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230B1 -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 및 작업 발판의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 및 작업 발판의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230B1
KR101580230B1 KR1020140109224A KR20140109224A KR101580230B1 KR 101580230 B1 KR101580230 B1 KR 101580230B1 KR 1020140109224 A KR1020140109224 A KR 1020140109224A KR 20140109224 A KR20140109224 A KR 20140109224A KR 101580230 B1 KR101580230 B1 KR 101580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lange
main body
longitudinal direction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2717A (ko
Inventor
유지 다카하시
노조무 니무라
료 모리구치
쇼헤이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022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18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cantilevers or other provisions mounted in openings in the building, e.g. window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2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roofs or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04G3/246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following the inside contour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24Supporting, suspending, or setting arrangements, e.g. heat shi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과제)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을 용이하게 장착·분리 가능한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 및 작업 발판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는, 한 쌍의 H형강의 한쪽의 플랜지끼리가 대향하도록 상하로 적층하고, 상기 플랜지 사이에 트러스 구조(26)를 설치한 빔 본체(20)와, 일단이 상기 빔 본체(20)의 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일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빔 본체(20)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빔 본체(2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부채 형상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고, 타단이 인접하는 다른 상기 빔 본체(20)의 측면과 연결 가능한 연결재(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 및 작업 발판의 설치 방법{SCAFFOLDING BEAM STRUCTURE FOR BOILER FURNACE INTERIOR WORK, SCAFFOLDING BEAM CARRIER DEVICE AND SCAFFOLD INSTALLING METHOD}
본 발명은, 보일러 화로 내에 점검용의 작업 발판을 가설(假設)하기 위한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 및 작업 발판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보일러 화로 내의 점검을 행하는 경우에는, 보일러를 정지하고, 노(爐) 내에서 작업을 행할 수 있을 정도도 온도가 저하되고 나서, 작업원이 보일러 화로 내에 들어가며, 먼저 하부의 호퍼에 발판 베이스를 구축하고 있었다. 그리고, 노 벽의 내면을 따라서 상방(上方)의 수관 노즈부나 과열기의 하부까지 발판 프레임을 짜 올려, 발판 프레임의 최상부에 발판용 빔을 걸쳐 놓는다. 이어서, 비계판을 발판용 빔에 올려 놓고 고정하여 작업 발판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 작업 발판으로부터 작업원이 보일러 화로 내의 상방에 설치된 과열기 등의 점검, 보수, 클링커의 제거 등의 작업을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작업 발판은, 노 내 온도가 저하된 후가 아니면 조립할 수 없었다. 또, 수십 미터에까지 이르는 보일러 화로의 내부에 발판 프레임을 조립·철거하는 작업은 장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일러의 정지 시간이 길어져서 가동 효율이 저하되어 버린다. 또한, 트러블 등에 의해 긴급정지되더라도 노 내 온도가 저하될 때까지 기다려야만 하므로, 바로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특허문헌 1의 발판용 빔 삽입 장치는, 빔 삽입구로부터 한 쌍의 빔 삽입 프레임체 사이에 둔 발판용 빔을 삽입하고, 일단(一端)이 상측 빔 삽입 프레임체에 접속된 와이어의 타단(他端)을 발판용 빔의 선단(先端)에 접속시켜, 와이어에 의해 수평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발판용 빔을 수관 노즈부의 상측 경사부에 걸쳐 놓고 있다. 이에 따라, 노 내 온도가 떨어져 있지 않더라도 작업 발판의 조립 작업의 일부를 행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작업 발판을 조립할 수 있다.
또, 특허문헌 2의 보일러 화로 내 작업용 발판 구조는, 단일의 H형강으로 이루어지고, H형강을 2개의 C형강 사이에 끼워 넣고, 사용 상태에서 화로 개구부를 통하여 화로 내에 삽입되는 삽입 빔을 구비하고 있다. 이 삽입 빔에 발판을 설치하여 짧은 설치 공정으로 점검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특허문헌 3의 발판용 삽입 장치는, 발판용 빔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발판용 빔을 보일러 내에 송출하는 송출부와, 보일러의 외부를 주행하는 주행부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 실개평5-3481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1-80668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5-26454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발판용 빔 삽입 장치는, 발판용 빔에 와이어를 접속시키는 작업을, 인입 도구 등을 이용하거나, 노 내에 작업자가 들어가거나 하여 행해야만 하므로, 번잡한 작업으로 되어 있었다. 또, 상하의 구동 롤러만으로 주(主)빔의 넣고 꺼내기를 행하면 횡 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져 버린다.
특허문헌 2의 작업용 발판 구조는, 삽입 빔을 덧붙여 튀어나오게 하는 구조는 아니기 때문에, 작업용 발판의 범위가 작아, 점검 작업하는 범위가 매우 한정적이었다.
