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904A -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904A
KR20180116904A KR1020170049797A KR20170049797A KR20180116904A KR 20180116904 A KR20180116904 A KR 20180116904A KR 1020170049797 A KR1020170049797 A KR 1020170049797A KR 20170049797 A KR20170049797 A KR 20170049797A KR 20180116904 A KR20180116904 A KR 20180116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present
nanoparticles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헌
연주헌
김기민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한문화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한문화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한문화학원
Priority to KR1020170049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6904A/ko
Publication of KR20180116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는 항암 약리성분을 효율적으로 인체 내에 전달하면서, 체내에서 흡수가 용이하여, 종래 황칠나무 치료제에 비해서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도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s comprising the nanoparticles of Dendropanax morbifera}
본 발명은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은 전 인류가 극복해야 할 난치병 중 하나로서 우리나라에서도 전체 사망률의 가장 많은 원인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암을 정복하기 위해 세포주기나 세포사멸의 조절과 발암유전자나 암억제 유전자들을 포함하는 새로운 표적을 모색함으로써 발전을 거듭해 왔으나 암의 발생률은 여전히 증가 추세에 있다. 현재,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절개술,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절개술 등의 많은 방법이 개발되었지만 방사선 요법이나 절개술등은 주로 암의 초기진단이 이루어졌을 때에만 효과가 있을 뿐 말기암으로 진행된 상태에서는 소용이 없으며 화학요법을 주로 사용하여 치료할 수밖에 없다. 1940년대부터 암치료에 도입된 화학요법은 암의 시기와 관계없이 비교적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현재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여러 가지 항암 화학요법제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항암제들은 반복적으로 장기간 투여되거나 암이 재발된 경우에는 암세포가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상실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항암제는 세포 내 핵산의 합성을 억제하거나 핵산에 직접 결합하여 그 기능을 손상시킴으로 효과를 나타내는데, 이들 항암제는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정상세포, 특히 세포분열이 활발한 조직 세포에도 손상을 입히기 때문에 골수 기능 저하, 위장관 점막 손상, 탈모 등 여러 부작용이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는 예로부터 한약재 및 도료, 왕실의 건강식품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다양한 효능으로 인해 최근 새로이 부각되고 있는 천연자원중 하나이다. 황칠나무의 학명을 풀이하면 '병을 가져가는 만병통치약'이라는 의미로 과거 황실이나 왕실에서만 사용이 가능했던 만큼 황칠의 효능은 오랫동안 인정되어 왔으며, 현재는 과학적 연구결과를 토대로 신경안정, 혈액순환개선, 면역력 강화, 항산화, 항균, 항염증, 항암 효과, 간세포 재생, 당뇨병 완화, 장 기능, 남성 성기능 개선, 진해거담 개선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이와 함께 황칠나무 자체 또는 추출물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제품들이 개발되어 유통되고 있어 다년간의 상품판매를 통해 그 안정성 또한 증명되어 있다.
최근, 바이오시장의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자생식물에 대한 이용성이 증가하면서 황칠나무 역시 재배면적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동시에 황칠수액 채취량 증대를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면서 재료 수급의 어려움도 점차 해결되고 있다.
