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931B1 - 다용도 피용접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다용도 피용접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931B1
KR101594931B1 KR1020150081951A KR20150081951A KR101594931B1 KR 101594931 B1 KR101594931 B1 KR 101594931B1 KR 1020150081951 A KR1020150081951 A KR 1020150081951A KR 20150081951 A KR20150081951 A KR 20150081951A KR 101594931 B1 KR101594931 B1 KR 101594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ed
torch
bas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환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대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대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대명
Priority to KR1020150081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52Orientable fix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for rotating tubes, e.g. roll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피용접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척에 파이프형태의 피용접물이 고정되거나 상기 고정척에 파이프형태 이외의 다른 여러종류의 피용접물을 고정하는 용접지그가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파이프형태의 피용접물은 물론 파이프형태 이외의 다른 여러종류의 피용접물을 용접할 수 있어 다용도로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피용접물 고정장치{Avoid versatile weld fasteners}
본 발명은 고정척에 파이프형태의 피용접물이 고정되거나 상기 고정척에 파이프형태 이외의 다른 여러종류의 피용접물을 고정하는 용접지그가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파이프형태의 피용접물은 물론 파이프형태 이외의 다른 여러종류의 피용접물을 용접할 수 있어 다용도로 사용가능한 다용도 피용접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형태의 피가공물은 별도의 지그에 장착된 후 목적 및 용도에 맞게 용접작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이는 가공물의 형태에 따라서 용접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여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최근에는 파이프를 롤러부재에 안치하여 위치를 조절하고,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척부재에 고정된 파이프를 회전하면서 용접하여 용접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척 클램프 용접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22771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22771호의 경우, 파이프 형태의 피가공물만을 용접하는 경우에 한하여 한정적으로 사용될 뿐 파이프형태 이외의 다른 피가공물을 용접하는데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2277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고정척에 파이프형태의 피용접물이 고정되거나 상기 고정척에 파이프형태 이외의 다른 여러종류의 피용접물을 고정하는 용접지그가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파이프형태의 피용접물은 물론 파이프형태 이외의 다른 여러종류의 피용접물을 용접할 수 있어 다용도로 사용가능한 다용도 피용접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와; 타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상부면에 축고정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단부에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 방향으로 90도로 회전이동될 때 상기 베이스부상에 안착지지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수직회전되도록 축고정되고 피용접물 또는 용접지그가 고정되는 고정척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척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피용접물 회전고정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방향으로 90도로 회전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이 상기 베이스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척에 고정된 파이프형태의 피용접물을 회전지지하는 2개의 롤러가 구비된 롤러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피용접물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피용접물 회전고정부의 구동부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와, 상기 구동부재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발판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에 하단부가 축고정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용접물 회전고정부의 수직프레임에 상단부가 축고정되는 실린더몸체를 포함하는 가스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에 적어도 상기 고정척의 높이보다 높은 길이로 형성되는 일측 지지대와, 상기 일측 지지대 상단부에 용접용 토치를 거치할 수 있는 일측 토치거치부로 구성되는 일측 토치거치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피용접물 고정장치.

더불어, 상기 일측 토치거치대의 일측 토치거치부는 상하높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부에 적어도 상기 롤러지지부의 롤러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타측 지지대와, 상기 타측 지지대 상단부에 용접용 토치를 거치할 수 있는 타측 토치거치부로 구성되는 타측 토치거치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타측 토치거치대의 타측 토치거치부는 상하높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러지지부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평상태인 고정척에 파이프형태의 피용접물이 고정되고, 수직상태인 고정척에 파이프형태 이외의 다른 여러종류의 피용접물을 고정하는 용접지그가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파이프형태의 피용접물은 물론 파이프형태 이외의 다른 여러종류의 피용접물을 보다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어 다용도로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용도 피용접물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용접지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용접지그가 고정척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정면도이고,
도 4는 용접지그가 고정척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정면도이고,
도 5는 용접용 토치를 이용하여 용접지그에 고정된 피용접물에 용접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용접가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6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7은 수직프레임이 베이스부에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가스스프링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10은 지지프레임이 베이스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11은 수직프레임이 베이스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12는 고정척에 파이프형태의 피용접물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용접용 토치를 이용하여 용접지그에 고정된 파이프형태의 피용접물에 용접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용접가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일측토치거치대의 높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롤러지지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용도 피용접물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용도 피용접물 고정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부(10), 피용접물 회전고정부(20) 및 롤러지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베이스부(10)는 사각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부 모서리부에는 상기 베이스부(10)를 일정높이로 수평지지하기 위한 지지다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지지부재(110)가 각각 수직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피용접물 회전고정부(20)는 지지프레임(210), 수직프레임(220), 고정척(230) 및 구동부재(도 3 및 도 4의 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타단부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 상부면에 축고정된다.
상기 수직프레임(220)은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타단부에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상측으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220)의 상부는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일단부가 작업자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0)의 타측방향으로 90도로 회전이동될 때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 중심부에 안착지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척(230)은 수직상태에서 정역회전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상부에 축고정된다.
상기 고정척(230)에는 파이프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피용접물 또는 철판 등의 피용접물을 고정하는 용접지그가 고정된다.
상기 구동부재(240)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예로,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고정척(230)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핀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부재(240)는 다른예로서,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도 3 및 도 4의 241)와, 상기 구동모터(241)의 회전력을 상기 고정척(230)으로 전달하는 기어박스(도 3 및 도 4의 242)로 구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롤러지지부(3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타측부에 구비된다.
상기 롤러지지부(30)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0)의 타측방향으로 90도로 회전되어 상기 수직프레임(220)이 상기 베이스부(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척(230)에 고정된 파이프형태의 피용접물(도 10의 3)을 회전지지하는 2개의 롤러(320)가 구비된다.(도 12 참조.)

