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890A -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890A
KR20190002890A KR1020170083157A KR20170083157A KR20190002890A KR 20190002890 A KR20190002890 A KR 20190002890A KR 1020170083157 A KR1020170083157 A KR 1020170083157A KR 20170083157 A KR20170083157 A KR 20170083157A KR 20190002890 A KR20190002890 A KR 20190002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user terminal
user
uni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605B1 (ko
Inventor
이진
류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70083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6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각자 데스크탑이나 랩탑을 구매할 필요없이 원격에서 제로클라이언트, 씬클라이언트, 저사양 PC 등의 단말은 물론, IPTV용 셋톱박스,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원격에서 접속하여 실제 데스크탑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성능과 환경을 제공하는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Multi-User Desktop Computer System}
본 발명은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를 구매할 필요없이 사용자단말기의 연결을 통해 원격에서 시스템에 접속하여 기존의 데스크탑 개인용 컴퓨터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는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상화 환경에서 사용자의 데스크탑을 대체하기 위한 다양한 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솔루션이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VDI는 대용량 서버에 다수의 가상머신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가상머신에 원격으로 접속함 으로서 데스크탑 컴퓨터를 대체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가상머신을 가반으로 VDI를 제공하는 것을 DaaS((Desktop as a Service) 라고 통칭한다.
이런 VDI를 기업에 도입함으로서 자료유출 등을 차단하고 최종 사용자는 씬 클라이언트 또는 제로클라이언트 장비에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를 연결해 원격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가상머신을 사용 할 수 있어 피씨구매 비용을 절감하고 하드웨어 고장등으로 발생가능한 업무공백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하지만, 가상머신을 구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높은 하드웨어 리소스가 준비되어야 하고 지속적인 유지보수를 위해 고급 엔지니어가 투입되어야 하는등 유지비용이 비교적 높고 가상화 솔루션의 라이선스 도입과 유지비용도 비교적 높아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 기관에 주로 적용되고, 중소규모의 기업이나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보급되기 어렵다. 또한 이렇게 생성된 가상머신은 실제 데스크탑 컴퓨터에 비해 성능상 손색이 있어 동영상 플레이 등이 원활하지 못하고 퍼블릭 클라우드 기반의 가상화 데스크탑 서비스는 프로세서,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 리소스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는데 거부감이 있고 서비스 관리자가 언제든지 사용자의 활동내역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개인정보 보호에 취약하여 여러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저변에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을 구성하기 위해 iSCSI 기술 및 VHD/VHDX 기술을 이용하는 바 아래와 같은 기술적 내용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
1) Differencing Disk(VHD/VHDX)
Figure pat00001
Differencing Disk는 본래 클라우드 기반의 시스템에서 같은 템플릿의 시스템을 간편하게 만들고, 스토리지 공간의 절약을 위하여 개발된 개념으로, VHD/VHDX기반의 Differencing Disk는 원본인 Parent Disk를 두고, Child Disk를 생성할 때 Parent Disk의 디스크상 경로를 헤더에 기록하여 Parent Disk를 가리키게 한다. Child Disk는 Parent Disk에 비교하여 변경된 데이터를 차분형태로 기록한다.(예를들어 Parent Disk에 있던 파일 A가 변경되면 “파일 A의 오프셋 20부터 4바이트의 데이터를 0x01 0x02 0x03 0x04로 바꾼다.”는 식으로 변경된 부분만 기록하게 된다.)
2) iSCSI
iSCSI(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는 컴퓨팅 환경에서 데이터 스토리지 시설을 이어주는 IP 기반의 스토리지 네트워킹 표준이다. iSCSI는 IP 망을 통해 SCSI 명령을 전달함으로써(SATA는 SCSI명령을 일부 사용하고 있다.) 디스크가 로컬에 있지 않아도 로컬에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처럼 IP망을 통하여 액세스할 수 있다.
