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922B1 - 커튼 에어백 모듈 - Google Patents
커튼 에어백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3922B1 KR101583922B1 KR1020140054916A KR20140054916A KR101583922B1 KR 101583922 B1 KR101583922 B1 KR 101583922B1 KR 1020140054916 A KR1020140054916 A KR 1020140054916A KR 20140054916 A KR20140054916 A KR 20140054916A KR 101583922 B1 KR101583922 B1 KR 1015839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shion
- inflator
- cover
- fixing
- sha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를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한 커튼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부와 상기 인플레이터를 감싸며, 일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인플레이터를 차체에 고정하는 브라켓 외부면에 마련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이 소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튼 에어백을 차량에 조립하는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에어백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커튼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안전을 위해 여러 종류의 에어백이 장착되어 있다. 그 중에서 커튼형 에어백은 측면충돌시 탑승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여 차량에 장착을 하는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에어백의 쿠션부는 특성상 평상시에 그 부피를 줄이기 위해 롤 형태로 감겨져 차량 측면부에 설치된다. 에어백을 차량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롤 형태로 감겨진 쿠션부가 풀리면서 아래로 쳐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차량에 조립시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쿠션부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테이핑 작업을 하였다. 그러나 테이핑 작업의 경우 테이핑의 크기, 텐션을 관리하기 어려워 일정수준의 품질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커튼에어백 모듈을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커튼에어백 모듈은 에어백 쿠션부(1)와 에어백 쿠션부(1)를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커튼 에어백 모듈은 쿠션부(1)가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쳐짐에 따라, 차량에 조립시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커튼 에어백을 차량에 조립하는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에어백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커튼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에어백 쿠션부와 쿠션부를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한 커튼 에어백에 있어서, 에어백 쿠션부와 인플레이터를 감싸며, 일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커버부; 및 인플레이터를 차체에 고정하는 브라켓 외부면에 마련된 고정부;를 포함한다.
커버부는 쿠션부와 인플레이터를 S자 형상으로 감싸며, 쿠션부는 커버부에 의해 인플레이터 측으로 당겨져 인플레이터에 밀착될 수 있다.
커버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홀은 고정부에 고정되며, 커버부의 타단부는 인플레이터와 쿠션부 사이를 통과하여 쿠션부를 감싸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는 브라켓 상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폭은, 일단부 및 타단부의 폭보다 좁게 할 수 있다.
커버부는 타단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더 포함한다.
커버부의 일단부는 타단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고,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홀이 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부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형성된 관통홀은 모두 고정부에 고정되며, 커버부는 쿠션부와 인플레이터 사이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커버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홀은 고정부에 고정되며, 커버부의 타단부는 결합체를 통해 쿠션부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의 형상은 ㄱ 형상, T 형상 또는 O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에어백 모듈에 따르면, 테이핑 작업이 아닌 커버부를 이용하여 쿠션부를 감싸주게 된다. 따라서, 테이핑 작업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이 용이하여 차량의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일정수준의 품질을 유지하여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커튼 에어백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에어백 모듈의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와 인플레이터 및 커버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에어백 모듈의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와 인플레이터 및 커버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에어백 쿠션부(1)와 쿠션부(1)를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3)를 구비한 커튼 에어백에 있어서, 에어백 쿠션부(1)와 인플레이터(3)를 감싸며, 일단부에 관통홀(7)이 형성된 커버부(5); 및 인플레이터(3)를 차체에 고정하는 브라켓(9) 외부면에 마련된 고정부(11);를 포함한다.
