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674B1 - 미닫이 창문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문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674B1
KR101594674B1 KR1020140065308A KR20140065308A KR101594674B1 KR 101594674 B1 KR101594674 B1 KR 101594674B1 KR 1020140065308 A KR1020140065308 A KR 1020140065308A KR 20140065308 A KR20140065308 A KR 20140065308A KR 101594674 B1 KR101594674 B1 KR 101594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opening
guide portion
fixing
screw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438A (ko
Inventor
이창용
Original Assignee
이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용 filed Critical 이창용
Priority to KR1020140065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674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05C17/48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comprising a sliding secur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는,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로서, 창문에 부착되고 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창문의 문틀에 부착되는 지지부와, 가이드부에 형성된 제1 나사산과 맞물리도록 제2 나사산이 형성되고 지지부에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개폐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닫이 창문 개폐 장치{SLIDING DOOR OPENING AND SHUTTING DEVICE}
본 발명은 창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닫이 창문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문에는, 창문을 닫았을 때 외부에서 창문을 열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창문틀에 잠금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미닫이 창문 및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미닫이 창문 및 잠금장치는, 한 쌍의 창문에서 한 쪽 창문의 창문틀에 고정되는 걸림부(10)와, 다른 쪽 창문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부(10)에 걸림되는 잠금부(20)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10)는 창문틀에 고정되고 고리 형상으로 되어있고, 상기 잠금부(20)는 다른 쪽 창문에 고정되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회전되면서 상기 걸림부(10)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재(22)로 구성된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는, 창문이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서만 창문이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창문이 열려진 상태로 개폐정도를 유지고정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창문이 조금 열린 상태에서 외부 침입자가 창문을 더 열고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미닫이 창문이 열리는 정도를 조절하고, 미닫이 창문이 열려진 상태만큼 유지시킬 수 있는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문 개폐 장치는,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로서,
상기 창문에 부착되고 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창문의 문틀에 부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상기 제1 나사산과 맞물리도록 제2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개폐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제1 나사산과 상기 개폐조절부의 상기 제2 나사산이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미닫이 창문의 개폐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회동부는 내부에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경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창문에 부착시키는 부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수단은 진공을 이용하는 진공흡착패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조절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동제한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에 따르면, 미닫이 창문이 열리는 정도를 조절하고, 미닫이 창문이 열려진 상태만큼 유지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미닫이 창문이 조금 열려진 상태에서 외부 침입자가 강제로 창문을 열어서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개폐조절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부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개폐조절부 중 고정부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개폐조절부 중 지지부의 상세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개폐조절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부의 상세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100)는, 미닫이 창문(1)이 열려진 상태로 유지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100)는, 가이드부(101), 개폐조절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01)는 한 쌍의 미닫이 창문의 어느 한 창문(1)에 부착되는 것으로 기다란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제1 나사산(11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나사산(110)의 피치는 전체에 걸쳐 균일하며, 따라서 후술하는 고정판(122)에 형성된 제2 나사산(123)과 맞물릴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01)에는, 상기 가이드부(101)를 상기 창문(1)에 부착시키기 위한 진공흡착패드(112a, 112b)가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진공흡착패드(112a, 112b)는 상기 가이드부(101)의 양측에 볼트(미도시)나 본드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진공흡착패드(112a, 112b)에 의한 진공압 덕분으로 상기 가이드부(101)는 상기 창문(1)에 부착이 가능하고, 필요 시 강기 가이드부(101)의 위치조절을 위해 용이하게 탈착 및 재부착을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창문(1)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오돌토돌한 경우에는, 상기 진공흡착패드(112a, 112b) 이외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부(101)를 부착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개폐조절부(120)는 상기 가이드부(101)와 결합하여 창문의 현재위치를 유지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창문틀(11)에 부착된다. 상기 개폐조절부(120)는, 고정판(122), 연결판(124), 경첩(126) 및 지지판(1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122)은 상기 가이드부(101)와 직접 맞물리는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판 형상이다. 상기 창문(1)을 향하는 상기 고정판(122)의 일면에는 제2 나사산(12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 나사산(123)의 피치는 상기 가이드부(101)의 상기 제1 나사산(110)과 동일하다.
상기 지지판(128)은 상기 개폐조절부(120)를 상기 창문틀(11)에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ㄴ'자 형상의 강판 프레임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창문틀(110)의 형상에 맞게 달라 질 수 있다.
상기 경첩(126)은 상기 고정판(122)을 상기 지지판(128)에 대하여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첩(126)은 경첩축(129)을 중심으로 양면이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경첩(126)의 일면에는 상기 경첩(126)과 상기 고정판(122)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판(124)이 부착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판(124)은 전체적으로 휘어진 'ㄴ'자 형상을 가진다.
