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213B1 - 채변기 - Google Patents

채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213B1
KR101590213B1 KR1020117012968A KR20117012968A KR101590213B1 KR 101590213 B1 KR101590213 B1 KR 101590213B1 KR 1020117012968 A KR1020117012968 A KR 1020117012968A KR 20117012968 A KR20117012968 A KR 20117012968A KR 101590213 B1 KR101590213 B1 KR 101590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ing hole
feces
fitting
ba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2320A (ko
Inventor
야스마사 시마다
Original Assignee
교와 메덱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와 메덱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와 메덱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2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38Devices for taking faeces samples; Faecal examina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involving an extracting tool, e.g. core b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8Diluting, dispersing or mixing samples

Abstract

채변량의 편차를 저감시킴으로써, 정확한 정량적 평가를 실현하고, 또한 용기 외부에서 위생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분변 채취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채변기를 제공한다. 채변 막대 (10) 와 용기 본체 (20) 와 그 용기 본체의 내부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체 (30, 40) 를 구비하고, 상기 채변 막대는 파지부 (11) 와 막대부 (12) 를 갖고, 그 선단에 채변부 (14) 가 형성되어 있고, 용기 본체는 일측에 끼워맞춤체를 끼워넣기 위한 개구부와 타측에 바닥부 (21) 를 갖고, 용기 본체의 하방 부분과 끼워맞춤체의 하방 사이의 공간에는 분변 용해액 (22) 이 수용되는 분변 용해액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끼워맞춤체는, 채변 막대의 막대부를 삽입할 수 있는 통 형상 가이드부 (34) 와, 과잉된 변을 제거하기 위한 제 1 레벨링 홀 (35) 과, 그 하방에 과잉된 변을 추가로 제거하기 위한 제 2 레벨링 홀 (42) 을 갖고, 제 1 레벨링 홀의 상단에 인접한 통 형상 가이드부에 집변 검지 영역 (39) 이 형성되어 있는 채변기.

Description

채변기{FECES SAMPLING CONTAINER}
본 발명은 채변기, 상세하게는 채변량의 편차가 저감되고, 또한, 용기 외부에서 위생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분변 채취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채변기에 관한 것이다.
인간을 포함한 동물로부터 배설되는 분변은, 잠혈 검사 즉, 대장 등 하부 소화관의 종양 등의 여러 가지 질환의 진단에 매우 유용하다는 점에서, 임상 검사 시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진단에는 정량적으로 분변을 채취하고, 적절한 액체에 완충시킬 필요가 있어, 이것을 간편하고 위생적이며 또한 정확 (精確) 한 수단에 의해 달성하며, 또한 채변 후에 위생적으로 보존 및 수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채변기가 개발되어 보고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8 을 참조).
그러나, 변에는 보통변 외에, 고섬유질변이나 수양변 등 성상(性狀)이 다양한 것이 존재하는 점에서, 이상의 채변기에서는, 검사 대상 변의 성상에 따라서는 정량적인 검사를 실시하는 데에 있어서 채변량의 조정이 곤란하였다. 또, 검사 대상 변의 성상의 상이 등에서 기인하여, 분변 검체 간에 채변량의 편차도 컸다.
특히 분변 검체를 사용한 각종 임상 검사 중에서도, 분변 검체 중에 포함된 항원에 대한 항원 항체 반응을 이용한 검사의 경우에는, 검사 대상 변의 성상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채변량을 확보할 것이 요구되고, 또한 분변 검체 완충액의 변농도를 일정하게 하는 것이 필요해지지만, 이상의 채변기를 사용하여 정량적인 검사를 실시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 검사를 실시할 때에 분변 채취 유무를 용기 외부에서 위생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채변기는 충분히 검토되어 있지 않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5-7174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49345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1-4245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4955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5239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4-5946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148178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6-74965호
본 발명의 과제는 채변량의 편차를 저감시킴으로써, 정확한 정량적 평가를 실현하고, 또한 용기 외부에서 위생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분변 채취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채변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하여, 채변 막대와 용기 본체와 그 용기 본체의 내부에 끼워넣어진 끼워맞춤체를 구비한 채변기에 있어서, 채변 막대의 막대부 선단 부근에 형성되어 채변부에 과잉으로 부착된 변을 제거하기 위한 제 1 레벨링 홀(levelling hole)과, 그 제 1 레벨링 홀의 하방에, 과잉된 변을 추가로 제거하여 정량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 2 레벨링 홀을 갖는 끼워맞춤체 구조와 함과 함께, 제 1 레벨링 홀에 의해 제거된 과잉된 변을 집변 검지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채변 막대를 끼워맞춤체에 대해 나선 결합시키면서 삽입하기 위한 나사부를 막대부의 기단 (基端) 에 구비하고 있는 채변 막대 구조로 하고, 끼워맞춤체의 통 형상 가이드부의 내측면으로 돌출된 나선 구조에 의해 집변 검지 영역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채변 막대와 용기 본체와 그 용기 본체의 내부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체를 구비한 채변기로서, 상기 채변 막대는 일측에 파지부를 갖고, 타측에 막대부를 가짐과 함께, 그 막대부의 선단 부근에 채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는 일측에 끼워맞춤체를 끼워넣기 위한 개구부와 타측에 바닥부를 갖고, 용기 본체의 하방 부분과 끼워맞춤체의 하방 사이의 공간에는 분변 용해액이 수용되는 분변 용해액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워맞춤체는 채변 막대의 막대부를 삽입할 수 있는 통 형상 가이드부와, 그 통 형상 가이드부에 형성된 과잉된 변을 제거하기 위한 제 1 레벨링 홀과, 그 제 1 레벨링 홀의 하방에, 과잉된 변을 추가로 제거하기 위한 제 2 레벨링 홀을 갖고, 제 1 레벨링 홀의 상단에 인접한 통 형상 가이드부에 집변 검지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기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2] 채변 막대가, 채변 막대를 끼워맞춤체에 대해 나선 결합시키면서 삽입하기 위한 나사부를 막대부의 기단에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채변기나, [3] 분변 용해액 수용부에는 분변 용해액이 수용되어 있고, 채변 막대의 막대부의 선단 부근의 채변부가, 끼워맞춤체의 제 1 레벨링 홀 및 제 2 레벨링 홀을 삽입 통과하여, 분변 용해액에 침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채변기나, [4] 채변 막대의 막대부의 선단 부근의 채변부가, 오목부, 관통 구멍 또는 홈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채변기나, [5] 용기 본체의 바닥부가, 피어스부를 구비한 오목 바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채변기나, [6] 끼워맞춤체의 제 2 레벨링 홀의 개구 면적이, 제 1 레벨링 홀의 개구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채변기나, [7] 끼워맞춤체의 제 1 레벨링 홀의 개구 면적이, 채변 막대의 채변부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채변기나, [8] 집변 검지 영역이, 끼워맞춤체의 통 형상 가이드부의 내면측으로 돌출된 나선 구조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채변기나, [9] 나선 구조가, 나선 결합시키면서 삽입되는 채변 막대의 나선 회전 각도가 200 ∼ 260 도의 범위에서 설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 에 기재된 채변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10] 끼워맞춤체가, 상방 끼워맞춤 블록과 하방 끼워맞춤 블록으로 구성되고, 상방 끼워맞춤 블록은, 통 형상 가이드부의 제 1 레벨링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채변기나, [11]하방 끼워맞춤 블록이, 상방 끼워맞춤 블록에 있어서의 통 형상 가이드부의 하측 부분의 협지부와, 제 2 레벨링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 에 기재된 채변기나, [12] 끼워맞춤체의 제 2 레벨링 홀의 하방에, 추가로 필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채변기나, [13] 채변기 외측에, 파지부로부터 용기 본체의 일방의 측면, 바닥부, 및 타방의 측면에 걸쳐 J 자 형상으로 라벨이 첩부 (貼付) 되고, 그 라벨에는 집변 검지 영역을 직접 시인할 수 있는 채변 확인용 절결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채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채변기에 의하면, 검사 대상 분변의 성상에 관계없이, 충분한 채변량을 확보하고, 또한 채변량의 편차를 저감시킴으로써, 정확한 정량적 평가를 실현할 수 있어, 채취된 분변 검체를 사용한 임상 검사의 검사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채변기에 의하면, 위생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용기 외부에서 분변 채취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채변기의 투과 정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채변기의 투과 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채변기의 채변 막대의 정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채변기의 채변 막대의 선단 확대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채변기의 상방 끼워맞춤 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채변기의 상방 끼워맞춤 블록의 좌측면도이다.