3) Differencing Disk를 iSCSI 부팅하는 방법에 대한 개요
Figure pat00002
iSCSI 초기자(initiator) : iSCSI 디스크를 사용하고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iSCSI 타겟서버 : iSCSI의 타겟을 서비스하는 서버
iSCSI 타겟 : iSCSI 초기자가 iSCSI를 서비스 받기위해 접속할 타겟(iSCSI 타겟주소의 URL혹은 IP로 접속하고, IQN주소를 가지고 iSCSI타겟에 접속하면 디스크로서 연결된다.)
IQN 주소 : iSCSI타겟서버는 복수의 iSCSI타겟을 운영할 수 있는데, iSCSI 타겟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가지는 주소이다.
LUN : iSCSI 타겟에 접속하여 접근할 수 있는 가상의 디스크로서, 하나의 iSCSI 타겟에는 복수의 LUN이 존재할 수 있다.
iSCSI로 부팅하고자 하는 PC는 랜카드에 있는 펌웨어 혹은 iPXE, gPXE같은 네트워크 부팅을 지원하는 부트로더를 통하여 원격의 iSCSI LUN을 로컬디스크로 보고 부팅을 진행한다.
이 경우에 해당되는 펌웨어나 부트로더는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iSCSI 타겟서버에서 iSCSI 타겟에 접근하기 위한 정보(IP, IQN주소, LUN번호등)를 DHCP에서 가져오거나, 수동으로 설정해야 한다.
iSCSI로 부팅하고자 하는 OS를 설치할 때는 설치프로그램과 설치 미디어에 랜카드 드라이버가 통합되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부팅 중간에 네트워크 연결이 유실되면서 멈추어 버리거나 블루스크린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공개특허 특2003-0070519
https://ko.wikipedia.org/wiki/원격_데스크톱_소프트웨어 https://ko.wikipedia.org/wiki/부팅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사용자에게 각자 데스크탑이나 랩탑을 구매할 필요없이 원격에서 제로클라이언트, 씬클라이언트, 저사양 PC 등의 단말은 물론, IPTV용 셋톱박스,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원격에서 접속하여 실제 데스크탑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성능과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용자와 하드웨어 자원 및 운영체제 라이선스 등 소프트웨어 자원으로 분리하고 필요시 각 요소를 매치하는 방식으로 자원 이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용자의 이용 내역을 사용자의 허가없이 서비스 관리자가 알 수 없도록 분리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중 어느 하나를 연결시켜주는 운영서버(200); 상기 컴퓨터(100)에서 사용될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여 생성된 데이터인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서버(300);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사용자단말기(4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컴퓨터(100)는 상기 컴퓨터(100)에서 부팅에 사용될 운영체제의 라이센스 정보를 저장하는 라이센스부(110);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원격부(130); 상기 운영서버(200)와 상기 저장서버(3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통신하는 컴퓨터통신부(140); 및 상기 운영서버(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컴퓨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컴퓨터(100)는 상기 컴퓨터(100)의 고유시스템 정보와 사용자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없는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2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원격부(13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화면전송부(131);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입력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수신하는 입력수신부(132);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수신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133);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부터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전송 받아 데이터베이스(250)에서 상기 인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부(210);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인증부(210)를 통해 인증 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에 연결하고,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320)를 통해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운영체제 라이센스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라이센스에 해당되는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에 연결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컴퓨터(100)가 부팅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연결하는 라이센스 관리부(220);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중 사용가능한 상기 컴퓨터(100)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운영체제 라이센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전원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에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에서 부팅 가능하게 상기 저장서버(300)로부터 상기 라이센스 관리부(22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합쳐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에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에 연결하여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를 부팅시키는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 상기 인증부(210)가 인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5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와 상기 저장서버(3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통신하는 운영서버통신부(260);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저장서버(300)는 상기 컴퓨터(100)에 연결될 운영체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운영체제부(310);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여 생성된 데이터인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데이터부(320); 및 상기 운영서버(2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와 통신하는 저장서버통신부(330);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상기 사용자가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에 키보드와 마우스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키보드와 마우스에서 생성되는 입력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410);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여 프린트하는 경우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프린트 데이터를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프린트 장치에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420);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의 데이터를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외장저장장치에 저장하거나 상기 