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573B1 - 창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573B1
KR100835573B1 KR1020070125341A KR20070125341A KR100835573B1 KR 100835573 B1 KR100835573 B1 KR 100835573B1 KR 1020070125341 A KR1020070125341 A KR 1020070125341A KR 20070125341 A KR20070125341 A KR 20070125341A KR 100835573 B1 KR100835573 B1 KR 100835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ocking
pin
closing device
window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재호
김정식
Original Assignee
제너럴로터(주)
김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로터(주), 김정식 filed Critical 제너럴로터(주)
Priority to KR1020070125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573B1/ko
Priority to PCT/KR2008/007210 priority patent/WO200907283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6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sliding perpendicular to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2007/007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a double-wing sliding door or window, i.e. where both wings are sli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후면 창틀(300)에 설치된 고정부재(2)와, 전면 창틀(200)에 설치된 걸림부재(4)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2)는, 양측에 체결부(224)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수용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20)의 상부에 체결되는 지지판(25)으로 구성된 몸체(22)와, 상기 수용홈(220)에 삽입되며 출몰작동되는 걸림구(24)와, 상기 걸림구(24)와 일체로 결합되어 전후진되는 손잡이(26)와, 상기 손잡이(26)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걸림구(24)가 인입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스토퍼(27)와 멈춤핀(28)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70125341
창문, 잠금, 걸림, 출몰, 캠, 고정

Description

창문 개폐장치 {LOCKING DEVICE FOR A WINDOW}
본 발명은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에 설치되어 간편한 조작으로 잠금 및 열림 작동되는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개폐방식에 따라 미닫이식과 여닫이식으로 대별될 수 있다.
미닫이 창문이란 좌우로 슬라이딩 되면서 창문을 개폐할 수 있게 마련된 창문이다.
통상 이러한 미닫이 창문에는 별도의 잠금수단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잠금수단이란 창문을 완전히 닫은 상태에서 그 프레임에 장착된 스톱퍼를 회전시켜 창문이 열어지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여닫이 창문은 전후로 회전되면서 개폐되는 창문으로써 마찬가지로 잠금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여닫이 창문은 미닫이 창문과는 작동방식이 상이하므로, 잠금수단도 상이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창문 개폐장치는 일측창문에 부착시킨 록킹레바를 회전시켜 타 측창문의 걸고리에 걸거나 록킹봉을 나사식으로 결합하여서 되는 구조이므로 잠금 및 해제 조작이 불편하고 까다로울 뿐 아니라, 힘이 들어 노약자들은 작동하기 용이하지 않는 등 여러 가지의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창문의 개폐시 자동으로 잠금 및 열림이 이루어지고, 잠금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작이 간단하고 더욱 안전한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후면 창틀에 설치된 고정부재와, 전면 창틀에 설치된 걸림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양측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상부에 체결되는 지지판으로 구성된 몸체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며 출몰작동되는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와 일체로 결합되어 전후진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걸림구가 인입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스토퍼와 멈춤핀으로 구성된 창문 개폐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결하여 제조공수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작이 간단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의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는, 후면 창틀(300)에 설치된 고정부재(2)와, 전면 창틀(200)에 설치된 걸림부재(4)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는, 양측에 체결부(224)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수용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20)의 상부에 체결되는 지지판(25)으로 구성된 몸체(22)와, 상기 수용홈(220)에 삽입되며 출몰작동되는 걸림구(24)와, 상기 걸림구(24)와 일체로 결합되어 전후진되는 손잡이(26)와, 상기 손잡이(26)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걸림구(24)가 인입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스토퍼(27)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재(4)는 상기 걸림구(24)가 삽입되는 통공(40)이 형성되고, 일측에 경사면(42)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 볼트(43)가 체결되는 체결공(44)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22)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양측에 볼트(212)를 체결시키는 체결공(21)을 갖는 체결부(224)가 날개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내측에는 걸림구(24)가 삽입되는 수용홈(220)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220)은 상부 및 전면이 개구되고 저면에 관통공(22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25)은, 상기 몸체(22)의 상부에 덮혀져 결합되는 판재로써, 상기 수용홈(220)과 통하는 일정 길이의 장공(250)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장공(250)의 일측에는 후술될 멈춤핀(28)이 삽입되는 핀홀(251)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상기 장공(250)과 직각되는 형상의 걸림장공(252)이 형성된다.
