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081B1 -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 및 그 용기에 내용물이 충전된 튜브 - Google Patents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 및 그 용기에 내용물이 충전된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081B1
KR101589081B1 KR1020090008251A KR20090008251A KR101589081B1 KR 101589081 B1 KR101589081 B1 KR 101589081B1 KR 1020090008251 A KR1020090008251 A KR 1020090008251A KR 20090008251 A KR20090008251 A KR 20090008251A KR 101589081 B1 KR101589081 B1 KR 101589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diameter
closed
contents
tub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1009A (ko
Inventor
히론도 아사이
고오지 도쿠다
고조 시모다
Original Assignee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1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65D35/46Closures with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Abstract

에어 백이 적고, 구성이 간단한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튜브를 제공한다.
캡(9)의 바늘체(10)로 천공되는 폐쇄막(5)을 가지는 주둥이부(2)와, 통형상의 몸통부(8)를 구비한 폐쇄막 튜브 용기(1)에서, 상기 몸통부(8)가 알루미늄층을 가지고, 그 알루미늄층의 두께가 50μm 이하이며, 상기 캡(9)의 바늘체(10)의 직경 및 그 바늘체(10)에 의해 천공되는 폐쇄막(5)의 구멍의 직경이 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1).
폐쇄막, 튜브 용기, 바늘체, 통형상, 몸통부, 알루미늄, 캡.

Description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 및 그 용기에 내용물이 충전된 튜브{TUBE VESSEL HAVING A CLOSURE FILM AND A TUBE FILLED WITH CONTENT IN THE VESSEL}
본 발명은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 용기의 에어 백(air back)을 적게 한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 및 그 용기에 내용물이 충전된 튜브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 9-202338호
종래, 크림, 연고 등의 약제 등의 내용물을 충전하는 일반적인 튜브 용기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합성 수지 또는 라미네이트재로 이루어지는 튜브 용기(50)가 있다. 이 튜브 용기(50)는 내용물(51)을 밀어낸 후, 즉시 튜브 용기(50)의 복원력에 의해, 에어(52)가 튜브 용기(50) 내에 유입(에어 백)되기 때문에, 에어 백한 에어(52)와 내용물(51)이 혼합되어 내용물이 열화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역류 방지 밸브가 달린 튜브 용기가 있다. 도면 중의 부호 100은 용기 본체이며, 이 용기 본체(100)의 주둥이부(101)에는 역류 방지 밸브(102)가 끼워 맞춰져 있다. 그리고 이 역류 방지 밸브(102)의 구체 수납부(103) 내에는 구체(106)가 내장되고, 구체(106)는 상부의 볼 멈춤부(109)와, 하부(104)에 형성된 돌기부(108) 사이를 상하 이동이 자유롭게 움직인다. 이 용기 본체(100)의 주둥이부(101)에는 캡(107)이 나사 결합됨으로써, 용기 본체(100)의 주둥이부(101)의 개구가 폐쇄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역류 방지 밸브(202)는 마찬가지로 용기 본체(200)의 주둥이부(201) 내에 통부(203)가 끼워 맞춰져 있다. 이 통부(203)의 하방에는 반경 방향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바닥부(204)와, 이 바닥부(204)와 폭이 좁은 연결부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설편(舌片)형상 밸브(20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용기 본체(100, 200)의 주둥이부(101, 201)에는 통상의 캡(107, 207)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들 역류 방지 밸브가 끼워 맞춰진 튜브 용기(100, 200) 내에 내용물이 충전된 후, 튜브 용기(100, 200)의 몸통부를 가압하면, 구체(106) 또는 설편형상 밸브(206)를 밀어 올려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된다. 튜브 용기(100, 200)의 몸통부의 가압을 멈추면, 튜브 용기(100, 200)의 몸통부의 복원력에 의해, 구체 수납부(103)또는 통부(203)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은 튜브 용기(100, 200) 내로 되돌려짐과 동시에, 외기를 빨아들이려고 하지만, 구체(106) 또는 설편형상 밸브(206)가 밸브 구멍(105, 205)을 막음으로써, 일단 구체(106) 또는 설편형상 밸브(206)로부터 위로 흘려 보낸 내용물이 용기 본체(100, 200) 내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용기 본체(100, 200) 내로의 에어 백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역류 방지 밸브(200)의 문헌으로서는 특허문헌 1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에 있어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문제가 있었다.
