(1, 2)에 대한 망분리 및 망전환 기능과 관련하여 보호키 모드와 망전환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보호키 모드는, 제1 내지 제4 보호 스위치(141, 142, 143, 144의 온/오프 조합에 따라, 마우스(30)를 통한 망전환 기능 및 공용 USB 포트부(120)의 인식에 대한 활성화가 각각 설정되도록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10)와 USB 포트 스위치부(130)를 제어하고, 망전환 시 입력되는 핫키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의 보호 스위치부의 온/오프 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스위치부(140)는 온/오프 스위칭이 가능한 4개의 보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총 16개(24)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호 스위치부(140)에 포함된 각각의 보호 스위치가 온일 경우 '1', 오프일 경우 '0'으로 간주하여 설명한다. 이에 따라, 보호 스위치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0000', '0001', '0010', '0100', '1000', '0011', '0101', '1001', '1010', '1100', '0110', '0111', '1011', '1101', '1110', '1111'의 조합에 따른 보호키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보호 스위치의 개수에 따라 상이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키 모드는 적어도 제1 보호키 모드, 제2 보호키 모드, 제3 보호키 모드 및 제4 보호키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키 모드에서는, 제1 내지 제4 보호 스위치(141, 142, 143, 144)의 제1 온/오프 조합에 따라 키보드(10)) 및 마우스(30)가 망전환 명령의 입력수단으로서 사용 가능하도록 활성화될 수 있는 일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키보드(10) 및 마우스(30) 등 망전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통해 망전환 명령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보호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제1 내지 제4 보호 스위치(141, 142, 143, 144)를 제1 온/오프 조합으로 설정해야 하는데 이러한 제1 온/오프 조합은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보호 스위치(141, 142, 143, 144) 중 첫 번째 스위치인 제1 보호 스위치(141)만 온되는 '1000'의 보호키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키 값은 초기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의 예는 변동 가능하다.
상기 제2 보호키 모드에서는, 제1 내지 제4 보호 스위치(141, 142, 143, 144)의 제2 온/오프 조합에 따라 마우스(30)가 망전환 명령의 입력수단으로서 배제되도록 마우스(30)의 망전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되, 키보드(10)만 망전환 명령(지정된 핫키 이용)의 입력수단으로서 사용 가능하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캐드나 설계 프로그램 등을 주로 이용하는 작업의 경우 마우스(30)의 휠 눌림에 의해 의도치 않게 망전환이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우스(30)를 자주 사용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마우스(30)가 망전환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서 작동하지 않도록 망전환 입력 수단으로서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보호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제1 내지 제4 보호 스위치(141, 142, 143, 144)를 제2 온/오프 조합으로 설정해야 하는데 이러한 제2 온/오프 조합은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보호 스위치(141, 142, 143, 144) 중 두 번째 스위치인 제2 보호 스위치(142)만 온되는 '0100'의 보호키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키 값은 초기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의 예는 변동 가능하다.
이러한 제2 보호키 모드가 설정 및 진입되면, 마우스(30)를 통한 망전환 명령은 입력되지 않으므로, 캐드나 설계 프로그램 사용 시 원치 않게 망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제3 보호키 모드에서는, 제1 내지 제4 보호 스위치(141, 142, 143, 144)의 제3 온/오프 조합에 따라 USB 포트 스위치부(130)를 제어하여 공용 USB 포트부(120)를 선택적으로 비활성화시켜 프린터, 스캐너 등의 외부 장치가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종래의 망분리 전환 장치에서는 공용 USB 포트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이 없어 해당 USB 포트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물리적으로 막는 일명 "USB Blocker" 장치를 각각의 포트에 끼워서 사용하거나,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으로 USB 포트의 인식을 막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공용 USB 포트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공용 USB 포트에 "USB Blocker"를 일일이 끼워 사용해야 하거나,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따른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드웨어적인 장치인 보호 스위치부(140)를 이용하여 좀 더 쉽게 공용 USB 포트부(120)의 활성화 여부를 물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제3 보호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제1 내지 제4 보호 스위치(141, 142, 143, 144)를 제3 온/오프 조합으로 설정해야 하는데 이러한 제3 온/오프 조합은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보호 스위치(141, 142, 143, 144) 중 세 번째 스위치인 제3 보호 스위치(143)만 온되는 '0010'의 보호키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키 값은 초기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의 예는 변동 가능하다.