외장저장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로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외장저장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외장장치연결부(430);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컴퓨터(100)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100)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원격부(440); 및 상기 컴퓨터(100)와 상기 운영서버(200)와 통신하는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단말원격부(44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는 화면수신부(441);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410)에 입력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송신하는 입력송신부(442);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수신 또는 송신하는 사용자단말데이터송수신부(443);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중 어느 하나를 연결시켜주는 운영서버(200); 상기 컴퓨터(100)에서 사용될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여 생성된 데이터인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서버(300);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사용자단말기(400); 및 상기 컴퓨터(100)에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전송하는 스트리밍서버(5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컴퓨터(100)는 상기 컴퓨터(100)에서 부팅에 사용될 운영체제의 라이센스 정보를 저장하는 라이센스부(110);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원격부(130); 상기 운영서버(200)와 상기 저장서버(3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통신하는 컴퓨터통신부(140); 상기 운영서버(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컴퓨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 및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스트리밍서버(500)에 출력하는 화면출력부(160); 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원격부(13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입력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수신하는 입력수신부(132);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수신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133);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상기 사용자가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에 키보드와 마우스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키보드와 마우스에서 생성되는 입력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410);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스트리밍서버(50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여 프린트하는 경우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프린트 데이터를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프린트 장치에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420);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의 데이터를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외장저장장치에 저장하거나 상기 외장저장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로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외장저장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외장장치연결부(430);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컴퓨터(100)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100) 및 상기 스트리밍서버(500)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원격부(440); 및 상기 컴퓨터(100)와 상기 운영서버(200)와 상기 스트리밍서버(500)와 통신하는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단말원격부(44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스트리밍서버(500)를 통해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는 화면수신부(441);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410)에 입력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송신하는 입력송신부(442);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수신 또는 송신하는 사용자단말데이터송수신부(44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기존 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기반 DaaS(Desktop as a Service)와 유사한 방법을 통해 RDaaS(Real Desktop as a Service)를 이용할 수 있어 타인의 리소스 이용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한대의 데스크탑을 전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서비스 운영사에서 그 이용내역을 알 수 없어 개인정보 보호에 유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운영자 입장에서 구축에 가장 큰 걸림돌인 구축비용과 수익성 측면에서 24시간 피씨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용자 특성을 고려하여 하나의 하드웨어에 여러 명의 사용자를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 수익성 개선에 유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기존의 VDI기반 DaaS는 실제 사용자 1인당 하나의 가상머신을 사용하기 때문에 운영체제 라이선스가 사용자 별로 필요하고 가상화에 따른 추가 라이센스(예.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VDA(Virtual Desktop Access) 등이 부과되고 가상화 솔루션 라이선스(예. VM웨어, 씨트릭스 젠데스크탑, 마이크로소프트 하이퍼브이) 역시 사용자 단위로 부과되는데 비해 본 발명의 경우 실제 운영체제 라이선스는 해당 하드웨어에 종속되는 특징이 있어 사용자 수보다 적은 데스크탑 피씨 수에 종속되어 비용이 월등히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머신이 아닌 실제 데스크탑 데스크탑 피씨에 접속함으로써 추가 라이센스가 필요 없어 월등히 저렴한 비용으로 구축하고 유지 비용 역시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컴퓨터(100)의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운영서버(200)의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저장서버(300)의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사용자단말기(400)의 블록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컴퓨터(100)의 블록도 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관해 도 1 내지 5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중 어느 하나를 연결시켜주는 운영서버(200)와 상기 컴퓨터(100)에서 사용될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여 생성된 데이터인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서버(300)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사용자단말기(40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컴퓨터(100)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하기능하고,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한다.
또한 아울러,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상기 컴퓨터(100)의 부팅(booting)을 위해 운영체제 데이터와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컴퓨터(100)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시킨다.
