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841B1 - 작업기 - Google Patents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841B1
KR101592841B1 KR1020157024992A KR20157024992A KR101592841B1 KR 101592841 B1 KR101592841 B1 KR 101592841B1 KR 1020157024992 A KR1020157024992 A KR 1020157024992A KR 20157024992 A KR20157024992 A KR 20157024992A KR 101592841 B1 KR101592841 B1 KR 101592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erasure
erasing
warning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4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9494A (ko
Inventor
료오스케 기누가와
아츠시 마츠모토
게이스케 미우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30978A external-priority patent/JP56500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30977A external-priority patent/JP56500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62623A external-priority patent/JP565002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50109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61Access devices for personne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18Safety devices for parts of the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16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작업기 내에서 발생한 경고의 발생 상황을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이상일 때에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 발생 수단(55)과,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를 기억하는 경고 기억 수단(56)과, 경고 기억 수단(56)에 기억된 경고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경고 정보를 소거하는 경고 소거 수단(57)을 구비하고, 경고 기억 수단(56)은 경고 소거 수단(57)에 의해 소거 후에 발생한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작업기{OPERATION MACHINE}
본 발명은 백호, 트랙터, 콤바인 등의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작업기에 있어서 당해 작업기 내에서 이상이 발생하면, 이상을 작업기에 설치한 제어 장치에 기억시키게 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의 작업기의 표시 장치에서는, 작업기의 운전에 있어서, 작업기에 이상이 발생하면 그 이상에 관한 이상 정보를 컨트롤러에 기억하고, 이상 정보를 당해 표시 장치를 개재해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작업기의 표시 장치에서는, 이상 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한편 표시 장치에 기억된 이상 정보를 소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95345호 공보
그런데, 작업기 사용 중에 이상이 발생해서 경고가 발생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작업기를 계속해서 사용하면, 작업기에 엄청난 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도, 특허 문헌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작업기에서는, 경고에 상당하는 이상 정보가 자동으로 기억되기 때문에, 기억된 이상 정보를 보면, 작업기를 엄청난 부하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가령 유저가 작업기를 엄청난 부하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을 숨기기 위해서, 표시 장치에 구비된 소거 기능을 사용해서 이상 정보(경고 정보)를 소거해버리면, 작업기에 어떤 부하가 걸려 있는지를 알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경고 정보가 소거되었다고 하는 것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고, 작업기 내에서 발생한 경고의 발생 상황도 파악하기 쉬운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경고 정보의 발생의 유무를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음과 함께 경고 정보의 소거 시기를 간단하게 특정할 수 있는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이하에 나타내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1항에 관한 발명에서는,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이상일 때에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 발생 수단과, 상기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를 기억하는 경고 기억 수단과, 상기 경고 기억 수단에 기억된 경고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경고 정보를 소거하는 경고 소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경고 기억 수단은, 상기 경고 소거 수단에 의해 소거 후에 발생한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2항에 관한 발명에서는,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경고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 장치에는 경고 소거 수단에서 경고 정보를 소거하기 위해 소거를 실행하는 소거 실행 스위치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경고 기억 수단은, 상기 소거 실행 스위치에서 소거가 실행된 후에 발생한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3항에 관한 발명에서는,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이상일 때에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 발생 수단과, 상기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를 기억하는 경고 기억 수단과, 상기 경고 기억 수단에 기억된 경고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경고 정보를 소거하는 경고 소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경고 소거 수단에 의해 경고 정보를 소거한 소거 시기를 기억하는 소거 시기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3항에 관한 발명에서는,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경고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 장치에는 경고 소거 수단에서 경고 정보를 소거하기 위해 소거를 실행하는 소거 실행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소거 시기 기억 수단은, 상기 소거 실행 스위치에서 소거가 실행되었을 때를 소거 시기로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4항에 관한 발명에서는, 상기 경고 기억 수단은, 상기 경고 소거 수단에 의해 소거 후에 발생한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5항에 관한 발명에서는, 상기 경고 기억 수단은, 경고 정보의 소거 후에 발생한 경고 중, 가장 최초에 발생한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6항에 관한 발명에서는, 상기 경고 기억 수단은, 경고 정보의 소거 후에 발생한 경고 중, 마지막으로 발생한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7항에 관한 발명에서는, 소거 후의 경고 정보는, 소거 불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범위 제1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경고 정보가 소거되었다고 하는 것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고, 작업기 내에서 발생한 경고의 발생 상황도 파악하기 쉬워진다.
청구범위 제2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경고 기억 수단에 남아있는 경고 정보가, 소거 실행 스위치에 의해 행해지고 소거를 실행한 후에 발생한 것이라고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경고 정보의 발생의 유무를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음과 함께 경고 정보의 소거 시기를 간단하게 특정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소거 실행 스위치에 의해 소거를 실행했을 때를 특정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4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소거 후에 발생한 경고 정보를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5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소거 후에 최초로 발생한 경고 정보를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6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소거 후에 마지막으로 발생한 경고 정보를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7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소거 후에 새롭게 발생한 경고 정보에 대해서는 소거할 수 없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소거한 후의 정보를 확실하게 남길 수 있다.
도 1은 작업기에 있어서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표시 장치의 정면 전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표시 장치를 통상 표시 모드로 했을 때 표시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경고 코드의 일람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경고 기억 수단의 기억 테이블에 경고 정보를 기억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경고 정보의 덮어쓰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표시 장치를 특별 표시 모드로 했을 때 표시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경고 소거 수단에 의해 경고 정보를 소거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경고 소거 수단에 의해 경고 정보를 소거하는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작업기의 전체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다른 작업기에 있어서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경고 기억 수단의 제1 기억 테이블에 경고 정보를 기억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제1 기억 테이블에 있어서의 경고 정보의 덮어쓰기를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14는 경고 소거 수단에 의해 제1 기억 테이블에 있어서의 경고 정보를 소거하는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소거 시기 기억 수단의 제2 기억 테이블에 시기를 기억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경고 기억 수단의 제1 기억 테이블에 경고 정보를 기억한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소거 시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소거 시기와, 경고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중간 발생 시기와의 관계도이다.
도 18은 경고 소거 수단에 의해 제1 기억 테이블에 있어서의 경고 정보를 소거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경고 소거 수단에 의해 경고 정보를 소거하는 수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경고 코드마다 소거 시기를 제2 기억 테이블에 기억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다른 작업기에 있어서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2는 의사 소거하는 경고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했을 때의 설명도이다.
도 23은 의사 소거 전과 의사 소거 후에 있어서의 경고 정보의 표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는 의사 소거하는 경고 정보를 수동으로 설정했을 때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작업기의 전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작업기는 백호로 하고 있지만, 트랙터이어도 콤바인이어도, 그 밖의 작업을 행하는 것이어도 좋다.
우선, 작업기의 전체 구성부터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기(1)는 하부의 주행 장치(2)와, 상부의 선회체(3)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장치(2)는 고무제 복대를 갖는 좌우 한 쌍의 주행체(4)를 구비하고, 양쪽 주행체(4)를 주행 모터(M)로 동작하도록 한 크롤러식 주행 장치가 채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행 장치(2)의 전방부에는 도저(5)가 설치되어 있다.
선회체(3)는 주행 장치(2) 위에 선회 베어링(11)을 개재해서 상하 방향의 선회 축 주위에 좌우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선회대(12)와, 상기 선회대(12)의 전방부에 구비된 작업 장치(13)(굴삭 장치)를 갖고 있다. 선회대(12) 상에는, 엔진, 라디에이터, 운전석(9), 연료 탱크, 작동유 탱크, 작동유 탱크로부터의 작동유를 제어하는 제어 밸브 등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9)의 주위에는, 작업기(1)에 관한 여러가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15)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9)은 선회대(12) 상에 설치된 캐빈(14)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작업 장치(13)는 선회대(12)의 전방부에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서 약간 오른쪽에 오프셋해서 설치된 지지 브래킷(16)에 상하 방향의 축심 주위에 좌우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스윙 브래킷(17)과, 상기 스윙 브래킷(17)에 기초부 측을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부착 되어서 상하 요동 자재로 지지된 붐(18)과, 상기 붐(18)의 선단 측에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부착 되어서 전후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아암(19)과, 상기 아암(19)의 선단 측에 떠냄·덤프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버킷(20)을 구비하고 있다.
스윙 브래킷(17)은 선회대(12) 내에 구비된 스윙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요동되고, 붐(18)은 상기 붐(18)과 스윙 브래킷(17)과의 사이에 개재 장착된 붐 실린더(22)의 신축에 의해 요동되고, 아암(19)은 상기 아암(19)과 붐(18)과의 사이에 개재 장착된 아암 실린더(23)의 신축에 의해 요동되고, 버킷(20)은 상기 버킷(20)과 아암(19)과의 사이에 개재 장착된 버킷 실린더(21)의 신축에 의해 떠냄·덤프 동작된다.
각 실린더(스윙 실린더, 붐 실린더(22), 아암 실린더(23), 버킷 실린더(21))는 제어 밸브에 의해 유량이 제어된 작동유에 의해 동작하게 되어 있다.
도 1은, 작업기에 있어서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기에 있어서의 제어 시스템은, 주로 작업기의 제어를 행하는 메인 제어 장치(30)와, 이 메인 제어 장치(30)와는 별도로 배치된 표시 장치(15)가 구비되어 있다. 메인 제어 장치(30)와 표시 장치(15)는, Controller Area Network(CAN 통신) 등의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를 개재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는, 메인 제어 장치(30)와 종 제어부(31)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지 좋고, FlexRay(플렉스 레이)이어도, 그 밖의 네트워크이어도 좋다.