도 7 은 도 5 의 A-A'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채변기의 상방 끼워맞춤 블록의 통 형상 가이드부에 있어서의 나선 구조체의 투과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채변기의 하방 끼워맞춤 블록의 종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채변기의 하방 끼워맞춤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채변기를 사용한 채변 확인의 이미지도이다.
도 12 는 라벨을 붙인 본 발명의 채변기의 외관 (앞) 도면이다.
도 13 은 라벨을 붙인 본 발명의 채변기의 외관 (뒤) 도면이다.
본 발명의 채변기로는 채변 막대와 용기 본체와 그 용기 본체의 내부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체를 구비한 채변기로서, 상기 채변 막대는 일측에 파지부를 갖고, 타측에 막대부를 가짐과 함께, 그 막대부의 선단 부근에 채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는 일측에 끼워맞춤체를 끼워넣기 위한 개구부와 타측에 바닥부를 갖고, 용기 본체의 하방 부분과 끼워맞춤체의 하방 사이의 공간에는 분변 용해액이 수용되는 분변 용해액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워맞춤체는 채변 막대의 막대부를 삽입할 수 있는 통 형상 가이드부와, 그 통 형상 가이드부에 형성된 과잉된 변을 제거하기 위한 제 1 레벨링 홀과, 그 제 1 레벨링 홀의 하방에 과잉된 변을 추가로 제거하기 위한 제 2 레벨링 홀을 갖고, 제 1 레벨링 홀의 상단에 인접한 통 형상 가이드부에 집변 검지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채변기는, 통상적으로 용기 본체의 내부에 끼워맞춤체가 끼워넣어지고, 용기 본체의 하방 부분과 끼워맞춤체의 하방 사이에 형성되는 분변 용해액 수용부에 분변 용해액이 수용되고, 용기 본체의 개구부측부터 바닥부를 향하여 끼워맞춤체에 순서대로 형성된 제 1 레벨링 홀과 제 2 레벨링 홀에 채변 막대가 삽입 통과된 형태를 갖지만, 채변 막대가 용기 본체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 등, 당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채변 막대의 일측에 형성되는 파지부는, 채변 조작 전에 있어서는 분변 용해액의, 그리고 채변 조작 후에 있어서는 분변 용해액에 분변이 현탁된 분변 용액의 액 누설과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채변기의 캡 부재로서 기능하는 형상, 예를 들어 파지부 하단을 플랜지 형상이나 스커트 형상으로 한 것이 바람직하고, 채변시에 유지하기 쉽도록 적절한 표면 가공을 실시해도 된다. 또, 캡 부재로서 파지부를 구비한 채변 막대에 액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채변 막대의 막대부의 기단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채변 막대를 끼워맞춤체에 대해 나선 결합시키면서 삽입하여 액밀 상태에서 장착하는 것이나, 채변 막대의 막대부의 기단 부분을 용기 본체의 개구 내주면에 긴착 (緊着) 상태에서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채변 막대의 막대부의 기단에 나사부를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채변 막대의 막대부의 선단 부근의 채변부의 구조로는, 제작의 용이성과 정량성 확보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결정하면 되는데, 1 또는 복수의 각종 형상의 오목부, 관통 구멍, 홈부 (고리형 홈, 가늘고 긴 형상 홈, 나선 형상 홈, 사선 형상 홈, V 자 형상 홈) 등을 들 수 있다. 또, 채변 막대의 막대부의 길이로는, 막대부의 선단 부근의 채변부가 끼워맞춤체에 형성된 제 2 레벨링 홀을 통과하는 길이를 갖고, 분변 용해액 수용부에 분변 용해액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 채변 막대의 막대부의 선단 부근의 채변부가, 끼워맞춤체의 제 1 레벨링 홀 및 제 2 레벨링 홀을 삽입 통과하여, 분변 용해액에 침지되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변 막대의 재질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ABS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용기 본체로는, 1 측에 끼워맞춤체를 끼워넣기 위한 개구부와 타측에 바닥부를 갖는, 단면 직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의 바닥이 있는 실린더 용기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용기 본체의 바닥부를 피어스부를 구비한 오목 바닥, 특히 바닥부를 향하여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 오목 바닥으로 하는 것이, 분변 용액 흡인 노즐 선단을 확실하게 피어스부로 유도하여 샘플링을 확실하게 실행하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피어스부를 구비한 오목 바닥은, 분변 용액 흡인 노즐 선단에 의해 천공 가능한 강도 또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용기 본체의 하방 부분과 끼워맞춤체의 하방 사이에 형성된 분변 용해액 수용부에 분변 용해액을 미리 수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끼워맞춤체의 제 2 레벨링 홀의 하방에 필터부가 구비되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터 부재를 끼워맞춤체의 하방 위치에 보울(bowl)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필터 부재를 끼워맞춤체의 하방 위치에 끼워맞춤체와는 다른 부재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부재로 하는 경우, 필터 부재의 고정은, 용기 본체에 끼워넣어 고정시키는 방법이나, 별도로 필터 부재 지지체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용기 본체의 재질로는,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는 플라스틱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등의 가요성 수지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필터 부재로는, 검사시에 장해가 되는 미소화 고형물을 여과할 수 있고, 검출 대상 물질을 흡착하는 것이 아닌 한 djEJ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저렴한 여과지나 스펀지, 탈지면,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의 소결체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분변 용해액으로는 채변 막대의 채변부에서 채취된 변을 현탁시키는 용액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탈이온수, 증류수, 완충액 등의 수성 매체를 들 수 있는데, 완충액이 바람직하다. 완충액으로는, 예를 들어 인산 완충액, 탄산 완충액, 암모니아 완충액, 아세트산 완충액, 락트산 완충액, 시트르산 완충액, 타르타르산 완충액, 붕산 완충액, 글리신 완충액, 굿 완충액 (Good's buffer) 등을 들 수 있다. 