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568B1 - 차량용 히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히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568B1
KR101588568B1 KR1020140114266A KR20140114266A KR101588568B1 KR 101588568 B1 KR101588568 B1 KR 101588568B1 KR 1020140114266 A KR1020140114266 A KR 1020140114266A KR 20140114266 A KR20140114266 A KR 20140114266A KR 101588568 B1 KR101588568 B1 KR 101588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eat
assembly
upper hous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4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8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2271Heat exchangers, burners, igni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Heaters using heating elements having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히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단자 및 (-)단자와, 상기 (+)단자와 (-)단자 사이에 개재되는 PTC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히트로드 조립체;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 사이에 개재되어 방열작용을 수행하는 히트핀 조립체;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 및 히트핀 조립체를 결합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 및 (-)단자와 전기적으로 통전이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제어부를 밀폐된 공간에 배치시키는 밀폐수용부와,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 및 고정프레임이 결합되는 고정결합부로 분할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수용부와 고정결합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통전단자는 인서트사출을 통해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차량 운행시 발생하는 수분이 제어부가 설치되는 밀폐수용부로 침입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절연파괴 및 누전에 의한 제어부가 오작동하거나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히터 조립체{Heater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히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히트로드 조립체 및 제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밀폐 조립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히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실내의 난방이나 차량 전면유리의 제습 또는 성에제거를 위해 난방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난방장치는, 엔진이 가동된 후 엔진의 주위를 흐르는 냉각수가 난방기에 유입되는 관계로 냉각수가 일단 가열되어 실내가 난방되기까지는 장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시동 후 일정 시간 추운 상태로 있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전기차량이 제작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상기 전기차량에는 별도의 엔진 및 냉각수 구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전기 저항소자를 이용한 구조의 전기히터를 제작하고 있다.
근래에는 엔진 차량 또는 전기 차량용 히터로서, PTC소자를 내장한 히터를 사용한다.
상기 히터는 상하방향으로 상부 하우징와 하부 하우징을 결합하고 그 사이에 PTC소자(미도시)를 내장하는 하우징 결합형 구조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하우징 결합형 히터의 대표적인 예가 도 1a 내지 도1c(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 구조에 관한 개략적인 설명은 이하와 같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히터 조립체는 PTC소자(1), (+)단자 로드부(2) 및 (-)단자 로드부(3)를 구비한 히트로드 조립체(10)와,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10) 사이에 개재되는 히트핀 조립체(20)와,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10) 및 히트핀 조립체(20)를 결합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30)과,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10), 히트핀 조립체(20) 및 고정프레임(30)의 상부와 하부에 대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는 결합하우징(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측 결합하우징(40)에는 인쇄회로기판과 각종 전자소자, 신호선 및 전도선 등을 포함하는 제어부(41)가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의 경우 상기 PTC소자(1)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단자 로드부(2)와 (-)단자 로드부(3)는 접착제(4)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조로써, 상기 접착제(4)를 이용한 제조공정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접착제(4)의 불완전성으로 인하여 상호 간의 결합 틈새가 발생할 우려가 높아 히터의 표면에 응축된 응축수가 히트로드 조립체 내부로 침투하여 단자 로드부(2)와 히트로드부 사이의 절연성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10) 및 고정프레임(30)이 결합되는 상측 결합하우징(40)의 경우,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10)의 (+)단자편(2a) 및 (-)단자편(3a)가 상기 결합하우징(40) 내에 위치한 제어부(41)까지 진입하여 통전이 이루어지는 구조로써, 이때, 상기 (+)단자편(2a) 및 (-)단자편(3a)이 결합되는 결합구멍(42)에는 미새한 틈새가 존재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차량 운행시 발생하는 수분이 침투하여 절연파괴 및 누전에 의한 잦은 고장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040918호(2006.05.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히트로드 조립체 및 제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밀폐 조립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히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터 조립체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단자 및 (-)단자와, 상기 (+)단자와 (-)단자 사이에 개재되는 PTC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히트로드 조립체;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 사이에 개재되어 방열작용을 수행하는 히트핀 조립체;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 및 히트핀 조립체를 결합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 및 (-)단자와 전기적으로 통전이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제어부를 밀폐된 공간에 배치시키는 밀폐수용부와,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 및 고정프레임이 결합되는 고정결합부로 분할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수용부와 고정결합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통전단자는 인서트사출을 통해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결합부에는 상기 (+)(-)단자와 통전단자가 상호 접촉된 결합 상태에서 충진제가 추가적으로 발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결합부에는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의 슬라이드 끼움결합을 유도함과 동시에 상기 충진제가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 