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716B1 -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716B1
KR101581716B1 KR1020150082192A KR20150082192A KR101581716B1 KR 101581716 B1 KR101581716 B1 KR 101581716B1 KR 1020150082192 A KR1020150082192 A KR 1020150082192A KR 20150082192 A KR20150082192 A KR 20150082192A KR 101581716 B1 KR101581716 B1 KR 101581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label
type label
gui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장기
현익기
이웅휘
Original Assignee
현장기
현익기
이웅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장기, 현익기, 이웅휘 filed Critical 현장기
Priority to KR1020150082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 D05B35/06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for attaching small textile pieces, e.g. labels, belt lo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44Sensing web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10Edge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는: 테이블에 구비되어 테이프형 라벨을 당겨 이송하는 이송부와, 이송되는 테이프형 라벨의 테두리를 재봉기 바늘로 마감하는 재봉부와, 재봉부의 진입측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테이프형 라벨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유지안내부와, 장력유지안내부의 진입측에 구비되어 테이프형 라벨의 이송을 감지하여 설정량만큼 미리 당겨주는 감지당김부와, 감지당김부의 진입측에 구비되어 테이프형 라벨을 진입 반대측으로 당겨 펼쳐주어 꼬임을 방지하는 꼬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FEEDING DEVICE FOR FINISHING EDGE OF LABEL}
본 발명은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프형 라벨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고 센서로 감지 이송하면서 장력유지안내부를 통해 장력을 유지하고, 이송 높이를 제한한 상태로 라벨의 테두리를 재봉바늘로 효율적으로 마감질하므로 테두리의 마감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에 사용되는 라벨은 와이셔츠, 남방, 티셔츠 등의 각종의류에 제조회사 및 제품명 등을 표시하기 위해 부착되고 있다. 이 라벨은 양단부만 상하의에 부착되지만, 양측의 테두리는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상의를 착의할 때, 목에 이물감을 제공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 라벨의 상하측 테두리에 재봉틀을 이용하여 재봉질, 즉 커버링하므로 양측의 테두리를 마감하여 매끄러운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의를 착의할 때, 사용자의 배면부 목에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라벨은 상호 및 제품명등의 문자및 로고를 제직(직조)하여 테이프 형태의 라벨을 재봉틀로 어느 한 테두리를 먼저 커버링(이하, 마감이라 함)하고 라벨의 나머지 테두리를 마감하는 방법으로 라벨의 양측 테두리를 마감 처리하고, 테이프형 라벨을 구간별로 절단하여 상의의 목 부위에 양단부를 고정한다.
그런데, 기존의 테이프 형태의 라벨을 이송시 라벨이 꼬이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라벨의 장력이 적절하게 유지되지 못하므로 마감부위가 매끄럽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83=0007404호(발명의 명칭: 테이프 모양 라벨 이송장치, 1983.10. 21: 공개)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테이프형 라벨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고 센서로 감지 이송하면서 장력유지안내부를 통해 장력을 유지하고, 이송 높이를 제한한 상태로 라벨의 테두리를 재봉바늘로 효율적으로 마감질하므로 테두리의 마감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는, 테이블에 구비되어 테이프형 라벨을 당겨 이송하는 이송부; 이송되는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테두리를 재봉기 바늘로 마감하는 재봉부; 상기 재봉부의 진입측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유지안내부; 상기 장력유지안내부의 진입측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이송을 감지하여 설정량만큼 미리 당겨주는 감지당김부; 및 상기 감지당김부의 진입측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을 진입 반대측으로 당겨 펼쳐주어 꼬임을 방지하는 꼬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동하고,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측면에 접촉되어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상기 테이프형 라벨과 상기 이송롤러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에 밀착 이송력을 제공하는 가압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밀착부는, 상기 테이블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롤러 측으로 개방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상기 이송롤러 측으로 배치되는 탄성부재; 상기 이송롤러의 반대면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을 밀착 지지하는 밀착롤러; 및 상기 밀착롤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밀착롤러를 상기 프레임부재에서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하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축; 및 상기 가이드축이 삽입되어 상기 이송롤러측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하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봉부는, 상기 재봉기의 바늘이 안착되어 작동하고,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측면에 접촉되어 회동하는 회전지지원판; 상기 재봉기의 바늘에 공급되는 실과, 이송되는 상기 테이프형 라벨을 교차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봉부재; 및 상기 가이드봉부재의 상측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상측이동을 제한하는 제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한플레이트는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하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상하이동 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테이블 상에 설치되는 지지기둥; 상기 지지기둥의 걸림턱부에 걸림 가능하게 설치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지지기둥과 코일스프링을 