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062B1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062B1
KR101585062B1 KR1020137011245A KR20137011245A KR101585062B1 KR 101585062 B1 KR101585062 B1 KR 101585062B1 KR 1020137011245 A KR1020137011245 A KR 1020137011245A KR 20137011245 A KR20137011245 A KR 20137011245A KR 101585062 B1 KR101585062 B1 KR 101585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lding frame
opening
connector assembly
cov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1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4333A (ko
Inventor
빅토르 비엘레츠키-벨츠
세놀 하산
플라멘 발츠히스키
로렌트 몬타로우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94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1)에 부착된 커넥터(3) 및 커넥터(3)에 슬라이딩가능하게 탑재된 일체화된 홀딩 프레임(4)을 갖는 커버부(5)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V)에 관한 것으로, 이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 커버부(5)는 개구(6)를 갖고, 상기 개구에서는 홀딩 프레임(4)이 개구(6)의 표면에 대해 보상 갭(S)을 갖는 내부 프레임으로서 일체화되며, - 커버부(5)는, 커넥터(3)로의 상기 커버부(5)의 삽입 동안 개구(6) 내에 홀딩 프레임(4)을 정렬시키기 위해 개구(6)의 표면과 홀딩 프레임(4) 사이에 가요성 접속부(7)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인쇄 회로 기판들에 대해 다양한 유형들의 전기 커넥터들이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인쇄 회로 기판상에서 자동화된 어셈블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지지 기저(support base) 또는 지지-블록에 의해 서로 접속된 핀들로서 설계된다.
또한, 이 핀들은 핀들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프레임-형 홀딩에 의해 일반적으로 둘러 싸여진다. 지지체 및 그 내부에 위치된 핀 커넥터에 의해 형성된 이러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핀들을 손상시키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어셈블리 동안 모든 부품들의 복잡하고 매우 정밀한 얼라인먼트를 요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셈블리에 대해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서 주어진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된 커넥터 및 커넥터에 슬라이딩가능하게 탑재된 일체화된 홀딩 프레임을 갖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커버부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개구에서 홀딩 프레임은 개구의 표면에 대해 보상 갭을 갖는 내부 프레임으로서 일체화된다. 또한, 커버부는 커넥터로의 커버부의 삽입 동안 개구 내에 홀딩 프레임을 정렬시키기 위해 개구의 표면과 홀딩 프레임 사이에 가요성 접속부를 포함한다.
개구 내 홀딩 프레임의 이러한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배치는, 인쇄 회로 기판으로의 그리고 커넥터 상에서의 홀딩 프레임의 더욱 용이한 얼라인먼트 및 센터링(centring)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커넥터로의 홀딩 프레임의 배치 및 어셈블리가 커넥터로의 커버부의 삽입 동안 개선된다.
커넥터는, 예를 들어, 물질-힘이 인가, 특히 솔더링된 핀들을 통해 인쇄 회로 기판에 통상적으로 탑재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오직 홀딩 프레임만이 커넥터에 대해 정렬될 필요가 있다. 홀딩 프레임의 크기 및 형상은, 종방향 및/또는 측방향 배향으로 커버부의 개구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되도록, 설계된다.
인쇄 회로 기판으로 커넥터, 예를 들어, 핀-블록을 센터링하기 위해, 커넥터는 인쇄 회로 기판의 보어들 내에 고정가능한 볼트들, 스크류들 또는 다른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예를 들어, 확장 기판(extension board) 또는 대응 커넥터 어셈블리, 특히 핀 대응 소켓들에 접속할 때, 오직 홀딩 프레임만이 대응 커넥터 어셈블리로의 개구 내에 정렬된다. 어셈블리가 적기에 간략화되고 감소되도록, 대응 커넥터 어셈블리의 대응 소켓의 개별적인 로우들 및 컬럼들 상에 있는 커넥터의 핀들의 개별적인 로우들 및 컬럼들의 통상의 복잡한 얼라인먼트는 회피된다.