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에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한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홈에는 탄성소재의 다수의 돌출형 그루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전단자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단자와 (-)단자의 단부는 일측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단자편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단자편에는 상기 통전단자가 관통하여 끼워지는 구조의 결합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는 상기 (+)단자, (-)단자 및 PTC소자가 일체형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실리콘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실리콘 플레이트와 제2 실리콘 플레이트를 가지는 절연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실리콘 플레이트에는 상기 PTC소자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 둘레에는 상기 PTC소자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프레임의 길이방향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방열을 위한 방열실리콘 패드가 추가적으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하우징의 밀폐수용부와 고정결합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통전단자가 인서트사출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차량 운행시 발생하는 수분이 제어부가 설치되는 밀폐수용부로 침입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절연파괴 및 누전에 의하여 제어부가 오작동하거나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히트로드 조립체는 (+)단자, (-)단자 및 PTC소자를 실리콘 인서트사출 성형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각 구성요소 간의 결합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히터의 표면에 생성되는 응축수가 히트로드 조립체 내부로 침투하여 단자와 히트로드 외부 사이의 절연성이 상실되는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기술에 따른 른 차량용 히터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른 차량용 히터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히트로드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히트로드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사시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부 하우징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상부 하우징의 고정결합부에 충진제가 도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터 조립체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단자(110) 및 (-)단자(120)와, 상기 (+)단자(110)와 (-)단자(120) 사이에 개재되는 PTC소자(130)를 구비한 복수의 히트로드 조립체(100)와,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100) 사이에 개재되어 방열작용을 수행하는 히트핀 조립체(200)와,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100) 및 히트핀 조립체(200)를 결합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300)과, 상기 고정프레임(3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400a) 및 하부 하우징(400b)과, 상기 상부 하우징(400a)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110) 및 (-)단자(120)와 전기적으로 통전이 이루어지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100)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단자(110) 및 (-)단자(120)와, 상기 (+)단자(110)와 (-)단자(120) 사이에 개재되는 PTC소자(130) 및 상기 (+)단자(110), (-)단자(120) 및 PTC소자(130)를 감싸는 절연프레임(1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자(110)와 (-)단자(120)는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소재로써 일정 길이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PTC소자(130)는 발열저항체로써 그 일면은 상기 (+)단자(110)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반대면은 상기 (-)단자(120)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이러한 상기 PTC소자는 (+)단자(110)와 (-)단자(120)에 의해 통전되어 발열작용을 수행한다.
상기 절연프레임(140)은 (+)단자(110), (-)단자(120) 및 PTC소자(130)를 상호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절연물질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절연프레임(140)은 (+)단자(110)와 (-)단자(120)가 접착제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성이 아니라, 실리콘 인서트사출 성형으로부터 상기 (+)단자(110), (-)단자(120) 및 PTC소자(130)를 일체형으로 감싸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접착제에 의존하여 (+)단자와 (-)단자를 부착시 상기 접착제의 경화가 불완전할 경우 그에 따른 결합 틈새가 발생하고, 그 결합 틈새로부터 히터의 표면에 생성되는 응축수가 히트로드 조립체(100) 내부로 침투하여 단자(110, 120)와 히트로드 외부 사이의 절연성이 상실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연프레임(140)을 이용한 히트로드 조립체(100)의 제조방법은, 상기 (+)단자(110)의 외형을 감싸도록 실리콘 인서트 사출성형을 실시하여 제1 실리콘 플레이트(141)를 형성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1 실리콘 플레이트(141)에는 상기 PTC소자(130)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안착부(141a)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안착부(141a)의 테두리 둘레에는 상기 PTC소자(1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141b)가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지지부(141b)는 상기 안착부(141a)에 결합된 PTC소자(130)가 외부의 압력에 의해 쉽게 깨지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 다음, 상기 안착부(141a)에 상기 PTC소자(130)를 배치하고 상기 PTC소자(130) 위에 상기 (-)단자(120)를 배치시키는 공정을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단자(120) 배치 공정단계 후 다시 한번 상기 (-)단자(120)에 대하여 실리콘 인서트 사출성형을 실시하여 제2 실리콘 플레이트(142) 형성한다.
이러한 실리콘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절연프레임(140)은 완벽한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프레임(140)의 길이방향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방열을 위한 방열실리콘 패드(143)를 추가적으로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절연프레임(140)의 (+)단자(110)와 (-)단자(120)의 일측 단부에는 후술할 상부 하우징(400a)의 가이드 플레이트(421)에 대응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는 가이드홈(145a)을 형성한 결합부(14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145a)의 둘레방향에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돌출형 그루브(145a')가 형성된다.
또한, 후술할 통전단자(430)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단자(110)와 (-)단자(120)의 단부는 일측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단자편(111,121)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단자편(111,121)에는 상기 통전단자(430)가 관통하여 끼워지는 구조의 결합관통공(111a,121a)이 형성된다.