굿 완충액에 사용되는 완충제로는, 예를 들어 2-아미노-2-하이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2-모르폴리노에탄술폰산, 피페라진-비스(2-에탄술폰산), (2-아세트아미드)-2-아미노에탄술폰산, 비스(2-하이드록시에틸)-2-아미노에탄술폰산,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이미노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탄, 3-[비스(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프로판술폰산, 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3-프로판술폰산, 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2-에탄술폰산, 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2-하이드록시프로판-3-술폰산, 3-(모르폴리노)프로판술폰산, 3-(모르폴리노)-2-하이드록시프로판술폰산, 피페라진-비스(2-하이드록시프로판술폰산),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2-하이드록시-3-아미노프로판술폰산,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메탄술폰산, 2-아세트아미드이미노2아세트산, 비스(2-하이드록시에틸)글리신,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글리신,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이미노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탄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분변 용해액에는 방부제, 항생제, 유기산, 당류, 단백질, 페로시안 화합물, 킬레이트제, 염류, 프로테아제 저해제 등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방부제로는 예를 들어 티메로살, 디클로로헥시딜, 아지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아지화물로는, 예를 들어 아지화리튬, 아지화나트륨, 아지화칼륨, 아지화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항생제로는 예를 들어 β-락탐계 항생 물질,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 물질, 매크롤라이드계 항생 물질,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 물질, 뉴클레오시드계 항생 물질, 안사마이신계 항생 물질, 폴리펩티드계 항생 물질, 그 밖의 항생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β-락탐계 항생 물질로는, 예를 들어 페니실린류, 세팔로스포린류, 티에나마이신, 술파제신 등을 들 수 있다. 페니실린류로는 예를 들어 페니실린 G, 페니실린 N, 페니실린 O, 페니실린 V 등을 들 수 있다. 세팔로스포린류로는 예를 들어 세파마이신 A, 세파마이신 B, 세파마이신 C, 세팔로스포린, 세팔로틴, 세팔로늄, 세팔렉틴, 세프라딘, 헤타스포린 (hetasporin), 세파피린, 로라카베프 (loracarbef) 등을 들 수 있다.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 물질로는, 예를 들어 미노사이클린, 테트라사이클린, 하이드로옥시테트라사이클린, 크로노사이클린, 테라마이신, 니트로사이클린, 아미사이클린, 안트라사이클린, 메타사이클린, 데옥시사이클린, 글리코사이클린, 안하이드로테트라사이클린 등을 들 수 있다.
매크롤라이드계 항생 물질로는 예를 들어 아세틸스피라마이신, 에리트로마이신, 피크로마이신, 피마리신, 루센소마이신, 암포테리신 B, 칸디시딘 A, 칸디시딘 B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 물질로는 예를 들어 스트렙토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B, 데하이드로스트렙토마이신, 옥시스트렙토마이신, 카나마이신, 카스가마이신, 겐타마이신 A, 겐타마이신 C, 린코마이신, 블레오마이신, 만노사이드하이드로옥시·스트렙토마이신 등을 들 수 있다.
뉴클레오시드계 항생 물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신 A, 폴리옥신 B, 폴리옥신 C, 폴리옥신 D, 폴리옥신 E, 폴리옥신 F, 폴리옥신 G, 폴리옥신 H, 폴리옥신 J, 폴리옥신 K, 폴리옥신 L, 폴리옥신 M, 튜베르시딘, 포마이신 B 등을 들 수 있다.
안사마이신계 항생 물질로는, 예를 들어 안사마이신, 리파마이신, 리파마이신 B, 리파마이신 L, 리파마이신 S, 리파마이신 V, 리파마이신 Y, 리팜피신 등을 들 수 있다.
폴리펩티드계 항생 물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믹신, 그라마이신 A, 그라마이신 B, 그라마이신 C, 피오마이신, 바시트라신, 악티노마이신, 티로시딘 A, 티로시딘 B, 티로시딘 C, 티로시딘 D, 티로시딘 S, 스타필로마이신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항생 물질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헥시미드, 시클로세린, 사르코마이신 A, 스펙티노마이신, 클로람페니콜, 미토마이신, 블라스티시딘 S, 푸마길린, 모넨신, 피롤니트린, 포스포노마이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항생제는 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염으로는 예를 들어 산부가염 (염산염, 황산염, 인산염, 아세트산염, 푸마르산염, 옥살산염, 타르타르산염 등), 암모늄염, 유기 아민 부가염 (트리에틸아민염 등), 금속염 (리튬염,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산으로는 예를 들어 말산 혹은 그 염, 숙신산 혹은 그 염, 푸마르산 혹은 그 염, 글리콜산 혹은 그 염, 2-케토글루타르산 혹은 그 염, 이소시트르산 혹은 그 염, 락트산 혹은 그 염, 피루브산 혹은 그 염, 요산 혹은 그 염, 옥살아세트산 혹은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염으로는 예를 들어 암모늄염,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을 들 수 있다.
당류로는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말토오스, 시클로덱스트린류, 프룩토오스, 소르보오스, 사카로오스, 락토오스, 트레할로오스, 갈락투론산, 만니톨, D-글루코사민, 만노오스, 셀로비오스, 글리시돌, 이노시톨 등을 들 수 있다. 시클로덱스트린류로는 예를 들어 α-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γ-시클로덱스트린, 하이드록시프로필-α-시클로덱스트린, 하이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 하이드록시프로필-γ-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폴리머, 디메틸-β-시클로덱스트린, 6-O-α-말토실-α-시클로덱스트린, 6-O-α-말토실-β-시클로덱스트린, 황산화 -α-시클로덱스트린, 2,3,6-트리-O-메틸-β-시클로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시클로덱스트린류로는 시판품 (예를 들어, 니혼 쇼쿠힌 가공사 제조) 도 사용할 수 있다.
단백질로는 알부민, 철단백질 등을 들 수 있다. 알부민으로는 예를 들어 혈청 알부민, 난백 알부민, 락토알부민 등을 들 수 있고, 혈청 알부민이 바람직하다. 혈청 알부민으로는, 예를 들어 인간, 소, 말 등의 포유동물의 혈장으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에 준하여 조제된 것이나 시판품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혈청 알부민으로는 소 혈청 알부민 (이하, BSA 라고 약기한다), 인간 혈청 알부민 등을 들 수 있다. 알부민을 함유하는 혈청도 사용할 수 있다. 철단백질로는 예를 들어 비헴철단백질, 헴철단백질 등을 들 수 있다. 비헴철단백질로는 예를 들어 홀로트렌스페린, 아포트랜스페린, 락토페린, 페리틴, 헤모시데린, 페레독신, 옥시게나아제 등을 들 수 있다. 헴철단백질로는 예를 들어 인간 이외의 동물 헤모글로빈, 페리시토크롬 C, 미오글로빈, 퍼옥시다아제, 카탈라아제 등을 들 수 있다.
