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854B1 - Apparatus for incinerating waste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cinerating wast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5854B1 KR101055854B1 KR1020100082928A KR20100082928A KR101055854B1 KR 101055854 B1 KR101055854 B1 KR 101055854B1 KR 1020100082928 A KR1020100082928 A KR 1020100082928A KR 20100082928 A KR20100082928 A KR 20100082928A KR 101055854 B1 KR101055854 B1 KR 1010558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cinerator
- pipe
- side air
- air inlet
- delete dele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0197 pyrolysi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10000001513 Elbow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29910004682 ON-OFF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71 so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440 industri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67 combustion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9910 diseases by infectious ag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91 domestic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7 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47 non-recyclable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5/00—Blast-producing apparatus before the fire
- F23L5/02—Arrangements of fans or blow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7/00—Supplying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other than air, to the fire, e.g. oxygen, steam
- F23L7/002—Supplying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9/00—Baffles or deflectors for air or combustion products; Flame shields
- F23M9/06—Baffles or deflectors for air or combustion products; Flame shields in fire-box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1/00—Pretreatment
- F23G2201/30—Pyrolys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2900/00—Special arrangements for supplying or treating air or oxidant for combustion; Injecting inert gas, water or steam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L2900/07008—Injection of water into the combustion chamber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각물을 완전연소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매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청정한 열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distillation inciner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waste dry distillation incineration capable of completely burning incineration and preventing smoke from being generated so as to prevent air pollution and to obtain clean thermal energy. Relates to a device.
최근에 현대사회는 생활 쓰레기 및 각종 산업 폐기물의 급증으로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에 봉착되었고, 이러한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다방면으로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the modern society has been faced with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due to the proliferation of household waste and various industrial wastes, and the methods for solving such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have been studied in various fields.
이러한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각종 폐기물 중 재활용이 가능한 것을 분리하여 다시 사용 가능하도록 변형시키는 방법과, 재활용이 불가능한 폐기물을 연소시켜 그 부피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오염원으로서의 오염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소각 처리방법 등이 대표적이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a method of separating and recycling the waste that can be recycled among various wastes, and burning the non-recyclable waste to reduce its volume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pollution as a source of pollution. Incineration treatment methods are typical.
여기서, 상술한 각종 산업 폐기물, 즉 폐고무, 폐합성수지를 포함한 공극률이 높은 혼합 형태의 고분자 화합물 또는 제약회사 및 이차적인 감염사고가 우려되는 병원 적출물등을 소각 처리하는 방법에 의하면, 연소시 미연소된 성분 또는 연소시 생성물 등 각종 유해가스가 생성되고, 또 이들 유해가스를 배기시킬 경우 대기 오염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었다.Here, according to the method of incineration of various industrial wastes described above, namely, high-porosity mixed compounds including waste rubber and waste synthetic resin or pharmaceutical extracts and hospital extracts concerned with secondary infection, etc. Various harmful gases such as constituent components or products during combustion are generated, and there is a problem of acting as a cause of air pollution when exhausting these harmful gases.
현재 국가정책상 산업 폐기물을 소각 처리함으로써 발생되는 각종 유해가스 및 분진이 대기로 방출되는 것에 대하여 제한되고 있으며, 따라서 연소시에 발생하는 열원의 재활용과 폐기물의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도록 소각물을 완전 연소시킬 수 있는 소각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t present, the national policy restricts the release of various harmful gases and dusts generated by incineration of industrial waste into the atmosphere, and thus completely burns incinerators to enable the recycling of heat sources generated during combustion and the efficient disposal of waste.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incinerators.
본 발명의 목적은, 소각물을 완전연소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매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청정한 열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te dry distillation incineration apparatus capable of completely burning incineration and preventing soot from occurring so that air pollution can be prevented and clean thermal energy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소각물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소각물 투입구 및 상기 소각물이 연소함으로써 발생되는 화염이 배출되는 화염 배출구가 형성되는 소각로; 및 상기 소각로의 내부공간을 향해 공기를 분사시켜 상기 내부공간 내에 나선형 와류가 발생하도록 하는 중앙 공기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cinerator in which an inner space is formed, and an incinerator inlet for incineration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from the outside and a flame outlet for discharging the flame generated by burning the incinerator; And a central air inlet for injecting air toward the interior space of the incinerator to generate spiral vortices in the interior space.
여기서, 상기 중앙 공기유입부는, 상기 소각로의 내부공간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소각로의 외부에 설치된 중앙 공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상기 소각로의 내부공간으로 전달하며, 상기 소각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설치되는 중앙 공기유입관; 및 상기 중앙 공기유입관의 외면에 상기 중앙 공기유입관의 유로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토출관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 공기유입관은, 상기 중앙 공기공급부와 인접한 일단으로부터 반대의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유로의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central air inle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incinerator, the flow path is formed therein to transfer the air supplied from the central air supply installed in the outside of the incinerator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incinerat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A central air inlet pipe installed to extend along the length; And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ipe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ral air inlet pipe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flow path of the central air inlet pipe, wherein the central air inlet pipe is opposite to the other end from one end adjacent to the central air supply part. The cross section of the flow path may be formed to be tapered to gradually decrease.
상기 복수의 공기토출관부는, 상기 중앙 공기유입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소각로의 바닥면을 향해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엘보우관부; 상기 복수의 제1 엘보우관부의 하측에서 상기 중앙 공기유입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직선관부; 및 상기 복수의 직선관부의 하측에서 상기 중앙 공기유입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엘보우관부의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인 상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엘보우관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1 엘보우관부, 복수의 직선관부 및 복수의 제2 엘보우관부의 조합체는 상기 중앙 공기유입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air discharge pipe portion, a plurality of first elbow pipe portion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air inlet pipe an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cinerator; A plurality of straight pipe portion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air inlet pipe at a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first elbow pipe portions; And a plurality of second elbow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air inlet pipe at a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straight pipe parts and inclined in an upper direction opposite to an inclined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elbow pipe parts. Including a pipe portion, the plurality of first elbow tube portion, a plurality of straight pipe por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elbow tube portion combination may be formed repeated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air inlet pipe.
상기 중앙 공기공급부는, 상기 중앙 공기유입관의 유로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공기 공급관; 및 상기 공기 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중앙 공기유입관 및 상기 복수의 공기토출관부를 통해 상기 소각로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중앙공기공급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entral air supply unit, the air supply pipe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of the central air inlet pipe; And a central air supply blower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to supply air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through the central air inlet pipe and the plurality of air discharge pipes.
상기 소각로의 내벽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소각로의 내벽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을 구비하며, 상기 소각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 및 상기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의 측면 공기토출관을 통해 상기 소각로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측면공기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s installed along the inner wall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inner wall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 And a side ai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s and supplying air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through the side air discharge pipes of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s.
상기 측면공기공급부는, 상기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과 각각 연통하도록 상기 소각로의 외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측면 공기공급유로관; 및 상기 측면 공기공급유로관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을 통해 상기 소각로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측면공기공급 송풍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air supply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ide air supply passage tubes installed outside the incinerato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s, respectively; And a side air supply blower connected to the side air supply passage pipe to supply air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through the plurality of side air discharge pipes.
상기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은 상기 측면 공기유입관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ide air discharge pip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ide air inlet pipe.
