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883A - 창문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883A
KR20160148883A KR1020150085647A KR20150085647A KR20160148883A KR 20160148883 A KR20160148883 A KR 20160148883A KR 1020150085647 A KR1020150085647 A KR 1020150085647A KR 20150085647 A KR20150085647 A KR 20150085647A KR 20160148883 A KR20160148883 A KR 20160148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button
opening
window
piv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이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훈 filed Critical 이성훈
Priority to KR1020150085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8883A/ko
Publication of KR20160148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4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개구부(120)로부터 돌출된 버튼(10) 및 회동제어부(60)를 관통하여 회동축(2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회동편부(30)를 내부에 포함하는 몸체(100)로서, 상기 몸체(100)는 회동편부(3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전방개구부(120)의 상부에 형성된 제1개구부(1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걸림돌기부(40); 회동편부(4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몸체(100)의 후방 하부에 형성된 제2개구부(13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돌기부(50); 전면 외부에 상기 버튼(10)이 결합되고, 상기 회동편부(30)에 형성된 회동편부걸림턱(32)이 걸릴 수 있도록 후면 내부에 고정턱부(61)가 형성된 회동제어부(60); 상기 회동제어부(60)의 후방에 마련된 제1탄성부재(70); 및 상기 돌기부(50)의 전방에 마련된 제2탄성부재(80);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10)이 가압되는 경우, 상기 회동편부걸림턱(32)은 상기 고정턱부(61)에서 해제되는 창문잠금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100)와 맞닿을 수 있는 걸림편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부(200)는, 상부에 상기 걸림돌기(40)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개구부(211); 및 하부에 상기 버튼(10)을 가압할 수 있는 접촉편(212);을 포함하는 창문잠금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미닫이 창문에 설치된 경우에는 창문을 닫는 행위만으로도 창틀에 설치된 걸림편부가 몸체의 버튼을 가압하게 되어 걸림돌기부가 걸림편부의 걸림개구부에 삽입되므로 손쉽게 창문을 잠글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에서 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용이하게 창문을 잠글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이 간단하고 조립이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문잠금장치{Window lock}
본 발명은 창문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이 용이하여 간편하게 창문을 잠글 수 있고, 제작비가 저렴한 창문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손잡이를 설치하지 않는 알미늄샷시 창문이나 이중창의 목재창문의 잠금장치는 일측창문에 부착시킨 록킹레바를 회전시켜 타측창문의 걸고리에 걸거나 록킹봉을 나사식으로 결합하여서 되는 구조이므로 잠금 및 해제 조작이 불편하고 까다로울 뿐 아니라, 힘이 들어 노약자들은 작동하기 용이하지 않는 등 여러 가지의 폐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외출시에 주의 소홀에 의해서 창문 잠금장치를 잠그지 않고 외출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에 도난이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야간에 외부인 침입에 의한 강도 등과 같은 불미스로운 사고가 발생되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자동으로 잠금되는 창문 잠금장치들이 개시되고 있고,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8081호, 동 등록실용신안 제0189766호, 동 특허공개번호 제2001-0016347호, 동 등록실용신안 제0337224호, 동 등록실용신안 제0230853호, 동 특허공개번호 제2002-0078553호 등이 개시되었다.
본 발명은 조작이 용이하여 간편하게 창문을 잠글 수 있고, 제작비가 저렴한 창문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방개구부(120)로부터 돌출된 버튼(10) 및 회동제어부(60)를 관통하여 회동축(2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회동편부(30)를 내부에 포함하는 몸체(100)로서, 상기 몸체(100)는 회동편부(3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전방개구부(120)의 상부에 형성된 제1개구부(1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걸림돌기부(40); 회동편부(4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몸체(100)의 후방 하부에 형성된 제2개구부(13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돌기부(50); 전면 외부에 상기 버튼(10)이 결합되고, 상기 회동편부(30)에 형성된 회동편부걸림턱(32)이 걸릴 수 있도록 후면 내부에 고정턱부(61)가 형성된 회동제어부(60); 상기 회동제어부(60)의 후방에 마련된 제1탄성부재(70); 및 상기 돌기부(50)의 전방에 마련된 제2탄성부재(80);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10)이 가압되는 경우, 상기 회동편부걸림턱(32)은 상기 고정턱부(61)에서 해제되는 창문잠금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와 맞닿을 수 있는 걸림편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부(200)는, 상부에 상기 걸림돌기(40)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개구부(211); 및 하부에 상기 버튼(10)을 가압할 수 있는 접촉편(212);을 포함하는 창문잠금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부(200)는 상기 걸림개구부(211)와 상기 접촉편(212)을 포함하는 제1면(210), 및 상기 제1면(210)으로부터 절곡형성되고 창틀고정용 체결공(221)을 구비한 제2면(220)을 포함하는 창문잠금장치를 