페로시안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페로시안화나트륨, 페로시안화칼륨, 11-페로세닐-1-운데칸티올, 8-페로세닐-1-옥탄티올, 6-페로세닐-1-헥산티올, 11-페로세닐운데실-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11-페로세닐트리메틸운데실암모늄브로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킬레이트제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 혹은 그 염, O,O'-비스(2-아미노페닐)에틸렌글리콜-N,N,N',N'-4아세트산 혹은 그 염, 트랜스-1,2-디아미노시클로헥산-N,N,N',N'-4아세트산 혹은 그 염, 1,3-디아미노-2-하이드록시프로판-N,N,N',N'-4아세트산 혹은 그 염, 디에틸렌트리아민-N,N,N',N'',N''-5아세트산 혹은 그 염, 에틸렌디아민-N,N'-2아세트산 혹은 그 염, 에틸렌디아민-N,N'-비스(메틸렌포스폰산) 혹은 그 염, N-(2-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N,N',N'-3아세트산 혹은 그 염, 에틸렌디아민-N,N',N',N'-테트라키스(메틸렌포스폰산) 혹은 그 염, O,O'-비스(2-아미노에틸)에틸렌글리콜-N,N,N',N'-4아세트산 혹은 그 염, N,N'-비스(2-하이드록시벤질)에틸렌디아민-N,N'-2아세트산 혹은 그 염, 1,6-헥사메틸렌디아민-N,N,N',N'-4아세트산 혹은 그 염, N-(2-하이드록시에틸)이미노2아세트산 혹은 그 염, 이미노2아세트산 혹은 그 염, 1,2-디아미노프로판-N,N,N',N'-4아세트산 혹은 그 염, 니트릴로3아세트산 혹은 그 염, 니트릴로3프로피온산 혹은 그 염, 니트릴로트리스(메틸렌포스폰산) 혹은 그 염, N,N,N',N'-테트라키스(2-피리딜메틸)에틸렌디아민 혹은 그 염, 트리에틸렌테트라민-N,N,N',N'',N''',N'''-6아세트산 혹은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염으로는 예를 들어 암모늄염,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염류로는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염화칼륨, 황산칼륨, 염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아세트산마그네슘, 염화리튬, 황산리튬, 염화암모늄, 황산암모늄, 질산마그네슘, 질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테아제 저해제로는 예를 들어 컴플리트 (상표, 로슈사 제조), 안티파파인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아프로티닌, 키모스타틴, E-64, 류펩틴, 페파블록 (상표, 로슈사 제조), 펩스타틴, 포스포라미돈, 안티트롬빈 III, (4-아미디노페닐)메탄술포닐플루오라이드, 칼페인인히비터-1,3,4-디클로로이소쿠마린, α-매크로글로불린, 베스타틴 등을 들 수 있다.
채변 막대에 의해 채취된 분변은, 끼워맞춤체의 제 1 레벨링 홀과 제 2 레벨링 홀을 통하여, 여분의 분변이 제거된 후, 분변 용해액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분변 용해액에 현탁되어 분변 용액을 부여한다. 분변 용액에는 고형물을 함유할 수 있으므로, 필터부에 의해 분변 용액 중의 고형물이 제거되고, 고형물이 제거된 분변 용액이 분변 용해액 수용부의 필터와 용기 본체 오목 바닥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게 되어, 당해 공간에 채워진 고형물이 제거된 분변 용액을 주사 바늘 등의 천자 (穿刺) 바늘을 사용하여 빼냄으로써 분석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또, 고형물이 제거된 분변 용액이 당해 공간에 채워진 후, 용기 본체를 거꾸로 하여 용기 본체 오목 바닥을 상측을 향하게 하고, 상측을 향한 용기 본체 오목 바닥에 주사 바늘 등의 천자 바늘을 찔러, 필터부에 천자 바늘이 닿지 않은 상태에서, 고형물이 제거된 분변 용액을 빼낼 수도 있다.
또한, 필터부는 제 2 레벨링 홀과 용기 본체 오목 바닥 사이에 구비되는데, 채변 막대가 통 형상 가이드부를 통하여 제 2 레벨링 홀을 삽입 통과한 상태에서, 채변 막대의 선단부가 필터부를 관통하지 않고 끼워진 양태여도 되고, 제 2 레벨링 홀과 필터부 사이에 유지되는 양태여도 된다.
용기 본체의 내부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체로는, 용기 본체의 내부를 상방과 하방의 분변 용해액 수용부에 액밀하게 차단할 수 있고, 채변 막대의 막대부를 삽입할 수 있는 통 형상 가이드부와, 그 통 형상 가이드부에 형성된 과잉된 변을 제거하기 위한 제 1 레벨링 홀과, 그 제 1 레벨링 홀의 하방에 과잉된 변을 추가로 제거하기 위한 제 2 레벨링 홀을 갖고, 제 1 레벨링 홀의 상단에 인접한 통 형상 가이드부에 집변 검지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 형상 가이드부에 제 1 레벨링 홀과 제 2 레벨링 홀이 형성되어 있는 단일의 끼워맞춤 블록 으로 구성되어 있는 끼워맞춤체나, 통 형상 가이드부에 제 1 레벨링 홀이 형성된 상방 끼워맞춤 블록과, 제 2 레벨링 홀이 형성된 하방 끼워맞춤 블록으로 구성되는 끼워맞춤체 등, 복수의 끼워맞춤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끼워맞춤체를 예시할 수 있다. 단일의 끼워맞춤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끼워맞춤체의 경우, 통 형상 가이드부의 하단 부근을 용기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를 통 형상 가이드부와 일체로 성형 (成型)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방 끼워맞춤 블록과 하방 끼워맞춤 블록으로 구성되고, 상방 끼워맞춤 블록이 통 형상 가이드부의 제 1 레벨링 홀을 갖는 끼워맞춤체의 경우, 하방 끼워맞춤 블록에는, 상방 끼워맞춤 블록에 있어서의 통 형상 가이드부의 하측 부분의 협지부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끼워맞춤체의 고정은 용기 본체에 끼워넣어 액밀하게 고정시키는 방법이나, 별도로 끼워맞춤체 지지체를 사용하여 액밀하게 고정시키는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끼워맞춤체에 형성되는 제 2 레벨링 홀의 개구 면적 (구멍 직경) 은, 제 1 레벨링 홀의 개구 면적 (구멍 직경) 보다 작게 함으로써, 제 1 레벨링 홀에 의한 채변 막대의 채변부에 부착된 과잉된 변의 제거와, 제 2 레벨링 홀에 의한 과잉된 변의 추가적인 제거에 의한 변의 정량적인 채취를 각각 실시하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 끼워맞춤체의 제 1 레벨링 홀이나 제 2 레벨링 홀의 개구 면적 (구멍 직경) 이, 채변 막대의 채변부의 단면적 (막대 직경)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끼워맞춤체의 제 1 레벨링 홀의 개구 면적 (구멍 직경) 을 채변 막대의 채변부의 단면적 (막대 직경) 보다 작게 함으로써, 제 1 레벨링 홀에 의한 채변 막대의 채변부에 부착된 과잉된 변의 효율적인 제거를 달성할 수 있고, 끼워맞춤체의 제 2 레벨링 홀의 개구 면적 (구멍 직경) 을 채변 막대의 채변부의 단면적 (막대 직경) 이나 제 1 레벨링 홀의 개구 면적 (구멍 직경) 보다 작게 함으로써, 제 2 레벨링 홀에 의한 변의 정량적인 채취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레벨링 홀에는 분변 용해액이 누설되지 않도록 박막 형상 봉지막을 형성하거나, 혹은, 제 2 레벨링 홀을 채변 막대의 막대부가 빼내어진 상태에서 폐색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제 1 레벨링 홀의 상단에 인접한 통 형상 가이드부에 집변 검지 영역을 형성시키려면, 예를 들어 용기 외부에서 위생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분변 채취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제 1 레벨링 홀에 의해 제거된 과잉된 변을, 제 1 레벨링 홀의 상단에 인접한 통 형상 가이드부에 집적·저류시키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제 1 레벨링 홀의 상단에 인접한 통 형상 가이드부의 내부 단면적보다 제 1 레벨링 홀의 개구 면적이 작게 된 단차 형상으로 되어 있어, 채변 막대의 채변부에 부착된 과잉된 변은 상기 단차 부분에 집적·저류되기 때문에, 이 단차 부분이 집변 검지 영역이 된다. 또, 상기 단차 부분을 경사지게 해 두면, 연변 (軟便) 의 경우에는 특히 단차 바닥부에 효율적으로 과잉된 변을 집적·저류시킬 수 있다.