커버하여 상기 코일스프링에 탄성 지지되고, 상기 제한플레이트의 일측을 결합 지지하는 승강봉부재; 및 상기 승강봉부재의 상측에 관통되어 상기 지지기둥에 체결되어 상하이동하므로 상기 제한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력유지안내부는; 상기 테이블에 다수개씩 2열로 배열되고, 상기 테이프형 라벨이 둘레에 감겨져 이송 안내하는 안내기둥부재; 상기 안내기둥부재의 진입측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상하위치를 조절하고, 하측 이동을 방지하는 제1조절부재; 및 상기 제1조절부재의 진입측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바뀌면서 상측 이동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조절부재는, 상기 테이프형 라벨이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에 감겨 이송하는 나사축부재; 상기 나사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하측 테두리가 접촉되어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상하이동블록; 상기 상하이동블록에 구비되어 각각의 상기 안내기둥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하측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봉: 및 상기 나사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이동블록의 높이를 조절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조절부재는, 상기 테이블의 상측으로 한 쌍 배치되고, 상기 테이프형 라벨이 공간 사이로 이동하는 안내기둥; 및 상기 안내기둥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상측 이동높이를 조절하여 제한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당김부는, 상기 테이블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테이프형 라벨이 접촉되는 당김롤러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내에 구비되고, 상기 당김롤러를 구동하는 당김모터;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당김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당김모터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센서부; 및 상기 당김롤러에 밀착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에 밀착 이송력을 제공하는 밀착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착지지부는, 상기 당김롤러에 밀착되는 밀착롤러;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고정축에 지지되고, 상기 밀착롤러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설치브라켓; 및 상기 고정축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브라켓을 회동하도록 탄성 가압하여 상기 밀착롤러를 상기 당김롤러 측으로 밀착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또한, 상기 밀착지지부의 진입측에는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진입을 유도하는 진입유도부가 구비되고, 상기 진입유도부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진입유도봉; 및 상기 진입유도봉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양측에 한 쌍 구비되는 측면제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꼬임방지부는, 바닥에 지지되어 상측으로 연결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고,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이송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동력모터; 및 상기 동력모터의 축에 연결되고,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반대로 감아주어 펼쳐주는 감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이부재는, 상기 동력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연결축부재; 상기 연결축부재의 양측에 한 쌍 구비되고,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지지부를 갖는 지지틀부재; 및 상기 지지부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한측면에 접촉되는 감이접촉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는, 테이프 형태의 라벨이 엉키는 것을 방지하고 센서로 감지 이송하면서 장력유지안내봉을 통해 장력을 유지하고, 이송 높이를 제한한 상태로 라벨을 재봉기로 진입시켜 라벨의 테두리를 효율적으로 마감질하므로 테두리의 마감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부의 제한플레이트를 승강하는 높이조절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유지안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유지안내부에서 제1,제2조절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당김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임방지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의 일부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부에서 제한플레이트를 승강하는 높이조절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유지안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유지안내부에서 제1,제2조절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당김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임방지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는, 이송부(100), 재봉부(200), 장력유지안내부(300), 감지당김부(400) 및 꼬임방지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는, 테이프 형태의 라벨(이하, 테이프형 라벨(4)이라 함)의 상하측 테두리에 마감질을 통해 매끄럽게 재봉하여 테이프형 라벨(4)을 단위 별로 절단한 단위라벨을 상의 목부위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 이물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이프형 라벨(4)의 태두리부위를 마감하는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테이프형 라벨(4)은 테이프형태로 감겨 있는 것이 아니라 정렬안된 무작위 상태로 봉지에 담겨 테두리를 마감하는 것으로서, 테이프형 라벨(4)을 정렬시켜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엉키거나 꼬임을 방지하면서 이송해야 한다.
이송부(100)는 테이블(2)에 구비되어 테이프형 라벨(4)을 당겨 이송하는 구성이다. 이송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의 종점 부위에 구비되어 테이프형 라벨(4)을 당겨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송부(100)는 구동모터(110)와, 구동모터(110)에 의해 회동하고, 테이프형 라벨(4)의 측면에 접촉되어 이송시키는 이송롤러(120)와, 테이프형 라벨(4)과 이송롤러(120)의 측면에 밀착되어 테이프형 라벨(4)에 밀착 이송력을 제공하는 가압밀착부(130)를 포함한다.
