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562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562B1
KR101587562B1 KR1020090122001A KR20090122001A KR101587562B1 KR 101587562 B1 KR101587562 B1 KR 101587562B1 KR 1020090122001 A KR1020090122001 A KR 1020090122001A KR 20090122001 A KR20090122001 A KR 20090122001A KR 101587562 B1 KR101587562 B1 KR 101587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vaporator
heater
center block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5133A (ko
Inventor
황동우
김두훈
박상규
한중만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2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5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65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35Mounting or fastening of the housing to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히터파이프 및 증발기 파이프를 뒷바퀴 커버 측 플로어에 간단한 조립을 통해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조 케이스와, 상기 공조 케이스의 내에 설치된 히터 코어로 고온의 냉각수를 유입/배출하는 히터파이프 및 증발기를 통한 냉매를 유입/배출하는 증발기 파이프와, 상기 히터파이프와 증발기 파이프를 차체 일측에 고정 설치하는 파이프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파이프 고정부재는, 센터 블록과, 상기 차체 일측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센터 블록을 차체측에 밀착되게 가압하도록 센터 블록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사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석, 플로어, 블록, 히터파이프, 증발기 파이프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히터파이프 및 증발기 파이프를 뒷바퀴 커버 측 플로어에 간단한 조립을 통해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장치는, 냉방 또는 난방용 공기가 차량 실내 전방의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에 형성된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실내 공간이 넓은 차량, 예컨대 고급승용차, 밴 및 RV(Recreation Vehicle)차량과 같이 실내 공간이 넓은 차량의 경우에는, 뒷좌석(후석좌석)까지 냉방 또는 난방 효과가 충분하게 미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 공간이 넓은 차량의 경우에는, 뒷좌석에 대한 냉난방 성능을 보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바퀴 커버(1)위의 차체 측벽의 제한 공간인 내측 패널(2)에 별도의 공조장치(10)를 설치하고 있다.
차량용 공조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4)를 구비한다. 상기한 공조케이스(14)에는, 입구단에 송풍실(11)을 구비하고, 송풍실(11)로부터 차량의 루프(3)측으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벤트(Vent)출구(12)와, 차량의 플로어(4)측으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플로어출구(13)를 출구단에 구비한다.
상기한 송풍실(11), 벤트출구(12) 및 플로어출구(13)는, 공조케이스(14)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유로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4)의 송풍실(11)내에는,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는 송풍기(1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15)에 공기유로로 연결되는 공조케이스(14)의 하류측에는, 유입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기 위한 증발기(16)와 히터 코어(17)가 배치된다.
상기한 증발기(16) 및 히터 코어(17) 사이에는, 증발기(16)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 코어(17)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온도조절도어(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벤트출구(12) 및 플로어출구(13)의 사이에는, 송풍모드도어(1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송풍모드도어(19)는, 개방 정도에 따라 벤트출구(12)를 통해 송풍된 공기를 차량의 루프(3)측이나 플로어 출구(13)를 통해 토출할 수 있고, 양쪽 모두를 통해 토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10)는, 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 온도조절도어(18)가 냉기통로(P1)를 개방하도록 동작한다. 그리고, 송풍기(15)에 의해 송풍되어 증발기(16)를 거친 냉기는, 냉기통로(P1)를 경유하여 공조케이스(14)의 출구를 통해 차량의 뒷좌석으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뒷좌석을 냉방한다.
또한, 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 온도조절도어(18)는 온기통로(P2)를 개방하도록 동작한다. 그리고, 증발기(16)를 통한 냉방사이클의 가동은 중지되고, 송풍 기(15)에 의해 송풍되어 증발기(16)를 거친 공기는 온기통로(P2)에 설치된 히터 코어(17)를 거치면서 온기로 바뀐 다음, 공조케이스(14)의 출구를 통해 차량의 뒷좌석으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뒷좌석을 난방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장치(10)에는, 냉각수의 유입 및 유출이 이루어지도록 히터 코어(17)에 한 쌍의 히터파이프(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조장치(10)에는, 냉매의 유입 및 유출이 이루어지도록 증발기(10)에 한 쌍의 증발기 파이프(21)가 설치된다.