또, 채변 막대가 채변 막대를 끼워맞춤체 상부에 형성된 암나사에 대해 나선 결합시키면서 삽입하기 위한 수나사부를 막대부의 기단에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단차 부분을 형성해 두면, 채변 막대의 채변부에 부착된 과잉된 변은, 끼워맞춤체의 제 1 레벨링 홀의 상단에 인접한 통 형상 가이드부의 내면측으로 돌출된 나선 구조체에 의해 압축되면서, 마찰 압력에 의해 나선 구조체의 하강 나선 경사면 상을 미끄러져 떨어져, 돌출된 나선 구조체의 결락 단차 부분에 변이 집적·저류되고, 이 사전 위치가 특정된 돌출된 나선 구조체의 결락 부분이 집변 검지 영역으로서 형성된 것이 된다. 특히, 나선 구조체를 나선 결합시키면서 삽입되는 채변 막대의 나선 회전 각도가 200 ∼ 260 도의 범위로 설정되는 나선 구조체로 형성하면, 채변 막대의 채변부에 부착된 과잉된 변은, 통 형상 가이드부의 내면측으로 돌출된 나선 구조체에 의해 압축되면서, 마찰 압력에 의해 나선 구조체의 하강 나선 경사면 상을 미끄러져 떨어져, 돌출된 나선 구조체의 결락 단차 부분 (160 ∼ 100 도) 에 집적·저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통 형상 가이드부는, 제 1 레벨링 홀의 상단의 단차 부분에 이를 때까지는 완만한 역테이퍼 구조로 하는 것이 채변 막대의 채변부를 순조롭게 제 1 레벨링 홀로 유도하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고, 역테이퍼 구조가 제 1 레벨링 홀에서브터 제 2 레벨링 홀에 인접한 상방까지, 혹은, 제 1 레벨링 홀에서부터 제 2 레벨링 홀까지 연이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채변 막대의 채변부를 순조롭게 제 1 레벨링 홀에서부터 제 2 레벨링 홀로 유도하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고, 통상적으로 제 1 레벨링 홀에서부터 하방의 통 형상 가이드 부분은 동일 직경의 원통 형상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끼워맞춤체의 형성 재료로는 액밀 시일성, 용기 본체에 대한 삽입 장착, 채변 막대의 제 1 레벨링 홀이나 제 2 레벨링 홀에 대한 삽입 통과성 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연질 폴리염화비닐,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의 가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채변기 외측에 파지부에서부터 용기 본체의 일방의 측면, 바닥부, 및 타방의 측면에 걸쳐 J 자 형상으로 라벨을 첩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그 라벨에는 집변 검지 영역을 직접 시인할 수 있는 채변 확인용 절결창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라벨은 피검자의 성명, 성별이나 채변일 등의 식별용의 라벨로서 이용되는 것 외에, 용기 본체의 바닥부의 피어스부의 보호와 오염 방지에도 유용하다.
본 발명의 채변기 사용의 일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채변기로부터 채변 막대를 떼어내어, 채변 막대의 채변부를 변 속으로 찌르거나 변의 표면을 문질러 채변한다. 이어서, 정립 상태의 용기 본체에 끼워맞춤체의 통 형상 가이드부를 통하여 채변 막대의 막대부를 삽입하고, 채변 막대의 파지부를 밀어넣고, 채변 막대의 막대부 기단부에 형성된 수나사와 끼워맞춤체 상부에 형성된 암나사를 나선 결합시켜 용기 본체를 밀봉함과 함께, 채변 막대의 채변부를 제 1 레벨링 홀과 제 2 레벨링 홀을 삽입 통과시켜, 분변 용해액에 침지시킨다. 피검자는 이 상태에서 집변 검지 영역에 집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 우송 그 밖의 방법에 의해 병원·검사 기관으로 채변기를 보낼 수 있다. 병원·검사 기관에서는 보내져 온 채변기의 집변 검지 영역에 집변되어 있는 것을 재확인한 후, 채변기를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 분변 용액 흡인 노즐 선단을 라벨, 용기 본체의 바닥부의 피어스부를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분변 용액을 흡인하여 분석 기기에 송액함으로써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채변기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들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채변 막대 (10) 와 용기 본체 (20) 와 그 용기 본체의 내부에 끼워맞춰진 상방 끼워맞춤 블록 (30) 과 하방 끼워맞춤 블록 (40) 으로 구성되는 끼워맞춤체와 필터 (25) 를 구비한 본 발명의 채변기의 투과 정면도, 도 2 는 그 투과 측면도, 도 3 은 채변 막대 (10) 의 정면도, 도 4 는 채변 막대의 선단 확대도, 도 5 는 상방 끼워맞춤 블록 (30) 의 정면도, 도 6 은 상방 끼워맞춤 블록 (30) 의 좌측면도, 도 7 은 도 5 의 A-A' 단면도, 도 8 은 나선 구조체 (37) 의 투과 사시도, 도 9 는 하방 끼워맞춤 블록 (40) 의 종단면도, 도 10 은 하방 끼워맞춤 블록 (40) 의 평면도, 도 11 은 채변 확인의 이미지도, 도 12 는 라벨 (50) 을 붙인 채변기의 외관 (앞) 도, 도 13 은 라벨 (50) 을 붙인 채변기의 외관 (뒤) 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채변 막대 (10) 는 일측에 검체의 액 누설과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채변기의 캡 부재로서 기능하는 파지부 (11) 를 갖고, 타측에 막대 직경이 2.0 ㎜ 인 막대부 (12) 를 가짐과 함께, 그 막대부의 기단에는 수나사부 (13) 가, 선단 부근에 복수의 오목부 (15) 를 구비한 채변부 (14) 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왼쪽) 에는 변 2 ㎎ 채취용 오목부 (15) 를 구비한 채변부 (14) 를 나타내고, 도 4 (오른쪽) 에는 변 0.8 ㎎ 채취용 오목부 (15) 를 구비한 채변부 (14) 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20) 는 끼워맞춤체 등을 끼워넣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바닥이 있는 측주면을 갖는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하고 있고, 바닥부는 피어스부 (23) 를 구비한 오목 바닥 (21) 으로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 (20) 에는 필터 지지체 (26) 에 지지된 필터 (25) 가 삽입되고, 하방 끼워맞춤 블록 지지체 (41) 를 개재하여 하방 끼워맞춤 블록 (40) 이 끼워맞춰져 있고, 하방 끼워맞춤 블록 (40) 의 하방에는 분변 용해액 (22) 이 수용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 끼워맞춤 블록 (40) 에는 구멍 직경이 1.4 ㎜ 인 제 2 레벨링 홀 (42) 과, 상방 끼워맞춤 블록의 하측 부분을 유지·고정시키기 위한 고리형의 움푹 패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협지부 (43) 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끼워맞춤 블록 (30) 은 상부의 끼워맞춤 플랜지부 (31) 와, 완만한 역테이퍼 형상의 통 형상 가이드 부재 (32) 로 구성되어 있고, 통 형상 가이드 부재 (32) 는, 그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 (33) 와, 암나사부 (33) 에 계속되는 채변 막대의 막대부를 삽입할 수 있는 통 형상 가이드부 (34) 로 구성되어 있다. 