메인 제어 장치(30)는 CPU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작업기(1)에 구비된 각종 장치(주행 장치, 작업 장치 등)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 장치(30)는 주행 2속 제어, 언로드 전환 제어, 스타터 전환 제어, 도난 방지 제어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행 2속 제어는, 주행 장치(2)를 고속과 저속으로 전환하는 주행 2속 스위치(32)로부터의 온 또는 오프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주행 장치(2)를 고속과 저속으로 전환하는 제어이다. 언로드 전환 제어는, 운전석(9)의 측방에 설치된 레버 잠금 스위치(33)로부터의 온 또는 오프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펌프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를 제어 밸브에 공급 가능과 공급 불가능으로 전환하는 제어이다. 스타터 전환 제어는, 스타터 스위치(34)로부터의 온 또는 오프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스타터 릴레이(35)를 전환하는 제어이다. 도난 방지 제어는, 엔진을 시동하는 엔진 키에 내장된 ID 코드와, 당해 메인 제어 장치(30)에 내장된 ID 코드와의 대조가 성립했을 때에 스타터 릴레이(35)를 오프로부터 온으로 하는 것을 허가하고, 대조가 불성립일 때에 스타터 릴레이(35)를 오프로부터 온으로 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 제어이다. 도난 방지 수단은, 새로운 엔진 키의 ID 코드를 당해 메인 제어 장치(30)에 등록하는 등록 기능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메인 제어 장치(30)는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면 되고, 예시한 제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인 제어 장치(30)에는, 작업기의 여러가지 상태를 센서 등에 의해 검출하는 복수의 검출기(40)가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메인 제어 장치(30)에는, 엔진 회전 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 센서(엔진 회전 검출기)(40a)와, 수온을 검출하는 수온 센서(수온 검출기)(40b)와, 연료(잔량)를 검출하는 연료 센서(연료 검출기)(40c)가 접속되어 있다. 즉, 메인 제어 장치(30)에는, 엔진 회전 센서(40a), 수온 센서(40b), 연료 센서(40c) 등의 검출기(40)로 검출한 상태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메인 제어 장치(30)에는, 엔진을 시동하는 엔진 키의 ID 코드, 배터리의 전압 등도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메인 제어 장치(30)에 엔진 회전 수, 연료, 수온 등의 다양한 검출 정보가 입력되면, 당해 메인 제어 장치(30)는 각각의 검출 정보(실측값)를 표시 장치(15)에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를 개재해서 표시 장치(15)에 송신한다. 또한, 메인 제어 장치(30)는 검출기(40)로부터 취득한 검출 정보(엔진 회전 수, 연료, 수온 등)에 기초하여, 작업기(1)에 이상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이상이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경고를 발생하고, 그 경고에 관한 정보(경고 정보라고 함)를 기억(보존)하거나, 표시 장치(15)에서 경고 정보가 표시 가능하게 되도록 당해 경고 정보를 표시 장치(15)에 송신하게 되어 있다.
이하, 표시 장치(15), 메인 제어 장치(3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5)는 여러가지 정보를 표시 가능한 표시부(41)와, 표시부(41)를 제어하는 제어부(31)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장치(15)를 정면에서 보면, 당해 표시 장치(15)의 좌측에는 12개의 단일식 LED 표시부(41A)가 설치되고, 하측에는 세그먼트식 표시부(41B)가 설치되고, 우측에는 상하로 배열하는 2개의 지침식 표시부(41C)가 설치되어 있다.
각 단일식 LED 표시부(41A)(LED 표시부(41A)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는 LED 소자의 점등, 소등, 점멸에 의해 검출 정보 자체나 경고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15)에 설치된 LED 표시부(41A)에는, 주행용 LED 표시부(41A1), 등록용 LED 표시부(41A2), 제거 잊음 LED 표시부(41A3), 연료용 LED 표시부(41A4), 수온용 LED 표시부(41A5), 경고용 LED 표시부(41A6) 등이 있다.
주행용 LED 표시부(41A1)는, 작업기(1)가 고속의 주행 상태로 되면 점등한다. 등록용 LED 표시부(41A2)는, 등록 기능에서 ID 코드를 등록할 때에 엔진 키의 실린더에의 삽입 시에 점등한다(삽입의 타이밍을 알리기 위해서 점등함). 제거 잊음 LED 표시부(41A3)은, ID 코드의 등록시에 실린더에 삽입한 엔진 키가 장시간에 걸쳐 삽입되어 있는 상황 하에 있어서 엔진 키의 제거 잊음을 알릴 때에 점등한다. 연료용 LED 표시부(41A4)는, 연료 부족의 상태가 되었을 때에 점멸한다. 수온용 LED 표시부(41A5)는, 수온이 이상 상태로 되거나, 수온 센서(40b)가 이상 상태로 되어, 경고가 발해졌을 때에 점멸한다. 경고용 LED 표시부(41A6)는, 작업기(1)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해서 경고가 발해졌을 때에 점멸한다. 그 밖에, 표시 장치(15)의 LED 표시부(41A)에는, AUX용 LED 표시부(41A7), 시간 맞춤용 LED 표시부(41A8), 블로우용 LED 표시부(41A9) 등이 있지만 설명을 생략한다.
세그먼트식 표시부(41B)는, 복수의 세그먼트(42)를 점등 또는 소등시킴으로써 여러가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세그먼트식 표시부(41B)는 48개의 세그먼트(42)(세그먼트 소자)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상세하게는, 이 세그먼트식 표시부(41B)는, 7개의 세그먼트(42)에 의해 구성된 세그먼트 군(43)(7 세그먼트라고 함)이 좌우 방향에 5개 배치되고, 7 세그먼트(43)의 주위에, 문자(Y, M, D, AM, PM)나 기호(△)로 구성된 9개의 세그먼트가 배치되고, 7 세그먼트(43)의 사이에 도트(:, .)로 구성된 4개의 세그먼트가 배치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7 세그먼트(43)는 숫자, 문자, 기호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7 세그먼트(43)의 주위에 배치된 문자나 기호의 세그먼트는, 화면 조작을 지시하거나, 어떤 화면일지 알 수 있도록 보충하는 것이다.
도 3은, 세그먼트식 표시부(41B)로 표시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키로 실린더를 돌리고, 표시 장치(15)에 전원을 공급한 후에, 표시 장치(15)에 접속된 제1 스위치(50)를 누르면,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는 아워 미터(누적 시간)가 표시된다.
또한, 아워 미터란, 작업기(1)를 제조하는 제조 메이커가 작업기(1)를 출하 후, 작업기(1)를 구동한 누적 시간이며, 메인 제어 장치(30) 또는 표시 장치(15)에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 누적 시간(아워 미터)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스위치(50)와는 별도로 표시 장치(15)에 접속된 제2 스위치(51)를 누르면,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의 표시하는 정보가 전환되고,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는 현재의 시각이 표시된다.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 시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스위치(51)를 누르면,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는 엔진 회전 수가 표시된다. 또한,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 엔진 회전 수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스위치(51)를 누르면,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는, 작업기(1)에 발생하고 있는 경고의 경고 코드(N)가 표시된다. 또한, 작업기(1)에 복수의 경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경고 코드(N)가 순서대로 표시된다. 경고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경고 코드(N)는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의 좌측에 표시된 「E: 」는, 우측의 수치가 경고 코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엔진 키로 실린더를 돌렸을 때는, 표시 장치(15)는 통상 표시 모드가 되고,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서, 아워 미터, 시각, 엔진 회전 수, 경고를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침식 표시부(41C)는, 회전 중심부를 중심으로 해서 소정 각도로 회동하는 바늘부(45)와, 바늘부(45)와 겹치도록 게이지 표시부(46)를 구비하고 있어서, 바늘부(45)가 회동하고, 게이지 표시부(46)에 대한 바늘부(45)의 선단부 위치에 의해 여러가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5)를 정면에서 보아서 상측에는, 연료용 지침식 표시부(41C1)가 설치되고, 연료용 지침식 표시부(41C1)의 하측에는, 수온용 지침식 표시부(41C2)가 설치되어 있다.
연료용 지침식 표시부(41C1)는, 바늘부(45)의 선단이 게이지 표시부(46)의 상단부를 지시했을 때는 연료가 만탱크인 것을 나타내고, 게이지 표시부(46)의 하단부를 나타냈을 때는 연료가 부족(없어지고 있음)인 것을 나타낸다.
수온용 지침식 표시부(41C2)는, 바늘부(45)의 선단이 게이지 표시부(46)의 상단부를 지시했을 때는 수온이 높은 것을 나타내고, 게이지 표시부(46)의 하단부를 나타냈을 때는 수온이 낮은 것을 나타낸다.
표시 장치(15)의 제어부(31)는 메인 제어 장치(30)와 당해 표시 장치(15)의 데이터(정보)의 송수신을 행하거나, 입력된 여러가지 정보(검출 정보, 경고 정보)를 표시부(41)에 표시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것이며, CPU나 범용 IC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 장치(15)에 있어서의 「통상 표시 모드」나 「특별 표시 모드」는, 표시 장치(15)의 제어부(31)에 내장된 제어 프로그램에서 실행하는 것이어도, 메인 제어 장치(30)에 내장된 제어 프로그램이어도 좋다.
이어서, 메인 제어 장치(3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메인 제어 장치(30)는 경고 발생 수단(55)과, 경고 기억 수단(56)과, 경고 소거 수단(57)을 구비하고 있다. 경고 발생 수단(55) 및 경고 소거 수단(57)은 메인 제어 장치(30)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고 발생 수단(55)은 검출기(40)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작업기(1)가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함과 동시에, 이상이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경고를 발생하는 것이다.
경고 발생 수단(55)은 예를 들어 검출된 엔진 회전 수가 소정 회전 이상(예를 들어, 700rpm)이며 또한 검출된 수온이 소정 온도 이상(예를 들어, 120도 이상)이고, 또한, 소정 시간 이상(예를 들어, 1초 이상) 계속되었을 때에, 작업기(1) 이 상(오버히트)이라고 판단하여, 오버히트라고 하는 경고를 발생시킨다.
또한, 경고 발생 수단(55)은 CAN 통신 이상, 연료 센서 단선 이상, 수온 센서 단선 이상 등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경고를 발생한다.
CAN 통신 이상이란, 메인 제어 장치(3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표시 장치(15)와 정상적으로 CAN 통신을 할 수 없는 이상이다.
연료 센서 단선 이상이란, 연료 센서(40c)로 검출되는 저항값이 소정 이상이며 매우 저항값이 크고 당해 연료 센서(40c)와 메인 제어 장치(30)가 단선이라고 생각되는 이상이다. 수온 센서 단선 이상이란, 수온 센서(40b)로 검출되는 저항값이 소정 이상이며 매우 저항값이 크고 당해 수온 센서(40b)와 메인 제어 장치(30)가 단선이라고 생각되는 이상이다.