커튼 에어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1)를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3)가 브라켓(9)에 고정되어 차량에 설치되고, 쿠션부(1)는 롤 형태로 말려서 인플레이터(3)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쿠션부(1)는 중력에 의해 쿠션부(1)가 아래로 처지게 된다. 이러한 처짐을 방지하고, 커튼 에어백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4a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5)를 이용하여 에어백 쿠션부(1)를 감싼 다음 브라켓(9)에 마련된 고정부(11)에 고정함으로써 쿠션부(1)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5)는 도4a 내지 도4c를 참조하면, 쿠션부(1)와 인플레이터(3)를 S자 형상으로 감싸며, 쿠션부(1)는 커버부(5)에 의해 인플레이터(3) 측으로 당겨져 인플레이터(3)에 밀착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1)는 브라켓(9) 상부에 마련되어 커버부(5)의 일단부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커버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홀은 고정부에 고정되며, 커버부의 타단부는 인플레이터와 쿠션부 사이를 통과하여 쿠션부를 감싸도록 할 수 있다.
즉, 커버부(5)의 일단부가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커버부(5)를 감쌀 때 인플레이터(3)와 쿠션부(1) 사이를 통과하여 쿠션부(1)를 감싸게 되면 S자 형상이 된다. 이 경우, 인플레이터(3)와 쿠션부(1)를 테이핑 하는 것보다 텐션 관리가 쉽고, 시공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a 및 도 2c를 참조하면 커버부(5)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폭은, 일단부 및 타단부의 폭보다 좁게 할 수 있다.
즉, 커버부(5)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가 일단부 및 타단부의 폭보다 좁으면, 커튼 에어백 모듈을 차량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마운팅홀(4)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조립이 더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5)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홀(7)은 고정부(11)에 고정된다, 그리고, 커버부(5)의 타단부는 결합체를 통해 쿠션부(1)에 고정될 수 있다.
먼저 커버부(5)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홀(7)이 고정부(11)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인플레이터(3)와 쿠션부(1)를 통과하면서 쿠션부(1)를 감싸주게 된다. 그리고 타단부는 쿠션부(1)에 봉재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타단부와 쿠션부(1)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봉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커버부(5)는 도 2a 및 2c를 참조하면, 타단부에 형성된 관통홀(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5)의 일단부 뿐만 아니라 타단부에도 관통홀(13)이 형성되면, 쿠션부(1)를 고정하기 위해 타단부와 쿠션부(1)를 와이어로 봉재 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5)의 일단부는, 타단부에 형성된 관통홀(13)을 관통하고,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홀(7)이 고정부(11)에 고정될 수 있다.
먼저 커버부(5)가 쿠션부(1)를 감싸면서 커버부(5)의 일단부가 커버부(5)의 타단부에 형성된 관통홀(13)을 통과하면서 커버부(5)가 쿠션부(1)에 밀착되어 감겨진 형태가 된다. 커버부(5)의 일단부가 차체측 인플레이터(3) 방향으로 우회하여 브라켓(9) 상부에 마련된 고정부(11)에 고정된다. 이 경우 쿠션부(1)가 인플레이터(3) 방향과 차체(17)측 방향으로 밀착되어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c를 참조하면 커버부(5)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모두 고정부(11)에 고정되며, 커버부(5)는 쿠션부(1)와 인플레이터(3) 사이를 통과하여 쿠션부(1)를 감싸게 된다.
