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748B1 - 망 전환 단말기 - Google Patents

망 전환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748B1
KR101255748B1 KR1020120145077A KR20120145077A KR101255748B1 KR 101255748 B1 KR101255748 B1 KR 101255748B1 KR 1020120145077 A KR1020120145077 A KR 1020120145077A KR 20120145077 A KR20120145077 A KR 20120145077A KR 101255748 B1 KR101255748 B1 KR 101255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perating system
button
data receiving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숙영
문송철
유형근
허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컴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컴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컴트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748B1/ko
Priority to JP2013176875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4049132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선택부; 외부망와 연결된 제1 랜카드와 상기 외부망과 격리된 내부망에 연결된 제2 랜카드; 상기 제1 랜카드에 할당된 제1 운영체제와 상기 제2 랜카드에 할당된 제2 운영체제;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가 연결되는 I/O장치 연결부; 상기 제1 운영체제와 제2 운영체제를 각각 구동시키는 가상운영체제를 동작시키는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를 포함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제1 운영체제와 I/O장치 연결부 간의 제1 입출력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데이터수신부 및 제2 운영체제와 I/O장치 연결부 간의 제2 입출력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데이터수신부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제1 데이터수신부 및 제2 데이터수신부 중 어느 하나만 활성화시키고 다른 하나는 비활성화시키되, 상기 제1 버튼이 작동되면 현재 활성화된 데이터수신부는 비활성화시키고 현재 비활성화되어 있는 데이터수신부는 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위칭처리부를 포함하는 망 전환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한 대의 단말기에 두 개의 서로 다른 운영체제가 각각 구동되게 하고 단말기 본체에 스위칭처리부와 버튼부를 장착하여 두 개의 운영체제의 환경이 하나의 모니터, 마우스 및 키보드에 바로 전환되어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두 대의 컴퓨터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비용이 절감되고 독립적으로 분리된 망에 의해 보안상의 문제점도 해결된다.

Description

망 전환 단말기{NETWORK SWITCHING TERMINAL}
본 발명은 망 분리하여 단말기 내 제1 운영체제와 제2 운영체제 및 그에 따른 모니터화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전환하고 제어할 수 있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는 단말기 내부에 물리적으로 두 개의 랜카드를 장착하여 외부망과 내부망로 분리하고 그에 따라 제1 운영체제 및 제2 운영체제로 각각 할당하여 각각 구현되도록 하는 단말기로써, 한 대의 단말기가 두 대의 기능과 성능을 갖도록 독립된 제1 운영체제(OS)와 제2 운영체제(OS)로 구성되고, 제1 운영체제 및 제2 운영체제가 각각 구동하면서 하나의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에 제1 운영체제 환경 또는 제2 운영체제 환경이 선택적으로 할당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중앙처리부를 갖춘 단말기에서 독립된 외부망와 내부망에 할당된 제1 운영체제와 제2 운영체제를 각각 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는 스위칭부와 명령프로토콜 송수신을 위한 RS232 통신부가 구비된 스위칭처리부를 내장하여 중앙처리부 내의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137)와 통신함으로써, 이를 통해 하나의 운영체제에서 다른 운영체제로 망 전환 및 각 운영체제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고, 키보드, 마우스 및 모니터의 선택이 가능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보안이 중요시되는 관공서 및 기업에서는 보안상의 강화를 이유로 하여 내부보안을 위한 내부망과 외부 검색 등을 위해 사용되는 외부망을 구분하려는 망 이중화의 필요성이 크게 증대되었고 이를 반영한 실제 구축 사례가 점차 증가해왔다. 기존의 망 분리는 크게 물리적 망 분리 및 논리적 망 분리 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물리적 망 분리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장치 및 시스템을 통해 각 개별 망에 해당하는 단말기를 독립적으로 각각 사용하는 방법이며, 논리적인 망 분리는 논리적인 패킷을 구분하여 데이터 또는 패킷을 필터링하는 논리적인 기능 블록을 사용하여 논리적인 데이터 자체를 분리하는 방법이다. 이 중에서 클라이언트 시스템 측면에서 시스템 종류를 세분화하면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하나의 단말기 케이스 안에 서로 다른 2대의 중앙처리부가 내장된 망 분리형 단말기이고, 두 번째는 소프트웨어만으로 논리적으로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를 공유해서 소켓 또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 계층에서 IP패킷을 논리적으로 내부망과 외부망으로 구분 필터링 또는 스위칭하여 사용하는 방식의 망 분리형 단말기이다. 그러나 기존의 망 분리에 사용되는 물리적 망 분리 구축을 위한 클라이언트 시스템 단말기나 서로 다른 2대의 중앙처리부를 내장하는 형태의 망 분리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두 개씩의 장치를 모두 갖춘 2대의 단말기 구축비용을 필요로 하며 사용 전력도 2배가 소요된다. 또한 논리적인 데이터 또는 패킷 구분을 통한 망 분리 단말기는 해킹의 가능성 및 보안의 취약성이 존재하여 구축비용은 절감할 수 있으나 독립된 안전한 망 분리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리적인 망 분리를 건물 또는 전산실 단위로 구축할 경우 다량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중복적으로 사용되어 전체 전력 사용량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망 분리를 구현하기 위해 단말기에서 망 이중화를 운영체제(OS) 수준에서 구분되도록 하는 가상운영체제와 연동하여 제어부에 의해 운영체제를 직접 전환하고 제어하는 장치로, 하나의 중앙처리부 상에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직접 망 스위칭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두 개의 랜카드를 각각의 운영체제에 할당하여 두 개의 서로 다른 운영체제 환경을 분리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운영체제 수준에서 독립된 확실한 망 보안을 보장하고, 중앙처리부 간 운영체제 간에 신뢰도 높은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안정적 전환을 수행하며, 사용자에게 단일 모니터, 마우스 및 키보드를 통해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 제어부에 의한 전력량 관리 및 표시 정보 출력으로 전력 관리 모니터링용으로도 사용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체적인 시스템 비용이 절감되고 보다 높은 운영체제 분리 수준으로 보안의 안전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인 망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안전하고 경제적인 망 분리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대의 중앙처리부를 통해 망 