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020B1 -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edid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edid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020B1
KR101069020B1 KR1020090035092A KR20090035092A KR101069020B1 KR 101069020 B1 KR101069020 B1 KR 101069020B1 KR 1020090035092 A KR1020090035092 A KR 1020090035092A KR 20090035092 A KR20090035092 A KR 20090035092A KR 101069020 B1 KR101069020 B1 KR 101069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server computer
line
edid
la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6407A (ko
Inventor
김현석
박상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5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020B1/ko
Publication of KR20100116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2Network monitoring pro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87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cross-functional networking aspects
    • H04L67/1091Interfacing with client-server systems or between P2P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신호에 따른 처리 결과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컴퓨터; 및, 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접속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신호에 따른 처리 결과를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입력받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버 컴퓨터는 상기 랜 케이블의 특정 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 기저장된 EDID 정보를 읽어옴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EDID 통신 방법{Network monitor system and the EDID communicating method}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에서 OS 및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수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버컴퓨터와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수행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컴퓨터와 보조 메모리인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야 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컴퓨터들 간에 네트워크를 랜(LAN:Local Area Network)이나 또는 기타 망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도 상기 프로그램들을 각각의 컴퓨터에 모두 구비해야 했다. 그러므로 상기 컴퓨터의 보조 메모리에 서로 동일한 프로그램을 각각 저장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네트워크 구성 예시도이다. 종래의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은 서버 컴퓨터(10)와 다수의 클라이언트 컴퓨터(50, 60, 70, 80)로 구성된다., 서버 컴퓨터(10)는 본체(15), 디스플레이 장치(20), 입력장치(25)로 구성되며, 다수의 클라이언트 컴퓨터 역시 서버 컴퓨터(10)와 유사한 구성인 본체(52), 디스플레이장 치(54) 및 입력장치(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는 서버 컴퓨터(10)에 저장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다운로드 하여 동작시키거나 서버 컴퓨터(10)의 제어에 따라 모든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형태로의 단순 데이터 공유 정도에 불과한 구성 및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서버 컴퓨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자원을 다수의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서버 컴퓨터와 사용자 모니터를 결합하여 하나의 컴퓨터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서버 컴퓨터에 부가적인 장치 없이도 네트워크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서버 컴퓨터에 연결된 각각의 클라이언트의 해상도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해상도 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 신호를 각각의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신호에 따른 처리 결과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컴퓨터; 및, 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접속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신호에 따른 처리 결과를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입력받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버 컴퓨터는 상기 랜 케이블의 특정 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 기저장된 EDID 정보를 읽어옴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의 EDID 통신 방법은 서버 컴퓨터에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서버 컴퓨터에 특정 클라이언트가 접속되는 단계; 상기 랜 케이블의 특정 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EDID 정보를 읽어오는 단계; 상기 읽어온 EDID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해상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해상도를 기준으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동작신호에 따른 처리 결과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모니터는 랜 케이블을 통해 서버 컴퓨터와 접속되는 네트워크 모니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서버 컴퓨터에서 처리할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동작 신호를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전송하며, 상기 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송된 동작신호에 대응되는 처리 결과를 입력받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해당 처리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영상처리부; 및, EDID(Extended Display Indentification Data)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서버 컴퓨터에서 상기 랜 케이블의 특정 라인을 통해 상기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EDID 정보를 읽어갈 수 있도록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에서 서버 컴퓨터의 자원을 다수의 클라이언트 장치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장치 없이도 용이하게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 및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버 컴퓨터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 랜(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의 특정 라인을 이용하여 EDID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최적 화질의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Sync 신호가 전달되는 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EDID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랜(LAN) 케이블에 한정되어 구비된 라인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 기술하여 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 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즉,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의 연결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버 컴퓨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은 서버 컴퓨터(100)와 상기 서버 컴퓨터(1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클라이언트 장치(300, 400, 500, 600, 700)으로 구성된다.