상기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은, 그 단부가 이웃하게 배치된 측면 공기토출관의 근방 영역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ide air discharge pipes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face an area near an end of the side air discharge pipes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측면공기공급 송풍부는, 상기 측면 공기공급유로관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을 통해 상기 소각로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측면공기공급 송풍기; 및 상기 측면공기공급 송풍기와 상기 복수의 측면 공기공급유로관 사이에 개재되는 공기분배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air supply blower may include: a side air supply blower connected to the side air supply passage pipe to supply air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through the plurality of side air discharge pipes; And an air distributor interposed between the side air supply blower and the plurality of side air supply flow channels.
상기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 중 최하측에 위치하는 측면 공기유입관에 연결되는 상기 측면 공기공급유로관에는 공기공급 온오프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An air supply on / off valve may be installed in the side air supply flow channel connected to the side air inlet pipe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s.
상기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 중 최하측에 위치하는 측면 공기유입관에 형성되는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은 상기 소각로 내부의 하부 영역을 향하도록 상기 측면 공기유입관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ide air discharge pipes formed in the side air inlet pipe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s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ide air inlet pipe so as to face the lower region inside the incinerator.
상기 소각로의 내벽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소각로의 내벽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수적 배출구를 구비하는 수적 배출관; 및 상기 수적 배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수적 배출구를 통해 상기 소각로의 내부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A water discharge pipe disposed along the inner wall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and having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outle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inner wall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And a wat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water discharge pipe and supplying water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orts.
상기 물 공급부는, 물이 수용되는 물 탱크; 및 상기 물 탱크와 상기 수적 배출관을 연결하는 물 공급관을 포함하되, 상기 물 탱크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적 배출구를 통해 상기 소각로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된 물은, 상기 소각로 내부에 형성되는 고온에 의해 가열되어 수적 상태로 변환된 후 상기 소각로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the water tank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And a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discharge pipe, wherein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ports is heated by a high temperature formed inside the incinerator. After being converted into a soaked state, it may be suppli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상기 물 공급관에는 물공급 온오프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ipe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on-off valve.
상기 소각로의 내측 하부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블레이드; 및 상기 교반블레이드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소각로의 외부에 마련되는 교반블레이드 회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A stirring blade rotatably installed in an inner lower region of the incinerator; And it may include a stirring blade rotation drive unit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incinerator to rotate the stirring blade.
상기 중앙 공기유입관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교반블레이드와 일체로 형성되는 교반블레이드 회전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반블레이드 회전구는 상기 교반블레이드 회전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It further comprises a stirring blade rotating sphe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tirring blade in a form surrounding the central air inlet pipe, the stirring blade rotating sphere may be rotated by the drive of the stirring blade rotating drive.
상기 교반블레이드 회전구동부는, 상기 교반블레이드 회전구에 연결되는 제1 베벨기어; 상기 제1 베벨기어와 치형 결합되는 제2 베벨기어; 및 상기 제2 베벨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irring blade rotating drive unit, the first bevel gear connected to the stirring blade rotating sphere; A second bevel gear tooth-connected with the first bevel gear; And it may include a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second bevel gear.
상기 소각로의 내부공간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소각로에 마련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provided in the incinerator to measure the internal space temperature of the incinerator.
상기 소각로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소각물이 상기 소각로의 내부공간에서 연소 완료된 후 생성된 폐기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In the lower region of the incinerator, a discharge door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the waste generated after the incineration is burn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to the outside.
상기 소각로의 소각물 투입구에는 소각물 투입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cinerator inlet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cinerator inlet of the incinerator.
상기 소각로의 소각물 투입구 내에는 벨트 컨베이어 또는 스크루 컨베이어가 더 설치될 수 있다.A belt conveyor or a screw conveyor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incinerator inlet of the incinerator.
상기 소각물의 소각물 투입구에는 에어커튼이 설치될 수 있다.An air curtain may be installed at the incinerator inlet of the incinerator.
상기 에어커튼은, 상기 소각물 투입구의 내벽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압축공기분사노즐이 형성되는 에어커튼관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커튼관은 에어커튼 공기유입관을 통해 상기 공개분배기와 연결될 수 있다.The air curtain is installed along the inner wall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cineration product inlet, and comprises an air curtain pipe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mpressed air injection nozz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air curtain pipe through the air curtain air inlet pipe It can be connected to a public distributor.
상기 소각로에는 상기 소각물을 초기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The incinerator may be provided with an ignition device for initially igniting the incineration.
상기 점화장치는 이그나이터 또는 버너일 수 있다.The ignition device may be an igniter or a burner.
본 발명에 따르면, 소각물을 완전연소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매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청정한 열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burn the incineration and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smoke so that air pollution can be prevented and clean thermal energy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의 소각로 내부를 나타내되 캐스타블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의 중앙 공기유입관과 공기토출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의 에어커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의 에어커튼으로부터 공기가 분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te dry distillation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y distillation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incinerator of the dry distillation incinerator of the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table is remove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entral air inlet pipe and the air discharge pipe portion of the dry distillation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2.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curtain of the dry distillation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is injected from the air curtain of the dry distillation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의 소각로 내부를 나타내되 캐스타블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의 중앙 공기유입관과 공기토출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te dry distillation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ste dry distillation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incinerator of the dry distillation incinerator, and the castable is removed, and FIG. Perspective view.
도 5는 도 2의 Ⅰ-Ⅰ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의 에어커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의 에어커튼으로부터 공기가 분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2,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ir curtain of the dry distillation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FIG. 7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air is injected from the air curtain of a waste distillation incineration apparatus.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는, 소각물을 완전 연소시켜 매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대기오염을 발생시키지 않는 청정한 열에너지를 얻도록 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소각물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소각물 투입구(111) 및 소각물이 연소됨으로써 발생되는 화염이 배출되는 화염 배출구(112)가 형성되는 소각로(110)와, 소각로(110)의 내부공간을 향해 공기를 분사시켜 내부공간 내에 나선형 와류가 생성되도록 하는 중앙 공기유입부(1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 dry distillation incinerator is configured to completely clean the incineration so that smoke does not occur, thereby obtaining clean thermal energy that does not generate air pollution. The incinerator 110 and the incinerator 110 are formed, the incinerator inlet 111 to allow the incinerator to be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from the outside and the flame outlet 112 for discharging the flame generated by burning the incinerator. It includes a central air inlet 130 to inject air toward the interior space to create a spiral vortex in the interior space.
소각로(110)는, 폐 고무, 폐 플라스틱 합성수지, 폐 비닐 등의 고분자 화합물이 투입된 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연소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연소 대상물 즉, 소각물을 내부공간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소각물 투입구(111)가 형성되어 있다.The incinerator 110 provides a combustion space such that complete combustion is performed as described later after polymer compounds such as waste rubber, waste plastic synthetic resin, and waste vinyl are introduced, and one side of the incinerator is burned from the outside. The incinerator inlet 111 is formed to be injected into the spac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소각물 투입구(111)에는 소각물 투입도어(1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소각로(110)의 소각물 투입구(111) 내에는 소각물을 소각로(110)의 내부공간으로 자동 유입시킬 수 있도록 벨트 컨베이어(미도시) 또는 스크루 컨베이어(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incinerator inlet 111 is rotatably installed.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belt conveyor (not shown) or a screw conveyo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incineration product inlet 111 of the incinerator 110 to automatically introduce the incineration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110. More can be installed.