상기 제4 보호키 모드에서는, 제1 내지 제4 보호 스위치(141, 142, 143, 144)의 제4 온/오프 조합에 따라 망전환 명령을 위해 미리 정의된 다수의 핫키 내에서 어느 하나의 핫키로 변경할 수 있다.
종래의 망분리 전환 장치는 지정된 핫키 입력을 통해 제한된 기능만 사용이 가능하였다. 즉, 망전환 명령을 위한 핫키는 고정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해당 핫키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펌웨어를 수정하여 해당 장치에 변경된 펌웨어를 재 기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드웨어적인 장치인 보호 스위치부(140)를 이용하여, 망분리 전환 장치의 교체 시 이전에 사용한 핫키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제4 보호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제1 내지 제4 보호 스위치(141, 142, 143, 144)를 제4 온/오프 조합으로 설정해야 하는데 이러한 제4 온/오프 조합은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보호 스위치(141, 142, 143, 144) 중 네 번째 스위치인 제4 보호 스위치(144)만 온되는 '0001'의 보호키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키 값은 초기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의 예는 변동 가능하다.
다만, 제4 보호키 모드의 경우 이전에 사용 가능한 핫키 이외에 미리 정의된 다수의 핫키 중 원하는 핫키로 선택 및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4 보호키 모드에서는 제1 내지 제4 핫키를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러한 후보 핫키 중 자신에 맞거나 사용하기 편한 핫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핫키를 망전환 명령을 위한 핫키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의 보호키 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모드 확인을 위하여 보호 스위치부(140)의 보호 키 값을 확인하는데,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1 내지 제4 보호 스위치(141, 142, 143, 144)가 오직 온인 경우 즉, '1'의 보호키 값을 갖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제1 보호 스위치(141)가 온 상태인지 확인하고, 그러한 경우 제1 보호키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가정과 같이 제1 보호 스위치(141)만 온되어 있는 경우로 보호키 값은 '1000'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모든 망전환 명령 입력 수단 예를 들어, 키보드(10), 마우스(20), 망전환 스위치(1001)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망전환 스위치(100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컴퓨터 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물리적인 망전환 스위치일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눌림에 따라 외부망과 내부망 사이가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망분리 스위치의 예시뿐만 아니라 망전환 명령 입력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망전환을 위한 소프트웨어는 OSD(On Screen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제1 보호 스위치(141)가 온 상태가 아닌 경우 제2 보호 스위치(142)가 온 상태인지 확인하고, 그러한 경우 제2 보호키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가정과 같이 제2 보호 스위치(142)만 온되어 있는 경우로 보호키 값은 '0100'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보호키 모드에서는 마우스(30)의 휠이 망전환 명령 입력 수단으로서 비활성화됨으로써 명령 입력 수단을 제한할 수 있다. 다만, 키보드(10)나 스위치(미도시) 등의 다른 명령 입력 수단을 사용 가능하다.
다음, 제2 보호 스위치(143)가 온 상태가 아닌 경우 제3 보호 스위치(143)가 온 상태인지 확인하고, 그러한 경우 제3 보호키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가정과 같이 제3 보호 스위치(143)만 온되어 있는 경우로 보호키 값은 '0010'일 수 있다. 이러한 제3 보호키 모드에서는 공용 USB 포트부(120)가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다만, 키보드(100), 마우스(30), 스위치(미도시) 등 모든 망전환 명령 입력 수단은 사용 가능하다.
다음, 제3 보호 스위치(144)가 온 상태가 아닌 경우 제4 보호 스위치(144)가 온 상태인지 확인하고, 그러한 경우 제4 보호키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가정과 같이 제4 보호 스위치(144)만 온되어 있는 경우로 보호키 값은 '0001'일 수 있다. 이러한 제4 보호키 모드는 망전환 명령을 위해 제2 핫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핫키를 변경할 수 있는 모드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핫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2 핫키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망전환 동작 모드에서는 지정된 다수의 핫키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컴퓨터(1, 2) 간의 망전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망전환 동작 모드는 일반 모드, 독립 모니터 모드 및 오토 스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반 모드에서는, 미리 지정된 핫키를 이용하여 키보드(10) 및 마우스(30)를 통해 망전환 명령을 입력하고, 공용 USB 포트부(120)에 포함된 각 공용 USB 포트(121, 122, 123, 124)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활성화를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지정된 핫키를 이용해 공용 USB 포트부(120)의 공용 USB 포트(121, 122, 123, 124)에 대한 개별 활성화 설정 시 제3 보호키 모드로 진입된 상태에서 가능하다.