서버 컴퓨터(100)는 컴퓨터 본체(105)와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니터(110) 및 사용자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컴퓨터(100)에 연결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300, 400, 500, 600, 700)는 영상표시장치(330)와 사용자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320)로 구성된다.
서버 컴퓨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클라이언트 장치와 네트워크로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연결 포트(13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 포트(135)를 통해 연결되는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및 OS(Operating system)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부(134)에는 도 7에 예시된 표 (a), (b)와 같이 복수의 클라이언 트를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계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계정정보는 각각의 클라이언트 장치들에서 전송되는 클라이언트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클라이언트 정보와 무관하게 기 등록된 계정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계정정보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통해 입력되거나 서버 컴퓨터(100)의 입력장치를 통해 직접 설정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34)에는 도 8에 예시된 복수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해상도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해상도 정보는 각각의 클라이언트 장치들에서 전송되는 클라이언트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가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클라이언트에 대응되는 해상도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34)로부터 추출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결된 클라이언트의 해상도 정보가 변경되었을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연결되면, 상기 클라이언트에 저장된 EDID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되는 해상도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와 서버 컴퓨터는 랜 케이블을 토대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랜 케이블의 단락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EDID 통신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서버 컴퓨터(100)는 모니터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포함하는 입력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와 입력부(120)는 서버 컴퓨터 본체(130)와 슬롯(132)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슬롯을 통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로 송수신 되는 신호의 상태 및 결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부(11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롯(132)을 통하여 연결되는 입력부(120)를 통하여 각 클라이언트에 대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 컴퓨터(100)는 상기 슬롯(132) 및 클라이언트 연결 포트(135)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제어신호에 대한 컨트롤을 수행하는 마이컴(131)을 포함한다. 상기 마이컴(1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부(134)에 기 저장된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계정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계정 정보의 확인 및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마이컴(131)은 각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동작 수행 결과 데이터를 연결 포트(135)를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설정된 해상도에 대응되는 포맷으로 설정되어 전송된다.
서버 컴퓨터(100)의 통신부(133)는 인터넷 또는 외부 연결 장치들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인터넷 검색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동작 요청이 발생되는 경우 통신부(133)를 통해 웹 페이지의 검색 및 데이터 업/다운 로드를 수행하여 해당 결과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연결 포트(135)를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상기 서버 컴퓨터(100)와 연결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블록 구성도이다.
서버 컴퓨터(100)의 연결 포트(135)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는 통신부(331)를 구비하며 상기 통신부(331)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동작 신호를 서버 컴퓨터(100)에 전송하거나, 서버 컴퓨터(100)로부터 상기 동작 신호에 따른 처리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335) 또는 오디오출력부(337)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331)는 서버 컴퓨터(100)로부터 수평/수직 동기신호, 오디오 및 키보드/마우스 신호가 먹싱된 싱크 신호, RGB 데이터 및 5V전원을 인가받게 된다. 따라서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이 입력장치가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를 통해 입력받은 동작 신호에 대응되는 처리 신호를 서버컴퓨터(100)로부터 먹싱된 싱크 신호로 입력받아 신호 절환부(338)를 통해 오디오 처리부(336) 및 영상처리부(334)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클라이언트에는 외부인터페이스부(332)를 구비하며,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부(332)는 서버 컴퓨터 외에 별도의 개인 컴퓨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의 영상표시장치를 연결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부(332)를 통해 제2의 영상표시장치가 연결되면 스위치부(333)의 동작으로 듀얼모니터 동작을 수행하거나, 통신부(331)를 통해 입력되는 서버 컴퓨터(100) 신호 또는 제 2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중 어느 하나만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342)에는 해당 클라이언트에 대응되는 EDID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메모리부(342)는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기억 장치인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EDID(Extended Display Indentification Data)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능력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상기 EDID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니터에서는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기능을 지원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EIDI 데이터 내에는 제품의 생산지 및 생산자, 제품의 제조 년ㆍ월, 제품의 해상도 및 색 좌표 등이 존재하며, 시스템에서는 상기 메모리부(342)에 저장되어 있는 EDID 데이터를 읽어서 해당 제품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게 된다.