선택적으로는 후술될 스토퍼(27)의 걸림돌기(274)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장공(250)의 양측에 전단장공(2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구(24)는, 상기 수용홈(220)에 삽입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사각봉체이며, 전단에는 상기 걸림부재(4)의 경사면(42)에 대응되는 경사면(240)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홈(241)이 형성되며, 후방에 인접하여 통공(242)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242)은 내부에 환턱(243)이 형성됨으로써 후술될 렌치볼트(100)의 머리부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홈(241)에는 스프링(270)의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스프링(270)의 타단은 상기 몸체(22)의 수용홈(220)의 내벽에 지지된다.
상기 손잡이(26)는, 전후진작동에 의해 걸림구(24)의 출몰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에 스토퍼(27)가 힌지결합되고, 멈춤핀(28)이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26)는 상면에 돌기(26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걸림구(24)의 통공(242)에 끼워지는 보스(264)가 형성된 것이며, 후단에는 스토퍼(27)가 삽입되도록 절개홈(263)이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는 멈춤핀(28)이 삽입되는 핀공(265)이 형성된다.
상기 보스(264)에는 렌치볼트(10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2642)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26)는 보스(264)가 상기 지지판(25)의 장공(250)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구(24)의 통공(242)에 끼워진 후 렌치볼트(100)가 상기 보스(264)의 체결공(2642)에 체결되고, 그 머리부가 통공(242)의 환턱(243)에 지지됨으로써 걸림구(24)와 일체화된다.
따라서, 손잡이(242)의 전후진에 연동하여 걸림구(24)가 출몰작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스토퍼(27)는, 상기 걸림구(24)의 인입된 상태 즉, 해제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상기 손잡이(242)의 일측에 형성된 절개홈(243)에 삽입되어 힌지결합된다.
즉, 상기 스토퍼(27)는, 단면이 대략 마름모꼴로 형성된 것으로, 전방에는 축핀(276)이 끼워지는 끼움공(271)이 형성되고, 전방 상부에는 탄지스프링(272)이 수직되게 설치되고, 전방 하부에는 복수의 걸림돌기(27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멈춤핀(28)은, 일정 길이를 갖는 봉체(282)와, 그 상단에 헤드(281)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봉체(282)가 손잡이(26)의 핀공(265)에 삽입되고, 상기 봉체(282)의 하단이 지지판(25)의 핀홀(251)에 끼워지거나 빠지면서 고정 및 해제동작이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봉체(282)의 외주에 오링(283)이 개재됨으로써 핀홀(251)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헐거워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몸체(22)의 상부에 지지판(25)을 체결한 후 수용홈(220) 내에 스프링(270)과 걸림구(24)를 순차적으로 삽입한다.
손잡이(26)의 절개홈(263)에 스토퍼(27)를 삽입하여 탄지스프링(272)이 절개홈(263)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하고, 축핀(276)을 끼워 끼움공(271)에 관통시켜 스토퍼(27)를 힌지결합시킨다.
이후, 핀공(265)에 멈춤핀(28)을 끼워 결합시킨다.
이렇게 조립된 손잡이(26) 및 스토퍼(27)의 조립체를 지지판(25)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보스(264)를 장공(250) 및 걸림구(24)의 통공(242)에 끼운 후 반대편에서 렌치볼트(100)를 체결함으로써 고정부재(2)의 조립이 완료된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 창틀(200)에는 걸림부재(4)를 설치한다. 즉, 걸림부재(4)를 수직되게 전면 창틀(200)에 배치한 후 체결공(44)에 볼트(43)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후면 창틀(300)에는 고정부재(2)를 설치한다. 즉, 체결부(224)의 체결공(21)에 볼트(212)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따라서, 고정부재(2)의 걸림구(24)는 걸림부재(4)의 통공(40)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의 해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 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의 잠김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26)를 손으로 밀어 후진시키면 스프링(270)이 압축되고, 걸림구(24)가 후진되어 수용홈(220) 내로 인입되고, 스토퍼(27)의 걸림돌기(274)가 지지판(25)의 걸림장공(25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가 해제된 상태이다.
이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 및 후면 창틀(200,300)을 닫은 후 스토퍼(27)를 손으로 누르면 걸림돌기(274)가 걸림장공(252)에서 빠지면서 스프링(270)이 팽창되는 탄성에 의해 걸림구(24) 및 손잡이(26)가 전진하게 되어 상기 걸림구(24)가 걸림부재(4)의 통공(40)에 삽입됨으로써 잠금상태가 된다.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에서 "멈춤핀"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잠김상태가 된 후 멈춤핀(28)을 눌러주면, 그 하단이 핀홀(251)에 끼워짐으로써 잠김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다시 창문을 열 경우에는, 먼저 멈춤핀(28)의 헤드(281)를 손가락으로 잡고 빼내면 그 하단이 핀홀(251)에서 빠지면서 고정상태가 풀리게 되고, 손가락으로 손잡이(26)를 밀어 후진시키면 전술한 도 6의 동작과 같이 해제상태가 된다.