(1) 소비자가 튜브 용기 내의 내용물을 사용하기 전까지는 에어에 닿지 않도록 유통, 진열 등의 판매 단계에 놓여 있지만, 폐쇄막을 찢고, 개봉 후에 내용물을 밀어내어 사용한 후는, 몸통부가 탄력적으로 복원하기 쉽고, 또 바늘체로 형성한 구멍 직경이 2.0~8.0mm로 크기 때문에 에어가 튜브 용기 내로 에어 백하여 내용물과 혼합되기 쉽다. 그 때문에 단기간에 내용물이 열화한다.
(2) 역류 방지 밸브를 주둥이부에 설치한 것은 에어 백을 억제할 수 있지만, 제조 비용이 비싸짐과 아울러 주둥이부의 구조가 복잡해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역류 방지 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내용물을 밀어낸 후 즉시 튜브 용기 내로 에어 백하는 에어를 현저히 적게 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며, 개봉 후의 내용물의 보존성이 우수한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 및 그 용기에 내용물이 충전된 튜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의 해결 수단은, 캡의 바늘체로 천공되는 폐쇄막을 가지는 주둥이부와, 통형상의 몸통부를 구비한 폐쇄막 튜브 용기에서, 상기 몸통부가 알루미늄층을 가지고, 그 알루미늄층의 두께가 50μm 이하이며, 상기 캡의 바늘체의 직경 및 그 바늘체에 의해 천공되는 폐쇄막의 구멍의 직경이 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이다.
제2항의 발명의 해결 수단은, 상기 튜브 본체의 몸통부의 알루미늄층 대신에,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이다.
제3항의 발명의 해결 수단은, 상기 어느 하나의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로서, 상기 폐쇄막으로 닫히는 토출구의 직경이 폐쇄막에 천공된 구멍보다 크고, 그것에 의해 토출구 내에 액 고임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액 고임부의 직경이 2mm 이상이고, 길이가 4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이다.
제4항의 발명의 해결 수단은, 상기 어느 하나의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로서, 상기 튜브 용기에 충전되는 내용물의 점도가 100~10000mP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이다.
제5항의 발명의 해결 수단은, 상기 서술한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와, 그 튜브 용기에 충전되는 내용물로 이루어지는 튜브이다.
제6항의 발명의 해결 수단은, 상기 내용물이 약효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튜브이다.
제7항의 발명의 해결 수단은, 상기 내용물의 약효 성분이 항히스타민제, 항염증제, 진양제, 항진균제, 각질 연화제, 수렴·피부 보호제, 국소 마취제 및 보습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튜브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폐쇄막에 바늘체에 의해 형성된 구멍이 토출구보다 상당히 작기 때문에 내용물을 밀어낸 후, 토출구 내에 남는 내용물이 튜브 용기 내로 되돌아가기 어렵다. 그 때문에 튜브 용기 내로 에어 백하는 에어의 양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어, 내용물의 보존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또 역류 방지 밸브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한 효과를 가진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X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몸통부 층구조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 몸통부 층구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 단면도, 도 7은 도 6의 Y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또는 내용물이 충전된 튜브)를 도시한다. 도면 중의 부호 1은 튜브 용기이다. 그 튜브 용기(1)는 선단부에 원통형상의 주둥이부(2)를 가지고 있다. 그 주둥이부(2)의 상부에는 주둥이 상부(3)가 설치되어 있고, 그 주둥이 상부(3)의 내부에는 내용물을 일시적으로 모으기 위한 액 고임부를 겸하는 토출구(4)가 형성되어 있다. 그 토출구(4)의 하단은 폐쇄막(5)에 의해 막혀 있다. 상기 주둥이부(2)의 하방에는 원뿔대형상의 숄더부(6, 7)가 설치되고, 그 숄더부(6, 7)의 하단으로부터 아래로 원통형상의 몸통부(8)가 연장되어 있다.
