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445B1 - 가공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가공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445B1
KR101581445B1 KR1020150078627A KR20150078627A KR101581445B1 KR 101581445 B1 KR101581445 B1 KR 101581445B1 KR 1020150078627 A KR1020150078627 A KR 1020150078627A KR 20150078627 A KR20150078627 A KR 20150078627A KR 101581445 B1 KR101581445 B1 KR 101581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unit
separating
moved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원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원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원텍
Priority to KR1020150078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23Q7/041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step by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23Q7/1426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 B23Q7/149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usin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02Cam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 캠 샤프트 등과 같은 가공물의 이송 및 가공물의 가공부위 불량유무 측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는, 다수개의 가공물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안내부, 상기 이동안내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된 가공물을 가공장치에 공급하여 가공되도록 하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공물 이송장치{TRANSFER DEVICE FOR WORKPIECE}
본 발명은 가공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 샤프트(Cam shaft)는 자동차 엔진에 구비되어 다수의 캠에 의해 흡기 밸브와 배기 밸브를 개폐하는 축으로, 보통 배전기나 연료 펌프를 구동하는 기어나 캠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캠 샤프트와 같은 가공물은 주물공법에 의해 성형한 후 기계 가공을 통해 제작된다.
종래의 캠 샤프트와 같은 가공물의 가공과정을 살펴보면, 여러명의 작업자들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가공물을 가공장치에 장착하고,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을 다시 분리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가공물을 가공할 경우 작업속도가 매우느리고 불량률이 높은 단점이 있으며, 인건비 상승과 제조원가 상승 및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1656호(2013.03.1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엔진 캠 샤프트 등과 같은 가공물의 이송 및 가공물의 가공부위 불량유무 측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가공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는, 다수개의 가공물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안내부, 상기 이동안내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된 가공물을 가공장치에 공급하여 가공되도록 하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안내부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안내부로부터 가공물을 공급 받은 다음 상승작동되어 상기 가공물을 상기 이송부에 공급하는 공급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제1구동부를 통해 상기 가공장치를 향해 전진되거나 또는 상기 이동안내부를 향해 후진되고, 제2구동부를 통해 상기 공급부의 상부 또는 상기 가공장치로 수평 이동되는 이송안내부, 상기 이송안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안내부와 함께 이동되되, 하 방향 회동작동을 통해 상기 공급부로부터 가공물을 공급받고 상 방향 회동 및 수평이동을 통해 상기 가공장치에 가공물을 공급하는 이송용집게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안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급부에 위치된 가공물과 수평을 이루며, 상기 가공물을 푸쉬하여 상기 가공물의 중앙부분과 상기 이송용집게부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정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안내부에 설치되고 이송용집게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이송용집게부와 직각을 이루며 상기 가공장치에서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을 분리하는 분리용집게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안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리용집게부를 통해 이송된 가공물을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에 위치된 가공물의 가공부위의 내경 치수 및 진원도를 주입되는 공기의 배출 압력에 의해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이동안내부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승작동을 통해 상기 분리용집게부를 통해 이송된 가공물을 상승시킨 다음 구름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이동부를 통해 이동된 가공물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용집게부는 상 방향 회동을 통해 상기 이동부에 가공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서 가공물을 분리하는 가공물분리부, 상기 가공물분리부의 작동을 안내하는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측정부로부터 전달되는 불량신호에 의해 불량이 발생된 가공물을 처리하는 불량물처리부, 상기 불량물처리부의 일측에 위치되며 가공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가공물을 수집하는 가공물수집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공물분리부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승강되고 상단에 상기 가공물의 구름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가공물의 구름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물은 상기 전달부가 상승될 경우 안착부의 안착홈 상부로 인출된 다음 경사부를 따라 스토퍼 측으로 구름 이동되고, 하강될 경우에는 상기 불량물처리부를 거쳐 가공물수집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불량물처리부는,