도 2는 용접지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용접지그가 고정척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척(230)에 고정되는 용접지그(5)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판부재(51), 고정축(52) 및 돌출부재(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부재(51)의 상부에는 중량의 철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판형태 등의 상기 피용접물(3)이 수평안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52)은 상부고정축(521)과 하부고정축(5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축(521)은 상기 판부재(51)의 상부 중심부에서 상기 판부재(51)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용접지그가 고정척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정면도이다.

상기 하부고정축(522)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판부재(51)의 하부 중심부에서 상기 판부재(51)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고정척(2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53)는 상기 판부재(51)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판형태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판부재(51)의 상부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량의 철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판형태 등의 상기 피용접물(3)은 상기 돌출부재(53)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판부재(51)의 상부에 수평안착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형태 등의 상기 피용접물(3)의 각 모서리부위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위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모서리부위에는 상기 상부고정축(521)이 삽입되는 삽입홀(3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용접용 토치를 이용하여 용접지그에 고정된 피용접물에 용접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용접가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판형태 등의 상기 피용접물(3)의 삽입홀(31)내에 상기 상부고정축(521)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고정축(521)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홀(31)를 보강하기 위한 캡형태 등의 보강부재(7)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판형태 등의 상기 피용접물(3)이 상기 고정척(230)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상태에서 상기 보강부재(7)의 하부 외면은 상기 삽입홀(31)주변의 판형태의 상기 피용접물(3)의 상부부위와 용접용 토치(9)에 의해 용접접합(W1)될 수 있고, 특히, 작업자는 제자리에서 이동하지 않고 상기 용접용 토치(9)를 사용하여 상기 보강부재(7)의 하부 외면과 상기 삽입홀(31)주변의 판형태의 상기 피용접물(3)의 상부부위를 용접접합(W1)할 수 있다.

도 6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속도조절부(40), 발판스위치(50) 및 제어부(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속도조절부(40)는 상기 제어부(60)에 누름식버튼 또는 다이얼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판스위치(50)는 상기 베이스부(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10) 주변의 지면 등에 구비되어 상기 피용접물 회전구동부(20)의 구동부재(240)의 구동모터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속도조절부(40)를 통해 상기 피용접물 회전구동부(20)의 구동부재(240)의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저속, 중속, 고속 순으로 단계별로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베이스부(10)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일측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전원공급부(610)에서 상기 구동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양이 상기 속도조절부(40)의 조작상태 즉, 저속, 중속, 고속 순으로 갈수록 점차 커질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발판스위치(50)를 발로 누른 경우,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610)의 전원이 상기 구동모터로 공급될 수 있고, 작업자가 상기 발판스위치(50)를 발로 누르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610)에서 상기 구동모터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에는 ON/OFF스위치(도 1의 620)가 누름식버튼 또는 다이얼버튼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ON/OFF스위치(620)를 ON상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610)의 전원이 상기 구동모터로 공급될 수 있고, 작업자가 상기 ON/OFF스위치(620)를 OFF상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610)에서 상기 구동모터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도 7은 수직프레임이 베이스부에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가스스프링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일단부가 작업자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0)의 타측방향으로 90도로 회전이동되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220)의 상부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 중심부에 안착되는 과정 중에, 상기 수직프레임(220)의 상부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 중심부에 소음없이 충격이 완화된 상태로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수직프레임(220) 사이에 가스스프링(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스프링(70)은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710)와 실린더몸체(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스톤로드(710)의 하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타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0)의 전측면에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몸체(720)의 상단부는 상기 피용접물 회전고정부(20)의 수직프레임(220)의 상단부는 상기 피용접물 회전고정부(20)의 수직프레임(220)의 전측면 상부에 축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피스톤로드(710)의 상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220)의 전측면 상부에 축고정되고, 상기 실린더몸체(720)의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0)의 전측면에 축고정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지지프레임이 베이스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 상부면에 수평안착된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10)의 타측방향으로 너무 쉽게 회전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무게중심이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일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210)이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 상부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수평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척(230)은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일측 상부에 수직구비되는 것이 좋다.

