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763B1 -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763B1
KR101579763B1 KR1020140092594A KR20140092594A KR101579763B1 KR 101579763 B1 KR101579763 B1 KR 101579763B1 KR 1020140092594 A KR1020140092594 A KR 1020140092594A KR 20140092594 A KR20140092594 A KR 20140092594A KR 101579763 B1 KR101579763 B1 KR 101579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pellionia
scabra
pharmaceutical composi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희
김노수
방옥선
이진무
박종식
김기모
이준
이유진
허덕림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9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7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펠리온나무 추출물은 다양한 암세포주 및 항암제 내성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을 보이므로, 이를 이용한 암환자 및 다제내성 암환자에 대한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health functional foods comprising Pellionia scabra extracts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s}
본 발명은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항암제 개발은 생명과학관련 기술개발연구의 가장 핵심을 차지하고 있으며, 암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등에서도 사망원인 1-2 위를 다투고 있으며 특히 대형병원 사망률의 과반수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생명과학동향, 생명공학 연구소, 3: 55, 1995; 鶴尾降, 西條長壙, 암 화학적 요법, 서광서림, 351, 1991). 이러한 암을 정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여러 가지 암의 조기 발견을 위한 진단법에 많은 발전이 있었으며, 암의 치료법에 있어서도 수술, 방사선 요법, 항암제의 개발, 생물학적 방법 등이 발달해 왔다. 그 중 항암제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암세포를 이용한 시도가 많았지만, 현재까지 진정한 의미의 치료제로서의 항암제는 없는 상태이고 단지 보조치료제 내지는 단기간의 생명연장을 돕는 정도의 약제밖에는 개발되지 못한 상태이다.
최근에는 암 치료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암의 발생과 전이, 암세포의 생리, 암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연구 및 천연 추출물 검색을 통하여 일반적인 항암제 뿐만 아니라, 혈관신생억제제 (angiogenesis inhibitor), 암 전이 억제제 새로운 암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항암제 등을 이용한 암치료에 있어서 항암제 내성 세포의 발생은 큰 장애가 된다. 대부분의 암세포들은 유전자 변이 억제와 관련된 기능이 이미 상실된 상태에 있으므로, 하나의 암 덩어리 안에 있는 세포들 각각도 다양한 유전자발현 패턴을 가지게 된다. 결국 항암제를 이용한 화학적 치료시 대부분의 경우 유전적 다양성으로 인한 항암제 내성을 가진 세포가 선별적으로 살아남게 되며, 살아남은 항암제 내성 세포가 증식을 거듭하여 결국 대부분의 암 덩어리의 세포가 항암제 내성을 가지게 된다. 유전적 다양성 내지 돌연변이로 인한 항암제 내성 외에도, 환자의 부작용이 너무 심하여 충분한 양의 항암제를 투여하지 못한경우, 경구 투여시 약물 흡수가 비정상적으로 저하된 경우, 또는 생리학적으로 혈관과 암조직 사이에 세포로 이루어진 장벽이 있어 제대로 약물이 침투하지 못한 경우 등에도 항암제 내성 현상을 보일 수 있다.
더욱이, 많은 경우 항암제를 세포 밖으로 배출하는 트랜스포터 (transporter)의 넓은 기질 특이성으로 인해, 유사하지 않은 다른 종류의 항암제를 모두 배출해낼 수 있다. 또는 항암제의 제한적인 흡수, 막 지질들의 변화 등을 통해 세포내 항암제의 축적을 제한할 수 있고, 항암제 내성 세포들은 완전히 다른 약제들에 대해서 동시에 내성을 보이는 다약제 내성 (MDR, multi drug resistance)을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단순히 종류가 다른 항암제를 투여하는 것 만으로는 항암제 내성 암을 치료할 수 없었다.