상기 전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는 회동안내부, 일측이 상기 회동안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가공물수집부와 마주하며 상기 가공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회동부, 일측이 상기 회동안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구비되는 피스톤이 상기 회동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측정부로부터 불량신호를 전달 받을 경우 상기 회동부가 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불량이 발생된 가공물이 낙하되도록 하는 회동실린더, 상기 회동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낙하된 가공물을 수집하는 불량물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공간은 상기 회동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는, 엔진 캠 샤프트 등과 같은 가공물을 가공장치에 이송하고,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의 불량유무를 측정함에 있어,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가공물의 불량율을 현저히 낮출 수 있고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에 적용된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에 적용된 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에 적용된 이송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에 적용된 분리부를 통해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을 측정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에 적용된 측정부를 통해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의 불량유무를 측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에 적용된 가공물 분리부를 통해 측정이 완료된 가공물을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에 적용된 가공물 수집부에 가공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가공물이 수집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에 적용된 불량물 처리부를 통해 불량이 발생된 가공물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에 적용된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에 적용된 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에 적용된 이송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에 적용된 분리부를 통해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을 측정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에 적용된 측정부를 통해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의 불량유무를 측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에 적용된 가공물 분리부를 통해 측정이 완료된 가공물을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에 적용된 가공물 수집부에 가공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가공물이 수집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에 적용된 불량물 처리부를 통해 불량이 발생된 가공물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1)는, 이동안내부(10), 상기 이동안내부(10)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이송부(20)를 포함하며, 자동차 엔진에 사용되는 캠 샤프트 등과 같은 가공물(Workpiece: W)을 CNC장치 등의 가공장치(100)에 공급하고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W)을 수거하는 장치이다.
상기 이동안내부(10)는 가공물(W)을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동안내부(10)의 우측에는 가공장치(100)가 일정간격 이격되며 후술되는 이송부(20)를 통해 가공물(W)을 공급받는다.
이때, 상기 가공물(W)은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안내부(10)에 다수개로 공급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가공물(W)들은 상기 이동안내부(10)에 공급되는 순서대로 우측으로 구름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가공장치(100)는 공지의 CNC 장치 일 수 있으며, 상기 가공물(W)이 자동차 엔진에 사용되기 적합한 형태를 갖도록 가공한다.
상기 이동안내부(10)의 경사진 부분의 끝단, 즉 상기 이송부(20)의 하부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빈 공간에는 상기 이송부(20)에 가공물(W)을 하나씩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30)가 더 설치된다.
상기 공급부(30)는 상기 이송부(20)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며 공지의 실린더(33)를 통해 승강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30)는 중앙부분이 상기 실린더(33)의 피스톤과 결합되는 수평부(31), 상기 수평부(31)의 양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수직부(32)로 나뉘어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32)의 상단에는 상기 가공물(W)이 안착될 수 있는 반원형 형상의 안착홈(321)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급부(30)는 상기 이동안내부(10)의 아래쪽에 위치된 상태에서 승강작동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이동안내부(10)에 공급된 가공물(W)들은 상기 이동안내부(10)를 따라 순차적으로 구름이동되어 상기 공급부(30)의 안착홈(321)에 하나씩 안착되며, 상기 공급부(30)를 통해 상승되어 이송부(20)에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공급부(30)가 상승될 경우 상기 이동안내부(10)에 위치된 가공물(W)은 상기 공급부(30)에 의해 지지되어 구름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공급부(30)가 하강될 경우 공급부(30)의 안착홈(321)으로 구름이동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이동안내부(10)의 끝단에는 상기 공급부(30)의 안착홈(321)에 안착된 가공물(W)을 정렬하기 위한 정렬부(40)가 설치된다.
상기 정렬부(40)는 도 4를 기준으로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일단이 상기 공급부(30)의 안착홈(321)에 안착된 가공물(W)과 마주하고 타단은 이동안내부(10)의 외면에 수평 설치된 실린더(41)의 피스톤에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정렬부(40)는 상기 실린더(41)의 작동을 통해 상기 가공물(W)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공물(W)의 끝단을 푸쉬한 다음 상기 가공물(W)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반복한다.
