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987B1 - 창문개폐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창문개폐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987B1
KR101202987B1 KR1020110011688A KR20110011688A KR101202987B1 KR 101202987 B1 KR101202987 B1 KR 101202987B1 KR 1020110011688 A KR1020110011688 A KR 1020110011688A KR 20110011688 A KR20110011688 A KR 20110011688A KR 101202987 B1 KR101202987 B1 KR 101202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ck
wire
hol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1732A (ko
Inventor
이장근
Original Assignee
이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근 filed Critical 이장근
Priority to KR1020110011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987B1/ko
Publication of KR20120091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cords, chain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의 용이한 개방을 위해서 사용되는 창문개폐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창문을 개방하는데 있어서, 잠금제어구의 핸들을 회전시킴으로 와이어가 걸림구를 당겨 이 작용에 의해서 걸림구가 그 락을 풀어주는 간단한 방식이며, 와이어에 작용되는 강한 장력에 의해서 구성부품들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와이어에 탄성스프링을 연결하고,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걸림구 내에 별도에 비치한 창문개폐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잠금제어구에 형성된 핸들이, 필요한 경우에는 회전할 수 없도록 제어하는 잠금구를 형성하고, 그 잠금구의 작동도 사용자가 의도치 않는다면 완벽하게 락킹하여, 외부의 침입자가 쉽게 창문을 개방할 수 없도록 하는 창문개폐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문개폐용 잠금장치{locking unit of window}
본 발명은 창문의 용이한 개방을 위해서 사용되는 창문개폐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창문을 개방하는데 있어서, 잠금제어구의 핸들을 회전시킴으로 와이어가 걸림구를 당겨 이 작용에 의해서 걸림구가 그 락을 풀어주는 간단한 방식이며, 와이어에 작용되는 강한 장력에 의해서 구성부품들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와이어에 탄성스프링을 연결하고,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걸림구 내에 별도에 비치한 창문개폐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잠금제어구에 형성된 핸들이, 필요한 경우에는 회전할 수 없도록 제어하는 잠금구를 형성하고, 그 잠금구의 작동도 사용자가 의도치 않는다면 완벽하게 락킹하여, 외부의 침입자가 쉽게 창문을 개방할 수 없도록 하는 창문개폐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건물 내부와 외부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외출하거나 야간에 취침할 경우, 도난 및 침입 방지를 위하여 양측 창문이 핀에 의해 요동되지 않도록 하는 핀결합형, 창문의 틀에 걸려지도록 하는 걸이체결형, 미닫이 창문에서 양측 창이 열려지는 정도가 정하여 지도록 하는 블록걸림구형 등 다양한 방식의 잠금장치가 있다.
잠금장치는 잠금상태가 유지되거나 열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방-잠금용 회전손잡이가 구비되어지며, 회전손잡이가 구비된 잠금부재에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하는 권취부가 포함될 수 있다.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부의 경우, 와이어가 권취도중 이탈되어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단순히 와이어가 잘 당겨지지 않기 때문에 잠금해제상태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원인이 있었다.
회전손잡이는 대부분 축봉에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하게 되고, 돌기 또는 홈에 탄성부재에 의하여 지지력을 받는 탄성지지체가 구비되어 회전손잡이의 회전각도에 따라 탄성스프링 및 탄성지지체의 힘에 의하여 돌기 또는 홈에 끼워지거나 체결되어 잠금상태 또는 해지상태가 되어지게 된다.
실례로 도시된 도 1의 도면과 같은 종래의 잠금장치를 설명하며, 그 문제점을 살펴본다.