통 형상 가이드부 (34) 에는 과잉된 변을 제거하기 위한, 구멍 직경이 1.95 ㎜ 인 제 1 레벨링 홀 (35) 이 형성되고, 제 1 레벨링 홀 (35) 의 상단에 인접한 통 형상 가이드부 (34) 는, 내경 2.9 ㎜ 내지 2.14 ㎜ 로 직경이 작아진 단차 (36) 형상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통 형상 가이드부 (34) 는 상단에서부터 단차 (36) 까지의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진 상부 통 형상 가이드부 (34a) 와, 제 1 레벨링 홀 (35) 에서부터 하단까지의 동일 직경의 하부 통 형상 가이드부 (34b) 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통 형상 가이드 부재 (32) 의 하측 부분은, 하방 끼워맞춤 블록 (40) 의 고리형의 움푹 패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협지부 (43)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채변기의 특징 중 하나인 집변 검지 영역에 대하여 설명한다. 집변 검지 영역은 제 1 레벨링 홀 (35) 의 상단에 인접한 통 형상 가이드부 (34) 의 단차 (36) 에 형성되어, 그 집변 검지 영역을 통하여 용기 외부에서 위생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분변 채취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부 통 형상 가이드부 (34a) 의 하단 근방에는 상부 통 형상 가이드부 (34a) 의 내면측으로 돌출된 나선 구조체 (37) 가, 나선 결합시키면서 삽입되는 채변 막대 (10) 의 나선 회전 각도가 229 도로 설정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11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채변 막대 (10) 의 채변부 (14) 등에 부착된 과잉된 변 (F) 은, 통 형상 가이드부 (34a) 의 내면측으로 돌출된 나선 구조체 (37) 에 의해 압축되면서, 나선 구조체 (37) 의 하강 나선 경사면 (38) 상을 미끄러져 떨어져, 돌출된 나선 구조체 (37) 의 결락 단차 부분 (39) (131 도) 에 집적·저류되고, 이 나선 구조체 (37) 의 결락 단차 부분 (39) 이 집변 검지 영역으로서 형성된 것이 된다.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벨 (50) 은 채변기 외측에, 채변 막대 (10) 의 파지부 (11) 에서부터 용기 본체 (30) 의 일방의 측면 (앞), 바닥부 및 타방의 측면 (뒤) 에 걸쳐 J 자 형상으로 첩부되고, 피검자의 성명, 성별, 연령, 채취 연월일 등의 데이터의 기입란 (51), 바코드 (52) 를 구비하고 있다. 또, 라벨 (50) 에는 집변 검지 영역에 대응하여 채변 확인용 절결창 (53) 이 위치하도록 첩부되어 있어, 분변 채취 유무를 용기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함과 함께, 분변 채취의 유무의 확인시의 불쾌감을 불식시킬 수 있다. 또한, 라벨 (50) 의 채변 막대 (10) 의 파지부 (11) 와 용기 본체 (30) 의 경계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개봉 확인용 절취선 (54) 이나, 라벨 (50) 의 용기 본체 바닥부의 앞측 모서리부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검사용 절취선 (55) 이 형성되어 있다. 검사용 절취선 (55) 은 필요에 따라 채변기를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 분변 용액 흡인 노즐 선단을 용기 본체의 바닥부의 피어스부 (23) 를 관통시키기 전에, 라벨을 측면 (뒤) 으로부터 박리하여, 라벨 (50) 의 용기 본체 바닥부의 앞측 모서리부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떼어낼 때에 이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채변기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채변 막대 (10) 의 파지부 (11) 를 느슨하게 하여 라벨 (50) 의 개봉 확인용 절취선 (54) 을 파단하고, 채변기로부터 채변 막대 (10) 를 떼어내어, 채변 막대 (10) 의 채변부 (14) 를 변 속으로 찌르거나 변의 표면을 문질러 채변한다. 이어서, 정립 상태의 용기 본체 (20) 에 채변 막대 (10) 의 막대부 (12) 를, 상방 끼워맞춤 블록 (30) 의 통 형상 가이드부 (34a) 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삽입하고, 채변 막대 (10) 의 파지부 (11) 를 밀어넣고, 채변 막대 (10) 의 막대부 기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 (13) 와 상방 끼워맞춤 블록 (30) 상부에 형성된 암나사부 (33) 를 나선 결합시켜 파지부 (11) 에 의해 용기 본체 (20) 를 밀봉한다. 이 때, 채변 막대 (10) 의 채변부 (14) 가 제 1 레벨링 홀 (35) 및 제 2 레벨링 홀 (42) 을 순차적으로 삽입 통과하는데, 먼저 채변 막대 (10) 의 채변부 (14) 가 제 1 레벨링 홀 (35) 에 이르기 전에, 채변부 (14) 등에 부착된 과잉된 변 (F) 이, 통 형상 가이드부 (34a) 의 내면측으로 돌출된 나선 구조체 (37) 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나선 구조체 (37) 의 하강 나선 경사면 (38) 상을 변의 부착력에 의해 미끄러져 떨어져 가, 돌출된 나선 구조체 (37) 의 결락 단차 부분 (39) 에 집적되고, 제 1 레벨링 홀 (35) 의 구멍 직경이 채변 막대 (10) 의 막대부 (12) 의 막대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결락 단차 부분 (39) 에 과잉된 변 (F) 이 저류되어 집변 검지 영역이 된다.