이중화를 실현하기 위해 가상운영체제를 제어하고, 내부망과 외부망으로 분리된 단말기의 중앙처리부 상의 제1 운영체제 및 제2 운영체제를 각각 관리할 수 있으며, 보안이 가능한 독립적인 인터넷망을 제1 운영체제 및 제2 운영체제 환경에 각각 제공하면서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망 전환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를 사용하기 위해 패널에 버튼선택부를 설치함으로써, 두 개의 화면신호, 키보드 및 마우스를 완전하게 독립적으로 실행되도록 하고, 버튼 동작에 따라 하나의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에 하나의 운영체제 환경이 제공되도록 하는 망 전환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안을 확인할 수 있는 key lock기능을 통해 제1 운영체제 및 제2 운영체제로 접근 불가능하게 하는 기능이 포함된 망 전환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업 및 관공서 전산실의 다량의 단말기가 망 이중화 방식으로 복수로 할당되어 구축될 경우 전력관리의 필요성에 따라 각 단말기마다의 전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망 전환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선택부; 외부망와 연결된 제1 랜카드와 상기 외부망과 격리된 내부망에 연결된 제2 랜카드; 상기 제1 랜카드에 할당된 제1 운영체제와 상기 제2 랜카드에 할당된 제2 운영체제;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가 연결되는 I/O장치 연결부; 상기 제1 운영체제와 제2 운영체제를 각각 구동시키는 가상운영체제를 동작시키는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를 포함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제1 운영체제와 I/O장치 연결부 간의 입출력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데이터수신부 및 제2 운영체제와 I/O장치 연결부 간의 입출력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데이터수신부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제1 데이터수신부 및 제2 데이터수신부 중 어느 하나만 활성화시키고 다른 하나는 비활성화시키되, 상기 제1 버튼이 작동되면 현재 활성화된 데이터수신부는 비활성화시키고 현재 비활성화되어 있는 데이터수신부는 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위칭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망 전환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의 패널 외측에 컴퓨터 운영시 소모되고 있는 전력이 표시되는 전력 사용량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버튼선택부는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에 제1 운영체제를 활성 또는 비활성하도록 신호를 송신하는 제2 버튼,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에 제2 운영체제를 활성 또는 비활성하도록 신호를 송신하는 제3 버튼,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에 제1 운영체제를 복구하도록 신호를 송신하는 제4 버튼,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에 제2 운영체제를 복구하도록 신호를 송신하는 제5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버튼선택부는 상기 제1 데이터수신부와 제2 데이터수신부의 각 활성화 상태 및 상기 제1 운영체제와 제2 운영체제의 각 활성화 상태가 표시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표시부는 제1 데이터수신부가 활성화되면 점등되는 제1 점등부, 제2 데이터수신부가 활성화되면 점등되는 제2 점등부, 제1 운영체제가 활성화되면 점등되는 제3 점등부 및 제2 운영체제가 활성화되면 점등되는 제4 점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제1 데이터수신부를 활성화시킬 때 제1 점등부에 점등 신호를 보내고, 제1 데이터수신부를 비활성화시킬 때 제1 점등부에 소등 신호를 보내며, 제2 데이터수신부를 활성화시킬 때 제2 점등부에 점등 신호를 보내고, 제2 데이터수신부를 비활성화시킬 때 제2 점등부에 소등 신호를 보내며,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로부터 통신부를 통해 제1 운영체제의 활성화 상태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 운영체제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제3 점등부에 점등 또는 소등 신호를 보내며, 가상운영체 통신제어부로부터 통신부를 통해 제2 운영체제의 활성화 상태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운영체제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제4 점등부에 점등 또는 소등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망 전환 단말기는 제1 점등부와 제3 점등부가 하나의 점등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경우, 제1 운영체제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따라 제1 점등부에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하고, 제2 점등부와 제4 점등부가 하나의 점등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경우, 제2 운영체제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따라 제2 점등부에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말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조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감지 센서로부터 일정 조도 이상의 빛이 감지되었는지에 따라 단말기 본체의 개폐상태를 판단하여, 단말기 본체가 열려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운영체제와 제2 운영체제를 비활성화시키고, 단말기 본체가 닫혀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운영체제와 제2 운영체제를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망과 외부망으로 분리된 중앙처리부 상의 제1 운영체제 및 제2 운영체제를 관리할 수 있으며, 보안이 가능한 독립적인 인터넷망을 제1 운영체제 및 제2 운영체제 사용환경에 각각 제공하면서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망 전환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를 사용하기 위해 패널에 버튼선택부를 설치함으로써, 두 개의 화면신호, 키보드 및 마우스를 완전하게 독립적으로 실행되도록 하여 선택된 운영체제에 따라 하나의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가 대응하게 동작되도록 하는 망 전환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망 분리형 단말기 시스템 구축비용보다 절반 가까이 절약되고 소비전력도 30% 이상 절감되는 망 전환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두 대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내부망을 통한 업무, 외부망을 통한 업무를 동시 처리 및 관리해야하는 영역의 업무에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망 전환 단말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망 전환 단말기의 스위칭처리부와 버튼선택부의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망 전환 단말기의 내부 구성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망 전환 단말기의 논리적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망 전환 단말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망 전환 단말기(100)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 하나에 랜카드 두 개를 장착하여 내부망(300)과 외부망(200)으로 분리하고 제1 운영체제(133)와 제2 운영체제(134)를 각각 할당하여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이다.