도시된 도 1에서처럼 종래의 창문 개폐용 잠금장치는, 상하레일(50)을 따라 이동되는 걸림구(51)가 블럭(52)에 의하여 고정되어지고, 창문틀(53)에 손잡이 커버(59)로 고정된 손잡이(54)를 회동시키면 회전축(55)의 회동으로 상측와이어(56)와 하측와이어(56')가 조인축(58)로 연결된 와이어 권취로드(57)에 의하여 당겨지면서 레일(50)로부터 걸림구(51)가 이탈되어 잠금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창문을 열 수 있게 된다. 반면 회전시켰던 손잡이(54)를 놓게 되면 걸림구(51)의 복원작용으로 걸림구(51)가 상하레일(50)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측와이어(56)와 하측와이어(56')가 권취로드(57)에서 풀려지게 됨에 따라 손잡이(54)도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그러나 손잡이(54)가 항상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있음에 따라 외부에서 철사 나 걸고리 등 기타 이물체를 넣어 손잡이(54)에 걸어 당길 경우, 걸림구(51)가 레일(50)에서 이탈되어 잠금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창문이 열려져 도난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손잡이(54)를 회전시킴에 있어서 아이들이 무리하게 회전을 하여 와이어(56)에 강한 장력이 작용하면,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된다. 와이어(56)는 특별히 탄성이 없기에 그 회전 각도만큼의 와이어(56)를 당기게 되는데, 강한 힘으로 와이어(56)를 잡아당기게 되면 걸림구(51)가 부서지거나 그 힌지에 손상이 가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창문의 용이한 개방을 위해서 사용되는 창문개폐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창문을 개방하는데 있어서, 잠금제어구의 핸들을 회전시킴으로 와이어가 걸림구를 당겨 이 작용에 의해서 걸림구가 그 락을 풀어주는 간단한 방식이며, 와이어에 작용되는 강한 장력에 의해서 구성부품들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와이어에 탄성스프링을 연결하고,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걸림구 내에 별도에 비치한 창문개폐용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잠금제어구에 형성된 핸들이, 필요한 경우에는 회전할 수 없도록 제어하는 잠금구를 형성하고, 그 잠금구의 작동도 사용자가 의도치 않는다면 완벽하게 락킹하여, 외부의 침입자가 쉽게 창문을 개방할 수 없도록 하는 창문개폐용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개폐용 잠금장치는, 일측 창문프레임(10)의 상하로 체결되는 상하레일(11)에 끼여 대응되는 창문프레임(10)의 개폐를 차단하는 걸림구(20)와; 상기 걸림구(20)와 와이어(30)로 연결되어 핸들(40)의 회전을 통해서 와이어(30)를 당겨 걸림구(20)의 끝단 후크(21)를 상하로 연동시키도록 하는 핸들(40)과 제어구몸체(50)로 형성된 잠금제어구(60); 상기 핸들(40)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일측 힌지를 축으로 타측이 상하로 연동하여 핸들(40)의 회전을 차단하는 잠금구(70)와; 상기 핸들(40)의 측면에서 상기 잠금구(70)의 연동을 더 차단하여 핸들(40)의 폐쇄를 제어하는 가압구(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창문프레임(10)의 잠금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 창문개폐용 잠금장치에 따른, 가압구(80)는, 핸들(40)의 측면에 관통된 관통공(5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외주면에 스크류(81) 형성되고, 끝단에 손잡이부(82)가 형성된 가압핀(90-1); 잠금구(70)의 하단이며, 상기 가압핀(90-1)에 대응되도록 핸들(40)의 내측에 수용되고 잠금구(70)가 눌릴 경우에 가압핀(90-1)의 끝단과 그 수준이 맞는 위치에 형성되는 잠금공(83);으로 형성되어 상기 잠금구(70)가 눌리어 핸들(40)의 내부로 밀려 들어갈 때, 상기 가압핀(90-1)을 스크류 회전시켜 가압핀(90-1)의 끝단을 잠금공(83)의 내측에 삽입하여 잠금구(70)를 완전 폐쇄시키고 : 가압구(80)는, 핸들(40)의 측면에서 관통된 관통공(5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핀의 형태를 유지하고 외주면을 둘레도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의 스톱홈(91)을 형성하며, 끝단에 손잡이부(92)가 형성된 가압핀(90-2); 잠금구(70)의 하단이며, 상기 가압핀(90-2)에 대응되도록 핸들(40)의 내측에 수용되고 잠금구(70)가 눌릴 경우에 가압핀(90-2)의 끝단과 그 수준이 맞는 위치에 형성되는 잠금공(83); 상기 가압핀(90-2)이 눌리거나 뽑히는 연동작용시 손가락의 클릭감을 주기 위해서 상기 스톱홈(91)을 향해 가압되는 볼(15), 탄성스프링(16) 및 스크류(17)로 이루어진 볼스톱퍼(18);로 형성되어 상기 잠금구(70)가 눌리면 볼스톱퍼(18)가 스톱홈(91)에 밀착되어 클릭감을 발생시키며, 가압핀(90-2)은 잠금공(8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잠금구(70)를 완전 폐쇄시키며 : 와이어(30)에는 일정한 위치에 탄성스프링(31)을 연결하여 장력의 제어를 하되, 핸들(40)이나 걸림구(20)에 작용되는 탄성에 비하여 높은 장력을 가진 탄성스프링(31)을 연결한다.