따라서, 황칠나무로부터 약리작용에 근거한 암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 개발에 대한 연구가 주요 관심이 되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한국등록특허 10-0318019), 효과적인 약물 전달 및 흡수가 용이한 약물의 개발과 관련하여서는 아직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황칠나무의 약리성분을 효율적으로 인체 내에 전달하면서, 흡수가 용이하게 하는 나노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이의 항암 활성을 확인하였는바, 이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나노입자 크기는, 10 nm 내지 1,000 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암은, 피부암, 유방암, 뇌종양 및 대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암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또한,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체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암 예방 또는 치료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는 약리성분인 암 생장 억제활성을 효율적으로 인체 내에 전달하면서, 체내에서 흡수가 용이하여 종래 황칠나무 치료제에 비해서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도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의 유방암 세포주의 생장억제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의 피부암 세포주의 생장억제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의 뇌종양 세포주의 생장억제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의 대장암 세포주의 생장억제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와 종래 황칠나무 추출물과의 유방암 세포주의 생장억제활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나노입자"란 입자 크기가 수 nm에서 수천 nm 크기의 범주에 속하는 입자를 말하며, 상기 나노입자는 인지질 이중막으로만 이루어져 있거나, DNA, RNA, miRNA와 같은 생물학적 기능을 반영하는 구성 성분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칠나무 나노입자의 크기는 10 nm 내지 1,000 n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nm 내지 200 n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대상 질병인 "암"은 세포가 정상적인 성장 한계를 무시하고 분열 및 성장하는 공격적(aggressive) 특성, 주위 조직에 침투하는 침투적(invasive) 특성, 및 체내의 다른 부위로 퍼지는 전이적(metastatic) 특성을 갖는 세포에 의한 질병을 총칭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은 간암, 유방암, 혈액암, 전립선암, 난소암, 췌장암, 위암, 대장암, 뇌암, 갑상선암, 방광암, 식도암, 자궁암, 및 폐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부암, 유방암, 뇌종양 또는 대장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암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암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는 황칠나무 수피, 수액 또는 추출물 등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황칠나무 수액으로부터 추출할 경우에는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완충액에 녹여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없이 pH를 맞출 수 있는 어떠한 완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 에탄올, 메탄올, DMSO, 부탄올,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여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의 추출이 가능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황칠나무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황칠나무 추출물은 물, 탄소 수 1 내지 4의 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황칠나무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추출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농축기, 건조는 분무 건조법, 동결건조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은 이후 부탄올,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과정을 추가로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분획 시 온도는 4℃ 내지 12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으로 추출한 황칠나무 추출물의 나노입자의 항암 효과를 확인하고자, 피부암, 유방암, 뇌종양 및 대장암 세포주를 배양하였으며 (실시예 2-1 참조), 상기 암 세포에 본 발명의 따른 황칠나노입자를 투여한 결과, 암세포주의 생장 억제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2-2 및 2-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암 세포의 생장을 억제시킴으로써,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사이클로덱스트린,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리포좀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화에 관해서는 레밍턴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제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주사제, 흡입제, 피부 외용제, 또는 경구 섭취제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피부, 비강, 기도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 kg 당 0.001 내지 150 m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조절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개체"란 질병의 예방, 조절 또는 치료방법을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mouse), 쥐(rat),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 때,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은 당업계에서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이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을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의 제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는 황칠나무수액을 채취하여 Phosphate-buffered saline(PBS)에 녹인 다음 나노입자를 추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황칠 5g을 페트리 디쉬에 약수저를 이용하여 얇게 도포한 다음, PBS 10 ㎖를 페트리 디쉬에 넣고, 상기 페트리 디쉬를 파라 필름 (para film)을 이용하여 덮개 주위를 막은 다음 호일로 덮었다. 이 후, 쉐이커 (shaker)를 이용하여 100 ~ 150 rpm에서 24 시간 동안 혼합시킨 다음, 상층액을 피스톤으로 분리하여 0.22 ㎛ 필터막 (filter membrane)으로 걸러내고, Amicon Ultra-4 PL 100K에 부어 5,000 × g에서 5 분 정도 원심분리를 진행하였다. 이 때, 황칠 추출물의 소실을 줄이기 위해서, 걸러진 하층액을 전술한 방법과 같이, 5,000 × g에서 5 분 정도 원심분리를 진행한 다음, 농축된 상층액을 BCA 단백질 정량법 (BCA Protein Assay)을 이용하여 황칠나노입자의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동적빛산란 (Dynamic light scattering)으로 황칠나노입자의 크기를 측정한 후, 튜브에 분주하여 -80 ℃에 보관하였다.