쉽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단말기에 두 개의 랜카드를 설치하여 외부망(200)과 내부망(300)으로 분리하고 내부망(300)에 제1 운영체제(133)를, 외부망(200)에 제2 운영체제(134)를 할당하여 제1 운영체제(133)와 제2 운영체제(134)를 각각 구동시키면서 제1 운영체제(133)와 제2 운영체제(134) 간에 사용자 환경을 전환하고자 할 때 단말기를 껐다켰다하는 동작없이 한 번의 버튼 선택으로 바로 운영체제 환경이 전환되어 하나의 마우스, 키보드 및 모니터로 두 개의 운영체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망 전환 단말기(100)는 스위칭처리부(120), 상기 스위칭처리부(120)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버튼선택부(110) 및 중앙처리부(130)를 포함한다.
중앙처리부(130)는 외부망(200)와 연결된 제1 랜카드(131)와 상기 외부망(200)와 격리된 내부망(300)에 연결된 제2 랜카드(132); 상기 제1 랜카드(131)에 할당된 제1 운영체제(133)와 상기 제2 랜카드(132)에 할당된 제2 운영체제(134);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가 연결되는 I/O장치 연결부(136); 상기 제1 운영체제(133)와 제2 운영체제(134)를 각각 구동시키는 가상운영체제를 동작시키는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137)를 포함한다. 이때,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137)는 제1 운영체제(133) 및 제2 운영체제(134)를 각각 구동시키고, 스위칭처리부의 통신부(126)로부터 통신 프로토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가상운영체제의 소프트웨어로 단말기상의 중앙처리부(130)에 존재한다.
스위칭처리부(120)는 상기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137)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26); 제1 운영체제(133)와 I/O장치 연결부(136) 간의 제1 입출력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데이터수신부(124a) 및 제2 운영체제(134)와 I/O장치 연결부(136) 간의 제2 입출력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데이터수신부(124b)를 포함하는 스위칭부(124); 제1 데이터수신부(124a) 및 제2 데이터수신부(124b) 중 어느 하나만 활성화시키고 다른 하나는 비활성화시키되, 상기 제1 버튼(111)이 작동되면 현재 활성화된 데이터수신부는 비활성화시키고 현재 비활성화되어 있는 데이터수신부는 활성화시키는 제어부(122)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데이터수신부는 비디오 신호와 USB신호가 포함된 제1 입출력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곳으로써, 제1 입출력데이터는 제1 운영체제와 연결된 모니터, 마우스, 키보드 데이터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데이터수신부도 비디오 신호와 USB 신호가 포함된 제2 입출력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곳으로써, 제2 입출력데이터는 제2 운영체제와 연결된 모니터, 마우스, 키보드 데이터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칭부(124)는 제1 입출력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데이터수신부와 제2 입출력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데이터수신부의 구성으로 분리하는 것 외에 제1 운영체제 및 제2 운영체제와 I/O장치 연결부(136) 간의 비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비디오 수신부, 제1 운영체제 및 제2 운영체제와 I/O장치 연결부(136) 간의 마우스, 키보드의 USB 신호를 송수신하는 USB 수신부의 구성으로 분리가능하다.