그리고 상기 가공물(W)은 상기 정렬부(40)에 의해 푸쉬됨에 따라 그 중앙부분이 후술되는 이송용집게부(22)와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이송부(20)는 상기 공급부(30)로 공급된 가공물(W)을 가공장치(100)에 공급하는 것으로, 다시 이송안내부(21)와 이송용집게부(22)와 분리용집게부(23)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이송안내부(21)는 후술되는 이송용집게부(22)와 분리용집게부(23)의 이송을 안내하여 가공물(W)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안내부(10)의 상부에 위치되며 제1구동부(24)를 통해 상기 가공장치(100)를 향해 전진되거나 또는 상기 이동안내부(10)를 향해 후진되고, 제2구동부(25)를 통해 상기 공급부(30)의 상부 또는 상기 가공장치(100)로 수평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구동부(24) 및 제2구동부(25)는 공지의 리니어 모터 또는 로드레스 실린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25)는 상기 이동안내부(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안내부(10)의 폭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제1구동부(24)는 상기 제2구동부(25)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2구동부(25)와 교차되는 형태가 되어 상기 이동안내부(10)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형태가 된다.
또한, 상기 이송안내부(21)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제1구동부(24)에 장착되며, 상기 제1구동부(24)를 따라 이송되는 장착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안내부(10)의 상부에는 상기 이동안내부(10)의 폭을 가로지르며 상기 제2구동부(25)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레일부(26)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부(26)는 상기 제1구동부(24)의 수평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부(24)의 저면에는 상기 레일부(26)의 빈 공간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롤러(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구동부(24)는 상기 레일부(26)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구동부(25)와 레일부(26)를 통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안내부(21)는 상기 제1구동부(24)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2구동부(25)와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구동부(24)를 통해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이송안내부(21)의 끝단에는 이송용집게부(22)와 분리용집게부(23)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212)는 상기 가공장치(100)와 마주하는 형태가 되며 평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212)의 빈 공간에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213)가 수용되며, 상기 설치부(212)와 베이스(213)에 원 형상의 회동축(214)이 관통설치된다.
상기 이송용집게부(22)는 상기 베이스(213)의 하부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분리용집게부(23)는 상기 베이스(213)의 상부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용집게부(22)와 분리용집게부(23)는 서로 직각을 이루면서 상기 이송안내부(21) 함께 이동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213)는 상기 회동축(214)에 고정되며, 상기 회동축(214)에는 스텝모터(미도시)가 연결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213)를 약 90°각도로 상,하 회동시키며, 이로 인해 상기 이송용집게부(22)와 분리용집게부(23)도 약 90°각도로 회동된다.
상기 이송용집게부(22)는 구동부를 통해 하 방향으로 회동작동되어 상기 공급부(30)의 안착홈(321)에 안착된 가공물(W)의 중앙부분과 수직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공급부(30)의 상승에 의해 상기 안착홈(321)에 안착된 가공물(W)은 상기 이송용집게부(22)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용집게부(22)는 오므려졌을 시 가공물(W)을 잡게 되고 벌려졌을 시 가공물(W)을 놓게 된다.
상기 이송용집게부(22)는 가공물(W)을 잡은 상태에서 제2구동부(25)의 작동에 의해 수평 이동되어 가공장치(100)의 가공공간(102)과 마주하게 되고, 상기 제1구동부(24)의 작동에 의해 전진되어 가공장치(100)의 가공공간(102)의 내부로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용집게부(22)는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 방향으로 회동되어 가공물(W)이 가공공간(10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공부(101)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며, 다시 제2구동부(25)의 작동에 의해 가공부(101)로 수평 이동되어 가공물(W)이 가공부(101)에 장착되도록 한 다음 벌려져 상기 가공물(W)이 가공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송용집게부(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부(25)에 의해 가공부(101)로 2회 수평이동되어 가공물(W)이 가공부(101)에 완전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이송용집게부(22)는 가공물(W)의 중앙부분을 잡은 상태에서 가공부(101)로 1회 수평이동됨에 따라 가공물(W)의 약 ½ 정도가 가공부(11)에 장착된다.