상기한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는, 통공(4A)을 관통시킨 후 엔진 및 라디에이터에 대한 냉각수와 냉매의 유입/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플로어(4)의 하부에 설치된 배관에 연결된다.
상기한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가 플로어(4)의 통공(4A)을 통해 설치되면,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는 파이프 고정부재(30)에 의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고정부재(30)는, 통공(4A)을 밀폐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플로어(4)에 체결부재로 설치된다.
이러한 파이프 고정부재(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판(31)과 상기 중심판(31)의 양단에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2개의 측판(32)을 포함한다.
상기한 중심판(31)에는, 양단에 체결공(33a)을 갖는 체결면(34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면(34a)에는, 각각 한 쌍의 반구홈(3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판(32)에는, 체결공(33b)이 형성되고 체결면(34a)에 마주할 수 있도록 체결면(34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면(34b)에는, 한 쌍의 반구홈(35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판(32)에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플로어(4)에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파이프 고정부재(30)는, 중심판(31)을 가운데 두고 양측 체결면(34a)들의 반구홈(35a)들에 측판(32)의 체결면(34b) 및 반구홈(35b)들을 일치시켜 진원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공(32a)(32b)를 통해 체결부재로 체결된다.
즉, 상기한 중심판(31) 및 측판(32)이 체결부재로 체결되면, 반구홈(35a)(35b)들은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를 고정할 수 있는 두쌍의 파이프 삽입공(35)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파이프 고정부재(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을 통해 플로어(4)의 통공(4A)에 삽입되어 있는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들의 간격이 유지되면서 유동하지 않도록 플로어(4)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10)의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를 플로어(4)측에 고정 설치하는 파이프 고정부재(30)는, 중심판 및 측판을 결합하기 위하여 다수의 체결부재 부품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고정부재(30)는, 파이프 삽입공(35)내에 파이프들이 제위치에 있도록 하면서 체결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고정부재는, 중심판과 측판의 강도보강을 위해 보강리브를 형성해야 할 경우 주변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이프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체결부재는, 히터파이프 및 증발기 파이프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에 의하여 풀어질 경우에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히터파이프 및 증발기 파이프를 뒷바퀴 커버 측 플로어에 간단한 조립을 통해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일 결합부와 피메일 결합부가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파이프 고정부재를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이프 고정부재의 사이드 블록을 센터 블록에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결합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센터 블록이 빠지지 않는 결합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사이드 블록만 플로어에 체결하면 파이프 고정부재를 간단히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조 케이스와, 상기 공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히터 코어로 고온의 냉각수를 유입/배출하는 히터파이프 및 증발기를 통한 냉매를 유입/배출하는 증발기 파이프와, 상기 히터파이프와 증발기 파이프를 차체 일측에 고정 설치하는 파이프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 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파이프 고정부재는, 센터 블록과, 상기 차체 일측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센터 블록을 차체측에 밀착되게 가압하도록 센터 블록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사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터 블록 및 이와 결합되는 사이드 블록의 결합면에는, 각각 일측 면에 메일 결합부 또는 양측 면에 피메일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터 블록과 결합되는 사이드 블록에 형성된 메일 결합부 또는 피메일 결합부는, 센터 블록을 상기 차체 일측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터 블록은, 히터파이프 및 증발기 파이프의 사이에 개재되어 양측 파이프가 고정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드 블록은, 히터파이프 또는 증발기 파이프 중 일측 파이프가 고정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히터파이프 및 증발기 파이프를 파이프 고정부재의 결합을 통해 플로어에 신속히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이프 고정부재의 결합 후 복수개의 사이드 블록만을 체결부재로 체결하면 장착이 완료되므로 작업공수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체결부재만으로 파이프 고정부재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부재로 사이드 블록을 플로어에 체결하면 센터 블록이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체결부재의 수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보강리브를 형성하지 않고 파이프 고정부재가 제조되기 때문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이드 블록을 장착하는 체결부재만 분리하면 파이프 고정부재를 분해할 수 있으므로 파이프의 정비 및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설명하기에 앞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차량용 공조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4)를 구비한다. 상기한 공조케이스(14)에는, 입구단에 송풍실(11)을 구비하고, 송풍실(11)로부터 차량의 루프(3)측으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벤트(Vent)출구(12)와, 차량의 플로어(4)측으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플로어출구(13)를 출구단에 구비한다.
