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568Y1 -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568Y1
KR200207568Y1 KR2019980021580U KR19980021580U KR200207568Y1 KR 200207568 Y1 KR200207568 Y1 KR 200207568Y1 KR 2019980021580 U KR2019980021580 U KR 2019980021580U KR 19980021580 U KR19980021580 U KR 19980021580U KR 200207568 Y1 KR200207568 Y1 KR 200207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opening
closing control
control device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480U (ko
Inventor
이장근
Original Assignee
이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근 filed Critical 이장근
Publication of KR199900404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4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568Y1/ko

Link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 등지에 설치되어 있는 창문에 설치되어 창문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사람이 넘어들어올 수 없을 정도로 창문이 열리도록 제어하여 도난의 방지를 하여주면서 창문의 본 기능인 채광 환기 및 온도조절의 기능을 다 할 수 있도록 된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측창과 내측창으로 이루어져 외부와 연통되는 미닫이 창문에 있어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전면의 중앙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가이드홈(6)이 형성되어 상기 외측창(2)의 유리나 창틀(5)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몸체(4)와; 상기 몸체(4)와 일직선상으로 상기 내측창(3)의 창틀(5')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8)과; 상기 브라켓(8)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몸체(4)의 가이드홈(6)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창(3)의 이동시 함께 좌, 우로 이동되는 가이드편(11)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에 의하면, 창문(2, 3)이 열리는 크기가 사람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조절이 되어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창문(1)의 본 기능인 채광 환기 및 온도조절의 기능을 다 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본 고안은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등지에 설치되어 있는 창문에 설치되어 창문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사람이 넘어들어올 수 없을 정도로 창문이 열리도록 제어하여 도난의 방지를 하여주면서 창문의 본 기능인 채광 환기 및 온도조절의 기능을 다 할 수 있도록 된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등지에 설치되어 있는 창문은 외부와 통하면서 실내의 채광 환기 및 온도의 조절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도난의 목적으로 사람이 침입을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창문에는 장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창문에 설치되어 있는 장금장치는 창문을 완전하게 닫은 뒤에 실내에서 걸어잠궈 밖에서 열 수 없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도난의 예방을 위해서는 창문을 열고서 생활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창문을 열고서 생활을 하지 못하게 되어 창문의 본 기능인 채광 환기 및 온도조절의 기능을 다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생활에 있어서 도난의 방지를 함과 동시에 창문의 본 기능인 채광 환기 및 온도조절의 기능을 다 하도록 된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측창과 내측창으로 이루어져 외부와 연통되는 미닫이 창문에 있어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전면의 중앙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외측창의 유리나 창틀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와 일직선상으로 상기 내측창의 창틀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몸체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창의 이동시 함께 좌, 우로 이동되는 가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내측창의 하부 문틀에 고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외측창의 하측방 창문틀에 고정되어 상단부가 상, 하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고리와 착탈되는 결합구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창문의 개방시 외측창과 내측창을 동시에 개방을 시켜주게 되어 실내의 환기 등과 같은 창문의 본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토록 하여 주면서 효과적으로 도난의 예방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가이드편의 전면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파지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가이드편과 창문을 동시에 손으로 잡게 되어 보다 간편하게 창문을 완전하게 개방을 시켜가면서 사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의 단부에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창문의 개방시 가이드편에 의해 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켜 제품의 수명연장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주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일반적인 창문장금장치가 더 구비되어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를 창문에 설치시 별도로 창문에 장금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게 되어 창문의 제작 및 시공과 사용상의 편리성이 제공되게 된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이는 분리사시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도 3의 작용상태 단면도
도 5 - 본 고안에 따른 도 3의 작용상태 사시도
도 6 -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정면도
도 7 - 본 고안에 따른 도 6의 작용상태 정면도
도 8 - 본 고안에 따른 도 6의 작용상태 정면도
도 9 - 본 고안에 따른 도 6의 일례를 보이는 정면도
도 10 -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분리사시도
도 11 -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평단면도
도 12 -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요부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미닫이 창문 2 ; 외측창
3 ; 내측창 4 ; 몸체
5, 5' ; 창틀 6 ; 가이드홈
7 ; 인입구 8 ; 브라켓
9 ; 구멍 10 ; 지지부
11 ; 가이드편 12 ; 힌지핀
13 ; 홈 14 ; 스프링
15 ; 하부창틀 16 ; 고리
17 ; 결합구 18 ; 자물쇠
19 ; 핀 20 ; 파지부
21 ; 탄성부재 22 ; 창문장금장치
23 ; 창문틀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미닫이 창문의 개폐제어 장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창문의 개폐제어 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평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의 미닫이 창문 개폐 제어장치는 미닫이 창문(1)의 외측창(2)과 내측창(3)에 각각 부착 및 고정설치가 되는데 상기 외측창(2)에는 몸체(4)가 유리나 창틀(5)에 선택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몸체(4)는 판상으로 되어 길게 형성되어 있고, 전면의 중앙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6)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홈(6)의 일측에는 가이드홈(6)보다 크기가 큰 인입구(7)가 형성되어 실내에서 내측창(3)의 유리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상기 몸체(4)가 유리에 부착되는 방법은 접착제나 일반적인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킨 후 몸체(4)의 외주면 둘레에 실리콘을 발라서 부착을 시켜주게 되며, 외측창(2)의 창틀(5)에 몸체(4)의 단부를 절곡시켜 절곡된 단부를 볼트에 의해 고정을 시켜서 결합을 하게도 된다.