한편 펠리온나무 (Pellionia scabra)는 제주물풍뎅이라고도 하며 한반도 중부 이남의 산골짜기 습지에 나는 낙엽관목이다. 밑부분은 목질이고, 윗부분은 연질로 높이는 20~40cm이다. 전체가 검은 청록색이며 줄기에 회색의 짧은 털이 밀생한다. 잎은 줄기 윗부분에서 어긋나며 일그러진 피침형, 긴 타원형이며 길이 6~10cm이다. 상반부의 가장자리에 몇 개의 톱니가 있고 끝이 뾰족하며, 표면이 우글쭈글하고, 뒷면 맥위에 짧은 털이 나며, 잎자루는 없다. 꽃은 황록색으로 암수딴그루로 암꽃이삭은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리고, 수꽃이삭은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아직까지 펠리온나무의 효능, 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암효과뿐만 아니라 항암제 내성 세포주에 대해서도 세포독성을 보이는 항암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에서 이러한 약제를 찾기 위해 노력한 결과, 펠리온나무 추출물이 항암효과 뿐만 아니라 항암제 내성 세포주에 대해서도 세포독성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펠리온나무 추출물은 암세포주 및 항암제 내성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을 보이므로, 이를 이용한 암환자 및 다약제내성 암환자에 대한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16종의 서로 다른 암세포주에 처리했을때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HL-60/MX1, 및 HL-60/MX2 세포주가 다약제 내성 (MDR)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다약제 내성을 가진 HL-60/MX1, 및 HL-60/MX2 세포주에 대한 펠리온나무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MES-SA/MX2, 및 MES-SA/Dx5 세포주가 다약제 내성 (MDR)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다약제 내성을 가진 MES-SA/MX2, 및 MES-SA/Dx5 세포주에 대한 펠리온나무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A549 사람 폐암세포주가 이식된 in ovo 종양이식모델에서 펠리온나무 추출물의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또는 기존 항암제를 이용한 치료가 어려운 다제내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항암제 내성", 또는 "다제내성" 이란, 항암제를 이용하여 암 환자를 치료할 때 치료 초기부터 효과가 없거나 초기에는 치료 효과가 있으나 계속적인 치료 과정에서 암 치료 효과가 감소 또는 상실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펠리온나무 추출물은 펠리온나무를 물, C1-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펠리온나무는 펠리온나무의 잎, 줄기, 뿌리, 열매, 또는 꽃을 포함하는 펠리온나무 전초의 모든 부분일 수 있다.
상기 펠리온나무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펠리온나무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펠리온나무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펠리온나무 추출물의 추출 방법으로는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냉각 추출 및 초음파추출 등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건조된 펠리온나무 분량의 2 내지 20 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2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0 내지 100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24 내지 96 시간이 더욱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72 시간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암은 폐암, 간암, 위암, 대장암, 결장암, 피부암, 방광암, 전립선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신장암, 섬유육종, 흑색종 및 혈액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암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단 가능한 모든 암을 의미한다.
상기 항암제 내성 유방암은 삼중-내성 유방암 (triple-negative breast cance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단 가능한 모든 항암제 내성 유방암을 의미한다.
상기 항암제는 항종양 항생제(antitumor antibiotics), 또는 위상이성질화효소 억제제 (topoisomerase inhibito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상, 약학, 생의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모든 항암제를 포함한다.
상기 항종양 항생제(antitumor antibiotics)는 액티노마이신 D (actinomycin D), 블레오마이신 설페이트 (bleomycin sulfate), 다우노마이신 (daunomycin), 다우노루비신 (daunorubicin), 독소루비신 (doxorubicin), 에피루비신 (epirubicin), 아이다루비신 (idarubicin), 미토마이신 (mitomycin), 미토마이신-C (mitomycin-C), 또는 미트라마이신 (mitramycin)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위상이성질화효소 억제제 (topoisomerase inhibitor)는 이리노테칸 (irinotecan), 캠프토테신 (camptothecin), 노보비오신 (novobiocin), 에피루비신 (epirubicin), 닥티노마이신 (dactinomycin), 암사크린 (amsacrine), 테니포시드 (teniposide) 또는 에토포시드 (etoposid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상, 약학, 생의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모든 항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또는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및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외용 또는 복강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펠리온나무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00 ㎎/㎏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또는 항암제 내성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펠리온나무 추출물은 펠리온나무를 물, C1-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펠리온나무는 펠리온나무의 잎, 줄기, 뿌리, 열매, 또는 꽃을 포함하는 펠리온나무 전초의 모든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암은 폐암, 간암, 위암, 대장암, 결장암, 피부암, 방광암, 전립선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신장암, 섬유육종, 흑색종 및 혈액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암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단 가능한 모든 암을 의미한다.