상기 폐쇄막(5)은 알루미늄박 또는 가스 배리어성의 수지 등으로 구성되고, 주둥이부(2)의 상단의 개구를 닫음과 아울러, 주둥이부(2) 및 숄더부(6, 7)의 범위에서는, 그 표면 또는 이면에 단층 또는 다층의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다. 즉 그 범위에서는, 폐쇄막(5)은 내면측의 내측 숄더(6)와 외면측의 튜브 숄더(7)에 의해 끼워져 부착된 형태로 되어 있다. 튜브 숄더(7)의 수지층은 폐쇄막(5)의 상면을 덮고, 주둥이 상부(3)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에 충전되는 내용물로서는, 예를 들어 액제, 연고제, 크림제, 겔 크림제나 겔제 등을 들 수 있다. 액제, 크림제, 겔 크림제 및 겔제는 통상, 알코올, 겔화제, 유분, 물, 및 계면활성제 등을 함유한다.
알코올은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코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의 알코올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3의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겔화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의 아크릴산계 고분자,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나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유분은, 예를 들어 스쿠알란, 유동파라핀 등의 탄화수소류나,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및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등의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지방산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모노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 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메틸글루코시드지방산에스테르, 알킬폴리글루코시드 등의 다가 알코올지방산에스테르 또는 다가 알코올알킬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탄올,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탄올,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모노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식물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에테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는 2~18이 바람직하고, 특히 3~17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의 HLB가 3~10이 바람직하고, 특히 4~8이 바람직하다.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의 HLB가 2~10이 바람직하고, 특히 3~6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의 HLB가 9~18이 바람직하고, 특히 14~17이 바람직하다.
액제에서의 알코올의 함유량은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25~60질량%, 바람직하게는 30~55질량%이다. 겔화제의 함유량은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0~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5질량%이다. 유분의 함유량은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0~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8질량%이다.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전체량에 대해서 통 상 0~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질량%이다. 물의 함유량은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20~6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50질량%이다.
크림제에서의 알코올의 함유량은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0~25질량%, 바람직하게는 0~10질량%이다. 겔화제의 함유량은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0~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2질량%이다. 유분의 함유량은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5~3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30질량%이다.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0.01~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5질량%이다. 물의 함유량은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20~9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80질량%이다.
겔 크림제에서의 알코올의 함유량은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25~60질량%, 바람직하게는 30~50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0~40질량%이다. 겔화제의 함유량은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0.01~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5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5~2.5질량%이다. 유분의 함유량은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5~3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30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20질량%이다.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0.01~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5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5질량%이다. 물의 함유량은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20~6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50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0~50질량%이다.
겔제에서의 알코올의 함유량은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25~6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50질량%이다. 겔화제의 함유량은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0.01~5질량%, 바람직하게는 0.05~5질량%이다. 유분의 함유량은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0~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8질량%이다.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전체량에 대해서 통 상 0~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질량%이다. 물의 함유량은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20~6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50질량%이다.
상기 튜브 용기에 충전되는 내용물에는 약효 성분이나 각종 임의 성분(예를 들어 pH 조절제, 보존제, 안정화제 및 습윤제 등)을 원하는대로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약효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항히스타민제, 항염증제, 진양제, 항진균제, 각질 연화제, 수렴·피부 보호제, 국소 마취제, 보습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약효 성분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도 된다.
항히스타민제로서는 예를 들어 디펜히드라민, 염산디펜히드라민, 라우릴황산디펜히드라민, 말레산클로르페니라민, 염산이소치페질 등을 들 수 있다.