또한 아울러, 상기 운영서버(200)가 상기 컴퓨터(100)에 상기 저장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체제 데이터와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연결시키는 경우, 상기 컴퓨터(100)는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아울러,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컴퓨터(1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인터넷을 통한 네트워크로 연결시키기 앞서 상기 컴퓨터(100)의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컴퓨터(100)에 전원공급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아울러, 상기 저장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는 고유시스템정보와 사용자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순수한 운영체제 데이터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순수한 운영체제 데이터는 모든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체제에서 공통적이고 같은 내용의 데이터로 구성된 운영체제 데이터이다. 다시 말해, 상기 운영체제를 어떠한 컴퓨터에 설치하더라도 변경되지 않는 운영체제 데이터를 말한다.
또한 아울러,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만으로는 상기 컴퓨터(100)를 부팅시킬 수 없고,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가 함께 있어야 상기 컴퓨터(100)를 부팅 시킬 수 있다.
또한 아울러,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또한 아울러,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전용 단말기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다른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모니터 일체형 전용 단말기와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컴퓨터(100)의 블록도 이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컴퓨터(100)는 상기 컴퓨터(100)에서 부팅에 사용될 운영체제의 라이센스 정보를 저장하는 라이센스부(110)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원격부(130)와 상기 운영서버(200)와 상기 저장서버(3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통신하는 컴퓨터통신부(140)와 상기 운영서버(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컴퓨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부팅은 일반적인 컴퓨터에서 사용자가 운영 체제를 시동할 때 운영체제를 시작하는 부트스트래핑(bootstraping) 과정이며, 상기 부트스트래핑 과정을 수행하는 부트스트랩(bootstrap) 프로그램은 전원을 켜거나 재부팅을 할 때 적재되는 프로그램이다. 부트스트랩(bootstrap)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펌웨어라고 알려진 ROM 또는 EEPROM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100)의 시스템을 모든 측면에서 초기화하며 운영 체제 커널을 적재하고 실행시킨다.
또한 아울러, 상기 라이센스부(110)에 저장된 운영체제의 라이센스 정보는 상기 운영서버(200)가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100)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시킬 때,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컴퓨터(100)의 운영체제 라이센스에 맞는 운영체제의 운영체제 데이터를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선택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100)의 상기 라이센스부(110)에 운영체제의 라이센스 정보가 윈도우 10 pro인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원도우 10 pro에 해당되는 운영체제 데이터를 선택하고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와 함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연결시켜 상기 컴퓨터(100)를 부팅시킨다.
또한 아울러, 상기 원격부(130)에서 주고 받는 정보는 원격에 있는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할 수 있기 위해 필요한 일련의 정보를 말한다.
또한 아울러, 상기 컴퓨터통신부(140)가 통신을 수행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술이나 상기 네트워크 기술로부터 파생된 기술을 활용하여 수행한다.
또한 이때, 상기 컴퓨터(100)는 상기 컴퓨터(100)의 고유시스템 정보와 사용자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없는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컴퓨터(100)가 상기 저장부(120)에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은 상기 컴퓨터(100)가 부팅하는 데 있어서, 운영체제의 공통적이고 필수적인 데이터를 빠르게 로딩하기 위함이다. 이는 만약 상기 컴퓨터(100)에 저장부(120)가 없게 되면, 상기 컴퓨터(100)는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운영서버(200)를 거쳐 상기 저장서버(300)의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의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불러오게 되어 상기 네트워크 속도에 따라 상기 컴퓨터(100)의 부팅시간과 상기 컴퓨터(100)의 실사용 성능이 좌우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때, 상기 원격부(13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화면전송부(131)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입력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수신하는 입력수신부(132)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수신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133)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화면전송부(131)가 상기 컴퓨터(100)에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송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로 전송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디스플레이 화면을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경우, 전송양을 줄여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하기 위해 상기 컴퓨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차이가 발생한 부분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다.
또한 아울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하는 입력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통해 입력하는 정보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사용자가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저장장치 등을 연결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상기 컴퓨터(100) 원격 사용 중 상기 컴퓨터(100) 데이터를 가지고 와서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데이터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는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불러오는 데이터를 말하고, 상기 사용자가 출력한 데이터는 상기 컴퓨터(100) 원격 사용 중 상기 컴퓨터(100)의 데이터를 가지고 와서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데이터를 말하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는 상기 컴퓨터(100)의 데이터송수신부(133)가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출력한 데이터는 상기 컴퓨터(100)의 데이터송수신부(133)가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송신한다.