특징으로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70) 및 상기 제2탄성부재(80)는 코일스프링인 창문잠금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튼(10)은 버튼의 중앙부로부터 양측단으로 갈수록 몸체의 외면에 대해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촉편(212)은 상기 버튼(10)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단부가 내측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창문잠금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잠금장치가 미닫이 창문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창문을 닫는 행위만으로도 창틀에 설치된 걸림편부가 몸체의 버튼을 가압하게 되어 걸림돌기부가 걸림편부의 걸림개구부에 삽입되므로 손쉽게 창문을 잠글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실내에서 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용이하게 창문을 잠글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이 간단하고 조립이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잠금장치의 몸체와 걸림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잠금장치에 있어서 몸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잠금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몸체 내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으로, 도 3a는 버튼이 가압되기 전의 상태, 도 3b는 버튼이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잠금장치가 창틀에 설치되어 잠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잠금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잠금장치의 몸체와 걸림편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잠금장치에 있어서 몸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잠금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몸체 내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으로, 도 3a는 버튼이 가압되기 전의 상태, 도 3b는 버튼이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잠금장치는 전방개구부(120)로부터 돌출된 버튼(10) 및 회동제어부(60)를 관통하여 회동축(2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회동편부(30)를 내부에 포함하는 몸체(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회동편부(3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전방개구부(120)의 상부에 형성된 제1개구부(1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걸림돌기부(40)와, 회동편부(3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몸체(100)의 후방 하부에 형성된 제2개구부(13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돌기부(50)와, 전면 외부에 상기 버튼(10)이 결합되고, 상기 회동편부(30)에 형성된 회동편부걸림턱(32)이 걸릴 수 있도록 후면 내부에 고정턱부(61)가 형성된 회동제어부(60)와, 상기 회동제어부(60)의 후방에 마련된 제1탄성부재(70)와, 상기 돌기부(50)의 전방에 마련된 제2탄성부재(8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튼(10)이 가압되는 경우에는, 상기 회동편부걸림턱(32)은 상기 고정턱부(61)에서 해제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70) 및 상기 제2탄성부재(80)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잠금장치는, 상기 몸체(100)와 맞닿을 수 있는 걸림편부(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부(200)는, 상부에 상기 걸림돌기부(40)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개구부(211)와 하부에 상기 버튼(10)을 가압할 수 있는 접촉편(212)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편부(200)는 상기 걸림개구부(211)와 상기 접촉편(212)을 포함하는 제1면(210), 및 상기 제1면(210)으로부터 절곡형성되고 창틀고정용 체결공(221)을 구비한 제2면(2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와 상기 걸림편부(200)는 여닫이 창틀이 닫힌 상태에서 서로 마주할 수 있도록 각각 창틀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튼(10)은 버튼(10)의 중앙부로부터 양측단으로 갈수록 몸체(100)의 외면에 대해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촉편(212)은 단부가 내측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창문이 닫힐 때, 창틀에 설치된 접촉편(212)이 상기 버튼(10)을 가압하면서 이동하는 경우, 접촉편(212)이 상기 버튼(10)의 경사면을 타고 넘으면서 이동되어 상기 버튼(10)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잠금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창문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0)이 가압되지 않고 걸림돌기부(40)와 돌기부(50)에 외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제1탄성부재(70)의 복원력에 의해 회동제어부(60)의 고정턱부(61)에 회동편부(30)의 회동편부걸림턱(32)이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회동편부(30)의 일단에 마련된 걸림돌기부(40)와 회동편부(30)의 타단에 마련된 돌기부(50)는 몸체 내부에 위치되게 된다.
다음으로, 창문을 닫게 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부(200)가 마련된 창틀이 닫히면서, 걸림편부(200)의 접촉편(212)이 몸체(100)의 버튼(10)을 가압하게 되고, 이 경우, 상기 버튼(10)이 가압되어 몸체(100) 내부로 밀려 들어가면서 버튼(10)과 결합된 회동제어부(60)를 몸체 내부에서 후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편부(30)의 회동편부걸림턱(32)이 회동제어부(60)의 고정턱부(61)에서 해제되면서, 제2탄성부재(80)의 복원력에 의해 돌기부(50)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돌기부(50)와 연결된 회동편부(30)가 회동하면서 걸림돌기부(40)가 제1개구부(110)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몸체(100) 밖으로 노출된다.
이 경우, 상기 몸체(100) 외부로 노출된 걸림돌기부(40)는 걸림편부(200)의 걸림개구부(211)로 삽입되므로, 창문은 잠금상태가 된다.