소각물 투입도어(113)는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인 동작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The incinerator input door 113 may be automatically driven by an electric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 controller (not shown).
소각물 투입도어(113)는 소각물 투입구(111)의 내벽에 대해 힌지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소각물 투입도어(113)가 소각물 투입구(111)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소각물 투입구(111)의 내벽과 소각물 투입도어(113)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일정 이상의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소각로(110)의 내부공간에서 소각물이 연소하면서 발생되는 연소가스 등이 소각물 투입구(111)의 내벽과 소각물 투입도어(113)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소각로(110) 내에서 소각물의 연소 효율은 저감될 수 밖에 없다.The incinerator input door 113 is installed to be hinged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of the incinerator inlet 111, and the incinerator inlet 111 is closed even when the incinerator inlet 111 is closed. A predetermined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bottom and the edge of the incinerator input door 113. In this case, as will be described below,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while the incinerator burns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gap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incinerator inlet 111 and the incinerator input door 113. In this case,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the incinerator is inevitably reduced in the incinerator 110.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각물 투입구(111)에 에어커튼(114)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커튼(114)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embodiment,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2, the air curtain 114 is installed in the incinerator inlet 111. This air curtain 114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소각로(110)의 하부 영역에는, 소각물이 소각로(110)의 내부공간에서 연소 완료된 후 생성된 폐기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도어(118)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 소각물의 연소가 완료되면 배출도어(118)를 개방하여 폐기물을 외부로 배출하거나 소각로(110)의 내부 공간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In the lower region of the incinerator 110, the discharge door 118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waste generated after the incineration is burn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110 to the outside. Therefore, when the combustion of the incineration is completed after a certain time, the user may open the discharge door 118 to discharge the waste to the outside or to clean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110.
한편, 본 실시예에서, 소각로(110), 구체적으로 소각로(110)의 하부 영역에는 소각물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된 소각물을 초기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장치(119)가 마련된다. 이러한 점화장치(119)는 도면에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그나이터 또는 버너로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cinerator 110, specifically in the lower region of the incinerator 110 is provided with an ignition device 119 for initially igniting the incinerator injected through the incinerator inlet 111.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s, such an ignition device 119 may be applied as an igniter or a burner.
소각로(110)의 화염 배출구(112)를 통해 소각로(110) 내부에서 연소된 소각물로부터 발생되는 대략 1.5~2m 정도의 화염이 배출된다. 화염 배출구(112)로부터 배출되는 화염 등은 보일러, 엔진, 기타 열 가열 장치 등의 열원으로서 재활용될 수 있다.The flame outlet of the incinerator 110 is discharged from the incinerator burned in the incinerator 110, about 1.5 to 2m of the flame is discharged. Flame and the like discharged from the flame outlet 112 may be recycled as a heat source such as a boiler, an engine, and other thermal heating devices.
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는, 전술한 중앙 공기유입부(130)와 후술하는 측면 공기유입관(140)과 측면공기공급부(150)를 통해 소각로(110)의 내부 공간에 보다 확실한 나선형 와류를 발생시켜 소각물의 연소 효율을 최대한 상승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중앙 공기유입부(130)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Waste dry distillation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piral vortex more reliabl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110 through the above-described central air inlet 130, side air inlet pipe 140 and side air supply unit 150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the incinerator by generating the maximum, hereinafter the central air inlet 130 will be described first.
한편, 본 실시예에서 나선형 와류(Spiral Vortex)라 함은 통상의 회오리 바람을 말하거나 이와 유사한 기류의 유동을 말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iral vortex refers to a conventional whirlwind or similar flow of air.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공기유입부(130)는, 소각로(110)의 내부공간을 향해 공기를 분사시켜 내부공간 내에 나선형 와류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소각로(110)의 내부공간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유로(131)가 형성되어 소각로(110)의 외부에 설치된 후술하는 중앙 공기공급부(134)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소각로(110)의 내부공간으로 전달하는 중앙 공기유입관(132)과, 중앙 공기유입관(132)의 외면에 중앙 공기유입관(132)의 유로(131)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토출관부(13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o 4, the central air inlet 130, by injecting air toward the interior space of the incinerator 110 to generate a spiral vortex in the interior space, the interior of the incinerator 110 The central air inlet pipe 132 is installed in the space and has a flow path 131 formed therein to transfer the air supplied from the central air supply unit 134 described later installed outside the incinerator 110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110. And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ipes 133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ral air inlet pipe 132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131 of the central air inlet pipe 132.
중앙 공기유입관(132)은, 소각로(110)의 내부공간에서 소각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공기공급부(134)와 인접한 일단으로부터 반대의 타단으로 갈수록 유로(131)의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The central air inlet pipe 132 is install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110 in the inner space of the incinerator 110,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s 2 and 4, the central air supply ( The taper is formed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131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end adjacent to the 134 to the other end opposite thereto.
한편, 후술하는 중앙 공기공급부(134), 구체적으로 중앙 공기공급부(134)의 중앙공기공급 송풍기(136)로부터 멀어질수록 중앙 공기유입관(132)에 형성된 공기토출관부(133)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압은 감소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 소각로(110) 내부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나선형 와류(Spiral Vortex)를 발생시키는 것이 어렵게 되며 결국에는 소각물의 연소 효율이 저감될 수 밖에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ipe 133 formed in the central air inlet pipe 132 as the central air supply unit 134, specifically, the further away from the central air supply blower 136 of the central air supply unit 134 Discharge pressure is bound to decrease.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generate a spiral vortex uniformly as a whole inside the incinerator 110, and eventually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the incinerator is inevitably reduced.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벤츄리 구조를 적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공기유입관(132)을 중앙 공기공급부(134)와 인접한 일단으로부터 반대의 타단으로 갈수록 유로(131)의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시킴으로써 복수의 공기토출관부(133)로부터 각각 배출되는 공기 토출압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131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one end adjacent to the central air inlet 134 to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central air inlet 134 by applying a venturi structure. The taper is formed to be tapered so that the air discharge pressure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air discharge pipe units 133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공기공급부(134)는, 중앙 공기유입관(132)의 유로(131)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공기 공급관(135)과, 공기 공급관(135)에 연결되어 중앙 공기유입관(132) 및 복수의 공기토출관부(133)를 통해 소각로(110)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중앙공기공급 송풍기(136)를 포함한다.1 and 2, the central air supply unit 134 is connected to an air supply pipe 135 and an air supply pipe 135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131 of the central air inlet pipe 132. And a central air supply blower 136 for supplying air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110 through the central air inlet pipe 132 and the plurality of air discharge pipes 133.