도 5는 서버 컴퓨터(200)와 클라이언트(300) 간의 연결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서버 컴퓨터(200)와 클라이언트(300)는 랜(LAN)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랜 케이블은 총 8개의 라인으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8개의 라인 중 제 1, 3 및 5 라인은 Red/Green/Blue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라인이고, 제 7 라인은 싱크 신호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라인이며, 제 8 라인은 5V 전원신호의 공급을 위해 사용되는 라인이다. 상기 제 8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5V 전원신호는 전원부(339)를 거쳐 신호 절환부(338)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340)에 각각 전달된다. 즉, 상기 전원부(339)는 상기 공급되는 5V신호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340)에 전달하며, 또한 상기 5V신호를 3.3V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 절환부(338)에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제 7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싱크 신호에는 수직/수평 동기신호, 오디오 신호 및 입력장치 신호(키보드 및 마우스)가 혼합되어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신호 절환부(338)는 상기 혼합된 싱크 신호를 수직/수평 동기신호, 오디오 신호 및 입력장치 신호로 각각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 절환부(338)를 통해 분리된 수직/수평 동기신호는 상기 스위치부(333)에 전달하고, 상기 신호 절환부(338)를 통해 분리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처리부(336)에 전달되며, 상기 신호 절환부를 통해 분리된 입력장치 신호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에 전달된다.
또한, 미설명 라인(제 2, 4 및 6라인)은 접지 라인이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접지라인으로 사용되는 제 2, 4 및 6라인을 EDID 통신을 위한 라인으로 사용한다.
즉, 상기 접지 라인 중 어느 하나의 라인을 EDID 통신을 위한 시리얼 클록 라인(SCLK)으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의 라인을 EDID 통신을 위한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TA)으로 사용한다.
다시 말해서, 서버 컴퓨터(100)에 클라이언트(300)가 연결되면(서버 컴퓨터의 포트 1(135a)와 제 1 클라이언트(300)가 랜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면), 상기 서버 컴퓨터(100)는 상기 제 1 클라이언트(300)와 연결된 랜 케이블 중 특정 두 라인(예를 들어, 제 2라인 및 제 4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된 제 1 클라이언트(300)의 EDID 정보를 읽어온다.
그리고, 상기 서버 컴퓨터(100)는 상기 제 1 클라이언트(300)로부터 읽어온 EDID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클라이언트에 제공될 데이터의 해상도 포맷을 결 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클라이언트에는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의 해상도 정보에 대응되는 최적 화질의 데이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서버 컴퓨터(100)는 상기 제 1 클라이언트(300)의 계정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EDID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해상도 정보를 저장하며, 그에 따라 추후 상기 제 1 클라이언트(300)가 연결되면, 상기와 같은 EDID 통신과정 없이 상기 연결된 제 1 클라이언트(300)에 대한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랜 케이블을 8 라인 중 제 7라인은 상기 연결된 제 1 클라이언트(300)의 부팅이 완료된 이후에 사용된다.
즉, 상기 제 7라인은 상기 제 1 클라이언트의 해상도 설정이 완료되고, 부팅이 완료된 이후에 활성화된다.
또한, 상기 기재된 EDID 통신 과정은 상기 제 1 클라이언트의 부팅이 완료되기 이전에 완료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제 7 라인이 활성화되기 이전에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EDID 통신을 위한 SCLK 라인 및 SDATA 라인 중 어느 한 라인은 상기 싱크 신호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제 7 라인을 이용한다.
즉, 상기와 같은 EDID 통신 과정에서 랜 케이블의 제 2, 4 및 6 라인 중 어느 한 라인을 SCLK 라인으로 사용하고, 상기 제 7 라인(싱크 신호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라인)을 SDATA 라인으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제 7 라인을 SCLK 라인으로 사용하고, 랜 케이블의 제 2, 4, 6 라인 중 어느 한 라인을 SDATA 라인으로 사용한다.