항염증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히드로코르티손, 아세트산프로피온산히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솔론, 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트산메틸프레드니솔론, 발레르산아세트산프레드니솔론, 디플루프레드네이트, 발레르산아세트산디플루코르톨론, 플루오시놀론아세토니드, 플루드록시코르티드, 플루오시노니드, 할시노니드, 암시노니드, 피발산플루메타손, 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드, 덱사메타손, 아세트산덱사메타손, 발레르산덱사메타손, 프로피온산덱사메타손, 디프로피온산베타메타손, 프로피온산베클로메타손, 부티르산클로베타손, 프로피온산클로베타졸, 아세트산디플로라손, 부티르산프로피온산베타메타손, 부펙사막, 벤다작, 플루페남산부틸 등의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테녹시캄, 인도메타신, 디클로페낙나트륨, 플루페남산, 부펙 사막, 잘토프로펜, 나프록센, 이부프로펜, 플루루비프로펜, 케토티펜, 플루루비프로펜악세틸, 펜부펜, 록소프로펜나트륨, 펠비낙, 메페남산, 피록시캄, 암피록시캄 등의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를 들 수 있다.
진양제로서는, 예를 들어 크로타미톤, 살리실산메틸 등을 들 수 있다.
항진균제로서는, 예를 들어 질산미코나졸, 비포나졸, 염산크로코나졸, 클로트리마졸, 질산에코나졸, 질산이소코나졸, 질산옥시코나졸, 질산술코나졸, 케토코나졸, 염산네티코나졸, 나이스타틴, 피마리신, 시카닌, 트리코마이신, 바리오틴, 톨시클레이트, 톨나프테이트, 염산부테나핀, 텔비나핀, 복합운데실렌산, 시클로피록스올라민, 엑살라미드, 할로프로긴, 페닐요오드운데실렌산 등을 들 수 있다.
각질 연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살리실산, 요소 등을 들 수 있다.
수렴·피부 보호제로서는, 예를 들어 구아이아줄렌, 포비돈요오드, 헤파린 유사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국소 마취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미노벤조산에스테르, 염산옥시부프로카인, 염산디부카인, 염산테트라카인, 염산파라부틸아미노벤조산디에틸아미노에틸, 염산부피바카인, 염산프로카인, 염산메피바카인, 염산로피바카인 수화물, 옥세타자인, 피페리디노아세틸아미노벤조산에틸, 리도카인, 염산리도카인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어 요소, 헤파린 유사 물질, 피롤리돈카르복실산, 콜라겐, γ-오리자놀, γ-리놀레인산, 리놀산, 비타민E, 비타민D, 비타민A, 스쿠알렌, 스쿠알란,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세라미드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절제로서는, 구연산, 인산, 주석산, 락트산 등의 유기산, 염산 등의 무기산, 수산화나트륨 등의 수산화 알칼리금속,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의 아민류 등을 들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류, 염화벤잘코늄 등을 들 수 있다.
안정화제로서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에데토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또 습윤제로서는,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올레일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액제, 연고제, 크림제, 크림 겔제나 겔제 등의 상기 튜브 용기에 충전되는 내용물은 공지의 방법(예를 들어 제15 개정 일본약국방 제제 총칙 등)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의 제1 실시형태의 튜브 용기(1)의 몸통부(8)는 튜브 숄더(7)의 하단부의 상면에, 원재료 시트를 둥글려 감아서 용착됨으로써 만들어진다. 몸통부(8)를 구성하는 원재료 시트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알루미늄박(11)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가스 배리어층)을 가지고, 양면을 수지층(12)으로 끼워서 부착하여 구성되는 라미네이트의 원재료 시트이다. 알루미늄박(11)의 양측의 수지층(12)으로서는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폴리에틸렌 수지, 에틸렌메타크릴산코폴리머 수지, 복합 나일론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부터 선택되어 구성되는 다 층의 수지층(12)이 적합하지만, 폴리에틸렌 수지의 단층이어도 된다.
