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935B1 - 축부재의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축부재의 지지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2935B1 KR101582935B1 KR1020140087569A KR20140087569A KR101582935B1 KR 101582935 B1 KR101582935 B1 KR 101582935B1 KR 1020140087569 A KR1020140087569 A KR 1020140087569A KR 20140087569 A KR20140087569 A KR 20140087569A KR 101582935 B1 KR101582935 B1 KR 1015829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nap ring
- bearing
- output shaft
- ring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16C35/063—Fixing them on the shaf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60K17/24—Arrangements of mountings for shaf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54—System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bearings with rolling friction
- F16C19/546—Systems with spaced apart rolling bearings including at least one angular contact bearing
- F16C19/547—Systems with spaced apart rolling bearings including at least one angular contact bearing with two angular contact rolling bearings
- F16C19/548—Systems with spaced apart rolling bearings including at least one angular contact bearing with two angular contact rolling bearings in O-arrang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9—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aling the gearboxes, e.g. to improve airtightnes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67—Elements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69—Bearings or seals
- F16H57/0472—Sea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3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rollers
- F16C19/36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rollers with tapered rollers, i.e. rollers having essentially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Sealing Of Bearing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Abstract
축부재를 보다 확실히 지지할 수 있는 축부재의 지지구조를 얻는다.
출력축(축부재)(14)과, 상기 출력축(14)의 외측에 끼워진 제1 베어링(16)과, 출력축(14)에 마련된 스냅링홈(22)에 배치되어, 제1 베어링(16)의 내륜(16B)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스냅링(20)과, 출력축(14)의 외측에 끼워져, 스냅링(20)이 스냅링홈(22)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컬러(빠짐 방지 부재)(24)를 가지고, 상기 컬러(24)의 외주(80)에 오일씰(26)이 배치된다.
출력축(축부재)(14)과, 상기 출력축(14)의 외측에 끼워진 제1 베어링(16)과, 출력축(14)에 마련된 스냅링홈(22)에 배치되어, 제1 베어링(16)의 내륜(16B)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스냅링(20)과, 출력축(14)의 외측에 끼워져, 스냅링(20)이 스냅링홈(22)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컬러(빠짐 방지 부재)(24)를 가지고, 상기 컬러(24)의 외주(80)에 오일씰(26)이 배치된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2013년 10월 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3-209641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축부재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감속기의 출력축의 지지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의 외측에 끼워진 베어링과, 출력축에 마련된 스냅링홈에 배치된 스냅링을 구비한 지지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스냅링은, 베어링의 내륜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이러한 스냅링을 이용하여 베어링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구조는, 특히, 출력축에 액시얼 하중이 가해지는 용도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을 보다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다.
이 지지구조에서는, 출력축 상에 있어서의 스냅링의 베어링 반대측에, 오일씰이 배치되어, 베어링 및 스냅링이 존재하는 공간을, 감속기의 외부에 대해서 밀봉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중국 실용신안공보 CN202048143U호(도 1)
그러나, 상기 스냅링은, 단순히 출력축에 마련된 스냅링홈에 걸어진 것이었기 때문에, 축부재에 강한 액시얼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는, 드물게, 스냅링이 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축부재를 보다 확실히 지지할 수 있는 축부재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외측에 끼워진 베어링과, 상기 축부재에 마련된 스냅링홈에 배치되어, 상기 베어링의 내륜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스냅링과, 상기 축부재의 외측에 끼워져, 상기 스냅링이 상기 스냅링홈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 부재를 가지고, 상기 빠짐 방지 부재의 외주에 오일씰이 배치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냅링이 스냅링홈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 부재를 축부재의 외측에 끼우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스냅링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축부재를 보다 확실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축부재를 보다 확실히 지지할 수 있는 축부재의 지지구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한 축부재의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한 축부재의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감속기(전체는 도시하지 않음)(12)의 출력축(축부재)(14)의 지지에, 본 발명이 적용되고 있다.