도 11은 수직프레임이 베이스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일부확대정면도이다.

또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척(230)이 상기 수직프레임(220)의 중심부보다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하여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에 수평안착된 상기 수직프레임(220)의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방향으로 너무 쉽게 회전이동되지 않게 상기 수직프레임(220)의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면에 보다 안적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12는 고정척에 파이프형태의 피용접물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피용접물 회전고정부(20)의 수직프레임(220)의 상부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 중심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피용접물 회전고정부(20)의 고정척(230)에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이프 형태의 피용접물(3)의 일측이 고정됨과 더불어 파이프 형태의 상기 피용접물(3)의 타측은 상기 롤러지지부(30)의 2개의 롤러(320)의 상부에 안착지지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용접용 토치를 이용하여 용접지그에 고정된 파이프형태의 피용접물에 용접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용접가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파이프 형태의 피용접물(3)의 타측에는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이프 형태의 피용접물(3)을 보강하기 위한 캡형태 등의 보강부재(7)가 용접접합(W2)될 수 있다.
파이프 형태의 상기 피용접물(3)이 상기 고정척(230)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상태에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캡형태 등의 보강부재(7)의 내측에 파이프 형태의 피용접물(3)의 타단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보강부재(7)의 일측외면과 파이프 형태의 피용접물(3)의 타단부 외면이 용접용 토치(9)에 의해 용접접합(W2)될 수 있다.
또는, 파이프 형태의 상기 피용접물(3)이 상기 고정척(230)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상태에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이프 형태의 피용접물(3)의 타단부 내측에 상기 보강부재(7)가 수용된 상태로 피용접물(3)의 타단부 외면과 상기 보강부재(7)의 일측외면이 용접용 토치(9)에 의해 용접접합(W2)될 수 있고, 특히 작업자는 제자리에서 이동하지 않고, 상기 용접용 토치(9)를 사용하여 파이프 형태의 상기 피용접물(3)의 타측에 상기 보강부재(7)를 용접접합(W2)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일측토치거치대의 높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에 일측 토치거치대(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토치거치대(80)는 일측 지지대(810)와 일측 토치거치부(8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지지대(81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일단부 상부에 상기 고정척(230)의 상하높이보다 높은 상하길이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토치거치부(820)는 상기 일측 지지대(810)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작업자는 상기 용접용 토치(9)를 상기 일측 토치거치부(820)에 거치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의 키높이에 따라 상기 일측 토치거치부(820)는 작업자에 의해 상하높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일예로, 상기 일측 토치거치부(820)의 전측과 상기 일측 토치거치부(820)의 후측에는 각각 상하이동몸체(821)와 토치거치부재(8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몸체(821)는 환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환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상하이동몸체(821)의 내측에 상기 일측 지지대(81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이동몸체(821)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일측 지지대(810)를 따라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부재(823)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823)는 상기 상하이동몸체(821)에 수평으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일측 지지대(810)의 외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토치거치부재(822)는 환형 형상 또는 상기 토치거치부재(822)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토치거치부재(822)의 내측에 상기 용접용 토치(9)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의 타측에도 타측 토치거치대(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 토치거치대(90)는 타측 지지대(910)와 타측 토치거치부(9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지지대(91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타단부 상부에 상기 롤러지지부(30)의 2개의 롤러(320)의 높이보다 높은 상하길이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토치거치부(920)는 상기 타측 지지대(910)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작업자는 상기 용접용 토치(9)를 상기 타측 토치거치부(920)에 거치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의 키높이에 따라 상기 타측 토치거치부(920)는 작업자에 의해 상하높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일예로, 상기 타측 토치거치부(92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상하이동몸체(921)와 토치거치부재(9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몸체(921)는 환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환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상하이동몸체(921)의 내측에 상기 타측 지지대(91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이동몸체(921)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타측 지지대(910)를 따라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부재(923)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923)는 상기 상하이동몸체(921)에 수평으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타측지지대(910)의 외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토치거치부재(922)는 환형 형상 또는 상기 토치거치부재(922)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토치거치부재(922)의 내측에 상기 용접용 토치(9)가 수용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롤러지지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7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이프 형태의 상기 피용접물(3)의 외경크기에 따라 상기 롤러지지부(30)의 상하높이가 조절되는 것이 좋다.
상기 롤러지지부(30)는, 지지판(310), 2개의 롤러(320) 및 상하이동부재(3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310)은 상기 베이스부(10)의 타측부 상부방향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2개의 상기 롤러(320)는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지지판(310)의 전측 상부와 상기 지지판(310)의 후측 상부에 각각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330)는 상기 지지판(310)의 하부와 상기 베이스부(10)의 타측부 상부 사이에 상하길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330)는 하부관체(331)와 상하이동관체(3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관체(331)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타측부 상부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관체(332)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하부관체(331)의 내부에서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부재(333)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333)는 상기 하부관체(331)의 상부에 수평으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하이동관체(332)의 외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평상태인 상기 고정척(230)에 파이프형태의 피용접물(3)이 고정되고, 수직상태인 상기 고정척(230)에 파이프형태 이외의 다른 여러종류의 피용접물(3)을 고정하는 용접지그(5)가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파이프형태의 피용접물(3)은 물론 파이프형태 이외의 다른 여러종류의 피용접물(3)을 보다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어 다용도로 사용가능한 이점이 있다.
10; 베이스부, 20; 피용접물 회전고정부,
30; 롤러지지부.