물론, 손잡이(26)를 손으로 후진시켜 해제시킬 필요없이 후면 창틀(300)과 전면 창틀(200)을 교차시켜 닫으면, 걸림구(24)의 경사면(240)이 걸림부재(4)의 경사면(42)을 타고 순간적으로 인입되었다가 인출되면서 자동으로 잠기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는, 걸림부재(4)에 걸림구의 잠김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안전수단이 더 설치된다.
첨부된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도 8a는 고정핀이 잠긴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고정핀이 해제된 상태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걸림부재(4)의 측벽에 수평되게 끼워지며 그 선단이 통공(40) 내에 삽입되도록 한 고정핀(5)과, 상기 고정핀(5)이 삽입되도록 걸림구(24)의 전방에 수평되게 형성된 결합공(243)과, 상기 고정핀(5)을 지지하도록 측벽 내에 설치된 볼스토퍼부재(3)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재(4)의 측벽에는 통공(40)과 통하는 수평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끼움공에 고정핀(5)이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4)의 측벽의 상단에는 상기 수평끼움공과 통하는 수직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관통공에는 상기 볼스토퍼부재(3)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핀(5)은 선단에 헤드를 갖는 봉체이며, 상기 봉체의 외주면에 잠금 밀 풀림상태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환홈(51,52)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볼스토퍼부재(3)는 상기 제 1 및 제 2환홈(51,52)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직관통공에 삽입된 볼(33)과, 상기 볼(3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코일스프링(32)과, 상기 코일스프링(32)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결합된 나사체(31)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체(31)는 육각볼트가 사용되며, 나사체(31)를 조이면 볼(33)의 가압력이 증가되고 풀면 볼(33)의 가압력이 느슨해진다.
따라서,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구(24)가 걸림부재(4)의 통공(40) 내에 삽입된 후 사용자가 고정핀(5)을 밀어넣으면 그 선단이 결합공(243)이 끼워짐으로써 잠금 상태가 더욱 확고해질 수 있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정핀(5)을 빼내면 그 선단이 결합공(243)으로부터 분리되어 해제된 상태가 된다.
즉, 고정핀(5)은 잠금 상태에서는 볼(33)이 제 1환홈(51)이 삽입되었다가 해제 상태에서는 볼(33)이 제 2환홈(52)으로 삽입되며, 코일스프링(32)의 탄성에 의해 볼(33)이 고정핀(5)을 가압하게 되므로 분실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체(31)를 조이면 코일스프링(32)의 가압됨으로써 볼(33)이 누르는 힘이 증가될 수 있고, 나사체(31)를 풀면 코일스프링(33)의 가압력이 느슨해져 볼(33)이 누르는 힘이 완화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힘을 조절할 수 있다.
첨부된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도 9a는 고정핀이 잠긴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고정핀이 해제된 상태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걸림부재(4)의 측벽에 수평되게 끼워지되, 외주에 코일스프링(72)이 개 재된 고정핀(71)과, 상기 고정핀(71)이 삽입되도록 걸림구(24)의 전방에 수평되게 형성된 결합공(243)과, 상기 통공(40)의 측벽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고정핀(71)을 가압하는 캠(73)이 형성된 레버(7)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재(4)의 측벽에는 수직되게 절개홈(45)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45)에서 통공(40)과 통하는 수평끼움공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45) 내에 레버(7)가 힌지결합된다.
상기 고정핀(71)은 상단에 헤드를 갖는 "T"자 형이며, 헤드가 캠(73)에 접촉된다.
상기 레버(7)는 손잡이를 갖는 원형의 힌지결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힌지결합부의 외면에 볼록하게 캠(73)이 형성되며, 상기 캠(73)은 고정핀(71)의 헤드에 접촉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레버(7)가 상방으로 회전되면 캠(73)이 고정핀(71)의 헤드를 눌러주게 되어 잠김상태가 되고, 역으로 레버(7)가 하방으로 회전되면 캠(73)은 고정핀(71)의 헤드와 이격되어 풀림상태가 된다.
즉,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7)를 상방 회전시켜 캠(73)이 고정핀(71)을 누르면 코일스프링(72)이 압축되면서 고정핀(71)이 인입됨으로써 걸림구(24)의 결합공(243)에 끼워져 잠금 상태가 된다.
