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042B1 -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042B1
KR101579042B1 KR1020150124124A KR20150124124A KR101579042B1 KR 101579042 B1 KR101579042 B1 KR 101579042B1 KR 1020150124124 A KR1020150124124 A KR 1020150124124A KR 20150124124 A KR20150124124 A KR 20150124124A KR 101579042 B1 KR101579042 B1 KR 101579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ne
frame
rotation
unit
turbin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수
Original Assignee
에이스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4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01D25/285Temporary support structures, e.g. for testing, assembling, installing, repairing; Assembly methods using such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gas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60Assembly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터빈의 회전축을 수용하는 터빈 몸체부 및 상기 가스 터빈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터빈 몸체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터빈 몸체부에 연결되는 터빈 플렌지를 구비하는 터빈 조립체의 수리를 위해, 상기 가스 터빈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터빈 조립체를 거치되도록 하는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레그; 상기 프레임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고, 상기 터빈 몸체부에 고정되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위치이동부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위치이동부 상에서 회전하는 이동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유도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위치이동부 상에서 상기 회전부를 향해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이동유도부가 상기 회전부와 접촉한 상태로 계속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부를 가압하면, 상기 이동유도부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회전부 상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력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터빈 몸체부를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WORKING PLATFORM FOR ASSEMBLING TURBINE}
본 발명은 정비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가스터빈 발전은 가스터빈을 원동기로 사용하여 발전하는 방식으로써, 가스터빈은 고온, 고압의 연소가스로 터빈을 가동시키는 회전형 열기관이다.
일반적으로 가스터빈은 압축기, 연소기, 터빈으로 구성되며, 전단의 압축기에서 공기의 압축이 이루어지고 압축된 공기는 연소실에서 분사되는 연료와 혼합되어 연소가 이루어지며, 이때 발생된 고온, 고압의 연소가스는 터빈에 분사하여 팽창이 이루어져 터빈을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터빈에서 팽창되어 발생된 연소가스 발전기와 연결되는 샤프트에 회전 구동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발전 플랜트의 가스터빈은 다수의 보조시스템과 연결되며, 예를 들어 가스터빈의 다양한 운전 파라미터를 모니터하고 가스터빈을 운전하기 위한 유체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보조시스템이 연결된다.
이러한 가스터빈 발전 플랜트는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하여 정기적으로 점검과 정비를 필요로 하며, 예를 들어 복합화력발전소에 설치되는 가스터빈은 운전시간이 약 12,500시간에서는 B급 OH 또는 고온부품 교체정비가 이루어지며, 약 50,000시간에서는 A급 또는 주정비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주정비에서는 연소기 교체정비와 고온부품 교체정비가 이루어지며, 공기 압축기의 분해정비를 수행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연소기 교체정비에 4일이 소요되며, 고온부품 교체정비에 약 28일, 주정비에 약 42일 정도의 정비기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가스터빈의 정비 주기는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부품들이 손상되기 전에 교체가 이루어지는 운영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정기적인 정비 이외에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 또는 가스터빈의 하드웨어에서 탈락되는 이물질(Domestic Object Damage; DOD)에 의한 균열이나 손상에 의해서도 정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정기적인 정비가 필요한 가스터빈 및 가스터빈을 구성하는 수개의 부품들은 작업자가 각각 분해하여 작업대에 거치 시킨 후 필요한 정비를 하게 된다.
이러한 가스터빈 부품들은 무게가 매우 무거우며, 그 결과 작업자가 가스터빈 부품을 직접 옮기면서 정비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정비가 필요한 가스터빈 부품을 효율적으로 거치하고, 거치된 상태에서 정비를 위해 가스터빈 부품을 원하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작업대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비를 위해 가스 터빈으로부터 분리된 터빈 조립체를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에서 용이하게 정비할 수 있도록 터빈 조립체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빠른 정비를 하도록 복수의 터빈 조립체를 동시에 거치할 수 있으며, 작은 힘으로도 터빈 조립체가 쉽게 이동되도록 하는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는 가스 터빈의 회전축을 수용하는 터빈 몸체부 및 상기 가스 터빈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터빈 몸체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터빈 몸체부에 연결되는 터빈 플렌지를 구비하는 터빈 조립체의 수리를 위해, 상기 가스 터빈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터빈 조립체를 거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레그; 상기 프레임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고, 상기 터빈 몸체부에 고정되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위치이동부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위치이동부 상에서 회전하는 이동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유도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위치이동부 상에서 상기 회전부를 향해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이동유도부가 상기 회전부와 접촉한 상태로 계속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부를 가압하면, 상기 이동유도부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회전부 상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력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터빈 몸체부를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의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이동유도부가 회전되어 위치 이동되도록 수나사를 형성하는 위치이동제공부 및 상기 위치이동제공부에 연결되며, 상기 터빈 몸체부에 고정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면적증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의 상기 면적증가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위치이동제공부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의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 몸체부 및 상기 터빈 플렌지를 소정의 위치에 안착되도록 상기 프레임 몸체부에 형성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의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 몸체부 및 다른 상기 터빈 플렌지를 소정의 위치에 안착되도록 상기 프레임 몸체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의 상기 절개부는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일단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의 상기 회전부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 방향에 치우쳐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에 치우쳐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는 정비가 필요한 터빈 조립체가 작업자의 작은 힘으로도 쉽게 위치 이동되도록 하며,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터빈 조립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복수의 터빈 조립체가 동시에 거치되도록 하여 터빈 조립체에 대한 정비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의 개략 외관 사시도.