또한 본 발명 창문개폐용 잠금장치에 따른, 제어구몸체(50)의 일측 외부로 돌출되는 스톱돌기(26); 상기 스톱돌기(26)에 대응되도록 핸들(40) 끝단의 손잡이팁(41)의 내측에 수용되고, 힌지(27)를 통해서 일정각도만 연동할 수 있도록 하며, 스톱돌기(26)에 걸릴 수 있도록 한 대응스톱돌기(28)와 몸체편(29);을 형성하여 핸들(40)을 회전하여 360°각도만 회전되도록 하고 : 몸체편(29)의 외곽부가 수용되는 손잡이팁(41)에는 저지리브(36)가 일정한 각도를 두고 형성되고, 힌지(27)에는 탄성스프링(미도시됨)을 형성하여 몸체편(29)의 연동에 일정한 각도와 탄성을 부여하며 : 걸림구(20)에는, 그 몸체(22)의 상단으로 형성되는 체결부(23)를 관통하는 와이어관통공(24); 상기 체결부(23)의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지는 체결스크류(46); 상기 체결스크류(46)의 측방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스크류 체결되는 장력스크류(47); 상기 장력스크류(47)가 체결된 체결부(23)의 하단으로 형성되는 장력공(48);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상기 체결스크류(46)를 통해서 와이어관통공(24)으로 삽입된 와이어(30)를 견고히 체결시키고, 장력공(48)을 지나는 와이어(30)를 장력스크류(47)의 끝단이 가압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잠금장치의 핸들을 완벽하게 잠금하여 외부에서 창문을 개방하는 문제점을 완벽하게 차단한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종래의 잠금장치에 비하여 핸들을 돌릴 때 와이어에 걸리는 부하를 제어하여 고장의 발생률을 줄이고, 내구성을 강화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별도로 갖추고 있어서, 핸들은 물론 걸이구에 작용되는 부하가 최소화된다.
도 1은 종래 창문 개폐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창문 개폐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잠금장치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잠금장치의 가압구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와이어와 탄성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걸림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잠금제어구의 핸들이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창문을 개방하고 폐쇄시키는데 사용되는 창문 개폐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 2 내지 7을 통해서 상세히 살펴본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일측 창문프레임(10)의 상하로 체결되는 상하레일(11)에 끼여 대응되는 창문프레임(10)의 개폐를 차단하는 걸림구(20)가 있고, 상기 걸림구(20)와 와이어(30)로 연결되어 핸들(40)의 회전을 통해서 와이어(30)를 당겨 걸림구(20)의 끝단 후크(21)를 상하로 연동시키도록 하는 핸들(40)과 제어구몸체(50)로 형성된 잠금제어구(60)가 있으며, 상기 핸들(40)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일측 힌지를 축으로 타측이 상하로 연동하여 핸들(40)의 회전을 차단하는 잠금구(70)가 있다. 또한 상기 핸들(40)의 측면에서 상기 잠금구(70)의 연동을 더 차단하여 핸들(40)의 폐쇄를 제어하는 가압구(80)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창문프레임(10)의 잠금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시된 도 2에서처럼 창문프레임(10)의 중심부분에 잠금제어구(60)가 고정되고, 그 핸들(40)이 상부로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핸들(40)의 내부에는 와이어(30)가 권취되도록 되어 있는데, 핸들(40)을 회전시키면 와이어(30)가 댕겨져 창문프레임(10)의 상하단에 고정되는 걸림구(20)를 잡아당기게 되고, 걸림구(20)를 레일(11)의 상부로 들어올리게 된다. 그리고 창문프레임(10)을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은 본 발명이나 종래의 발명이나 유사하다. 본 발명만의 차이점이라면, 상기 잠금제어구(60)를 형성하는 핸들(40)의 상단으로 잠금구(70)가 돌출된다는 것이다. 이 잠금구(70)는 가압함으로 인하여 핸들(40)의 회동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시된 4에는 이러한 본 발명의 잠금구(70)를 명확하게 도시하고 있다. 잠금구(70)가 가압되면, 잠금구(70)의 밑단은 핸들(4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어구몸체(50)의 홈에 끼어 들어가 핸들(40)이 회전하는 것을 차단한다. 그런데 이러한 작동의 방식은 안전하게 창문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어서 좋지만, 완벽하게 안전하지 않다는 것이다.