구동모터(110)는 수직으로 테이블(2)의 저면에 설치되어 축이 테이블(2)을 관통하여 상측을 노출되고, 이송롤러(120)가 구동모터(110)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력을 제공받는다.
이송롤러(120)는 수직으로 배치되어 테이프형 라벨(4)의 측면에 접촉된다. 이송롤러(12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테이프형 라벨(4)에 밀착력을 제공한다. 물론, 이송롤러(120)는 다양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밀착부(130)는 이송롤러(120)의 측면에 접촉되어 이송하는 테이프형 라벨(4)에 밀착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가압밀착부(130)는 테이블(2)에 구비되고, 이송롤러(120) 측으로 개방되는 프레임부재(140)와, 프레임부재(140)의 내부에 이송롤러(120) 측으로 배치되는 탄성부재(150)와, 이송롤러(120)의 반대면에 구비되어 테이프형 라벨(4)을 밀착 지지하는 밀착롤러(160)와, 밀착롤러(160)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탄성부재(150)에 지지되어 밀착롤러(160)를 프레임부재(140)에서 가이드부(180)를 따라 안내하는 지지브라켓(170)을 포함한다.
프레임부재(140)는 이송롤러(120) 측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테이블(2)의 상측에 설치된다.
탄성부재(150)는 프레임부재(140)의 내주면에 상하측으로 2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탄성부재(150)는 코일스프링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탄성부재(150)의 개수와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밀착롤러(160)는 금속재질의 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동롤러(120)와 마찬가지로 고무재질의 롤러를 적용할 수도 있다.
지지브라켓(170)은 프레임부재(140)의 개방부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가이드부(180)는 지지브라켓(170)을 프레임부재(140)의 내측 공간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가이드부(180)의 수평 안내에 의해 밀착롤러(160)는 이송롤러(120)의 측면에 탄성접촉된다. 이로써, 테이프형 라벨(4)의 두께에 따라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롤러(160)의 밀착 가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가이드부(180)는 지지브라켓(170)의 상하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축(182)과, 가이드축(182)이 삽입되어 이송롤러(120) 측으로 이동하도록 프레임부재(140)의 상하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184)을 포함한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재봉부(200)는 이송되는 테이프형 라벨(4)의 테두리를 재봉기(210) 바늘로 마감하는 구성이다.
재봉부(200)는 재봉기(210)의 바늘이 안착되어 작동하고, 테이프형 라벨(4)의 측면에 접촉되어 회동하는 회전지지원판(220)과, 재봉기(210)의 바늘에 공급되는 실과, 이송되는 테이프형 라벨(4)을 교차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봉부재(230)와, 가이드봉부재(230)의 상측부위에 구비되어 테이프형 라벨(4)의 상측이동을 제한하는 제한플레이트(240)를 포함한다.
회전지지원판(220)은 측면에 접촉되어 이송하는 테이프형 라벨(4)의 테두리가 상측으로 미세하게 노출되는 상태에서, 재봉기(210) 바늘이 회전지지원판(220)의 상면으로 전후진 이동하면서 재봉질 마감(커버링)을 수행한다. 따라서, 테이프형 라벨(4)의 테두리부위에 실이 감김에 따라 테이프형 라벨(4)의 테두리가 매끄럽고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회전지지원판(220)의 둘레에는 테이프형 라벨(4)에 접촉시 미끄러움을 방지하도록 요철 돌기부가 원주 둘레에 반복 형성될 수 있다. 이 요철 돌기부는 상하측으로 길게 형성된다.
회전지지원판(220)은 재봉기(210)의 전면에 연결되는 설치부재(222)에 의해 지지된다.
가이드봉부재(230)는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3개 정도가 가로방향으로 설정 간격으로 배열 설치된다. 테이프형 라벨(4)은 3개의 가이드봉부재(230)에 전측과 후측으로 반복하여 감기면서 이동한다. 실은 각각의 가이드봉부재(230)의 개별 봉부위에 어긋나게 감기면서 재봉기(210)의 바늘로 공급된다.