즉, 이 출력축(14)의 지지구조는, 지지되어야 하는 축부재인 출력축(14)과, 그 출력축(14)의 외측에 끼워진 제1, 제2 베어링(16, 18)과, 제1 베어링(16)의 내륜(16B)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스냅링(20)과, 출력축(14)의 외측에 끼워져, 스냅링(20)이 스냅링홈(22)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컬러(collar)(빠짐 방지 부재)(24)를 가지고 있다. 스냅링(20)은, 출력축(14)에 마련된 스냅링홈(22)에 배치되어 있으며, 컬러(24)의 외주(80)에 오일씰(26)이 배치되어 있다.
이하, 보다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출력축(14)은, 감속기(12)의 감속기구(12A)에 의하여 감속된 회전을 취출하는 캐리어 플랜지부(30), 제2 베어링(18)이 배치되는 제2 베어링 배치부(32), 제1 베어링(16)이 배치되는 제1 베어링 배치부(34), 상기 스냅링홈(22), 상기 컬러(24)가 배치되는 컬러 배치부(36), 및 상대 기계(피구동 부재)(38)가 배치되는 연결부(40)를, 축방향으로 이 순서대로 구비하고 있다.
캐리어 플랜지부(30)의 외경은, d30, 제2 베어링 배치부(32)의 외경은, d32, 제1 베어링 배치부(34)의 외경은, d34, 스냅링홈(22)은, 제1 베어링 배치부(34)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주변의 외경(d22)은, 제1 베어링 배치부(34)와 동일(d34=d22), 컬러 배치부(36)의 외경은, d36, 연결부(40)의 외경은, d40이며, 이 순서대로 작게 되어 있다(d30>d32>d34=d22>d36>d40).
출력축(14)의 외측에는, 공간(P1)을 사이에 두고 감속기(12)의 케이싱(44)이 대향하고 있다. 상기 제1, 제2 베어링(16, 18)은, 이 공간(P1)에 배치되어, 출력축(14)을 그 케이싱(44)에 의하여 지지하고 있다.
다만, 출력축(14) 상의 부호 50은, 제1 베어링 배치부(34)를 가공할 때의 공구의 릴리프홈, 부호 52는, 제2 베어링 배치부(32)를 가공할 때의 공구의 릴리프홈이다. 또, 출력축(14)의 연결부(40)에는, 키홈(40A) 및 탭구멍(40B)(도 1)이 형성되어 있으며, 출력축(14)은, 그 키홈(40A) 또는 탭구멍(40B)을 통하여 상대 기계(38)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 베어링(16)은, 테이퍼롤러베어링이며, 전동체(16A)로서, 원추 롤러가 장착되어 있다. 제2 베어링(18)은, 테이퍼롤러베어링이며, 전동체(18A)로서 원추 롤러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베어링(16)은, 그 내륜(16B)이 출력축(14)의 제1 베어링 배치부(34)에 압입되어 있다. 제1 베어링(16)의 내륜(16B)은, 스페이서(17)를 통하여 스냅링(20)에 의하여, 축방향 감속기구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고 있다. 제1 베어링(16)의 외륜(16C)은, 케이싱(44)의 케이스 단차부(54)에 맞닿음으로써, 축방향 감속기구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고 있다.
다만, 스페이서(17)는, 축방향폭이 넓은 메인 스페이서(17A)와, 축방향폭이 좁은 서브 스페이서(17B)로 구성되어 있다. 서브 스페이서(17B)는, 축방향폭이 약간 상이한 복수의 부재가 준비되어 있으며, 제1, 제2 베어링(16, 18)의 여압을 조정하기 위한 심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축방향폭이 넓은 메인 스페이서(17A)와 축방향폭이 좁은 서브 스페이서(17B)를 조합하여 이용하고, 또한 메인 스페이서(17A)를 스냅링(20)측에 배치함으로써, 복수 준비하는 부재 비용을 저감함과 함께, 장착 시에 서브 스페이서(17B)가 스냅링홈(22) 내로 떨어져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베어링(18)은, 그 내륜(18B)이 출력축(14)의 제2 베어링 배치부(32)에 압입됨과 함께, 캐리어 플랜지부(30)와 제2 베어링 배치부(32)와의 직경차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출력축 단차부(56)에 의하여, 축방향 감속기구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고 있다. 제2 베어링(18)의 외륜(18C)은, 케이싱(44)의 케이스 단차부(58)에 맞닿음으로써, 축방향 감속기구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고 있다.
