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726B1 - Dry distillation apparatus for waste disposal - Google Patents

Dry distillation apparatus for waste dispos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726B1
KR101594726B1 KR1020150009371A KR20150009371A KR101594726B1 KR 101594726 B1 KR101594726 B1 KR 101594726B1 KR 1020150009371 A KR1020150009371 A KR 1020150009371A KR 20150009371 A KR20150009371 A KR 20150009371A KR 101594726 B1 KR101594726 B1 KR 101594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mbustion gas
space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3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광환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이광환
이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환, 이재원 filed Critical 이광환
Priority to KR1020150009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7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7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2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a vertical, substantially cylindrical,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vironmentally-friendly dry distillation apparatus for waste disposal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nvironmentally-friendly dry distillation apparatus for waste disposal, which removes toxic substances contained in combustion gas by completely burning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when waste is dry-distilled and incinerated and which efficiently uses heat energy generated during a waste disposal process. The environmentally-friendly dry distillation apparatus for waste disposal comprises: a dry distillation part which has an inlet for waste and an outlet for combustion gas; and a water drop part of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utlet and the other end discharges fire generated when combustion gas flowing from the dry distillation part is ignited.

Description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DRY DISTILLATION APPARATUS FOR WASTE DISPOSAL}[0001] DRY DISTILLATION APPARATUS FOR WASTE DISPOSAL [0002]

본 발명은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물이 건류 소각되면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완전연소시켜 그 연소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한편, 폐기물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friendly dry type apparatus for waste dispos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co-friendly dry type apparatus for waste disposal.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friendly dry type apparatus for waste treatment for efficiently using heat energy.

일반적으로 폐기물의 처리는 매립이나, 소각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매립에 의한 처리는 대규모의 매립지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오수로 인해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Generally, the disposal of wastes is accomplished by landfill or incineration. In addition, a large-scale landfill is required for landfill disposal, and the environment is contaminated by odor and sewage generated in the landfill.

소각에 의한 처리는 폐기물의 부피와 무게를 80% 이상 감소시켜 매립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반면, 폐기물의 완전연소가 곤란한 관계로 유해가스 및 분진의 발생에 따른 대기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treatment by incineration can reduce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waste by 80% or more, thereby saving the landfill spac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mplete combustion of the waste is diffic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tmosphere is polluted due to the generation of noxious gas and dust.

이에 따라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하여 폐기물을 완전히 연소시켜 부피와 무게를 더욱 감소시킴과 동시에 유해가스 및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Accordingly,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underway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harmful gas and dust while reducing the volume and weight by fully burning the waste by using waste incineration facilitie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893543호에는 고분자 폐기물을 건류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재생 열에너지 회수를 위한 수적 팽창 유도 혼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893543 discloses a numerical expansion induction mixing device for recovering regenerative thermal energy generated during a process of carrying out a process of subjecting a polymer waste to a dry process.

그러나, 종래의 재생 열에너지 회수를 위한 수적 팽창 유도 혼합장치는 폐기물의 완전연소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numerical expansion induction mixing apparatus for recovering regenerated thermal energy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complete combustion of wast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893543호(2009.04.17.)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893543 (Apr. 17, 200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기물이 건류 소각되면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완전연소시켜 그 연소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한편, 폐기물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재생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letely burning a combustion gas generated when a waste is incinerated in a dry state to remove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And to provide an eco-friendly dry cargo apparatus for waste treatment for efficiently using generated regenerative thermal energy.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기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그 폐기물이 건류 소각되면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건류부; 및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고, 타단부로 상기 건류부로부터 유입되는 연소가스가 점화되어 발생되는 불이 토출되고, 수적팽창 유도 혼합장치가 구비되는 수적부를 포함하는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적부의 타단부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쓰레기가 유입되어 그 수적부에서 토출되는 불에 의해 소각이 이루어지는 소각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류부는,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가 구비되고, 내측으로 그 유입구 및 그 배출구와 연통되며 폐기물의 건류 소각이 이루어지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건류로;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을 이루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폐기물이 안착되는 한편, 폐기물이 건류 소각되면서 발생되는 재가 배출되는 다수의 중공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재를 상기 다수의 중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교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uel cell, comprising: a carbonization unit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waste is introduc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waste gas generated from the waste is incinerated; And a water receiving portion having one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nd the other end portion discharging flame generated by ignition of the combustion gas introduced from the dry flow portion to the other end portion and equipped with the numerical expansion induction mixing device,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cinerat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ydraulically operated portion and incinerating the incinerator by the incineration of waste from the externally introduced incinerator portion, wherein the incinerator has the inlet and the outlet A gas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ort and the discharge port thereof and forming a space portion for carrying out a garbage incineration of waste; A plate for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sp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lows formed therein, in which the waste introduced into the inlet is seated and the ashes generated when the waste is incinerated; And agitating means for discharging the material to be seated on the plate through the plurality of hollows.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건류로는, 아웃케이싱; 상기 아웃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공간부를 이루는 단열부재; 및 상기 아웃케이싱과 상기 단열부재 사이에 위치되며, 그 아웃케이싱의 내주면을 따라 권취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양단부가 그 아웃케이싱을 관통하여 외측에 위치되면서 일단부로 외부로부터 용수가 유입되고, 타단부로 그 유입되는 용수가 가열되어 배출되는 온도조절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the above-described self-conduction furnace, comprising: an out casing; A heat insulating member located inside the out casing and forming the space portion; And an outer casing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casing and the heat insulating member and which is woun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and which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ose both ends pass through the outer casing and are located outside, And a temperature control tube through which the water flowing into the other end is heated and discharg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되며, 그 플레이트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복수의 교반날개가 방사형상으로 구비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irr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otating body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stirring vanes radially centered on a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And a driving unit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body.