즉, 상기 (+)단자(110)와 (-)단자(120)의 단부에 대하여 절곡단자편(111,121)을 형성하는 이유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통전단자(430)와 (+)단자(110)와 (-)단자(120)가 상호 이격되어 전기적인 접촉이 해지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히트핀 조립체(200)는 복수의 히트로드 조립체(100) 사이에 개재되어 방열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코루게이트 핀(corrugate Pin, )이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히트핀 조립체(200)는 전기 절연성 및 열 확산이 우수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소재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히트핀 조립체(200)는 상기 PTC소자(130)가 발산하는 열을 전달받고 이 전달받은 열을 용이하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300)은 양 측단부(側端部)에 배치되어 다수의 히트로드 조립체(100) 및 히트핀 조립체(200)를 가지런히 정렬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 하우징(400a)과 하부 하우징(400b)은 상기 고정프레임(3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100), 히트 핀 조립체(200), 고정프레임(300)을 일체형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상,하부 하우징(400a,400b)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400a)에는 상기 (+)단자(110) 및 (-)단자(120)와 전기적으로 통전이 이루어지는 제어부(500)가 설치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부 하우징(400a)은 상기 제어부(500)를 밀폐된 공간에 배치시키는 밀폐수용부(410)와,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100) 및 고정프레임(300)이 결합되는 고정결합부(420)로 분할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수용부(410)와 고정결합부(420) 사이를 가로지르는 통전단자(430)는 인서트사출에 의해 형성된다.
즉, 상기 (+)단자(110) 및 (-)단자(120)와 접촉하기 위한 별도의 통전단자(430)를 형성하고 상기 통전단자(430)는 상부 하우징(400a) 성형시 인서트사출을 통해 일체형 구조로 제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 하우징(400a) 내부를 향하여 (+)단자(110)와 (-)단자(120)의 단부가 관통하는 결합구멍으로부터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제어부(500)가 절연파괴되거나 누전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통전단자(430)는 (+)단자와 (-)단자의 절곡단자편(111,121)에 형성되는 결합관통공(111a,121a)을 향하도록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된다.
또한, 상기 고정결합부(420)에는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100)의 슬라이딩 끼움결합을 유도하는 가이드 플레이트(421)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21)는 고정결합부(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된다.
즉,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100)에 형성되는 결합부(145)의 가이드홈(145a)이 상기 이웃하는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421) 사이에 걸쳐지는 상태로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통전단자(430)와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통전단자(430)에 대하여 상기 (+)단자와 (-)단자가 슬라이드 결합되는 결합방식으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통전단자(430)에 대하여 (+)단자와 (-)단자가 슬라이드 결합구조가 아닌 볼트체결, 클립체결, 스폿용접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부터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고정결합부(420)를 형성하는 공간부에는 상기 (+)(-)단자(110,120)와 통전단자(430)가 상호 접촉된 결합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침입하여 절연성이 떨어지거나 미세한 누설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충진제(440)가 추가적으로 발포된다(도 9참조).
아울러,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21) 및 상기 가이드홈(145a)에 형성되는 돌출형 그루브(145a')는 상기 고정결합부(420)를 메우는 충진제(440)가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100) 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함께 병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하우징(400a)의 밀폐수용부(410)와 고정결합부(420) 사이를 가로지르는 통전단자(430)가 인서트사출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차량 운행시 발생하는 수분이 제어부(500)가 설치되는 밀폐수용부(410)로 침입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절연파괴 및 누전에 의한 제어부(500)가 오작동하거나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히트로드 조립체(100)는 (+)단자(110), (-)단자(210) 및 PTC소자(130)를 실리콘 인서트사출 성형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각 구성요소 간의 결합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히터의 표면에 생성되는 응축수가 히트로드 조립체(100) 내부로 침투하여 단자와 히트로드 외부 사이의 절연성이 상실되는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히트로드 조립체
110 : (+)단자
111 : 절곡단자편
111a : 결합관통공
120 : (-)단자
121 : 절곡단자편
121a : 결합관통공
130 : PTC소자
140 : 절연프레임
141 : 제1 실리콘 플레이트
142 : 제2 실리콘 플레이트
200 : 히트핀 조립체
300 : 고정프레임
400a : 상부 하우징
410 : 밀폐수용부
420 : 고정결합부
421 : 가이드 플레이트
430 : 통전단자
440 : 충진제

Claims (9)

  1.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단자 및 (-)단자와, 상기 (+)단자와 (-)단자 사이에 개재되는 PTC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히트로드 조립체;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 사이에 개재되어 방열작용을 수행하는 히트핀 조립체;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 및 히트핀 조립체를 결합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 및 (-)단자와 전기적으로 통전이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제어부를 밀폐된 공간에 배치시키는 밀폐수용부와,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 및 고정프레임이 결합되는 고정결합부로 분할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수용부와 고정결합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통전단자는 인서트사출을 통해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부에는 상기 (+)(-)단자와 통전단자가 상호 접촉된 결합 상태에서 충진제가 추가적으로 발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부에는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의 슬라이드 끼움결합을 유도함과 동시에 상기 충진제가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 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에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한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는 탄성소재의 다수의 돌출형 그루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터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단자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단자와 (-)단자의 단부는 일측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단자편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단자편에는 상기 통전단자가 관통하여 끼워지는 구조의 결합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터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로드 조립체는,
    상기 (+)단자, (-)단자 및 PTC소자가 일체형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실리콘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실리콘 플레이트와 제2 실리콘 플레이트를 가지는 절연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리콘 플레이트에는 상기 PTC소자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 둘레에는 상기 PTC소자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터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프레임의 길이방향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방열을 위한 방열실리콘 패드가 추가적으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터 조립체.