제1, 제2 베어링(16, 18)은, 이러한 구성을 가지며, 배면 맞춤으로 출력축(14)에 장착되어 있으며, 그 출력축(14)에 걸리는 래디얼 하중 및 액시얼 하중의 쌍방을 지지하고 있다.
제1 베어링(16)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하고 있는 스냅링(20)은, 출력축(14)에 마련된 상기 스냅링홈(22)에 배치되어, 제1 베어링(16)의 내륜(16B)의 축방향 감속기구 반대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스냅링(20)이 스냅링홈(22)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컬러(빠짐 방지 부재)(24)가, 출력축(14)의 컬러 배치부(36)의 외측에 끼워져 있다. 컬러(24)는, 스냅링(20)과 축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컬러(24)는, 전체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컬러(24)의 출력축(14)의 축심(O1)을 통과하는 단면은, 그 최내주부(60)가 출력축(14)의 컬러 배치부(36)의 축방향폭(L36)과 동일한 축방향폭을 가지고 있다. 단, 상이한 축방향폭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당해 단면의 감속기구측이, 면취부(62)를 거쳐 3단의 스텝형상으로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컬러(24)의 축방향폭은, 직경방향 내측의 내주부(66)에서는, L66이며, 직경방향 중앙의 센터부(68)에서는, L66보다 큰 L68이고, 직경방향 외측의 외주부(70)에서는, L68보다 더욱 큰 L70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의 센터부(68)의 축방향 측면(68A)이, 스냅링(20)의 감속기구 반대측의 측면(21)과 축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컬러(24)는, 스냅링(20)이 스러스트력(thrust force)을 받았을 때에, 그 센터부(68)가 변형된 스냅링(20)에 맞닿아, 그 스냅링(20)에 당해 스러스트력에 대한 반력을 부여할 수 있다.
다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센터부(68)의 축방향 측면(68A)과 스냅링(20)의 감속기구 반대측의 측면(21)과의 사이에는, 장착 시에 있어서 매우 약간의 간극이 확보되어 있다. 즉, 컬러(24)는, 스냅링(20)에 스러스트력이 걸려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스냅링(20)과는 맞닿아 있지 않고, 스냅링(20)에 스러스트력이 걸림으로써 비로소 맞닿는 축방향 위치에서 출력축(14)의 외측에 끼워져(구체적으로는 압입되어) 있다. 이것은, 장착 시에 컬러(24)를 (스냅링(20)에 압력을 주는 일 없이), 확실히 출력축 단차부(55)에 맞닿을 때까지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담보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컬러(24)는, 처음부터 스냅링(20)에 맞닿는 양태로 출력축(14)의 외측에 끼워져 있어도 된다.
또, 컬러(24)는, 스냅링(20)과 (축방향뿐만 아니라) 직경방향으로도 대향하고 있다. 즉, 컬러(24)는, 출력축(14)의 소경(小徑)부에 상당하는 컬러 배치부(36)에 끼워맞춰짐과 함께, 그 외주부(70)가, 대경(大徑)부에 상당하는 제1 베어링 배치부(34)와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뻗어 있는 “연재부”를 구성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컬러(24)의 외주부(70)는, 스냅링(20)의 직경방향 외측에까지 뻗어 있으며, 그 외주부(70)의 내주(71)(의 일부)가 스냅링(20)의 외주(23)(의 일부)와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컬러(24)의 외주(80)가, 오일씰(26)의 배치면으로 되어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컬러(24)는, 특히 외주부(70)의 축방향폭이 넓은 L70으로 설정되어 있다. 외주부(70)의 축방향폭(L70)은, 오일씰(26)의 축방향폭(L26)보다 커(L70>L26), 충분히 여유를 가지고 오일씰(26)의 배치면으로 할 수 있다.