이 몸통부(8)의 알루미늄박(11)의 두께(도 2에 도시한 치수 t)를 50μm이하, 바람직하게는 10~35μm로 함으로써, 몸통부(8)가 부드러워져, 몸통부(8)의 복원력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에어 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10μm 미만에서는 강도가 불충분하다. 또 이것과 더불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9)의 바늘체(10)의 직경 및 천공되는 폐쇄막(5)의 구멍(5a)의 직경(치수 a)을 2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8~1.5mm로 하면, 내용물을 밀어낸 직후에 튜브 용기(1) 내에 에어가 들어가기 어려우므로, 에어 백을 감소시킬 수 있다. 1.5mm 이하로 하면 한층 에어가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0.8mm 미만에서는 내용물을 밀어내기 어려워진다. 또 토출구(4)의 내경과 폐쇄막(5)의 구멍의 직경의 차는 0.3~8.0mm정도가 바람직하다. 도 1의 제1 실시형태에서는 바늘체(10)의 선단이 원추형이고, 선단 부근의 직경은 근본부의 직경보다 좁다.
종래는 튜브 용기(1)의 내용물을 밀어낸 후, 즉시 튜브 용기(1) 내에 에어가 다량으로 유입되었지만, 몸통부(8)의 알루미늄박(11)의 두께를 얇게, 또한 폐쇄막(5)의 천공되는 구멍(5a)의 직경(치수 a)을 작게 한정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스퀴즈(밀어내기) 직후의 에어 백량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몸통부의 알루미늄층 대신에,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층(21)을 중간층(가스 배리어층)으로서 채용한다. 또한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으로서는,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에틸렌비 닐알코올 공중합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층(21)의 양측의 수지층(22)의 층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몸통부(18)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21)의 두께를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5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9~12μm로 함과 아울러, 폐쇄막(5)의 구멍(5a)의 직경을 2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8~1.5mm로 함으로써, 몸통부(18)의 복원력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튜브 용기(1) 내에 유입되는 에어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어, 내용물을 밀어낸 직후의 에어 백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제1 실시형태에서의 몸통부의 알루미늄층 대신에,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인 나일론 수지층(31)을 채용한다. 나일론 수지층(31)의 양측의 수지층(32)의 층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몸통부(28)의 나일론 수지층(31)의 두께를 5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25μm로 함과 아울러, 폐쇄막(5)의 구멍(5a)의 직경(치수 a)을 2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8~1.5mm로 함으로써, 몸통부(28)의 복원력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튜브 용기(1) 내에 유입되는 에어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고, 내용물을 밀어낸 직후의 에어 백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튜브 용기(1)의 폐쇄막(5)의 주둥이 상부(3)에 형성된 토출구(4)의 내경(치수 b)을 바늘체로 천공되는 폐쇄막(5)의 구멍(5a)의 직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토출구(4)를 액 고임부로서 기능시키 고 있다. 토출구의 내경은 2mm 이상, 바람직하게는 2~3mm로 하고, 길이 C를 4mm 이상, 바람직하게는 4~10mm로 하고 있다. 또 튜브 용기(1)에 충전되는 내용물의 점도를 100~10000mPa·s(B형 점도계, 로터 No.4, 회전수 60rpm, 25℃)로 함으로써 내용물을 밀어낸 직후의 에어 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1) 몸통부의 알루미늄층 또는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의 두께를 50μm 이하로 하고, (2) 천공되는 폐쇄막의 구멍의 직경을 2mm 이하로 하고, (3) 주둥이 상부의 액 고임부의 직경(치수 b)을 2mm 이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액 고임부(4)의 치수 C를 4mm 이상으로 하고, (4) 튜브 용기(1) 내에 충전되는 내용물의 점도를 100~10000mPa·s의 내용물로 하는 경우에서, 내용물이 액 고임부(4)에 경시적으로 오래 고여서, 내용물이 즉시 튜브 용기(1) 내로 되돌아가지 않는다. 따라서, 에어가 즉시 튜브 용기(1) 내로 에어 백하는 것을 한층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의 실시형태와, 본 실시형태를 조합시킨 발명이 가장 효과적으로 에어 백을 방지할 수 있었다.