이후에 상기 이송용집게부(22)는 벌려진 다음 가공물(W)의 우측으로 수평이동되어 해당 부분을 잡고, 다시 가공부(101)로 1회 수평이동됨에 따라 가공물(W)의 우측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가공부(101)에 장착되며, 이로 인해 가공물(W)의 좌측 끝부분이 가공부(101)의 내부에서 가공되는 것이다.
상기 분리용집게부(23)는 상기 가공부(101)에서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W)을 분리한 다음 후술되는 분리부(50)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송용집게부(22)와 동일하게 오므려졌을 시 가공물(W)을 잡게 되고 벌려졌을 시 가공물(W)을 놓게 된다.
상기 분리용집게부(23)는 상기 가공부(101)에 가공물(W)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이송용집게부(22)보다 선행하여 작동되며, 상기 이송용집게부(22)와 함께 가공장치(100)의 가공공간(102)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가공부(101)와 수평선상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이송용집게부(22)는 상기 공급부(30)로부터 가공물(W)을 공급 받은 상태에서 가공공간(102)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용집게부(23)는 상기 제2구동부(25)의 작동에 의해 가공부(101) 측으로 수평 이동된 다음 오므려져 가공물(W)을 잡은 다음 제2구동부(25)의 작동에 의해 가공부(10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이동되어 상기 가공물(W)을 가공부(101)에서 분리한다.
이때, 상기 분리용집게부(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부(25)에 의해 가공부(10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2회 수평이동되어 가공물(W)이 가공부(101)에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분리용집게부(23)는 가공부(101)의 외부로 돌출된 가공물(W)의 우측부분을 잡은 상태에서 가공부(10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1회 수평이동됨에 따라 가공물(W)의 약 ½ 정도가 가공부(11)에 인출된다.
이후에 상기 분리용집게부(23)는 벌려진 다음 가공부(101)로 수평이동되어 가공물(W)의 중앙부분을 잡고, 다시 가공부(10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1회 수평이동됨에 따라 가공물(W)의 전체가 가공부(101)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분리용집게부(23)가 가공부(101)에서 가공물(W)을 분리한 이후에 베이스(213)를 상 방향으로 90°회동시켜, 상기 분리용집게부(23)와 이송용집게부(22)가 상 방향으로 90°회동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이송용집게부(22)는 전술한 방식으로 상기 가공부(101)에 새로운 가공물(W)을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안내부(10)의 상부에는 분리부(5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분리부(50)는 상기 분리용집게부(23)를 통해 이송된 가공물(W)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다시 이동부(51)와 안착부(52)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51)는 이동안내부(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부(52)를 향해 하향 경사진 형태이다.
상기 이동부(51) 중 분리용집게부(23)와 마주하는 부분은 상기 분리용집게부(23)의 상 방향 회동작동이 가능하도록 절개된다.
상기 분리용집게부(23)는 제1구동부(24)의 작동에 의해 후진되어 가공장치(100)의 가공공간(102) 외부로 인출되고 제2구동부(25)의 작동에 의해 이동부(51) 측으로 수평 이동된다.
이때, 상기 분리용집게부(23)는 가공장치(100)의 가공공간(102) 외부로 인출되었을 경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하 방향으로 90°회동된 상태에서 이동부(51)의 절개된 부분까지 수평 이동된 다음 상 방향으로 90°회동되어 절개된 부분에 위치되며 가공물(W)은 이동부(51)의 상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용집게부(23)는 상 방향으로 90°회동된 이후에 벌어져 가공물(W)을 놓게 되고, 상기 이동부(51)는 실린더(53)을 통해 승강작동되며 상승시 가공물(W)의 양측 부분을 상승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가공물(W)은 이동부(51)의 경사면을 따라 안착부(52) 측으로 구름이동된다.