다만, 컬러(24)의 축방향 감속기구 반대측은, 면취부(74)의 직경방향 외측의 대략 전부가, 출력축(14)과 직각인 측면(76)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측면(76)에 상대 기계(38)의 일부가 맞닿아 있으며, 컬러(24)에 의하여 그 상대 기계(38)로부터 입력되어 오는 액시얼 하중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 베어링(16), 스냅링(20), 컬러(24), 및 오일씰(26) 근방의 구성을 정리하면, 출력축(14)은, 대경부에 상당하는 제1 베어링 배치부(34)와 소경부에 상당하는 컬러 배치부(36)를 가지고, 스냅링(20)은, (대경부에 상당하는) 제1 베어링 배치부(34)에 배치되고, 컬러(24)는, (소경부에 상당하는) 컬러 배치부(36)에 끼워맞춰짐과 함께, 제1 베어링 배치부(34)와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뻗어 있는 (연재부로서의) 외주부(70)를 가지며, 또한, 오일씰(26)은, (대경부에 상당하는) 제1 베어링 배치부(34)와 직경방향으로부터 보아 중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게 된다.
다음으로, 이 출력축의 지지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1 베어링(16)에 대해서 그 제1 베어링(16)의 내륜(16B)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스냅링(20)을 배치하면, 제1 베어링(16)의 내륜(16B)에 관한 액시얼 하중에 대해서, 출력축(14)과 제1 베어링(16)의 내륜(16B)과의 사이의 압입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응력보다 큰 응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란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냅링(20)을 가지기만 한 구성에서는, 그 스냅링(20)에 큰 액시얼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는, 그 스냅링(20)이 스냅링홈(22)으로부터 빠져나와 버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배면 맞춤으로 배치하고 있는 한 쌍의 베어링 중 일방인 제1 베어링(16)을 스냅링(20)에 의하여,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경우, 그 스냅링(20)은, (외륜(16C)이 아니라) 내륜(16B)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스냅링(20)은, 케이싱(44)의 내측에 끼우는 것이 아니라, 축부재인 출력축(14)의 외측에 끼울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스냅링(20)과 스냅링홈(22)과의 걸림 면적이 작아, 스냅링(20)의 빠짐 문제가 보다 발생하기 쉽다는 사정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냅링(20)이 스냅링홈(22)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컬러(빠짐 방지 부재)(24)를 출력축(14)의 외측에 끼우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스냅링(20)이 스냅링홈(22)으로부터 빠져나와 버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컬러(24)를 스냅링(20)과 축방향으로 대향시켜, 스냅링(20)에 스러스트력이 걸렸을 때에, 컬러(24)와 맞닿게 한 경우, 컬러(24)의 장착이 행해짐으로써, 만일, 스냅링(20)이 스냅링홈(22)에 완전히 끼워 넣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컬러(24)를 출력축 단차부(55)에 맞닿는 위치까지 밀어 넣을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한다. 따라서, 실리적인 효과로서, 이로써, 스냅링(20)의 끼워 넣기 미스를 놓치는 일 없이, 반드시 발견할 수 있게 된다는 검증 효과도 얻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이와 같이 컬러(24)를 스냅링(20)에 인접하여 배치하도록 구성하면, 출력축(14)과 케이싱(44)과의 사이를 밀봉하고 있는 오일씰(26)은, 만약, 종래의 구조를 답습한다면, 필연적으로 이 컬러(24)의 더욱 축방향 감속기구 반대측에 배치하게 된다. 그 결과, 출력축(14)의 연결부(40)에 있어서 외부 하중이 가해지는 포인트(하중 무게중심 포인트)(Lp)로부터 제1 베어링(16)의 작용점까지의 축방향 길이(Lp16)가 그 만큼 길어지고, 특히, 출력축(14)에 상대 기계(38)측으로부터 래디얼 하중이 가해졌을 때의 제1 베어링(16)의 부담이 커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출력축(14)의 하중 무게중심 포인트(Lp)로부터 스냅링홈(22)까지의 축방향 길이(Lp22)도 그 만큼 길어지기 때문에, 스냅링홈(22)의 주변에 있어서 출력축(14)에 발생하는 응력 집중이 커진다는 문제도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력축(14)과 케이싱(44)과의 사이를 밀봉하는 오일씰(26)을, 출력축(14)이 아니라, 컬러(24)의 외주(80)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컬러(24)를 배치했음에도 불구하고, 제1 베어링(16)의 작용점 혹은 스냅링(20)으로부터 하중 무게중심 포인트(Lp)까지의 축방향 길이(Lp16, Lp22)가 증대되는 것을 억제한 설계가 가능하다(가령, 직전까지 짧게 억제하지 않는 경우이더라도, 축방향에 있어서, 공간적으로 보다 여유가 있는 설계가 가능해진다).