또한, 상기 건류로의 내부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건류로는, 양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며, 상기 온도측정수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유출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ry furnace, wherein the dry furnace is provided with a first outlet port through which the temperature measuring means is detachably coupled, Is formed.

또한, 상기 건류로의 내부를 확인하기 위한 투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투시부는, 양단부가 개방되며, 일단부가 상기 건류로를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인입되는 투시바; 및 상기 투시바의 타단부 또는 양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투시창을 포함하고, 상기 건류로는, 양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며, 상기 투시바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유출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penetration portion for confirming the inside of the above-described gas flow path, wherein the penetration portion is open at both ends and has one end penetrated into the gas flow path and introduced into the space portion; And a see-through window provided between the other end or both ends of the penetration bar, wherein the second outflow port is open at both ends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and the second outflow inle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hrough- .

또한, 상기 건류로로 유입되는 폐기물을 점화시켜 건류 소각되도록 하기 위한 점화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방향으로 불을 토출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너지에 의해 점화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1점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gnition means may further include an ignition means for igniting the waste introduced into the dry furnace so as to be burned and incinerated, wherein the ignition means discharges upwardly from the plate and maintains the ignited state by gas energy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one ignition means.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점화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에 위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고열로 달궈진 상태를 유지하다 그 공간부로 수용되는 폐기물이 접촉에 의해 점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2점화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gni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gnition means is located on the plate and maintains the state of being heated by the electric energy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second ignition means Further comprising:

또한, 상기 수적부의 타단부에서 토출되는 불로 고압의 공기와 함께 물을 분사하여 수적 팽창을 통한 온도상승을 통해 연소가스의 완전연소를 유도하기 위한 팽창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pan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xpansion inducing unit for injecting water together with high-pressure air discharged from the other end of the hydride unit to induce complete combustion of the combustion gas through temperature increase through numerical expansion.

또한, 상기 수적부와 상기 소각로 사이에 연결되며, 그 수적부로부터 유입되는 연소가스를 1000℃~1800℃로 가열하여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hydrator and the incinerator and heating the combustion gas introduced from the hydrator to 1000 ° C. to 1800 ° C. to complete the combustio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열부는, 양단부가 개방되며, 일단부가 상기 수적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소각로에 연결되는 가열관; 상기 가열관의 내,외주면 사이에 매립되는 코일 형태의 제1히터; 및 상기 가열관의 내부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제2히터를 포함한다.The he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ing pipe having both ends open, one end connected to the hydraulically operated portio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incinerator; A first heater in the form of a coil embedded between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heating tube; And a second heater arranged in a lattice form inside the heating tube.

본 발명에 따르면, 폐기물이 건류 소각되면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수적 팽창을 등을 통해 완전연소 되도록 함으로써 그 연소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by causing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by the incineration of waste to be completely burned through numerical expansion or the like.