특허문헌 3의 장치는, 발판용 빔의 측면을 파지하고 있기 때문에, 발판용 빔에 이용하는 구조가 H형강 등과 같이 한정되어 있었다. 또, 발판용 빔이 길게 됨에 따라 외팔보 지지의 선단이 하방으로 늘어지기 때문에, 받아들이는 측의 지지 대를 들어올리는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을 용이하게 장착·분리 가능한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 및 작업 발판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수단으로서, 한 쌍의 H형강의 한쪽의 플랜지끼리가 대향하도록 상하로 적층하고, 상기 플랜지 사이에 트러스 구조를 설치한 빔 본체와, 일단이 상기 빔 본체의 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빔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빔 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부채 형상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고, 타단이 인접하는 다른 상기 빔 본체의 측면과 연결 가능한 연결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빔 본체는, 어느 한쪽의 상기 H형강의 웹의 양 주면(主面)으로부터 상기 플랜지와 평행하게 연장 돌출하고, 또한 상기 빔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 돌출한 가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3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빔 본체는, 선단에 수관 노즈부의 현수(懸垂) 로드와 계합(係合)하는 현수구(懸垂具)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4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빔 본체는, 한 쌍의 H형강의 한쪽의 플랜지끼리가 대향하도록 상하로 적층하고, 상기 플랜지 사이에 트러스 구조를 설치한 빔 단체(單體)를 길이 방향으로 복수 연결한 구성이며, 상기 빔 단체는, 상기 연결재가 측면에 없는 구성, 상기 연결재가 어느 한쪽의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된 구성, 상기 연결재가 양 측면에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된 구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5 수단으로서, 한 쌍의 H형강의 한쪽의 플랜지끼리가 대향하도록 상하로 적층하고, 상기 플랜지 사이에 트러스 구조를 설치한 빔 본체와, 일단이 상기 빔 본체의 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빔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빔 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부채 형상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고, 타단이 인접하는 다른 상기 빔 본체의 측면과 연결 가능한 연결재를 구비한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를 탑재 가능하게 하여, 보일러 화로의 개구부로부터 화로 내로 상기 빔 본체의 길이 방향을 향하게 하여 반송 가능한 롤러 본체와, 상기 롤러 본체의 롤러면으로부터 상기 빔 본체의 탑재측으로 세워 설치하여 상기 빔 본체를 둘러싸는 프레임체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체에는, 상기 한쪽의 H형강의 다른쪽의 플랜지의 양 주면을 파지 가능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의해 파지한 상기 빔 본체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진퇴 이동 가능한 반송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6 수단으로서, 상기 제 5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내측에는, 상기 빔 본체의 어느 한쪽의 상기 H형강의 웹의 양 주면으로부터 상기 플랜지와 평행하게 연장 돌출하고, 또한 상기 빔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 돌출한 가이드의 측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제 1 가이드 롤러와, 상기 다른쪽의 H형강의 다른쪽의 플랜지의 측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제 2 가이드 롤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7 수단으로서, 상기 제 5 또는 제 6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상부에는, 상기 한쪽의 H형강의 플랜지의 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상부 송출 롤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8 수단으로서, 한 쌍의 H형강의 한쪽의 플랜지끼리가 대향하도록 상하로 적층하고, 상기 플랜지 사이에 트러스 구조를 설치한 빔 단체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면서 삽입하고, 노 내에 복수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를 형성하고, 개구부 측의 인접하는 상기 빔 단체의 연결재를 연결하여 작업용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작업용 통로로부터 비계판을 확장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발판의 설치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트러스 구조의 빔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부채 형상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고, 인접하는 빔 본체에 연결 가능한 연결재를 장착하고 있으므로, 소정의 강성(剛性)을 구비한 빔 본체의 반송 형태를 간이화할 수 있고, 또한 작업 발판용의 빔을 용이하고도 짧은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빔 본체에 가이드를 장착하고 있으므로, 반송 장치를 이용한 송출시, 빔 본체의 상부의 가로흔들림을 방지하여, 빔 본체를 보일러 화로의 개구부로부터 노 내로 직선 형상으로 반송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의 단축화나 작업 인원의 감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외팔보 지지되어 선단이 수하(垂下)된 빔 본체를 매달아 올려 빔 전체를 수평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 수관 노즈부의 하부에 지지대와 같은 돌출부를 설치하지 않고 작업 발판용 빔을 가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파지부에 의해 빔 본체의 H형강의 플랜지를 파지하면서 반송하고 있으므로, 빔 본체의 측면에 연결재와 같은 부대물(附帶物), 트러스 구조 등과 같은 요철이 있더라도 빔 본체를 외팔보 지지한 상태로 반송할 수 있다.
또, 파지부에 의해 빔 본체의 H형강의 플랜지의 양 주면을 파지하고 있으므로, 외팔보 지지한 선단의 늘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빔 본체를 가설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에 의해 빔 본체의 가로흔들림을 방지하여, 빔 본체를 개구부로부터 노 내로 직선 형상으로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빔 본체의 상부의 H형강의 플랜지의 주면에 슬라이딩하는 보내기 롤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빔 본체의 외팔보 지지측이 일어서는 것을 눌러, 빔 본체의 선단 측의 늘어짐을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빔 단체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면서 삽입하고, 노 내에 복수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를 형성하고, 개구부 측의 인접하는 상기 빔 단체의 연결재를 연결하여 작업용 통로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작업용 통로로부터 용이하게 비계판을 확장하여 설치할 수 있어, 설치 작업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 및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를 이용한 작업 발판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d)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b)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b)의 빔 단체 C, D의 연결 수단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b)의 빔 단체 B의 연결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의 송출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의 현수구, 현수 로드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A-A 화살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B-B 화살표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C-C 화살표도이다.
도 15는 파지부의 설명도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개방 상태의 정면도, (d)는 파지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작업 발판의 설치 방법의 설명도 1이다.
도 17은 작업 발판의 설치 방법의 설명도 2이다.
도 18은 작업 발판의 설치 방법의 설명도 3이다.
본 발명의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이하, 간단히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라고 함),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 및 작업 발판의 설치 방법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 및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연결재는 생략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를 이용한 작업 발판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d)의 설명도이며, 빔 단체 A∼E의 각 평면도, 측면도, 배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b)의 설명도이며, 빔 단체 A∼E의 각 평면도, 측면도, 배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b)의 빔 단체 C, D의 연결 수단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연결재는 생략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b)의 빔 단체 B의 연결재의 동작 설명도이다.
<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 >
본 발명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는, 소정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트러스를 채용한 빔 본체(20) 및 연결재(60)를 주된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빔 본체(20)는, 보일러 화로(12)의 개구부(14)로부터 노 내의 수관 노즈부(16)의 하방에 걸쳐서 놓은 긴 주빔이다. 빔 본체(20)는, 한 쌍의 H형강과 트러스 구조(26)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H형강은, 동일 형상의 제 1 H형강(22)과 제 2 H형강(24)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H형강의 사이에는 트러스 구조(26)를 장착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H형강(22, 24)은, 각각 제 1 플랜지(22a, 24a)와 제 2 플랜지(22b, 24b)와 그 사이의 웹(22c, 24c)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인 빔 본체(20)의 형태는, 제 1 H형강(22)과 제 2 H형강(24)의 제 1 플랜지(22a, 24a)끼리가 대향하도록 상하로 적층하고, 제 1 플랜지(22a, 24a)의 사이에 트러스 구조(26)를 설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웹(22c, 24c)끼리를 동일 평면 상에 배치하여 제 1 H형강(22)의 제 1 플랜지(22a)의 상면에 트러스 구조(26)를 얹어, 트러스 구조(26)의 상면에 제 2 H형강(24)의 제 1 플랜지(24a)를 적층시키고 있다. 제 1 및 제 2 H형강(22, 24)은 단면(斷面)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플랜지와 웹에 접촉하는 보강판(28)을 설치하고 있다. 빔 본체(2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보강판(28)은 빔 본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있다.