즉, 커버부(5)의 일단부는 고정부(11)에 고정되고 커버부(5)의 타단부는 쿠션부(1)와 인플레이터(3) 사이를 통과하면서 쿠션부(1)를 감싸고 커버부(5)의 타단부는 다시 고정부(11)로 돌아와서 고정된다. 따라서, 일단부와 타단부가 모두 같은 고정부(11)에 고정이 되기 때문에 쿠션부(1)가 커버부(5)를 감싸는데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고정부(11)의 형상은 ㄱ 형상, T 형상 또는 O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는 ㄱ 형상인 것이 사용되나, 커튼에어백 모듈을 차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쿠션부가 흔들리게 되면, 고정부(11)에 고정된 커버부(5)의 일단부가 고정부(11)에서 탈거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고정부(11)가 탈거 되지 않도록 T 형상이나 버섯 모양의 O 형상을 사용하는 것이 ㄱ 형상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쿠션부 3 : 인플레이터
4 : 마운팅홀 5 : 커버부
7 : 일단부 관통홀 9 : 브라켓
4 : 마운팅홀 5 : 커버부
7 : 일단부 관통홀 9 : 브라켓
Claims (10)
- 에어백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를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한 커튼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부와 상기 인플레이터를 감싸며, 일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커버부;
상기 인플레이터를 차체에 고정하는 브라켓 외부면에 형성되며 차체측으로 돌출된 고정부; 및
상기 커버부는 타단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형성된 관통홀은 모두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되, 상기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홀이 상기 고정부에 먼저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의 타단부는 상기 쿠션부와 상기 인플레이터 사이를 통과하여 실내측으로 빠져나간 후 차체측으로 돌아나가며 쿠션부를 감싸고 상기 타단부에 형성된 관통홀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쿠션부와 상기 인플레이터를 S자 형상으로 감싸며, 상기 쿠션부는 상기 커버부에 의해 상기 인플레이터 측으로 당겨져 상기 인플레이터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홀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커버부의 타단부는 상기 인플레이터와 상기 쿠션부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쿠션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브라켓 상단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폭은, 상기 일단부 및 타단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형상은 ㄱ 형상, T 형상 또는 O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4916A KR101583922B1 (ko) | 2014-05-08 | 2014-05-08 | 커튼 에어백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4916A KR101583922B1 (ko) | 2014-05-08 | 2014-05-08 | 커튼 에어백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9159A KR20150129159A (ko) | 2015-11-19 |
KR101583922B1 true KR101583922B1 (ko) | 2016-01-11 |
Family
ID=5484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4916A KR101583922B1 (ko) | 2014-05-08 | 2014-05-08 | 커튼 에어백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3922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69933A (ja) | 2012-02-22 | 2013-09-02 | Honda Motor Co Ltd |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
JP2013208979A (ja) | 2012-03-30 | 2013-10-10 | Takata Corp |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20097A (ko) | 2008-08-12 | 2010-02-2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처짐방지기구 |
JP5626121B2 (ja) * | 2011-05-26 | 2014-11-19 | 豊田合成株式会社 |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
-
2014
- 2014-05-08 KR KR1020140054916A patent/KR1015839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69933A (ja) | 2012-02-22 | 2013-09-02 | Honda Motor Co Ltd |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
JP2013208979A (ja) | 2012-03-30 | 2013-10-10 | Takata Corp |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9159A (ko) | 2015-1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5596B1 (ko) | 커튼 에어백쿠션의 고정장치 | |
KR102380056B1 (ko) | 사이드 에어백 모듈 및 차량 시트 | |
KR102125036B1 (ko) | 에어백 및 에어백 조립체 | |
US20130214516A1 (en) | Anti-twist device for curtain airbag of vehicle | |
JP2013169933A (ja) |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 |
KR101583922B1 (ko) | 커튼 에어백 모듈 | |
KR20110012318A (ko) | 선루프와 헤드라이닝 고정을 위한 체결구조 | |
JP6325468B2 (ja) | カーテンエアバッグ | |
JP5923051B2 (ja) | エアバッグ装置 | |
CN106965767B (zh) | 侧安全气帘 | |
KR102382389B1 (ko) | 와이어 인출부 고정 밴드 결합 구조 | |
KR20130005871U (ko) | 와이어 고정부를 구비한 프로텍터 | |
KR102460903B1 (ko) | 에어백 장치 | |
JP5906203B2 (ja) |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取り付け構造 | |
JP6507011B2 (ja) |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取り付け構造 | |
KR100578895B1 (ko) | 커튼에어백의 전개를 위한 안내장치 | |
KR101262976B1 (ko) | 와이어 밀착형 에어백 모듈 | |
JP5964798B2 (ja) |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 |
KR102454734B1 (ko) | 무릎 에어백 장치 | |
KR20230149006A (ko) | 에어백 장치와, 센터 사이드 에어백모듈 및 에어백모듈 세트 | |
JP2015085818A (ja) | 乗員保護装置 | |
JP2015171894A (ja) |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 |
JP6299508B2 (ja) |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 |
JP2018103657A (ja) | ハーネス保護用クランプ構造 | |
KR200431362Y1 (ko) |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