경고 발생 수단(55)은 경고를 발생할 때, 각각의 경고(이상)가 식별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한 것 같은 경고 코드(N)(경고 종별)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CAN 통신 이상에 관한 경고 코드(N)는 「01」로 되고, 오버히트에 관한 경고 코드(N)는 「15」로 되고, 연료 센서 단선 이상에 관한 경고 코드(N)는 「17」로 되고, 수온 센서 단선 이상에 관한 경고 코드(N)는 「18」로 되어 있다.
경고 발생 수단(55)은 CAN 통신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는, 당해 CAN 통신 이상에 대응한 경고 코드 「01」을 출력하거나, 오버히트가 발생했을 때에는, 당해 오버히트에 대응한 경고 코드 「15」를 출력한다.
즉, 경고 발생 수단(55)은 메인 제어 장치(30)에 입력되는 여러가지 정보를 사용해서 작업기(1)가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그 이상에 관한 경고에 대응한 경고 코드(N)를 발생한다. 또한, 경고 발생 수단(55)에 의해 발생하는 경고는, 당연하게,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어떤 경고이어도 좋다.
경고 기억 수단(56)은 예를 들어 불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어, 경고에 관한 정보(경고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다. 이 경고 기억 수단(56)은 적어도 경고의 경고 코드(N)(경고 종별)와 경고가 발생했을 때의 시간을 대응시켜서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경고 코드(N)는, 경고 정보를 식별(구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경고 기억 수단(56)은 경고 코드(N)마다, 경고 정보의 내용을 나누어서 저장하기 위한 기억 테이블을 갖고 있다. 즉, 경고 하나 하나에 기억 테이블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각 기억 테이블은, 초기 아워 미터부, 초기 시기부, 소거 후 아워 미터부, 소거 후 시기부, 최종 아워 미터부, 최종 시기부, 카운트부, 누적 카운트부로 나뉘어진다.
초기 아워 미터부는, 작업기(1)를 제조하는 메이커로부터 작업기(1)를 출하 후, 처음으로 경고 코드(N)에 대응하는 경고가 발생했을 때에, 당해 경고의 발생 시점에서의 누적 시간(아워 미터)을 경고 정보로서 기억하는 부분이다. 초기 시기부는, 메이커로부터 작업기(1)를 출하 후, 처음으로 경고 코드(N)에 대응하는 경고가 발생했을 때에, 경고가 발생한 시기(발생 시기)를 경고 정보로서 기억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작업기(1)의 출하 후, 오버히트가 처음으로 발생하고, 경고 발생시의 누적 시간(아워 미터)이 100시간(100h)이며, 발생 시기가 2009년 3월 2일이라고 하자.
이때, 경고 기억 수단(56)은 처음으로 오버히트의 경고가 발생했을 때의 누적 시간인 「100시간」을, 오버히트에 대응하는 초기 아워 미터부에 기억시킴과 함께, 오버히트의 발생 시기인 「2009년 3월 2일」을 오버히트에 대응하는 초기 시기부에 기억시킨다. 설명의 편의상, 초기 아워 미터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를 초기 누적 시간, 초기 시기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를 초기 발생 시기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소거 후 아워 미터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고 소거 수단(57)에 의해 경고 정보가 당해 경고 기억 수단(56)으로부터 소거된 후(후술하는 소거 실행 스위치를 누른 후)에 있어서, 새롭게 경고가 발생했을 때에, 새롭게 경고 발생한 시점에서의 누적 시간(아워 미터)을 경고 정보로서 기억하는 부분이다.
소거 후 시기부는, 경고 소거 수단(57)에 의해 경고 정보가 소거 후(후술하는 소거 실행 스위치를 누른 후), 새롭게 경고가 발생했을 때에, 경고의 발생 시기를 경고 정보로서 기억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경고 정보가 소거된 후, 새롭게 오버히트가 발생하고, 그때의 누적 시간이 140시간(140h)이고, 발생 시기가 2009년 7월 6일이라고 하자.
이때, 경고 기억 수단(56)은 누적 시간인 「140시간」을 오버히트에 대응하는 소거 후 아워 미터부에 기억시킴과 함께, 오버히트가 발생한 시기인 「2009년 7월 6일」을 오버히트에 대응하는 소거 후 시기부에 기억시킨다.
또한, 경고 기억 수단(56)은 경고 정보가 1번 소거된 후, 소거 조작되지 않고 경고가 수회 발생한 경우에는, 소거 후 아워 미터부에 기억하는 누적 시간을 덮어씀과 동시에, 소거 후 시기부에 기억하는 시기도 덮어쓰기를 한다. 설명의 편의상, 소거 후 아워 미터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를 중간 누적 시간, 소거 후 시기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를 중간 발생 시기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최종 아워 미터부는, 최신의 경고가 발생했을 때에, 경고 발생 시의 누적 시간(아워 미터)을 경고 정보로서 기억하는 부분이다. 최종 시기부는, 최신의 경고가 발생했을 때에, 발생한 시기를 경고 정보로서 기억하는 부분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이미 최종 아워 미터부에 누적 시간인 「100시간」이 기억되고, 또한, 이미 최종 시기부에 시기인 「2009년 3월 2일」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그 후, 2009년 7월 6일에 같은 경고 코드(N)에 있어서 경고가 발생하고, 그때의 누적 시간이 140시간이었다고 하자.
이때, 경고 기억 수단(56)은 최종 아워 미터부에 누적 시간인 「140시간」을 덮어써서 기억하고, 최종 시기부에 발생한 시기인 「2009년 7월 6일」을 최종 시기부에 덮어써서 기억한다. 이에 의해, 경고 기억 수단(56)에 기억한 경고 정보는, 도 6(a)로부터 도 6(b)의 상태가 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최종 시기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를 최신 누적 시간, 최종 시기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를 최신 발생 시기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카운트부는, 경고가 발생한 횟수(발생 횟수)를 경고 정보로서 기억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오버히트의 경고가 반복해서 발생할 때마다 경고의 발생 횟수가 카운트업 되고, 경고 기억 수단(56)은 카운트업 될 때마다 발생 횟수를 카운트부에 덮어쓰기로 기억한다. 또한, 이 카운트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고 소거 수단(57)에 의해 소거되도록 되어 있고, 경고 소거 수단(57)으로 카운트부의 발생 횟수가 소거되면, 발생 횟수는 제로가 된다.
누적 카운트부는, 메이커로부터 작업기(1)를 출하 후, 동일한 경고에 대해서, 경고의 누적 발생 횟수를 기억하는 부분이며, 경고 소거 수단(57)으로는 소거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누적 카운트부의 발생 횟수를 제로로 할 수 없다). 경고 기억 수단(56)은 경고가 발생할 때마다 누적 카운트부에 발생 횟수를 덮어쓰기로 기억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카운트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를 중간 발생 횟수, 누적 카운트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를 누적 발생 횟수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상, 경고 기억 수단(56)은 경고 종별마다 정해진 기억 테이블에, 8종류의 경고 정보(초기 누적 시간, 초기 발생 시기, 중간 누적 시간, 중간 발생 시기, 최신 누적 시간, 최신 발생 시기, 중간 발생 횟수, 누적 발생 횟수)를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경고 기억 수단(56)에서 기억된 여러가지 경고 정보는, 표시 장치(15)를 상술한 통상 표시 모드가 아니고 특별 표시 모드로 하면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5)를 경고 기억 수단(56)에 기억된 경고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으로서 동작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엔진 키로 실린더를 돌린다는 통상 작업기에서 행하는 조작이 아니고, 특별한 조작을 행하면(예를 들어, 제1 스위치(50)를 누르면서 엔진 키로 실린더를 돌리면), 표시 장치(15)는 통상 표시 모드로부터 특별 표시 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표시 장치(15)를 특별 표시 모드로 한 후, 제2 스위치(51)를 몇 초간 길게 눌러, 표시 장치(15)를 「특별 표시 모드」 중 「경고 내력 모드」로 한다. 경고 내력 모드로 한 후, 제2 스위치(51)를 길게 누르면, 우선,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 경고 정보의 경고 코드(N)가 표시된다(경고 코드 표시 화면).
이 경고 코드 표시 화면은, 복수의 경고 중, 어느 경고를 표시할지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며, 경고 코드 표시 화면에서 제2 스위치(51)를 몇 초간 길게 누르면, 경고 코드(N)를 바꿀 수 있다. 즉, 경고 코드 표시 화면에서는, 경고 기억 수단(56)으로부터 경고 종별마다 설정된 어느 기억 테이블의 경고 정보를 판독할지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경고 코드 표시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스위치(51)를 누르면, 경고 코드(N)에 대응하는 기억 테이블로부터 중간 발생 횟수(카운트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가 표시 장치(15)에 판독되어,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 중간 발생 횟수(카운트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가 표시된다.
계속해서, 제2 스위치(51)를 누르면, 경고 코드(N)에 대응하는 기억 테이블로부터 초기 누적 시간(초기 아워 미터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이 표시 장치(15)에 판독되어,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 초기 누적 시간이 표시된다.
또한, 제2 스위치(51)를 누르면, 경고 코드(N)에 대응하는 기억 테이블로부터 초기 발생 시기(초기 시기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가 판독되어,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 초기 발생 시기의 일부(연수)가 표시되고, 이어서, 제2 스위치(51)를 누르면, 초기 발생 시기의 일부(월일)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제2 스위치(51)를 누를 때마다 기억 테이블로부터 경고 정보가 순서대로 판독되어,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 표시되게 된다.
또한, 초기 발생 시기가 기억 테이블로부터 판독된 후에도, 제2 스위치(51)를 누를 때마다, 중간 누적 시간, 중간 발생 시기, 최신 누적 시간, 최신 발생 시기가 판독되어서,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 표시된다.
또한, 제2 스위치(51)를 누를 때마다 각 경고 정보를 기억 테이블로부터 판독한다고 하고 있지만, 경고 코드 표시 화면에서 경고 코드(N)를 표시했을 때에, 당해 경고 코드(N)에 대응하는 기억 테이블의 경고 정보를 일괄해서 판독하고, 일시적으로 보존하고, 그 후, 제2 스위치(51)를 누를 때마다 순서대로 경고 정보를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 표시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고 코드(N)마다, 수많은 경고 정보가 경고 기억 수단(56)에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가, 경고 소거 수단(57)에 의해 경고 정보는 소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경고 소거 수단(57)은 경고 기억 수단(56)에 기억된 경고 정보를 논리 소거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논리 소거된 경고 정보는 경고 기억 수단(56)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서 처리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고 소거 수단(57)을 기동시키기 위해서는, 표시 장치(15)를 제2 스위치(51)를 몇 초간 길게 눌러, 당해 표시 장치(15)를 「특별 표시 모드」 중 「내력 소거 모드」로 한다. 표시 장치(15)를 내력 소거 모드로 한 후, 제2 스위치(51)를 몇 초간 길게 누르면, 경고 소거 수단(57)이 기동한다. 이때, 제2 스위치(51)는 소거를 실행하기 위한 소거 실행 스위치가 된다.