공기 공급관(135)은 소각로(110)의 외부에 중앙 공기유입관(132)과 연통하도록 설치되며, 공기 공급관(135)의 일측에는 중앙공기공급 송풍기(136)가 설치된다. 여기서, 공기 공급관(135)과 중앙 공기유입관(132)의 연결부위에는 중앙공기공급 송풍기(136)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별도의 공기누출방지부재(미도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supply pipe 135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central air inlet pipe 132 outside the incinerator 110, and a central air supply blower 136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air supply pipe 135. Here,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e air leakage preventing member (not shown)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air supply pipe 135 and the central air inlet pipe 132 so that the air supplied from the central air supply blower 136 does not flow out. .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공기 공급관(135)은 소각로(110)의 하측 방향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 공급관(135)은 소각로의 상측 방향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중앙 공기유입관(132)의 테이퍼진 방향은 도 2의 반대 방향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FIG. 1 and FIG. 2, the air supply pipe 135 is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air supply pipe 135 may be dispos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At this time, the tapered direction of the central air inlet pipe 132 is preferably appli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FIG.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공기토출관부(133)는, 중앙 공기유입관(13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소각로(110)의 바닥면을 향해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엘보우관부(137)와, 복수의 제1 엘보우관부(137)의 하측,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엘보우관부(137)의 측방향 하측에서 중앙 공기유입관(13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직선관부(138)와, 복수의 직선관부(138)의 하측, 구체적으로 복수의 직선관부(138)의 측방향 하측에서 중앙 공기유입관(13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복수의 제1 엘보우관부(137)의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인 상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엘보우관부(139)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 to 5, the plurality of air discharge pipe units 133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air inlet pipe 132 and downwar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cinerator 110. The central air inlet pipe 132 is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first elbow pipe portions 137 and the plurality of first elbow pipe portions 137, specifically, laterally below the plurality of first elbow pipe portions 137. The central air inlet pipe 132 is disposed below the plurality of straight pipe portions 138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traight pipe portions 138, specifically, in the lateral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straight pipe portions 138. A plurality of second elbow pipe portion 139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elbow pipe portion 137 is inclined in the upper direction opposite to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elbow pipe portion (137).
여기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엘보우관부(137)와 복수의 제2 엘보우관부(139)는 소각로(110)의 내주면 둘레방향을 따라 벤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소각로(110) 내에서 나선형 와류의 발생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생할 수 있게 된다.4, the plurality of first elbow tube portions 137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bow tube portions 139 may be bent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cinerator 110. Therefore, the generation of the spiral vortex in the incinerator 110 can be more effectively generated.
여기서, 전술한 "소각로(110)의 바닥면을 향해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이라 함은, 복수의 제1 엘보우관부(137)의 단부가 반드시 소각로(110)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며, 도 2를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벤딩되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복수의 제1 엘보우관부(137)의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인 상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이라 함은, 복수의 제2 엘보우관부(139)의 단부가 도 2를 기준으로 소각로(110)의 바닥면에 대해 상측 방향으로 벤딩되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above-mentioned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cinerator 110 ...", the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elbow pipe portion 137 is necessarily the bottom surface of the incinerator 110 It is not to say that it is formed to face, it means to be bent in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FIG. Similarly, the above-mentioned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n up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elbow pipe parts 137" means tha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bow pipe parts 139 are shown in FIG. It means that bent in the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cinerator 110 on the basis of.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엘보우관부(137), 복수의 직선관부(138) 및 복수의 제2 엘보우관부(139)의 조합체(A)는 중앙 공기유입관(1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4, the combination A of the plurality of first elbow pipe portions 137, the plurality of straight pipe portions 138,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bow pipe portions 139 is the central air inlet pipe 132. It is formed repeated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엘보우관부(137), 복수의 직선관부(138) 및 복수의 제2 엘보우관부(139)을 형섬함으로써, 중앙공기공급 송풍기(136)로부터 공급되어 복수의 제1 엘보우관부(137), 복수의 직선관부(138) 및 복수의 제2 엘보우관부(139)를 통해 소각로(110)의 내부공간으로 배출된 공기는 소각로(110) 내부에 나선형 와류를 발생시키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first elbow tube portions 137, the plurality of straight tube portions 138,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bow tube portions 139 are shaped to be supplied from the central air supply blower 136. And the air discharg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110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elbow pipe parts 137, the plurality of straight pipe parts 138,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bow pipe parts 139 are spiral vortices inside the incinerator 110. Will be generated.
좀 더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엘보우관부(137), 복수의 직선관부(138) 및 복수의 제2 엘보우관부(139)로부터 배출된 기류는 상호 간에 교차하면서 나선형 와류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나선형 와류는 소각물의 연소시에 발생하는 그을음과 검뎅이 등을 분쇄 또는 파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각로(110) 내에서 소각물의 완전연소가 최대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airflows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first elbow pipe portions 137, the plurality of straight pipe portions 138,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bow pipe portions 139 cross each other to generate spiral vortices. Vortex may pulverize or crush the soot and soot generated during combustion of the incinerator, and thu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omplete combustion of the incinerator in the incinerator 110.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중앙 공기유입부(130)에 더하여 소각로(110) 내에서 나선형 와류의 발생 효과를 증대시키도록 즉, 소각로(110) 내부의 열이동의 극대화와 완전연소의 최적화를 위해, 소각로(110)의 중앙 영역에서 공기를 공급하는 중앙 공기유입부(130)와 달리 소각로(110)의 측면 영역에서 소각로(110)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140)과 측면공기공급부(150)를 더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and 2,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entral air inlet 130 to increase the effect of the spiral vortex generated in the incinerator 110, that is, inside the incinerator 110 In order to maximize heat transfer and optimize combustion, the air from the side region of the incinerator 110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110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entral air inlet 130 which supplies air from the central region of the incinerator 110.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 140 and the side air supply unit 150 for supplying the.
도 2,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140)은, 소각로(110)의 내벽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소각로(110)의 내벽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141)을 구비하며 소각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측면공기공급부(150)는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140)과 연결되어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140)의 측면 공기토출관(141)을 통해 소각로(110)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한다.2, 3, and 5,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s 140 are installed along the inner wall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1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inner wall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110. The side of the air discharge pipe 141 is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110). The side air supply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s 140 to supply air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110 through the side air discharge pipes 141 of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s 140. .
한편,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141)은 측면 공기유입관(140) 내부의 유로와 연통하도록 측면 공기유입관(14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공기유입관(140)은 소각로(110)의 내벽에 형성되는 캐스타블(121)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즉, 소각로(110)의 내부에서 측면 공기유입관(140)은 캐스타블(121)에 의해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지만 측면 공기토출관(141)은 캐스타블(121)에 의해 밀폐되지 않도록 적절한 길이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side air discharge pipe 14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side air inlet pipe 140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inside the side air inlet pipe 140, as shown in Figure 5, the side air inlet The pipe 140 is provided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castable 121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cinerator 110. That is, in the incinerator 110, the side air inlet pipe 140 is formed so as not to be exposed by the castable 121, but the side air discharge pipe 141 is appropriate so as not to be sealed by the castable 121. It is preferred to protrude to length.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141)은 측면 공기유입관(140)에 대해 경사지도록 측면 공기유입관(14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s 141 protrude from the side air inlet pipes 140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ide air inlet pipes 140.