또한, 폐기물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사용하여 소각로에 저장되는 쓰레기를 소각함으로써 그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waste heat stored in the incinerator is burned by using the heat energy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he waste, so that the heat energy can be efficiently us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에서 건류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에서 교반수단을 나태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에서 가열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dry cargo apparatus for waste dispos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dry flow path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dry cargo apparatus for waste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gitating means in an eco-friendly dry type apparatus for waste dispos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heating unit in an eco-friendly dry type apparatus for waste dispos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1)는 폐기물의 건류 소각이 이루어지는 건류부(10) 및 상기 건류부(10)로부터 유입되는 연소가스에 대한 점화가 이루어지며, 수적팽창이 이루어지는 수적부(20)를 포함한다.1 to 4, an eco-friendly dry type apparatus 1 for waste dispos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ry unit 10 in which waste incineration is carried out, and an ignition unit 10 for igniting the combustion gas flowing from the dry unit 10 And includes a water receiving portion 20 in which numerical expansion is performed.

폐기물은 석유제품 등을 포함하는 가연성 폐기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폐기물은 비닐, 플라스틱, 타이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ste consists of flammable waste, including petroleum products. For example, the waste may be made of vinyl, plastic, tire or the like.

상기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1)는 상기 수적부(20)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음식쓰레기, 생활쓰레기 등을 포함하는 쓰레가 유입되어 그 수적부(20)에서 토출되는 불에 의해 소각되는 소각로(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co-friendly dry type apparatus for waste disposal (1)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ally operated unit (20), and a trash containing food waste, household trash, etc.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is incinerated by a fire discharged from the trunk (30).

상기 소각로(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상기 수적부(20)에서 토출되는 불이 유입되는 화염부(31)가 형성되고, 타단부로 외부로부터 폐기물이 유입되는 유입구(32)가 형성되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각로(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 the incinerator 30 has a flame portion 31 through which the flue discharged from the hydraulically operated portion 20 is formed at one end, and an inlet port 32 ≪ / RTI > are forme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cinerator 30 will be omitted.

이로 인해, 상기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1)는 폐기물을 건류 소각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연소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에너지 즉, 불을 사용하여 상기 소각로(30)에 저장되는 쓰레기를 소각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co-friendly dry type apparatus 1 for waste disposal can incinerate wastes, as well as incinerate waste stored in the incinerator 30 by using heat energy generated by combustion of the combustion gas, that is, .

상기 건류부(10)는 외부로부터 폐기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a)와, 폐기물이 건류 소각되면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배출되며 상기 수적부(20)와 연결되는 배출구(11b)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상기 유입구(11a) 및 상기 배출구(11b)와 연통되는 공간부(12)가 형성되는 건류로(11), 상기 공간부(12)의 바닥면을 이루며 상기 유입구(11a)로 유입되는 폐기물이 안착되는 한편, 폐기물이 건류 소각되면서 발생되는 재가 배출되는 다수의 중공(13a)이 형성되는 플레이트(13) 및 상기 플레이트(13)에 안착되는 재를 상기 다수의 중공(13a)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교반수단(14)을 포함한다.The dry portion 10 includes an inlet 11a through which waste flows from the outside and a discharge port 11b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when the waste is incinerated and incinerated is connected to the receiver 20,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acuum cleaner having a vacuum cleaner and a vacuum cleaner having a vacuum cleaner and a vacuum cleaner having a vacuum cleaner and a vacuum cleaner, A plate 13 on which a plurality of hollows 13a for discharging the ash generated when the waste is incinerated and incinerated and an agitating unit 13 for discharging the ash deposited on the plate 13 through the plurality of hollows 13a, (14).

상기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1)는 상기 건류부(10)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중공(13a)을 통해 배출되는 재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co-friendly nebulization device 1 for waste treatment may further include a collecting part 40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dry part 10 for collecting ashe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lows 13a .

상기 건류로(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케이싱(15), 상기 아웃케이싱(15)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공간부(12)를 이루는 단열부재(16) 및 상기 아웃케이싱(15)과 상기 단열부재(16) 사이에 위치되며 그 아웃케이싱(15)의 내주면을 따라 권취되면서 그 아웃케이싱(15)의 내주면을 감싸며, 양단부가 상기 아웃케이싱(15)을 관통하여 외측에 위치되면서 일단부로 외부로부터 용수가 유입되고, 타단부로 그 유입되는 용수가 폐기물이 건류소각되면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배출되는 온도조절관(17)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dry furnace 11 includes an outcasing 15, a heat insulating member 16 located inside the outcasing 15 and forming the space 12, And is wound a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15 so as to sur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15. Both ends of the outer casing 15 pass through the outer casing 15 and are located outside And a temperature control pipe 17 through which the water flows from the outside into the one end and the water that flows into the other end is heated and discharged by the heat generated when the waste is burned and incinerated.