잠금구(70)를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하여 진동이 있거나 아이들이 조그마한 힘으로 가압을 하면 상기 잠금구(70)는 다시 상승하여 핸들(40)의 회동을 차단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본 발명은 완벽히 해결하였다. 즉, 도시된 도 4에서처럼, 상기 잠금구(70)가 의도치 않은 상태에서 다시 상승하여 핸들(40)의 회동을 허용하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보조적인 가압구(80)를 가진다는 것이다. 이 가압구(80)는 일단 잠금구(70)를 하향한 상태로 그 상태를 유지해 줄 수 있도록 한다. 즉, 잠금구(70)를 다시 한 번 락킹해서 잠금구(70)가 항상 핸들(40)을 회전시키지 못하도록 하고, 만일 사용자가 의도하여 상기 가압구(80)를 빼주게 되면 상기 잠금구(70)는 상승하여 핸들(4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의 잠금장치의 보다 세부적인 구성들과 그 작용을 살펴본다.
도시된 도 4의 (a)와 (b)3에서처럼 본 발명의 가압구(80)는, 핸들(40)의 측면에 관통된 관통공(5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외주면에 스크류(81) 형성되고, 끝단에 손잡이부(82)가 형성된 가압핀(90-1)이 있고, 잠금구(70)의 하단이며, 상기 가압핀(90-1)에 대응되도록 핸들(40)의 내측에 수용되고 잠금구(70)가 눌릴 경우에 가압핀(90-1)의 끝단과 그 수준이 맞는 위치에 형성되는 잠금공(83)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잠금구(70)가 눌리어 핸들(40)의 내부로 밀려 들어갈 때, 상기 가압핀(90-1)을 스크류 회전시켜 가압핀(90-1)의 끝단을 잠금공(83)의 내측에 삽입하여 잠금구(70)를 완전 폐쇄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잠금구(70)를 락킹하는 가압구(80)는 2가지 실시예로 이루어졌다. 하나는 도시된 도 4의 (a)와 (b)에서처럼, 외주면에 스크류(81)를 가진 가압핀(90-1)을 이용하는 방식과, 도 4의 (c)와 (ㅇ)에서처럼, 스톱홈(91)을 가진 가압핀(90-2)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처음의 실시예를 설명하자면, 잠금구(70)가 핸들(40)의 내부로 눌린 상태에서 핸들(40)의 측면에서 관통된 가압핀(90-1)을 스크류로 회전시켜 가압하는 방식이다. 도 4의 (a)와 (b)에서처럼, 핸들(40)의 측면에 관통공(51)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공(51)의 끝단에는 잠금구(70)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51)에 가압핀(90-1)이 스크류 결합되면 가압핀(90-1)의 끝단은 잠금공(83)을 마주한다. 상기 잠금구(70)가 가압되었을 경우에 대응되는 위치에 잠금공(83)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압핀(90-1)이 외주면 스크류 회전하여 전진하게 되면, 상기 잠금구(70)의 잠금공(83)에 끼워져 잠금구(70)는 상기 가압핀(90-1)이 핸들(40)의 외부로 빠질 때까지 상승할 수 없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가압구(80)는 작동을 한다.
만일 사용자가 이러한 락킹을 해제하고자 한다면, 상기 가압핀(90-1)의 손잡이부(82)를 회전시켜 가압핀(90-1)을 핸들(40)의 외측으로 빼내게 되면, 상기 가압핀(90-1)의 끝단은 잠금구(70)의 잠금공(93)에서 빠져나오고, 상기 잠금구(70)는 그 힌지를 축으로 일측을 상승시키며 핸들(40)의 락킹을 풀게 된다. 핸들(40)을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40)은 와이어(30)를 당기고, 그 결과로 걸림구(20)가 레일(11)에서 빠져 나와 창문프레임(10)을 원하는 만큼 완전 개방이 가능하다.
이에 반한 또 하나의 가압구(80) 실시예는 도시된 도 4의 (c)와 (d)에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의 가압구(80)는, 핸들(40)의 측면에서 관통된 관통공(5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핀의 형태를 유지하고 외주면을 둘레도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의 스톱홈(91)을 형성하며, 끝단에 손잡이부(92)가 형성된 가압핀(90-2)이 있고, 잠금구(70)의 하단이며, 상기 가압핀(90-2)에 대응되도록 핸들(40)의 내측에 수용되고 잠금구(70)가 눌릴 경우에 가압핀(90-2)의 끝단과 그 수준이 맞는 위치에 형성되는 잠금공(83)이 있으며, 상기 가압핀(90-2)이 눌리거나 뽑히는 연동작용시 손가락의 클릭감을 주기 위해서 상기 스톱홈(91)을 향해 가압되는 볼(15), 탄성스프링(16) 및 스크류(17)로 이루어진 볼스톱퍼(18)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잠금구(70)가 눌리면 볼스톱퍼(18)가 스톱홈(91)에 밀착되어 클릭감을 발생시키며, 가압핀(90-2)은 잠금공(8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잠금구(70)를 완전 폐쇄시키는 것이다.