상기 항암제 내성 유방암은 삼중-내성 유방암 (triple-negative breast cance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단 가능한 모든 항암제 내성 유방암을 의미한다.
상기 항암제는 항종양 항생제(antitumor antibiotics), 또는 위상이성질화효소 억제제 (topoisomerase inhibito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상, 약학, 생의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모든 항암제를 포함한다.
상기 항종양 항생제(antitumor antibiotics)는 액티노마이신 D (actinomycin D), 블레오마이신 설페이트 (bleomycin sulfate), 다우노마이신 (daunomycin), 다우노루비신 (daunorubicin), 독소루비신 (doxorubicin), 에피루비신 (epirubicin), 아이다루비신 (idarubicin), 미토마이신 (mitomycin), 미토마이신-C (mitomycin-C), 또는 미트라마이신 (mitramycin)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위상이성질화효소 억제제 (topoisomerase inhibitor)는 이리노테칸 (irinotecan), 캠프토테신 (camptothecin), 노보비오신 (novobiocin), 에피루비신 (epirubicin), 닥티노마이신 (dactinomycin), 암사크린 (amsacrine), 테니포시드 (teniposide) 또는 에토포시드 (etoposid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상, 약학, 생의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모든 항암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건강기능식품"이란 일상 식사에서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나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가진 원료나 성분 (기능성원료)을 사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인체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거나 생리기능 활성화를 통하여 건강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식품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한 것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의미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가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법률에 따라 어떤 형태로든지 제조,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펠리온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 (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펠리온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펠리온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펠리온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험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여 16종의 다양한 암세포주들에 처리한 결과, 펠리온나무 추출물의 암세포주들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1).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험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HL-60, 및 MES-SA 세포주로부터 파생된 다약제 내성 (MDR)을 가진 암세포주들의 다양한 작용기전을 지닌 항암제에 대한 저항성을 확인하였고 (도 2, 도 4), 상기 다약제 내성을 가진 암세포주들에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펠리온나무 추출물이 다약제 내성을 가진 암세포주들에도 세포독성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 도 5).
따라서 본 발명의 펠리온나무 추출물은 암 또는 항암제 내성 암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펠리온나무 추출물의 제조
펠리온나무 (Pellionia scabra) 전초 (잎, 줄기, 및 뿌리를 포함)를 건조하여 분쇄한 후 99.9% 메탄올로 추출하고 감압농축하여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펠리온나무 추출물의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펠리온나무 추출물의 다양한 암세포주들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TS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salt) 실험법으로 세포독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미국세포주은행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으로부터 입수한 15종의 암세포주와 한국세포주은행에서 입수한 1종의 암세포주를사용하여 다양한 암종에 대한 펠리온나무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표 1). 구체적으로 96-well plate에 5x103개의 암세포를 100μl의 적당한 배양배지와 함께 분주한 후, 24시간 동안 5% CO2를 함유한 가습된 (humidified)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100μg/ml로 처리한 후, 48시간 추가배양하였다. 배양배지를 제거하고, 100μl의 MTS 용액을 첨가한 후, 약 1~3시간 반응시킨 후,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음성대조군의 흡광도 측정값에 대한 상대생장지수 (relative proliferation index)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펠리온나무 추출물은 폐암, 자궁경부암, 육종암, 대장암, 위암, 신장암, 피부암 세포의 상대성장을 최소 50%에서 95%이상 저해하는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유방암의 경우, 호르몬 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삼중-내성 유방암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유래 세포주 (MDA-MB-231)에 강한 세포독성을 보였다. (도 1)