상기한 송풍실(11), 벤트출구(12) 및 플로어출구(13)는, 공조케이스(14)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유로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4)의 송풍실(11)내에는,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는 송풍기(1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15)에 공기유로로 연결되는 공조케이 스(14)의 하류측에는, 유입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기 위한 증발기(16)와 히터 코어(17)가 배치된다.
상기한 증발기(16) 및 히터 코어(17) 사이에는, 증발기(16)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 코어(17)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온도조절도어(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벤트출구(12) 및 플로어출구(13)의 사이에는, 송풍모드도어(1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송풍모드도어(19)는, 개방 정도에 따라 벤트출구(12)를 통해 송풍된 공기를 차량의 루프(3)측이나 플로어 출구(13)를 통해 토출할 수 있고 양쪽 모두를 통해 토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조장치(10)의 히터 코어(17)에는, 냉각수의 유입 및 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쌍의 히터파이프(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장치(10)의 증발기(16)에는, 냉매의 유입 및 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 쌍의 증발기 파이프(21)가 설치된다.
상기한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는, 통공(4A)을 관통시킨 후 엔진 및 라디에이터에 대한 냉각수와 냉매의 유입/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플로어(4)의 하부에 설치된 배관에 연결된다.
상기한 플로어(4)의 통공(4A)을 통해 설치된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는, 통공(4A)을 밀폐하고 파이프를 고정하는 파이프 고정부재(30)에 의하여 플로어(4)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파이프 고정부재에 대한 특징부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부재(30)는, 일면 이상에 요철 형상들이 형성된 센터 블록(50)을 구비한다.
상기한 센터 블록(5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사이드 블록(60)에 의하여 지지되고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의 사이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센터 블록(50)의 결합면(41)에 해당하는 양측벽(51)에는, 일정 모양의 요홈들로 구성된 피메일 결합부(52)가 형성된다.
상기한 피메일 결합부(52)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피메일측 접촉면(53)에 스톱퍼(S)가 형성된다. 상기한 스톱퍼(S)는, 센터 블록(50)이 후술되는 사이드 블록(6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센터 블록(50)의 스톱퍼(S)는, 후술되는 사이드 블록(60)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양면에 형성된 T자형 요홈(55), 일면에 만 걸림턱이 형성된 L자형 요홈(56)등으로 형성된다.
또한, 센터 블록(50)의 피메일 결합부(52)에는,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의 사이에 개재되어 양측 파이프가 고정되도록 하는 요홈(5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고정부재(3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공(36)을 통해 체결부재로 플로어(4)에 장착되는 사이드 블록(60)을 구비한다.
상기한 사이드 블록(60)은,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의 사이가 유지되도록 하는 센터 블록(50)에 결합된다.
상기한 사이드 블록(60)에는, 센터 블록(5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면(41)에 메일 결합부(61)가 형성된다.
상기한 메일 결합부(61)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메일 접촉면(62)에 스톱퍼(S)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한 스톱퍼(S)는, 센터 블록(50)과의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상기한 사이드 블록(60)의 스톱퍼(S)는, 걸림턱이 양면에 형성된 T자형 돌기(64), 일면에 만 걸림턱이 형성된 L자형 돌기(65)등으로 형성된다.
또한, 사이드 블록(60)의 메일 결합부(61)에는,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의 사이에 위치되는 양측 파이프를 고정하는 요홈(67)이 형성된다.