즉, 도시된 도 4의 (c)와 (d)에서처럼, 제2실시예의 가압구(80)는 가압핀(90-2)과 볼스톱퍼(18)를 통해서 실현된다. 가압핀(90-2)은 그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스톱홈(9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가압핀(90-2)은 전술된 제1실시예의 가압핀(90-1)과 같이 핸들(40)의 측방에서 핸들(40)의 내측 잠금구(70)를 향해 끼워지는데, 관통공(51)에 그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체결된다. 상기 가압핀(90-2)의 끝단은 핸들(40)에 내장되는 잠금구(70)가 가압되어 하향했을 경우에 대응하는 잠금공(83)과 마주하게 되는데, 가압핀(90-2)이 전진을 하면 상기 잠금공(83)의 내측으로 끼워져 잠금구(70)는 상승이 차단된다. 다시 사용자가 가압핀(90-2)을 빼내는 작용을 해야만 잠금구(70)가 상승하여 핸들(4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가압핀(90-2)의 외주면에는 도시된 것처럼, 스톱홈(9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는 작동자의 손가락에서 느끼는 클릭감을 위해서 형성시켰다. 이 스톱홈(91)과 대응되는 구성이 도시된 볼스톱퍼(18)인데, 스톱홈(91)과 가압핀(90-2)의 외주면과 면접될 수 있는 볼이 있고, 그 볼을 항상 스톱홈(91)이나 가압핀(90-2)의 외주면으로 밀어주는 탄성스프링(16)이 그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스프링(16)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스크류가 체결된다. 따라서 가압핀(90-2)이 가압되면, 가압핀(90-2)이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잠금공(83)에 그 끝단이 끼여들어갈 때, 볼스톱퍼(18)의 볼(15)은 가압핀(90-2)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톱홈(91)의 2번째 홈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작동자는 손가락의 클릭감으로 이를 느끼고 더 이상의 가압핀(90-2)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가압핀(90-2)의 손잡이부(92)를 잡고 외부로 빼낼 때, 볼스톱퍼(18)의 볼(15)은 항상 스톱홈(91)에 끼워져 있다가, 가압핀(90-2)의 외주면을 타고 미끄러지며 다음의 스톱홈(91)이 같은 선상에 위치할 때 다시 스톱홈(91)의 내주면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면서 손가락에 클릭감을 자극한다. 이 클릭감으로 작동자는 더 이상의 가압핀(90-2)의 작동을 중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본 발명과 같은 와이어(30)를 이용한 잠금장치가 사용되면서 가장 많이 발생되고 있던 문제점이 있었다. 그 문제점은 쉽게 파손이 된다는 것이다. 그 주요한 파손은 와이어(30)를 잡아당기는데 있었다. 탄성이 전혀 없는 금속재질의 와이어(30)를 이용하여 잠금제어구(60)와 걸림구(20)를 연결하기에 서로 큰 장력이 작용한다. 특히 핸들(40)을 회전시켜 걸림구(20)를 들어올리려 할 때, 걸림구(20)가 레일에 걸린 상태에서 무리하게 와이어(30)를 당기게 되면, 걸림구(20)나 레일(11)이 손상을 입거나 와이어(30)가 해체되는 결과를 가져올 경우가 있다. 이는 모두 와이어(30)에 너무 팽팽한 장력이 작용되기 때문이다.
바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로 해결하였다. 즉, 상기 와이어(30)에는 일정한 위치에 탄성스프링(31)을 연결하여 장력의 제어를 하되, 핸들(40)이나 걸림구(20)에 작용되는 탄성에 비하여 높은 장력을 가진 탄성스프링(31)을 연결하는 것이다. 와이어(30)가 너무 강한 힘으로 댕겨지게 되면, 상기 와이어(30)의 일측에 걸려 있는 탄성스프링(31)이 늘어나면서 그 힘에 대한 부하를 조절한다. 그런데 중요한 사항은 상기 걸림구(20)의 내측에도 핸들(40)에도 별도의 탄성수단이 비치되는데, 이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비하여 강한 힘의 탄성력을 가진 탄성스프링이 와이어(30)에 걸려야만 한다.
이유는 상기 와이어(30)가 댕겨져서 걸림구(20)를 들어올려야만 와이어 잠금장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데, 만일 핸들(40)을 회전시키더라도 걸림구(20)가 들어올려지는 힘에 비하여 약한 탄성을 가진 탄성스프링이 연결된다면, 탄성스프링이 연장되고 걸림구(20)가 들어올려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스프링(31)의 탄성력과 장력이 다소 높은 형태의 것으로 선택하였다.