제2 스위치(51)를 눌러서 경고 소거 수단(57)을 기동시키면, 경고 기억 수단(56)에 기억되어 있는 경고 정보 중, 초기 누적 시간, 초기 발생 시기, 누적 발생 횟수 이외의 중간 누적 시간, 중간 발생 시기, 최신 누적 시간, 최신 발생 시기, 중간 발생 횟수를 논리 소거한다. 즉, 경고 소거 수단(57)을 기동시키면, 경고 기억 수단(56)의 모든 기억 테이블 내에 있는 중간 누적 시간, 중간 발생 시기, 최신 누적 시간, 최신 발생 시기, 중간 발생 횟수가 소거된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누적 시간인 「100h」, 초기 발생 시기인 「2/3/2009」, 중간 누적 시간인 「140h」, 중간 발생 시기인 「6/7/2009」, 최신 누적 시간인 「140h」, 최신 발생 시기인 「6/7/2009」, 중간 발생 횟수인 「1회」, 누적 발생 횟수인 「13」이 경고 기억 수단(56)에 되어 있다고 하자.
여기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고 소거 수단(57)을 동작시키면, 경고 기억 수단(56)에는, 초기 누적 시간인 「100h」, 초기 발생 시기인 「2/3/2009」, 누적 발생 횟수인 「13」이 남는 것으로 되고, 다른 정보는 소거되어서, 표시 장치(15)에서도 표시할 수 없게 된다.
즉, 경고 소거 수단(57)에 의해 경고 정보를 소거하면, 소거된 경고 정보는, 경고 기억 수단(56) 내에 없는 것으로 취급되고, 소거된 경고 정보는, 경고 기억 수단(56)으로부터 판독할 수 없게 되고, 표시 장치(15)에 의해 표시할 수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기에 의하면, 경고 기억 수단(56)은 경고 소거 수단(57)에 의해 소거 후에 발생한 경고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경고 기억 수단(56)은 경고 소거 수단(57)에 의한 경고 정보의 소거 후에 있어서, 새롭게 경고가 발생하면, 경고의 발생 시의 누적 시간(아워 미터)을 기억하는 소거 후 아워 미터부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경고의 발생 시의 시기를 기억하는 소거 후 시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소거 후에 새롭게 발생한 경고 정보를, 다른 경고 정보와 구별해서 남길 수 있고, 표시 장치(15) 등을 사용해서 확인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경고를 발생 후에 단순하게 경고 정보를 남기고 있었기 때문에, 소거를 행한 후에 발생한 경고이어도, 소거를 행하지 않고 발생한 경고이어도, 구별 없이 경고 정보로서 남겨지는 상황이었다. 그로 인해, 경고의 내력(이력)이 메모리 등의 경고 기억 수단(56) 내에 남아있었던 경우에도, 어느 시점(소거 후)에서 발생한 경고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어려웠다.
그로 인해, 유저는, 경고 정보를 소거함으로써, 작업기(1)를 사용 중에 경고가 발생한 것을 의도적으로 숨기는 것이 용이해서, 작업기(1)의 유지 보수를 행할 시에, 작업기(1)의 경고의 발생 상황을 파악할 수 없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소거 후 아워 미터부에 보존되어 있는 경고 정보(중간 누적 시간), 소거 후 시기부에 보존되어 있는 경고 정보(중간 발생 시기)를 보면, 적어도, 소거 작업을 행한 것을 파악할 수 있음과 함께, 소거 후에 발생한 경고 정보로부터, 과거에 발생한 경고를 추측할 수 있다. 한번 발생한 경고는 다시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소거 후 아워 미터부나 소거 후 시기부에 대응하는 경고 코드(N)를 보면, 소거 전의 경고가 무엇일지 추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작업기(1)를 사용 중에 오버히트의 경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경고 기억 수단(56)에 오버히트에 관한 경고 정보의 내력이 기억되어 있는 상황 하에서, 유저 등이 의도적으로 경고를 소거하고, 오버히트의 발생이 나오지 않고 있었다고 거짓말을 하려고 하더라도, 소거 후에 새롭게 오버히트가 발생하기 쉽고, 소거 후 아워 미터부나 소거 후 시기부에는, 소거 후에 발생한 오버히트가 남게 된다. 이에 의해, 작업기(1)의 과거의 경고의 발생 상황을 적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경고 기억 수단(56)은 소거 실행 스위치(제2 스위치(51))에서 소거가 실행된 후에 발생한 경고 정보를 기억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경고 기억 수단(56)에는, 명확하게 소거 실행 스위치를 누른 후에 발생한 경고 정보가 남는 것이 된다. 그로 인해, 경고 기억 수단(56)에 남아있는 경고 정보는, 소거를 실행한 후에 발생한 것이라고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중간 발생 횟수와 누적 발생 횟수의 차이에 의해도 소거를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소거 후 아워 미터부의 경고 정보나 소거 후 시기부의 경고 정보는 덮어쓰기가 되어서 갱신되는 점에서, 경고 기억 수단(56)은 경고 정보의 소거 후에 발생한 경고 중, 마지막으로 발생한 경고 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로 인해, 소거 후 아워 미터부의 경고 정보나 소거 후 시기부의 경고 정보는, 소거 후에 발생한 경고 정보 중, 최신의 것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 이것에 대신하여, 경고 기억 수단(56)은 경고 정보의 소거 후에 발생한 경고 중, 가장 최초에 발생한 경고 정보를 기억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소거 후 아워 미터부의 경고 정보나 소거 후 시기부의 경고 정보는 논리 소거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 경고 정보는 경고 소거 수단(57)에 따라서는, 소거할 수 없도록(소거 불가능) 해도 좋다. 즉, 소거 후 아워 미터부에 기억되는 중간 누적 시간, 소거 후 시기부에 기억되는 중간 발생 시기는, 내력 소거 모드에서 소거 실행 스윗치를 눌러도, 논리 소거되지 않도록 유지한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누적 시간인 「100h」, 초기 발생 시기인 「2/3/2009」, 중간 누적 시간인 「140h」, 중간 발생 시기인 「6/7/2009」, 최신 누적 시간인 「140h」, 최신 발생 시기인 「6/7/2009」, 중간 발생 횟수인 「1회」, 누적 발생 횟수인 「13」이 경고 기억 수단(56)에 되아 있는 상황 하에서, 경고 소거 수단(57)을 동작시킨다고 하더라도,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중간 누적 시간인 「140h」나 중간 발생 시기인 「6/7/2009」은, 경고 기억 수단(56)에 유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표시 장치(15)를 사용해서 반드시, 소거 후의 경고 정보인 중간 누적 시간이나 중간 발생 시기를 확인할 수 있고, 소거 후의 경고 정보를 파악하기 쉽다.
또한, 소거 후에 발생한 경고 정보는, 다른 경고 정보와는 구별할 수 있도록, 기억 테이블에 소거 후에 발생한 경고 정보를 보존하는 소거 후 기억 부분(소거 후 아워 미터부나 소거 후 시기부)을 설치하고 있지만, 소거 후 아워 미터부나 소거 후 시기부에 보존한 경고 정보는, 표시 장치(15)에서 표시할 뿐만아니라, 퍼스널 컴퓨터 등을 메인 제어 장치(30)나 표시 장치(15)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에 취출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소거 후 기억 부분에 기억된 경고 정보의 취출 방법은, 퍼스널 컴퓨터에서 취출할 뿐만아니라, 외부의 플래시 메모리를 접속해서 취출해도 좋고, 그 밖의 방법이어도 좋다.
도 11 내지 20은 본 발명의 다른 작업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작업기에 있어서, 주행 장치(2)나 상부의 선회체(3) 등의 작업기의 전체 구성은,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표시 장치(15)에 대해서도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메인 제어 장치(30)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점을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제어 장치(30)는 경고 발생 수단(155)과, 경고 기억 수단(156)과, 경고 소거 수단(157)과,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을 구비하고 있다. 경고 발생 수단(155), 경고 소거 수단(157)은 메인 제어 장치(30)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고 발생 수단(155)은 상술한 경고 발생 수단(55)과 마찬가지로, 검출기(40)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작업기(1)가 이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에, 이상하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경고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경고 발생 수단(155)은 검출된 엔진 회전 수가 소정 회전 이상(예를 들어, 700rpm)이며 또한 검출된 수온이 소정 온도 이상(예를 들어, 120도 이상)이고, 또한, 소정 시간 이상(예를 들어, 1초 이상) 계속되었을 때에, 작업기(1)가 이상(오버히트)이라고 판단하여, 오버히트라고 하는 경고를 발생시킨다. 또한, 경고 발생 수단(155)은 CAN 통신 이상, 연료 센서 단선 이상, 수온 센서 단선 이상 등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경고를 발생한다.
또한, 경고 발생 수단(155)은 경고를 발생할 때, 각각의 경고(이상)를 식별 할 수 있도록, 상술한 경고 발생 수단(55)과 마찬가지로 경고 코드(N)(경고 종별)를 출력한다.
경고 기억 수단(156)도 상술한 경고 기억 수단(56)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불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어, 경고에 관한 정보(경고 정보)를 기억한다. 이 경고 기억 수단(156)은 적어도 경고의 경고 코드(N) (경고 종별)와 경고가 발생했을 때의 시간을 대응시켜서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경고 기억 수단(156)은 경고 코드(N)마다, 경고 정보의 내용을 나누어서 저장하기 위한 기억 테이블(제1 기억 테이블이라고 함)을 갖고 있다. 즉, 경고 하나 하나에 제1 기억 테이블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각 제1 기억 테이블은, 초기 아워 미터부, 초기 시기부, 최종 아워 미터부, 최종 시기부로 나뉘어진다.