커넥터 어셈블리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한 쌍의 패스너들은 커넥터에 홀딩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해 홀딩 프레임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홀딩 프레임을 갖는 커버부는 커넥터에 쉽게 어셈블링되고 고정될 수 있다. 패스너는 스레디드 접속부, 핫 스탬핑 접속부, 클립 접속부, 스냅-온 접속부 또는 스레디드 접속부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패스너는 홀딩 프레임과 커넥터의 일 측면 상에 얼라인먼트 스냅-핏을 포함하고 홀딩 프레임과 커넥터의 다른 측면 상에 상보적 맞물림 부재를 포함한다.
커넥터 가이딩 슬롯들로의 커버부의 추가적인 간단한 어셈블링은 커넥터의 핀-소켓과 홀딩 프레임 사이에서 맞물림가능하다. 가이딩 슬롯들은 어셈블링 동안 홀딩 프레임이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개구의 대향하는 측면들 상의 적어도 한 쌍의 가요성 접속부들이 홀딩 프레임을 개구로 이동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가요성 접속부는 커버부 내 홀딩 프레임의 간격(clearance)을 허용하여, 일체화되고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홀딩 프레임을 갖는 커버부가 커넥터에 쉽게 조립될 수 있게 한다.
실시예에서, 가요성 접속부는 개구의 표면과 홀딩 프레임 사이의 개구의 컷-아웃에 형성된 탄성 아암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탄성 암들은 커브된다. 이러한 커브된, 특히 S-커브된 탄성 암들은 개구 내에서 홀딩 프레임의 용이한 얼라인먼트 및 센터링을 허용하여, 이에 따라 커넥터로의 커버부의 삽입 동안 개선된 어셈블리를 허용한다.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품들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이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커버부, 가요성 접속부 및 홀딩 프레임이 하나의 성형된 부품, 특히 하나의 몰딩된 부품으로서 설계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하나의 몰딩된 부품은 예를 들어 주입 몰딩에 의한 제조시에 덜 비싸고 더 쉽다.
커넥터 어셈블리의 더욱 간단한 구성을 위해, 커넥터는 적어도 (줄여서, 핀-블록으로 지칭되는)복수의 이격된 핀들을 갖는 핀-소켓을 포함하는 멀티-핀 커넥터이다.
본 발명의 세부사항들이 이하 설명된다. 그러나,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예시들은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오직 예시에 의해 주어지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의 예시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화들 및 변형들이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주어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은 오직 예시적인 목적들을 위해서 주어지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홀딩 프레임 내에 삽입된 커넥터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상에 배열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여기서 홀딩 프레임은 커버부 내에서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다.
도 2는 인쇄 회로 기판상에 배열된 커넥터 어셈블리를 갖는 커버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확대된 섹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은, 표면(2)상에 커넥터(3)가 제공된 인쇄 회로 기판(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커넥터(3)는 로우들 및 컬럼들로 배열된 핀들(3.2)을 갖는 핀-소켓(3.1)으로서 설계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3)는 10-, 24-, 51- 또는 81-핀 커넥터 또는 다른 유형의 커넥터들로서 형성된다. 커넥터(3)의 핀들(3.2)은 인쇄 회로 기판(1)의 평평한 표면에 걸쳐서 연장한다.
핀들(3.2)은, 힘-로킹 및/또는 형상-로킹 및/또는 물질-로킹되도록 인쇄 회로 기판(1)의 형상 홀들에 고정된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금속 핀들로서 설계된다. 핀-소켓(3.1), 예를 들어, 핀들(3.2)을 수용하기 위한 패시지들을 갖는 기저 또는 블록은 전기적으로 비-도전성인 재료, 특히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커넥터(3)는 종래의 방식으로 볼트들(4.1)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1)에 부착된다.
커넥터(3) 상에, 홀딩 프레임(4)이 부착가능하다. 커넥터(3) 및 홀딩 프레임(4)은 홀딩 프레임(4)의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 적어도 한 쌍의 패스너들(F)에 의해 서로 맞물림해제가능하도록 접속된다.
패스너(F)는 스레디드 접속부, 핫 스탬핑 접속부, 클립 접속부, 스냅 접속부 또는 스레디드 접속부로서 형성된다.