상기 독립 모니터 모드에서는, 서로 다른 망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컴퓨터(1, 2)를 서로 다른 모니터와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시켜 각각의 모니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독립 모니터 모드는 듀얼 모니터로 구비된 경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컴퓨터(1)가 내부망에 연결되고 제2 컴퓨터(2)가 외부망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두 개의 모니터 중 하나는 제1 컴퓨터(1)와 연결되어 해당 화면을 출력하고, 다른 모니터는 제2 컴퓨터(2)와 연결되어 해당 화면을 출력함으로써, 각각의 모니터를 통해 서로 다른 연결망을 통한 화면이 각각 동시에 독립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독립 모니터 모드는 내부망과 외부망 사이를 망전환하면서 대조 작업이 가능하다.
상기 오토 스캔 모드에서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내부망과 외부망 사이가 주기적으로 자동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사용자의 망전환 명령이 필요 없이 자동으로 내부망과 외부망 사이를 주기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오토 스캔 모드 기능이 동작하는 중에 키보드(10)의 화살표 키(상, 하)를 이용하여 망전환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오토 스캔 모드는 양쪽망(내부망, 외부망)의 순차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의 망전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망전환 동작 모드가 시작되면 보호 스위치부(140)의 키 값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보호 스위치(141, 142, 143, 144)의 온/오프 조합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다음, 보호 스위치부(140)의 키 값에 따라 지정된 모드를 시작할 수 있으며, 이때 지정된 망전환 명령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망전환 입력 수단으로 가능한 모든 장치로부터 망전환 명령을 입력 받는 일반 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 이후 지정된 모드로 시작할 수 있도록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
다음, 지정된 망전환 명령에 대한 입력이 없는 경우, 제어권 망전환에 대한 입력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러한 경우 제어권 망전환 동작 즉 제어권 망전환 모드로 진입한다. 이후, 지정된 제어권 망전환 명령을 재입력 받은 후 시작 상태 즉 일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독립 모니터 모드 전환 입력이 있는 경우 독립 모니터 모드로 전환되며, 입력이 없는 경우 망전환 완료하고 종료한다. 독립 모니터 모드 동작 중 독립 모니터 모드 전환 명령이 재입력되는 경우 시작 상태로 복귀하여 일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제어권 망전환에 대한 입력이 없는 경우 독립 모니터 모드에 대한 전환 명령 입력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러한 경우 모니터 별로 각각의 연결망을 통한 화면을 동시에 출력하는 독립 모니터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독립 모니터 모드에 대한 전환 명령 입력이 재입력되는 경우 일반 모드로 복귀하며, 독립 모니터에 대한 전환 명령 입력이 없는 경우 망전환을 완료하고 종료한다.