빔 본체(20)는, 도 3,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분할(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5 분할)한 빔 단체 A∼E를, 선단의 빔 본체 A로부터 반송하고, 이어서 빔 본체 B∼E의 순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일러 화로(12)의 건물에서의 수납이나, 반송시의 취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빔 단체 B, C에는, 후술하는 연결재(60)가 웹의 어느 한쪽 편측면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있다. 빔 단체 D에는, 연결재(60)가 웹의 어느 한쪽 편측면에 두 개 또는 양측에 각각 두 개씩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빔 단체 D의 연결재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용 개구부(18) 부근에 설치되는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각 빔 단체의 연결에는 연결 수단(30)을 이용하고 있다. 연결 수단(30)은, 빔 단체의 제 1 H형강(22)끼리, 제 2 H형강(24)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구체적인 연결 수단(30)은, 제 1 H형강(22)끼리의 연결에, 한 쌍의 플레이트 받침(32)과, 주빔 접속 플레이트(34)와, 한 쌍의 키 홈을 구비한 핀(36)과, 키 플레이트(38)를 이용하고 있다.
플레이트 받침(32)은, 높이가 웹의 길이(높이)와 대략 동등해서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한 쌍의 플레이트이며, 중심 부근에 후술하는 키 홈을 구비한 핀(36)을 삽입 가능한 두 개의 핀 구멍(32a)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받침(32)은, 웹(22c)을 중심으로 제 1 플랜지(22a)와 제 2 플랜지(22b)의 칼라(collar) 사이에서 웹(22c)과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다. 플레이트 받침(32)과 웹(22c)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주빔 접속 플레이트(34)를 삽입 가능한 플레이트 삽입 구멍(32b)이 형성된다. 플레이트 받침(32)은 후술하는 키 플레이트(38)를 고정하는 장착 구멍(32c)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플레이트 받침(32)은, 빔 단체의 제 1 H형강(22)의 양단에 장착되어 있다.
주빔 접속 플레이트(34)는, 상기 플레이트 삽입 구멍(32b)에 삽입 가능한 두께와, 플레이트 받침(32)을 2매 나란히 놓은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 방향의 길이와, 웹(22c)의 길이(높이)와 대략 동등한 높이의 대략 직사각형의 한 쌍의 플레이트이다. 주빔 접속 플레이트(34)는, 상기 플레이트 삽입 구멍(32b)에 삽입했을 때에, 핀 구멍(32a)과 대향하는 위치에 네 개의 구멍(34a)을 설치하고 있다.
키 홈을 구비한 핀(36)은, 핀 구멍(32a) 및 구멍(34a)에 삽입 가능한 핀으로서, 일단에 칼라(36a)를 형성하고, 타단 측에 키 홈(36b)을 형성하고 있다. 키 홈을 구비한 핀(36)은, 핀 구멍(32a)에 삽입하여 칼라(36a)가 플레이트 받침(32)의 한쪽의 플레이트에 맞닿으면 키 홈(36b)이 다른쪽의 플레이트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키 플레이트(38)는, 플레이트 받침(32)의 플레이트로부터 돌출한 키 홈(36b)에 감합(嵌合)하는 한 쌍의 오목부(38a)를 구비하고 있다. 또, 키 플레이트(38)는 플레이트 받침(32)의 장착 구멍(32c)과 대향하는 위치에 장착 구멍(38b)을 설치하고 있다.
또, 제 2 H형강(24)끼리의 연결에는, 주빔 접속 플레이트(34)와, 한 쌍의 플레이트 받침(33)과, 한 쌍의 핀(42)과, 한 쌍의 핀 누름 가이드(40)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주빔 접속 플레이트(34)는, 제 1 H형강(22)의 연결에 이용한 것과 동일한 형태이다.
플레이트 받침(33)은, 제 1 H형강(22)의 연결에 이용하는 것과 대략 동등한 형태여서 제 2 H형강(24)에도 적용 가능하나, 장착 구멍(33c)의 위치가 다르다. 플레이트 받침(33)의 장착 구멍(33c)은, 핀 구멍(33a)을 사이에 두도록 설치되어 있다.
핀(42)은, 핀 구멍(33a)에 삽입 가능한 직경이며, 플레이트 받침(33)의 두께, 환언하면 한 쌍의 플레이트의 외측끼리의 거리에 상당하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핀(42)은, 플레이트 받침(33)에 삽입했을 때에 플레이트 받침(33)의 주면으로부터 양단이 돌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핀 누름 가이드(40)는, 외측으로부터 플레이트 받침(33)의 핀 구멍(33a)을 폐색하여, 플레이트 받침(33)의 양 주면으로부터 H형강의 플랜지와 평행하게 돌출하고, 또한 빔 본체(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돌출한 가이드이다. 구체적인 핀 누름 가이드(40)의 형태는, 핀 구멍(33a)을 덮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와,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주면으로부터 H형강의 플랜지와 평행, 환언하면 직사각형 플레이트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는 돌출 플레이트와, 돌출 플레이트의 선단에서 빔 본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돌출, 환언하면 직사각형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연장 돌출한 연장 돌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핀 누름 가이드(40)는, 후술하는 가이드(50)와 함께 빔 본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핀 누름 가이드(40)에는, 플레이트 받침(33)의 장착 구멍(33c)과 대향하는 위치에 장착 구멍(40a)을 설치하여,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삽입하여 플레이트 받침(33)에 고정할 수 있다.