상기 안착부(52)는 상기 이동부(51)의 일측에 형성되며 두개가 한 조를 이룬 상태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다.
이러한 안착부(52)는 직사각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에 상기 이동부(51)를 통해 구름 이동된 가공물(W)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521)이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분리부(50)의 일측에는 상기 가공물(W)의 가공부위의 내경을 측정하므로서, 가공부위의 불량유무를 측정하는 측정부(6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측정부(60)는 안착부(52)에 위치된 가공물(W)의 가공부위의 내경 치수 및 진원도를 주입되는 공기의 배출 압력에 의해 측정하는 것으로, 다시 프레임(61), 수평이동부(62), 푸쉬부(63), 검출부(64), 밀착부(65)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61)은 상기 안착부(52)의 상부에 위치되며 저면에 상기 수평이동부(62)와 밀착부(65)가 설치된다.
상기 수평이동부(62)는 공지의 리니어모터 또는 실린더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푸쉬부(63)를 가공물(W) 측으로 수평이동시킨다.
상기 푸쉬부(63)는 상기 수평이동부(62)를 통해 이동되면서 상기 가공물(W)를 밀어 검출부(64)에 밀착시킨다.
상기 푸쉬부(63) 중 가공물(W)과 마주하는 면에는 원 형상의 고정돌기(63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631)는 상기 가공물(W)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공물(W)이 검출부(64) 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상기 검출부(64)는 후술되는 전달부(72)를 사이에 두고 상기 푸쉬부(63)와 대칭되는 에어 프러그로 푸쉬부(63)를 통해 밀착된 가공물(W)의 가공면(내경)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시킨 상태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체크하여 상기 가공물(W)의 가공면에 대한 내경 치수 및 진원도를 측정하여 불량 유무를 측정한다.
이러한 검출부(64)는 에어 마이크로미터(Air Micrometer)와 연결되어 가공물(W)의 치수를 마스터와 비교하면서 측정을 하며, 공기를 이용하여 유량이나, 공기관로 내의 압력 변화차를 통해 치수를 측정하는 비교측정방식이 적용된다.
상기 밀착부(65)는 공지의 실린더(651)를 통해 승강되며 가공물(W)의 내경 치수 및 진원도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공물(W)의 상단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가공물(W)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안착부(52)의 일측에는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친 가공물(W)을 분리한 다음 불량이 발생된 가공물(W)을 처리하거나 가공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가공물(W)을 수집하기 위한 가공물분리부(70)와 불량물처리부(80)와 가공물수집부(90)가 차례대로 형성된다.
먼저, 상기 가공물분리부(70)는 측정부(60)를 통해 측정이 완료된 가공물(W)을 안착부(52)에서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다시 승강구동부(71)와 전달부(72)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승강구동부(71)는 상기 안착부(52)의 사이에 위치되며 후술되는 불량물처리부(80)의 작동공간의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승강구동부(71)는 공지의 실린더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전달부(72)를 승강시킨다.
상기 전달부(72)는 상기 승강구동부(71)의 상부 즉, 피스톤의 상단에 결합되며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설치부(72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721)의 상단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가공물(W)의 구름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경사부(722)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722)의 끝단에는 상기 가공물(W)의 구름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723)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달부(72)는 상기 불량물처리부(80)의 작동공간에서 승강작동되며, 상기 안착부(52)의 높이 이상으로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경사부(722)는 상기 안착부(52)와 마주하는 형태이며, 상기 스토퍼(723)는 후술되는 회동부(82)와 마주하는 형태가 된다.