상술한 서버 컴퓨터(200)와 복수의 클라이언트(300)의 연결을 통해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의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서버 컴퓨터(100)의 마이컴(131)은 사용자로부터 전원 온 신호를 입력받거나 전원인가를 감지하게 되면(505단계), 마이컴(131)을 포함하는 전원 오프 또는 대기 상태로 동작 중이던 각 구성부의 전원을 온 하게 된다.(510단계) 이후 마이컴(131)은 파워 온 동작에 따라 각 구성부의 초기화 동작 (515단계) 및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 동작을 수행한다.(520단계)
상기 네트워크 연결 상태의 확인 동작은 클라이언트 포트(135)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의 연결 여부 및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동작으로 서버 컴퓨터(100)의 마이컴(131)은 네트워크 연결 장치 확인이 완료되면, 연결된 클라이언트 장치로의 전원 온 완료 신호를 클라이언트 포트(135)를 통해 각각의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게 된다.상기 전원 온 완료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각각의 클라이언트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로그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로그인 윈도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게 된다.
각각의 클라이언트 장치(300, 400, ..., 700)는 서버 컴퓨터(100)로부터 수신되는 전원 온 완료 신호를 통신부(331)에서 수신하게 되면 사용자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로그인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530단계) 따라서 각 각의 클라이언트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를 통해 계정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게 된다.(535단계) 각각의 클라이언트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통신부(331)를 통해 서버 컴퓨터(100)로 전송하게 된다.(540단계)
서버 컴퓨터(100)는 각각의 클라이언트 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메모리부(134)에 도 7의 표와 같이 저장된 클라이언트 장치에 따른 계정 정보 또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무관하게 기 저장된 계정 정보와 비교한다.(545단계) 서버 컴퓨터(100)는 각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계정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초기화면 설정 상태 데이터를 각각의 클라이언트 장치에 전송한다. (550단계) 이때 서버컴퓨터(100)로 전송된 계정 정보가 상기 서버컴퓨터(100)에 기 저장된 계정 정보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오류 메시지 또는 오디오를 해당 클라이언트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컴퓨터(100)로부터 각 계정정보에 따른 설정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은 각각의 클라이언트 장치들은 해당 이미지 및 텍스트 등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35) 또는 오디오 출력부(337)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후 각각의 클라이언트 장치에서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이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요구되는 동작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550단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동작 신호는 서버 컴퓨터(100)에 기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의 리드/라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요청 및 웹 연결 등의 통상적인 컴퓨터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
각각의 클라이언트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요청 신호를 신호 절환부(338)를 통해 서버 컴퓨터(100)로의 전송을 위한 처리를 수행하여 서버 컴퓨터(100)로 전송하게 된다.(560단계)
서버컴퓨터(100)는 각각의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이한 동작 신호를 확인하고 해당 동작에 요구되는 처리를 수행하며(565단계) 처리된 동작신호에 따른 처리 결과를 오디오, 이미지, 텍스트 등의 데이터로 생성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한다.(570단계) 이에 따라 각각의 클라이언트 장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340)를 통해 입력받은 동작 신호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337) 또는 디스플레이부(335)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575단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컴퓨터(100)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장치 연결 상태의 변경 제어권을 가지며, 연결된 클라이언트에 대한 연결 종료 및 복구, 서버 접근 제한 등의 사용 제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권은 서버 컴퓨터(100)에서 지정하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공유하거나,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이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의 EDID 통신 과정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LAN 케이블을 이용하여 서버 컴퓨터(100)와 클라이언트를 연결한다.(610단계) 즉, 서버 컴퓨터(100)에 구비된 클라이언트 포트와, 클라이언트에 구비된 통신부의 양단을 상기 랜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서버 컴퓨터(100)는 랜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포트(135)에 특 정 클라이언트가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클라이언트에 대응되는 해상도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615단계) 여기에서, 상기 클라이언트의 계정 정보가 동일하다고 할지라도, 해당 클라이언트 포트에 연결되는 클라이언트의 해상도가 변경되었을 경우(모니터가 변경되었을 경우)도 존재하므로, 상기 연결된 클라이언트에 대응되는 해상도 정보가 존재한다 할지라도, 다음 단계(620)로 진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 컴퓨터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는 상기 랜 케이블의 특정 두 라인을 통해 기저장된 EDID 정보를 상기 서버 컴퓨터에서 읽어갈 수 있도록 제공한다.(620단계) 여기에서, 상기 랜 케이블의 특정 두 라인은 총 여덟 개의 라인 중 접지용으로 사용되는 두 라인일 수도 있으며, 한 라인은 상기 접지용으로 사용되는 라인이고, 다른 한 라인은 싱크 신호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라인일 수 있다.