암 세포주 정보
세포주 유래조직 질환명 취득처 고유번호
A549 악성종양 (carcinoma) ATCC CCL-185
NCI-H460 비소세포암 HTB-177
NCI-H1299 비소세포암 CRL-5803
MCF7 유방 선암 (adenocarcinoma) HTB-22
MDA-MB-231 유방 선암 (adenocarcinoma) HTB-26
HeLa 자궁 선암 (adenocarcinoma) CCL-2
HT1080 결합조직 육종암 (fibrosarcoma) CCL121
DU 145 전립선 악성종양 (carcinoma) HTB-81
PC-3 전립선 4기 선암 CRL-1435
CoLo 205 결장 결장암 (colorectal carcinoma) CCL-222
HCT116 결장 결장암 (colorectal carcinoma) CCL-247
SK-MEL-5 피부 악성 흑색종 HTB-70
SK-MEL-28 피부 악성 흑색종 HTB-72
SNU638 선암 (adenocarcinoma) 한국세포주은행 00638
ACHN 신장 신세포암 (renal cell adenocarcinoma) ATCC
CRL-1611
Caki-1 신장 투명세포암 (clear cell carcinoma) HTB-46
<실험예 2> 펠리온나무 추출물의 항암제 내성 암세포주 (chemotherapy-refractory cancer)에 대한 세포독성 확인
<2-1> HL-60/MX1, 및 HL-60/MX2 세포주의 MDR (multidrug resistance) 검증
HL-60 세포주 (ATCC CCL-240)는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환자의 혈액에서 분리된 혈액암 세포주로, 항암제의 활성 검색 등에 널리 사용되는 세포주이다. HL-60/MX1 (ATCC CRL-2258)과 HL-60/MX2 (ATCC CRL-2257)은 HL-60 세포주를 항암제의 일종인 mitoxantrone에 장기간 노출시켜 항암제 내성이 유도된 세포주들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2종의 다제내성 세포주 (HL-60/MX1, 및 HL-60/MX2)의 항암제 내성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HL-60, HL-60/MX1, 및 HL-60/MX2 세포주를 미국세포주은행(ATCC)에서 입수하여, 독소루비신 (doxorubicin, 500nM), 이리노테칸 (irinotecan, 5μM, 또는 10μM)을 각각 처리하여 세포의 상대생존율 (viability)을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HL-60/MX1, HL-60/MX2 세포주가 모 세포주인 HL-60와 비교했을 때, 독소루비신 (doxorubicin), 및 이리노테칸 (irinotecan)에 대해 항암제 내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2).
<2-2> HL-60/MX1, 및 HL-60/MX2 항암제 내성 세포주에 대한 펠리온나무 추출물의 세포독성 확인
펠리온나무 추출물의 HL-60/MX1, 및 HL-60/MX2 세포주들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독소루비신 (doxorubicin) 등에 내성을 보이는 HL-60/MX1, HL-60/MX2, 세포주에 100μg/ml로 48시간 처리하고, 암세포의 성장과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HL-60/MX1, 및 HL-60/MX2세포주의 경우 항암제 내성을 가지지 않은 모 세포주인 HL-60에 독소루비신 (doxorubicin)을 투여한 경우와 거의 동일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도 3).
<2-3> MES-SA/Dx5, 및 MES-SA/MX2 세포주의 MDR (multidrug resistance) 검
MES-SA 세포주(ATCC CRL-1976)는 자궁육종암 환자의 암조직에서 유래된 세포주이다. 상기 세포주에서 분리된 2종의 항암제 내성 세포주인 MES-SA/MX2 (ATCC CRL-2274)와 MES-SA/Dx5 (ATCC CRL-1977)는 널리 알려진 다제내성 유전자 (multidrug resistant gene) 산물인 MDR 단백질과 P-glycoprotein이 과발현 되어있는 대표적인 항암제 내성 암세포주들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2종의 다제내성 세포주 (MES-SA/MX2, MES-SA/Dx5)의 항암제 내성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MES-SA, MES-SA/Dx5 및 MES-SA/MX2 세포주를 미국세포주은행에서 입수하여 독소루비신 (doxorubicin) (0.1μM, 0.5μM, 또는 1μM), 이리노테칸 (irinotecan, 50μM, 또는 100μM)을 각각 처리하여 각 내성세포주의 상대 세포생존율 (viability)을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 확인, 모 세포주인 MES-SA 세포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MES-SA/Dx5, 및 MES-SA/MX2 세포주가 독소루비신 (doxorubicin), 및 이리노테칸 (irinotecan)에 대해 항암제 내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4).