좀 더 구체적으로, 하나의 측면 공기유입관(140)을 기준으로 볼 때,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141) 중 어느 하나의 측면 공기토출관(141)은 그 단부가 이웃하게 배치된 또 다른 측면 공기토출관(141)의 근방 영역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based on one side air inlet pipe 140, one of the side air discharge pipe 141 of the plurality of side air discharge pipe 141 is another end of which is disposed adjacent It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vicinity of the side air discharge pipe 141.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141)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소각로(110) 내부에서 고속의 선회 기류를 형성시키게 되며, 이러한 고속의 선회 기류는 전술한 복수의 제1 엘보우관부(137), 복수의 직선관부(138) 및 복수의 제2 엘보우관부(139)로부터 배출된 기류와 합쳐져서 결국에는 소각로(110) 내부에 강력한 나선형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structur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side air discharge pipes 141 forms a high-speed swirling air flow in the incinerator 110, and the high-speed swirling air flow is the plurality of first elbow pipe portions (described above). 137) and the air streams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straight pipe portions 138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bow pipe portions 139 may eventually generate a strong spiral vortex inside the incinerator 110.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140) 중 최하측에 위치하는 측면 공기유입관(140)에 형성되는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141)은, 소각로(110) 내부의 하부 영역을 향하도록 측면 공기유입관(140)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 141 formed in the side air inlet pipe 14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 140, incinerator 110 It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ide air inlet pipe 140 to face the lower region inside.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소각로(110) 내에서 소각물의 정상적인 연소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140) 중 최하측에 위치하는 측면 공기유입관(140)에 형성되는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141)으로부터는 공기가 토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일정 시간의 연소시간이 경과되어 소각로(110) 내에서 소각물의 연소가 마무리되는 시점이 되면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140) 중 최하측에 위치하는 측면 공기유입관(140)에 형성되는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141)으로부터 소각로(110)의 내부 바닥면을 향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소각로(110) 내부 바닥면에 수용되어 있는 액상 상태의 소각물(폐기물)마저도 최대한으로 연소시킬 수 있으며 연소 후 잔재하는 남은 재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s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a plurality of side air formed in the side air inlet pipe 140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s 140 in a situation in which the incinerator is normally burned in the incinerator 110. Air is no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tube 141. Subsequently, when the combustion time of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d the combustion of the incineration is finished in the incinerator 110, the side air inlet pipe 140 positioned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s 140 is form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side air discharge pipes 141 towar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incinerator 110. As a result, even incineration (waste) in a liquid state contain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cinerator 110 may be burned to the maximum, and the generation of residual ash remaining after combustion may be minimized.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공기공급부(150)는,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140)과 각각 연통하도록 소각로(110)의 외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측면 공기공급유로관(151)과, 측면 공기공급유로관(151)에 연결되어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141)을 통해 소각로(110)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측면공기공급 송풍부(152)를 포함한다.1 and 2, the side air supply unit 150, a plurality of side air supply passage pipe 151 which is installed outside the incinerator 1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 140, respectively. And a side air supply blower 152 connected to the side air supply passage pipe 151 and supplying air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110 through the plurality of side air discharge pipes 141.
측면공기공급 송풍부(152)는, 측면 공기공급유로관(151)에 연결되어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141)을 통해 소각로(110)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측면공기공급 송풍기(153)와, 측면공기공급 송풍기(153)와 복수의 측면 공기공급유로관(151) 사이에 개재되는 공기분배기(154)를 포함한다.The side air supply blower 152 is connected to the side air supply passage pipe 151 to supply air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110 through the plurality of side air discharge pipes 141. ), And an air distributor 154 interposed between the side air supply blower 153 and the plurality of side air supply flow path tubes 151.
한편,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공기분배기(154)로부터 분기된 에어커튼 공기유입관(115)은 후술하는 에어커튼(114)에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as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the air curtain air inlet pipe 115 branched from the air distributor 154 is connected to the air curtain 114 to be described later.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각로(110) 내에서 소각물의 정상적인 연소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140) 중 최하측에 위치하는 측면 공기유입관(140)에 형성되는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141)으로부터는 공기가 토출되지 않도록 하며, 일정 시간의 연소시간이 경과되어 소각로(110) 내에서 소각물의 연소가 마무리되는 시점이 되면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140) 중 최하측에 위치하는 측면 공기유입관(140)에 형성되는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141)을 통해 소각로(110)의 내부 바닥면을 향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공기공급 온오프밸브(155)가 설치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n the situation where the incinerator is normally burned in the incinerator 110, it is formed in the side air inlet pipe 140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s 140. The air is not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side air discharge pipes 141, and when the combustion time of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nd the combustion of the incinerator is finished in the incinerator 110,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s 140 An air supply on / off valve 155 is provided such that air is discharged toward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incinerator 110 through a plurality of side air discharge pipes 141 formed on the side air inlet pipes 140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Is installed.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공급 온오프밸브(155)는,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140) 중 최하측에 위치하는 측면 공기유입관(140)에 연결되는 측면 공기공급유로관(151) 상에 설치되며, 볼밸브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공기공급 온오프밸브(155)를 개방 또는 폐쇄시켜 소각로(110) 내에서 소각물의 연소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소각로(110) 내부 바닥면에 잔재하는 액상의 소각물을 마저 연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액상 상태의 소각물에 공기를 부여하여 연소를 촉진함에 의해 달성 가능하게 된다.1 and 2, the air supply on-off valve 155 is a side air supply passage connected to the side air inlet pipe 140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s 140. It is installed on the pipe 151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ball valve or a solenoid valve. Therefore, when the user manually or automatically opens or closes the air supply on / off valve 155 to complete combustion of the incinerator in the incinerator 110, the liquid incinerator remain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cinerator 110 is completed. It can even burn. This can be achieved by applying air to the incinerator in the liquid state to promote combus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는, 소각로(110) 내부의 온도를 대략 1200도 이상으로 상승시키도록,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적 배출관(160)과 물 공급부(170)를 포함한다.Waste dry distillation inci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s 1 to 3 to increa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cinerator 110 to approximately 1200 degrees or more, the water discharge pipe 160 and the water supply unit 170 Include.
전술한 바와 같이, 소각로(110) 내부의 온도가 대략 1200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소각물의 연소시에 냄새와 매연이 발생하지 않는 완전연소를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정한 열에너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maintain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cinerator 110 to be approximately 1200 degrees or more, it is possible to realize complete combustion that does not generate odor and soot at the time of burning the incinerator, as well as to obtain clean thermal energy.
수적 배출관(160)은 소각로(110)의 내벽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소각로(110)의 내벽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수적 배출구(161)를 구비한다. 물 공급부(170)는 수적 배출관(160)과 연결되어 복수의 수적 배출구(161)를 통해 소각로(110)의 내부공간으로 물을 공급한다.The droplet discharge pipe 160 is installed along the inner wall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11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droplet discharge ports 16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inner wall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110. The water supply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droplet discharge pipe 160 to supply water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110 through the plurality of droplet discharge ports 161.
물 공급부(170)로부터 공급되어 복수의 수적 배출구(161)를 통해 소각로(110) 내부로 배출된 물은, 소각로(110)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에 의해 물 입자가 최대한 미세하게 나뉘어져 미세한 수적 상태로 변환된다. 이때 미세한 수적은 소각물 연소의 촉매 역할을 하여 소각물의 불완전 연소로 인한 매연과 냄새의 기체를 포집하여 완전연소토록 함으로써 2차 폐기물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70 and discharged into the incinerator 110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droplet outlets 161 is divided into fine particles as much as possible by the high temperature heat generated inside the incinerator 110 and thus the fine water droplets. Is converted to. At this time, the fine water droplets act as a catalyst for burning the incinerator, thereby trapping the gas of the smoke and odor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of the incinerator and completely burning it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secondary waste.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공급부(170)는, 물이 수용되는 물 탱크(171)와, 물 탱크(171)와 수적 배출관(160)을 연결하는 물 공급관(172)을 포함한다.1 and 2, the water supply unit 170 includes a water tank 171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and a water supply pipe 172 connecting the water tank 171 and the water discharge pipe 160. do.