이때, 제한플레이트(240)는 테이프형 라벨(4)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고, 실의 하측이동을 제한한다. 즉, 제한플레이트(240)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실이 이동하고, 하측에는 테이프형 라벨(4)이 이동함으로써, 실과 테이프형 라벨(4)이 진입 과정에서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재봉기(210)의 바늘이 작동하는 부위에는 제한플레이트(240)가 위치하지 않는다. 이와같이, 제한플레이트(240)는 재봉기(210) 바늘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1개씩 구비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한플레이트(240)는 높이조절부재(250)에 의해 테이프형 라벨(4)의 상하 이동 높이를 조절한다. 즉, 제한플레이트(240)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테이프형 라벨(4)의 상측 높이를 제한하므로 이동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높이조절부재(250)는 테이블(2) 상에 설치되는 지지기둥(252)과, 지지기둥(252)의 걸림턱부(253)에 걸림 가능하게 설치되는 코일스프링(254)와, 지지기둥(252)과 코일스프링(254)을 커버하여 코일스프링(252)에 탄성 지지되고, 제한플레이트(240)의 일측을 결합 지지하는 승강봉부재(256)와, 승강봉부재(256)의 상측을 관통하여 지지기둥(252)에 체결되어 승강봉부재(256)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므로 제한플레이트(24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258)를 포함한다.
지지기둥(252)에 형성되는 걸림턱부(253)는 하측 둘레 전체부위에 형성되어 코일스프링(254)의 저면부가 걸림 장착된다.
승강봉부재(256)는 상측부위가 차단되는 원형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지지기둥(252)과 코일스프링(254)을 감싸면서 지지한다. 이로써, 승강봉부재(256)는 코일스프링(254)의 상측에 지지되어 코일스프링(254)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높이조절부재(256)는 나사부위와 손잡이부위로 이루어지고, 승강봉부재(256)의 상측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되어 지지기둥(252)의 상측에 형성된 나사공에 체결된다. 이때, 높이조절부재(256)를 조이거나 풀어줌에 따라 코일스프링(254)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승강봉부재(256)가 눌러지거나 누름 해제되므로 제한플레이트(2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장력유지안내부(300)는 재봉부(200)의 진입측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테이프형 라벨(4)의 장력을 유지하는 구성이다.
장력유지안내부(300)는 테이블(2)에 가로방향으로 다수개씩 2열로 수직 배치되고, 테이프형 라벨(4)이 둘레에 감겨져 이송 안내하는 안내기둥부재(310)와, 안내기둥부재(310)의 진입측에 구비되어 테이프형 라벨(4)의 상하위치를 조절하고, 하측 이동을 방지하는 제1조절부재(320)와, 제1조절부재(320)의 진입측에 구비되어 테이프형 라벨(4)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뉘어주면서 상측 이동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재(330)를 포함한다.
안내기둥부재(310)는 작업자 측에서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1열과, 재봉기(210) 측에서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 2열로 이루어진다. 안내기둥부재(310)의 1열은 가로방향으로 설정 간격으로 5개 배치된 상태로 도시하고, 안내기둥부재(310)의 2열은 1열에 상호 어긋나는 가로 방향으로 4개 배치된다. 안내기둥부재(310)의 배열수와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제1조절부재(320)는 테이프형 라벨(4)이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에 감겨 이송하는 나사축부재(322)와, 나사축부재(322)에 설치되어 테이프형 라벨(4)의 하측 테두리가 접촉되어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상하이동블록(324)과, 상하이동블록(324)에 구비되어 각 열의 안내기둥부재(310) 사이에 배치되어 테이프형 라벨(4)의 하측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봉(326)과, 나사축부재(322)에 결합되어 상하이동블록(324)의 높이를 조절하는 너트부재(328)를 포함한다.
나사축부재(322)는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나사축부재(322)의 전 구간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상하이동블록(324)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봉(326)은 상하이동블록(324)의 측면에서 길게 연장되어 안내기둥부재(310)의 1열과 2열 사이에 배치된다.
너트부재(328)는 나사축부재(322)에 체결되어 상하이동블록(324)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테이프형 라벨(4)의 너비에 따라 상하이동블록(324)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여 테이프형 라벨(4)의 이동을 안내한다.
제2조절부재(330)는 테이블(2)의 상측으로 한 쌍 배치되고, 테이프형 라벨(4)이 공간 사이로 이동하는 안내기둥(332)과, 안내기둥(332) 각각에 연결되어 테이프형 라벨(4)의 상측 이동높이를 조절하는 연결부재(334)를 포함한다.