도 6은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튜브 숄더(37)의 직하 부근, 즉 몸통부(38)의 상단 위치에, 얇은 박육부(39)가 형성되고, 그 하방에 후육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육부(39)는 외주벽 또는 내주벽 중 어느 하나에 단차(치수 S)를 두고 형성되면 된다. 제5 실시형태에 의하면, 튜브 숄더(37)의 직하 부근의 몸통부(38)를 튜브 숄더(37) 내에 용이하게 접는 것이 가능해지고, 몸통부(38) 및 튜브 숄더(37) 근방의 내용물을 완전히 짜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실시예 5에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로부터 제4 실시형태까지를 조합시킨 경우, 효과적으로 에어 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봉 전에 있어서, 폐쇄막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에어의 진입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봉 직후에 있어서도, 에어 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통, 판매 과정 뿐만 아니라, 사용 후도 에어 백에 의한 내용물의 열화를 가능한 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용기는 의약품, 식품 등을 충전하는 것에도 널리 적합하며, 다방면에 걸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X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몸통부 층구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 몸통부 층구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Y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에어 백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래의 튜브 용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역류 방지 밸브가 달린 튜브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역류 방지 밸브가 달린 튜브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튜브 용기
3…주둥이 상부
4…토출구(액 고임부)
5…폐쇄막
5a…구멍
8, 18, 28, 38…몸통부
9…캡
10…바늘체
11…알루미늄층
15…내용물
21…가스 배리어성 수지층(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31…가스 배리어성 수지층 (나일론)

Claims (7)

  1. 캡의 바늘체로 천공되는 폐쇄막을 가지는 주둥이부와, 통형상의 몸통부를 구비한 폐쇄막 튜브 용기에서,
    상기 몸통부가 알루미늄층을 가지고, 그 알루미늄층의 두께가 50μm 이하이며,
    상기 폐쇄막으로 닫히는 토출구의 직경이 폐쇄막에 천공된 구멍보다 크고, 그것에 의해 토출구 내에 액 고임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액 고임부의 직경이 2mm 이상이고, 길이가 4mm 이상이고,
    상기 캡의 바늘체의 직경 및 그 바늘체에 의해 천공되는 폐쇄막의 구멍의 직경이 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
  2. 캡의 바늘체로 천공되는 폐쇄막을 가지는 주둥이부와, 통형상의 몸통부를 구비한 폐쇄막 튜브 용기에서,
    상기 몸통부가 알루미늄층을 가지고, 그 알루미늄층의 두께가 50μm 이하이며,
    상기 캡의 바늘체의 직경 및 그 바늘체에 의해 천공되는 폐쇄막의 구멍의 직경이 2mm 이하이고,
    상기 튜브 용기에 충전되는 내용물의 점도가 100~10000mP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알루미늄층 대신에,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알루미늄층 대신에,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
  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의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와, 그 튜브 용기에 충전되는 내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약효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의 약효 성분이 항히스타민제, 항염증제, 진양제, 항진균제, 각질 연화제, 수렴·피부 보호제, 국소 마취제 및 보습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KR1020090008251A 2008-02-21 2009-02-03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 및 그 용기에 내용물이 충전된 튜브 KR101589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40538A JP5525135B2 (ja) 2008-02-21 2008-02-21 閉鎖膜付きチューブ容器およびその容器に内容物が充填されたチューブ
JPJP-P-2008-040538 2008-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009A KR20090091009A (ko) 2009-08-26
