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757B1 -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 - Google Patents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757B1
KR101588757B1 KR1020100063142A KR20100063142A KR101588757B1 KR 101588757 B1 KR101588757 B1 KR 101588757B1 KR 1020100063142 A KR1020100063142 A KR 1020100063142A KR 20100063142 A KR20100063142 A KR 20100063142A KR 101588757 B1 KR101588757 B1 KR 101588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pedal arm
pedal
welded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323A (ko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3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75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2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스토퍼의 부착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용접부 탈락시에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클러치 페달의 페달암에 장착되는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에 있어서, 페달암의 측면에 스토퍼의 일부가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는 끼움부에 끼워져 페달암 사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구조의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STOPER OF CLUTCH PEDAL}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클러치 페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안전성을 높인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변속기 탑재 차량에서는 시동과 변속을 위하여 변속기로 전달되는 엔진의 동력을 차단해줄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클러치 시스템이 사용된다.
클러치 시스템은 유압력을 가하기 위한 마스터실린더 조립체와 이 마스터실린더 조립체를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페달을 포함한다. 이에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조작하게 되면 마스터실린더 조립체 내에 유압이 발생하게 되며, 이 유압은 최종적으로 트랜스미션측의 클러치 레버를 밀어 동력을 차단하게 된다. 반대로 클러치 페달의 답력을 해제하게 되면 유압이 리턴되어 엔진의 동력이 트랜스미션으로 전달된다.
상기 클러치 페달은 페달이 설치된 페달암과, 페달암에 응답성을 부여하기 위한 유압기구 등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페달암에는 페달암의 조작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는 페달암이 한계값 이상으로 회동시 설비에 걸려져 페달암의 과다한 스트로크를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는 페달암의 일측면에 용접으로 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페달을 한계치 이상으로 밟았을 때 스토퍼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스토퍼가 페달암으로부터 떨어져나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는 페달 조작시 스토퍼에 가해지는 하중이 스토퍼의 용접부위에 집중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페달암을 끝까지 회동시켰을 때 스토퍼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스토퍼가 변경되거나 탈락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유압계가 파손되어 차량의 변속이 불가능해지게 된다.
이에, 스토퍼의 부착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된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를 제공한다.
또한, 용접부 탈락시에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클러치 페달의 페달암에 장착되는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충격흡수 부재가 설치되는 중간부재와, 상기 중간부재의 양 선단부에서 연장되고 각도를 두고 벤딩된 벤딩부, 상기 중간부재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암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는 끼움부에 가이드부가 끼워져 설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끼움부는 페달암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가이드부가 상기 끼움부를 관통하여 페달암 양쪽 측면에서 용접되는 구조일 수 있다.
한편, 본 장치는 클러치 페달의 페달암에 장착되는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충격흡수 부재가 설치되는 중간부재와, 상기 중간부재의 양 선단부에서 연장되고 각도를 두고 벤딩된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암의 측면에는 상기 벤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벤딩부가 삽입되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는 끼움부에 벤딩부가 끼워져 설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끼움부는 페달암 측단에서 내측으로 절단되어 벤딩부가 끼워지는 슬롯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벤딩부가 상기 끼움부에 끼워져 페달암 양쪽 측면에서 용접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장치에 의하면, 페달암에 대한 스토퍼의 부착 강도를 개선하여 스토퍼의 탈락을 방지하고 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토퍼의 용접 불량시에도 스토퍼가 보다 안정적으로 페달암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스토퍼의 크기 축소가 가능하여 원가 및 중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토퍼를 페달암에 끼운 후 용접할 수 있어 종래 용접용 지그 설비가 불필요하여 설비 투자비를 줄이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의 중량을 보다 가볍게 하여 원가 경쟁력을 높이고, 연비를 개선함으로써 차량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 장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라 스토퍼가 클러치 페달의 페달암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 장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라 스토퍼가 클러치 페달의 페달암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가 클러치 페달의 페달암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 클러치 페달의 페달암에 장착되는 스토퍼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0)는 클러치 페달(10)을 구성하는 페달암(12)에 설치된다. 