상기 망전환 전용 응용 프로그램(160)은 컴퓨터(1, 2)의 운영체제에 설치되고, 제어부(150)와 연동하여 제어부(150)의 망전환 동작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망전환 전용 응용 프로그램(160)은 본 실시예의 망분리 전환 장치(100)의 부가적인 구성으로, 컴퓨터(1, 2)의 운영체제에 설치되고 제어부와 연동하도록 구성되는데, 기존의 H/W OSD(hardware On Screen Display)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으로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망의 구분 표시를 모니터에 중첩해서 선택망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망전환 전용 응용 프로그램(160)은, 예를 들어 윈도우 우측 하단 시계 옆 트레이 부분에 전용 아이콘을 통해 표시되거나 모니터 화면의 우측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기존 OSD(On Screen Display) 방식은, RGB와 같은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Analog Video Signal) 또는 DVI(또는 HDMI)와 같은 디지털 비디오 신호(Digial Video Signal)의 경우 영상 신호 자체에 표시하고자 하는 글자를 입혀 새로운 영상 화면을 출력하는 재처리 방식이기 때문에 영상 재처리를 위한 추가적인 하드웨어 개발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Analog Video Signal)용 OSD IC(On Screen Display Integrated circuit)는 비교적 저렴한 편이나 최근 디지털화되고 있는 추세에 맞지 않으며, 디지털 비디오 신호(Digital Video Signal)용 OSD IC(On Screen Display Integrated circuit)(Video Signal Processor급)는 신호 처리과정이 복합하여 하드웨어의 개발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OSD(On Screen Display)와 연동하는 망전환 전용 응용 프로그램(160)은, 소프트웨어적으로 모니터(20)의 신호 재처리 과정 없이 OSD(On Screen Display) 기능 구현이 가능함에 따라 그 개발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전용 응용 프로그램(170)은 컴퓨터(1, 2)의 운영체제에 설치되고, 제어부(150)의 보호키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러한 펌웨어 업데이트 전용 응용 프로그램(170)은, 기존의 직렬 통신이나 전용 장치(예를 들어 Jig)를 사용하는 방법이 아니라, 컴퓨터(1, 2)의 운영체제 상에서 컴퓨터 파일 형태로 구현되어 보호키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펌웨어를 쉽게 업데이트할 수 있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KVM 장치 제품 군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시리얼 통신 또는 전용 장치(Jig)를 연결하는 등 물리적인 연결에 의해서만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는 최신 펌웨어로 업데이트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상당히 어렵다. 또한, 네트워크 장비 등 다른 분야의 제품군에서는 컴퓨터 파일을 이용하여 펌웨어의 업데이트가 가능하지만 KVM 제품은 그러한 제품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 펌웨어 파일을 복사 또는 전송하여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해당 업데이트 프로그램(170)을 통해 별도의 장비 없이 바로 업데이트할 수 있기 때문에 최신의 펌웨어를 통해 안정적인 제품 사용 환경을 보장받을 수 있다.
일반적인 KVM 장치의 경우 스위칭 제품 특성 상 키보드나 마우스 등 입력 장치 및 컴퓨터 메인보드와의 호환성에 대한 특성이 생길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망전환 명령에 대한 입력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서 망전환 작동 불능 등 특정 환경이나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펌웨어 업데이트 전용 응용 프로그램(170)의 경우 항상 최신의 펌웨어로 업데이트를 쉽게 할 수 있어 사용자가 가장 안정적으로 망전환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의성뿐만 아니라 안정성 보장 및 사용성에서 기존의 KVM 장치와 차이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의 제1 구현예(2-in-1 dual 망분리 PC 버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구현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100A)는, 하나의 본체 케이스에 내장된 제1 컴퓨터 유닛(1200)과 제2 컴퓨터 유닛(1300) 간을 연결하도록 본체 케이스(1100)에 내장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본체 케이스에 내장된 제1 컴퓨터 유닛(1200)은 내부망과 연결되며, 제2 컴퓨터 유닛(1300)은 외부망과 연결될 수 있으며, 내부망과 외부망은 접근이 불가하도록 구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의 제2 구현예(망분리 Ready PC 버전-KVM 내장형 PC)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구현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100B)는, 컴퓨터 장치 본체에 내장된 메인보드(2100)의 확장슬롯에 장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때, 망분리 전환 장치(100B)가 설치된 컴퓨터 장치(2000)는, 망분리 전환 장치(100B)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컴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컴퓨터 장치 상호 간의 망분리 및 망전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의 제3 구현예(외장형 KVM)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3 구현예에 따른 망분리 전환 장치(100C)는, 서로 다른 컴퓨터 장치(3000A, 3000B) 간을 외부에서 연결하는 외장형으로 구현되어 컴퓨터 장치(3000A, 3000B) 상호 간의 망분리 및 망전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망분리 전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망분리 전환 장치