각각의 패스너(F)에 대해, 핀-소켓(3.1)은, 원주 릿지(circumferential ridge)로서 설계되고 인쇄 회로 기판(1)에 대향하여 배열된 맞물림 부재(3.3)를 갖는다. 홀딩 프레임(4)상에 형성된 얼라인먼트 스냅-핏들(4.2)은 형상-밀폐 및/또는 힘-밀폐 방식으로 맞물림 부재(3.3)에 맞물린다.
홀딩 프레임(4)은 고체로서, 특히 전기적으로 및/또는 열적으로 전도성인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딩 프레임(4)은 금속성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압력 캐스팅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딩 프레임(4)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커넥터(3)의 볼트들(4.1)과 같은 고정 수단,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볼트들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1)에 추가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홀딩 프레임(4)은 스크류들, 리벳(rivet)들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홀딩 프레임(4)은, 커넥터(3)와 홀딩 프레임(4)의 어셈블링된 상태에서, 핀들(3.2)이 예를 들어 하강하거나 비팅하거나(beating) 또는 다른 기계적 응력들 동안 손상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핀들(3.2)이 인쇄 회로 기판(1)의 일 측 상에서 홀딩 프레임(4)에 의해 측면으로 둘러싸이고, 또는 홀딩 프레임(4)이 핀들(3.2) 위에 높이 솟게 되는, 그러한 치수들, 특히, 측벽들의 높이를 갖는다.
인쇄 회로 기판(1)의 표면(2)에 대해, 커넥터 어셈블리(V)는 커버부(5)에 의해 측면 밀폐되며, 이는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인쇄 회로 기판(1)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커버부(5)와 함께 홀딩 프레임(4)이 커넥터(3)에 슬라이딩가능하게 탑재되도록, 홀딩 프레임(4)이 커버부(5)에 일체화된다. 이를 위해, 커버부(5)는 개구(6)를 갖고, 그 개구 내에서 홀딩 프레임(4)이 내부 프레임으로서 일체화된다.
대안적으로, 홀딩 프레임(4)은 커버부(5)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 개별적인 컴포넌트로서 설계된다.
게다가, 커버부(5)는 홀딩 프레임(4)의 2개의 대향 외부 측벽들의 방향에서 각각 중심으로 고정된 가요성 접속부들(7)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요성 접속부들(7), 특히 홀딩 프레임(4)의 각각의 측면에 배열된 많은 가요성 접속부들(7)은, 커버부(5)의 대응 컷-아웃(8) 내에서 커버부(5)로부터 구부러지고 자유롭게 돌출하는 커브된 탄성 아암들(7.1)에 의해 동작되며, 이에 의해 탄성 아암들(7.1)은 이에 평행한 커넥터(3)의 종방향 축을 따라서 진행한다. 가요성 접속부들(7)의 탄성 단부들은 인쇄 회로 기판(1)에 대향하여 배열된 홀딩 프레임(4)의 개방 단부에 고정된다.
커버부(5) 내의 개구(6)는, 보상 갭(S)이 홀딩 프레임(4)과 커버부(5) 사이에 형성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대안적으로, 홀딩 프레임(4)의 크기 및 형상은, 보상 갭(S)을 형성하면서 종방향 또는 측방향 배향으로 커버부(5)의 개구(6)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는, 개구(6) 내 홀딩 프레임(4)의 용이한 얼라인먼트 및 센터링을 허용하여 이에 따라 커넥터(3)로의 커버부(5)의 삽입 동안 개선된 어셈블리를 허용한다.
커넥터(3), 특히 핀-소켓(3.1) 상에 홀딩 프레임(4)의 필수적으로 자유로운 플레이 및 중심 고정을 위해, 핀-소켓(3.1)은 가이딩 슬롯들(9) 또는 리세스들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연장하는 플레이트 또는 도시되지 않은 대응 커넥터 어셈블리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1)의 커넥터 어셈블리(V)의 접속 동안, 보상 갭(S) 내의 개구(6) 내에 오직 홀딩 프레임(4)만이 정렬되도록 요구된다.