초기 아워 미터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기(1)를 제조하는 메이커로부터 작업기(1)를 출하 후, 처음으로 경고 코드(N)에 대응하는 경고가 발생했을 때에, 당해 경고의 발생 시점에서의 누적 시간(아워 미터)을 경고 정보로서 기억하는 부분이다. 초기 시기부는, 메이커로부터 작업기(1)를 출하 후, 처음으로 경고 코드(N)에 대응하는 경고가 발생했을 때에, 경고가 발생한 시기(발생 시기)를 경고 정보로서 기억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작업기(1)의 출하 후, 오버히트가 처음으로 발생하고, 경고 발생시의 누적 시간(아워 미터)이 100시간(100h)이며, 발생 시기가 2009년 3월 2일이라고 하자.
이때, 경고 기억 수단(156)은 처음으로 오버히트의 경고가 발생했을 때의 누적 시간인 「100시간」을, 오버히트에 대응하는 초기 아워 미터부에 기억시킴과 함께, 오버히트의 발생 시기인 「2009년 3월 2일」을 오버히트에 대응하는 초기 시기부에 기억시킨다. 설명의 편의상, 초기 아워 미터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를 초기 누적 시간, 초기 시기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를 초기 발생 시기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최종 아워 미터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최신의 경고가 발생했을 때에, 경고 발생 시의 누적 시간(아워 미터)을 경고 정보로서 기억하는 부분이다. 최종 시기부는, 최신의 경고가 발생했을 때에, 발생한 시기를 경고 정보로서 기억하는 부분이다.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이미 최종 아워 미터부에 누적 시간인 「100시간」이 기억되고, 또한, 이미 최종 시기부에 시기인 「2009년 3월 2일」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그 후, 2009년 7월 6일에 같은 경고 코드(N)에 있어서 경고가 발생하고, 그때의 누적 시간이 140시간이었다고 하자.
이때, 경고 기억 수단(156)은 최종 아워 미터부에 누적 시간인 「140시간」을 덮어써서 기억하고, 최종 시기부에 발생한 시기인 「2009년 7월 6일」을 최종 시기부에 덮어써서 기억한다. 이에 의해, 경고 기억 수단(156)에 기억한 경고 정보는, 도 13(a)로부터 도 13(b)의 상태가 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최종 시기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를 최신 누적 시간, 최종 시기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를 최신 발생 시기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상, 경고 기억 수단(156)은 경고 종별마다 정해진 제1 기억 테이블에, 4종류의 경고 정보(초기 누적 시간, 초기 발생 시기, 최신 누적 시간, 최신 발생 시기)를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경고 기억 수단(156)으로 기억된 여러가지 경고 정보는, 표시 장치(15)를 상술한 통상 표시 모드가 아니고 특별 표시 모드로 한다고 표시하게 되어 있다. 즉, 표시 장치(15)를 경고 기억 수단(156)에 기억된 경고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으로서 동작시킬 수 있다. 특별 표시 모드의 조작에 대해서는 도 7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 표시 모드에서, 경고 코드 표시 화면에서는, 경고 기억 수단(156)으로부터 경고 종별마다 설정된 어느 제1 기억 테이블의 경고 정보를 판독할지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고 코드 표시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스위치(51)를 누르면, 경고 코드(N)에 대응하는 제1 기억 테이블로부터 초기 누적 시간(초기 아워 미터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이 표시 장치(15)에 판독되어,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 초기 누적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위치(51)를 누르면, 경고 코드(N)에 대응하는 제1 기억 테이블로부터 초기 발생 시기(초기 시기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 초기 발생 시기의 일부(연수)를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스위치(51)를 누르면, 초기 발생 시기의 일부(월일)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제2 스위치(51)를 누를 때마다 제1 기억 테이블로부터 경고 정보를 순서대로 판독할 수 있고, 경고 정보를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초기 발생 시기가 제1 기억 테이블로부터 판독된 후도, 제2 스위치(51)를 누를 때마다, 최신 누적 시간, 최신 발생 시기를 판독할 수 있고, 이들을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위치(51)를 누를 때마다 각 경고 정보를 제1 기억 테이블로부터 판독한다고 하고 있지만, 경고 코드 표시 화면에서 경고 코드(N)를 표시했을 때에, 당해 경고 코드(N)에 대응하는 제1 기억 테이블의 경고 정보를 일괄해서 판독하고, 일시적으로 보존하고, 그 후, 제2 스위치(51)를 누를 때마다 순서대로 경고 정보를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 표시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고 코드(N)마다, 수많은 경고 정보가 경고 기억 수단(156)에 기억되도록 되어 있지만, 경고 소거 수단(157)에 의해 경고 정보는 소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경고 소거 수단(157)은 경고 기억 수단(156)에 기억된 경고 정보를 논리 소거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논리 소거된 경고 정보는 경고 기억 수단(156)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서 처리된다.
경고 소거 수단(157)을 기동시키기 위해서는, 표시 장치(15)를 제2 스위치(51)를 몇 초간 길게 눌러, 당해 표시 장치(15)를 「특별 표시 모드」 중 「내력 소거 모드」로 한다. 표시 장치(15)를 내력 소거 모드로 한 후, 제2 스위치(51)를 몇 초간 길게 누르면, 경고 소거 수단(157)이 기동한다. 이때, 제2 스위치(51)는 소거를 실행하기 위한 소거 실행 스위치가 된다.
제2 스위치(51)를 눌러서 경고 소거 수단(157)을 기동시키면, 경고 기억 수단(156)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경고 정보(초기 누적 시간, 초기 발생 시기, 최신 누적 시간, 최신 발생 시기)를 논리 소거한다.
예를 들어,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고 기억 수단(156)에, 초기 누적 시간인 「100h」, 초기 발생 시기인 「2/3/2009」, 최신 누적 시간인 「140h」, 최신 발생 시기인 「6/7/2009」이 기억되어 있었다고 하자. 여기서,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고 소거 수단(157)을 동작시키면, 경고 기억 수단(156)에는 모든 경고 정보가 삭제되어(논리 소거), 표시 장치(15)에도 표시할 수 없게 된다.
즉, 경고 소거 수단(157)에 의해 경고 정보를 소거하면, 소거된 경고 정보는, 경고 기억 수단(156) 내에 없다고 취급되어, 소거된 경고 정보는, 경고 기억 수단(156)으로부터 판독할 수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작업기(1)에서는, 경고 소거 수단(157)에 의해 경고 정보를 자유롭게 논리 소거할 수 있고, 논리 소거를 행함으로써 경고 기억 수단(156)(플래시 메모리)에 있어서의 빈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빈 용량을 증가시키고 싶을 때에는 편리하다. 한쪽에서, 한번, 논리 소거해버린 경고 정보는, 통상적으로는 취출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여기서, 가령, 경고를 숨기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소거했을 경우에는, 처음부터 경고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하는 것으로 되고, 경고의 발생의 유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작업기에서는, 경고 소거 수단(157)에 의해 경고 정보를 소거할 수 있는 구성이면서, 경고 소거 수단(157)에 의해 경고 정보를 소거한 소거 시기를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에 의해 남길 수 있다고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은 예를 들어 불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어, 경고 정보를 소거한 소거 시기를 기억하는 것이다. 또한,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은 경고 기억 수단(156)과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해도, 경고 기억 수단(156)과는 다른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해도 좋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은 경고 정보를 소거한 시기(소거 시기)를 기억하는 기억 테이블(제2 기억 테이블이라고 함)을 갖고 있다.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2009년 1월 6일」에, 유저 등이 제2 스위치(51) 등을 조작하고, 표시 장치(15)를 내력 소거 모드로 한 후, 소거 실행 스위치(51)를 누르고, 경고 소거 수단(157)에 의해 경고 기억 수단(156)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경고 정보를 논리 소거하면,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의 제2 기억 테이블에 소거 실행 스위치(51)를 누른 시간(시기)인 「6/1/2009」이 기억된다.
이것에 계속해서, 유저 등이 「2009년 7월 10일」에 소거 실행 스위치(51)를 누르고, 다시, 경고 기억 수단(156)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경고 정보를 논리 소거하면,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의 제2 기억 테이블에는 소거 실행 스위치(51)를 누른 시간(시기)인 「10/7/2009」이, 이미 기억되어 있는 「6/1/2009」과는 별도로 추가된다. 즉,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은 경고 정보가 소거될 때마다, 그 소거 시기를 추가해서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5(a)에 나타낸 제2 기억 테이블에서는, 소거 시기로서, 소거한 「년」, 소거한 「월」, 소거한 「일」을 기억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 대신에,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거 시기로서, 소거를 실행한 시점에서의 누적 시간(아워 미터)을 기억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누적 시간이 「2500시간(2500h)」일 때에, 유저 등이 제2 스위치(51) 등을 조작하고, 표시 장치(15)를 내력 소거 모드로 한 후, 소거 실행 스위치(51)를 누르고, 경고 소거 수단(157)에 의해 경고 기억 수단(156)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경고 정보를 논리 소거했다고 하면,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의 제2 기억 테이블에 소거 실행 스위치(51)를 누른 시점에서의 누적 시간인 「2500시간」이 기억된다.
이것에 계속해서, 유저 등이 누적 시간이 「3000시간(3000h)」일 때에 소거 실행 스위치(51)를 누르고, 다시, 경고 기억 수단(156)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경고 정보를 논리 소거하면,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의 제2 기억 테이블에는 소거 실행 스위치(51)를 누른 시점에서의 누적 시간인 「3000시간」이, 이미 기억되어 있는 「2500시간」과는 별도로 추가된다.
이와 같이,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에 기억된 소거 시기(예를 들어, 일자나 누적 시간)는 표시 장치(15)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거나, 퍼스널 컴퓨터 등을 사용해서 외부에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5)에 접속한 제1 스위치(50)나 제2 스위치(51)를 조작함으로써 소거 시기를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 표시하도록 해도 좋고, 퍼스널 컴퓨터나 플래시 메모리 등을 메인 제어 장치(30)나 표시 장치(15)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소거 시기를 퍼스널 컴퓨터나 플래시 메모리에 읽어 완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에 기억된 소거 시기(제2 기억 테이블 내의 정보)를 논리 소거하는 수단은, 작업기에 설치하지 않고, 작업기에 탑재한 기기를 조작해서 소거 시기를 논리 소거할 수 없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기에 의하면, 경고 발생 수단(155)과, 경고 기억 수단(156)과, 표시 수단(15)과, 경고 소거 수단(157)과, 경고 소거 수단(157)에 의해 경고 정보를 소거한 소거 시기를 기억하는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경고를 숨기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소거한 경우에도, 경고를 소거 시기가 남기 때문에, 과거에 경고의 발생이 있었던 사실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게다가, 간단히 소거한 사실을 알 뿐만아니라, 소거 시기를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시점에서 경고가 발생하고 있었는지를 특정할 수 있다.