Claims (8)

  1. 베이스부와;
    타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상부면에 축고정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단부에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 방향으로 90도로 회전이동될 때 상기 베이스부상에 안착지지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수직회전되도록 축고정되고 파이프형태의 피용접물 또는 용접지그가 고정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무게중심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수직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심부보다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고정척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척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피용접물 회전고정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부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방향으로 90도로 회전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이 상기 베이스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척에 고정된 파이프형태의 피용접물을 회전지지하는 2개의 롤러가 구비된 롤러지지부와;
    상기 피용접물 회전고정부의 구동부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와; 상기 구동부재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발판스위치와;
    상기 베이스부에 하단부가 축고정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용접물 회전고정부의 수직프레임에 상단부가 축고정되는 실린더몸체를 포함하는 가스스프링과;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에 적어도 상기 고정척의 높이보다 높은 길이로 형성되는 일측 지지대와, 상기 일측 지지대 상단부에 용접용 토치를 거치할 수 있는 일측 토치거치부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 토치거치부가 상하높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되도록 상기 일측 토치거치부의 전측에 상기 일측 지지대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지지대를 따라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하이동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토치거치부의 후측에 용접용 토치가 내측에 수용되는 토치거치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 지지대의 전측에 형성된 상기 상하이동몸체에 수평으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일측 지지대의 외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지는 위치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일측 토치거치대와;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부에 적어도 상기 롤러지지부의 롤러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타측 지지대와, 상기 타측 지지대 상단부에 용접용 토치를 거치할 수 있는 타측 토치거치부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 토치부가 상하높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되도록 상기 타측 토치거치부의 전측에 상기 타측 지지대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타측 지지대를 따라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하이동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토치거치부의 후측에 용접용 토치가 내측에 수용되는 토치거치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타측 지지대의 전측에 형성된 상기 상하이동몸체에 수평으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타측 지지대의 외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지는 위치고정부재가 구비되는 타측 토치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파이프형태의 피용접물의 일측이 상기 고정척에 고정된 상태에서 파이프형태의 상기 피용접물의 타측에 캡형태의 보강부재가 용접접합되고,
    상기 고정척에 고정되는 상기 용접지그는 판형태의 피용접물이 수평안착되는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상부 중심부에서 상기 판부재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상부고정축과, 상기 판부재의 하부 중심부에서 상기 판부재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척에 고정되는 하부고정축으로 구성되는 고정축과;
    상기 판부재의 상부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돌출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판부재에 수평안착되는 판형태의 상기 피용접물의 각 모서리부위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위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모서리부위에 상기 상부고정축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축이 내부에 삽입되는 캡형태의 보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하부외면은 상기 삽입홀 주변의 판형태의 상기 피용접물의 상부부위와 용접용 토치에 의해 용접접합되며,
    상기 롤러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부 상부방향에 수평구비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전측 상부와 후측상부에 각각 축고정되는 2개의 롤러와;
    상기 지지판의 하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부 상부 사이에 상하길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부 상부에 수직형성되는 하부관체와, 상기 하부관체의 내부에서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고정되는 상하이동관체로 구성되는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하부관체의 상부에 수평으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하이동관체의 외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지는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피용접물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081951A 2015-06-10 2015-06-10 다용도 피용접물 고정장치 KR101594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951A KR101594931B1 (ko) 2015-06-10 2015-06-10 다용도 피용접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951A KR101594931B1 (ko) 2015-06-10 2015-06-10 다용도 피용접물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931B1 true KR101594931B1 (ko) 2016-02-17