또한 아울러, 상기 사용자가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여 프린트 출력을 하는 경우, 프린트 출력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출력한 데이터로 상기 컴퓨터(100)의 상기 데이터송수신부(133)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100)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송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운영서버(200)의 블록도 이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부터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전송 받아 데이터베이스(250)에서 상기 인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부(210)와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인증부(210)를 통해 인증 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에 연결하고,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320)를 통해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운영체제 라이센스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라이센스에 해당되는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에 연결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컴퓨터(100)가 부팅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연결하는 라이센스 관리부(22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중 사용가능한 상기 컴퓨터(100)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운영체제 라이센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전원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와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에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에서 부팅 가능하게 상기 저장서버(300)로부터 상기 라이센스 관리부(22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합쳐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에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에 연결하여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를 부팅시키는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와 상기 인증부(210)가 인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5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와 상기 저장서버(3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통신하는 운영서버통신부(26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인증정보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와 단말기 일련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보안을 위해 다른 정보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아울러, 상기 인증부(210)가 사용자를 인증하는 바람직한 실시 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한 정보가 일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로 인증을 시도하는 것을 방지하고, 인증된 사용자를 구별하여 사용자 별로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구별하기 위함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는 상기 컴퓨터(100)의 부팅 속도를 위해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상기 저장서버(300)로부터 불러와서 상시 저장 가능하며,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속도가 빠른 RAM(Random Access Memory)에 저장 가능하다.
또한 아울러, 상기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를 통해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가 합쳐지고 상기 컴퓨터(100)에 연결된 후 상기 컴퓨터(100)는 연결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원격 부팅이 시작한다.
또한 아울러, 상기 운영서버통신부(260)가 통신을 수행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컴퓨터통신부(140)와 같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술이나 상기 네트워크 기술로부터 파생된 기술을 활용하여 수행한다.
또한 아울러, 상기 운영서버(200)의 수행은, 먼저,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상기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입력한다.
다음으로, 상기 인증부(21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인증정보와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인증한다.
다음으로, 상기 라이센스 관리부(220)는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인증부(210)를 통해 인증 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에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중 사용가능한 상기 컴퓨터(100)를 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는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운영체제 라이센스 정보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상기 라이센스 관리부(220)는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320)를 통해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운영체제 라이센스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라이센스에 해당되는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에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는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에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에서 부팅 가능하게 상기 저장서버(300)로부터 상기 라이센스 관리부(22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합쳐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에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에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는 상기 컴퓨터(100)의 전원이 입력이 안된 경우 상기 컴퓨터(100)에 전원을 입력하기 위해 상기 컴퓨터(100)의 상기 전원부(150)를 제어하여 상기 컴퓨터(100)에 전원을 입력한다.
다음으로, 상기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를 통해 합쳐서 상기 컴퓨터(100)에 연결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컴퓨터(100)를 상기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가 부팅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부팅된다.