<2-4> MES-SA/Dx5, 및 MES-SA/MX2 항암제 내성 세포주에 대한 펠리온나무 추출물의 세포독성 확인
펠리온나무 추출물의 MES-SA/Dx5, 및 MES-SA/MX2 세포주들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독소루비신 (doxorubicin) 등에 내성을 보이는 MES-SA/Dx5, 및 MES-SA/MX2 세포주에 100μg/ml로 48시간 처리하고, 암세포의 성장과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MES-SA/Dx5, 및 MES-SA/MX2 세포주의 경우 항암제 내성을 가지지 않은 모 세포주인 MES-SA에 독소루비신 (doxorubicin)을 투여한 경우와 거의 동일하거나 우월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도 5).
<실험예 3> 펠리온나무 추출물의 in ovo 종양이식모델에서의 항암활성 확인
펠리온나무 추출물의 생체모델에서의 항암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549 사람 폐암세포주를 이용한 in ovo 종양이식모델(tumor xenograft model)을 제작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정란을 37.5℃, 70%의 상대습도가 유지되는 부란기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실험을 위하여 계란표면에 1cm x 2cm 크기의 창을 만든 후, 건조와 오염방지를 위해 테이프로 밀봉한 후 다시 5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시작일로부터 8일이 지난 후, 각 유정란 당 5x105개의 A549 사람 폐암 세포주를 CAM (chick chorioallantoic membrane) 위에 올려놓은 실리콘 링 안에 주입 후 재배양하였다. 암세포 주입 48시간 후, 각 처리군이 일정한 크기의 종양을 포함하도록 하여 3개 군으로 나누어 <표 2> 에 따라 각 약물을 일 1회, 총 3일간 CAM 공동 (cavity)에 투여하였다. 최종 투여 48시간 후, 각 유정란에서 종양을 분리하여 종양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펠리온나무 추출물에 의해 이식된 폐암세포주의 성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됨을 확인하였으며, 그 효과는 현재 상용되고 있는 항암제인 시스플라틴과 유사하였다(도 6).
약물투여군
그룹 투여 용량 투여용매 및 부피 기타
Vehicle 용매 단독 100 5% DMSO
in PBS
음성대조군
펠리온나무 추출물 100/embryo
시스플라틴 10/embryo 양성대조군

Claims (17)

  1. 펠리온나무 (Pellionia scab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펠리온나무 (Pellionia scabra) 추출물은 펠리온나무를 물, C1-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C1-4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펠리온나무 (Pellionia scabra)는 펠리온나무의 잎, 줄기, 뿌리, 열매, 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간암, 위암, 대장암, 결장암, 피부암, 방광암, 전립선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신장암, 섬유육종, 흑색종 및 혈액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6. 펠리온나무 (Pellionia scab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펠리온나무 (Pellionia scabra) 추출물은 펠리온나무를 물, C1-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펠리온나무 (Pellionia scabra)는 잎, 줄기, 뿌리, 열매, 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간암, 위암, 대장암, 결장암, 피부암, 방광암, 전립선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신장암, 섬유육종, 흑색종 및 혈액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암은 삼중-내성 유방암 (triple-negative breast cancer)인 약학적 조성물.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항종양 항생제(antitumor antibiotics), 또는 위상이성질화효소 억제제 (topoisomerase inhibitor)인 약학적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항종양 항생제(antitumor antibiotics)는 액티노마이신 D (actinomycin D), 블레오마이신 설페이트 (bleomycin sulfate), 다우노마이신 (daunomycin), 다우노루비신 (daunorubicin), 독소루비신 (doxorubicin), 에피루비신 (epirubicin), 아이다루비신 (idarubicin), 미토마이신 (mitomycin), 미토마이신-C (mitomycin-C), 또는 미트라마이신 (mitramycin)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 또는 상기 위상이성질화효소 억제제 (topoisomerase inhibitor)는 이리노테칸 (irinotecan), 캠프토테신 (camptothecin), 노보비오신 (novobiocin), 에피루비신 (epirubicin), 닥티노마이신 (dactinomycin), 암사크린 (amsacrine), 테니포시드 (teniposide) 또는 에토포시드 (etoposid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13. 펠리온나무 (Pellionia scab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펠리온나무 (Pellionia scabra) 추출물은 펠리온나무를 물, C1-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것인 건강기능식품.