상기 단열부재(16)는 일반적인 형태의 캐스타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 is made of a general castable.

상기 온도조절관(17)은 코일관 형태를 이루며, 외부로부터 상기 건류로(11)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용수가 흐르면서 그 건류로(11)를 과열보호하는 한편, 용수를 온수 등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temperature control pipe 17 has a coin-shaped configuration.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control pipe 17 is overheated while flowing water having a relatively lower temperature than that of the air flow path 11 from the outside, and the water can be used as hot water .

다시 말하면, 상기 온도조절관(17)은 상기 건류로(10)의 내부온도가 건류 소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300℃~600℃의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temperature control pipe 17 allow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ry furnace 10 to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of 300 ° C to 600 ° C, which allows the dry combustion incineration to be smoothly performed.

상기 교반수단(14)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3)의 상부에 위치되며, 그 플레이트(13)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복수의 교반날개(18a)가 방사형상으로 구비되는 회전체(18) 및 상기 회전체(18)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19)를 포함한다.The stirring means 14 is located above the plate 13 as shown in FIG. 2 to FIG. 3, and a plurality of stirring vanes 18a are radially provided around the center of the plate 13 And a driving unit 19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body 18.

상기 구동부(19)는 일반적인 형태의 구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포집부(40)에 위치되거나, 상기 건류로(11)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9 may be a general type of driving motor and may be located in the collecting unit 40 or may be located outside the carousel 11.

상기 회전체(18)는 상기 구동부(19)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플레이트(13)에 안착되거나, 적채되는 재를 상기 다수의 중공(13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The rotating body 18 is rota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19 so that the material to be seated on the plate 13 or discharg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hollows 13a.

상기 교반수단(14)은 폐기물이 건류 소각되면서 발생되는 고열에 의해 상기 구동부(19)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챔버(19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구동부(19)가 상기 포집부(40)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stirring means 14 may further include a chamber 19a for preventing the driving unit 19 from being damaged by the high temperature generated when the waste is incinerated. At this tim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driving unit 19 is located inside the collecting unit 40.

상기 챔버(19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집부(40)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공간부(12)에서 발생되는 고열이 상기 구동부(19)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2, the chamber 19a is located inside the collecting part 40 and prevents the high heat generated in the space part 12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driving part 19. [

상기 건류로(11) 및 상기 포집부(4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3)에 적체되는 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재수거창(41)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re-entrainment window 41 may be formed in the collecting passage 11 and the collecting section 40 for discharging ashes to the outside of the plate 13.

상기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류로(11)의 내부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co-friendly dry type apparatus 1 for waste disposal may further include temperature measuring means 50 for measuring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ry runway 11.

상기 온도측정수단(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계(51) 및 일단부는 상기 온도계(5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건류로(11)를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12)로 인입되는 온도감지바(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the temperature measuring means 50 is connected to the thermometer 51 and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thermometer 5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pace portion 12 And may further include an introduced temperature sensing bar 52.

상기 건류로(11)는 양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공간부(12)와 연통되며, 상기 온도감지바(32)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유출입구(11c)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first flow path 11 is formed with a first outlet port 11c through which the temperature sensing bar 32 is detachably coupled, and both ends thereof are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portion 12.

상기 제1유출입구(11c)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온도감지바(5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건류로(11)에 나사결합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outlet 11c is formed with a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temperature sensing bar 52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air path 11 by screwing while forming a threa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는, 고온에 의한 상기 온도측정수단(30)의 고장 등에 따른 분리,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This can be understood to facilitate smooth separation and replacement of the temperature measuring means 30 due to a high temperature and the like.

상기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류로(11)의 내부를 확인하기 위한 투시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co-friendly dry type apparatus 1 for waste disposal may further include a penetration portion 60 for inspecting the inside of the overflow path 11.