특히,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은 소거 실행 스위치(제2 스위치(51))로 소거를 실행했을 때를 소거 시기로서 기억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 등이 소거 실행 스윗치를 눌러 의도적으로 경고 정보를 소거했을 때(소거를 실행했을 때)를 특정할 수 있다.
경고 기억 수단(156)을 하기와 같이 변형해도 좋다.
경고 기억 수단(156)의 제1 기억 테이블은, 초기 아워 미터부, 초기 시기부, 최종 아워 미터부, 최종 시기부 외에, 소거 후 아워 미터부, 소거 후 시기부, 카운트부, 누적 카운트부로 나뉘어져 있다.
소거 후 아워 미터부는, 경고 소거 수단(157)에 의해 경고 정보가 당해 경고 기억 수단(156)으로부터 소거된 후(소거 실행 스위치(51)를 누른 후)에 있어서, 새롭게 경고가 발생했을 때에, 새롭게 경고 발생한 시점에서의 누적 시간(아워 미터)을 경고 정보로서 기억하는 부분이다.
소거 후 시기부는, 경고 소거 수단(157)에 의해 경고 정보가 소거 후(소거 실행 스위치(51)를 누른 후), 새롭게 경고가 발생했을 때에, 경고의 발생 시기를 경고 정보로서 기억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고 정보가 소거된 후, 새롭게 오버히트가 발생하고, 그때의 누적 시간이 140시간(140h)이고, 발생 시기가 2009년 7월 6일이라고 하자. 이때, 경고 기억 수단(156)은 누적 시간인 「140시간」을 오버히트에 대응하는 소거 후 아워 미터부에 기억시킴과 함께, 오버히트가 발생한 시기인 「2009년 7월 6일」을 오버히트에 대응하는 소거 후 시기부에 기억시킨다. 설명의 편의상, 소거 후 아워 미터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를 중간 누적 시간, 소거 후 시기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를 중간 발생 시기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카운트부는, 경고가 발생한 횟수(발생 횟수)를 경고 정보로서 기억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오버히트의 경고가 반복해 발생할 때마다 경고가 발생 횟수가 카운트업되어서, 경고 기억 수단(156)은 카운트업될 때마다 발생 횟수를 카운트부에 덮어쓰기로 기억한다. 또한, 이 카운트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고 소거 수단(157)에 의해 소거되도록 되어 있어서, 경고 소거 수단(157)로 카운트부의 발생 횟수가 소거되면, 발생 횟수는 제로가 된다.
누적 카운트부는, 메이커로부터 작업기(1)를 출하 후, 동일한 경고에 대해서, 경고의 누적 발생 횟수를 기억하는 부분이며, 경고 소거 수단(157)에서는 소거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누적 카운트부의 발생 횟수를 제로로 할 수 없다). 경고 기억 수단(156)은 경고가 발생할 때마다 누적 카운트부에 발생 횟수를 덮어쓰기로 기억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카운트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를 중간 발생 횟수, 누적 카운트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를 누적 발생 횟수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변형예의 경고 기억 수단(156)에서는, 경고 종별마다 정해진 제1 기억 테이블에, 8종류의 경고 정보(초기 누적 시간, 초기 발생 시기, 중간 누적 시간, 중간 발생 시기, 최신 누적 시간, 최신 발생 시기, 중간 발생 횟수, 누적 발생 횟수)를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경고 기억 수단(156)에는, 경고 정보의 소거 후에 새롭게 발생한 경고 정보, 즉, 중간 누적 시간과 중간 발생 시기를 보존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소거 후의 경고 정보와 소거 시기와의 양쪽을 보면, 과거에 발생한 경고를 추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경고 정보를 소거한 경우에도, 한번 발생한 경고는 다시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다시 발생한 경고(소거 후의 경고)와 소거 시기와의 기간이 가까우면, 다시 발생한 경고는 소거 전에도 발생했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009년 7월 10일」에 경고 정보가 소거되면,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에 소거 시기인 「10/7/2009」이 기억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고 정보가 소거된 후, 「2009년 7월 13일」에 오버히트가 발생하면, 오버히트의 경고 정보를 보존하는 경고 기억 수단(156)의 소거 후 시기부에, 오버히트의 발생 시기(중간 발생 시기)인 「13/7/2009」이 기억된다.
도 17(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에 보존된 소거 시기 및 경고 기억 수단(156)의 중간 발생 시기를 보면, 소거 시기는 「2009년 7월 10일」이며, 소거 후에 발생한 오버히트의 발생 시기는 「2009년 7월 13일」인 것을 알 수 있다. 경고 정보가 소거된 소거 시기와, 그 소거 후에 경고가 발생한 발생 시기가 1주일 이내이며, 양자의 시기가 비교적 가깝기 때문에, 과거에 발생한 경고는, 오버히트라고 추측할 수 있다.
또한, 소거 후에 발생한 경고 정보(중간 누적 시간, 중간 발생 시기)는 경고 소거 수단(157)에 의해 소거할 수 없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누적 시간인 「100h」, 초기 발생 시기인 「2/3/2009」, 중간 누적 시간인 「140h」, 중간 발생 시기인 「6/7/2009」, 최신 누적 시간인 「140h」, 최신 발생 시기인 「6/7/2009」, 중간 발생 횟수인 「1회」, 누적 발생 횟수인 「13」이 경고 기억 수단(156)에 되어 있는 상황 하에서, 경고 소거 수단(157)을 동작시킨다고 하더라도,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중간 누적 시간인 「140h」나 중간 발생 시기인 「6/7/2009」은, 경고 기억 수단(156)에 유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소거 후의 경고 정보인 중간 누적 시간이나 중간 발생 시기를 표시 장치(15)에 의해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고 기억 수단(156)에 경고 정보의 소거 후에 발생한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를 기억하도록 하고 있지만, 소거 후에 발생한 경고 정보 중 적어도 소거 후에 가장 최초에 발생한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 또는, 마지막으로 발생한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를 경고 기억 수단(156)에 기억시키면 된다. 즉, 소거 후에 같은 경고에 대해서 복수회 경고가 발생한 경우, 소거 후, 가장 빨리 발생한 경고(가장 최초에 발생한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를 경고 기억 수단(156)에 기억시키거나, 또는, 소거 후, 가장 늦게 발생한 경고(마지막으로 발생한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도 경고 기억 수단(156)에 기억시킨다. 또한, 가장 최초에 발생한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와, 마지막으로 발생한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와의 양쪽을 경고 기억 수단(156)에 기억시켜도 좋지만 어느쪽이든 한쪽이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경고 소거 수단(157)에 의해 모든 경고 정보를 소거하고, 모든 경고 정보를 소거했을 때의 소거 시기를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에 기억하고 있었지만, 또한 하기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경고 소거 수단(157)에 의해 적어도 일부의 경고 정보를 소거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 경고 정보마다 소거한 소거 시기를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에 의해 기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의 경고 소거 수단(157)은 복수의 경고 정보의 그 중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택된 경고 정보를 소거하는 것이다. 경고 소거 수단(157)에서 선택한 경고 정보를 소거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5)를 「특별 표시 모드」 중 「내력 소거 모드」로 한다. 그리고, 제2 스위치(51) 등을 누르고,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 소거 대상으로 하는 경고 코드(N)를 표시시킨다(경고 코드 선택 화면).
이 경고 코드 선택 화면에 있어서, 또한, 제2 스위치(51) 등을 짧게 누르면, 세그먼트식 표시부(41B)에 표시되는 경고 코드(N)(소거 대상의 경고 코드(N))가 변한다. 즉, 경고 코드 선택 화면에서는, 경고 기억 수단(156)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1 기억 테이블 중, 어느 제1 기억 테이블의 경고 정보를 지울지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경고 코드 선택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제2 스위치(소거 실행 스위치)를 몇 초간 길게 누르면, 경고 소거 수단(157)이 기동한다. 경고 소거 수단(157)이 기동하면, 경고 코드 선택 화면에서 설정한 경고 코드(N)에 대응하는 제1 기억 테이블의 경고 정보가 모두 논리 소거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당연하게, 경고 코드 선택 화면에서 선택되지 않은 경고 코드에 대응하는 제1 기억 테이블은 소거되지 않고 경고 기억 수단(156)에 남게 된다.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은 소거 시기를 경고 코드마다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즉,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은 경고마다 소거된 소거 시기를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은 경고 코드마다 소거 시기를 기억하기 위한 제2 기억 테이블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경고 코드가 15인 오버히트에 관한 경고 정보가 경고 소거 수단(157)에서 「2009년 7월 10일」에 소거되었다고 하면,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은 소거한 경고 정보에 대응하는 경고 코드와 소거 시기를 관련짓고, 제2 기억 테이블에 소거 시기인 「2009년 7월 10일」을 기억한다.
즉, 소거 시기 기억 수단(158)은 경고 코드마다 소거한 시기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소거 시기와 경고 코드를 보면, 어느 경고에 대해서 몇 시(언제) 소거를 행했는지 개별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경고 소거 수단(157)은 모든 경고 정보를 소거하거나, 복수의 경고 정보 중 선택된 경고 정보를 소거하는 것이 아니고, 미리 정해진 경고 정보를 소거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21 내지 24는 본 발명의 다른 작업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작업기에 있어서도, 주행 장치(2)나 상부의 선회체(3) 등의 작업기의 전체 구성은,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표시 장치(15)에 대해서도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메인 제어 장치(30)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점을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제어 장치(30)는 경고 발생 수단(255)과, 경고 기억 수단(256)을 구비하고 있다. 경고 발생 수단(255)은 메인 제어 장치(30)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고 발생 수단(255)에 있어서는, 상술한 경고 발생 수단(55, 155)과 마찬가지인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경고 기억 수단(256)에 있어서도, 상술한 경고 기억 수단(56, 156)과 마찬가지인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경고 기억 수단(256)에 있어서의 기억 테이블은, 초기 아워 미터부, 초기 시기부, 소거 후 아워 미터부, 소거 후 시기부, 최종 아워 미터부, 최종 시기부, 카운트부, 누적 카운트부로 나뉘어져 8종류의 경고 정보(초기 누적 시간, 초기 발생 시기, 중간 누적 시간, 중간 발생 시기, 최신 누적 시간, 최신 발생 시기, 중간 발생 횟수, 누적 발생 횟수)를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소거 후 아워 미터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에 의해 경고 정보가 당해 경고 기억 수단(256)으로부터 의사적으로 소거된 후(후술하는 소거 스위치를 누른 후)에 있어서, 새롭게 경고가 발생했을 때에, 새롭게 경고 발생한 시점에서의 누적 시간(아워 미터)을 경고 정보로서 기억하는 부분이다.