상기한 요홈(57)(67)들은, 센터 블록(50)과 사이드 블록(60)의 결합시 두쌍의 파이프 고정공(43)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파이프 고정공(43)은, 파이프 고정부재(30)의 설치시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를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일 결합부(61) 및 피메일 결합부(52)의 결합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일 접촉면(62)과 피메일 접촉면(53)들이 밀착되고 돌기(64)(65) 및 요홈(55)(56)들이 맞물려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피메일 결합부(52)를 상부에서 누르는 사이드 블록(60)의 메일 결합부(61)에 의하여 센터 블록(50)은,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플로어(4)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뒷바퀴 커버(1)측 플로어(4)에 형성된 통공(4A)에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를 삽입시킨다.
그리고, 엔진 및 라디에이터에 대한 냉각수와 냉매의 유입/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플로어(4)의 하부에 설치된 배관에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를 연결한다.
상기한 플로어(4)의 통공(4A)에 대한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의 설치가 끝나면, 파이프 고정부재(30) 중 센터 블록(50)을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 사이에 배치한다.
이때, 센터 블록(50)의 양측벽에 형성된 요홈(57)들이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 각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센터 블록(50)을 플로어(4)에 위치시켜 둔다. 이때, 상기 센터 블록(50)은 공간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센터 블록(50)은,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에 요홈(57)에 의하여 걸려 있기 때문에 유동하지 않는다.
상기한 센터 블록(50)을 배치시킨 후에는,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를 중간에 두고 양측에서 사이드 블록(60)을 센터 블록(50)에 결합시킨다.
상기한 플로어(4)에 배치된 센터 블록(50)의 피메일 결합부(52)에 사이드 블록(60)의 메일 결합부(61)를 상부에서 밀어 넣으면, 사이드 블록(60)은 도 1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블록(50)에 맞물려 결합된다.
즉, 메일 결합부(61)의 스톱퍼(S)인 T자형 돌기(64) 및 L자형 돌기(65)가 피메일 결합부(52)의 스톱퍼(S)인 T자형 홈(55) 및 L자형 홈(56)에 대응하여 정확하 고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센터 블록(50)과 사이드 블록(60)의 결합시 형성되는 파이프 고정공(43)은,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에 파이프 고정부재(30)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한 파이프 고정부재(30)가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에 결합되면, 각 사이드 블록(60)을 플로어(4)에 체결부재로 체결한다.
상기한 체결부재의 체결로 플로어(4)에 사이드 블록(60)이 고정되면, 파이프 고정부재(30)는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를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상기한 파이프 고정부재(30)는, 체결부재로 플로어(4)에 고정 설치되는 사이드 블록(60)에 의하여 센터 블록(50)이 견고하게 조립됨에 따라 설치가 신속하고 조립공수가 줄어들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 고정부재를 구성하는 센터 블록 및 사이드 블록을 맞물리게 조립한 후, 플로어에 2개의 체결부재로 체결만 하면 히터파이프 및 증발기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차량용 공조장치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조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공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부재가 공조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나타낸 파이프 고정부재의 중앙블럭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에 나타낸 파이프 고정부재의 사이드블럭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4에 나타낸 결합부의 결합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공조 케이스 16: 증발기
17: 히터 코어 20: 히터파이프(Heater Pipe)
21: 증발기 파이프 30: 파이프 고정부재
50: 센터 블록 52: 피메일(Female) 결합부
53: 피메일측 접촉면 54: 걸림턱
55: T자형 홈 56: L자형 홈
57: 요홈 60: 사이드 블록(Side Block)
62: 메일측 접촉면 61: 메일(Male) 결합부
S: 스톱퍼(Stopper)

Claims (5)

  1. 삭제
  2. 공조 케이스(14)와, 상기 공조 케이스(14)의 내에 설치된 히터 코어(17)로 고온의 냉각수를 유입/배출하는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16)를 통한 냉매를 유입/배출하는 증발기 파이프(21)와, 상기 히터파이프(20)와 증발기 파이프(21)를 차체 일측에 고정 설치하는 파이프 고정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파이프 고정부재(30)는,
    센터 블록(50)과, 상기 차체 일측(4)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센터 블록(50)을 차체측에 밀착되게 가압하도록 센터 블록(5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사이드 블록(60)을 포함하며;
    상기 센터 블록(50) 및 이와 결합되는 사이드 블록(60)의 결합면(41)에는, 각각 일측 면에 메일 결합부(61) 또는 양측 면에 피메일 결합부(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공조 케이스(14)와, 상기 공조 케이스(14)의 내에 설치된 히터 코어(17)로 고온의 냉각수를 유입/배출하는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16)를 통한 냉매를 유입/배출하는 증발기 파이프(21)와, 상기 히터파이프(20)와 증발기 파이프(21)를 차체 일측에 고정 설치하는 파이프 고정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파이프 고정부재(30)는,