그리고 다음의 실시예는 종래 본 발명의 출원인이 실시하여 사용되고 있던 잠금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한 실시예이다. 실시함에 있어서, 잠금제어구(60)의 핸들(40)이 지나치게 많이 회전하게 되면, 와이어(30)를 많이 당기게 되고, 그 작용에 의해서 와이어(30)의 장력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핸들(40)은 최대 360° 각도만을 회전할 수 있게 하였다. 즉, 도시된 도 7에서처럼, 본 발명에는 상기 제어구몸체(50)의 일측 외부로 돌출되는 스톱돌기(26)를 형성하고, 상기 스톱돌기(26)에 대응되도록 핸들(40) 끝단의 손잡이팁(41)의 내측에 수용되고, 힌지(27)를 통해서 일정각도만 연동할 수 있도록 하며, 스톱돌기(26)에 걸릴 수 있도록 한 대응스톱돌기(28)와 몸체편(29)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핸들(40)을 회전하여 360°각도만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잠금제어구(60)를 형성하는 제어구몸체(50)의 일측에 외곽으로 돌출되는 스톱돌기(26)를 형성한다. 이 제어구몸체(50)의 상단에는 핸들(4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체결되는데, 핸들(40)의 끝단은 도시된 도 3, 4 및 7에서와 같이 그 끝단인 손잡이팁(41)이 돌출되어 제어구몸체(50)의 외곽부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손잡이팁(41)의 내부에는 도시된 도 7에서와 같이 힌지(27)를 통해서 회전될 수 있는 몸체편(29)이 형성되는데, 그 일측단에도 돌출된 대응스톱돌기(28)가 형성되어 있다. 결국 핸들(40)을 회전시키게 되면, 손잡이팁(41)에서 돌출된 대응스톱돌기(28)가 제어구몸체(50)에서 돌출된 스톱돌기(26)에 걸리게 된다. 이때 스톱돌기(26)는 일측에 하나가 형성되기에 이 스톱돌기(26)에 걸리게 되는 핸들(40)도 360° 회전으로 한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각도의 제어도 어느 정도의 유격을 줄 필요가 있다. 너무 큰 마찰이 서로에게 발생된다면 스톱돌기(26)나 대응스톱돌기(28)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몸체편(29)의 외곽부가 수용되는 손잡이팁(41)에는 저지리브(36)가 일정한 각도를 두고 형성되고, 힌지(27)에는 탄성스프링(미도시됨)을 형성하여 몸체편(29)의 연동에 일정한 각도와 탄성을 부여한다.
상기 몸체편(29)이 손잡이팁(41) 내부에서 어느 정도 회전이나 연동할 수 있도록 몸체편(29)을 체결하는 힌지(27)에 탄성스프링(31)을 내장하고, 몸체편(29)의 외곽부가 되는 손잡이팁(41) 내측으로 저지리브(36)를 형성하는 것이다. 몸체편(39)의 외곽부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몸체편(39)이 그 힌지(27)를 축으로 회전할 때 그 외곽부가 지나가는 위치에 형성된다. 좌우 양쪽으로 형성되기에 사실상 상기 몸체편(29)은 저지리브(36)의 사이 공간 만큼 연동이 가능하다. 이 거리만큼 연동이 가능하다는 것은 그 손잡이가 어느 정도의 유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내장된 탄성스프링에 의해서 어느 정도 탄성이 부여되기에 작동자의 손에서 느끼는 클릭감이나 작동의 허용치를 인지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걸림구(20)에는, 그 몸체(22)의 상단으로 형성되는 체결부(23)를 관통하는 와이어관통공(24)이 있고, 상기 체결부(23)의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지는 체결스크류(46)가 있으며, 상기 체결스크류(46)의 측방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스크류 체결되는 장력스크류(47)가 있다. 또한 상기 장력스크류(47)가 체결된 체결부(23)의 하단으로 형성되는 장력공(48)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체결스크류(46)를 통해서 와이어관통공(24)으로 삽입된 와이어(30)를 견고히 체결시키고, 장력공(48)을 지나는 와이어(30)를 장력스크류(47)의 끝단이 가압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실시예는 도시된 도 6에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걸림구(20)와 와이어(30)의 연결은 체결부(23)를 통해서 달성된다. 체결부(23)는 그 몸체(22)를 가르는 와이어관통공(24)이 형성되고, 잠금제어구(60)에서 연결되어 온 와이어(30) 끝단이 바로 이 와이어관통공(24)을 관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관통공(24)의 상단 즉, 체결부(23)의 상단에는 수직 방향으로 하향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스크류(4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체결스크류(46)를 회전시키면 그 끝단은 체결구(23)의 내측 와이어(30)를 향하여 전진하여 와이어관통공(24)의 내부면에 견고하게 물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스크류(46)는 하나 또는 2개가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모두 2개의 체결스크류(46)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지만, 하나 또는 3개의 체결스크류(46)를 형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체결스크류(46)의 전방으로는 도시된 별도의 장력스크류(47)가 동일한 방식으로 끼워지고, 걸림구(20)의 체결부(23) 하단으로 장력공(48)이 형성된다. 이 장력공(48)은 도시된 것처럼 와이어(30)가 지나갈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이 와이어(30)가 연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만일 본 발명의 잠금장치를 사용하다가 와이어(30)에 작용되는 장력에 문제가 발생되면, 상기 장력스크류(47)를 조절하여 장력을 제어한다. 장력에 너무 강하면 장력스크류(47)를 풀어 와이어(30)에 가하는 스크류팁의 압력을 줄여주고, 장력이 너무 작으면 장력스크류(47)를 조여 스크류팁의 압력을 높이는 것이다.
