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890B1 - 혼합 유체 공급 장치 및 혼합 유체 공급 장치가 구비된 생맥주 공급 장비 - Google Patents

혼합 유체 공급 장치 및 혼합 유체 공급 장치가 구비된 생맥주 공급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890B1
KR101590890B1 KR1020140052297A KR20140052297A KR101590890B1 KR 101590890 B1 KR101590890 B1 KR 101590890B1 KR 1020140052297 A KR1020140052297 A KR 1020140052297A KR 20140052297 A KR20140052297 A KR 20140052297A KR 101590890 B1 KR101590890 B1 KR 101590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d fluid
carbon dioxide
beer
draft beer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5257A (ko
Inventor
박종하
조정호
서일광
장재형
임채호
유승목
손성호
Original Assignee
박종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박종하
Priority to KR1020140052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890B1/ko
Publication of KR20150125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Abstract

혼합 유체 공급 장치 및 혼합 유체 공급 장치가 구비된 생맥주 공급 장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맥주통으로 공급되는 이산화 탄소가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유입구, 이산화탄소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이산화탄소가 맥주통으로 공급되기 위해 대기하는 대기부, 세척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가 이동하는 이동로, 이동로와 대기부 사이에 설치되며, 세척수가 이동로를 통과함에 따라 이동로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혼합 밸브, 및 이산화탄소와 세척수의 혼합 유체를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맥주 인출장치 및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에 형성된 비어스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버블화된 탄산수를 이용하여 생맥주 인출장치 및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에서의 살균 및 세정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혼합 유체 공급 장치 및 혼합 유체 공급 장치가 구비된 생맥주 공급 장비{Mixed Fluid Supplying Apparatus, and Draft Beer Supplying Device Equipped Therewith}
본 발명은 혼합 유체 공급 장치 및 혼합 유체 공급 장치가 구비된 생맥주 공급 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맥주 인출장치 및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에 형성된 비어스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버블화된 탄산수를 이용하여 생맥주 인출장치 및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에서의 살균 및 세정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혼합 유체 공급 장치 및 혼합 유체 공급 장치가 구비된 생맥주 공급 장비에 관한 것이다.
생맥주는 완전히 밀폐된 생맥주통에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을 연결하여 생맥주 인출장치의 콕크밸브를 조작하여 맥주잔에 담아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생맥주통과 생맥주 인출장치를 연결하는 기술이나, 생맥주 인출장치 자체에 대해서는 국내 등록특허 제10-0557418호, 국내 등록특허 제10-055742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생맥주통에서 도관을 통해 생맥주 인출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도관이나 생맥주 인출장치의 내면에 소위 "비어스톤(beer stone)"이 침착되는데, 이러한 비어스톤은 맥주를 변질시켜 맛을 저하시키고 맥주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종래에는 약제를 주입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비어스톤 제거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비어스톤 제거 약제를 식용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생맥주통에서 생맥주 인출장치를 연결하는 도관을 포함하는 생맥주 공급 라인과 생맥주 인출장치의 내부 구조는 위생관리를 위해 정기적인 살균 및 세정 관리가 필요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이와 같은 생맥주 공급 장비의 내부 구조에 대한 정기적인 세정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맥주 인출장치 및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에 형성된 비어스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버블화된 탄산수를 이용하여 생맥주 인출장치 및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에서의 살균 및 세정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혼합 유체 공급 장치 및 혼합 유체 공급 장치가 구비된 생맥주 공급 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유체 공급 장치는, 맥주통으로 공급되는 이산화 탄소가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유입구(110); 상기 이산화탄소 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된 이산화탄소가 상기 맥주통으로 공급되기 위해 대기하는 대기부(130); 세척수 유입구(170)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가 이동하는 이동로; 상기 이동로와 상기 대기부(13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세척수가 상기 이동로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이동로로 상기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혼합 밸브(140); 및 상기 이산화탄소와 상기 세척수의 혼합 유체를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로는 상기 혼합 밸브(140)와 인접한 부분에서 단면적이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로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산화탄소와 상기 세척수의 혼합 유체를 분쇄하는 분쇄구(15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쇄구(150)는, 상기 대기부(13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 유체가 충돌되는 충돌판(15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충돌판(151)에는, 상기 충돌판(151)에 충돌된 혼합 유체가 유출되는 소정의 개수의 유출구(15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쇄구(150)는, 상기 충돌판(151)을 통과한 상기 혼합 유체가 배출되며, 복수개의 미세홀(156)이 구비된 분기부(155)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로와 상기 분쇄구(15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혼합 유체에 의한 압력이 소정의 기준 압력 이상인 경우에만 개방되는 공급 밸브(160)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 공급 장비는 상기 혼합 유체 공급 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맥주 인출장치 및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에 형성된 비어스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 버블화된 탄산수를 이용하여 생맥주 인출장치 및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에서의 살균 및 세정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유체 생성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의 혼합 유체 생성 장치의 구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 유체 생성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유체 공급 장치에 구비된 분쇄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유체 생성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유체 생성 장치는 생맥주통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가스통(미도시)과 연결되어 있는 이산화탄소 유입구(110)가 구비되어 있다.