또한, 소거 후 시기부는,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에 의해 경고 정보가 의사적으로 소거된 후(후술하는 소거 스위치를 누른 후), 새롭게 경고가 발생했을 때에, 경고의 발생 시기를 경고 정보로서 기억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경고 정보가 의사적으로 소거된 후, 새롭게 오버히트가 발생하고, 그때의 누적 시간이 140시간(140h)이고, 발생 시기가 2009년 7월 6일이라고 하자.
이때, 경고 기억 수단(256)은 누적 시간인 「140시간」을 오버히트에 대응하는 소거 후 아워 미터부에 기억시킴과 함께, 오버히트가 발생한 시기인 「2009년 7월 6일」을 오버히트에 대응하는 소거 후 시기부에 기억시킨다.
또한, 경고 기억 수단(256)은 한번 의사적인 소거가 행해지면, 소거 후 아워 미터부에 기억하는 누적 시간을 덮어써서 갱신함과 함께, 소거 후 시기부에 기억하는 시기도 덮어쓰기를 한다. 설명의 편의상, 소거 후 아워 미터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를 중간 누적 시간, 소거 후 시기부에 기억한 경고 정보를 중간 발생 시기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경고 기억 수단(256)에는, 수많은 경고 정보가 기억되도록 되어 있지만, 도 21 내지 24에 나타낸 작업기(1)(메인 제어 장치(30))에는, 경고 기억 수단(256)에 기억한 경고 정보를 의사적으로 소거하는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이 구비되어 있다.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은 메인 제어 장치(30)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은 경고 기억 수단(256)에 기억된 경고 정보를 논리 소거를 행해서 경고 기억 수단(256) 내의 경고 정보를 없애버리는 것이 아니고, 경고 정보를 소거한 것 같이 가장하는 것뿐으로, 실태로서는 경고 기억 수단(256) 내의 경고 정보는 소거하지 않고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은 의사 소거 전의 경고 정보는 표시 장치(15)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고 기억 수단(256)에 저장된 경고 정보가 보존되어 있는 것을 보일 뿐으로, 의사 소거 후의 경고 정보는 표시 장치(15)에서 표시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경고 기억 수단(256)에 저장된 경고 정보가 잘못 소거된 것 같이 보이는 처리를 행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다음으로 나타내는 처리를 행함으로써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을 동작(기동)시킬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의사 소거 지정부(60), 플래그 설정부(61), 비표시 명령부(262)는 제어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스위치(51)를 몇 초간 길게 누르면, 표시 장치(15)가 「특별 표시 모드」가 된 다음 「내력 소거 모드」가 된다. 표시 장치(15)를 내력 소거 모드로 한 후, 제2 스위치(51)를 몇 초간 길게 누르면,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이 기동한다. 이때, 제2 스위치(51)는 의사 소거를 행하기 위한 소거 스위치가 된다. 그리고, 소거 스위치(51)를 눌러서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이 기동하면, 당해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에 구비된 의사 소거 시기 기억부(258)에 의해, 소거 스위치(51)를 누른 시기, 즉, 의사적으로 소거를 행한 시기(개시 시기)를 경고 기억 수단(256)에 소거 불가능하게 기억한다.
여기서, 제2 스위치(51)를 눌러서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을 기동시키면,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에 구비된 의사 소거 지정부(260)에 의해, 자동으로 의사 소거하는 경고 정보가 지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의사 소거 지정부(260)는 소거 스위치(51)가 눌리면, 경고 기억 수단(256)에 기억되어 있는 경고 정보 중, 초기 누적 시간, 초기 발생 시기, 누적 발생 횟수 이외의 중간 누적 시간, 중간 발생 시기, 최신 누적 시간, 최신 발생 시기, 중간 발생 횟수를 의사 소거를 행하는 것이라고 자동으로 지정한다.
예를 들어, 도 2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누적 시간인 「100h」, 초기 발생 시기인 「2/3/2009」, 중간 누적 시간인 「140h」, 중간 발생 시기인 「6/7/2009」, 최신 누적 시간인 「140h」, 최신 발생 시기인 「6/7/2009」, 중간 발생 횟수인 「1회」, 누적 발생 횟수인 「13」이 경고 기억 수단(256)에 되어 있다고 하자.
여기서, 도 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사 소거 지정부(260)는 중간 누적 시간인 「140h」, 중간 발생 시기인 「6/7/2009」, 최신 누적 시간인 「140h」, 최신 발생 시기인 「6/7/2009」, 중간 발생 횟수인 「1회」를 의사 소거의 대상으로 한다. 또한, 내력 소거 모드에서는, 의사 소거 지정부(260)가 경고 종별마다 의사 소거하는 경고 정보를 설정하는(기억 테이블마다 의사 소거하는 경고 정보를 지정하는) 것이 아니고, 모든 기억 테이블에 있는 중간 누적 시간, 중간 발생 시기, 최신 누적 시간, 최신 발생 시기, 중간 발생 횟수에 대해서 의사 소거를 설정한다.
이어서,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에 구비된 플래그 설정부(261)에 의해, 의사 소거를 지정된 경고 정보(중간 누적 시간, 중간 발생 시기, 최신 누적 시간, 최신 발생 시기, 중간 발생 횟수)에 대하여 의사 소거가 지정된 것을 나타내는 의사 소거 플래그(F)를 설정한다. 도 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래그 설정부(261)는 의사 소거 지정부(260)에서 설정된 경고 정보와 의사 소거 플래그(F)를 관련시킨 뒤에, 경고 기억 수단(256)(기억 테이블)에 의사 소거 플래그(F) 붙은 경고 정보를 보존한다.
이와 같이, 경고 정보에 대하여 의사 소거 플래그(F)가 붙여지면, 경고 정보를 특별 표시 모드에서 표시시킬 때,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이 기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5)를 「특별 표시 모드」 중 「경고 내력 모드」로 했을 때,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이 기동한다. 여기서, 의사 소거 수단(57)에 의해 의사 소거를 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2 스위치(51)를 순서대로 누르면 순서대로 경고 정보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지만, 플래그 설정부(261)에 의해 의사 소거 플래그(F)가 설정되면, 의사 소거 수단(57)에 구비된 비표시 명령부(262)에 의해, 의사 소거 플래그(F)가 설정된 경고 정보에 대하여 표시 장치(15)에서 표시하지 않도록 명령되어, 경고 정보가 표시되지 않게 된다.
즉, 비표시 명령부(262)는 표시 장치(15)에서 경고 정보를 표시할 때에 경고 기억 수단(256)에 기억되어 있는 경고 정보 중, 의사 소거 플래그(F)가 설정된 경고 정보를 당해 표시 장치(15)에 읽어들이지 못하게 함으로써 의사 소거 플래그(F)가 설정된 경고 정보를 표시 장치(15)로 표시할 수 없도록 하거나, 의사 소거 플래그(F)가 설정된 경고 정보를 당해 표시 장치(15)가 읽어들였다고 하더라도, 의사 소거 플래그(F)가 설정된 경고 정보에 대해서는 표시시키는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술한 예에서는, 도 2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사 소거 전에 있어서, 초기 누적 시간, 초기 발생 시기, 중간 누적 시간, 중간 발생 시기, 최신 누적 시간, 최신 발생 시기, 중간 발생 횟수, 누적 발생 횟수가 표시 장치(15)에서 표시 가능했지만,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사 소거 후는 의사 소거 플래그(F)가 설정되어 있는 중간 누적 시간, 중간 발생 시기, 최신 누적 시간, 최신 발생 시기, 중간 발생 횟수는 비표시 명령부(262)에 의해 표시되는 일은 없고, 표시 장치(15)를 보면 마치 경고 정보가 소거된 것 같이 보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기에 의하면, 경고 정보를 의사적으로 소거하는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유저 등이 표시 장치(15)를 「특별 표시 모드」 중 「내력 소거 모드」로 해서, 내력 소거 모드에 의해 경고 정보를 소거했을 경우, 표시 장치(15)에는, 내력 소거 모드에 의해 소거한 경고 정보는 표시되지 않게 되고, 일견, 경고 기억 수단(256)의 경고 정보를 소거할 수 있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소거한 경고 정보는, 경고 기억 수단(256)에 보존되어, 소거되지 않고, 경고 정보의 취출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저가, 경고가 발생하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기(1)를 사용하고 있었던 것을 의도적으로 숨기기 위해서, 내력 소거 모드를 사용해서 경고 정보의 소거를 행해도, 실제로는, 경고 정보가 남겨져 있기 때문에, 경고를 발생시키면서 작업기(1)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에서는, 경고 정보의 논리 소거나 물리 소거를 행하지 않기 때문에, 경고 기억 수단(256)에 보존되어 있는 경고 정보는 용이하게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고 정보의 취출(출력)은 어떤 방법으로 행해도 좋고,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등을 메인 제어부(30)나 표시 장치(15)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서, 이들을 사용하여, 경고 기억 수단(256)의 경고 정보를 외부에 취출할 수 있도록 해도 좋고, 외부의 플래시 메모리를 메인 제어부(30)나 표시 장치(15)에 접속해서 취출해도 좋다.