다음으로, 부팅된 상기 컴퓨터(100)에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원격으로 연결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 데스크탑으로 사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저장서버(300)의 블록도 이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서버(300)는 상기 컴퓨터(100)에 연결될 운영체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운영체제부(310)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여 생성된 데이터인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데이터부(320)와 상기 운영서버(2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와 통신하는 저장서버통신부(33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저장서버통신부(330)가 통신을 수행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근거리 또는 원거리 네트워크 기술이나 상기 네트워크 기술로부터 파생된 기술을 활용하여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사용자단말기(400)의 블록도 이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상기 사용자가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에 키보드와 마우스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키보드와 마우스에서 생성되는 입력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41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여 프린트하는 경우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프린트 데이터를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프린트 장치에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420)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의 데이터를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외장저장장치에 저장하거나 상기 외장저장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로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외장저장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외장장치연결부(430)와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컴퓨터(100)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100)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원격부(440)와 상기 컴퓨터(100)와 상기 운영서버(200)와 통신하는 사용자단말통신부(45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출력부(420)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출력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네트워크로 전송 받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입력 인터페이스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아우러, 상기 출력부(420)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을 출력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해상도의 경우 최소 가로 1920픽셀과 세로 1080픽셀, 주사율의 경우 60Hz 이상, 마우스 및 키보드 평균지연 10ms 이하의 품질로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출력부(420)가 프린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네트워크로 전송 받은 프린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된 프린트 장치의 입력 인터페이스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외장장치연결부(430)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상기 외장저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USB메모리, 외장하드 등의 저장장치이고, 상기 외장장치연결부(430)의 데이터 통신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USB, eSATA, SATA, 선더볼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아울러,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가 통신을 수행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컴퓨터통신부(140)와 같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술이나 상기 네트워크 기술로부터 파생된 기술을 활용하여 수행한다.
또한 이때, 상기 단말원격부(44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는 화면수신부(441)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410)에 입력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송신하는 입력송신부(442)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수신 또는 송신하는 사용자단말데이터송수신부(443)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하는 입력정보는 상기 입력부(410)에 연결되어 있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통해 입력하는 정보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사용자가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저장장치 등을 연결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상기 컴퓨터(100) 원격 사용 중 상기 컴퓨터(100) 데이터를 가지고 와서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데이터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는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불러오는 데이터를 말하고, 상기 사용자가 출력한 데이터는 상기 컴퓨터(100) 원격 사용 중 상기 컴퓨터(100)의 데이터를 가지고 와서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데이터를 말하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사용자단말데이터송수신부(443)가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출력한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사용자단말데이터송수신부(443)가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아울러, 상기 사용자가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여 프린트 출력을 하는 경우, 프린트 출력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출력한 데이터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상기 사용자단말데이터송수신부(443)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100)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400)가 수신한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관해 도 6 내지 7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중 어느 하나를 연결시켜주는 운영서버(200)와 상기 컴퓨터(100)에서 사용될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여 생성된 데이터인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서버(300)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컴퓨터(100)에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전송하는 스트리밍서버(50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스트리밍서버(500)가 상기 컴퓨터(100)에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전송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일반적인 IPTV 서버가 IPTV셋탑박스에 실시간 방송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스트리밍서버(500)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IPTV 셋탑박스이고, IPTV 셋탑박스로 구성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원격으로 접속하기 위한 방식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사용자가 특정한 채널을 선택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컴퓨터(100)의 블록도 이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컴퓨터(100)는 상기 컴퓨터(100)에서 부팅에 사용될 운영체제의 라이센스 정보를 저장하는 라이센스부(110)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원격부(130)와 상기 운영서버(200)와 상기 저장서버(3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통신하는 컴퓨터통신부(140)와 상기 운영서버(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컴퓨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와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스트리밍서버(500)에 출력하는 화면출력부(160)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때, 상기 원격부(13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입력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수신하는 입력수신부(132)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수신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133)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때,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상기 사용자가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에 키보드와 마우스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키보드와 마우스에서 생성되는 입력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41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스트리밍서버(50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여 프린트하는 