Family

ID=55457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951A KR101594931B1 (ko) 2015-06-10 2015-06-10 다용도 피용접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9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41841A (zh) * 2018-08-03 2018-12-07 江门市富生钢结构有限公司 一种用于钢材制造的焊接装置
KR102426004B1 (ko) * 2022-05-19 2022-07-29 주식회사 코너스톤 맞춤고정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용접 지그
KR102487555B1 (ko) 2022-09-29 2023-01-11 주식회사 영화금속 난간 기둥 등간격 용접을 위한 고정 시스템
RU219343U1 (ru) * 2023-04-05 2023-07-12 Радик Мирхатович Яппаров Кондуктор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свар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479Y1 (ko) * 2005-05-10 2005-08-04 고동일 파이프 자동 용접장치
KR200410610Y1 (ko) * 2005-12-08 2006-03-09 한전기공주식회사 연소기용 라이너 수리를 위한 용접접합 조립장치
KR20110001857U (ko) * 2009-08-18 2011-02-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 자동 용접 장치
KR101022771B1 (ko) 2010-10-06 2011-03-17 천일철강산업(주) 대형 가공물 용접장치
KR20130003577U (ko) * 2011-12-07 2013-06-1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소음 감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소음 타이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479Y1 (ko) * 2005-05-10 2005-08-04 고동일 파이프 자동 용접장치
KR200410610Y1 (ko) * 2005-12-08 2006-03-09 한전기공주식회사 연소기용 라이너 수리를 위한 용접접합 조립장치
KR20110001857U (ko) * 2009-08-18 2011-02-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 자동 용접 장치
KR101022771B1 (ko) 2010-10-06 2011-03-17 천일철강산업(주) 대형 가공물 용접장치
KR20130003577U (ko) * 2011-12-07 2013-06-1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소음 감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소음 타이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41841A (zh) * 2018-08-03 2018-12-07 江门市富生钢结构有限公司 一种用于钢材制造的焊接装置
KR102426004B1 (ko) * 2022-05-19 2022-07-29 주식회사 코너스톤 맞춤고정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용접 지그
KR102487555B1 (ko) 2022-09-29 2023-01-11 주식회사 영화금속 난간 기둥 등간격 용접을 위한 고정 시스템
RU219343U1 (ru) * 2023-04-05 2023-07-12 Радик Мирхатович Яппаров Кондуктор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свар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931B1 (ko) 다용도 피용접물 고정장치
KR101317705B1 (ko) 용접토치 자동제어기능을 갖춘 티그용접 테이블장치
JP2006247757A (ja) ワーク保持装置及びワーク保持方法
CN211708509U (zh) 一种多类别钣金结构件及配件加工用定位焊接治具
JP5329875B2 (ja) マンホール内壁切断機及びマンホール内壁切断機用治具
CN111715896A (zh) 精密数控单柱立式车床
KR20110104333A (ko) 배관 자동 용접용 매니퓰레이터
KR20180080529A (ko) 파이프 자동 용접장치
KR100978321B1 (ko)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
KR20090006542A (ko) 자동용접 장치
JP5634207B2 (ja) レーザ溶接機
CN211192949U (zh) 一种轴承车削加工设备
CN109940324B (zh) 一种自动焊接装置、焊接方法及采用该自动焊接装置的焊接设备
CN113927096B (zh) 一种焊渣清除装置及其使用方法
CN212976792U (zh) 一种设备机座加工用调节装置
KR200215532Y1 (ko) 배관설비용 대형 강관 절단기
JP2005262252A (ja) トーチの案内装置
JP2018079534A (ja) 旋盤加工システム
GB2119309A (en) Transportable, automatically operable machining apparatus for large circular workpieces
CN218695352U (zh) 一种纵环缝两用自动焊接机
CN220179289U (zh) 一种机械加工平台
CN214721909U (zh) 一种用于金属支撑件的焊接辅助工作台
CN219632899U (zh) 一种钛管的焊接机
CN212169491U (zh) 一种防止焊头松动的焊机
CN210306298U (zh) 一种具备调节功能的激光切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