이 때, 나노입자란 입자 크기가 10 nm 내지 1,000 nm 크기의 범주에 속하는 입자를 말한다. 인지질 이중막으로만 이루어져 있거나, DNA, RNA, miRNA와 같은 생물학적 기능을 반영하는 구성 성분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2.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의 항암활성 확인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의 항암활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하기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2-1. 세포 배양
피부암 세포주 (B16-BL6 및 A431), 유방암 세포주 (MCF7, MDAMB, MCF10A), 뇌종양 세포주 (U87) 및 대장암 세포주 (HT 29, CaCO2)의 총 8종류를 Blank, 5 × 105 cell/well, 1 × 105 cell/well 및 5 × 104 cell/well의 조건으로 96 플레이트에 분주한 다음, 72 시간 동안 CO2 인큐베이션에서 배양시켰다. 이 후, EZ-Cytox 10 ㎕를 처리한 다음 1 ~ 5 시간 정도 배양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2. 암세포주 성장 억제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2-1에서 측정한 흡광도값이 1 ~ 1.5 값의 세포수로 일정하게 96 플레이트의 12 웰(well)에 분주하고, 24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황칠나노입자 100 ㎍/㎖을 9 웰 (well)에 처리하였으며 (1 차 황칠나노입자 첨가; DPNV 1), 3 웰 (well)에는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control)으로 이용하였다. 48 시간이 지난 후, 황칠나노입자를 처리한 9 웰 (well) 중 6 웰 (well)에 100 ㎍/㎖의 황칠나노입자를 처리하였고 (2 차 황칠나노입자 첨가; DPNV 2), 다시 72시간이 지난 후 상기 2 차 황칠나노입자를 첨가한 6 웰 (well) 중 3 웰 (well)에 다시 한 번 100 ㎍/㎖의 황칠나노입자를 처리한 다음 (3 차 황칠나노입자 첨가; DPNV 3), EZ-Cytox 10 ㎕를 처리하여 1 ~ 5 시간 동안 배양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칠나노입자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control) 보다 황칠나노입자를 처리한 각 암세포 군에서 암세포주의 생장억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와 함께, 황칠나노입자를 처리한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억제활성효과 또한 더 크게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3.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와 황칠나무 추출물간의 암 세포증식억제 효과 비교 확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의 암 세포증식억제 효과를 더욱 확인하기 위해서, 종래 알려진 황칠나무 추출물과 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증식억제 효과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방암 세포주인 MCF-7 및 MDA-MB-231에 황칠나무 물 추출물 0 ㎍/㎖, 50 ㎍/㎖, 100 ㎍/㎖, 250 ㎍/㎖ 및 500 ㎍/㎖의 농도별로 처리하고 24 시간 후에 MTT assay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률 (cell viability)를 측정하였으며, 동일한 방법으로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 0 ㎍/㎖ 및 100㎍/㎖ 농도를 유방암 세포주인 MCF-7 및 MDA-MB-231에 처리하고 24 시간 후, EZ-Cytox assay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황칠나무 추출물의 농도 100 ㎍/㎖에서 MCF-7 및 MDA-ME-231의 암세포의 세포 생존률은 80 %를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의 농도 100 ㎍/㎖에서 MCF-7 및 MDA-ME-231의 암세포의 세포 생존률은 60 % 이하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에 따라 종래 황칠나무 추출물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의 항암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 크기는, 10 nm 내지 1,0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피부암, 유방암, 뇌종양 및 대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암세포의 성장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 크기는, 10 nm 내지 1,0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피부암, 유방암, 뇌종양 및 대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암세포의 성장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70049797A 2017-04-18 2017-04-18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116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797A KR20180116904A (ko) 2017-04-18 2017-04-18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797A KR20180116904A (ko) 2017-04-18 2017-04-18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296A Division KR102031569B1 (ko) 2018-12-14 2018-12-14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904A true KR20180116904A (ko) 2018-10-26

Family

ID=64099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797A KR20180116904A (ko) 2017-04-18 2017-04-18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69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921A (ko) 2018-11-22 2020-05-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리나무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921A (ko) 2018-11-22 2020-05-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리나무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943B1 (ko) 상황버섯 균사체와 산삼 배양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US6395311B2 (en) Multicomponent biological vehicle
KR20110127443A (ko) 동백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KR101692032B1 (ko) 얼레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20110133381A (ko)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KR20180135845A (ko)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116904A (ko)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120003262A1 (en) Anticancer health food containing phellinus linteus and vegetable worms
KR101732483B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9774B1 (ko) 종양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KR102085582B1 (ko) 쑥부지깽이 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종양 또는 항종양 면역작용 유도용 조성물
KR20140041187A (ko) 얼레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1392345B1 (ko)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조성물
KR101760685B1 (ko) 위암 예방용 건강기능성 식품
KR20200069077A (ko) 셀러리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07247B1 (ko) 도깨비고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20150022219A (ko) 땃두릅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076103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57909B1 (ko) 상황버섯 균사체와 산삼 배양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118412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32817B1 (ko) 녹영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U2006347123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tumor containing component originating in the bark of tree belonging to the genus Acacia
RU2377008C2 (ru) Противоопухолевое средство
KR101239320B1 (ko)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1558946B1 (ko)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 또는 암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