안내기둥(332)은 테이프형 라벨(4)의 너비에 비해 좁게 형성되므로 수평에서 수직으로 뉘어지면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연결부재(334)는 나사 등을 통해 안내기둥(332)에 조여지거나 풀어짐에 따라 상하측으로 이동하여 테이프형 라벨(4)의 상측부위가 걸려짐으로써, 테이프형 라벨(4)의 상측 이동높이을 조절한다.
감지당김부(400)는 장력유지안내부(300)의 진입측에 구비되어 테이프형 라벨(4)의 이송을 감지하여 설정량만큼 미리 당겨주는 구성이다.
감지당김부(400)는 후속 이동하는 테이프형 라벨(4)을 미리 당겨줌에 따라 이송부(100)에서 당겨져 이송되는 테이프형 라벨(4)이 장력유지안내부(300)를 통해 안정적으로 이송되게 하여 재봉부(200)에서 재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도와준다.
감지당김부(400)는 테이블(2)의 상측에 구비되고, 테이프형 라벨(4)이 접촉되는 당김롤러(420)가 구비되는 케이스(410)와, 케이스(410) 내에 구비되고, 당김롤러(420)를 구동하는 당김모터(430)와, 케이스(410)에 구비되고, 테이프형 라벨(4)의 당김 상태를 감지하여 당김모터(430)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센서부(440)와, 당김롤러(420)에 밀착되어 테이프형 라벨(4)에 밀착 이송력을 제공하는 밀착지지부(450)를 포함한다.
케이스(410)에는 당김롤러(420)에서 배출 이송되는 테이프형 라벨(4)을 장력유지안내부(300)의 제2조절부재(330)로 진입하기 전 상측으로 걸어주어 이송시키는 걸이부재(412)가 구비된다.
당김롤러(420)는 종공 형태의 원형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당김롤러(420)는 고무롤러와 같이 다양한 부재로 변경 가능하다.
걸이부재(412)는 길이가 긴 금속프레임에 90도 방향으로 금속 원형봉이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당김모터(430)는 센서부(440)의 감지신호를 받은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서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부(440)는 적외선감지센서 또는 수광센서 및 발광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센서부(440)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센서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밀착지지부(450)는 당김롤러(420)에 밀착되는 밀착롤러(452)와, 케이스(410)에 고정된 고정축(456)에 지지되고, 밀착롤러(452)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설치브라켓(454)과, 고정축(456)에 설치되어 설치브라켓(454)을 회동하도록 탄성 가압하여 밀착롤러(452)를 당김롤러(420) 측으로 밀착하는 스프링부재(458)를 포함한다.
밀착롤러(452)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프링부재(458)는 코일부분이 고정축(456)에 삽입되고, 일단이 설치브라켓(454)의 상측에 걸려지고, 타단이 고정축(456)에 걸려짐으로써, 설치브라켓(454)을 시계방향으로 눌려주는 탄성력을 발휘하여 밀착롤러(452)를 당김롤러(420) 측으로 가압 밀착시킨다. 이로써, 테이프형 라벨(4)은 밀착 이송력을 제공받는다.
밀착지지부(450)의 진입측에는 테이프형 라벨(4)의 진입을 유도하는 진입유도부(460)가 구비된다.
진입유도부(460)는 케이스(410)의 측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진입유도봉(462)과, 진입유도봉(462)에 각각 연결되고, 테이프형 라벨(4)의 양측에 한 쌍 구비되는 측면제한부재(464)를 포함한다.
측면제한부재(464)는 양측에 한 쌍 구비되어 한 쌍의 진입유도봉(462)과 함께 사각형상의 이동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테이프형 라벨(4)의 좌우측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꼬임방지부(500)는 감지당김부(400)의 진입측에 구비되어 테이프형 라벨(4)을 진입 반대측으로 당겨 펼쳐주어 꼬임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꼬임방지부(500)는 바닥에 지지되어 상측으로 연결되는 지지대(510)와, 지지대(510)에 구비되고, 테이프형 라벨(4)의 이송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동력모터(520)와, 동력모터(520)의 축에 연결되고, 테이프형 라벨(4)의 반대로 감아주어 펼쳐주는 감이부재(530)를 포함한다.
감이부재(530)는 실을 감아주는 얼레 형태로 이루어져 테이프형 라벨(4)을 감지당김부(400) 진입측 반대방향으로 감아 당겨주어 감지당김부(400)로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수평으로 펼쳐준다.