상기 투시부(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개방되며, 일단부가 상기 건류로(11)를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12)로 인입되는 투시바(61) 및 상기 투시바(61)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투시창(62)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penetration portion 60 has both ends open. One end portion of the penetration portion 61 penetrates through the gas flow passage 11 and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portion 12, And a viewing window 62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display window.

상기 투시창(62)은 상기 공간부(12)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이다.Needless to say, the viewing window 62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space 12 can be visually recognized.

상기 건류로(11)는 양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공간부(12)와 연통되며, 상기 투시바(61)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유출입구(11d)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econd flow path 11 is formed with a second outlet 11d through which both ends thereof are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12 and to which the transmission bar 61 is detachably coupled.

상기 제2유출입구(11d)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투시바(6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건류로(11)에 나사결합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outlet 11d may be formed with a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through-bar 6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air flow path 11 by screwing while forming a threa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는, 고온에 의한 상기 투시창(62)의 파손 등에 따라 상기 건류로(11)로부터 상기 투시부(60)를 원활하게 분리, 교체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This can be understood as a reason for smoothly separating and replacing the perimeter portion 60 from the above-described carbonaceous furnace 11 in accordance with breakage of the sight window 62 due to high temperature or the like.

상기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1)는 상기 건류로(11)로 유입되는 폐기물을 점화시켜 건류 소각되도록 하기 위한 점화수단(70)을 더 포함한다.The eco-friendly dry type apparatus for waste treatment 1 further includes an ignition means 70 for igniting the waste introduced into the dry furnace 11 so as to be incinerated.

상기 점화수단(7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12)를 이루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불을 토출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열원에 의해 점화된 상태를 유지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제1점화수단(71)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ignition means 70 discharges the fir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12, and the ignition means 70 maintains the ignition state by the heat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Or a plurality of first ignition means (71).

상기 제1점화수단(71)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점화가 이루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가스점화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The first ignition means 71 can be understood as a gas ignition device which maintains a state where ignition is performed by a gas su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점화수단(7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12)를 이루는 바닥면에 위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열원에 의해 고열로 달궈진 상태를 유지하다 그 공간부(12)로 수용되는 폐기물이 접촉에 의해 점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수 또는 복수의 제2점화수단(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3, the ignition means 70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12, and is maintained in a high temperature state by a heat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second ignition means 72 may include one or more second ignition means 72 for allowing the waste contained in the second ignition means to be ignited by contact.

상기 제2점화수단(72)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고열로 달궈진 상태를 유지하는 열선바 등을 포함하는 히터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The second ignition means 72 can be understood as a heater device including a heat wire bar that maintains a state of being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by electric energy su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점화수단(7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열원에 의해 점화 또는 가열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건류로(11)에서 불이 꺼지는 현상 없이 폐기물의 건류소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ignition means (70) allows the waste incineration to be smoothly carried out without igniting the fire in the gasification furnace (11) while maintaining the state of being ignited or heated by a heat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1)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류로(11)의 내부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eco-friendly dry type apparatus 1 for waste disposal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regulating valve 80 for regula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ry flow path 11.

상기 압력조절밸브(80)는 상기 건류로(11)의 내부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일 때 개방되면서 그 건류로(11)의 내부압력이 적정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80 is opened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ry flow path 11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ry flow path 11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상기 수적부(20)는 고압과 원심력에 의해 물 입자를 최대한 미세하게 나누어 수적을 발생시키고 과열된 연소가스와 혼합하여 수적 팽창을 가속화하여 불완전연소로 인한 매연과 냄새의 개체를 제거한다.The water receiving unit 20 divides the water particles as finely as possible by high pressure and centrifugal force to generate water droplets and mixes the water particles with the superheated combustion gas to accelerate numerical expansion so as to remove soot and odor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이와 같은 열분해 과정을 거치면서 공해물질이 제거된 청정한 열에너지 즉, 불을 사용하여 상기 소각로(30)에 저장되는 쓰레기를 소각할 수 있다.Through the pyrolysis process, the waste stored in the incinerator 30 can be incinerated using clean heat energy, that is, fire, from which pollutants are removed.

상기 수적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특허문헌에 개시된 수적 팽창 유도 혼합장치(미도시)를 구비하는 형태를 이루며,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humidifying unit 20 includes a humidification induction mixing apparatus (not shown)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 and is already known and used,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상기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적부(20)의 타단부로 토출되는 불로 고압의 공기와 함께 물을 분사하여 수적 팽창을 통한 온도상승을 통해 연소가스의 완전연소를 유도하기 위한 팽창유도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co-friendly dry type apparatus for waste treatment 1 injects water together with high-pressure air blown to the other end of the hydraulically operated unit 20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gas And an expansion inducing portion 90 for inducing complete combustion of the exhaust gas.