본 실시예서, 수적 배출관(16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로 마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각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water droplet discharge pipe 160 is provided as one, but is not limited to this, as shown in Figures 1 to 3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110).
이러한 구성을 통해, 물 탱크(171)로부터 복수의 수적 배출구(161)를 통해 소각로(110)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된 물은, 소각로(110) 내부에 형성되는 고온에 의해 가열되어 수적 상태로 변환된 후 소각로(110)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되어 소각로(110)의 내부온도를 대략 1200도 이상으로 상승시켜 소각물의 완전연소를 촉진하게 된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171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110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droplet outlets 161 is heated by the high temperature formed inside the incinerator 110 and converted into a water droplet state. After being suppli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110,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cinerator 110 is raised to about 1200 degrees or more to promote complete combustion of the incinerator.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공급관(172)에는 물공급 온오프밸브(173)가 설치된다. 이러한 물공급 온오프밸브(173)는 볼밸브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적용될 수 있다.1 and 2, a water supply on / off valve 173 is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172. The water supply on-off valve 173 may be applied as a ball valve or a solenoid valv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소각로(110)의 내부공간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소각로(110)에 마련되는 온도센서(122)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122 provided in the incinerator 110 to measure the internal space temperature of the incinerator 110.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온도센서(122)의 측정값을 통해 소각로(110)의 내부온도가 대략 800도~850도 정도인 것으로 판단되면, 물공급 온오프밸브(173)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방하여 복수의 수적 배출구(161)를 통해 물이 소각로(11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물은, 소각로(110) 내부에 형성되는 고온에 의해 가열되어 수적 상태로 변환된 후 소각로(110)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되어 소각로(110)의 내부온도를 대략 1200도 이상으로 상승시켜 소각물의 완전연소를 촉진하게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cinerator 110 is about 800 to 850 degrees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122, the user manually or automatically operates the water supply on / off valve 173. Open to allow water to be supplied into the incinerator 110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droplet outlets 161. Such water is heated by the high temperature formed in the incinerator 110, converted into a water droplet state, and then suppli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110 to rai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cinerator 110 to about 1200 degrees or more, thereby increas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cinerator. Promote complete combustion.
한편, 소각로(110) 내부로 투입된 고체 상태의 소각물(폐 고무, 폐 플라스틱 합성수지재 등 포함)은 소각로(110) 내의 고온에 의해 가열되어 연소가스를 배출시킴과 더불어 액체 상태로 변환하게 된다. 이러한 액상의 소각물은 소각로(110) 내에서 연소됨으로써 2차 폐기물의 발생이 방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 solid incineration (including waste rubber, waste plastic synthetic resin, etc.) introduced into the incinerator 110 is heated by the high temperature in the incinerator 110 to discharge the combustion gas and convert to a liquid state. This liquid incinerator is burned in the incinerator 110, thereby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secondary waste.
본 실시예에서는, 초기 고체상태의 소각물이 보다 신속하게 액체 상태로 변환되도록, 즉 소각물의 완전연소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각로(110)의 내측 하부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블레이드(181)와, 교반블레이드(181)를 회전시키도록 소각로(110)의 외부에 마련되는 교반블레이드 회전구동부(182)를 더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incinerator in the initial solid state is rotated in the lower inner region of the incinerator 110, as shown in FIG. It further includes a stirring blade 181 which is installed to be possible, and a stirring blade rotating driver 182 provided outside the incinerator 110 to rotate the stirring blade 181.
교반블레이드(181)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소각로(110)의 바닥면에 수용되는 초기 고체상태의 소각물을 교반시켜 소각로(110) 내부의 고온의 열이 고체 상태의 소각물 전체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고체 상태의 소각물이 보다 신속하게 액체 상태로 변환되도록 한다.The stirring blade 181 includes a plurality of blades, and stirs the incinerator of the initial solid state accommodat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cinerator 110 so that high temperature heat in the incinerator 110 i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solid incinerator. The delivery allows the solid incinerator to be converted to the liquid state more quickly.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공기유입관(132)을 감싸는 형태로 교반블레이드(181)와 일체로 형성되는 교반블레이드 회전구(183)가 더 마련되며, 교반블레이드 회전구(183)는 교반블레이드 회전구동부(18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이때 교반블레이드(181)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in the form of surrounding the central air inlet pipe 132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irring blade rotating sphere 183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tirring blade 181, stirring blade rotating sphere (183) Is rotated by the drive of the stirring blade rotating drive unit 182 at this time stirring blade 181 is also rotated at the same time.
여기서, 교반블레이드 회전구(183)와 중앙 공기유입관(132)의 사이, 또는 교반블레이드(181)와 소각로(110)의 바닥면과 교반블레이드 회전구(183)의 사이에 베어링 또는 부싱 등을 장착하여 교반블레이드 회전구(183)가 좀 더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Here, a bearing or bushing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tirring blade rotating hole 183 and the central air inlet pipe 132, or between the stirring blade 18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cinerator 110 and the stirring blade rotating hole 183. By mounting the stirring blade rotating sphere 183 can be more smoothly rotated.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반블레이드 회전구동부(182)는, 교반블레이드 회전구(183)에 연결되는 제1 베벨기어(184)와, 제1 베벨기어(184)와 치형 결합되는 제2 베벨기어(185)와, 제2 베벨기어(185)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86)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stirring blade rotating driver 182 includes a first bevel gear 184 connected to the stirring blade rotating mechanism 183 and a second bevel tooth-connected with the first bevel gear 184. And a drive motor 186 for rotating the gear 185 and the second bevel gear 185.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교반블레이드 회전구동부(182)는 벨트와 풀리 등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수단, 스프라킷과 체인 등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수단 등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irring blade rotating driver 182 may be applied to a power transmission means formed by a combination of a belt and a pulley, a power transmission means composed of a sprocket and a chain, and the lik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소각로(110)의 내부공간에서 소각물이 연소하면서 발생되는 매연 등이 소각물 투입구(111)의 내벽과 소각물 투입도어(113)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에어커튼(114)이 더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soot generated while burning the incinerator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incinerator inlet 111 and the incinerator input door 113. The air curtain 114 is further provided to prevent the phenomenon from occurring.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커튼(114)은, 소각물 투입구(111)의 내벽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압축공기분사노즐(117)이 형성되는 에어커튼관(116)을 포함한다. 여기서, 에어커튼관(116)은 에어커튼 공기유입관(115)을 통해 공기분배기(154)와 연결된다.As shown in FIG. 6, the air curtain 114 is installed along the inner wall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inlet 111, and the air curtain pipe 116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ressed air injection nozzles 117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Here, the air curtain pipe 116 is connected to the air distributor 154 through the air curtain air inlet pipe 115.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압축공기분사노즐(117)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는, 소각물 투입구(111)의 내벽을 향해 수직으로 분사되지 않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각로(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상 경사진 상태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매연 등이 소각물 투입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더더욱 방지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igh-pressure air injected from the plurality of compressed air injection nozzles 117 is not injected vertically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incineration inlet 111,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o spray in a stat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in the direction toward.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haust fumes and the like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cinerator inlet 111.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to clearly show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nfer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s that can be made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hat both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10: 소각로 114: 에어커튼