즉, 상기 안착부(52)의 안착홈(521)에 안착된 가공물(W)은 상기 전달부(72)가 상승될 경우, 경사부(722)에 의해 안착부(52)의 안착홈(521) 상부로 인출된 다음 경사부(722)를 따라 스토퍼(723)까지 구름이동되어 양측이 회동부(82)의 상면에 걸쳐지는 상태가 되고, 상기 전달부(72)가 하강될 경우에는 회동부(82)를 거쳐 가공물수집부(90)로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불량물처리부(80)는 상기 측정부(60)로부터 가공물(W)의 불량유무신호를 전달 받아 불량물을 처리하는 것으로, 다시 회동안내부(81)와 회동부(82)와 회동실린더(83), 불량물수집부(84)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회동안내부(81)는 회동부(82)의 상,하 회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대략 직사각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달부(7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된다.
상기 회동안내부(81)의 상측에는 후술되는 회동부(8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부(82)는 불량이 발생된 가공물(W)을 불량물수집부(84)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밑판(821), 상기 밑판(821)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부를 향해 수직 절곡되는 측판(822)을 포함한다.
상기 밑판(821)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 중앙부분에 가공물분리부(70)의 작동을 안내하는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타측은 가공물처리부(80)와 마주한다.
상기 측판(822)은 상기 밑판(821)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밑판(821)을 따라 구름이동되는 가공물(W)이 외부로 낙하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측판(822)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안내부(81)의 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8221)이 형성된다.
상기 측판(822) 중 상기 가공물처리부(80)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동실린더(83)와 연결되는 연결편(823)이 힌지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동실린더(83)는 상기 회동부(82)를 불량물수집부(84) 측으로 회동시켜 불량이 발생된 가공물(W)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회동안내부(81)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피스톤은 상기 연결편(823)에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회동실린더(83)는 경사각을 갖는 형태가 되며, 상기 회동부(82)는 상기 가공물수집부(90) 측을 향해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
상기 회동실린더(83)는 제어부(미도시)를 매개로 하여 측정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측정부(60)는 안착부(52)에 안착된 가공물(W)의 가공부위에 불량이 발생될 경우 제어부에 불량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는 불량신호를 전달 받을 경우 피스톤이 회동실린더(83)의 몸체 내부로 인입되도록 작동시켜 회동부(82)가 하 방향으로 회동되었다가 다시 상 방향으로 회동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전달부(72)를 통해 안착부(52)에서 분리된 가공물(W)이 회동부(82)를 따라 구름이동되어 불량물수집부(84)에 낙하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측정부(60)가 안착부(52)에 안착된 가공물(W)이 정상적으로 가공된 것으로 측정하였을 경우 회동실린더(83)가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가공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가공물(W)은 회동부(82)를 거쳐 가공물수집부(90)에 수집된다.
한편, 가공물수집부(90)는 가공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가공물(W)을 수집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회동부(82)와 마주한다.
상기 가공물수집부(90)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밑판(91), 상기 밑판(91)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부를 향해 수직 절곡되는 측판(92)을 포함한다.
상기 가공물수집부(90)의 밑판(91)과 측판(92)은 회동부(82)의 밑판(821) 및 측판(822)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가공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가공물(W)은 상기 불량물처리부(80)의 회동부(82)를 거쳐 가공물수집부(90)에 수집될 수 있으며, 상기 가공물수집부(90)의 측판(92)을 통해 외부로 낙하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1,1') 및 가공장치(100)(100,10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가 한 조를 이루어 가공물(W)의 좌측과 우측을 각각 가공한다.