110: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
111: 키보드 인터페이스
112: 모니터 인터페이스
113: 마우스 인터페이스
114: 오디오 인터페이스
120: 공용 USB 포트부
121, 122, 123, 124: 제1 내지 제4 공용 USB 포트
130: USB 포트 스위치부
131, 132, 133, 134: 제1 내지 제4 USB 포트 스위치
140: 보호전환 스위치부
141, 142, 143, 144: 제1 내지 제4 보호 스위치
150: 제어부
151: 보호키 모드 제어부
152: 망전환 동작 모드 제어부
160: 망전환 전용 응용 프로그램
170: 펌웨어 업데이트 전용 응용 프로그램
1000: 컴퓨터 장치
100A: 망분리 전환 장치
1100: 본체 케이스
1200: 제1 컴퓨터 유닛(PC 1)
1300: 제2 컴퓨터 유닛(PC 2)
2000: 컴퓨터 장치
100B: 망분리 전환 장치
2100: 메인보드
3000A, 3000B: 컴퓨터 장치
100C: 망분리 전환 장치
1: 제1 컴퓨터
2: 제2 컴퓨터
10: 키보드
20: 모니터
30: 마우스
40: 커넥터

Claims (9)

  1. 내부망 및 외부망과 연결된 컴퓨터의 망분리를 위한 장치로,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각각 연결되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
    컴퓨터와 연결되는 공용 USB 포트부;
    상기 공용 USB 포트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공용 USB 포트부의 활성화를 제어하기 위한 USB 포트 스위치부;
    온/오프 스위칭이 가능한 다수의 보호 스위치를 포함하는 보호 스위치부; 및
    상기 보호 스위치의 온/오프 조합에 따라, 마우스를 통한 망전환 기능 및 상기 공용 USB 포트부의 인식에 대한 활성화가 각각 설정되도록 상기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USB 포트 스위치부를 제어하고, 망전환 시 입력되는 핫키를 변경하기 위한 보호키 모드, 및 지정된 다수의 핫키를 이용하여 망전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망전환 동작 모드를 갖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키 모드는,
    상기 보호 스위치의 제1 온/오프 조합에 따라 키보드 및 마우스가 망전환 명령의 입력수단으로서 사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제1 보호키 모드;
    상기 보호 스위치의 제2 온/오프 조합에 따라 상기 마우스가 망전환 명령의 입력수단으로서 배제되도록 상기 마우스의 망전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되, 상기 키보드만 망전환 명령의 입력수단으로서 사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제2 보호키 모드;
    상기 보호 스위치의 제3 온/오프 조합에 따라 상기 USB 포트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공용 USB 포트부를 선택적으로 비활성화시켜 외부 장치가 인식되지 않도록 하는 제3 보호키 모드; 및
    상기 보호 스위치의 제4 온/오프 조합에 따라 망전환 명령을 위해 미리 정의된 다수의 핫키 내에서 어느 하나의 핫키로 변경하는 제4 보호키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분리 전환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전환 동작 모드는,
    키보드및 마우스를 이용하여 망전환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공용 USB 포트부에 포함된 각 공용 USB 포트에 대한 개별 활성화 설정을 사용할 수 있는 일반 모드;
    서로 다른 망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컴퓨터를 서로 다른 모니터와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시켜 각각의 모니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환하는 독립 모니터 모드; 및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내부망과 외부망 사이가 주기적으로 자동 전환되도록 하는 오토 스캔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분리 전환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컴퓨터의 운영체제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동하여 상기 망전환 동작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망전환 전용 응용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망전환 전용 응용 프로그램은 실행 시 선택한 망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분리 전환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컴퓨터의 운영체제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보호키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펌웨어 업데이트 전용 응용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분리 전환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망분리 전환 장치는,
    하나의 본체 케이스에 내장된 제1 컴퓨터 유닛과 제2 컴퓨터 유닛 간을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제1 컴퓨터 유닛은 내부망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컴퓨터 유닛은 외부망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분리 전환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망분리 전환 장치는,
    메인보드의 확장슬롯에 장착된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망분리 전환 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컴퓨터 장치와 연결되어 컴퓨터 장치 상호 간의 망분리 및 망전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분리 전환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망분리 전환 장치는,
    서로 다른 컴퓨터 장치 간을 외부에서 연결하는 외장형으로 구현되어 컴퓨터 장치 상호 간의 망분리 및 망전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분리 전환 장치.