KR101589081B1 true KR101589081B1 (ko) 2016-01-27

Family

ID=4114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251A KR101589081B1 (ko) 2008-02-21 2009-02-03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 및 그 용기에 내용물이 충전된 튜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25135B2 (ko)
KR (1) KR101589081B1 (ko)
CN (1) CN1015497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5423A (ja) * 2008-06-02 2009-12-10 Kowa Co 外用製剤
CN102582924A (zh) * 2012-02-17 2012-07-18 上海万汇塑料包装容器有限公司 一种新型软管及其生产工艺
ES2755038T3 (es) * 2015-04-08 2020-04-21 Fujimori Kogyo Co Recipiente tubular
CN114834720A (zh) * 2016-04-15 2022-08-02 京洛株式会社 层叠剥离容器
CN107912809A (zh) * 2016-10-10 2018-04-17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电子烟烟液胶囊
KR200487565Y1 (ko) * 2017-01-11 2018-10-05 권민재 일회용 미스트 장치
CN110371464B (zh) * 2018-04-12 2022-03-25 创新产品品牌公司 具有改进的锁定帽插入物以减少物质在锁定帽闭合后泄漏的用于层压管的儿童保护锁定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3058A (ja) 2006-02-21 2007-09-06 Takeuchi Press Ind Co Ltd 閉鎖膜チューブ容器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41977C2 (de) * 1982-11-12 1985-11-28 Automation Industrielle S.A., Vouvry Verpackungstube
JPH0624352Y2 (ja) * 1984-11-09 1994-06-29 大成化工株式会社 盲蓋付き押し出しチューブ
JPS6451057U (ko) * 1987-09-19 1989-03-29
JP3275150B2 (ja) * 1991-11-18 2002-04-15 大和製罐株式会社 チューブ容器の肩部、頸部被覆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627386B2 (ja) * 1992-09-24 1997-07-02 田岡化学工業株式会社 瞬間接着剤用開封針ピン付きキャップ
CN1281461C (zh) * 1999-05-31 2006-10-25 株式会社吉野工业所 合成树脂制管状容器
JP2003190254A (ja) * 2001-12-25 2003-07-08 Takeuchi Press Ind Co Ltd 針付きキャップを螺合した閉鎖膜チューブ
CN2516478Y (zh) * 2002-01-25 2002-10-16 王奎义 气压式单向流动弹力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3058A (ja) 2006-02-21 2007-09-06 Takeuchi Press Ind Co Ltd 閉鎖膜チューブ容器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96671A (ja) 2009-09-03
KR20090091009A (ko) 2009-08-26
JP5525135B2 (ja) 2014-06-18
CN101549766B (zh) 2012-09-26
CN101549766A (zh)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081B1 (ko) 폐쇄막이 달린 튜브 용기 및 그 용기에 내용물이 충전된 튜브
CN1090538C (zh) 用于不含推进剂的计量气雾剂的药筒及用于药筒容器的封盖
CN1960705B (zh) 治疗性泡沫
CN107106393B (zh) 含安全阀的口袋
JP6033683B2 (ja) 液体製剤を計量放出する計量装置、計量装置の動作方法、及び計量装置の使用
WO2017080521A1 (zh) 单针混药器、硬双接口及输液软袋
AU2011252212B2 (en) Filling
JP4684992B2 (ja) ガス溶解製品の貯蔵および小出し装置
JPH0699903A (ja) 改良された柔軟性容器
CN104023770A (zh) 多腔混合容器
JP2019031318A (ja) スパウト
JP5302550B2 (ja) 閉鎖膜付きチューブ容器およびその容器に内容物が充填されたチューブ
JP2006263261A (ja) 複室容器及び内容物排出方法
JP2009285423A (ja) 外用製剤
JP2002255199A (ja) 流動食用の注出口付きパウチ
JP3188806U (ja) 液体容器のポンプ吸引管
WO2006064567A1 (ja) ゲル状またはペースト状の内容物と気体を封入した包装物
CN105213187A (zh) 一种碳酸氢钠注射液的包装
CN203861583U (zh) 三腔室输液袋
JP2011136734A (ja) 含油液状製剤用包装袋およびこれに含油液状製剤を収納したラミネート包装型製品
JP5726660B2 (ja) 吐出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該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吐出製品
JP2019031048A (ja) 筒状成形体
WO2011104037A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osierbaren applikationsfertigen präparates
JP5688694B2 (ja) ラミネート包装型製品
JP2005211543A (ja) 医療用混合型薬液封止体および封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