이산화탄소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이산화탄소는 혼합 유체 생성 장치 내부의 환형 공간인 대기부(130)를 통과하여, 이산화탄소 유출구(120)를 통해 생맥주통(미도시)으로 공급되며, 이산화탄소가 혼합된 생맥주는 생맥주 인출장치로 공급된다.
이산화탄소 유출구(120)와 생맥주통을 연결하는 가스 공급 라인에는 차단용 밸브가 구비되어 있으며, 작업자는 차단용 밸브를 잠금으로써 이산화탄소의 생맥주통으로의 공급을 중단함과 동시에 대기부(130)에서의 이산화탄소의 압력을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대기부(130)에서의 이산화탄소의 압력이 증가된 상태에서 도 2에서와 같이 작업자는 세척수 유입구(170)를 통해 세척수를 혼합 유체 생성 장치 내부의 세척수 이동로로 공급한다.
한편, 세척수 유입구(170)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가 이동하는 이동로와, 이산화탄소가 저장되어 있는 대기부(130)는 혼합 밸브(140)를 게재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혼합 밸브(140)가 도 2에서와 같이 개방됨에 따라 대기부(130)의 이산화탄소는 이동로로 공급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세척수 유입구(170)의 내주면에서는 스크류 형상의 홈이 구비되어 있고, 이에 따라 세척수는 회전에 따른 직진성을 부여받게 되며 오리피스 구조의 제1 가압부(181)를 통과하며, 수압과 유속이 동시에 증가하게 된다.
제1 가압부(181)를 통과한 세척수는 일정 크기를 갖는 관경의 이송 구간을 통과하며, 수압이 더욱 증대됨과 동시에 정류 상태로서의 유체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세척수의 이동로는 혼합 밸브(140)의 설치 부근에서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대되는 제1 확산부(191)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 확산부(191)를 통과한 세척수의 수압은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확산부(191)를 통과한 세척수의 수압이 감소됨에 따라, 제1 확산부(191)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혼합 밸브(140)는 개방되게 되며, 그 결과 대기부(130)의 이산화탄소가 이동로로 공급됨으로써, 세척수와 혼합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서와 같이 평상시 혼합 밸브(140)는 용수철 등의 탄성부재(165)에 의해 탄성 지지됨으로써 대기부(130) 쪽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이산화탄소가 이동로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
그러나, 세척수가 제1 확산부(191)를 통과함으로써 발생하는 음압이 가해짐으로써, 탄성부재(165)에 의한 탄성 지지에도 불구하고 도 2에서와 같이 혼합 밸브(140)는 이동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혼합 밸브(140) 주변에 확보된 공간을 통해 대기부(130)의 이산화탄소가 이동로로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이, 혼합 밸브(140)의 개방에 따라 생성된 혼합 유체가 단면적이 급격하게 증대되는 제2 확산부(192)를 통과함으로써, 혼합 유체에 가해진 압력은 급격하게 해제되며 제1 혼합부(173) 내부로 폭발적으로 분산된다. 이 과정에서 혼합 유체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는 미세하게 분쇄됨으로써, 미세 입자를 형성하게 된다.
이산화탄소의 미세입자가 제1 혼합부(173) 내부에서 세척수와 균일하게 혼합된 다음, 혼합 유체는 오리피스 구조의 제2 가압부(182)를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혼합 유체의 수압과 유속이 다시 증가하게 된다.