117: 압축공기분사노즐 119: 점화장치
122: 온도센서 130: 중앙 공기유입부
132: 중앙 공기유입관 133: 공기토출관부
134: 중앙 공기공급부 137: 제1 엘보우관부
138: 직선관부 139: 제2 엘보우관부
140: 측면 공기유입관 141: 측면 공기토출관
150: 측면공기공급부 151: 측면 공기공급유로관
152: 측면공기공급 송풍부 154: 공기분배기
155: 공기공급 온오프밸브 160: 수적 배출관
161: 수적 배출구 170: 물 공급부
173: 물공급 온오프밸브 181: 교반블레이드
183: 교반블레이드 회전구 184: 제1 베벨기어
185: 제2 베벨기어110: incinerator 114: air curtain
117: compressed air jet nozzle 119: ignition device
122: temperature sensor 130: central air inlet
132: central air inlet pipe 133: air discharge pipe
134: central air supply 137: first elbow tube
138: straight pipe portion 139: second elbow tube portion
140: side air inlet pipe 141: side air outlet pipe
150: side air supply unit 151: side air supply passage pipe
152: side air supply blower 154: air distributor
155: air supply on-off valve 160: water droplet discharge pipe
161: water droplet outlet 170: water supply
173: water supply on-off valve 181: stirring blade
183: stirring blade rotating device 184: first bevel gear
185: second bevel gear
Claims (25)
상기 소각로의 내부공간 내에 설치되고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소각로의 외부에 설치된 중앙 공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상기 소각로의 내부공간으로 전달하며, 상기 소각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중앙 공기공급부와 인접한 일단으로부터 반대의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유로의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중앙 공기유입관과, 상기 중앙 공기유입관의 외면에 상기 중앙 공기유입관의 유로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토출관부로 이루어져, 상기 소각로의 내부공간을 향해 공기를 분사시켜 상기 내부공간 내에 나선형 와류가 발생하도록 하는 중앙 공기유입부;
상기 소각로의 내측 하부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블레이드와, 상기 교반블레이드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소각로의 외부에 마련되는 교반블레이드 회전구동부;
상기 소각로의 내벽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소각로의 내벽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그 단부가 이웃하게 배치된 측면 공기토출관의 근방 영역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을 구비하며, 상기 소각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과, 상기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의 측면 공기토출관을 통해 상기 소각로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측면공기공급부; 및
상기 소각로의 내벽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소각로의 내벽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수적 배출구를 구비하는 수적 배출관과, 상기 수적 배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수적 배출구를 통해 상기 소각로의 내부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토출관부는, 상기 중앙 공기유입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소각로의 바닥면을 향해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엘보우관부와, 상기 복수의 제1 엘보우관부의 하측에서 상기 중앙 공기유입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직선관부, 그리고 상기 복수의 직선관부의 하측에서 상기 중앙 공기유입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엘보우관부의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인 상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엘보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엘보우관부, 복수의 직선관부 및 복수의 제2 엘보우관부의 조합체는 상기 중앙 공기유입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공기공급부는, 상기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과 각각 연통하도록 상기 소각로의 외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측면 공기공급유로관 및 상기 측면 공기공급유로관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을 통해 상기 소각로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측면공기공급 송풍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 중 최하측에 위치하는 측면 공기유입관에 연결되는 상기 측면 공기공급유로관에는 공기공급 온오프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측면 공기유입관 중 최하측에 위치하는 측면 공기유입관에 형성되는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은 상기 소각로 내부의 하부 영역을 향하도록 상기 측면 공기유입관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An incinerator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and an incinerator inlet for introducing the incinerator from the outside into the inner space, and a flame outlet for discharging the flame generated by burning the incinerator;
I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incinerator and a flow path is formed therein to transfer air supplied from the central air supply unit installed outside of the incinerator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and is install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and the A central air inlet pipe that is taper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end adjacent to the central air supply unit to the other end thereof, and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low path of the central air inlet pipe on an outer surface of the central air inlet pipe; A central air inlet part comprising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ipe parts to inject air toward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to generate spiral vortices in the internal space;
A stirring blade rotatably installed in an inner lower region of the incinerator, and a stirring blade rotating driver provided outside the incinerator to rotate the stirring blade;
A plurality of side air discharge pipes disposed along the inner wall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inner wall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and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vicinity of the side air discharge pipe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s of the incinerator through side air discharge pipes of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s. Side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air to the interior space; And
The water discharge pipe is installed along the inner wall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and has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outle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inner wall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cinerator, and the inside of the incinerator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outlets connected to the water discharge pipe. A water supply for supplying water to the space;
The air discharge pipe portion, a plurality of first elbow pipe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air inlet pipe and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cinerator, and the plurality of first elbow pipe portion A plurality of straight pipe part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air inlet pipe at a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straight pipe part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air inlet pipe at a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straight air pipe parts; And a plurality of second elbow tube portions formed to be inclined in an up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first elbow tube por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elbow tube portions, the plurality of straight tube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bow tube portions are combined. It is repeated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air inlet pipe,
The side air supply unit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ide air supply passage pipes and the side air supply passage pipes installed outside the incinerato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s, respectively, through the plurality of side air discharge pipes. An air supply on-off valve is provided in the side air supply flow passage pipe connected to the side air inlet pipe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s. Is installed, the plurality of side air discharge pipe formed in the side air inlet pipe located on the low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side air inlet pipe is form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ide air inlet pipe to face the lower region inside the incinerator Waste dry distillation inci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측면공기공급 송풍부는, 상기 측면 공기공급유로관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측면 공기토출관을 통해 상기 소각로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측면공기공급 송풍기 및 상기 측면공기공급 송풍기와 상기 복수의 측면 공기공급유로관 사이에 개재되는 공기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소각물 투입구의 내벽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압축공기분사노즐이 형성되는 에어커튼관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커튼관은 에어커튼 공기유입관을 통해 상기 공기분배기와 연결되는 에어커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ide air supply blower is connected to the side air supply passage pipe, the side air supply blower for supplying air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inerator through the plurality of side air discharge pipe and the side air supply blower and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An air distributor interposed between the air supply flow pipes,