제 2 H형강(24)의 웹(24c)의 양 주면에는 가이드(50)를 장착하고 있다.
가이드(50)는, 제 2 H형강(24)의 웹(24c)의 양 주면으로부터 플랜지와 평행하게 돌출하고, 또한 빔 본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돌출시키고 있다. 구체적인 가이드(50)의 구성은, 보강판(28)에 장착한 가이드 지지편(52)에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지지편(52)은, 보강판(28)의 중심부터 플랜지와 평행하며, 웹(24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50)는 가이드 지지편(52)의 단면(端面)에, 웹(24c)과 평행, 환언하면 빔 본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 돌출시키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50)는, 웹(24c)에 대하여, 플랜지보다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연결재(60)는, 보일러 화로(12)의 개구부(14)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삽입된 복수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끼리를 서로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의 연결재(60)는, 빔 본체(20)와 마찬가지로 트러스 구조(62)를 채용하고, 트러스 구조(62)의 네 모서리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 돌출한 체결 금구(金具)(63)를 설치하고 있다. 체결 금구(63)에는 볼트, 핀 등을 삽입 가능한 구멍(64)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결재(60)는, 일단 측을 지지부(66), 타단 측을 연결부(68)로 하고 있다.
지지부(66)는, 빔 본체(20)의 측면으로부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상하 한 쌍의 지지편(69)에 장착하고 있다. 지지편(69)은 빔 본체(20)를 중심으로 하여 양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하 한 쌍의 지지편(69)의 간격은, 연결재(60)의 세로 방향(높이 방향)의 길이와 대략 같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 상하의 지지편(69)은, 양단에 평면에서 보아 구멍(64)과 겹치는 위치에 구멍(69a)을 설치하고 있다. 지지편(69)은, 빔 본체(20)를 중심으로 한 경우의 좌우의 돌출 길이가 가이드(50)의 돌출 길이와 대략 같은 길이나 그보다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지지부(66)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지지편(69)에 장착되어 있다. 연결재(60)는, 이와 같은 지지부(66)을 지지점으로 하여, 빔 본체(20)의 측면으로부터 빔 본체(2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부채 형상으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68)는, 인접하는 다른 빔 본체(20)의 측면과 연결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연결부(68)는, 빔 본체(2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는 지지편(69)의 구멍(69a)에 핀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빔 본체(20)끼리를 연결 할 수 있다.
작업용 주빔 구조(10)에 연결재를 설치하는 구성은, 보일러 화로의 형태에 따라서 설계 변경 가능하다. 연결재(60)의 장착은, 일례로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a)에는, 연결재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구성이다. 작업용 주빔 구조(10b)는, 개구부(14)로부터 보일러 화로를 향하여 웹의 우측(편측)에 연결재(60)를 구비한 구성이다. 작업용 주빔 구조(10c)는, 개구부(14)로부터 보일러 화로를 향하여 웹의 좌측(편측)에 연결재(60)을 구비한 구성이다. 작업용 주빔 구조(10d)는, 웹의 양측에 연결재(60)를 구비한 구성이다.
도 3에 나타낸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d)의 빔 단체 B, C의 지지편(69)은, 빔 본체(20)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연결재(60)를 하나씩 설치하고 있다. 또, 빔 단체 D의 지지편(69)은, 빔 본체(20)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에 두 개의 연결재(60)를 설치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b)의 빔 단체 B, C의 지지편(69)은, 빔 본체(20)를 중심으로 하여 한쪽에 연결재(60)를 설치하고, 다른쪽에 구멍(69a)에 감합하는 핀(69b)이 설치되어 있다. 또, 빔 단체 D의 지지편(69)은, 빔 본체(20)를 중심으로 하여 편측에 연결재(60)를 두 개씩 설치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의 현수구, 현수 로드의 설명도이다.
빔 본체(20)의 선단에 위치하는 빔 단체 A에는 현수구(70)를 설치하고 있다. 현수구(70)는, 제 1 현수 금구(72)와 제 2 현수 금구(74)로 이루어지고, 서로 핀 결합되어 있다. 제 1 현수 금구(72)는, 후술하는 수관 노즈부의 현수 로드(80)에 접속 가능한 구멍(73)을 설치하고 있다. 제 2 현수 금구(74)는, 제 1 현수 금구(72)보다 긴 금구로서, 긴 구멍(75)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75)에는 빔 단체 A에 설치된 핀이 관통하고 있다. 현수구(70)는, 빔 단체 A의 선단에 설치된 상면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개구하고, 또한 상면으로부터 수평으로 개구한 역L자형의 수납 구멍(76)에 수납되어 있다. 긴 구멍(75)에 관통하는 핀은, 수납 구멍(76)의 굴곡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현수 로드(80)는, 빔 본체(20)의 현수구(70)와 계합함으로써, 외팔보 지지되어 선단이 하방으로 수하된 빔 본체(20)를 상방으로 끌어 올려 수평 방향으로 배치가능한 로드이다. 현수 로드(80)는, 현수구(70)의 상방이 되는 수관 노즈부(16)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현수 로드(80)와 현수구(70)의 사이가 되는 수관 노즈부(16)의 하면에는, 개구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현수 로드(80)는 수관 노즈부(16)의 내부에 설치된 서포트 빔(19)의 너트(19a)와 수직 방향으로 나사 결합하는 로드이다. 현수 로드(80)의 하단에는, 제 1 현수 금구(72)의 구멍(73)에 겹쳐서 체결 수단을 삽입하여 계합하는 구멍(80a)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부(14a)로부터 현수구(70)와 현수 로드(80)를 계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현수구(70)는, 도 8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시에 수납 구멍(76)의 상하 방향의 구멍에 제 2 현수 금구(74)가 들어가고, 가로 방향의 구멍에 제 2 현수 금구(74)로부터 직각으로 접어 구부러진 제 1 현수 금구(72)가 들어가 있다.