상기 경첩(126) 내부의 경첩축(129) 상에는 탄성 스프링(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탄성 스프링 덕분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보통 상태에서 상기 경첩(126)의 일면은 타면을 향하도록 탄성힘을 받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판(124)과 연결된 상기 경첩(126)의 일면은 상기 경첩축(129)에 감겨진 탄성 스프링 때문에 'I'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동하도록 힘을 받게 된다. 이러한 구성 덕분에, 상기 연결판(124)에 연결된 상기 고정판(122)도 'I'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상기 고정판(122)의 상기 제2 나사산(123)은 상기 가이드부(101)의 상기 제1 나사산(110)과 가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나사산(110)과 상기 제2 나사산(123)이 가압적으로 밀착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조절부(120)는 상기 가이드부(101)에 대하여 상대적인 이동이 불가능하고, 따라서 창문(1)이 소정의 상태로 열려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 덕분에, 사람이 출입하기에는 좁은 정도로 상기 창문(1)이 열려진 상태에서 외부 침입자가 상기 창문(1)을 더 열고서 실내로 침입하고자 하여도, 상기 창문(1) 또는 상기 창문틀(11)에 연결된 다른 창문(미도시)을 열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22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개폐조절부 중 고정부의 상세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개폐조절부 중 지지부의 상세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시된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는, 미닫이 창문이 열려진 상태로 유지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는, 가이드부, 개폐조절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 중 상기 가이드부는 도 2에 도시된 가이드부(101)와 같은 구성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절부(200)는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하여 창문의 현재위치를 유지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창문틀(미도시)에 부착된다. 상기 개폐조절부(200)은, 고정부(220) 및 지지판(2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220)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가이드부(101)와 맞물려 창문의 현재위치를 유지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고정판(222), 연결판(224), 회동축(225), 와이어 스프링(22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222)은 상기 가이드부(101)와 직접 맞물리는 부분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판 형상이다. 창문(도2 참조)을 향하는 상기 고정판(222)의 일면에는 제2 나사산(22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 나사산(223)의 피치는 상기 가이드부(101)의 제1 나사산(110)과 동일하다.
상기 연결판(224)은 상기 고정판(222)과 상기 회동축(225)을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으로 휘어진 판 형상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판(224)은 상기 고정판(222)과 볼트체결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판(222)과 상기 연결판(224)이 조절볼트(227)와 너트(228)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조절볼트(227)는 상기 연결판(224)에 형성된 제1 볼트체결구(226)와 상기 고정판(222)에 형성된 제2 볼트체결구(221)를 관통하여 상기 너트(228)와 결합되는데, 이 경우 상기 제2 볼트체결구(221)는 상기 조절볼트(227)에 비해 기다란 구멍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판(222)과 상기 연결판(224)과의 결합시에 상기 고정판(222)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조절 덕분에, 상기 고정판(222)에 형성된 제2 나사산(223)은 상기 가이드부(101)의 제1 나사산(110)과 정확히 맞물릴 수 있다.
상기 회동축(225)은 상기 고정판(222)을 상기 지지판(238)에 대하여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상기 회동축(225)은 상기 연결판(224)과 용접 또는 볼트 체결 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연결판(224)과 하나의 부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회동축(225)의 양측에는 탄성 스프링으로서 와이어 스프링(229)이 권취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238)은 상기 개폐조절부(200)를 창문틀에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ㄴ'자 형상의 강판 프레임으로 샤시와 같은 창문틀에 밀착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지판(238)에는 상기 고정부(220)의 회동축(225)과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축 고정부(239a, 239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회동축 고정부(239a, 239b)에는 상기 회동축(225)의 양측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각각 마련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220)가 상기 삽입홀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238)에는 후술하는 회동제한핀(252)과 가압방지핀(254)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한 쌍의 핀 지지대(242a,242b)가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핀 지지대(242a, 242b)에는 상기 회동제한핀(252)이 삽입될 수 있는 회동제한핀 삽입홀(234a, 234b)가 각각 마련되어 있고, 상기 회동제한핀 삽입홀(234a, 234b)아래에는 상기 가압방지핀(254)이 삽입될 수 있는 가압방지핀 삽입홀(244a, 244b)이 마련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판(238)과 상기 고정부(22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부(220)의 회동축(225)에 권취된 와이어 스프링(229) 덕분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보통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220)의 고정판(222)이 'I'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동하도록 힘을 받게 된다. 