도 21 내지 24에 나타낸 작업기에서는, 경고 발생 수단(255)과, 경고 기억 수단(256)과,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에 의해 소거한 경고 정보는, 소거되지 않고 경고 기억 수단(256)에 보존되어 있고, 경고 정보의 취출이 가능한 점에서, 유저가 의도적으로 경고를 숨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작업기를 경고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 하에서 사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95345호 공보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시 장치에서는, 유저가 작업기를 엄청난 부하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을 감추기 위해서, 표시 장치에 구비된 소거 기능을 사용해서 이상 정보(경고 정보)를 소거해 버리면, 경고 정보는 사실상 취출하는 것이 곤란해서, 유저가 작업기를 엄청난 부하에서 사용하고 있었던 것을 모르게 될 우려가 있지만, 도 21 내지 24에 나타낸 작업기에서는 이러한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은 당해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으로 의사적으로 소거를 행한 시기를 기억하는 의사 소거 시기 기억부(58)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경고 정보를 소거하려고 시도한 시기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은 의사 소거하는 경고 정보를 지정하는 의사 소거 지정부(260)와, 이 의사 소거 지정부(260)에 의해 의사 소거를 지정된 경고 정보에 대하여 의사 소거가 지정된 것을 나타내는 의사 소거 플래그(F)를 설정하는 플래그 설정부(261)와, 플래그 설정부(261)에 의해 의사 소거 플래그(F)가 설정된 경고 정보에 대하여 표시 장치(15)에서 표시하지 않도록 명령하는 비표시 명령부(262)를 구비하고 있다. 그로 인해, 경고 기억 수단(256)에 보존되어 있는 경고 정보에 대하여 간단하게 의사 소거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내력 소거 모드로 하면, 복수의 경고 정보 중 미리 정해져 있던 경고 정보가 의사 소거 지정부(260)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되게 되어 있었지만, 수동으로 의사 소거하는 경고 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도 24는, 표시 장치(15)에 표시된 경고 정보의 일람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5)에서 의사 소거를 행할 때에, 의사 소거 지정부(260)에 의해, 각 경고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당해 경고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소거를 행할지 행하지 않을지를 설정하는 설정 란(A)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해 둔다.
유저는, 제2 스위치(51) 등을 조작해서 표시 장치(15)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설정 란(A)에 기호 「∨」를 붙이는 것에 의해, 소거하고 싶은 경고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유저가, 경고 정보의 일람표로부터 소거하고 싶은 경고 정보를 선택하고, 소거 스위치(51)에 의해 소거를 결정하면, 소거가 선택된 경고 정보에는, 플래그 설정부(261)에 의해 설정 플래그(F)가 부가되어서, 경고 기억 수단(256)에 보존된다.
이것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저는, 선택한 경고 정보가 소거되었다고 생각하는데 실제로는, 이러한 조작을 행해도 경고 정보는 남는 것이 되기 때문에, 유저가, 경고가 발생한 것을 숨기기 위해서 소거하는 행위를 행하지 않도록 하거나, 경고가 발생한 상태에서 무리하게 작업기(1)를 사용하는 행위를 멈추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경고 발생 수단(255)과 경고 기억 수단(256)과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을 메인 제어 장치(30)에 설치하고 있었지만, 경고 발생 수단(255), 경고 기억 수단(256),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은 작업기(1)의 어디에 설치해도 좋다. 예를 들어, 경고 발생 수단(255), 경고 기억 수단(256), 경고 의사 소거 수단(257)을 표시 장치(15)에 설치해도 좋고, 이들을, 작업기(1)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장치(15)는 LED 표시부(41A), 세그먼트식 표시부(41B), 지침식 표시부(41C)를 구비한 것이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여러가지 정보를 액정으로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를 구비한 것이어도 좋고, 그 밖의 표시 형식에 의해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의사 소거 후는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사 소거된 경고 정보만, 표시 장치(15)에 의해 표시하지 않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에 대신하여, 표시 장치(15)에 「내력이 없습니다」라고 표시하고, 내력이 소거된 것 같이 알리도록 해도 좋다.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경고 발생 수단(55, 155)과 경고 기억 수단(56, 156)과 경고 소거 수단(57, 157)과 소거 시기 기억 수단(58, 158)을 메인 제어 장치(30)에 설치하고 있었지만, 이들을 표시 장치(15)에 설치해도 좋고, 작업기(1)에 탑재한 제어 장치에 어느 것인가에 설치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장치(15)는 LED 표시부(41A), 세그먼트식 표시부(41B), 지침식 표시부(41C)를 구비한 것이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여러가지 정보를 액정으로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를 구비한 것이어도 좋고, 그 밖의 표시 형식에 의해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어도 좋다.
15 표시 장치(표시 수단)
30 메인 제어 장치
31 제어부
55, 155, 255 경고 발생 수단
56, 156, 256 경고 기억 수단

Claims (7)

  1.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이상일 때에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 발생 수단과, 상기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를 기억하는 경고 기억 수단과, 상기 경고 기억 수단에 기억된 경고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경고 정보를 소거하는 경고 소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경고 기억 수단은, 상기 경고 소거 수단에 의한 소거 전에 발생한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와, 상기 경고 소거 수단에 의한 소거 후에 발생한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를 따로따로 기억하는 기억 테이블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경고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 장치에는 경고 소거 수단에서 경고 정보를 소거하기 위해 소거를 실행하는 소거 실행 스위치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경고 기억 수단은, 상기 소거 실행 스위치에서 소거가 실행된 후에 발생한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3.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이상일 때에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 발생 수단과, 상기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를 기억하는 경고 기억 수단과, 상기 경고 기억 수단에 기억된 경고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경고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고 정보를 소거하는 경고 소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경고 소거 수단에 의해 상기 경고 기억 수단에 기억된 경고 정보를 소거한 소거 시기를, 상기 경고 정보가 소거될 때마다 추가하여 기억하는 기억 테이블을 갖는 소거 시기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경고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 장치에는 경고 소거 수단에서 경고 정보를 소거하기 위해 소거를 실행하는 소거 실행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소거 시기 기억 수단은, 상기 소거 실행 스위치에서 소거가 실행되었을 때를 소거 시기로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기억 수단은, 상기 경고 소거 수단에 의해 소거 후에 발생한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기억 수단은, 경고 정보의 소거 후에 발생한 경고 중, 가장 최초에 발생한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기억 수단은, 경고 정보의 소거 후에 발생한 경고 중, 마지막으로 발생한 경고에 관한 경고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거 후의 경고 정보는 소거 불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KR1020157024992A 2011-02-16 2012-02-13 작업기 KR1015928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30977 2011-02-16
JP2011030978A JP5650007B2 (ja) 2011-02-16 2011-02-16 作業機
JPJP-P-2011-030978 2011-02-16
JP2011030977A JP5650006B2 (ja) 2011-02-16 2011-02-16 作業機
JPJP-P-2011-062623 2011-03-22
JP2011062623A JP5650026B2 (ja) 2011-03-22 2011-03-22 作業機
PCT/JP2012/053239 WO2012111597A1 (ja) 2011-02-16 2012-02-13 作業機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495A Division KR20130122645A (ko) 2011-02-16 2012-02-13 작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494A KR20150109494A (ko) 2015-10-01
KR101592841B1 true KR101592841B1 (ko) 2016-02-05

Family

ID=466725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495A KR20130122645A (ko) 2011-02-16 2012-02-13 작업기
KR1020157024992A KR101592841B1 (ko) 2011-02-16 2012-02-13 작업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495A KR20130122645A (ko) 2011-02-16 2012-02-13 작업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976037B2 (ko)
EP (1) EP2626477B1 (ko)
KR (2) KR20130122645A (ko)
CN (1) CN103339330B (ko)
WO (1) WO20121115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3196B (zh) * 2016-03-17 2021-03-02 深圳智造谷工业互联网创新中心有限公司 工业设备检测系统及方法
CN107545155A (zh) * 2016-06-29 2018-0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装置
CN113240827B (zh) * 2021-03-31 2022-05-10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发动机系统预警隔离及多余度防护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5345A (ja) 1999-09-29 2001-04-10 Kubota Corp 作業機械の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8324B2 (ja) * 1995-07-17 2003-11-17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一時的異常の検出装置、および作業機械の異常通知システム
JPH1051824A (ja) * 1996-07-29 1998-0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選択呼出装置
GB2324972B (en) * 1997-05-08 2001-05-09 Douglas Murphy Neil Apparatus for playing a game
JPH11217854A (ja) * 1998-01-30 1999-08-10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のモニタ用記憶容量警告装置
US7242311B2 (en) * 2004-10-29 2007-07-10 Caterpillar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ork machine multi-functional user interface
CN100557150C (zh) * 2006-03-17 2009-11-04 中南大学 机电一体化挖掘机及控制方法
US20080059080A1 (en) * 2006-08-31 2008-03-06 Caterpillar Inc.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event-based communications
US7912602B2 (en) * 2007-06-29 2011-03-22 Caterpillar Inc. Visual diagnostic system and subscription service
US7764188B2 (en) * 2007-11-29 2010-07-27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machine operation
JP4856163B2 (ja) * 2008-12-26 2012-01-1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診断情報提供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5345A (ja) 1999-09-29 2001-04-10 Kubota Corp 作業機械の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39330B (zh) 2016-07-06
KR20150109494A (ko) 2015-10-01
US20130176134A1 (en) 2013-07-11
EP2626477B1 (en) 2021-01-13
WO2012111597A1 (ja) 2012-08-23
KR20130122645A (ko) 2013-11-07
EP2626477A1 (en) 2013-08-14
US8976037B2 (en) 2015-03-10
CN103339330A (zh) 2013-10-02
EP2626477A4 (en) 2018-01-10
US9437098B2 (en) 2016-09-06
US20150137984A1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5886B2 (en) Abnormality information control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JP5350521B1 (ja) 車両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60134163A (ko)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JP2005082961A (ja) 建設機械の診断情報提供装置、診断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診断情報提供方法
JP2010156152A (ja) 建設機械の診断情報提供装置
KR20050033457A (ko) 건설기계의 표시 장치
CN103538536B (zh) 车辆信息管理系统
KR101592841B1 (ko) 작업기
JP5425752B2 (ja) モニタ装置、モニタ装置を搭載した機械、及びモニタ装置のためのデータ保存方法
US20120016659A1 (en) Display Apparatus for Work Machine and Language Rewriting System for Display Apparatus
JP5650026B2 (ja) 作業機
JP4896933B2 (ja) 建設機械の盗難防止装置
JP5650007B2 (ja) 作業機
JP2007076455A (ja) 作業機の盗難防止装置
JP5650006B2 (ja) 作業機
JP4264733B2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7254660B2 (ja) 作業機
US11767657B2 (en) Construction machine
JP5622642B2 (ja) 作業機
EP4197839A1 (en) Display device and work machine equipper with same
US20240035258A1 (en) Display device and work machine comprising same
JP5650577B2 (ja) 作業機
JP2012167516A (ja) 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