도 8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수 로드(80)와의 계합은, 먼저 수관 노즈부(16)의 개구부(14a)로부터 하방의 제 1 현수 금구(72)의 구멍에 와이어를 통과시켜 상방으로 잡아당겨 제 1 현수 금구(72)를 일으킨다. 그리고, 제 2 현수 금구(74)의 길이 방향으로 잡아 당겨 제 2 현수 금구(74)를 끌어 올린다. 제 1 현수 금구(72)의 구멍(73)과 현수 로드(80)의 구멍(80a)의 중심을 일치시켜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계합시킨다(도 8 (c)). 서포트 빔(19)의 너트(19a)를 재조임 하여 하방으로 수하된 빔 본체(20)를 끌어 올려 정위치, 환언하면 수평으로 배치한다.
<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100)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A-A 화살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B-B 화살표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C-C 화살표도이다. 또한, 도 12∼14는, 모두 빔 단체 D(편측에 2개의 연결재를 구비한 구성)를 일점파선으로 추기(追記)하고 있다.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100)는,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를 탑재 가능하게 하여, 보일러 화로(12)의 개구부(14)로부터 화로 내로 빔 본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반송 가능한 롤러 본체(120)와, 롤러 본체(120)의 롤러면으로부터 빔 본체(20)의 탑재 측으로 세워 설치하여 상기 빔 본체를 둘러싼 프레임체(130)를 구비하고 있다.
롤러 본체(120)는, 2개의 채널 사이에 복수의 송출 롤러(122)를 소정 간격으로 직선 형상으로 배치하고 있다. 송출 롤러(122)는 자유회전 가능하게 하고, 모터 등의 구동원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 개구부측의 송출 롤러(124)는, 다른 송출 롤러(122)보다 직경을 크게 하고, 베어링 기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롤러 본체(120)는, 빔 본체(20)의 바닥면에 복수의 송출 롤러(122, 124)가 접촉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반송할 수 있다.
프레임체(130)는, 롤러 본체(120)의 개구부 측에서, 빔 본체(20)를 아치 형상으로 둘러싸도록 빔 본체(20)의 탑재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세워 설치시키고 있다. 실시 형태의 프레임체(130)는, 제 1 프레임체(132)와 제 2 프레임체(134)로 이루어진다.
제 1 프레임체(132)는, 롤러 본체(120)의 개구부 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프레임체(132)에는, 제 1 가이드 롤러(136)와 제 2 가이드 롤러(138)를 장착하고 있다.
제 1 가이드 롤러(136)는, 제 1 프레임체(132)의 상방에서 사이의 빔 본체(20)를 사이에 두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 1 가이드 롤러(136)는, 빔 본체(20)의 제 2 H형강(24)의 가이드(50)의 양 측면과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이다.
제 2 가이드 롤러(138)는, 제 1 프레임체(132)의 하방에서 사이의 빔 본체(20)를 사이에 두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 2 가이드 롤러(138)는, 빔 본체(20)의 제 1 H형강(22)의 제 2 플랜지(22b)의 양 측면과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136, 138)에 의하면, 빔 본체(20)의 반송 방향에 대한 가로흔들림을 방지하여 빔 본체(20)를 보일러 화로 내를 향하여 똑바로 반송할 수 있다.
제 2 프레임체(134)는, 롤러 본체(120)의 중심으로부터 개구부 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프레임체(134)에는, 상부 송출 롤러(140)와 반송부(150)와 파지부(160)를 장착하고 있다.
상부 송출 롤러(140)는, 제 2 프레임체(134)의 상부에서, 빔 본체(20)의 제 2 H형강(24)의 제 2 플랜지(24b) 상면과 접촉하는 롤러이다. 상부 송출 롤러(140)는, 자유회전 가능하게 하고, 모터 등의 구동원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 개구부 측의 송출 롤러(124)와 마찬가지로 다른 송출 롤러(122)보다 직경을 크게 하고, 베어링 기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반송부(150)는, 제 2 프레임체(134)의 상부로부터 제 1 프레임체(132) 측으로 향하게 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 돌출한 유압 실린더 기구이다. 반송부(150)는, 유압 실린더(152)와 피스톤 로드(154)로 이루어지고, 유압 실린더(152)는 단부를 제 2 프레임체(134)의 상부에 장착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154)는 유압 실린더(152) 내를 왕복 운동 가능하게 하고, 선단에 후술하는 파지부(160)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반송부(150)는, 유압원(도시 생략)의 유압이 유압 실린더(152)에 공급되어 피스톤 로드(154)의 신축에 의하여 파지부(160)를 빔 본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진퇴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15는 파지부의 설명도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a)의 개방 상태의 D-D 화살표도, (d)는 (a)의 파지 상태의 D-D 화살표도이다. 빔 단체 B, C 혹은 E를 파지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파지부(160)는, 클램프 판(162)과 클램프 잭(164)과 클램프 아암(166)과 주행 롤러(168)를 구비하고 있다.
클램프 판(162)은, 제 2 H형강(24)의 제 2 플랜지(24b)의 한쪽의 주면(상면) 측에 배치하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플레이트이다. 클램프 판(162)의 상면에는 한 쌍의 클램프 잭(164)과, 클램프 잭(164)에 접속하는 유압 경로가 장착되어 있다.
빔 본체(2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클램프 판(162)의 변에는 한 쌍의 절결(切缺)부가 있고, 이 절결부에는 클램프 아암(166)이 장착되어 있다. 클램프 아암(166)은, 단면에서 보아 역ㄷ자형의 형상이며, 대향하는 변의 어느 한쪽의 변이 클램프 잭(164)의 가동부에 접속하고, 다른쪽의 변이 클램프 판(162)의 다른쪽의 주면(하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빔 본체(20)는, 클램프 판의 하면과 클램프 아암(166)의 다른쪽의 변의 사이에 제 2 H형강(24)의 제 2 플랜지(24b)를 둔 상태로 반송된다.