서버 컴퓨터(100)는 상기 특정 두 라인을 통해 읽어온 EDID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된 클라이언트에 대응되는 해상도 정보를 판단한다(625단계). 즉, 상기 읽어온 EDID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처리할 수 있는 최적 해상도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서버 컴퓨터(100)는 상기 확인한 해상도 정보를 상기 연결된 클라이언트의 계정정보와 함께 저장한다(630). 이는 추후에 동일한 클라이언트가 연결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EDID 통신 과정 없이 상기 연결된 클라이언트에 대응되는 최적 해상도를 단시간 내에 설정하기 위함이다.
서버 컴퓨터(100)는 상기 확인하여 저장된 해상도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의 해상도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해상도에 대응되는 데이터 포맷으로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전송한다(635단계).
또한, 상기 서버 컴퓨터(100)는 상기 연결 클라이언트에 대응되는 해상도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기저장되어 있는 해상도 정보를 추출하고(640단계), 상기 단계(635단계)로 진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에서 서버 컴퓨터의 자원을 다수의 클라이언트 장치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장치 없이도 용이하게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 및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버 컴퓨터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 랜(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의 특정 라인을 이용하여 EDID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최적 화질의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랜 케이블 중 싱크 신호가 전달되는 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EDID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랜(LAN) 케이블에 한정되어 구비된 라인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네트워크 영상표시 시스템의 연결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의 연결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서버 컴퓨터와 클라이언트 간의 연결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연결 라인 중 EDID 통신 수행을 위해 사용되는 연결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컴퓨터의 메모리에 저장된 클라이언트 정보 저장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컴퓨터의 메모리에 저장된 해상도 정보 저장상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의 EDID 통신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Claims (14)

  1. 복수의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신호에 따른 처리 결과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컴퓨터; 및,
    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접속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신호에 따른 처리 결과를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입력받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버 컴퓨터는 상기 랜 케이블의 특정 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 기저장된 EDID 정보를 읽어오고, 상기 읽어온 EDID 정보에 대응되는 해상도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의 계정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OS(Operating System) 및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며, 상기 각각의 클라이언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정정보와 상기 계정 정보에 대응되는 해상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랜 케이블의 특정 라인은 접지 라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모니 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랜 케이블의 특정 라인은 싱크 신호 전송 라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신호 전송 라인은 수직/수평 동기 신호, 오디오 신호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신호가 먹싱된 싱크 신호의 전송 라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상기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랜 케이블의 특정 라인을 EDID 통신 라인 또는 싱크 신호 전송 라인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7. 서버 컴퓨터에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서버 컴퓨터에 특정 클라이언트가 접속되는 단계;
    상기 랜 케이블의 특정 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EDID 정보를 읽어오는 단계;
    상기 읽어온 EDID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해상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계정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설정된 해상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해상도를 기준으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동작신호에 따른 처리 결과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의 EDID 통신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EDID 정보를 읽어오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접속된 랜 케이블의 접지 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EDID 정보를 읽어오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의 EDID 통신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EDID 정보를 읽어오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접속된 랜 케이블의 싱크 신호 전송 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EDID 정보를 읽어오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의 EDID 통신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신호 전송 라인은 수직/수평 동기 신호, 오디오 신호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신호가 먹싱된 싱크 신호의 전송 라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의 EDID 통신방법.