즉, 제어부(122)는 제1 운영체제(133)와 제2 운영체제(134)가 각각 구동되되, 제1 운영체제(133)와 논리적으로 연결된 제1 데이터수신부(124a)와 제2 운영체제(134)와 논리적으로 연결된 제2 데이터수신부(124b) 중 하나만 I/O장치 연결부(136)와 연결되도록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제1 버튼(111)의 동작에 따라 I/O장치 연결부(136)에 제1 데이터수신부(124a) 또는 제2 데이터수신부(124b) 중 하나가 연결되도록 송수신하고,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137)에 의한 명령 및 응답확인을 통해 제어하고 또한 스위칭처리부(120)의 모든 것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스위칭처리부(120)는 PCI(127) 카드형태로 단말기 본체의 PCI 슬롯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조도 감지 센서(150)를 더 포함하고, 이때 제어부(122)는 상기 조도 감지 센서(150)로부터 일정 조도 이상의 빛이 감지되었는지에 따라 단말기 본체의 개폐상태를 판단하여, 단말기 본체가 열려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운영체제(133)와 제2 운영체제(134)를 비활성화시키고, 단말기 본체가 닫혀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운영체제(133)와 제2 운영체제(134)를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126)를 통해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137)에 전송함으로써 제1 운영체제(133)와 제2 운영체제(134)가 보안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업 및 관공서 전산실의 다량의 단말기가 망 이중화 방식으로 복수로 할당되어 구축될 경우 전력관리의 필요성에 따라 각 단말기마다의 전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가동시 소모되고 있는 전력이 표시되는 전력 사용량표시부(140)가 단말기 본체 패널에 형성된다. 이때, 중앙처리부(130) 내에서 시간이 카운트 되는 신호를 중간에서 인터럽트하여 계산된 전력 사용량을 FND표시장치 또는 RS232 통신채널로 송출하고 통신부(126)가 이를 수신하여 전력 사용량표시부(140)에 나타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말기를 구분할 수 있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단말기마다의 고유 KEY 숫자 및 문자열의 연속값을 내장한 USB 형태의 KEY 값을 구분하여 동작되는 Key Lock 기능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망 전환 단말기의 스위칭처리부와 버튼선택부(11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칭부(124)는 제1 데이터수신부(124a)와 제2 데이터수신부(124b)로 구분된다. 제1 운영체제(133)와 논리적으로 연결된 제1 데이터수신부(124a)는 제1 운영체제(133)와 관련된 데이터를 I/O장치 연결부(136)에 송신하여 모니터화면에 제1 운영체제(133) 환경이 표시되고 키보드와 마우스도 제1 운영체제(133)에서 입력가능한 사용자 환경이 제공되도록 한다. 제2 운영체제(134)와 논리적으로 연결된 제2 데이터수신부(124b)는 제2 운영체제(134)와 관련된 데이터를 I/O장치 연결부(136)에 송신하여 모니터, 마우스 및 키보드가 제2 운영체제(134) 사용자 환경에 맞춰 동작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22)는 제1 데이터수신부(124a) 및 제2 데이터수신부(124b) 중 어느 하나만 활성화시키고 다른 하나는 비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운영체제(133) 환경에서 제2 운영체제(134) 환경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제1 버튼(111)을 누르면, 중앙처리부(130)를 거치지 않고, 제어부(122)에 의해 바로 현재 활성화된 제1 데이터수신부(124a)는 비활성화되고 현재 비활성화되어 있는 제2 데이터수신부(124b)는 활성화되어 모니터화면에 제1 운영체제(133) 환경에서 제2 운영체제(134) 환경으로 전환되고, 마우스와 키보드도 제2 운영체제(134)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동시에 전환된다. 여기서, 한 번 더 누르면 제1 운영체제(133)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사용자 환경이 동시에 전환된다. 이때, 제어부(122)는 통신부(126)를 거처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137)에 의해 제1운영체제(133) 또는 제2운영체제(134)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122)는 스위칭부(124)를 제어하여 제1 데이터수신부(124a) 및 제2 데이터수신부(124b) 중 하나만 I/O장치 연결부(136)에 신호 수신이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제2 버튼(112)을 눌러 제1 운영체제(133)를 끄고자 하면, 통신부(126)는 제1 운영체제(133)를 OFF하라는 신호를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137)에 송신하고, 명령처리부(137)는 가상운영체제의 라이브러리 및 기능을 이용하여 제어부의 명령에 해당하는 제1 운영체제(133)를 비활성화시키고, 동시에 제1 운영체제(133)와 연결된 제1 데이터수신부(124a)도 비활성화 됨으로써 제1 데이터수신부(124a)는 I/O장치 연결부(136)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즉, 스위칭부(124)는 버튼선택부(110)에 의해 물리적으로 선택된 버튼에 따라 제1 운영체제(133)에서 제2 운영체제(134)로 또는 제2 운영체제(134)에서 제1 운영체제(133)로 사용자 환경이 전환되면 그에 대응하는 운영체제 환경이 모니터화면에 출력되고 키보드와 마우스는 그 운영체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입력이 가능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망 전환 단말기의 내부 구성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망 전환 단말기의 논리적 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중앙처리부(130)에 제1 랜카드(131)와 제2 랜카드(132)를 장착하여 내부망(300)과 외부망(200)으로 분리하고, 제1 랜카드(131)에 할당된 제1 운영체제(133)와 제2 랜카드(132)에 할당된 제2 운영체제(134)를 각각 구동시키면서, 선택된 버튼에 따라 스위칭처리부의 제어부(122)가 제1 데이터수신부(124a)와 제2 데이터수신부(124b) 중 하나의 신호만 I/O장치 연결부(136)에 송신하여 사용자가 제1 운영체제(133) 환경과 제2 운영체제(134) 환경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망 전환 단말기(100)에 관한 것이다.