또, 제1 베어링(16)부터 오일씰(26)의 감속기구 반대측의 면(27)까지의 거리(L)(16-27)를 짧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케이싱(44)의 외형이 커져, 중량 증대, 비용 증대의 요인이 되는 것을 회피하는 설계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컬러(24)는, 스냅링(20)과 축방향으로 대향하고, 그 스냅링(20)이 스러스트력을 받았을 때에, (변형된) 스냅링(20)에 맞닿아, 그 스냅링(20)에 당해 스러스트력에 대한 반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스냅링(2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스냅링(20)에 의한 제1 베어링(16)의 이동의 규제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컬러(24)는, 스냅링(20)과 (축방향으로 대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직경방향으로도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스냅링(20)은, 직경방향에 대해서도 움직임이 구속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스냅링(20)이 스냅링홈(22)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있다. 나아가서는, 컬러(24)의 축방향 감속기구 반대측의 측면(76)의 축방향 위치가, 감속기구 반대측으로 시프트하는 거리를 억제하면서(경우에 따라서는 오히려 감속기구측으로 시프트시키면서), 오일씰(26)의 배치면으로서, 컬러(24)의 외주부(70)의 축방향 길이(L70)(외주(80)의 축방향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력축(14)은, (대경부에 상당하는) 대경의 제1 베어링 배치부(34)와 (소경부에 상당하는) 소경의 컬러 배치부(36)를 가지고, 스냅링(20)은, 대경의 제1 베어링 배치부(34)에 배치되며, 컬러(24)는, 소경의 컬러 배치부(36)에 끼워맞춰져 있다. 그리고, 컬러(24)는, 제1 베어링 배치부(34)와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뻗어 있는 (연재부로서의) 외주부(70)를 가지고, 또한, (그 외주부(70)의 외주(80) 상에 배치된) 오일씰(26)은, 제1 베어링 배치부(34)와 직경방향으로부터 보아 중첩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컬러(24)가 추가로 배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일씰(26)의 배치면이 되는 컬러(24)의 외주부(70)(의 외주(80))의 축방향폭(L70)을 충분히 크게 확보하면서, 제1 베어링(16)의 작용점이나 스냅링홈(22)으로부터 하중 무게중심 포인트(Lp)까지의 거리(Lp16, Lp22)를 작게 유지할 수 있어, 제1 베어링(16)의 하중 부담이나, 스냅링홈(22) 주변의 응력 집중을 보다 작게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또, 제1 베어링(16)부터 오일씰(26)의 감속기구 반대측의 면(27)까지의 거리(L)(16-27)를 짧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케이싱(44)의 외형이 커져, 중량 증대, 비용 증대의 요인이 되는 것을 회피하는 설계를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컬러(24)에 대하여, 스냅링(20)의 빠짐 방지 기능 외에, 스냅링(20)이 스러스트력을 받았을 때에, 그 스냅링(20)에 당해 스러스트력에 대한 반력을 부여하는 기능도 갖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컬러(24)는, 최저한, 스냅링(20)의 빠짐 방지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충분하다. 즉, 컬러(24)가 스냅링(20)에 대하여, 스러스트력에 대한 반력을 부여하는 기능은,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 베이스로 예시한다면, 예를 들면, 컬러(24)가, 스냅링(20)과 직경방향으로 대향하고 있음으로써, 스냅링(20)의 빠짐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면, 그 컬러(24)는, 반드시 스냅링(20)과 축방향으로 대향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또, 스냅링(20)이 스러스트력을 받았을 경우이더라도, 반드시 스냅링(20)과 맞닿아 그 스냅링(20)에 당해 스러스트력에 대한 반력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반대로 말한다면, 컬러는, 요컨대, 어떠한 구성으로 스냅링이 스냅링홈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형상 혹은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충분하고, 반드시 스냅링과 축방향이나 직경방향으로 대향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감속기의 출력축에 본 발명의 축부재의 지지구조를 적용한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감속기의 출력축 이외의 축에 적용해도 되고, 나아가서는, 감속기 이외의 장치의 축부재에 적용해도 된다.