도시된 도 6의 (d)에 장력을 높인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장력스크류(47)를 조여 그 팁을 하향시키면, 상기 팁은 장력공(48) 내부에서 와이어(30)를 밀어 하향시키게 된다. 이 작용은 와이어(30)에 작용되는 장력을 높이기에 부족했던 와이어(3)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10; 창문프레임 11; 상하레일
15; 볼 16; 탄성스프링
17; 스크류 18; 볼스톱퍼
20; 걸림구 23; 체결부
24; 와이어관통공 26; 스톱돌기
27; 힌지 28; 대응스톱돌기
29; 몸체편 30; 와이어
31; 탄성스프링 40; 핸들
50; 제어구몸체 60; 잠금제어구
70; 잠금구 80; 가압구
81; 스크류 82; 손잡이부
90-1, 90-2; 가압핀

Claims (7)

  1. 일측 창문프레임(10)의 상하로 체결되는 상하레일(11)에 끼여 대응되는 창문프레임(10)의 개폐를 차단하는 걸림구(20)와;
    상기 걸림구(20)와 와이어(30)로 연결되어 핸들(40)의 회전을 통해서 와이어(30)를 당겨 걸림구(20)의 끝단 후크(21)를 상하로 연동시키도록 하는 핸들(40)과 제어구몸체(50)로 형성된 잠금제어구(60);
    상기 핸들(40)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일측 힌지를 축으로 타측이 상하로 연동하여 핸들(40)의 회전을 차단하는 잠금구(70)와;
    상기 핸들(40)의 측면에서 상기 잠금구(70)의 연동을 더 차단하여 핸들(40)의 폐쇄를 제어하는 가압구(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창문프레임(10)의 잠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용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압구(80)는,
    핸들(40)의 측면에 관통된 관통공(5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외주면에 스크류(81) 형성되고, 끝단에 손잡이부(82)가 형성된 가압핀(90-1);
    잠금구(70)의 하단이며, 상기 가압핀(90-1)에 대응되도록 핸들(40)의 내측에 수용되고 잠금구(70)가 눌릴 경우에 가압핀(90-1)의 끝단과 그 수준이 맞는 위치에 형성되는 잠금공(83);으로 형성되어 상기 잠금구(70)가 눌리어 핸들(40)의 내부로 밀려 들어갈 때, 상기 가압핀(90-1)을 스크류 회전시켜 가압핀(90-1)의 끝단을 잠금공(83)의 내측에 삽입하여 잠금구(70)를 완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용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가압구(80)는,
    핸들(40)의 측면에서 관통된 관통공(5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핀의 형태를 유지하고 외주면을 둘레도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의 스톱홈(91)을 형성하며, 끝단에 손잡이부(92)가 형성된 가압핀(90-2);
    잠금구(70)의 하단이며, 상기 가압핀(90-2)에 대응되도록 핸들(40)의 내측에 수용되고 잠금구(70)가 눌릴 경우에 가압핀(90-2)의 끝단과 그 수준이 맞는 위치에 형성되는 잠금공(83);
    상기 가압핀(90-2)이 눌리거나 뽑히는 연동작용시 손가락의 클릭감을 주기 위해서 상기 스톱홈(91)을 향해 가압되는 볼(15), 탄성스프링(16) 및 스크류(17)로 이루어진 볼스톱퍼(18);로 형성되어 상기 잠금구(70)가 눌리면 볼스톱퍼(18)가 스톱홈(91)에 밀착되어 클릭감을 발생시키며, 가압핀(90-2)은 잠금공(8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잠금구(70)를 완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용 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와이어(30)에는 일정한 위치에 탄성스프링(31)을 연결하여 장력의 제어를 하되, 핸들(40)이나 걸림구(20)에 작용되는 탄성에 비하여 높은 장력을 가진 탄성스프링(31)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용 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어구몸체(50)의 일측단 외부로 돌출되는 스톱돌기(26);
    상기 스톱돌기(26)에 대응되도록 핸들(40) 끝단의 손잡이팁(41)의 내측에 수용되고, 힌지(27)를 통해서 일정각도만 연동할 수 있도록 하며, 스톱돌기(26)에 걸릴 수 있도록 한 대응스톱돌기(28)와 몸체편(29);을 형성하여 핸들(40)을 회전하여 360°각도만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용 잠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몸체편(29)의 외곽부가 수용되는 손잡이팁(41)에는 저지리브(36)가 일정한 각도를 두고 형성되고, 힌지(27)에는 탄성스프링(미도시됨)을 형성하여 몸체편(29)의 연동에 일정한 각도와 탄성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용 잠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걸림구(20)에는,
    그 몸체(22)의 상단으로 형성되는 체결부(23)를 관통하는 와이어관통공(24);
    상기 체결부(23)의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지는 체결스크류(46);
    상기 체결스크류(46)의 측방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스크류 체결되는 장력스크류(47);