이러한 구성 덕분에, 상기 고정판(222)의 상기 제2 나사산(223)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부(101)의 제1 나사산(110)과 가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와이어 스프링(229)의 과도한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고정판(222)이 상기 가이드부(101)에 무리하게 밀게 하는 경우 창문이 파손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방지핀(254)은 상기 고정판(222)이 'I'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창문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220)의 고정판(222)의 제2 나사산(223)과 도 2에 도시된 가이드부(101)의 제1 나사산(110)이 가압적으로 밀착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조절부(200)는 상기 가이드부(101)에 대하여 상대적인 이동이 불가능하고, 따라서 창문이 소정의 상태로 열려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사람이 출입하기에는 좁은 정도로 창문이 열려진 상태에서, 외부 침입자가 상기 창문을 열고서 실내로 침입하고자 하여도, 상기 창문 또는 창문틀에 연결된 다른 창문을 열 수 없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출입하기에는 좁은 정도로 창문이 열려진 상태에서, 외부 침입자가 열려진 창문틈을 통하여 상기 고정부(220)의 연결판(224)을 막대기나 지렛대 등으로 강제로 들어올리려는 경우에, 상기 회동제한핀(252) 덕분에 상기 연결판(224)은 들어올려질 수 없게 되므로, 상기 고정판(222)이 상기 가이드부(101)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침입자가 강제로 상기 개폐조절부(200)를 조작하여 창문을 열 수 없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나사산과 상기 제2나사산은 금속, 플라스틱 등을 기계가공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차량의 타이밍 벨트와 같은 고무벨트의 폐부품을 재활용하여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창문 11: 창문틀
10: 걸림부 20: 잠금부
21: 본체 22: 걸림부재
100: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 101: 가이드부
110: 제1 나사산 120: 개폐조절부
122: 고정판 123: 제2 나사산
124: 연결판 126: 경첩
128: 지지판 129: 경첩축
112a, 112b: 진공흡착패드 220: 고정부
221: 제2 볼트체결구 222: 고정판
223: 제2 나사산 224: 연결판
226: 제1 볼트체결구 225: 회동축
227: 조절볼트 228: 너트
229: 와이어 스프링 238: 지지판
234a. 234b: 회동제한핀 삽입홀
239a, 239b: 회동축 고정부 242a,242b: 핀 지지대
244a, 244b: 가압방지핀 삽입홀 252: 회동제한핀
254: 가압방지핀

Claims (7)

  1.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로서,
    상기 창문에 부착되고 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창문의 문틀에 부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상기 제1 나사산과 맞물리도록 제2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개폐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제1 나사산과 상기 개폐조절부의 상기 제2 나사산이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미닫이 창문의 개폐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개폐조절부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가이드부와 밀착되도록, 상기 가이드부를 향하여 상기 고정부를 탄성적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동제한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내부에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경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창문에 부착시키는 부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진공을 이용하는 진공흡착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가압하여 상기 가이드부가 부착되는 창문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압방지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
KR1020140065308A 2014-05-29 2014-05-29 미닫이 창문 개폐 장치 KR101594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308A KR101594674B1 (ko) 2014-05-29 2014-05-29 미닫이 창문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308A KR101594674B1 (ko) 2014-05-29 2014-05-29 미닫이 창문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438A KR20150137438A (ko) 2015-12-09
KR101594674B1 true KR101594674B1 (ko) 2016-02-16

Family

ID=54873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308A KR101594674B1 (ko) 2014-05-29 2014-05-29 미닫이 창문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6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345Y1 (ko) 1999-12-13 2000-08-01 유정환 랙 기어를 이용한 창문 장금 장치
KR200359154Y1 (ko) * 2004-05-03 2004-08-21 문규연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568Y1 (ko) * 1998-04-16 2001-01-15 이장근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KR101161768B1 (ko) * 2010-08-17 2012-07-0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345Y1 (ko) 1999-12-13 2000-08-01 유정환 랙 기어를 이용한 창문 장금 장치
KR200359154Y1 (ko) * 2004-05-03 2004-08-21 문규연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438A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3438B2 (en) Door stay
ES2738586T3 (es) Sistema de seguridad anti-caídas para alas, puertas, puertas principales, puertas basculantes, ventanas, ventanas vasistas
US20140001775A1 (en) Clip on doorstop
KR101594674B1 (ko) 미닫이 창문 개폐 장치
JP4026778B2 (ja) 扉用傾き補正具
KR101654051B1 (ko) 공동주택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0844217B1 (ko) 문 개폐 고정장치
KR101660255B1 (ko) 유리문 경첩
EP1061219A1 (en) Hinge for casements
KR20110011174U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도어닫힘 방지장치
JP3076734B2 (ja) 開き窓等の開放保持装置
JP4538348B2 (ja) 手摺り支持具
JP2016098585A (ja) 扉用後付閉鎖防止アタッチメント
KR200438698Y1 (ko) 도어용 경첩
JP4380090B2 (ja) 扉位置決め装置
KR20150085872A (ko) 힌지장치
KR200484451Y1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KR101202987B1 (ko) 창문개폐용 잠금장치
JP3850751B2 (ja) ドアの支持装置
CN211704524U (zh) 一种门体平衡组件及应用该门体平衡组件的洗碗机
KR200411484Y1 (ko) 미닫이의 개폐를 위한 보조호차
JP2003301651A (ja) ドアの停止装置
KR101531750B1 (ko) 매립형 방화문 도어 힌지 구조
JP2669803B2 (ja) 扉の支持装置
KR200453615Y1 (ko) 여닫이 창문용 처짐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