  15. 펠리온나무 (Pellionia scab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펠리온나무 (Pellionia scabra) 추출물은 펠리온나무를 물, C1-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것인 건강기능식품.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암은 삼중-내성 유방암 (triple-negative breast cancer)인 약학적 조성물.
KR1020140092594A 2014-07-22 2014-07-22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579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594A KR101579763B1 (ko) 2014-07-22 2014-07-22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594A KR101579763B1 (ko) 2014-07-22 2014-07-22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763B1 true KR101579763B1 (ko) 2015-12-23

Family

ID=5508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594A KR101579763B1 (ko) 2014-07-22 2014-07-22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7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4390A1 (ja) * 2005-07-06 2007-01-11 Kenji Kohno 悪液質改善製剤および悪液質改善食品
KR20080093748A (ko) * 2007-04-18 2008-10-22 (주)비씨월드제약 왕모시풀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제
JP2011195532A (ja) * 2010-03-23 2011-10-06 Shiseido Co Ltd タンパク質糖化抑制剤
KR20130064162A (ko) * 2011-12-07 2013-06-18 한올바이오파마주식회사 암의 증식, 재발 또는 전이 억제용 의약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4390A1 (ja) * 2005-07-06 2007-01-11 Kenji Kohno 悪液質改善製剤および悪液質改善食品
KR20080093748A (ko) * 2007-04-18 2008-10-22 (주)비씨월드제약 왕모시풀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제
JP2011195532A (ja) * 2010-03-23 2011-10-06 Shiseido Co Ltd タンパク質糖化抑制剤
KR20130064162A (ko) * 2011-12-07 2013-06-18 한올바이오파마주식회사 암의 증식, 재발 또는 전이 억제용 의약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462B1 (ko)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97183B1 (ko) 당귀, 천궁, 및 작약의 열수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 또는 가피타히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면역 활성용 약학조성물, 및 식품조성물
KR101692032B1 (ko) 얼레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1579763B1 (ko) 펠리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085582B1 (ko) 쑥부지깽이 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종양 또는 항종양 면역작용 유도용 조성물
KR101636036B1 (ko) 큰석류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818500B1 (ko)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52712B1 (ko) 나도송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618195B1 (ko) 흰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약제 내성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205078B1 (ko)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3748B1 (ko) 합다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약제 내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80135845A (ko)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50854B1 (ko) 프로폴리스 추출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소분획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조성물
KR101881142B1 (ko)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80116904A (ko)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09470B1 (ko)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 추출물, 또는 탐노릭 산 또는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2430399B1 (ko) 엉겅퀴, 민들레, 양배추, 꿀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의해 발생하는 위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185901B1 (ko) 등골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2232817B1 (ko) 녹영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09646B1 (ko) 야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세포증가 또는 암세포 전이 억제 또는 간염 바이러스 증식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32906B1 (ko) 양제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66478A (ko) 원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 보호용 조성물
KR101643058B1 (ko) 슈도사이펠라리아 코리아세아 추출물, 또는 피스키오스포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20230138977A (ko) 목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