상기 팽창유도부(90)는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로 외부로부터 고압의 공기와 함께 물이 공급되는 공급관(91) 및 일단부가 상기 공급관(91)에 연결되고, 타단부로 고압의 공기와 함께 물이 분사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분사부재(92)를 포함한다. The expansion inducing portion 90 has both ends and has a supply pipe 91 for supplying water with high pressure air from the outside to one end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91, And a single or a plurality of jetting members 92 to be jetted.

상기 분사부재(92)는 양단부가 개방되는 관 또는 분사노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압의 공기와 함께 물이 상기 수적부(20)로부터 상기 소각로(30) 방향으로 분사되면서 불이 수적 팽창될 수 있도록 한다. The injection member 92 may be composed of a tube or an injection nozzle having both ends opened so that the water is inj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30 from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0 together with the high pressure air so that the water can be numerically expanded do.

상기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적부(20)와 상기 소각로(30) 사이에 연결되며, 연소가스를 가열하여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가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co-friendly dry type apparatus 1 for waste disposal is connected between the hydrator 20 and the incinerator 30, and includes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combustion gas to complete combustion 100).

상기 가열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개방되며, 일단부가 상기 수적부(2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소각로(30)에 연결되는 가열관(101) 및 상기 가열관(101)의 내,외주면 사이에 매립되는 제1히터(102)를 포함한다.4, the heating unit 100 includes a heating tube 101 whose both ends are opene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ally operated part 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cinerator 30, And a first heater 102 embedd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ube 101.

상기 제1히터(102)는 코일 형태를 이루며,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1000℃~1800℃로 가열되어 상기 가열관(101)을 통과하는 연소가스가 완전연소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heater 102 is in the form of a coil and receives electric energy from the outside to be heated to 1000 ° C. to 1800 ° C. so that the combustion gas passing through the heating tube 101 can be completely burned.

상기 가열부(100)는 상기 가열관(101)의 내부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제2히터(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eating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eater 103 disposed inside the heating tube 101 in a lattice form.

상기 제2히터(103)는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1000℃~1800℃로 가열되며, 상기 가열관(101)을 통과하는 연소가스가 접촉되면서 완전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heater 103 receives electric energy from the outside and is heated to 1000 ° C. to 1800 ° C., so that the combustion gas passing through the heating tube 101 is contacted and completely burned.

여기서, 상기 제1,2히터(102,103)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1000℃~1800℃로 가열되는 열선바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and second heaters 102 and 103 are heated by 1000 캜 to 1800 캜 by electric energy supplied from the outside.

이로 인해, 상기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1)는 폐기물이 소각되면서 발생되는 불완전 연소가스를 완전연소시켜 유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소각로(30)에 저장되는 쓰레기를 소각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co-friendly dry type apparatus 1 for waste disposal can completely burn the incomplete combustion gas generated when the waste is incinerated, and incinerate the garbage stored in the incinerator 30 in a state where harmful substances are removed.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 :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 10 : 건류부
11 : 건류로 11a : 유입구
11b : 배출구 11c : 제1유출입구
11d : 제2유출입구 12 : 공간부
13 : 플레이트 14 : 교반수단
15 : 아웃케이싱 16 : 단열부재
17 : 온도조절관 20 : 수적부
30 : 소각로 40 : 포집부
41 : 재수거창 50 : 온도측정수단
51 : 온도계 52 : 온도감지바
60 : 투시부 61 : 투시바
62 : 투시창 70 : 점화수단
71 : 제1점화수단 72 : 제2점화수단
80 : 압력조절밸브 90 : 팽창유도부
91 : 공급관 92 : 분사관
100 : 가열부 101 : 가열관
102 : 제1히터 103 : 제2히터
1: Environment friendly cargo system for waste disposal 10:
11: Carrying line 11a: Inlet
11b: outlet 11c: first outlet
11d: second outflow inlet 12:
13: plate 14: stirring means
15: Out casing 16: Heat insulating member
17: Temperature control tube 20:
30: incinerator 40: collection section
41: Reverberation window 50: Temperature measuring means
51: thermometer 52: temperature sensing bar
60: perspective portion 61:
62: viewing window 70: ignition means
71: first ignition means 72: second ignition means
80: Pressure regulating valve 90:
91: supply pipe 92:
100: heating section 101: heating tube
102: first heater 103: second heater