    센터 블록(50)과, 상기 차체 일측(4)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센터 블록(50)을 차체측에 밀착되게 가압하도록 센터 블록(5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사이드 블록(60)을 포함하며;
    상기 센터 블록(50)과 결합되는 사이드 블록(60)에 형성된 메일 결합부(61) 또는 피메일 결합부(52)는, 센터 블록(50)을 상기 차체 일측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공조 케이스(14)와, 상기 공조 케이스(14)의 내에 설치된 히터 코어(17)로 고온의 냉각수를 유입/배출하는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16)를 통한 냉매를 유입/배출하는 증발기 파이프(21)와, 상기 히터파이프(20)와 증발기 파이프(21)를 차체 일측에 고정 설치하는 파이프 고정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파이프 고정부재(30)는,
    센터 블록(50)과, 상기 차체 일측(4)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센터 블록(50)을 차체측에 밀착되게 가압하도록 센터 블록(5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사이드 블록(60)을 포함하며;
    상기 센터 블록(50)은,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 파이프(21)의 사이에 개재되어 양측 파이프가 고정되는 요홈(5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공조 케이스(14)와, 상기 공조 케이스(14)의 내에 설치된 히터 코어(17)로 고온의 냉각수를 유입/배출하는 히터파이프(20) 및 증발기(16)를 통한 냉매를 유입/배출하는 증발기 파이프(21)와, 상기 히터파이프(20)와 증발기 파이프(21)를 차체 일측에 고정 설치하는 파이프 고정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파이프 고정부재(30)는,
    센터 블록(50)과, 상기 차체 일측(4)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센터 블록(50)을 차체측에 밀착되게 가압하도록 센터 블록(5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사이드 블록(60)을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블록(60)은, 히터파이프(20) 또는 증발기 파이프(21) 중 일측 파이프가 고정되는 요홈(6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090122001A 2009-12-09 2009-12-09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87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001A KR101587562B1 (ko) 2009-12-09 2009-12-09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001A KR101587562B1 (ko) 2009-12-09 2009-12-09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133A KR20110065133A (ko) 2011-06-15
KR101587562B1 true KR101587562B1 (ko) 2016-01-21

Family

ID=4439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001A KR101587562B1 (ko) 2009-12-09 2009-12-09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5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755B1 (ko) 2022-10-11 2023-07-04 한국메탈실리콘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실리콘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실리콘 분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57Y2 (ja) * 1988-03-31 1995-03-01 スズキ株式会社 カーエアコンの配管構造
JPH0739690Y2 (ja) * 1990-04-02 1995-09-13 株式会社ゼクセル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蒸発器ケース
KR200181428Y1 (ko) * 1999-11-16 2000-05-15 거성트레이딩주식회사 자동충방전기부착배터리
KR101181595B1 (ko) * 2005-12-23 2012-09-10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133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17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334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
WO2019181180A1 (ja) 配管支持機構付空調装置
KR10158756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10384515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101216128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 고정부재
KR10165756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90066420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06106956A (ja) 自動車用空調ダクトの結合部構造
US11260718B2 (en) Split heating,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HVAC) assembly
US10513162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236704B1 (ko) 증발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07253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9747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9890634B (zh) 空调单元
KR101282851B1 (ko)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의 냉각수 유입/배출 파이프 고정구조
KR10148169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7099230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40088304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 냉매 파이프 밀봉 구조
KR10158635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374200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938619B2 (ja) ダッシュパネルのシール構造
JP4405774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060093185A (ko) 차량용 리어공조장치의 케이스 구조
JP2006315583A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間の結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