버튼선택부(110)는 단말기 본체의 패널에 복수 개의 버튼과 상태구분을 위한 LED가 형성되는데 상기 버튼선택부(110)에는 제1 버튼(111), 제2 버튼(112), 제3 버튼(113), 제4 버튼(114) 및 제5 버튼(115)이 형성되고 스위칭처리부에 신호 송신시 딜레이없이 동작되도록 하기 위해 아날로그방식 그대로 송신한다.
제1 버튼(111)은 제1 운영체제(133) 환경에서 작업하다가 제2 운영체제(134) 환경에서 작업하고자 할 경우 또는 제2 운영체제(134) 환경에서 제1 운영체제(133) 환경으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운영체제(133) 환경에서 작업하다가 제2 운영체제(134) 환경에서 작업하기 위해 제1 버튼(111)을 누르면, 스위칭처리부(120)는 현재 활성되어 있던 제1 데이터수신부(124a) 신호를 차단하고 현재 비활성되어 있던 제2 데이터수신부(124b) 신호를 I/O장치 연결부(136)에 송신하여 제2 운영체제(134) 환경에서 사용되는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가 동작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2 운영체제(134) 환경에서 제1 운영체제(133)환경으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에도 같은 경로를 통해 제1 데이터수신부(124a)가 활성화되어 모니터화면에 제1 운영체제(133) 환경이 표시되고 키보드와 마우스도 제1 운영체제(133)에서 작동된다.
즉, 제1 버튼(111)을 사용하면, 외부망(200)을 사용할 수 있는 제1 운영체제(133)와 내부망(300)을 사용할 수 있는 제2 운영체제(134)가 각각 구동되는 상태에서 하나의 모니터화면에 제1 운영체제(133) 환경과 제2 운영체제(134) 환경을 번갈아 가며 띄어서 작업할 수 있고 그에 대응하게 마우스와 키보드가 바로 전환되어 사용자가 불편함없이 버튼 누르는 동작하나로 두 운영체제 환경에서 작업이 가능하다.
제2 버튼(112)은 제1 운영체제(133)를 온오프할 경우에 사용한다. 제2 버튼(112)을 누르면, 제어부(122)는 통신부(126)를 통해 중앙처리부의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137)에 제1 운영체제(133)를 활성 또는 비활성하도록 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135)는 제1 운영체제(133)가 실행 또는 종료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스위칭처리부의 제어부(122)로부터의 명령은 통신부를 거쳐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137)로 송신되어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137)에서 실행되어 운영체제가 활성 또는 비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제2 버튼(112)을 눌러 제1 운영체제(133)를 끌 경우, 제어부(122)는 통신부(126)를 통해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137)에 제1 운영체제(133)가 비활성상태로 전환되도록 시호를 송신하고,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137)는 수신된 명령에 따라 명령을 수행하여 제1 운영체제를 종료시킨다. 또한, 제1 운영체제(133)가 비활성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제1 데이터수신부(124a)가 오프된다.
제3 버튼(113)은 제2 운영체제(134)를 온오프할 경우에 사용한다. 제3 버튼(113)을 누르면, 상기 제2 버튼(112)과 같은 경로를 통해 제2 운영체제(134)가 활성 또는 비활성상태로 전환되고 그에 대응하게 제2 데이터수신부(124b)가 온오프된다.
제4 버튼(114)은 제1 운영체제(133)를 복구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제4 버튼(114)을 누르면 제어부(122)는 통신부(126)를 통해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137)에 제1 운영체제(133)를 복구하라는 명령신호를 송신하고, 복구가 완료되면 복구가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137)를 통해 통신부(126)에 송신한다.
제5 버튼(115)은 제2 운영체제(134)를 복구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제5 버튼(115)을 누르면 제4 버튼(114)과 같은 경로로 제어부(122)는 통신부(126)를 통해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137)에 제1 운영체제(133)를 복구하라는 명령신호를 송신하고, 복구가 완료되면 복구가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통신부(126)를 통해 제어부(122)가 수신한다.