Claims (10)

폐기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그 폐기물이 건류 소각되면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건류부; 및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고 타단부로 상기 건류부로부터 유입되는 연소가스가 점화되어 발생되는 불이 토출되며, 수적팽창 유도 혼합장치가 구비되는 수적부를 포함하는 폐기물 처리용 건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적부의 타단부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쓰레기가 유입되어 그 수적부에서 토출되는 불에 의해 소각이 이루어지는 소각로; 및
상기 수적부와 상기 소각로 사이에 연결되고, 그 수적부로부터 유입되는 연소가스를 1000℃~1800℃로 가열하여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류부는,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가 구비되고, 내측으로 그 유입구 및 그 배출구와 연통되며 폐기물의 건류 소각이 이루어지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건류로;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을 이루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폐기물이 안착되는 한편, 폐기물이 건류 소각되면서 발생되는 재가 배출되는 다수의 중공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재를 상기 다수의 중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교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건류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중공을 통해 배출되는 재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건류로는,
아웃케이싱;
상기 아웃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공간부를 이루는 단열부재; 및
상기 아웃케이싱과 상기 단열부재 사이에 위치되며, 그 아웃케이싱의 내주면을 따라 권취되면서 그 아웃케이싱의 내주면을 감싸고, 양단부가 그 아웃케이싱을 관통하여 외측에 위치되면서 일단부로 외부로부터 용수가 유입되며, 타단부로 그 유입되는 용수가 가열되어 배출되는 온도조절관을 포함하고,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되며, 그 플레이트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복수의 교반날개가 방사형상으로 구비되는 회전체;
상기 포집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보호하는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
A carbonization unit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waste flows and an outlet through which waste gas generated from the waste is burned; And a water receiving portion having an end portion,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mbusted with a combustion gas, As a result,
An incinerat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ydraulically operated portion and incinerated by incineration of waste from the outside and discharge from the incineration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heat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hydrator and the incinerator and heating the combustion gas introduced from the hydrator unit to 1000 ° C. to 1800 ° C. to complete combustion,
Wherein,
A gas flow path in which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port are provided, and a space portion is formed inwardly communicated with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port thereof, and waste incineration is performed;
A plate for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sp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lows formed therein, in which the waste introduced into the inlet is seated and the ashes generated when the waste is incinerated; And
And agitating means for discharging the material seated on the plate through the plurality of hollows,
Further comprising a collecting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y portion for collecting ashe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lows,
In the above-
Out casing;
A heat insulating member located inside the out casing and forming the space portion; And
The outer casing is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casing and the heat insulating member and is woun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to sur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and both ends of the outer casing pass through the out casing and are located outside, And a temperature control pipe through which the water flowing into the other end is heated and discharged,
The stirring means
A rotating body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stirring vanes radially centered on the center of the plate;
A driving unit located inside the collecting unit and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body; And
And a chamber for protecting the driving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류로의 내부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건류로는,
양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며, 상기 온도측정수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유출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emperature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arbonaceous furnace,
In the above-
Wherein the first outlet port is open at both ends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and a first outlet port through which the temperature measuring means is detachably coupled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류로의 내부를 확인하기 위한 투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투시부는,
양단부가 개방되며, 일단부가 상기 건류로를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인입되는 투시바; 및
상기 투시바의 타단부 또는 양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투시창을 포함하고,
상기 건류로는,
양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며, 상기 투시바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유출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enetration portion for inspecting the inside of the carbonization furnace,
The perspective portion includes:
The two ends of which are open, one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through the gas flow passage; And
And a viewing window provided between the other end or both ends of the transmission bar,
In the above-
And a second outflow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portion and having the both ends thereof opened and the detachable bar detachably coupl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류로로 유입되는 폐기물을 점화시켜 건류 소각되도록 하기 위한 점화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방향으로 불을 토출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너지에 의해 점화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1점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ignition means for igniting the waste flowing into the dry furnace so as to be burned and incinerated,
And a first ignition means for discharging the fire upward from the plate and maintaining the ignition state by the gas energy supplied from the outsid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에 위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고열로 달궈진 상태를 유지하다 그 공간부로 수용되는 폐기물이 접촉에 의해 점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2점화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gnition means comprises:
And a second ignition means which is located on the plate and maintains the state of being heated by electric energy suppli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waste accommodated in the space can be ignited by contact. Environmentally Friendly Carrying Device for Treat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적부의 타단부에서 토출되는 불로 고압의 공기와 함께 물을 분사하여 수적 팽창을 통한 온도상승을 통해 연소가스의 완전연소를 유도하기 위한 팽창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xpansion inducing portion for injecting water together with high-pressure air discharged from the other end of the hydride portion to induce complete combustion of the combustion gas through temperature increase through numerical expansion. Carrying devic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양단부가 개방되며, 일단부가 상기 수적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소각로에 연결되는 가열관;
상기 가열관의 내,외주면 사이에 매립되는 코일 형태의 제1히터; 및
상기 가열관의 내부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제2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unit includes:
A heating tube whose both ends are open, one end connected to the hydraulically operated portio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incinerator;
A first heater in the form of a coil embedded between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heating tube; And
And a second heater arranged in a lattice form inside the heating tube.
KR1020150009371A 2015-01-20 2015-01-20 Dry distillation apparatus for waste disposal KR1015947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371A KR101594726B1 (en) 2015-01-20 2015-01-20 Dry distillation apparatus for waste dispos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371A KR101594726B1 (en) 2015-01-20 2015-01-20 Dry distillation apparatus for waste dispos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726B1 true KR101594726B1 (en) 2016-02-16