12: 감속기
14: 출력축(축부재)
16: 제1 베어링
18: 제2 베어링
20: 스냅링
22: 스냅링홈
24: 컬러(빠짐 방지 부재)
26: 오일씰
32: 제2 베어링 배치부
34: 제1 베어링 배치부(대경부)
36: 컬러 배치부(소경부)
38: 상대 기계
40: 연결부
44: 케이싱
14: 출력축(축부재)
16: 제1 베어링
18: 제2 베어링
20: 스냅링
22: 스냅링홈
24: 컬러(빠짐 방지 부재)
26: 오일씰
32: 제2 베어링 배치부
34: 제1 베어링 배치부(대경부)
36: 컬러 배치부(소경부)
38: 상대 기계
40: 연결부
44: 케이싱
Claims (4)
-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외측에 끼워진 베어링과,
상기 축부재에 마련된 스냅링홈에 배치되어, 상기 베어링의 내륜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스냅링과,
상기 축부재의 외측에 끼워져, 상기 스냅링이 상기 스냅링홈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 부재를 가지고,
상기 축부재는 대경부와 소경부를 가지고,
상기 스냅링은 상기 대경부에 배치되고, 상기 빠짐 방지 부재 및 상기 베어링의 내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빠짐 방지 부재는 상기 소경부에 배치되고, 상기 소경부에 끼워맞춰지는 내주부와, 상기 대경부와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뻗어 있는 연재부를 가지고,
상기 빠짐 방지 부재의 상기 연재부의 외주에 오일씰이 배치되어, 상기 축부재와 이격되어 있고,
상기 오일씰은, 상기 대경부와 직경방향으로부터 보아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의 지지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링 및 상기 베어링의 내륜 사이에 스페이서가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메인 스페이서와 상기 메인 스페이서보다 축방향 폭이 좁은 서브 스페이서를 가지며,
상기 메인 스페이서를 상기 스냅링 측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의 지지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 방지 부재는, 상기 내주부 및 상기 연재부 사이에 센터부를 가지고,
상기 센터부의 축방향 폭은, 상기 내주부의 축방향 폭보다 크며, 상기 연재부의 축방향 폭보다 작고,
상기 센터부는, 상기 스냅링과 축방향으로 대향하여 상기 스냅링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연재부는, 상기 스냅링과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상기 스냅링의 직경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의 지지구조.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3209641A JP6452281B2 (ja) | 2013-10-04 | 2013-10-04 | 軸部材の支持構造 |
JPJP-P-2013-209641 | 2013-10-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0203A KR20150040203A (ko) | 2015-04-14 |
KR101582935B1 true KR101582935B1 (ko) | 2016-01-07 |
Family
ID=5279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7569A KR101582935B1 (ko) | 2013-10-04 | 2014-07-11 | 축부재의 지지구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452281B2 (ko) |
KR (1) | KR101582935B1 (ko) |
CN (1) | CN10451479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046982B1 (fr) * | 2016-01-21 | 2019-03-29 | Renault S.A.S | Dispositif de protection amovible de joint de transmission |
JP6758845B2 (ja) * | 2016-02-12 | 2020-09-23 |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 偏心揺動型の歯車装置 |
CN116249849A (zh) * | 2020-09-14 | 2023-06-09 | Abb瑞士股份有限公司 | 用于保护机器人电动机的密封结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68845A (ja) * | 2002-08-02 | 2004-03-04 | Nsk Ltd | 止め輪の外れ止め装置 |