경우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프린트 데이터를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프린트 장치에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420)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의 데이터를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외장저장장치에 저장하거나 상기 외장저장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로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외장저장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외장장치연결부(430)와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컴퓨터(100)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100) 및 상기 스트리밍서버(500)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원격부(440)와 상기 컴퓨터(100)와 상기 운영서버(200)와 상기 스트리밍서버(500)와 통신하는 사용자단말통신부(45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출력부(420)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출력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스트리밍서버(50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입력 인터페이스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출력부(420)가 프린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네트워크로 전송 받은 프린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된 프린트 장치의 입력 인터페이스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이때, 상기 단말원격부(44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스트리밍서버(500)를 통해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는 화면수신부(441)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410)에 입력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송신하는 입력송신부(442)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수신 또는 송신하는 사용자단말데이터송수신부(443)로 이루어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00: 컴퓨터
110: 라이센스부
120: 저장부
130: 원격부
131: 화면전송부
132: 입력수신부
133: 데이터송수신부
140: 컴퓨터통신부
150: 전원부
160: 화면출력부
200: 운영서버
210: 인증부
220: 라이센스 관리부
230: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
240: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
250: 데이터베이스
260: 운영서버통신부
300: 저장서버
310: 운영체제부
320: 사용자데이터부
330: 저장서버통신부
400: 사용자단말기
410: 입력부
420: 출력부
430: 외장장치연결부
440: 단말원격부
441: 화면수신부
442: 입력송신부
443: 사용자단말데이터송수신부
450: 사용자단말통신부
500: 스트리밍서버

Claims (13)

  1.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중 어느 하나를 연결시켜주는 운영서버(200);
    상기 컴퓨터(100)에서 사용될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여 생성된 데이터인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서버(300);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사용자단말기(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100)는
    상기 컴퓨터(100)에서 부팅에 사용될 운영체제의 라이센스 정보를 저장하는 라이센스부(110);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원격부(130);
    상기 운영서버(200)와 상기 저장서버(3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통신하는 컴퓨터통신부(140); 및
    상기 운영서버(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컴퓨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100)는
    상기 컴퓨터(100)의 고유시스템 정보와 사용자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없는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부(13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화면전송부(131);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입력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수신하는 입력수신부(132);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수신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13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부터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전송 받아 데이터베이스(250)에서 상기 인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부(210);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인증부(210)를 통해 인증 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에 연결하고,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320)를 통해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운영체제 라이센스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서버(300)에서 상기 라이센스에 해당되는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를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에 연결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컴퓨터(100)가 부팅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연결하는 라이센스 관리부(220);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 중 사용가능한 상기 컴퓨터(100)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운영체제 라이센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의 전원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에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에서 부팅 가능하게 상기 저장서버(300)로부터 상기 라이센스 관리부(22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운영체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합쳐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관리부(230)에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에 연결하여 선정된 상기 컴퓨터(100)를 부팅시키는 컴퓨터 데이터 관리부(240);
    상기 인증부(210)가 인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5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와 상기 저장서버(3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통신하는 운영서버통신부(2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서버(300)는
    상기 컴퓨터(100)에 연결될 운영체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운영체제부(310);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여 생성된 데이터인 사용자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데이터부(320); 및
    상기 운영서버(2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100)와 통신하는 저장서버통신부(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상기 사용자가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에 키보드와 마우스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키보드와 마우스에서 생성되는 입력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410);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여 프린트하는 경우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프린트 데이터를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프린트 장치에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420);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의 데이터를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외장저장장치에 저장하거나 상기 외장저장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로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외장저장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외장장치연결부(430);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컴퓨터(100)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100)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원격부(440); 및
    상기 컴퓨터(100)와 상기 운영서버(200)와 통신하는 사용자단말통신부(4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원격부(44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는 화면수신부(441);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410)에 입력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송신하는 입력송신부(442);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수신 또는 송신하는 사용자단말데이터송수신부(44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100)에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전송하는 스트리밍서버(5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100)는
    상기 컴퓨터(100)에서 부팅에 사용될 운영체제의 라이센스 정보를 저장하는 라이센스부(110);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원격부(130);