  9. 제1 항, 제3 항, 제4 항 및 제5 항 중 어느 한 항의 망분리 전환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본체 케이스에 내장된 제1 컴퓨터 유닛과 제2 컴퓨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망분리 전환 장치는
    상기 제1 컴퓨터 유닛과 제2 컴퓨터 유닛 간을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제1 컴퓨터 유닛은 내부망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컴퓨터 유닛은 외부망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KR1020170160326A 2017-11-28 2017-11-28 망분리 전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 KR101842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326A KR101842660B1 (ko) 2017-11-28 2017-11-28 망분리 전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326A KR101842660B1 (ko) 2017-11-28 2017-11-28 망분리 전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660B1 true KR101842660B1 (ko) 2018-05-14

Family

ID=6218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326A KR101842660B1 (ko) 2017-11-28 2017-11-28 망분리 전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510A (ko) * 2019-03-13 2020-09-23 (주)트리세스네트웍스 복수의 운영체제를 이용한 망전환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797B1 (ko) * 2011-07-05 2012-06-13 이승철 유비퀘터스 보안성이 강화된 감시장치, 방송장치 병렬운전 수배전반
KR20120122372A (ko) * 2011-04-29 2012-11-07 (주) 큐브디스플레이 키보드와 마우스와 비디오 제어부를 구비한 듀얼형 일체형 컴퓨터
KR101255748B1 (ko) * 2012-08-29 2013-04-17 주식회사 컴트리 망 전환 단말기
KR101459059B1 (ko) * 2014-07-07 2014-11-12 쉐도우시스템즈(주) 듀얼 모니터의 사용이 가능한 kvma 스위치를 구비한 물리적 망분리 장치
KR20160015829A (ko) * 2014-07-31 2016-02-15 주식회사 에이텍 망 분리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퍼스널컴퓨터
KR101663964B1 (ko) * 2015-07-20 2016-10-11 주식회사 에이텍 마우스를 이용한 망 전환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2372A (ko) * 2011-04-29 2012-11-07 (주) 큐브디스플레이 키보드와 마우스와 비디오 제어부를 구비한 듀얼형 일체형 컴퓨터
KR101150797B1 (ko) * 2011-07-05 2012-06-13 이승철 유비퀘터스 보안성이 강화된 감시장치, 방송장치 병렬운전 수배전반
KR101255748B1 (ko) * 2012-08-29 2013-04-17 주식회사 컴트리 망 전환 단말기
KR101459059B1 (ko) * 2014-07-07 2014-11-12 쉐도우시스템즈(주) 듀얼 모니터의 사용이 가능한 kvma 스위치를 구비한 물리적 망분리 장치
KR20160015829A (ko) * 2014-07-31 2016-02-15 주식회사 에이텍 망 분리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퍼스널컴퓨터
KR101663964B1 (ko) * 2015-07-20 2016-10-11 주식회사 에이텍 마우스를 이용한 망 전환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510A (ko) * 2019-03-13 2020-09-23 (주)트리세스네트웍스 복수의 운영체제를 이용한 망전환 장치
KR102207047B1 (ko) * 2019-03-13 2021-01-25 (주)트리세스네트웍스 복수의 운영체제를 이용한 망전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2646B1 (en) System for real-time adaptation to changes in display configuration
JP4268210B2 (ja) コンピュータにおける情報表示の管理システム
US20050235221A1 (en) Computer, display device setting method, and program
US7685336B2 (en) Keyboard-mouse-video switch with a digital visual interface
US200602447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resources between multiple workstations
KR20130116345A (ko) 단일 제스처 입력으로 복수의 오퍼레이팅 시스템 환경들을 록킹 및 언록킹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049365A (zh) 可视信源切换处理方法、显示终端、电视机及存储介质
US20080155048A1 (en) Intelligent computer switch
JP2003513351A (ja) 入力装置
JP200024237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40267973A1 (en) Device and host machine
KR101842660B1 (ko) 망분리 전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
US8760407B2 (en) Disconnection or reconnection of external device to or from a computer
CN107533448A (zh) 图像输出控制方法、图像输出控制程序以及显示装置
KR20120014268A (ko) 디스플레이 일체형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GB2450422A (en) Installing device drivers for a peripheral device when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peripheral device and a computer
US1065930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the environment of the device
CN110008160B (zh) 信息处理装置
JP2017016299A (ja) コンソールシステム
KR101069020B1 (ko)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edid 통신 방법
US11703964B2 (en) Switch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00010680A (ja) 表示装置、周辺機器共有方法及び記憶媒体
US20230152904A1 (en) Electronic label type keyboard
US8392646B2 (en) Programmable controlled computer switch
JP2022040098A (ja) 2つ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間で周辺装置を切り替えるため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