즉, 하나의 가공물 이송장치(1) 및 가공장치(100)에서 가공물(W)의 좌측 부분을 가공하고, 상기 가공된 가공물(W)을 다른 하나의 가공물 이송장치(1')로 옮기되, 가공물(W)의 좌, 우 위치를 변경하여 미가공 부위가 가공되도록 하므로서, 가공물(W)의 가공을 완료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가공물 이송장치 10 : 이동안내부
20 : 이송부 21 : 이송안내부
211 : 장착부 212,721 : 설치부
213 : 베이스 214 : 회동축
22 : 이송용집게부 23 : 분리용집게부
24 : 제1구동부 25 : 제2구동부
26 : 레일부 30 : 공급부
31 : 수평부 32 : 수직부
321,521 : 안착홈 40 : 정렬부
33,41,53,651 : 실린더 50 : 분리부
51 : 이동부 52 : 안착부
60 : 측정부 61 : 프레임
62 : 수평이동부 63 : 푸쉬부
631 : 고정돌기 64 : 검출부
65 : 밀착부 66 : 복귀부
70 : 가공물분리부 71 : 승강구동부
72 : 전달부 722 : 경사부
23 : 스토퍼 80 : 불량물처리부
81 : 회동안내부 82 : 회동부
821,91 : 밑판 822,92 : 측판
8221 : 회전축 823 : 연결편
83 : 회동실린더 84 : 불량물수집부
90 : 가공물수집부 100 : 가공장치
101 : 가공부 102 : 가공공간

Claims (10)

  1. 다수개의 가공물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안내부,
    상기 이동안내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된 가공물을 가공장치에 공급하여 가공되도록 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안내부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안내부로부터 가공물을 공급 받은 다음 상승작동되어 상기 가공물을 상기 이송부에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제1구동부를 통해 상기 가공장치를 향해 전진되거나 또는 상기 이동안내부를 향해 후진되고, 제2구동부를 통해 상기 공급부의 상부 또는 상기 가공장치로 수평 이동되는 이송안내부,
    상기 이송안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안내부와 함께 이동되되, 하 방향 회동작동을 통해 상기 공급부로부터 가공물을 공급받고 상 방향 회동 및 수평이동을 통해 상기 가공장치에 가공물을 공급하는 이송용집게부,
    상기 이송안내부에 설치되고 이송용집게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이송용집게부와 직각을 이루며 상기 가공장치에서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을 분리하는 분리용집게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안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급부에 위치된 가공물과 수평을 이루며, 상기 가공물을 푸쉬하여 상기 가공물의 중앙부분과 상기 이송용집게부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정렬부
    상기 이동안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리용집게부를 통해 이송된 가공물을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에 위치된 가공물의 가공부위의 내경 치수 및 진원도를 주입되는 공기의 배출 압력에 의해 측정하는 측정부
    를 포함하는 가공물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이동안내부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승작동을 통해 상기 분리용집게부를 통해 이송된 가공물을 상승시킨 다음 구름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이동부를 통해 이동된 가공물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용집게부는 상 방향 회동을 통해 상기 이동부에 가공물을 공급하는
    가공물 이송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서 가공물을 분리하는 가공물분리부,
    상기 가공물분리부의 작동을 안내하는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측정부로부터 전달되는 불량신호에 의해 불량이 발생된 가공물을 처리하는 불량물처리부,
    상기 불량물처리부의 일측에 위치되며 가공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가공물을 수집하는 가공물수집부
    를 포함하는 가공물 이송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가공물분리부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승강되고 상단에 상기 가공물의 구름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가공물의 구름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물은 상기 전달부가 상승될 경우 안착부의 안착홈 상부로 인출된 다음 경사부를 따라 스토퍼 측으로 구름 이동되고, 하강될 경우에는 상기 불량물처리부를 거쳐 가공물수집부로 이동되는
    가공물 이송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불량물처리부는,
    상기 전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는 회동안내부,
    일측이 상기 회동안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가공물수집부와 마주하며 상기 가공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회동부,
    일측이 상기 회동안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구비되는 피스톤이 상기 회동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측정부로부터 불량신호를 전달 받을 경우 상기 회동부가 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불량이 발생된 가공물이 낙하되도록 하는 회동실린더,
    상기 회동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낙하된 가공물을 수집하는 불량물수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공간은 상기 회동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공물 이송장치.