도 15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원(도시 생략)으로부터의 유압이 공급되어 클램프 잭(164)이 축소되면, 클램프 아암(166)이 하방(롤러 본체(120)로 가까이 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클램프 판(162)과의 사이가 커져, 제 2 H형강(24)의 제 2 플랜지(24b)의 양 주면을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도 15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원(도시 생략)으로부터의 유압이 공급되어 클램프 잭(164)이 신장되면, 클램프 아암(166)이 상방(롤러 본체(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클램프 판(162)과의 사이가 작아져 제 2 H형강(24)의 제 2 플랜지(24b)의 양 주면을 파지할 수 있다.
주행 롤러(168)는, 빔 본체(2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클램프 판(162)의 변에 각각 네 개 장착되어 있다. 주행 롤러(168)는, 제 2 H형강(24)의 제 2 플랜지(24b)의 상면과 접촉하여 파지부(160)를 빔 본체(20) 위에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 및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의 송출의 설명도이다.
도 7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레인을 이용하여 빔 단체 A를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100)의 롤러 본체(120) 상에 탑재한다. 그리고, 빔 단체 A를 개구부(14) 측으로 밀어 내어 스페이스를 만든다. 이어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빔 단체 B를 롤러 본체(120) 상에 탑재한다. 빔 단체 A와 빔 단체 B는 연결 수단(30)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다. 미리 빔 단체 A에는, 플레이트 받침(32, 33)과 주빔 접속 플레이트(34)가 장착되어 있다. 또, 빔 단체 B에는, 플레이트 받침(32, 33)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빔 단체 A의 주빔 접속 플레이트(34)를 빔 단체 B의 플레이트 받침(32, 33)에 삽입한다. 빔 단체 B의 상부의 플레이트 받침(33)의 핀 구멍(32a)에 핀(42)을 삽입하고, 이어서 핀 누름 가이드(40)를 플레이트 받침(33)의 외측으로부터 핀 구멍(32a)을 폐색하여, 장착 구멍(33c)에 체결 수단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에 의해, 핀 누름 가이드(40)는, 가이드(50)와 함께 빔 본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빔 단체 B의 하부의 플레이트 받침(32)의 핀 구멍(32a)에는, 키 홈을 구비한 핀(36)을 삽입하고, 이어서 키 플레이트(38)의 오목부를 키 홈(36b)에 감합시킨다. 그리고, 장착 구멍(38b)에 체결 수단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연결된 빔 단체 A 및 빔 단체 B는, 파지부(160)에 의해 제 2 H형강(24)의 제 2 플랜지(24b)를 파지하면서, 반송부(150)에 의해 개구부(14) 측으로 반송하고, 개구부(14)로부터 빔 단체 A를 화로 내로 삽입한다.
도 7 (b)∼(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크레인을 이용하여 빔 단체 C∼빔 단체 E를 반송 장치의 롤러 본체(120) 상에 탑재한다. 그리고, 연결 수단(30)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반송하면서 빔 본체(20)를 형성한다.
도 7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빔 단체 E의 플랜지를 파지부(160)에 의해 파지하면서 반송하면 빔 단체 A의 선단이 수관 노즈부(16)의 개구부(14a)의 하방에 위치한다. 이 때,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100)로 외팔보 지지된 빔 본체(20)는, 자중(自重)에 의해 선단 측이 수하되어 있다.
도 7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관 노즈부(16)의 개구부(14a)를 개방한다. 개구부(14a)로부터 하방의 제 1 현수 금구(72)의 구멍에 와이어를 통과시켜 상방으로 잡아당겨 제 1 현수 금구(72)를 기복시킨다. 그리고, 제 2 현수 금구(74)의 길이 방향으로 끌어올려 제 2 현수 금구(74)를 끌어올린다. 제 1 현수 금구(72)의 구멍과 현수 로드(80)의 구멍의 중심을 일치시켜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계합시킨다. 서포트 빔(19)의 너트(19a)를 재조임 하여 하방으로 수하된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를 끌어올려 정위치, 환언하면 수평 방향으로 배치한다. 이에 의해,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는, 선단 측(빔 단체 A)을 수관 노즈부(16)의 현수 로드(80)에 계합하고, 말단 측(빔 단체 E)을 파지부(160)에 의해 파지하여, 화로 내에서 고정할 수 있다.
도 16∼18은 작업 발판의 설치 방법의 설명도이다.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a, 10b)를 작업자용 개구부(18)가 있는 보일러 화로(12)의 측면 측(일단)으로부터 삽입한다(도 16 (a)). 그리고, 작업자용 개구부(18) 부근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Ob)의 연결재(60)를 빔 본체(2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부채 형상으로 개방하고, 인접하는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a)의 빔 본체(20)의 지지편(69)의 구멍(69a)에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연결재(60) 위에 작업자용 개구부(18)로부터 반입한 비계판(170)을 탑재하여 작업자용의 통로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6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빔(172)을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a 및 1Ob)를 걸침과 함께, 일단이 보일러 화로(12)의 벽면 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한다. 작업자용 개구부(18)로부터 반입한 비계판(170)을 작업 발판용 주빔(10a 및 10b)의 사이와, 작업 발판용 주빔(10a) 및 보일러 화로의 벽면의 사이에 탑재하여 고정한다. 또, 다른 한쪽의 작업자용 개구부(18)가 있는 보일러 화로(12)의 측면 측(타단)으로부터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a, 10c)를 삽입하여, 작업자용 개구부(18) 부근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c)의 연결재(60)를 빔 본체(2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부채 형상으로 개방하고, 인접하는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a)의 빔 본체(20)의 지지편(69)의 구멍(69a)에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비계판(170)을 탑재하여 작업자용의 통로를 형성한다.
도 16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계판(170)을 탑재하는 작업과 병행하여,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10b 및 10d)를 삽입하여, 작업자용의 통로를 형성하는 공정을 행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평면에서 보아 수관 노즈부(16)의 선단과 겹치는 위치까지 행한다(도 16 (d)).
다음으로, 도 17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형상의 달비계(176)를 형성하는 개소가 되는 작업 발판을 프레임 형상으로 둘러싸는 개소의 비계판(170)을 철거하여 개구를 형성한다(동 도면 내의 × 표시 개소).