감이부재(530)는 동력모터(520)의 축에 연결되는 연결축부재(532)와, 연결축부재(532)의 양측에 한 쌍 구비되고, 반경빙향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지지부(536)를 갖는 지지틀부재(534)와, 지지틀부재(534)를 각각 연결하고, 테이프형 라벨(4)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감이접촉봉(538)을 포함한다.
각각의 지지틀부재(534)에서 지지부(536)는 원주방향으로 120도씩 3개씩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로써, 감이접촉봉(538)은 모두 3개 구비된다. 물론, 지지틀부재(534)에서 지지부(536)의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테이블 4 : 테이프형 라벨
100 : 이송부 110 : 구동모터
120 : 이송롤러 130 : 가압밀착부
140 : 프레임부재 150 : 탄성부재
160 : 밀착롤러 170 : 지지브라켓
180 : 가이드부 182 : 가이드축
184 : 가이드공 200 : 재봉부
210 : 재봉기 220 : 회전지지원판
230 : 가이드봉부재 240 : 제한플레이트
250 : 높이조절부 252 : 지지기둥
253 : 걸림턱부 254 : 코일스프링
256 : 승강봉부재 258 : 높이조절부재
300 : 장력유지안내부 310 : 안내기둥부재
320 : 제1조절부재 322 : 나사축부재
324 : 상하이동블록 326 : 차단봉
330 : 제2조절부재 332 : 안내기둥
334 : 연결부재 400 : 감지당김부
410 : 케이스 420 : 당김롤러
430 : 당김모터 440 : 센서부
450 : 밀착지지부 452 : 밀착롤러
454 : 설치브라켓 456 : 고정축
458 : 스프링부재 460 : 진입유도부
462 : 진입유도봉 464 : 측면제한부재
500 : 꼬임방지부 510 : 지지대
520 : 동력모터 530 : 감이부재
532 : 연결축부재 534 : 지지틀부재
536 : 지지부 538 : 감이접촉봉

Claims (13)

  1. 테이블에 구비되어 테이프형 라벨을 당겨 이송하는 이송부; 이송되는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테두리를 재봉기 바늘로 마감하는 재봉부; 상기 재봉부의 진입측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유지안내부; 상기 장력유지안내부의 진입측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이송을 감지하여 설정량만큼 미리 당겨주는 감지당김부; 및 상기 감지당김부의 진입측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을 진입 반대측으로 당겨 펼쳐주어 꼬임을 방지하는 꼬임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유지안내부는, 상기 테이블에 다수개씩 2열로 배열되고, 상기 테이프형 라벨이 둘레에 감겨져 이송 안내하는 안내기둥부재; 상기 안내기둥부재의 진입측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상하위치를 조절하고, 하측 이동을 방지하는 제1조절부재; 및 상기 제1조절부재의 진입측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뉘어주면서 상측 이동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절부재는,
    상기 테이프형 라벨이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에 감겨 이송하는 나사축부재;
    상기 나사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하측 테두리가 접촉되어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상하이동블록;
    상기 상하이동블록에 구비되어 각각의 상기 안내기둥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하측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봉: 및
    상기 나사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이동블록의 높이를 조절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동하고,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측면에 접촉되어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상기 테이프형 라벨과 상기 이송롤러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에 밀착 이송력을 제공하는 가압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밀착부는,
    상기 테이블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롤러 측으로 개방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상기 이송롤러 측으로 배치되는 탄성부재;
    상기 이송롤러의 반대면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을 밀착 지지하는 밀착롤러; 및
    상기 밀착롤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밀착롤러를 상기 프레임부재에서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히는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하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축; 및
    상기 가이드축이 삽입되어 상기 이송롤러측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하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부는,
    상기 재봉기의 바늘이 안착되어 작동하고,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측면에 접촉되어 회동하는 회전지지원판;
    상기 재봉기의 바늘에 공급되는 실과, 이송되는 상기 테이프형 라벨을 교차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봉부재; 및
    상기 가이드봉부재의 상측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상측이동을 제한하는 제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플레이트는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상하이동 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테이블 상에 설치되는 지지기둥;
    상기 지지기둥의 걸림턱부에 걸림 가능하게 설치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지지기둥과 코일스프링을 커버하여 상기 코일스프링에 탄성 지지되고, 상기 제한플레이트의 일측을 결합 지지하는 승강봉부재; 및
    상기 승강봉부재의 상측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기둥에 체결되어 상기 승강봉부재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므로 상기 제한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부재는,