KR1020150078627A 2015-06-03 2015-06-03 가공물 이송장치 KR101581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627A KR101581445B1 (ko) 2015-06-03 2015-06-03 가공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627A KR101581445B1 (ko) 2015-06-03 2015-06-03 가공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445B1 true KR101581445B1 (ko) 2015-12-30

Family

ID=5508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627A KR101581445B1 (ko) 2015-06-03 2015-06-03 가공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4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723B1 (ko) * 2016-06-03 2017-07-24 경남 엠.테크 주식회사 선반 소재 로딩 및 언로딩 방법
KR101760733B1 (ko) * 2016-06-03 2017-07-31 경남 엠.테크 주식회사 선반 소재 로딩 및 언로딩 장치
CN109663861A (zh) * 2019-02-21 2019-04-23 苏州凌创电子系统有限公司 传感器引脚套筒铆压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6751A (ja) * 2007-09-10 2009-04-02 Samsys Sa 工作機械用の自動送り装置及び自動送り装置の操作方法
KR20100111820A (ko) * 2009-04-08 2010-10-1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환봉 자동 스크류 장치
KR20110032173A (ko) * 2009-09-22 2011-03-30 자스트 주식회사 Cnc선반용 소재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
KR20130001656U (ko) 2011-09-01 2013-03-11 조성찬 절단 파이프용 이송 컨베어장치
KR101304405B1 (ko) * 2013-04-25 2013-09-05 주식회사 두발 전열플레이트 정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6751A (ja) * 2007-09-10 2009-04-02 Samsys Sa 工作機械用の自動送り装置及び自動送り装置の操作方法
KR20100111820A (ko) * 2009-04-08 2010-10-1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환봉 자동 스크류 장치
KR20110032173A (ko) * 2009-09-22 2011-03-30 자스트 주식회사 Cnc선반용 소재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
KR20130001656U (ko) 2011-09-01 2013-03-11 조성찬 절단 파이프용 이송 컨베어장치
KR101304405B1 (ko) * 2013-04-25 2013-09-05 주식회사 두발 전열플레이트 정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723B1 (ko) * 2016-06-03 2017-07-24 경남 엠.테크 주식회사 선반 소재 로딩 및 언로딩 방법
KR101760733B1 (ko) * 2016-06-03 2017-07-31 경남 엠.테크 주식회사 선반 소재 로딩 및 언로딩 장치
CN109663861A (zh) * 2019-02-21 2019-04-23 苏州凌创电子系统有限公司 传感器引脚套筒铆压装置
CN109663861B (zh) * 2019-02-21 2024-01-23 苏州凌创电子系统有限公司 传感器引脚套筒铆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445B1 (ko) 가공물 이송장치
CN108679099B (zh) 一种滚子内圈外圈保持架装配机
US6941645B2 (en) Automatic piston inserting equipment using a vision system
US7530162B1 (en) T-bracket and spring plate riveting machine
CN110239080B (zh) 玻璃自动覆膜切膜机
CN214981333U (zh) 一种ppr管加工用切割装置
CN109732386B (zh) 移管活塞自动化加工设备
CN215263173U (zh) 一种金刚石串珠螺纹视觉检测设备
CN207447782U (zh) 衬套防错机构
CN108971943A (zh) 一种轴承的组装装置
CN219484695U (zh) 德式喉箍焊机
CN219956489U (zh) 汽车刹车管放型规检测设备
KR100974864B1 (ko) 플라즈마 컷팅 장치로 컷팅 대상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 공급장치
CN108714707B (zh) 表冷器总管自动钻孔装置
CN214981453U (zh) 一种ppr管切割送料装置
JPH0392240A (ja) ハンドリング装置
KR102209013B1 (ko) 스텝링크용 파이프형 로드 제작방법
CN110842670A (zh) 一种圆柱滚子端面加工装置
US74414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swaging of tubes
CN211332496U (zh) 一种圆柱滚子端面加工装置
CN115302014B (zh) 一种球阀阀芯加工设备
KR102263148B1 (ko) 자동차의 스텝링크용 파이프형 로드 제작용 널링장치 및 널링방법
CN114700730B (zh) 一种杯盖自动生产线
KR102523321B1 (ko) 너트의 수직방향 탭 가공을 위한 너트 자동 공급장치
CN219448450U (zh) 一种单边夹取单边导向的夹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