상기 내측창(3)에는 일직선상으로 브라켓(8)이 구비되는데 이 브라켓(8)은 판상으로 되어 일측이 측방으로 절곡되 절곡된 면에는 다수의 구멍(9)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창(3)의 창틀(5') 배면부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절곡이 되지 않은 부분에도 다수의 구멍(9)이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상기 창틀(5')의 측면부에 고정되어 있고, 측방 즉, 상기 몸체(4)가 부착되어 있는 쪽으로 상, 하로 마주하는 지지부(10)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4)와 브라켓(8)에는 가이드편(11)이 결합되는데 이 가이드편(11)은, 일단이 상기 브라켓(8)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10)에 전,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힌지핀(12)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타 단부가 몸체(4)의 가이드홈(6)에 형성되어 있는 인입구(7)로부터 삽입되어 가이드홈(6)을 따라서 좌, 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편(11)이 브라켓(8)에 결합되어 있는 측방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측방으로 홈(13)이 형성되어 내부에 스프링(14)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스프링(14)은 일반적인 전, 후방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것으로 일단이 홈(13)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고, 타 단부가 상기 브라켓(8)에 고정되어 있어서 스프링(14)의 힘에 의해 항시 가이드편(11)을 눌러주고 있게 되어 가이드편(11)이 인입구(7)로부터 이탈이 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실내생활에 있어서 필요에 의해 창문(1)을 열어놓고자 할 때 상기 내측창(3)을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을 시켜 놓게 되는데 이때, 상기 내측창(3)에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8)에 결합된 가이드편(11)이 상기 외측창(2)에 부착되어 있는 몸체(4)의 가이드홈(6)을 따라서 이동이 되면서 창문(3)이 개방되게 된다.
또한, 가이드홈(6)에 삽입되어 가이드 되는 가이드편(11)의 단부가 가이드홈(6)의 측단부에 접하게 되면서 상기 내측창(3)이 더 이상 개방되는 것이 제어가 되게 된다.
상기에서는 내측창(3)이 개방되는 것으로 설명을 하였지만 사용을 할 때에는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외측창(2)을 열게 되면 상기와는 반대로 가이드편(11)을 따라서 상기 몸체(4)가 가이드 되면서 외측창(2)이 가이드홈(6)의 길이만큼 개방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창(2, 3)을 완전하게 개방을 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몸체(4)의 가이드홈(6)에 형성되어 있는 인입구(7)로부터 상기 가이드편(11)을 전방으로 회동을 시켜 가이드홈(6)으로부터 이탈을 시킨 후 창문(2, 3)을 개방시키게 되면 완전하게 창문(2, 3)이 선택적으로 개방이 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편(11)이 회동되는 것은 상기 브라켓(8)에 힌지결합되어 있어서 결합된 힌지핀(12)을 기준으로 회동이 되게 된다.
또한, 외부에서 도난의 목적으로 외측창(2)과 내측창(3)의 창틀(5, 5') 사이에 도구를 넣어 창문을 개방시키려고 할 때에는 상기 브라켓(8)이 내측창(3)의 창틀(5') 배면부와 측면부에 각각 볼트로 고정되어 있어서 외부에서는 창문 개폐 제어장치를 해체를 시킬 수 없게 되어 안심하고 생활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내측창(3)의 하부창틀(15)에 링 형태의 고리(1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외측창(2)의 하측방 즉, 상기 외측창(2)에 부착되어 있는 몸체(4)의 가이드홈(6)의 길이 중앙부 하측방 청문틀(23)에 상단부가 상, 하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고리(16)와 착탈되는 결합구(17)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내측창(3)이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이 되면서 내측창(3)의 하무창틀(15)에 구비되어 있는 고리(16)가 상기 외측창(2)의 하측방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구(17)의 위치까지 이동이 되게 되면 결합구(17)를 회동시켜 고리(16)에 걸어 주게 되며, 이때 내측창(3)이 가이드홈(6)의 길이 반정도로 개방되게 제어가 되고, 상기 외측창(2)을 도 8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화살표방향으로 개방을 시키게 되면 몸체(4)가 상기 가이드편(11)을 따라서 가이드 되게 되어 외측창(2)과 내측창(3)을 동시에 개방을 시켜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측창(2)과 내측창(3)을 동시에 개방을 시켜주게 되어 실내의 환기 등과 같은 창문(1)의 본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구(17)와 결합되어 있는 고리(16)에 별도의 자물쇠(18) 등을 이용하여 채결시켜 외부에서 개방된 창문(2, 3)을 통하여 손이나 기타 도구 등을 넣어 창문(2, 3)을 개방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
상기의 경우는 몸체(4)의 길이 즉, 몸체(4)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6)의 길이가 비교적으로 긴 것으로 상기의 고리(16)와 결합구(17)를 결합시키지 않으면 창문(2, 3)이 비교적으로 많이 열리게 되어 사람이 개방된 창문을 통하여 침입을 할 수 있게 되는 대 이를 방지하고자 도 9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가이드홈(6)의 길이 중앙부에 별도의 핀(19)을 결합시켜 놓게 되어 상기 고리(16)와 결합구(17)를 결합시키지 않고도 창문(2, 3)이 가이드홈(6)의 중앙부를 넘어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가이드편(11)의 전면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파지부(20)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외측창(2)이나 내측창(3)을 선택적으로 완전하게 개방을 시킬 때 가이드편(11)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파지부(20)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4)의 가이드홈(6)의 인입구(7)로부터 가이드편(11)을 이탈시키기가 더욱 용이하게 되고, 사용자가 가이드편(11)을 이탈시킴과 동시에 내측창(3)을 손으로 잡고 있게 되어 보다 간편하게 창문(3)을 완전하게 개방을 시켜가면서 사용을 