    상기 테이블의 상측으로 한 쌍 배치되고, 상기 테이프형 라벨이 공간 사이로 이동하는 안내기둥; 및
    상기 안내기둥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상측 이동높이를 조절하여 제한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당김부는,
    상기 테이블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테이프형 라벨이 접촉되는 당김롤러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내에 구비되고, 상기 당김롤러를 구동하는 당김모터;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당김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당김모터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센서부; 및
    상기 당김롤러에 밀착되어 상기 테이프형 라벨에 밀착 이송력을 제공하는 밀착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지지부는,
    상기 당김롤러에 밀착되는 밀착롤러;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고정축에 지지되고, 상기 밀착롤러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설치브라켓; 및
    상기 고정축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브라켓을 회동하도록 탄성 가압하여 상기 밀착롤러를 상기 당김롤러 측으로 밀착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지지부의 진입측에는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진입을 유도하는 진입유도부가 구비되고,
    상기 진입유도부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진입유도봉; 및
    상기 진입유도봉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양측에 한 쌍 구비되는 측면제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꼬임방지부는,
    바닥에 지지되어 상측으로 연결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고,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이송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동력모터; 및
    상기 동력모터의 축에 연결되고,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반대로 감아주어 펼쳐주는 감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감이부재는, 상기 동력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연결축부재;
    상기 연결축부재의 양측에 한 쌍 구비되고, 반경빙향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지지부를 갖는 지지틀부재; 및
    상기 지지부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테이프형 라벨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감이접촉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
KR1020150082192A 2015-06-10 2015-06-10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 KR101581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192A KR101581716B1 (ko) 2015-06-10 2015-06-10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192A KR101581716B1 (ko) 2015-06-10 2015-06-10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716B1 true KR101581716B1 (ko) 2015-12-31

Family

ID=5512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192A KR101581716B1 (ko) 2015-06-10 2015-06-10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7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402B1 (ko) * 1999-02-25 2004-01-07 피츠필드 위빙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라벨 제조 방법 및 장치
JP3860668B2 (ja) * 1998-09-28 2006-12-20 世志弘 木村 縁縫いテープと縁縫いテープ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0668B2 (ja) * 1998-09-28 2006-12-20 世志弘 木村 縁縫いテープと縁縫いテープ製造方法
KR100414402B1 (ko) * 1999-02-25 2004-01-07 피츠필드 위빙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라벨 제조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573B1 (ko) 스풀에 감긴 선재의 느슨함 방지장치 및 그 느슨함 방지방법
CN104370159B (zh) 线轴架穿线器及相关方法
KR101555281B1 (ko) 하우스용 로프 제조 및 권취장치
JP6195752B2 (ja) ミシンの糸保持機構、ミシンの糸通し装置、およびミシン
JP2682883B2 (ja) 縫い付け中に織物の縁の側面を整列させる装置
KR101581716B1 (ko) 라벨 테두리마감 이송장치
JP4097757B2 (ja) 糸解舒張力安定具、及びこの張力安定具を用いたクリール用糸解舒張力安定装置
KR100845188B1 (ko) 원단 텀블러 가공장치
TWI585256B (zh) 用於喂紗至紡織機之喂紗裝置
CN210066155U (zh) 一种绗缝机的机头上部
US3094761A (en) Yarn guiding device
JP6216556B2 (ja) ミシンの糸通し装置およびミシン
KR101950556B1 (ko) 자수기용 선재 공급장치
JPS59185652A (ja) 転写装置
KR900009157Y1 (ko) 선재(線材)공급장치
JPH07300119A (ja) 試験管ラベル自動貼着器
KR20050026361A (ko)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
KR102638506B1 (ko) 화훼 절망용 권취 시스템
KR200352112Y1 (ko) 라벨 자동 제조기의 라벨원단 공급장치
CN209923586U (zh) 缝纫机送线装置
US4416431A (en) Yarn tensioning device
KR101520747B1 (ko) 띠형태로 제공되는 부품의 수평식 권취장치
KR20160111611A (ko) 증기를 이용한 다림 장치의 소매 고정기
KR920009003Y1 (ko) 인삼밭 덮개 성형장치
DE2727604A1 (de) Positive fadenliefervorrichtung, insbesondere fuer rundstrickmaschin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