Family

ID=55448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371A KR101594726B1 (en) 2015-01-20 2015-01-20 Dry distillation apparatus for waste dispos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72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2317A (en) * 2002-05-02 2003-11-14 Aoki Hidehito Induction heating furnace
KR100673496B1 (en) * 2005-09-29 2007-01-24 서상철 A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solid fuel using a waste
KR100893543B1 (en) 2007-12-18 2009-04-17 (주)대덕환경기업 The pyrolysis burner apparatus by water drop expansion
KR101113403B1 (en) * 2011-09-21 2012-03-13 (주)코리엔텍 Heat recovery apparatus for incinerating wast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2317A (en) * 2002-05-02 2003-11-14 Aoki Hidehito Induction heating furnace
KR100673496B1 (en) * 2005-09-29 2007-01-24 서상철 A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solid fuel using a waste
KR100893543B1 (en) 2007-12-18 2009-04-17 (주)대덕환경기업 The pyrolysis burner apparatus by water drop expansion
KR101113403B1 (en) * 2011-09-21 2012-03-13 (주)코리엔텍 Heat recovery apparatus for incinerating wast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854B1 (en) Apparatus for incinerating wastes
CN106090927A (en) Innoxious incinerator
JP4382470B2 (en) Waste pyrolysis treatment equipment
JP4626875B2 (en) Low pollution incineration equipment
KR20180085147A (en) Drying and combustion systems for wastes containing vinyl
KR101415450B1 (en) Incineration device for solid wastes
CN104180375B (en) Cracking process smokeless dedusting waste incinerator
KR101594726B1 (en) Dry distillation apparatus for waste disposal
KR100777616B1 (en) Low-temperature pyrolysis system of industrial waste having a high carbon content
KR100638338B1 (en) A trash boiler scrapped material flammable
KR20000032736A (en) Heat medium boiler
JP2009139087A (en) Control method of waste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KR100660991B1 (en) Two step combustion type waste incinerating and heat-using apparatus
KR100989703B1 (en) A trash boiler improved the efficiency of waste heat recovery and the ability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KR20070036265A (en) A hot-air apparatus using a waste
CN203349275U (en) Smokeless dust-removal garbage incinerator through dry distillation method
KR20060120864A (en) Waste destruction by fire system
CN100491829C (en) Garbage treating plant with low energy consumption and treating method thereof
KR100477097B1 (en) a incinerator
WO2005080872A1 (en) Combustible gas production system and incinerator
JP3006430U (en) Pollution-free incinerator
KR101006011B1 (en) pellet
KR101880160B1 (en) Boiler apparatus for burning waste
KR100430725B1 (en) Hot-water boiler boiled with dry distillation gas through dry distillation type incinerator
KR101748561B1 (en) Apparatus for incinerating w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