한편, 제2 가압부(182)를 통과한 혼합 유체가 관경이 급격하게 확장되는 제2 혼합부(175)로 진입함에 따라, 혼합 유체에 가해진 압력은 급격하게 해제되며 제2 혼합부(175) 내부로 폭발적으로 분산된다. 이 과정에서 혼합 유체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는 다시 한번 미세하게 분쇄됨으로써, 극미세 입자를 형성하게 된다.
그 다음, 제2 혼합부(175) 내부의 혼합 유체는 또다시 오리피스 구조의 제3 가압부(183)를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혼합 유체의 수압과 유속이 또다시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혼합 유체의 외부로의 출수구인 분쇄구(150)와, 제3 가압부(183)의 사이에는 공급 밸브(160)가 설치되어 있으며, 공급밸브는 제3 가압부(183)를 통해 가해지는 혼합 유체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개방되도록 동작한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평상시 공급 밸브(160)는 용수철 등의 탄성 부재(165)에 의해 탄성 지지됨으로써 제3 가압부(183) 쪽으로 밀착된 상태에 있게 되며, 그에 따라 혼합 유체가 분쇄구(150)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러나, 세척수 유입구(170)를 통해 세척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됨으로써, 혼합 유체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 압력(즉, 용수철의 탄성력)을 초과하게 되면, 도 2에서와 같이 공급 밸브(160)는 분쇄구(15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공급 밸브(160) 주변에 확보된 공간을 통해 혼합 유체가 분쇄구(150)로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이, 혼합 유체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 압력을 초과할 때까지 혼합 유체는 제2 혼합부(175) 내에서 정류 상태로서의 유체 안정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소정의 기준 압력까지의 압력 증대를 도모할 수 있게 됨으로써, 높은 압력으로 분쇄구(150)를 타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유체 공급 장치에 구비된 분쇄구(15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공급 밸브(160)가 배출하는 고압의 혼합 유체는 분쇄구(150)에 구비된 충돌판(151)에 충돌함으로써, 혼합 유체에 가해진 충격량에 의해 이산화탄소는 다시 한번 미세하게 분쇄되어 더욱 작은 미세 입자를 형성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유체 공급 장치에 구비된 분쇄구(150)는 충돌판(151), 이격 공간(153), 및 분기부(155)를 포함한다.
충돌판(151)은 대략 1~1.5cm 정도의 직경을 갖는 원판으로서, 중앙에는 대략 직경 2mm 정도의 세 개의 유출구(152)가 형성되어 있다. 충돌판(151)에 충돌된 혼합 유체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혼합 유체의 압력에 따라 유출구(152)를 통해 이격 공간(153)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미세 크기의 유출구(15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혼합 유체에는 압력이 가해지게 되며, 유출구(152)를 통과하여 이격 공간(153)으로 진입하게 되는 시점에, 혼합 유체의 통과 단면이 급격하게 확장됨에 따라, 혼합 유체에 가해진 압력이 급격하게 해제되며 혼합 유체가 이격 공간(153) 내부로 폭발적으로 분산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혼합 유체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는 추가적으로 분쇄됨으로써, 더욱 작은 미세 입자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분기부(155)에는 대략 직격 1mm 정도의 미세홀(156)이 40~50여개 정도 구비되어 있으며, 이격 공간(153) 내부의 혼합 유체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혼합 유체의 압력에 따라 미세홀(156)을 통과하게 된다.