And an air curtain pipe installed along the inner wall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cineration product inlet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air curtain pipe is connected to the air distributor through an air curtain air inlet pipe. Waste dry distillation incineration apparatus comprising a curtai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2928A KR101055854B1 (en) | 2010-08-26 | 2010-08-26 | Apparatus for incinerating wast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2928A KR101055854B1 (en) | 2010-08-26 | 2010-08-26 | Apparatus for incinerating wast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55854B1 true KR101055854B1 (en) | 2011-08-09 |
Family
ID=4493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2928A KR101055854B1 (en) | 2010-08-26 | 2010-08-26 | Apparatus for incinerating wast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5854B1 (en)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591589A (en) * | 2013-11-20 | 2014-02-19 | 路宏添 | Refuse incinerator |
KR101368378B1 (en) * | 2011-12-29 | 2014-03-13 | 주식회사 뉴에너지 | Vertical type incinerator |
CN104949132A (en) * | 2015-07-17 | 2015-09-30 | 张宝家 | Pyrolyzing gasifier |
WO2016021785A1 (en) * | 2014-08-08 | 2016-02-11 | 양복주 | Multi-layer high-temperature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
KR101880160B1 (en) * | 2016-08-25 | 2018-07-20 | 김병태 | Boiler apparatus for burning waste |
KR101899512B1 (en) * | 2018-05-23 | 2018-09-18 | 홍지운 | High-temperature Incineration Device |
EP3324117A4 (en) * | 2015-07-16 | 2019-04-03 | SHIN POONG Co., Ltd. | High-temperature thermal decomposition incinerator |
KR20190074781A (en) * | 2017-12-20 | 2019-06-28 | 하나로이앤지 주식회사 | The combustion furnace for a waste |
KR20200003492A (en) * | 2018-07-02 | 2020-01-10 | 박종섭 | Gasfication Incinerator |
KR20200031233A (en) * | 2018-09-14 | 2020-03-24 | 케이피항공산업(주) | An Incineration system having a 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or |
KR20200031232A (en) * | 2018-09-14 | 2020-03-24 | 케이피항공산업(주) | An Incineration system having a 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or |
KR102077820B1 (en) * | 2019-06-10 | 2020-04-07 | 진성흥 | Hydrogen-incinerator with improved combustion efficiency |
KR20210048875A (en) | 2019-10-24 | 2021-05-04 | 김일수 | Incineration device that can remove contaminants in exhaust gas by recovering incineration heat in exhaust gas |
KR20210048881A (en) | 2019-10-24 | 2021-05-04 | 김일수 | Incinerator with air injection structure to increase combustion efficiency |
WO2023282566A1 (en) * | 2021-07-05 | 2023-01-12 | Moon Joo Park | Eco-friendly ultra-high temperature thermal decomposition system for waste-to-energ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9442Y1 (en) * | 1993-12-20 | 1996-10-21 | 김영수 | Incinerator for waste oil |
KR200187588Y1 (en) * | 2000-02-01 | 2000-07-15 | 안희수 | Incinerator for combustibles |
KR200280836Y1 (en) * | 2002-04-09 | 2002-07-06 | 주식회사 지. 이. 테크 | solid type incinerator |
KR200390978Y1 (en) * | 2005-05-12 | 2005-07-28 | 김동기 | Incinerator |
-
2010
- 2010-08-26 KR KR1020100082928A patent/KR10105585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9442Y1 (en) * | 1993-12-20 | 1996-10-21 | 김영수 | Incinerator for waste oil |
KR200187588Y1 (en) * | 2000-02-01 | 2000-07-15 | 안희수 | Incinerator for combustibles |
KR200280836Y1 (en) * | 2002-04-09 | 2002-07-06 | 주식회사 지. 이. 테크 | solid type incinerator |
KR200390978Y1 (en) * | 2005-05-12 | 2005-07-28 | 김동기 | Incinerator |
Cited B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8378B1 (en) * | 2011-12-29 | 2014-03-13 | 주식회사 뉴에너지 | Vertical type incinerator |
CN103591589A (en) * | 2013-11-20 | 2014-02-19 | 路宏添 | Refuse incinerator |
CN103591589B (en) * | 2013-11-20 | 2015-10-21 | 路宏添 | A kind of incinerator |
WO2016021785A1 (en) * | 2014-08-08 | 2016-02-11 | 양복주 | Multi-layer high-temperature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
KR101604837B1 (en) * | 2014-08-08 | 2016-03-18 | 양복주 | Multi layer high temperature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
CN105745496A (en) * | 2014-08-08 | 2016-07-06 | 梁福周 | Multi-layer high-temperature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
US10634343B2 (en) | 2015-07-16 | 2020-04-28 | Shinpoong Co., Ltd. | High-temperature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
EP3324117A4 (en) * | 2015-07-16 | 2019-04-03 | SHIN POONG Co., Ltd. | High-temperature thermal decomposition incinerator |
CN104949132A (en) * | 2015-07-17 | 2015-09-30 | 张宝家 | Pyrolyzing gasifier |
KR101880160B1 (en) * | 2016-08-25 | 2018-07-20 | 김병태 | Boiler apparatus for burning waste |
KR20190074781A (en) * | 2017-12-20 | 2019-06-28 | 하나로이앤지 주식회사 | The combustion furnace for a waste |
KR102108611B1 (en) * | 2017-12-20 | 2020-05-07 | 하나로이앤지 주식회사 | The combustion furnace for a waste |
KR101899512B1 (en) * | 2018-05-23 | 2018-09-18 | 홍지운 | High-temperature Incineration Device |
KR20200003492A (en) * | 2018-07-02 | 2020-01-10 | 박종섭 | Gasfication Incinerator |
KR102069837B1 (en) * | 2018-07-02 | 2020-01-23 | 박종섭 | Gasfication Incinerator |
KR20200031233A (en) * | 2018-09-14 | 2020-03-24 | 케이피항공산업(주) | An Incineration system having a 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or |
KR20200031232A (en) * | 2018-09-14 | 2020-03-24 | 케이피항공산업(주) | An Incineration system having a 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or |
KR102131179B1 (en) * | 2018-09-14 | 2020-08-05 | 케이피항공산업(주) | An Incineration system with integrated dust collector having a 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or |
KR102168069B1 (en) * | 2018-09-14 | 2020-11-04 | 케이피항공산업(주) | An Incineration system having a 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or |
KR102077820B1 (en) * | 2019-06-10 | 2020-04-07 | 진성흥 | Hydrogen-incinerator with improved combustion efficiency |
KR20210048875A (en) | 2019-10-24 | 2021-05-04 | 김일수 | Incineration device that can remove contaminants in exhaust gas by recovering incineration heat in exhaust gas |
KR20210048881A (en) | 2019-10-24 | 2021-05-04 | 김일수 | Incinerator with air injection structure to increase combustion efficiency |
WO2023282566A1 (en) * | 2021-07-05 | 2023-01-12 | Moon Joo Park | Eco-friendly ultra-high temperature thermal decomposition system for waste-to-energ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5854B1 (en) | Apparatus for incinerating wastes | |
JP6438583B2 (en) | High temperature pyrolysis incinerator | |
JP5091612B2 (en) | Burner | |
CN112902180A (en) | Urban garbage handles with high-efficient device that burns | |
KR101498260B1 (en) | Dry distillation gas fluidized bed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with microwave | |
KR101415450B1 (en) | Incineration device for solid wastes | |
KR101113403B1 (en) | Heat recovery apparatus for incinerating wastes | |
KR102243140B1 (en) | Muffle chamber integrated fluidized bed incinerator | |
KR101658755B1 (en) | Combustion apparatus for waste articles | |
KR100299675B1 (en) | Heat Boiler | |
KR100413188B1 (en) | Burner for inflammable pulverized fuel | |
KR101536277B1 (en) | Dry distillation gas fluidized bed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with microwave | |
KR101049715B1 (en) | A hot air fan | |
KR200408326Y1 (en) | Air supply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combustor | |
WO2018066122A1 (en) | Incineration device | |
KR100613436B1 (en) | Horizontal type waste incinerator | |
KR20120098171A (en) | The eco-burner for energy saving | |
JPH10185115A (en) | Powder combustion burner of industrial waste incinerator | |
KR20090128949A (en) | A trash boiler improved the efficiency of waste heat recovery and the ability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 |
KR100666043B1 (en) | Air supply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combustor | |
KR100522909B1 (en) | A Furnace for burning wastes | |
JPH0749223Y2 (en) | Waste oil and exhaust gas combustor | |
KR100230188B1 (en) | Multi-purpose incinerator | |
KR101967117B1 (en) | Waste Incineration System with Cyclone Combustion Structure | |
JP3549044B2 (en) | Rotary kiln using powder burner fueled with coated nugget debri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kil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