역으로,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7)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캠(73)이 고정핀(71)으로부터 이격되면, 코일스프링(7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고정핀(71)이 인출됨으로써 걸림구(24)의 결합공(243)과 분리되어 해제된 상태가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의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의 해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의 잠김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에서 "멈춤핀"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도 8a는 고정핀이 잠긴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고정핀이 해제된 상태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도 9a는 고정핀이 잠긴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고정핀이 해제된 상태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고정부재 4 : 걸림부재
22 : 몸체 24 : 걸림구
25 : 지지판 26 : 손잡이
27 : 스토퍼 28 : 멈춤핀
42 : 경사면 221 : 관통공
220 : 수용홈 224 : 체결부
240 : 경사면 241 : 홈
242 : 통공 250 : 장공
251 : 핀홀 252 : 걸림장공
262 : 돌기 263 : 절개홈
264 : 보스 265 : 핀공
281 : 헤드 282 : 오링

Claims (11)

  1. 후면 창틀(300)에 설치된 고정부재(2)와, 전면 창틀(200)에 설치된 걸림부재(4)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2)는,
    양측에 체결부(224)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수용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20)의 상부에 체결되는 지지판(25)으로 구성된 몸체(22)와,
    상기 수용홈(220)에 삽입되며 출몰작동되는 걸림구(24)와,
    상기 걸림구(24)와 일체로 결합되어 전후진되는 손잡이(26)와,
    상기 손잡이(26)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걸림구(24)가 인입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스토퍼(27)와 멈춤핀(28)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4)는, 상기 걸림구(24)가 삽입되는 통공(40)이 형성되고, 일측에 경사면(42)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 볼트(43)가 체결되는 체결공(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2)는 내측에 걸림구(24)가 삽입되며 상부 및 전면이 개구되고 저 면에 관통공(221)이 형성된 수용홈(220)이 형성되고, 양측에 볼트(212)를 체결시키는 체결공(21)을 갖는 체결부(224)가 날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5)은, 상기 몸체(22)의 상부에 덮혀져 결합되는 판재로써, 상기 수용홈(220)과 통하는 장공(250)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장공(250)의 일측에는 상기 멈춤핀(28)이 삽입되는 핀홀(251)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상기 장공(250)과 직교되는 형상의 걸림장공(252)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250)의 양측에 전단장공(25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24)는, 상기 수용홈(220)에 삽입되며 길이를 갖는 사각봉체이며, 전단에는 경사면(240)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홈(241)이 형성되며, 후방에 인접하여 통공(2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6)는, 상면에 돌기(26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걸림구(24)에 결합되는 보스(264)가 형성된 것이며, 후단에는 상기 스토퍼(27)가 삽입되도록 절개홈(263)이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는 상기 멈춤핀(28)이 삽입되는 핀 공(26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7)는, 단면이 마름모꼴로 형성된 것으로, 전방 상부에는 탄지스프링(272)이 설치되고, 전방 하부에는 복수의 걸림돌기(27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핀(28)은, 일정 길이를 갖는 봉체(282)와, 그 상단에 헤드(281)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봉체(282)가 상기 핀공(265)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4)에는 상기 걸림구(24)의 잠김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안전수단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걸림부재(4)의 측벽에 수평되게 끼워지며 그 선단이 통공(40) 내에 삽입되도록 한 고정핀(5)과, 상기 고정핀(5)이 삽입되도록 걸림구(24)의 전방에 수평 되게 형성된 결합공(243)과, 상기 고정핀(5)을 지지하도록 상기 걸림부재(4)의 측벽 내에 설치된 볼스토퍼부재(3)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핀(5)은 선단에 헤드를 갖는 봉체이며, 상기 봉체의 외주면에 잠금 밀 풀림상태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환홈(51,52)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볼스토퍼부재(3)는 상기 제 1 및 제 2환홈(51,52)에 대응되는 볼(33)과, 상기 볼(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코일스프링(32)과, 상기 코일스프링(32)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결합된 나사체(3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걸림부재(4)의 측벽에 수평되게 끼워지되, 외주에 코일스프링(72)이 개재된 고정핀(71)과,