한편, 복수의 미세홀(156)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혼합 유체에는 추가의 압력이 가해지게 되며, 복수의 미세홀(156)을 통과하여 배출구(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시점에, 혼합 유체의 통과 단면이 급격하게 확장됨에 따라, 혼합 유체에 가해진 압력이 급격하게 해제되며 혼합 유체가 폭발적으로 분산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혼합 유체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는 추가적으로 분쇄됨으로써, 더욱 작은 미세 입자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분기부(155)에 구비된 복수의 미세홀(156)의 통과 길이를 대략 1~2cm 정도로 길게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 경우에는 미세홀(156)의 내부 벽면에서의 마찰을 통해 미세홀(156)의 내부를 통과하는 혼합 유체에 정전기가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이 혼합 유체에 발생된 정전기는 이산화탄소 분자 사이의 반발력을 증대시킴으로써, 미세홀(15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가 더욱 미세하게 분리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분기부(155)의 두께 길이를 상술한 바와 같이 1~2cm 정도로 길게 형성하지 않고, 분기부(155)의 두께를 충돌판(151)과 동일한 두께인 2~3mm 정도로 제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분쇄구(150)를 통과함으로써 극미세 크기로 버블화된 이산화탄소를 함유학 된 혼합 유체는 생맥주 인출장치로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혼합 유체는 생맥주 인출장치와 분쇄구(150)를 연결하는 별도의 도관을 통해 공급되기보다는 생맥주통과 생맥주 인출장치를 연결하는 도관을 통해 공급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생맥주 인출장치 뿐만 아니라, 생맥주통과 생맥주 인출장치를 연결하는 도관 등의 생맥주 공급 라인에 대한 살균 및 세정의 효과까지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생맥주통의 상부에는 한국등록특허 제10-1238263호(맥주의 가스터짐 방지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장치)에서의 가스터짐 방지장치와 같은 '공급 유체 전환 장치'가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본 명세서에 대한 특허 출원일 이전에 공개된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10-1238263호(2013.2.27 공개)의 명세서의 내용 전부를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원용한다.
즉, 생맥주통의 상부에 구비되는 공급 유체 전환 장치에는 생맥주 인출장치와 연결된 단일의 도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도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공급관(생맥주 공급관, 혼합 유체 공급관)이 설치되어 있다.
즉, 작업자는 2-way 방식의 밸브를 필요에 따라 조작함으로써, 평상시 생맥주 인출장치에 생맥주를 공급하는 단일의 도관을 통해서 세정을 위한 혼합 유체가 공급되도록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 유체 생성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에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 유체 생성 장치는 도 1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유체 생성 장치의 구조 및 동작 원리와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도 1에서의 공급 밸브(160)를 대체하여 웨지형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웨지형 밸브를 통과하여 분쇄구(150)를 타격하는 혼합 유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웨지형 밸브와 일체화된 출구측 케이싱 부재인 밸브 고정체(167)의 고정 위치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절함으로써 웨지형 밸브(163)의 제3 가압부(183)와의 설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웨지형 밸브(163) 주변의 환형 통수 면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웨지형 밸브(163)를 제3 가압부(183)에 인접하도록 이동시키면, 웨지형 밸브(163) 주변의 환형 통수 면적의 크기는 작아지게 되며, 그에 따라 웨지형 밸브(163)를 통과하는 혼합 유체의 압력은 높아지게 된다.
반대로, 웨지형 밸브(163)를 제3 가압부(183)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면, 웨지형 밸브(163) 주변의 환형 통수 면적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며, 그에 따라 웨지형 밸브(163)를 통과하는 혼합 유체의 압력은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은 웨지형 밸브(163)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는 작업 환경을 고려하여 웨지형 밸브(163)를 통과하여 분쇄구(150)를 타격하는 혼합 유체의 압력을 선형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이산화탄소 유입구, 120: 이산화탄소 유출구,
130: 대기부, 140: 혼합 밸브,
150: 분쇄구, 151: 충돌판,
153: 이격 공간, 155: 분기부,
156: 미세홀, 160: 공급 밸브,
165: 탄성부재, 170: 세척수 유입구,
173: 제1 혼합부, 175: 제2 혼합부,
181: 제1 가압부, 182: 제2 가압부,
191: 제1 확산부, 192: 제2 확산부.

Claims (8)

  1. 맥주통으로 공급되는 이산화 탄소가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유입구(110);
    상기 이산화탄소 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된 이산화탄소가 상기 맥주통으로 공급되기 위해 대기하는 대기부(130);
    세척수 유입구(170)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가 이동하는 이동로;
    상기 이동로와 상기 대기부(13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세척수가 상기 이동로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이동로로 상기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혼합 밸브(140); 및
    상기 이산화탄소와 상기 세척수의 혼합 유체를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구
    를 포함하는 혼합 유체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는 상기 혼합 밸브(140)와 인접한 부분에서 단면적이 확대되는 것인 혼합 유체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산화탄소와 상기 세척수의 혼합 유체를 분쇄하는 분쇄구(150)를 더 포함하는 혼합 유체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구(150)는,
    상기 대기부(13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 유체가 충돌되는 충돌판(151)을 포함하는 것인 혼합 유체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판(151)에는,
    상기 충돌판(151)에 충돌된 혼합 유체가 유출되는 소정의 개수의 유출구(15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인 혼합 유체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구(150)는,
    상기 충돌판(151)을 통과한 상기 혼합 유체가 배출되며, 복수개의 미세홀(156)이 구비된 분기부(155)를 더 포함하는 것인 혼합 유체 공급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와 상기 분쇄구(15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혼합 유체에 의한 압력이 소정의 기준 압력 이상인 경우에만 개방되는 공급 밸브(160)를 더 포함하는 혼합 유체 공급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의 상기 혼합 유체 공급 장치가 구비된 생맥주 공급 장비.