따라서, 어셈블리가 적기에 간략화되고 감소되도록, 대응 커넥터 어셈블리 V의 대응 소켓의 개별적인 로우들 및 컬럼들 상의 커넥터(3)의 핀들(3.2)의 개별적인 로우들 및 컬럼들의 통상적인 복잡한 얼라인먼트는 회피된다.
또한, 솔더-측 그리고 핀-측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러한 커넥터 어셈블리 V는 솔더링 프로세스 동안 그 어셈블리를 허용한다.
이에 더해, 도 1은 인쇄 기판(1)의 지지를 위한 빔(10)을 나타낸다. 빔(10)은 망형 지지 구조체 또는 지지 플레이트로서 설계된다.
도 2는 인쇄 회로 기판(1) 상에 커넥터 어셈블리(V)를 갖는 커버부(5)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따라서 커넥터 어셈블리(V)의 확대된 섹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1 인쇄 회로 기판
2 표면
3 커넥터
3.1 핀-소켓
3.2 핀
3.3 맞물림 부재
4 홀딩 프레임
4.1 볼트
4.2 스냅-핏
5 커버부
6 개구
7 가요성 접속부
7.1 탄성 아암
8 컷-아웃
9 가이딩 슬롯
10 빔
F 패스너
S 보상 갭
V 커넥터 어셈블리

Claims (9)

  1. 인쇄 회로 기판(1)에 부착된 커넥터(3) 및 상기 커넥터(3)에 슬라이딩가능하게 탑재되는 일체화된 홀딩 프레임(4)을 갖는 커버부(5)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V)로서,
    상기 커버부(5)는 개구(6)를 갖고, 상기 개구(6) 내에서 상기 홀딩 프레임(4)은 상기 개구(6)의 표면에 대해 보상 갭(S)을 가지는 내부 프레임으로서 일체화되고,
    상기 커버부(5)는, 상기 커넥터(3)로의 상기 커버부(5)의 삽입 동안 상기 개구(6) 내에 상기 홀딩 프레임(4)을 정렬시키기 위한, 상기 개구(6)의 표면과 상기 홀딩 프레임(4) 사이의 가요성 접속부(7)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접속부(7)는 상기 개구(6)의 표면과 상기 홀딩 프레임(4) 사이에서 상기 개구(6)의 컷-아웃(8)에 형성되는 탄성 아암들(7.1)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아암들(7.1)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커넥터(3)의 핀들(3.2)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상기 커버부(5), 상기 가요성 접속부(7) 및 상기 홀딩 프레임(4)은 하나로 형성된 부품으로 설계되는, 커넥터 어셈블리(V).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프레임(4)의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 적어도 한 쌍의 패스너들(F)이 상기 커넥터(3)에 상기 홀딩 프레임(4)을 고정시키도록 제공되는, 커넥터 어셈블리(V).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F)는, 핫 스탬핑(hot stamping) 접속부, 클립(clip) 접속부, 스냅-온(snap-on) 접속부 또는 나사형(threaded) 접속부로서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V).
  4.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패스너(F)는, 상기 홀딩 프레임(4)과 상기 커넥터(3)의 일 측면에 얼라인먼트 스냅-핏(4.2)을 포함하고, 상기 홀딩 프레임(4)과 상기 커넥터(3)의 다른 측면에 상보적 맞물림 부재(3.3)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V).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이딩 슬롯들(9)이 상기 커넥터(3)의 핀-소켓(3.1)과 상기 홀딩 프레임(4) 사이에서 맞물림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V).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6)의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 적어도 한 쌍의 가요성 접속부들(7)이 상기 홀딩 프레임(4)을 상기 개구(6) 내로 이동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제공되는, 커넥터 어셈블리(V).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로 형성된 부품은 하나로 주조된(moulded) 부품으로서 설계되는, 커넥터 어셈블리(V).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3)는 복수의 이격된 핀들(3.2)과 함께 적어도 핀-소켓(3.1)을 포함하는 멀티-핀 커넥터인, 커넥터 어셈블리(V).