JP2013108512A (ja) * | 2011-11-17 | 2013-06-06 | Gkn Driveline Japan Ltd | 動力伝達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7155B1 (ko) * | 2002-09-10 | 2005-08-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오일 시일의 손상 방지 구조 |
JP4947884B2 (ja) * | 2004-08-20 | 2012-06-06 |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 遊星減速機構の遊星回転部材のピンの製造方法 |
JP5006691B2 (ja) * | 2007-04-27 | 2012-08-22 |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 ハイポイドギヤ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100099848A (ko) * | 2009-03-04 | 2010-09-15 |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 굴삭기용 하부주행체의 롤러장치 |
JP2011163374A (ja) * | 2010-02-05 | 2011-08-25 | Nabtesco Corp | 減速装置 |
JP5508197B2 (ja) * | 2010-08-30 | 2014-05-28 | 日本電産シンポ株式会社 | 変速機 |
CN202573652U (zh) * | 2012-04-24 | 2012-12-05 | 广西玉柴重工有限公司 | 一种滑移装载机半桥结构 |
-
2013
- 2013-10-04 JP JP2013209641A patent/JP6452281B2/ja active Active
-
2014
- 2014-07-11 CN CN201410330962.3A patent/CN104514797B/zh active Active
- 2014-07-11 KR KR1020140087569A patent/KR10158293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68845A (ja) * | 2002-08-02 | 2004-03-04 | Nsk Ltd | 止め輪の外れ止め装置 |
JP2013108512A (ja) * | 2011-11-17 | 2013-06-06 | Gkn Driveline Japan Ltd | 動力伝達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452281B2 (ja) | 2019-01-16 |
CN104514797B (zh) | 2019-03-08 |
CN104514797A (zh) | 2015-04-15 |
KR20150040203A (ko) | 2015-04-14 |
JP2015075125A (ja) | 2015-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2935B1 (ko) | 축부재의 지지구조 | |
JP6359251B2 (ja) | アイドラプーリの支持装置 | |
JP2015102185A (ja) | 断続装置及びこの断続装置を用いた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 |
JP5332563B2 (ja) | 転がり軸受装置 | |
JP2010190335A (ja) | ボールねじ装置 | |
JP2015148331A (ja) | シール装置 | |
KR101697854B1 (ko) | 감속기의 베어링 예압 기구 | |
JP6515447B2 (ja) | アイドラプーリ用軸受 | |
EP3051154A1 (en) | Bearing unit for dental air turbibe, and dental air turbine | |
KR101966197B1 (ko) |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 |
JP6818494B2 (ja) | カムフォロア | |
JP5516870B2 (ja) |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 |
JP6519165B2 (ja) | 転がり軸受用密封装置、及び密封形転がり軸受 | |
JP2010038353A (ja) | 転がり軸受 | |
US10041542B2 (en) | Bearing assembly | |
JP6476942B2 (ja) | トルクリミッタ | |
KR20190071191A (ko) | 구름 베어링용 카트리지 씰 | |
JP6565234B2 (ja) | 密封装置付き転がり軸受及び転がり軸受用密封装置 | |
JP2014043911A (ja) | 転がり軸受 | |
JP2010070279A (ja) | マストローラ用軸受 | |
JP6362585B2 (ja) | 無段変速機 | |
JP5216361B2 (ja) | 転がり軸受ユニット | |
JP2012154379A (ja) | 転がり軸受装置 | |
JP2009257386A (ja) | 軸受装置 | |
JP2010144768A (ja) | 転がり軸受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