상기 페달암(12)은 차체 상에 설치되는 프레임(1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프레임(14)에 대해 페달암(12)이 회동되면 페달암(12)에 설치되는 스토퍼(20)가 프레임(14)에 형성된 걸림부(18)에 걸려 더 이상 페달암(12)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20)는 직사각형태의 판구조물로, 중간부재(22)와, 중간부재(22)의 길이방향 양쪽 선단부에 벤딩 형성된 벤딩부(24)를 포함하여, 마치 채널 형태의 단면구조를 이룬다. 상기 중간부재(22)는 상기 걸림부(18)와 접하는 부분으로, 걸림부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줄일 수 있도록, 충격 흡수부재(29)가 설치된다. 상기 벤딩부(24)는 중간부재(22)가 걸림부(18)에 눌려질 때 받는 힘을 지탱할 수 있도록 걸림부(18) 반대쪽으로 벤딩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토퍼(20)는 페달암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페달암(12)의 측면에 접하는 중간부재(22)의 측단에 가이드부(26)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페달암(12)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26)가 끼워지는 삽입홀(2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20)는 가이드부(26)가 삽입홀(28)에 끼워진 상태에서 페달암(12)의 양쪽 면에서 용접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삽입홀(28)은 대략 가이드부(26)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26)는 스토퍼(20)의 중간부재(22)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26)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퍼(20)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부(26)의 돌출 길이는 페달암(12)의 두께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가이드부(26)가 삽입홀(28)을 관통하여 페달암(12)의 반대쪽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페달암(12)에 대해 스토퍼(20)를 용접하여 고정할 때 페달암(12)의 양면에서 스토퍼(20)의 용접이 가능하게 된다. 즉, 스토퍼(20)와 접하는 면에서는 스토퍼(20) 측단과 페달암(12) 사이를 용접하고, 그 반대쪽 면에서는 삽입홀을 관통한 가이드부(26)와 페달암(12) 사이를 용접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페달암(12)이 끝까지 회동되는 경우 스토퍼(20)가 프레임(14)의 걸림부(18)에 걸려 하중이 가해지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암(12)이 끝까지 눌려지면 스토퍼(20)는 프레임(14)의 걸림부(18)에 걸려 페달암(12)의 회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때 걸림부(18)를 통해 스토퍼(20)에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여기서 본 스토퍼(20)는 가이드부(26)를 매개로 페달암(12)에 장착된 구조로, 스토퍼(20)에 가해지는 하중은 삽입홀(28)에 끼워져 있는 가이드부(26)를 통해 페달암(12)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스토퍼(20)는 용접부 뿐만 아니라 페달암(12)에 의해 하중이 지지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스토퍼(20)가 용접만으로 페달암(12) 측면에 부착되어 있어 하중이 용접부위에 집중된다. 이 경우 스토퍼(20)의 용접부가 집중 하중에 의해 쉽게 탈락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본 스토퍼(20)는 하중이 가이드부(26)를 통해 페달암(12)으로 전달되므로 스토퍼(20)에 가해지는 하중이 용접부와 페달암(12) 전체로 분산된다. 이러한 분산 하중에 의해 스토퍼(20)의 접합 강도가 더욱 커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스토퍼(20)는 페달암(12)의 양면에서 용접됨으로써 페달암(12)과의 접합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스토퍼(20)에 걸리는 하중은 페달암(12) 양면 용접부 사이에서 페달암(12)으로 전달되므로, 페달암(12) 양면의 각 용접부는 서로간의 영향을 덜 받게 된다. 이에 페달암(12)의 양면 용접부 중 한쪽 용접부가 불량인 경우에도 다른 쪽의 용접부에 의해 용접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20)의 접합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와 도 5는 본 스토퍼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20)는 직사각형태의 판구조물로, 중간부재(22)와, 중간부재(22)의 길이방향 양쪽 선단부에 벤딩 형성된 벤딩부(24)를 포함하여, 마치 채널 형태의 단면구조를 이룬다. 상기 중간부재(22)는 상기 걸림부(18)와 접하는 부분으로, 걸림부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줄일 수 있도록, 충격 흡수부재(29)가 설치된다. 