  11. 랜 케이블을 통해 서버 컴퓨터와 접속되는 네트워크 모니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서버 컴퓨터에서 처리할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동작 신호를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전송하며, 상기 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송된 동작신호에 대응되는 처리 결과를 입력받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해당 처리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영상처리부; 및,
    EDID(Extended Display Indentification Data)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랜 케이블의 특정 라인은 제 1 기능 및 상기 EDID 통신을 위한 제 2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특정 라인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라인을 통해 제 1 기능 또는 제 2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네트워크 모니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랜 케이블은 접지 라인, 5V 전원 라인, RGB 데이터 전송 라인, 싱크 신호의 전송 라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모니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능은 접지 기능이며,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EDID 통신시에 상기 제 1 기능을 수행하는 접지 라인을 상기 EDID 정보 통신을 위한 SDATA 통신 라인 및 SCLK 통신 라인으로 지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모니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능은 싱크 신호 전송 기능이며,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EDID 통신시에 상기 제 1 기능을 수행하는 싱크 신호 전송 라인을 상기 EDID 정보 통신을 위한 SDATA 통신 라인 또는 SCLK 통신 라인으로 지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모니터.
KR1020090035092A 2009-04-22 2009-04-22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edid 통신 방법 KR101069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092A KR101069020B1 (ko) 2009-04-22 2009-04-22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edid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092A KR101069020B1 (ko) 2009-04-22 2009-04-22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edid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407A KR20100116407A (ko) 2010-11-01
KR101069020B1 true KR101069020B1 (ko) 2011-09-29

Family

ID=4340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092A KR101069020B1 (ko) 2009-04-22 2009-04-22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edid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255B1 (ko) 2010-11-22 2014-12-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lc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0849A (ko) * 2005-11-01 2008-07-31 칼리스타 테크놀로지스, 인크. 다중 사용자 터미널 서비스 가속기
KR20090008045A (ko) * 2007-07-16 2009-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호스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34108A (ko) * 2007-10-02 2009-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 및 이를 이용한 해상도 조절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0849A (ko) * 2005-11-01 2008-07-31 칼리스타 테크놀로지스, 인크. 다중 사용자 터미널 서비스 가속기
KR20090008045A (ko) * 2007-07-16 2009-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호스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34108A (ko) * 2007-10-02 2009-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 및 이를 이용한 해상도 조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407A (ko) 201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2076B2 (en) Adaptive user interface for multi-source systems
US7685336B2 (en) Keyboard-mouse-video switch with a digital visual interface
KR20090008045A (ko) 디스플레이장치, 호스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70229093A1 (en) Display system for an array of video displays
US20040046707A1 (en) Image display system
KR101013143B1 (ko) 모니터 관리시스템
KR101382407B1 (ko) 화면분할을 통한 내부망 및 외부망 분리 모니터
US7590786B2 (en) Server system and signal processing unit, server, and chassis thereof
US8432332B2 (en) Extensible user interface for digital display devices
KR101069020B1 (ko)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edid 통신 방법
US200402211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cluding communication-enable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quipped with no user interface and a method of control thereof
TWI588738B (zh) 用於視訊顯示器陣列的顯示系統
KR101064850B1 (ko) 네트워크 모니터 및 그의 리셋 방법
CA26594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providing video content to an electronic screen
US1065930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the environment of the device
KR20190002890A (ko)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US7299375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remote operation system,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CN114025227A (zh) 一种电子设备及控制方法
KR101161474B1 (ko)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842660B1 (ko) 망분리 전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
Watkiss et al. All About Raspberry Pi
KR101038884B1 (ko) 네트워크 모니터 및 그 제어 방법
CN216673041U (zh) 云终端一体机
JP2000010680A (ja) 表示装置、周辺機器共有方法及び記憶媒体
KR20040013641A (ko) 운영체제 이미지파일 업데이트를 위한 휴대용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