제 1 레벨링 홀 (35) 을 통과한 채변 막대 (10) 의 채변부 (14) 는, 통 형상 가이드부 (34b) 를 통과하면서, 그 내벽에 의해 밀려, 복수의 오목부 (15) 에 적량의 변을 유지한 상태에서 하강하면서 이윽고 제 2 레벨링 홀 (42) 에 이른다. 상방 끼워맞춤 블록 (30) 의 통 형상 가이드부 (34b) 의 재질보다 제 2 레벨링 홀 (42) 이 형성된 하방 끼워맞춤 블록 (40) 의 재질이 부드러운 것, 및, 제 2 레벨링 홀 (42) 의 구멍 직경은 채변 막대 (10) 의 막대부 (12) 의 막대 직경보다 상당히 작기 때문에, 복수의 오목부 (15) 에 유지된 변은 떨어내어져, 채변 막대 (10) 의 채변부 (14) 에는 일정량의 변이 유지된다. 이 일정량의 변이 유지된 채변 막대 (10) 의 채변부 (14) 는, 추가로 하방 끼워맞춤 블록 (40) 과 필터 (25) 로 둘러싸인 분변 용해액 (22) 안으로 도달하여, 채변 막대 (10) 의 파지부 (11) 의 밀어넣음이 종료된다. 피검자는, 이 상태에서 라벨 (50) 에 형성된 채변 확인용 절결창 (53) 으로부터 결락 단차 부분 (39) (집변 검지 영역) 에 집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 우송 그 밖의 방법에 의해 병원·검사 기관으로 채변기를 보낼 수 있다. 병원·검사 기관에서는 보내져 온 채변기의 집변 검지 영역에 집변되어 있는 것을 재확인한 후, 채변기를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 분변 용액 흡인 노즐 선단을 라벨 (50), 용기 본체의 오목 바닥 (21) 의 피어스부 (23) 를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필터 (25) 에 의해 여과된 분변 용액을 흡인하여 분석 기기에 송액함으로써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해 대장암 검진 등에 유용한 채변기가 제공된다.
10···채변 막대
11···채변 막대의 파지부
12···채변 막대의 막대부
13···채변 막대의 막대부 기단의 수나사부
14···채변 막대의 채변부
15···채변부의 오목부
20···용기 본체
21···용기 본체 오목 바닥
22···분변 용해액
23···피어스부
25···필터
26···필터 지지체
30···상방 끼워맞춤 블록
31···상방 끼워맞춤 블록의 끼워맞춤 플랜지부
32···상방 끼워맞춤 블록의 통 형상 가이드 부재
33···통 형상 가이드 부재의 암나사부
34···통 형상 가이드 부재의 통 형상 가이드부
35···제 1 레벨링 홀
36···통 형상 가이드부의 단차
37···통 형상 가이드부의 내면측으로 돌출된 나선 구조체
38···나선 구조체의 하강 나선 경사면
39···나선 구조체의 결락 단차 부분 (집변 검지 영역)
40···하방 끼워맞춤 블록
41···하방 끼워맞춤 블록 지지체
42···제 2 레벨링 홀
43···상방 끼워맞춤 블록용 협지부
50···라벨
51···데이터 기입란
52···바코드
53···채변 확인용 절결창
54···개봉 확인용 절취선
55···검사용 절취선
F ···채변부에 부착된 과잉된 변

Claims (13)

  1. 채변 막대와 용기 본체와 그 용기 본체의 내부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체를 구비한 채변기로서, 상기 채변 막대는 일측에 파지부를 갖고, 타측에 막대부를 가짐과 함께, 그 막대부의 선단 부근에 채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는, 일측에 끼워맞춤체를 끼워넣기 위한 개구부와 타측에 바닥부를 갖고, 용기 본체의 하방 부분과 끼워맞춤체의 하방 사이의 공간에는 분변 용해액이 수용되는 분변 용해액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워맞춤체는, 채변 막대의 막대부를 삽입할 수 있는 통 형상 가이드부와, 그 통 형상 가이드부에 형성된 과잉된 변을 제거하기 위한 제 1 레벨링 홀과, 그 제 1 레벨링 홀의 하방에, 과잉된 변을 추가로 제거하기 위한 제 2 레벨링 홀을 갖고,
    제 1 레벨링 홀의 상단에 인접한 통 형상 가이드부에 집변 검지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채변 막대가, 채변 막대를 끼워맞춤체에 대해 나선 결합시키면서 삽입하기 위한 나사부를 막대부의 기단에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분변 용해액 수용부에는 분변 용해액이 수용되어 있고, 채변 막대의 막대부의 선단 부근의 채변부가, 끼워맞춤체의 제 1 레벨링 홀 및 제 2 레벨링 홀을 삽입 통과하여, 분변 용해액에 침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채변 막대의 막대부의 선단 부근의 채변부가, 오목부, 관통 구멍 또는 홈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바닥부가, 피어스부를 구비한 오목 바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끼워맞춤체의 제 2 레벨링 홀의 개구 면적이, 제 1 레벨링 홀의 개구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끼워맞춤체의 제 1 레벨링 홀의 개구 면적이, 채변 막대의 채변부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집변 검지 영역이, 끼워맞춤체의 통 형상 가이드부의 내면측으로 돌출된 나선 구조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기.
  9. 제 8 항에 있어서,
    나선 구조가, 나선 결합시키면서 삽입되는 채변 막대의 나선 회전 각도가 200 ∼ 260 도의 범위에서 설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끼워맞춤체가, 상방 끼워맞춤 블록과 하방 끼워맞춤 블록으로 구성되고, 상방 끼워맞춤 블록은, 통 형상 가이드부의 제 1 레벨링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하방 끼워맞춤 블록이, 상방 끼워맞춤 블록에 있어서의 통 형상 가이드부의 하측 부분의 협지부와, 제 2 레벨링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기.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끼워맞춤체의 제 2 레벨링 홀의 하방에, 추가로 필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기.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채변기 외측에, 파지부에서부터 용기 본체의 일방의 측면, 바닥부, 및 타방의 측면에 걸쳐 J 자 형상으로 라벨이 첩부되고, 그 라벨에는 집변 검지 영역을 직접 시인할 수 있는 채변 확인용 절결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기.