상기 벤딩부(24)는 중간부재(22)가 걸림부(18)에 눌려질 때 받는 힘을 지탱할 수 있도록 걸림부(18) 반대쪽으로 벤딩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20)가 페달암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페달암(12)의 측면에 접하는 중간부재(22)의 측단에 가이드부(26)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페달암(12)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26)가 끼워지는 삽입홀(2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20)는 가이드부(26)가 삽입홀(28)에 끼워진 상태에서 페달암(12)의 양쪽 면에서 용접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삽입홀(28)은 대략 가이드부(26)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20)의 장착을 위해 상기 페달암(12)은 측단에서 내측으로 절단되어 스토퍼(20)가 끼워지는 슬롯(30)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롯(30)은 스토퍼(20)의 벤딩부(24) 절곡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슬롯(30)의 형성 폭은 대략 벤딩부(24)의 두께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20)는 상기 벤딩부(24)가 슬롯(30)에 끼워진 상태에서 페달암(12)의 양쪽 면에서 용접에 의해 부착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20)는 벤딩부(24)가 페달암(12)의 반대쪽 면으로 돌출되도록 슬롯(30)에 끼워진다. 즉, 스토퍼(20)는 벤딩부(24)가 슬롯(30)을 지나도록 끼워져 벤딩부(24)가 페달암(12)을 관통하여 페달암(12)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페달암(12)에 대해 스토퍼(20)를 용접하여 고정할 때 페달암(12)의 양면에서 스토퍼(20)의 용접이 가능하게 된다. 즉, 페달암(12)의 양면에서 각각 페달암(12)과 스토퍼(20)의 벤딩부(24)를 용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슬롯(30)을 통해 스토퍼(20)를 끼워 설치하는 구조 역시 스토퍼(20)에 가해지는 하중을 페달암(12)으로 분산하여 스토퍼(20)의 부착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스토퍼(20)는 슬롯(30)에 끼워진 상태로 하중이 벤딩부(24)를 통해 페달암(12)으로 전달되므로 스토퍼(20)에 가해지는 하중이 용접부와 페달암(12) 전체로 분산된다. 따라서 스토퍼(20)의 접합 강도를 높이고, 페달암(12) 양면 중 한쪽 용접부가 불량인 경우에도 다른 쪽의 용접부에 의해 용접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클러치 페달 12 : 페달암
14 : 프레임 18 : 걸림부
20 : 스토퍼 22 : 중간부재
24 : 벤딩부 26 : 가이드부
28 : 삽입홀 29 : 충격흡수부재
30 : 슬롯

Claims (6)

  1. 클러치 페달의 페달암에 장착되는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충격흡수 부재가 설치되는 중간부재와, 상기 중간부재의 양 선단부에서 연장되고 각도를 두고 벤딩된 벤딩부, 상기 중간부재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암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는 가이드부가 끼움부에 끼워져 페달암에 설치되는 구조의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페달암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는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홀을 관통하여 페달암 양쪽 면에서 용접되는 구조의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63142A 2010-06-30 2010-06-30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 KR101588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142A KR101588757B1 (ko) 2010-06-30 2010-06-30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142A KR101588757B1 (ko) 2010-06-30 2010-06-30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323A KR20120002323A (ko) 2012-01-05
KR101588757B1 true KR101588757B1 (ko) 2016-01-26

Family

ID=4560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142A KR101588757B1 (ko) 2010-06-30 2010-06-30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75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224Y2 (ja) * 1985-02-20 1994-03-16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クラツチ作動検出装置
JPH08314562A (ja) * 1995-05-12 1996-11-29 Suzuki Motor Corp 自動車用ペダル
JPH08320732A (ja) * 1995-05-25 1996-12-03 Daihatsu Motor Co Ltd ペダルストッパ
JP3601740B2 (ja) * 1996-08-21 2004-12-15 スズキ株式会社 ペダルアームのストッ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323A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50761A1 (ja) 防振装置
CN102905952A (zh) 弹性体
KR102058895B1 (ko) 요크 유격 보상장치
KR100883377B1 (ko) 마운팅을 구비한 진동 댐퍼
KR101588757B1 (ko) 클러치 페달의 스토퍼
CN107963131B (zh) 轻量型汽车后扭力杆悬置托架
KR101196341B1 (ko) 앤드 아이 어셈블리의 특성곡선을 만족하는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변속기용 앤드 아이 어셈블리
KR101734274B1 (ko) 차량용 파킹 시스템
JP6292088B2 (ja) 車両前部構造
KR100527711B1 (ko) 차량의 로워암 구조
KR102375152B1 (ko) 변속레버 조립체
JP2019026156A (ja) シフトレバーユニット
JP2018039467A (ja) キャブサスペンションのリンクレバーにおけるトーションバー結合構造
JP4349193B2 (ja) 車両用冷却系支持構造
CN210423685U (zh) 一种换挡拨叉结构
KR102618890B1 (ko) 파킹장치
US20230358309A1 (en) Axially-limited guide device, parking mechanism, and automobile
JP6593594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組付構造
CN109017587B (zh) 一种汽车中控箱安装支架
JP5915938B2 (ja) 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構造
JP2011126324A (ja) トラクタ
KR200409186Y1 (ko) 자동차의 케이블용 연결구
KR101243780B1 (ko) 리모트 컨트롤러 어셈블리용 케이블 고정부재
KR101774638B1 (ko) 텐셔너
KR20080045949A (ko) 쉬프트 케이블 매스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