또한, 버튼선택부(110)는 제1 데이터수신부(124a)와 제2 데이터수신부(124b)의 각 활성화 상태 및 제1 운영체제(133)와 제2 운영체제(134)의 각 활성화 상태가 표시되는 상태표시부(118)를 포함한다. 상태표시부(118)는 제1 데이터수신부(124a)가 활성화되면 점등되는 제1 점등부, 제2 데이터수신부(124b)가 활성화되면 점등되는 제2 점등부, 제1 운영체제(133)가 활성화되면 점등되는 제3 점등부 및 제2 운영체제(134)가 활성화되면 점등되는 제4 점등부를 포함한다. 제1 점등부는 제1 데이터수신부(124a)와 연결되어 작동하고, 제2 점등부는 제2 데이터수신부(124b)와 연결되어 작동한다. 제3 점등부는 제1 운영체제(133)와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고 제4 점등부는 제2 운영체제(134)와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한다. 이때, 상태표시부(118)는 LED 또는 VFD로 점등 또는 소등의 표시방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제1 버튼(111)을 눌러 제1 운영체제(133)와 제2 운영체제(134) 중 제2 운영체제(134)가 사용자 환경으로 실행될 경우 제2 점등부가 점등, 제1 점등부가 소등된다. 여기서 제1 버튼(111)을 한 번 더 누르면 제1 데이터수신부(124a)가 I/O장치 연결부(136)에 신호를 송신되어 제1 운영체제(133) 사용자 환경이 실행되고 제1 데이터수신부(124a)와 연결된 제1 점등부가 점등 제2 데이터수신부(124b)와 연결된 제2 점등부가 소등된다. 이때 제1 점등부와 제2 점등부는 토글상태로 제1 버튼(111)을 누를 때마다 반복적으로 제1 점등부와 제2 점등부가 점등 또는 소등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모니터화면에 띄워놓고 사용하는 운영체제 환경이 점등되는 것이다. 즉, 제1 운영체제(133)가 모니터화면에 나타나면 제1 점등부가 점등, 제2 점등부가 소등된다.
또한, 제2 버튼(112)을 눌러 제1 운영체제(133)가 OFF되도록 명령하면, 제어부(122)는 통신부(126)를 통해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137)에 OFF신호를 송신하여 제1 운영체제(133)가 비활성상태로 전환되고, 제1 운영체제(133)와 연결된 제3 점등부는 제어부(122)에 의해 소등되어 제1 운영체제(133)가 비활성 상태임이 상태표시부(118)에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제3 버튼(113)을 눌러 제2 운영체제(134)가 ON되도록 명령하면, 제어부(122)는 통신부(126)를 통해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137)에 ON신호를 송신하여 제2 운영체제(134)가 활성상태로 전환되고, 제2 운영체제(134)와 연결된 제4 점등부는 제어부(122)에 의해 점등되어 제2 운영체제(134)가 활성 상태임이 상태표시부(118)에 표시된다. 이때, 제3 점등부는 제1 운영체제(133)의 활성 또는 비활성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제4 버튼(114)에 의해 제1 운영체제(133)가 복구되는 동안에는 비활성상태이므로 소등되고, 제1 운영체제(133)가 복구되었을 때에는 제3 점등부가 점등된다. 제4 점등부도 제2 운영체제(134)의 활성 또는 비활성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제5 버튼(115)에 의해 제2 운영체제(134)가 복구되는 동안에는 비활성상태이므로 소등되고, 제2 운영체제(134)가 복구되었을 때에는 제4 점등부가 점등된다. 이는 운영체제가 복구되면 제3 점등부 및 제4 점등부가 점등되게 함으로써 복구의 완료 시점이 판단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한 대의 단말기로 제1 운영체제(133)와 제2 운영체제(134)를 각각 구동시켜놓고 외부망(200)에 할당된 제1 운영체제(133) 환경에서 사용하다가 제1 버튼(111)을 눌러 내부망(300)에 할당된 제2 운영체제(134) 환경에서 사용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하면서 망에 따른 개별업무를 하나의 모니터 상에서 바로 처리할 수 있고, 망을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사용함으로써 보안유지에 적합하며, 버튼을 통해 제1 운영체제(133) 및 제2 운영체제(134)를 선택적으로 ON/OFF할 수도 있어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사용하지 않는 운영체제를 별도로 차단함으로써 전력사용을 줄일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버튼선택부(110)에 형성된 버튼 선택에 따른 스위칭처리부(HBSCB)(120)의 동작 예는 다음과 같다.