그리고, 도 17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발판의 상면에 임시배치한 달비계(176)를 개구로부터 하방으로 삽입한다.
수관 노즈부(16)의 하방에 배치하는 달비계(176a)는, 먼저, 수관 노즈부(16)의 선단 측에서, 작업 발판의 하방으로 삽입한 후, 프레임 형상의 달비계 지지 빔(174)에 의해 지지시킨다.
도 17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달비계 지지 빔(174)에 의해 지지한 달비계(176a)를 수관 노즈부(16)의 하방의 빔 단체 A까지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달비계(176)끼리를 비계판(170)로 연결하면, 작업 발판의 작업 영역보다 하면에, 작업 발판을 프레임 형상으로 둘러싸는 달비계(17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달비계(176)의 구성에 의해, 수관 노즈부(16)의 하면 등의 영역에 대해서도 점검 작용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에 의하면, 트러스 구조의 빔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부채 형상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고, 인접하는 빔 본체에 연결 가능한 연결재를 장착하고 있으므로, 소정의 강성을 구비한 빔 본체의 반송 형태를 간이화할 수 있고, 또한 작업 발판용의 빔을 용이하고도 짧은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에 의하면, 파지부에 의해 빔 본체의 H형강의 플랜지를 파지하면서 반송하고 있으므로, 빔 본체의 측면에 연결재와 같은 부대물, 트러스 구조 등과 같은 요철이 있더라도 빔 본체를 외팔보 지지한 상태로 반송할 수 있다.
10 :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
12 : 보일러 화로
14, 14a : 개구부
16 : 수관 노즈부
18 : 작업자용 개구부
19 : 서포트 빔
19a : 너트
20 : 빔 본체
22 : 제 1 H형강
22a : 제 1 플랜지
22b : 제 2 플랜지
22c : 웹
24 : 제 2 H형강
24a : 제 1 플랜지
24b : 제 2 플랜지
24c : 웹
26 : 트러스 구조
28 : 보강판
30 : 연결 수단
32, 33 : 플레이트 받침
32a, 33a : 핀 구멍
32b : 플레이트 삽입 구멍
32c, 33c : 장착 구멍
34 : 주빔 접속 플레이트
34a : 구멍
36 : 키 홈을 구비한 핀
36a : 칼라
36b : 키 홈
38 : 키 플레이트
38a : 오목부
38b : 장착 구멍
40 : 핀 누름 가이드
40a : 장착 구멍
42 : 핀
50 : 가이드
52 : 가이드 지지편
60 : 연결재
62 : 트러스 구조
63 : 체결 금구
64 : 구멍
66 : 지지부
68 : 연결부
69 : 지지편
69a : 구멍
69b : 핀
70 : 현수구
72 : 제 1 현수 금구
73 : 구멍
74 : 제 2 현수 금구
75 : 긴 구멍
76 : 수납 구멍
80 : 현수 로드
80a : 구멍
100 :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
120 : 롤러 본체
122, 124 : 송출 롤러
130 : 프레임체
132 : 제 1 프레임체
134 : 제 2 프레임체
136 : 제 1 가이드 롤러
138 : 제 2 가이드 롤러
140 : 상부 송출 롤러
150 : 반송부
152 : 유압 실린더
154 : 피스톤 로드
160 : 파지부
162 : 클램프 판
164 : 클램프 잭
166 : 클램프 아암
168 : 주행 롤러
170 : 비계판
172 : 돌출 빔
174 : 달비계 지지 빔
176, 176a : 달비계

Claims (8)

  1. 한 쌍의 H형강의 한쪽의 플랜지끼리가 대향하도록 상하로 적층하고, 상기 플랜지 사이에 트러스 구조를 설치한 빔 본체와,
    일단이 상기 빔 본체의 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일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빔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빔 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부채 형상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고, 타단이 인접하는 다른 상기 빔 본체의 측면과 연결 가능한 연결재를 구비하고,
    상기 빔 본체는, 어느 한쪽의 상기 H형강의 웹의 양 주면으로부터 상기 플랜지와 평행하게 돌출하고, 또한 상기 빔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 돌출한 가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본체는, 선단에 수관 노즈부의 현수 로드와 계합하는 현수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본체는, 한 쌍의 H형강의 한쪽의 플랜지끼리가 대향하도록 상하로 적층하고, 상기 플랜지 사이에 트러스 구조를 설치한 빔 단체를 길이 방향으로 복수 연결한 구성이며,
    상기 빔 단체는, 상기 연결재가 측면에 없는 구성, 상기 연결재가 어느 한쪽의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된 구성, 상기 연결재가 양 측면에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된 구성 중 어느 것인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
  4. 한 쌍의 H형강의 한쪽의 플랜지끼리가 대향하도록 상하로 적층하고, 상기 플랜지 사이에 트러스 구조를 설치한 빔 본체와, 일단이 상기 빔 본체의 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빔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빔 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부채 형상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고, 타단이 인접하는 다른 상기 빔 본체의 측면과 연결 가능한 연결재를 구비한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를 탑재 가능하게 하여, 보일러 화로의 개구부로부터 화로 내로 상기 빔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반송 가능한 롤러 본체와,
    상기 롤러 본체의 롤러면으로부터 상기 빔 본체의 탑재 측으로 세워 설치하여 상기 빔 본체를 둘러싸는 프레임체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체에는,
    한쪽의 상기 H형강의 다른쪽의 플랜지의 양 주면을 파지 가능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의해 파지한 상기 빔 본체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진퇴 이동 가능한 반송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내측에는,
    상기 빔 본체의 어느 한쪽의 상기 H형강의 웹의 양 주면으로부터 상기 플랜지와 평행하게 연장 돌출하고, 또한 상기 빔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 돌출한 가이드의 측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제 1 가이드 롤러와,
    다른쪽의 상기 H형강의 다른쪽의 플랜지의 측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제 2 가이드 롤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상부에는,
    한쪽의 상기 H형강의 플랜지의 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상부 송출 롤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
  7. 한 쌍의 H형강의 한쪽의 플랜지끼리가 대향하도록 상하로 적층하고, 상기 플랜지 사이에 트러스 구조를 설치한 빔 단체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면서 삽입하고, 노 내에 복수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를 형성하고,
    개구부 측의 인접하는 상기 빔 단체의 연결재를 연결하여 작업용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작업용 통로로부터 비계판을 확장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발판의 설치 방법.