KR1020140114266A 2014-08-29 2014-08-29 차량용 히터 조립체 KR101588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266A KR101588568B1 (ko) 2014-08-29 2014-08-29 차량용 히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266A KR101588568B1 (ko) 2014-08-29 2014-08-29 차량용 히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568B1 true KR101588568B1 (ko) 2016-02-12

Family

ID=5535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266A KR101588568B1 (ko) 2014-08-29 2014-08-29 차량용 히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5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3268A (zh) * 2019-01-30 2020-08-07 法雷奥汽车空调湖北有限公司 壳体组件及其密封系统
KR102349398B1 (ko) * 2021-06-29 2022-01-12 (주)하이엘 승온 속도 개선된 피티씨 히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598B1 (ko) * 2005-04-14 2005-06-27 우리산업 주식회사 히트 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KR20060040918A (ko) 2004-11-08 2006-05-11 한진전자공업주식회사 프리히터 어셈블리의 조립구조
KR20110041656A (ko) * 2009-10-16 2011-04-22 우리산업 주식회사 프리 히터 조립체
KR20110130810A (ko) * 2010-05-28 2011-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리히터장치
KR20120013558A (ko) * 2010-08-05 2012-02-15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자동차용 프리 히터와, 기판 하우징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918A (ko) 2004-11-08 2006-05-11 한진전자공업주식회사 프리히터 어셈블리의 조립구조
KR100496598B1 (ko) * 2005-04-14 2005-06-27 우리산업 주식회사 히트 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KR20110041656A (ko) * 2009-10-16 2011-04-22 우리산업 주식회사 프리 히터 조립체
KR20110130810A (ko) * 2010-05-28 2011-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리히터장치
KR20120013558A (ko) * 2010-08-05 2012-02-15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자동차용 프리 히터와, 기판 하우징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3268A (zh) * 2019-01-30 2020-08-07 法雷奥汽车空调湖北有限公司 壳体组件及其密封系统
KR102349398B1 (ko) * 2021-06-29 2022-01-12 (주)하이엘 승온 속도 개선된 피티씨 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79655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arrangement comprising an electrical connector
CN110324514B (zh) 光学装置及其组装方法、加热其透镜的方法
US9295108B2 (en) Electrical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0913759B1 (ko) 유도 가열 장치
US9433130B2 (en) Cooling device and cooling arrangement including cooling device
US20120113603A1 (en) Electronic circuit device
KR101510744B1 (ko) 전열 히터 장치
KR102246996B1 (ko) 인버터의 전자 모듈 및 그의 장착 방법
KR101746323B1 (ko) 전기 기구를 위한 제어 모듈
JP7270123B2 (ja) コンデンサ
KR101588568B1 (ko) 차량용 히터 조립체
JP6571229B2 (ja) 電気接続装置、この装置および電子基板を備えるアセンブリ、および電子基板の電気接続方法
KR102478290B1 (ko) 전동기 구동장치
PT99459B (pt) Rele electromagnetico com um componente de regulacao
JP2017135362A (ja) 電気的装置、およびこの電気的装置の組み立て方法
KR101629932B1 (ko) 차량용 프리히터 장치
JP2020537313A (ja) 大電流接合部
KR20220134775A (ko) 밀봉된 중심 보스를 갖는 플라스틱 커버를 구비하는 전자 디바이스
CN107079597B (zh) 用于容纳电气和/或电子部件的壳体、电子控制装置及制造该壳体和电子控制装置的方法
EP3846294A1 (en) Terminal assembly for a charging connector including an improved thermal monitoring
KR101694712B1 (ko) 차량용 프리히터 장치
KR20100058424A (ko) 온도 퓨즈
US20150296568A1 (en) Electric heater
KR101969993B1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US9686823B2 (en) Electric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