KR1020117012968A 2008-12-12 2009-12-01 채변기 KR101590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16626 2008-12-12
JPJP-P-2008-316626 2008-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320A KR20110102320A (ko) 2011-09-16
KR101590213B1 true KR101590213B1 (ko) 2016-01-29

Family

ID=42242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968A KR101590213B1 (ko) 2008-12-12 2009-12-01 채변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62919B2 (ko)
EP (1) EP2375233B1 (ko)
JP (1) JP5424416B2 (ko)
KR (1) KR101590213B1 (ko)
CN (1) CN102246019B (ko)
TW (1) TWI452281B (ko)
WO (1) WO20100675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435A (ko) 2022-01-04 2023-07-11 주식회사 에이아이바이오틱스 자동 채변 장치, 이를 구비한 좌변식 변기 및 이를 사용한 채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1112B2 (en) 2011-08-16 2015-12-15 Exact Sciences Corporation Sample collection device
CN102564796A (zh) * 2012-02-24 2012-07-11 万华普曼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粪便采集器
DE102012015063B4 (de) * 2012-07-31 2014-10-30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s Filtrationsmediums
JP6286175B2 (ja) * 2013-10-10 2018-02-28 栄研化学株式会社 採便容器
JP6216602B2 (ja) * 2013-10-10 2017-10-18 栄研化学株式会社 採便容器
WO2015052901A1 (ja) * 2013-10-10 2015-04-16 栄研化学株式会社 採便容器
CN105874054A (zh) 2013-10-25 2016-08-17 贝克顿·迪金森公司 具有用于控制成分释放进入培养基的机构的血液培养瓶
JP6424666B2 (ja) * 2014-03-11 2018-11-21 ニプロ株式会社 検査キットおよびこれに具備される調製用容器
CN204620025U (zh) * 2014-03-20 2015-09-09 无锡市凯顺医疗器械制造有限公司 一种一次性密闭体液留置器
JP6604523B2 (ja) * 2015-03-09 2019-11-13 日立化成ダイアグノスティックス・システムズ株式会社 採便器
CN104819864B (zh) * 2015-04-23 2018-03-09 广州万孚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样本采集器及含有该样本采集器的样本检测器
KR102593963B1 (ko) * 2015-08-28 2023-10-25 에이껜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면역학적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의 용도
EP3392639A4 (en) * 2015-12-16 2019-08-07 Kyowa Medex Co., Ltd. CHAIR DETECTION UNIT, METHOD FOR MEASURING COMPONENTS IN A CHAIR SAMPLE, METHOD FOR STABILIZING COMPONENTS IN A CHAIR SAMPLE, AND METHOD FOR STORING A CHAIR SAMPLE
CN105651540A (zh) * 2016-03-23 2016-06-08 北京美康基因科学股份有限公司 一种采便器
CN107044918B (zh) * 2017-03-07 2023-10-20 无锡圣诺亚科技有限公司 大便取检器
US11375986B1 (en) 2018-07-27 2022-07-05 The University Of Chicago Device and method for stool sample collection
US11293839B2 (en) * 2018-08-16 2022-04-05 Epitope Biotechnology Co., Ltd. Device for fecal sample collection and extraction
US11426722B2 (en) 2019-06-05 2022-08-30 Phuong Nguyen Specimen tester including a separate initiator and method
WO2022232881A1 (en) * 2021-05-06 2022-11-10 Health First Laboratories Ltd. "faecal sampling device and method"
CN113758751A (zh) * 2021-08-12 2021-12-07 中国医学科学院阜外医院深圳医院 标本留置盒
CN117213913B (zh) * 2023-11-09 2024-01-12 海阳市动物疫病预防与控制中心 一种畜牧兽医取样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5709A1 (de) * 2002-02-12 2003-08-28 Schebo Biotech Ag Probenvorbereitungsvorrichtung und hierauf aufbauender Testgerätesatz
JP2548943B2 (ja) 1987-08-07 1996-10-30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光学活性化合物
JPH0517652Y2 (ko) * 1987-09-08 1993-05-12
CN88204414U (zh) * 1988-04-28 1988-11-09 宋梅花 医疗检验采便器
JP2632431B2 (ja) 1990-06-28 1997-07-23 大福工営株式会社 安全装置付き作業台車
JPH0459468U (ko) 1990-09-27 1992-05-21
JP2914761B2 (ja) 1990-12-07 1999-07-05 ソーダニッカ株式会社 検査用生体試料採取容器
JPH0726701Y2 (ja) 1991-03-08 1995-06-14 東洋製罐株式会社 検体採取容器
JPH0571749A (ja) 1991-09-10 1993-03-23 Toshiba Ave Corp 空気調和機のドレン処理装置
JPH0571749U (ja) 1992-01-20 1993-09-28 株式会社タウンズ 採便器具
JP3199859B2 (ja) 1992-08-28 2001-08-20 マツダ株式会社 加速度センサ
TW235237B (ko) * 1992-12-18 1994-12-01 Eiken Chemical
JPH0749345A (ja) 1993-08-03 1995-02-21 Dainippon Printing Co Ltd 採便スティック
JP3013922B2 (ja) * 1994-10-11 2000-02-28 大和コンピューターサービス株式会社 容器識別ラベル
JPH0915239A (ja) * 1995-07-03 1997-01-17 Dainippon Printing Co Ltd 糞便潜血検出用診断具
JPH10319844A (ja) * 1997-05-22 1998-12-04 Kyodo Shiko Kk ラベル及びラベル付き容器
CN2479496Y (zh) * 2001-07-06 2002-02-27 北京倍爱康生物技术有限公司 一次性采便器
WO2005064578A1 (en) * 2003-12-31 2005-07-14 Ayzala Pty Ltd A method of prioritising a sample
JP2005249553A (ja) 2004-03-03 2005-09-15 Tokyo Univ Of Pharmacy & Life Science 検便用採便具、これと組み合わせて使用するコネクタ、検体採取ホルダ、及び検体採取容器
JP4319590B2 (ja) * 2004-07-12 2009-08-26 アルフレッサファーマ株式会社 採便容器
WO2007069731A1 (ja) 2005-12-16 2007-06-21 Nipro Corporation 便採取容器
JP2007170997A (ja) 2005-12-22 2007-07-05 Bml Inc ウィルス浮遊液の採取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435A (ko) 2022-01-04 2023-07-11 주식회사 에이아이바이오틱스 자동 채변 장치, 이를 구비한 좌변식 변기 및 이를 사용한 채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52281B (zh) 2014-09-11
EP2375233B1 (en) 2020-02-26
JP5424416B2 (ja) 2014-02-26
WO2010067534A1 (ja) 2010-06-17
US20110243816A1 (en) 2011-10-06
TW201027059A (en) 2010-07-16
EP2375233A1 (en) 2011-10-12
US8562919B2 (en) 2013-10-22
KR20110102320A (ko) 2011-09-16
EP2375233A4 (en) 2017-10-18
CN102246019B (zh) 2014-12-31
CN102246019A (zh) 2011-11-16
JPWO2010067534A1 (ja) 201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213B1 (ko) 채변기
JP5899315B2 (ja) サンプル収集キット
ES2790881T3 (es) Aparato de recogida y análisis de muestras de líquido
US62911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human saliva for testing
JP4825268B2 (ja) 体液を採集する構造、システ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50106753A1 (en) Sanitary fluid collection, application and storage device and methods of use of same
JPH03176664A (ja) 医療用分析装置の試薬供給システム
JP4662891B2 (ja) 採便容器
JP6989439B2 (ja) 包装容器、血液検査キット及び血液分析方法
WO2017104132A1 (ja) 採便器、便検体中の成分の測定方法、便検体中の成分の安定化方法、及び、便検体の保存方法
US20210228191A1 (en) Animal specimen collection tool
EP3989839B1 (en) Specimen collection device
JP6604523B2 (ja) 採便器
KR101927053B1 (ko) 액상 시료 채취 장치
WO2019220938A1 (ja) 血液検体案内器具、及び血液検査キット
KR102080416B1 (ko) 혈액 검사 키트, 그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0484486Y1 (ko) 시료채취장치
US11442070B2 (en) Blood analysis method and blood test kit
CN110088622A (zh) 血液分析方法及血液检查试剂盒
KR20220059488A (ko) 생물학적 유체 검사 장치, 특히 타액 검사 장치
JP2001108581A (ja) 尿検体の採取・保存方法及びその器具
AU2018363712A1 (en) Sample acquiring device holder for a housing of an analysis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