KR1020137011245A 2010-10-01 2011-09-30 커넥터 어셈블리 KR101585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47282.4 2010-10-01
DE102010047282 2010-10-01
EP10195719.9 2010-12-17
EP10195719.9A EP2437356B1 (en) 2010-10-01 2010-12-17 Connector assembly
PCT/EP2011/067146 WO2012042032A1 (en) 2010-10-01 2011-09-30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333A KR20130094333A (ko) 2013-08-23
KR101585062B1 true KR101585062B1 (ko) 2016-01-13

Family

ID=44720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1245A KR101585062B1 (ko) 2010-10-01 2011-09-30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91395B2 (ko)
EP (1) EP2437356B1 (ko)
JP (1) JP5674949B2 (ko)
KR (1) KR101585062B1 (ko)
CN (1) CN103140991B (ko)
WO (1) WO20120420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7087B1 (en) * 2013-10-18 2015-04-2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cable tray having a floatable cable connector
US9318836B2 (en) * 2014-02-06 2016-04-19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 connector
CN113594747B (zh) * 2021-07-29 2024-01-26 昆山金鹏电子有限公司 一种高密度柔性线路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2961A (ja) * 2000-07-27 2002-02-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支持装置
US20100144196A1 (en) 2008-12-05 2010-06-10 Bizconn International Corp.(Shenzhen) Board Mounted Connector System with Shield Assembly
DE102006030706B4 (de) 2006-06-30 2014-01-23 Eaton Industries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Steuerung von busvernetzten Geräten über einen offenen Feldbu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4430A (en) * 1986-11-17 1991-04-02 Amp Incorporated Panel mount electrical connector
JPH09260004A (ja) * 1996-03-19 1997-10-03 Alps Electric Co Ltd 電気的接続装置
JP3523055B2 (ja) * 1998-03-20 2004-04-26 矢崎総業株式会社 回路体
JP2002056938A (ja) * 2000-08-09 2002-02-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の支持構造
DE102006037060B3 (de) * 2006-08-08 2008-02-14 Siemens Ag Elektronikeinheit
CN201365017Y (zh) 2009-02-18 2009-12-16 实盈电子(东莞)有限公司 电连接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2961A (ja) * 2000-07-27 2002-02-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支持装置
DE102006030706B4 (de) 2006-06-30 2014-01-23 Eaton Industries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Steuerung von busvernetzten Geräten über einen offenen Feldbus
US20100144196A1 (en) 2008-12-05 2010-06-10 Bizconn International Corp.(Shenzhen) Board Mounted Connector System with Shield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7356A1 (en) 2012-04-04
CN103140991A (zh) 2013-06-05
WO2012042032A1 (en) 2012-04-05
CN103140991B (zh) 2015-11-25
US9391395B2 (en) 2016-07-12
EP2437356B1 (en) 2016-03-02
JP2013541155A (ja) 2013-11-07
JP5674949B2 (ja) 2015-02-25
KR20130094333A (ko) 2013-08-23
US20130252452A1 (en)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3290B1 (en) Electric connector
KR101176880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US8529295B2 (en) Surface mount multi-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80138618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678696B2 (ja) 平坦な整列表面を有する2体の表面実装型ヘッダ組立体
US20150079816A1 (en) Board-to-board connector
EP0356156B1 (en) Circuit card edge connector and terminal therefor
US9997854B2 (en) Movable connector
US9559509B2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CN107851941B (zh) 连接器及连接器的制造方法
JP3222722U (ja) 浮動式コネクタ
EP1895823B1 (en) Circuit Board Housing Structure
US20090011623A1 (en) Low profile board-mounted connector
JPH10189181A (ja) プラグコネクタ
KR101585062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1048367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8732941B2 (en) Assembly aid for printed board connectors
US7300290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756163B1 (ko) 커넥터 조립체, 인쇄회로기판, 조정가능한 핀 헤더 조립체 및 생산방법
EP1215762B1 (en) Connector
US20230056007A1 (en) Self-Aligning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7226294B2 (en) Electrical connector
EP3217486B1 (en) Connector and connector structure
US20040219808A1 (en) Electronic package with socket and reinforced cover assembly
US6716039B1 (e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