    상기 장력스크류(47)가 체결된 체결부(23)의 하단으로 형성되는 장력공(48);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상기 체결스크류(46)를 통해서 와이어관통공(24)으로 삽입된 와이어(30)를 견고히 체결시키고, 장력공(48)을 지나는 와이어(30)를 장력스크류(47)의 끝단이 가압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용 잠금장치.
KR1020110011688A 2011-02-10 2011-02-10 창문개폐용 잠금장치 KR101202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688A KR101202987B1 (ko) 2011-02-10 2011-02-10 창문개폐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688A KR101202987B1 (ko) 2011-02-10 2011-02-10 창문개폐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732A KR20120091732A (ko) 2012-08-20
KR101202987B1 true KR101202987B1 (ko) 2012-11-20

Family

ID=4688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688A KR101202987B1 (ko) 2011-02-10 2011-02-10 창문개폐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9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5229A (zh) * 2015-01-21 2015-06-03 孟祥玉 锁点挡片联动暗插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768Y1 (ko) 2000-03-08 2000-07-15 신태식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100783420B1 (ko) 2006-06-20 2007-12-11 이장근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KR100835573B1 (ko) 2007-12-05 2008-06-05 제너럴로터(주) 창문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768Y1 (ko) 2000-03-08 2000-07-15 신태식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100783420B1 (ko) 2006-06-20 2007-12-11 이장근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KR100835573B1 (ko) 2007-12-05 2008-06-05 제너럴로터(주) 창문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5229A (zh) * 2015-01-21 2015-06-03 孟祥玉 锁点挡片联动暗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732A (ko) 2012-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8462B1 (en) Child safety barrier
KR100907641B1 (ko)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US10865593B2 (en) Door guard assembly
KR101202987B1 (ko) 창문개폐용 잠금장치
US7472514B2 (en) Window, door or the like comprising a swinging arms assembly with stop means
CN107923195A (zh) 用于滑动门的闩锁组件
AU2016261123B2 (en) Anti-barricade door system
KR20120001601A (ko) 출입문용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KR100934321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0490563Y1 (ko) 도어닫힘 방지장치
KR200318021Y1 (ko) 권취식 방충망의 손잡이 고정장치
KR101831277B1 (ko) 방충망용 잠금장치
KR101146493B1 (ko) 안전 도어록
KR200461180Y1 (ko) 회전 잠금 타입 창문용 잠금장치
KR20210067349A (ko) 방충망 프레임이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잠금장치
KR102211878B1 (ko)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CN209145453U (zh) 一种四边锁闭的平开窗结构
KR101152369B1 (ko) 출입문용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KR20160148883A (ko) 창문 잠금 장치
JP4004379B2 (ja) 引き違い戸のロック装置
US20210332615A1 (en) Safety device for protection of infant
KR20060113337A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KR101359907B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장치용 언록킹구
TWM577888U (zh) Door and window lock construction
KR101545180B1 (ko) 좌우 양측으로 개폐가능한 도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