하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몸체(4)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6)의 내부 단부에 고무 등과 같은 탄성부재(21)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상기 외측창(2)이나 내측창(3)의 개방시 가이드홈(6)을 따라서 가이드 되는 가이드편(11)의 측단부가 가이드홈(6)의 끝부분과 접하게 될 때의 충격을 완화시켜 주게 되어 가이드편(11)으로부터 받는 충격에 의해 가이드홈(6)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게되어 제품을 보다 오래 사용하게 되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주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몸체(4)의 일단에 창문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창문을 잠그도록 되어 있는 일반적인 창문장금장치(22)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를 창문에 설치시 별도로 창문의 장금장치(22)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창문(2, 3)의 열리는 크기를 제어하여 주면서 동시에 완전하게 창문(1)을 잠글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에 의하면, 창문(2, 3)이 열리는 크기가 사람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조절이 되어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창문(1)의 본 기능인 채광 환기 및 온도조절의 기능을 다 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외측창과 내측창으로 이루어져 외부와 연통되는 미닫이 창문에 있어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전면의 중앙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가이드홈(6)이 형성되어 상기 외측창(2)의 유리나 창문틀(5)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몸체(4)와;
    상기 몸체(4)와 일직선상으로 상기 내측창(3)의 창문틀(5')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8)과;
    상기 브라켓(8)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몸체(4)의 가이드홈(6)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창(3)의 이동시 함께 좌, 우로 이동되는 가이드편(1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창(3)의 하무창틀(15)에 고리(1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외측창(2)의 하측방 창문틀(23)에 상단부가 상, 하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고리(16)와 착탈되는 결합구(17)가 구비되어 상기 내측창(3)을 고정시켜줌과 동시에 상기 외측창(2)을 함께 열어놓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11)의 전면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파지부(20)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4)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6)의 내부 측단부에 탄성부재(21)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4)의 일단에 일반적인 창문장금장치(22)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KR2019980021580U 1998-04-16 1998-11-06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KR20020756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05984 1998-04-16
KR1998-005984 1998-04-16
KR2019980005984 1998-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480U KR19990040480U (ko) 1999-11-25
KR200207568Y1 true KR200207568Y1 (ko) 2001-01-15

Family

ID=69514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580U KR200207568Y1 (ko) 1998-04-16 1998-11-06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56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674B1 (ko) * 2014-05-29 2016-02-16 이창용 미닫이 창문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480U (ko)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8602A (en) Pick resistant window lock manual control
ATE352695T1 (de) Verriegelungsvorrichtung von einem deckenlauftor
KR200207568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KR100783420B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KR102197934B1 (ko) 출입문의 손끼임 방지구
KR200182658Y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AU2018220012B2 (en) Safety device for scrolling door
DE60303113D1 (de) Handgriff für dreh- und kippbare Fenster oder Türen
KR20120105083A (ko) 미닫이창문의 자동잠금장치
KR200173305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KR100382127B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KR200193426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KR101904449B1 (ko) 미닫이형 이중창문
KR100376894B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US11788346B2 (en) Securable pet door
KR200201332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제어장치
CN219528670U (zh) 一种外门把手
JP3198432B2 (ja) 室内ドア
KR102429191B1 (ko) 창호
KR200200338Y1 (ko) 창문 잠금장치
KR200175853Y1 (ko) 샤시용 크리센터
US5927776A (en) Door handle extension
KR200412303Y1 (ko) 외부인 침입 방지를 위한 미닫이 창문의 개폐제어장치
KR100352664B1 (ko) 개폐간격이 조절되는 창문
KR200280810Y1 (ko) 미닫이 창문용 자동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