이후, 걸림돌기부(40)를 가압하여 몸체(100) 내부로 걸림돌기부(40)를 이동시키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부(4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회동편부(30)가 회동되어 회동편부(30)의 회동편부걸림턱(32)이 회동제어부(60)의 고정턱부(61)에 걸리게 되어 창문을 열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미닫이 창문에 설치된 상태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창문잠금장치를 설명하였으나, 다른 공지된 창문에도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버튼 20 : 회동축
30 : 회동편부 32 : 회동편부걸림턱
40 : 걸림돌기부 50 : 돌기부
60 : 회동제어부 61 : 고정턱부
100 : 몸체 110 : 제1개구부
120 : 전방개구부 130 : 제2개구부
200 : 걸림편부 210 : 제1면
220 : 제2면 211: 걸림개구부
212 : 접촉편 221 : 체결공

Claims (5)

  1. 전방개구부(120)로부터 돌출된 버튼(10) 및 회동제어부(60)를 관통하여 회동축(2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회동편부(30)를 내부에 포함하는 몸체(100)로서,
    상기 몸체(100)는
    회동편부(3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전방개구부(120)의 상부에 형성된 제1개구부(1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걸림돌기부(40);
    회동편부(4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몸체(100)의 후방 하부에 형성된 제2개구부(13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돌기부(50);
    전면 외부에 상기 버튼(10)이 결합되고, 상기 회동편부(30)에 형성된 회동편부걸림턱(32)이 걸릴 수 있도록 후면 내부에 고정턱부(61)가 형성된 회동제어부(60);
    상기 회동제어부(60)의 후방에 마련된 제1탄성부재(70); 및
    상기 돌기부(50)의 전방에 마련된 제2탄성부재(80);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10)이 가압되는 경우, 상기 회동편부걸림턱(32)은 상기 고정턱부(61)에서 해제되는 창문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와 맞닿을 수 있는 걸림편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부(200)는,
    상부에 상기 걸림돌기(40)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개구부(211); 및
    하부에 상기 버튼(10)을 가압할 수 있는 접촉편(212);을 포함하는 창문잠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부(200)는 상기 걸림개구부(211)와 상기 접촉편(212)을 포함하는 제1면(210), 및 상기 제1면(210)으로부터 절곡형성되고 창틀고정용 체결공(221)을 구비한 제2면(220)을 포함하는 창문잠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70) 및 상기 제2탄성부재(80)는 코일스프링인 창문잠금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10)은 버튼의 중앙부로부터 양측단으로 갈수록 몸체의 외면에 대해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촉편(212)은 상기 버튼(10)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단부가 내측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창문잠금장치.
KR1020150085647A 2015-06-17 2015-06-17 창문 잠금 장치 KR20160148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647A KR20160148883A (ko) 2015-06-17 2015-06-17 창문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647A KR20160148883A (ko) 2015-06-17 2015-06-17 창문 잠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883A true KR20160148883A (ko) 2016-12-27

Family

ID=57736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647A KR20160148883A (ko) 2015-06-17 2015-06-17 창문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88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762A (ko) * 2017-09-28 2019-04-05 장희선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KR20190036768A (ko) * 2017-09-28 2019-04-05 장희선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762A (ko) * 2017-09-28 2019-04-05 장희선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KR20190036768A (ko) * 2017-09-28 2019-04-05 장희선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4723B2 (en) Safety hook
US20080174130A1 (en) Safety hook
KR20160148883A (ko) 창문 잠금 장치
US10030419B2 (en) Fire door lock
KR101675591B1 (ko) 문닫힘 방지기능을 갖는 도어완충구
BR112019016921A2 (pt) dispositivo de trava de porta de veículo
KR20120001601A (ko) 출입문용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KR101153946B1 (ko) 창문용 잠금장치
KR100911950B1 (ko) 도어 자동 잠금장치
KR200462086Y1 (ko) 미닫이 창문용 버튼가압식 잠금장치
KR101848376B1 (ko) 도어록의 설정된 잠금 유지장치
KR20090081802A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902494B1 (ko) 미닫이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KR102211878B1 (ko)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KR101646090B1 (ko) 토잉 후크 캡
KR20160146416A (ko) 창문의 잠금장치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KR200459647Y1 (ko) 미닫이식 방범창 또는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KR20210067349A (ko) 방충망 프레임이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잠금장치
KR101557260B1 (ko) 사물함 잠금장치
KR100999175B1 (ko) 창호용 록킹장치
KR101569991B1 (ko) 사물함 잠금장치
JP2013083054A (ja) クレセント錠
KR101990692B1 (ko)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CN210714192U (zh) 一种具有双重保险的推拉式门窗防开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