  8. 삭제
KR1020140109224A 2013-08-23 2014-08-21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 및 작업 발판의 설치 방법 KR101580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3249 2013-08-23
JP2013173249A JP6172632B2 (ja) 2013-08-23 2013-08-23 ボイラ火炉内の作業足場用主梁構造、作業足場用主梁搬送装置、及び作業足場の設置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717A KR20150022717A (ko) 2015-03-04
KR101580230B1 true KR101580230B1 (ko) 2015-12-24

Family

ID=5139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224A KR101580230B1 (ko) 2013-08-23 2014-08-21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 및 작업 발판의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840202B1 (ko)
JP (1) JP6172632B2 (ko)
KR (1) KR101580230B1 (ko)
ZA (1) ZA20140619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444B1 (ko) 2021-03-30 2022-03-22 (주)휴하리 보일러 긴급정비용 추락방지 장치 설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505A1 (en) * 2016-03-07 2017-09-14 Safway Services, Llc Adjustable platform extension bracket for work platform systems and related methods
CN105926915B (zh) * 2016-05-05 2018-02-02 河南省第一建筑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贝雷梁高空长悬挑工作平台的施工方法
JP6784615B2 (ja) * 2017-03-10 2020-11-11 中電プラント株式会社 安全ネットの展張方法
KR102095125B1 (ko) * 2018-09-20 2020-04-23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보일러 과재열기 튜브의 정비용 플랫폼
CN109812002A (zh) * 2019-01-25 2019-05-28 江苏能建机电实业集团有限公司 用于锅炉检修灰口支撑平台及搭建方法
JP2021042535A (ja) 2019-09-06 2021-03-18 三菱パワー株式会社 ボイラ火炉内の作業足場設置構造
KR102470512B1 (ko) * 2022-03-23 2022-11-25 (주)해람솔루션 경사면 지지 수평전개 시스템 데크
CN115262942B (zh) * 2022-08-25 2023-07-11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高空大堂架空处附着式脚手架支撑机构及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967Y2 (ko) * 1987-12-25 1993-04-21
JP2524101Y2 (ja) 1991-06-26 1997-01-29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ボイラ炉内点検用上側足場
JPH055358A (ja) * 1991-06-26 1993-01-1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足場用梁挿入装置及び該装置による足場用梁架設方法
JP2527309Y2 (ja) * 1991-08-30 1997-02-26 中部電力株式会社 ワーキングステーション吊り下げ装置
GB9215336D0 (en) * 1992-07-18 1992-09-02 Asw Cubic Structures Limited Roof structures
JP3791628B2 (ja) * 1996-04-16 2006-06-28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水平梁挿入装置
JP3703096B2 (ja) * 2003-02-19 2005-10-05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構造物の仮設足場及びその構築方法
JP4140542B2 (ja) * 2004-03-18 2008-08-27 株式会社Ihi 足場用梁挿入装置及び足場用梁挿入方法
US7779599B2 (en) * 2004-03-31 2010-08-24 Safway Services, Llc Articulating work platform support system, work platform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06348647A (ja) * 2005-06-17 2006-12-28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橋桁の押出し工法
US8123001B1 (en) * 2008-03-18 2012-02-28 Paul Kristen, Inc. Modular platform/ scaffolding
JP5320247B2 (ja) * 2009-10-06 2013-10-23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ボイラ火炉内作業用足場構造
KR101220129B1 (ko) * 2011-07-01 2013-01-11 주식회사백상 보일러 연소실 내부 작업 발판 및 설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444B1 (ko) 2021-03-30 2022-03-22 (주)휴하리 보일러 긴급정비용 추락방지 장치 설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40202B1 (en) 2016-04-06
ZA201406198B (en) 2015-12-23
KR20150022717A (ko) 2015-03-04
JP2015040451A (ja) 2015-03-02
EP2840202A1 (en) 2015-02-25
JP6172632B2 (ja)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230B1 (ko)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용 주빔 구조, 작업 발판용 주빔 반송 장치, 및 작업 발판의 설치 방법
JP5671373B2 (ja) 橋梁の撤去工法と新設工法
CN209907228U (zh) 一种钢梁顶推导向装置
JP6372052B2 (ja) トンネル施工方法
CN108643594A (zh) 悬挑钢梁的手动式矫正装置及其施工方法
KR20160029095A (ko) 지지 구조물 모듈을 갖는 오버헤드 운반 장치
JP4115472B2 (ja) 橋梁構造物における足場の組立方法
JP6101556B2 (ja) 資材移動装置
JP2009249823A (ja) 管搬送用台車
CN210884951U (zh) 一种用于幕墙的双环轨吊装装置
CN111022758A (zh) 一种风管安装方法
CN110282579A (zh) 高度受限狭小空间内预制管沟的吊装系统及吊装方法
CN110318459A (zh) 大跨度钢结构连廊的水平累积滑移及垂直倒装提升安装方法
JP2008280165A (ja) 重量物の揚重構造
CN211342917U (zh) 一种盾构机分体始发管线托架
CN210370720U (zh) 一种盾构管片的二次吊运装置
CN208347327U (zh) 悬挑钢梁的手动式矫正装置
CN111472783A (zh) 一种盾构机分体始发加长管线延伸装置及应用方法
CN209838336U (zh) 模块化可拼接的钻杆支托平台
CN219823481U (zh) 一种铺设地下管线的牵引机构
CN220226919U (zh) 一种盾构分体始发管线延长自移动装置
CN217623655U (zh) 燃烧器转移支架
CN212174270U (zh) 用于受限空间的设备运输装置
CN115818414B (zh) 一种滑轨式预制板运输安装一体化装置
CN209740461U (zh) 升降机附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