    상기 운영서버(200)와 상기 저장서버(3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통신하는 컴퓨터통신부(140);
    상기 운영서버(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컴퓨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 및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스트리밍서버(500)에 출력하는 화면출력부(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부(13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입력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수신하는 입력수신부(132);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통신부(140)를 통해 수신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13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상기 사용자가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에 키보드와 마우스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키보드와 마우스에서 생성되는 입력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410);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스트리밍서버(50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를 원격으로 사용하여 프린트하는 경우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프린트 데이터를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프린트 장치에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420);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의 데이터를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외장저장장치에 저장하거나 상기 외장저장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하는 상기 컴퓨터(100)로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외장저장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외장장치연결부(430);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컴퓨터(100)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상기 컴퓨터(100) 및 상기 스트리밍서버(500)와 상기 컴퓨터(100)의 원격 사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원격부(440); 및
    상기 컴퓨터(100)와 상기 운영서버(200)와 상기 스트리밍서버(500)와 통신하는 사용자단말통신부(4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원격부(44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상기 컴퓨터(100)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스트리밍서버(500)를 통해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 받는 화면수신부(441);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410)에 입력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송신하는 입력송신부(442);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단말통신부(4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0)에 수신 또는 송신하는 사용자단말데이터송수신부(44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KR1020170083157A 2017-06-30 2017-06-30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KR102018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57A KR102018605B1 (ko) 2017-06-30 2017-06-30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57A KR102018605B1 (ko) 2017-06-30 2017-06-30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90A true KR20190002890A (ko) 2019-01-09
KR102018605B1 KR102018605B1 (ko) 2019-09-06

Family

ID=6501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157A KR102018605B1 (ko) 2017-06-30 2017-06-30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6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742A (ko) * 2019-09-10 2021-03-18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102301393B1 (ko) * 2020-12-04 2021-09-15 엠에스엘엠 주식회사 서버 블레이드를 이용한 메시 형상의 서비스형 데스크톱 플랫폼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519A (ko) 2002-01-30 2003-08-30 (주)크라베르 컴퓨터 원격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8204120A (ja) * 2007-02-20 2008-09-04 Hitachi Ltd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11100270A (ja) * 2009-11-05 2011-05-19 Mitsubishi Electric Corp 画面共有システム及び画面共有サーバ
KR20140143953A (ko) * 2013-06-10 2014-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519A (ko) 2002-01-30 2003-08-30 (주)크라베르 컴퓨터 원격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8204120A (ja) * 2007-02-20 2008-09-04 Hitachi Ltd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11100270A (ja) * 2009-11-05 2011-05-19 Mitsubishi Electric Corp 画面共有システム及び画面共有サーバ
KR20140143953A (ko) * 2013-06-10 2014-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ko.wikipedia.org/wiki/부팅
https://ko.wikipedia.org/wiki/원격_데스크톱_소프트웨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742A (ko) * 2019-09-10 2021-03-18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102301393B1 (ko) * 2020-12-04 2021-09-15 엠에스엘엠 주식회사 서버 블레이드를 이용한 메시 형상의 서비스형 데스크톱 플랫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605B1 (ko) 201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168B1 (ko)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8650273B2 (en) Virtual serial concentrator for virtual machine out-of-band management
US103412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transmitting volumes into cloud
US94892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desktop service
US10958633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transmitting volumes into cloud
US9116735B2 (en) Offline provisioning of virtual machines
US9756010B2 (en) Resolving network address conflicts
US9400671B2 (en) Computer host with a baseboard management controller to manage virtual machines
US200901505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remote module on vios to manage backups to remote backup servers
US8677454B2 (en) Utilization of virtual machines by a community cloud
MX2013014599A (es) Escritorio basado en navegador web y solucion de ubicacion remota de aplicacion.
KR101587994B1 (ko) 하드디스크 가상화 방식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시스템
MXPA06009565A (es) Terminal de red operado por medio de un sistema operativo descargable, y metodo para su operacion.
KR101680702B1 (ko) 클라우드 기반 웹 호스팅 시스템
KR20120096741A (ko) 가상단말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기종 단말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
US856081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mputer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termining whether operating environment can be assigned
KR102102169B1 (ko)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방법
KR101239290B1 (ko) 제로 클라이언트를 지원하는 가상화 서버의 가상 머신 설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2890A (ko) 다중 사용자용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US20150227383A1 (en) Application program virtualization system and method of virtualizing application program of user terminal
US10979289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emote computing node registration and authentication
US11212168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emote computing node initialization using a configuration template and resource pools
US9549019B2 (en) Managing a logical client for a virtual machine
US108628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tunneling of management traffic
KR20170105317A (ko) 하드웨어 기반의 gpu를 이용한 가상머신의 화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