KR1020140052297A 2014-04-30 2014-04-30 혼합 유체 공급 장치 및 혼합 유체 공급 장치가 구비된 생맥주 공급 장비 KR101590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297A KR101590890B1 (ko) 2014-04-30 2014-04-30 혼합 유체 공급 장치 및 혼합 유체 공급 장치가 구비된 생맥주 공급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297A KR101590890B1 (ko) 2014-04-30 2014-04-30 혼합 유체 공급 장치 및 혼합 유체 공급 장치가 구비된 생맥주 공급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257A KR20150125257A (ko) 2015-11-09
KR101590890B1 true KR101590890B1 (ko) 2016-02-11

Family

ID=54604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297A KR101590890B1 (ko) 2014-04-30 2014-04-30 혼합 유체 공급 장치 및 혼합 유체 공급 장치가 구비된 생맥주 공급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8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610B1 (ko) * 2015-11-25 2018-06-08 주식회사 캠프런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의 출수 모듈 구조
CN110173015B (zh) * 2019-05-28 2021-07-30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直线行走阀、工程机械液压控制系统和工程机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2548A (en) 1985-03-11 1991-11-05 Arthur Guinness Son And Company (Great Britian) Limited Beverage dispensing system
KR101238263B1 (ko) 2011-08-19 2013-03-04 조정호 맥주의 가스터짐 방지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0767A (ja) * 2011-05-06 2012-12-20 Takashi Nitta ビールディスペンサー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KR20120136037A (ko)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전원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발산되는 자기 처리장치가 일체로 형성되는 생맥주 공급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2548A (en) 1985-03-11 1991-11-05 Arthur Guinness Son And Company (Great Britian) Limited Beverage dispensing system
KR101238263B1 (ko) 2011-08-19 2013-03-04 조정호 맥주의 가스터짐 방지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257A (ko) 201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8796C2 (ru)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насадка,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распылительной насадки и распылительной установки
KR101053229B1 (ko) 미세기포 발생 샤워헤드
US20080271618A1 (en) Procedure and device to clean the nozzles of a spray dampening unit
KR20130041831A (ko) 버블 발생기
KR101590890B1 (ko) 혼합 유체 공급 장치 및 혼합 유체 공급 장치가 구비된 생맥주 공급 장비
MX2019004069A (es) Unidad de carbonatacion de agua y metodo de carbonatacion de agua continuo.
MX2010009880A (es) Metodo y aparato para perforacion o corte a chorro.
WO2012073049A3 (en) An improved apparatus for generating mists and foams
CA249786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troducing liquids into a flow of solids of a spouted bed apparatus
WO2008042548A3 (en) Smelt spout enclosure for chemical recovery boilers
WO2007117990A3 (en) Stabilized filament drawing device for a meltspinning apparatus and meltspinning apparatus including such stabilized filament drawing devices
JP2005279643A (ja) 平板状ディスプレイ用洗浄装置
KR101913409B1 (ko)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
KR101177926B1 (ko) 진공흡착장치
JP2014532551A5 (ko)
CN108136428A (zh) 用于针头喷嘴的清洁站
JP2017034188A5 (ko)
KR20190088014A (ko) 역지 밸브
JP4781036B2 (ja) シャワークーラント装置
KR101732648B1 (ko) 다수 유체 미립자 분무용 노즐 어셈블리
JP2007056559A (ja) シャワーヘッド
JP2007240101A (ja) ミスト発生器
JP5147200B2 (ja) 油水分離装置
KR101597615B1 (ko) 세정 기능이 구비된 맥주 공급 장비
US2928607A (en) Self-cleaning a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