1. 전원인가 초기상태 ( Stanby )
① HBSCB Power LED 점등
② 출력포트 Reset
③ HBSCB 제3 점등부, 제4 점등부 점등
④ 입력 SOURCE USB1, Video 1 신호를 선택
⑤ HBSW 제1 점등부 점등, 제2 점등부 소등 ; 신호 SOURCE 1 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냄
2. 제1 버튼 PUSH 할 때 ( Select ; 버튼)
① 입력 SOURCE USB2, Video 2 신호를 선택
② 버튼선택부 제2 점등부 점등, 제1 점등부 소등 ; 신호 SOURCE 2 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냄
2-2. 제1 버튼을 반복 PUSH 할 때
① 초기상태 1의 입력 SOURCE 1인 상태 <-> 입력 SOURCE 2인 상태를 TOGGLE 상태로 전환 반복됨
3. 제2 버튼 PUSH 할때 ( VM1_POWER ON/OFF)
① COMMAND : 00100010 을 RS232 포트로 전송함
② 응답(REPLY) : 11100000 을 수신대기 확인함
③ 제1 운영체제이 ON/OFF 됨
④ 제1 운영체제의 ON/OFF 에 따라 버튼선택부의 제3 점등부가 점등/소등됨
⑤ 버튼 반복 PUSH 할 경우 ON/OFF를 반복함
4. 제3 버튼 PUSH 할때 ( VM2_POWER ON/OFF)
① COMMAND : 01000010 을 RS232 포트로 전송함
② 응답(REPLY) : 11100000 을 수신대기 확인함
③ 제2 운영체제의 ON/OFF 됨
④ 제2 운영체제의 ON/OFF 에 따라 버튼선택부의 제4 점등부가 점등/소등됨
⑤ 버튼 반복 PUSH 할 경우 ON/OFF를 반복함
5. 제4 버튼 PUSH 할 때 ( VM1_RECOVERTY )
① COMMAND : 00100100 을 RS232 포트로 전송함
② 응답(REPLY) : 11100000 을 수신대기 확인함
③ 버튼선택부의 제3 점등부는 지속적으로 점멸
④ 응답 STOP bit (RxD) : 00110000 을 수신대기 확인함
⑤ 기능수행 확인 완료 후 버튼선택부의 제3 점등부 점등 상태로 전환
6. 제5 버튼 PUSH 할 때 ( VM2_RECOVERY )
① COMMAND : 01000100 을 RS232 포트로 전송함
② 응답(REPLY) : 11100000 을 수신대기 확인함
③ 버튼선택부의 제4 점등부는 지속적으로 점멸
④ 응답 STOP bit (RxD) : 01010000 을 수신대기 확인함
⑤ 기능수행 확인 완료 후 버튼선택부의 제4 점등부 점등 상태로 전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망 전환 단말기 110: 버튼선택부
111: 제1 버튼 112: 제2 버튼
113: 제3 버튼 114: 제4 버튼
115: 제5 버튼 118: 상태표시부
120: 스위칭처리부 122: 제어부
124: 스위칭부 124a: 제1 데이터수신부
124b: 제2 데이터수신부 126: 통신부
127: PCI 130: 중앙처리부
131: 제1 랜카드 132: 제2 랜카드
133: 제1 운영체제 134: 제2 운영체제
135: 가상운영체제 136: I/O장치 연결부
137: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 140: 전력 사용량표시부
150: 조도 감지 센서 200: 외부망
300: 내부망

Claims (7)

  1. 제1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선택부;
    외부망와 연결된 제1 랜카드와 상기 외부망과 격리된 내부망에 연결된 제2 랜카드; 상기 제1 랜카드에 할당된 제1 운영체제와 상기 제2 랜카드에 할당된 제2 운영체제;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가 연결되는 I/O장치 연결부; 상기 제1 운영체제와 제2 운영체제를 각각 구동시키는 가상운영체제를 동작시키는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 를 포함하는 중앙처리부;
    상기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제1 운영체제와 I/O장치 연결부 간의 제1 입출력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데이터수신부 및 제2 운영체제와 I/O장치 연결부 간의 제2 입출력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데이터수신부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제1 데이터수신부 및 제2 데이터수신부 중 어느 하나만 활성화시키고 다른 하나는 비활성화시키되, 상기 제1 버튼이 작동되면 현재 활성화된 데이터수신부는 비활성화시키고 현재 비활성화되어 있는 데이터수신부는 활성화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위칭처리부; 를 포함하는 망 전환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단말기 본체의 패널 외측에 컴퓨터 운영시 소모되고 있는 전력이 표시되는 전력 사용량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망 전환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선택부는,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에 제1 운영체제를 활성 또는 비활성하도록 신호를 송신하는 제2 버튼,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에 제2 운영체제를 활성 또는 비활성하도록 신호를 송신하는 제3 버튼,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에 제1 운영체제를 복구하도록 신호를 송신하는 제4 버튼,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에 제2 운영체제를 복구하도록 신호를 송신하는 제5 버튼을 포함하는 망 전환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선택부는,
    상기 제1 데이터수신부와 제2 데이터수신부의 각 활성화 상태 및 상기 제1 운영체제와 제2 운영체제의 각 활성화 상태가 표시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표시부는,
    제1 데이터수신부가 활성화되면 점등되는 제1 점등부; 제2 데이터수신부가 활성화되면 점등되는 제2 점등부; 제1 운영체제가 활성화되면 점등되는 제3 점등부 및 제2 운영체제가 활성화되면 점등되는 제4 점등부;를 포함하는 망 전환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데이터수신부를 활성화시킬 때 제1 점등부에 점등 신호를 보내고, 제1 데이터수신부를 비활성화시킬 때 제1 점등부에 소등 신호를 보내며,
    제2 데이터수신부를 활성화시킬 때 제2 점등부에 점등 신호를 보내고, 제2 데이터수신부를 비활성화시킬 때 제2 점등부에 소등 신호를 보내고,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로부터 통신부를 통해 제1 운영체제의 활성화 상태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 운영체제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제3 점등부에 점등 또는 소등 신호를 보내고,
    가상운영체 통신제어부로부터 통신부를 통해 제2 운영체제의 활성화 상태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운영체제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제4 점등부에 점등 또는 소등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전환 단말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단말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조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감지 센서로부터 일정 조도 이상의 빛이 감지되었는지에 따라 단말기 본체의 개폐상태를 판단하여, 단말기 본체가 열려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운영체제와 제2 운영체제를 비활성화시키고, 단말기 본체가 닫혀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운영체제와 제2 운영체제를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가상운영체제 명령처리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전환 단말기.