    상기 고정핀(71)이 삽입되도록 걸림구(24)의 전방에 수평되게 형성된 결합공(243)과,
    상기 통공(40)의 측벽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고정핀(71)을 가압하는 캠(73)이 형성된 레버(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KR1020070125341A 2007-12-05 2007-12-05 창문 개폐장치 KR100835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341A KR100835573B1 (ko) 2007-12-05 2007-12-05 창문 개폐장치
PCT/KR2008/007210 WO2009072839A1 (en) 2007-12-05 2008-12-05 Locking device for a wind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341A KR100835573B1 (ko) 2007-12-05 2007-12-05 창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573B1 true KR100835573B1 (ko) 2008-06-05

Family

ID=3977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341A KR100835573B1 (ko) 2007-12-05 2007-12-05 창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35573B1 (ko)
WO (1) WO200907283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987B1 (ko) 2011-02-10 2012-11-20 이장근 창문개폐용 잠금장치
KR101323844B1 (ko) 2012-08-21 2013-11-08 전병화 창호 오픈 스토퍼용 고정구
KR20160086540A (ko) * 2015-01-10 2016-07-20 강민성 방충망 잠금구용 안전장치
KR101929231B1 (ko) 2017-09-29 2018-12-14 남정호 자동 잠김 및 벌어짐을 방지하는 안전방충망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61079A (en) 2008-06-19 2009-12-23 Mighton Products Ltd Sash window restrictor having a protruding member and retaining mechanism
US8776440B2 (en) 2010-12-17 2014-07-15 Marvin Lumber And Cedar Company Sash limiter apparatus and method
CA2886226C (en) 2014-03-27 2017-08-15 Daniel Jon Curtis Window opening control device for horizontal and vertical sliding windows
US11454055B2 (en) 2017-01-20 2022-09-27 Pella Corporation Window opening control systems and methods
GR1010581B (el) * 2021-11-12 2023-12-05 Πλαστικα Νοτιοανατολικης Ευρωπης-Μονοπροσωπη Εταιρεια Περιορισμενης Ευθυνης, Πολυφυλλο με συρομενα φυλλ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555Y1 (ko) * 1996-06-05 1999-04-01 강하구 미닫이문 자동괘정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872U (ja) * 1983-07-14 1985-02-06 株式会社 ムラコシ精工 扉のロツク装置
JPH07113300B2 (ja) * 1991-07-30 1995-12-06 新関西ベアリング株式会社 すべり出し窓のスイング装置
KR100425653B1 (ko) * 2001-12-01 2004-04-08 이향제 샤시창문용 잠금장치
JP2007040080A (ja) * 2005-08-04 2007-02-15 Yukiharu Tomita 引き違いドア等の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555Y1 (ko) * 1996-06-05 1999-04-01 강하구 미닫이문 자동괘정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987B1 (ko) 2011-02-10 2012-11-20 이장근 창문개폐용 잠금장치
KR101323844B1 (ko) 2012-08-21 2013-11-08 전병화 창호 오픈 스토퍼용 고정구
KR20160086540A (ko) * 2015-01-10 2016-07-20 강민성 방충망 잠금구용 안전장치
KR101657659B1 (ko) * 2015-01-10 2016-09-19 강민성 방충망 잠금구용 안전장치
KR101929231B1 (ko) 2017-09-29 2018-12-14 남정호 자동 잠김 및 벌어짐을 방지하는 안전방충망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72839A1 (en)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573B1 (ko) 창문 개폐장치
US6755450B1 (en) Safety door lock
US7856857B2 (en) Door lock of key-driven transmission structure
US20050194797A1 (en) Closure Latch Assembly
US20090282880A1 (en) Keyed lock door handle
US2007854A (en) Lock for doors
KR200421611Y1 (ko) 도어 손잡이의 잠금핀 구조
KR101691323B1 (ko) 매립형 도어록
KR200186315Y1 (ko) 미닫이창의 잠금장치
KR101439242B1 (ko) 잠금표시장치를 구비한 문 잠금장치
KR100821533B1 (ko) 이중 창문 잠금장치
KR200169262Y1 (ko) 발코니용 창의 잠금장치
KR101038328B1 (ko) 개방이 편리한 문 손잡이 구조
KR102366185B1 (ko) 가구 도어 고정용 안전클립
KR101068187B1 (ko) 도어 고정 장치
US8827326B1 (en) Latch usable optionally by arthritic and disabled persons
KR20100010220A (ko) 자석손잡이를 이용한 자동식 도어 잠금장치
KR102661398B1 (ko) 갇힘 방지용 도어록
KR100788981B1 (ko) 열림손잡이를 구비한 도어잠금장치
KR200485691Y1 (ko) 슬라이드 창문용 2중 자동 잠금장치
KR200158766Y1 (ko) 미닫이문 자동 잠금 장치
JP2005344434A (ja) サッシ
KR200263009Y1 (ko) 창문의 일체형 잠금장치
JP2006348619A (ja) 扉開き防止装置
KR200182722Y1 (ko) 여닫이문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