KR1020120145077A 2012-08-29 2012-12-13 망 전환 단말기 KR101255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76875A JP2014049132A (ja) 2012-08-29 2013-08-28 ネットワーク転換端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4821 2012-08-29
KR1020120094821 2012-08-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5748B1 true KR101255748B1 (ko) 2013-04-17

Family

ID=4844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077A KR101255748B1 (ko) 2012-08-29 2012-12-13 망 전환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4049132A (ko)
KR (1) KR10125574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028B1 (ko) 2013-04-30 2014-10-08 (주)오픈에스앤에스 원격 접속 망 분리 장치 및 방법
CN105873010A (zh) * 2015-01-19 2016-08-1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支持用户设备接入无线网络的方法、网络设备及用户设备
KR101842660B1 (ko) * 2017-11-28 2018-05-14 주식회사 성주컴텍 망분리 전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
KR102010572B1 (ko) * 2018-05-31 2019-08-13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독립적인 방향전환이 가능한 일방향 자료전달 장치
KR20200109510A (ko) * 2019-03-13 2020-09-23 (주)트리세스네트웍스 복수의 운영체제를 이용한 망전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4343B2 (ja) 2018-03-01 2022-08-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8580A (ko) * 2007-10-16 2009-04-21 (주)네오아이피 멀티 세션 기능이 구현된 서버 시스템
KR100919643B1 (ko) 2007-09-11 2009-09-30 (주)기가바이트씨앤씨 이원화된 독립적 환경을 통한 내외부망 분리 장치 및 그제어 방법
KR20110006399A (ko) * 2009-07-14 2011-01-20 주식회사 안철수연구소 호스트 기반의 망분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643B1 (ko) 2007-09-11 2009-09-30 (주)기가바이트씨앤씨 이원화된 독립적 환경을 통한 내외부망 분리 장치 및 그제어 방법
KR20090038580A (ko) * 2007-10-16 2009-04-21 (주)네오아이피 멀티 세션 기능이 구현된 서버 시스템
KR20110006399A (ko) * 2009-07-14 2011-01-20 주식회사 안철수연구소 호스트 기반의 망분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028B1 (ko) 2013-04-30 2014-10-08 (주)오픈에스앤에스 원격 접속 망 분리 장치 및 방법
CN105873010A (zh) * 2015-01-19 2016-08-1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支持用户设备接入无线网络的方法、网络设备及用户设备
KR101842660B1 (ko) * 2017-11-28 2018-05-14 주식회사 성주컴텍 망분리 전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
KR102010572B1 (ko) * 2018-05-31 2019-08-13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독립적인 방향전환이 가능한 일방향 자료전달 장치
KR20200109510A (ko) * 2019-03-13 2020-09-23 (주)트리세스네트웍스 복수의 운영체제를 이용한 망전환 장치
KR102207047B1 (ko) * 2019-03-13 2021-01-25 (주)트리세스네트웍스 복수의 운영체제를 이용한 망전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49132A (ja)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748B1 (ko) 망 전환 단말기
CN101620471B (zh) 一种单主机多系统的实现方法
WO2012156836A1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dependent dynamic port mirroring on distributed virtual switches
CN103235658A (zh) 一体机及其实现全通道快速触摸的方法
CN101581964B (zh) 计算机系统及外围设备驱动方法
CN106445182B (zh) 适用于双机环境的键鼠屏幕安全切换与隔离方法
CN101867221A (zh) 一种单板及板内实现电源监控的方法
JP2001251333A (ja) ユニバーサルシリアルバスを備えたコンピュータのワイヤレス入力装置の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CN102096479B (zh) 一种基于smbus具有本地和远程功能的kvm切换器
CN103025019A (zh) 一种移动终端及其快捷照明方法
CN109946955A (zh) 一种双网冗余以太网控制器Linux网卡驱动控制器
CN202995741U (zh) 内外网物理隔离计算机
CN114356725A (zh) 机箱管理系统
JP6692806B2 (ja) 数台のコンピューターを制御するキットとその応用
CN112002113A (zh) 一种基于NB-IoT网络的智能遥控系统及方法
CN105278630A (zh) 一种统一电源管理的单主机多主板独立系统架构
CN206991177U (zh) 一种一体机
CN109144824A (zh) 双路服务器节点的运行状态显示装置
CN207780714U (zh) 一种显示装置和电子设备
CN103677964B (zh) 一种虚拟机控制系统
CN101957786A (zh) 双控系统中实现启动及故障切换控制的方法和装置
CN103905211A (zh) 实现poe供电设备供电状态点灯的方法
CN203799367U (zh) 一种虚拟终端控制系统
CN102439569A (zh) 一种查看设备的系统状态的方法及设备
CN201489463U (zh) 一种单主机多系统的架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