도 2는 터빈 조립체의 개략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의 개략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의 위치이동부의 위치 이동을 도시한 개략 외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의 개략 외관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의 개략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에 거치되는 터빈 조립체의 개략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터빈 조립체가 거치되지 않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의 개략 외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의 위치이동부의 위치 이동을 도시한 개략 외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에 터빈 조립체가 거치된 개략 외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10)는, 가스 터빈의 회전축을 수용하는 터빈 몸체부(21) 및 상기 가스 터빈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터빈 몸체부(21)를 고정하도록 상기 터빈 몸체부(21)에 연결되는 터빈 플렌지(23)를 구비하는 터빈 조립체(20)의 수리를 위해, 상기 가스 터빈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터빈 조립체(20)를 거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프레임(100)을 지지하는 레그(200),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회전부(300), 상기 회전부(300)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300)에 장착되고, 상기 터빈 몸체부(21)에 고정되는 위치이동부(400) 및 상기 위치이동부(400)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위치이동부(400) 상에서 회전하는 이동유도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업대(10)에 거치되는 상기 터빈 조립체(20)를 도시하였다.
상기 터빈 조립체(20)는 상기 가스 터빈의 일 부품으로서, 상기 터빈 몸체부(21) 및 상기 터빈 플렌지(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터빈 몸체부(21)는 그 일단에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21a, 2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터빈 몸체부(21)의 상기 체결부는 상기 터빈 몸체부(21)가 상기 가스 터빈의 다른 부품과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터빈 몸체부(21)는 일단의 중앙에 하나의 체결부(21a) 및 그 주변의 둘레에 배치되는 여러 개의 체결부(2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터빈 조립체(20)는 상기 터빈 몸체부(21)로부터 돌출된 터빈 플렌지(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터빈 플렌지(23)는 상기 터빈 조립체(20)를 상기 가스 터빈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터빈 조립체(20)는 상기 가스 터빈의 운전의 안전을 위해 정기적인 정비가 필요하고, 따라서, 작업자는 정기적으로 상기 터빈 조립체(20)를 상기 가스 터빈으로부터 분리하여 정비를 실시한다.
도 1,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300)는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프레임(100) 상에서 상기 회전부(300)가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부(300)와 상기 프레임(100)은 힌지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회전부(300)가 상기 프레임(100) 상에서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부(300) 또는 상기 프레임(100)에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전부(300)가 상기 프레임(100) 상에서 90도 범위내에서만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부(300) 또는 상기 프레임(100)에 구비되어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회전부(300)는 상기 위치이동부(40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이동부(400)는 상기 회전부(300)의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3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400)는 상기 터빈 조립체(20)를 고정하도록 상기 터빈 조립체(20)의 상기 터빈 몸체부(21)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00)과 상기 회전부(300), 상기 회전부(300)와 상기 위치이동부(400)간의 연결로 인해, 상기 터빈 조립체(20)는 상기 프레임(100)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암나사가 형성된 상기 이동유도부(500)는 상기 회전부(300) 상에서 회전되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유도부(500)가 상기 회전부(300) 상에서 회전에 의해 위치 이동되면서, 상대적으로 상기 위치이동부(400)가 상기 회전부(300)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이동부(400)는 상기 이동유도부(500)가 상기 회전부(300)와 접촉한 상태로 계속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부(300)를 가압하면, 상기 이동유도부(500)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회전부(300) 상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력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이동부(400)에 연결된 상기 터빈 조립체(20)는 상기 위치이동부(400)의 위치 이동에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위치이동부(400)의 위치 이동 방향이 조절되도록 상기 이동유도부(500)는 상기 회전부(30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맞서 각각 상기 위치이동부(400)에 배치되는 제1 이동유도부(510) 및 제2 이동유도부(53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상기 제1 이동유도부(510) 및 상기 제2 이동유도부(530)에 회전을 가하여 상기 위치이동부(400)의 위치 이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이동유도부(510) 및 상기 제2 이동유도부(530)는 상기 위치이동부(400)가 상기 회전부(300)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후 정비를 위해 더 이상 위치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도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위치이동부(400)의 위치 이동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상기 회전부(300)의 상기 관통홀을 형성하는 내면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이동유도부(500) 없이, 상기 위치이동부(400) 자체를 회전시켜 상기 위치이동부(400)가 상기 회전부(300) 상에서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이동부(400)에 고정된 상기 터빈 조립체(20)는 상기 위치이동부(400)의 회전으로 인해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도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400)의 위치 이동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위치이동부(400)는 상기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부(300)의 회전으로 인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300) 상에서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도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이동부(400)에 고정된 상기 터빈 조립체(20)는 상기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도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상기 위치이동부(400)는 상기 이동유도부(500)가 회전되어 위치 이동되도록 수나사를 형성하는 위치이동제공부(410) 및 상기 위치이동제공부(410)에 연결되며, 상기 터빈 몸체부(21)에 고정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면적증가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이동부(400)는 상기 터빈 몸체부(21)의 중앙의 상기 체결부(21a)에 체결되어 상기 터빈 몸체부(21)와 연결될 수도 있으나, 상기 터빈 몸체부(21)에 연결되는 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터빈 몸체부(21)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터빈 몸체부(21) 일단의 둘레에 형성된 상기 체결부(21b)와 볼트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면적증가부(4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면적증가부(430)는 상기 터빈 몸체부(21)의 규격에 맞는 여러 개가 설계되어 준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정비하고자 하는 터빈 몸체부(21)의 규격에 맞는 상기 면적증가부(430)를 상기 위치이동제공부(410)에 연결하여 상기 터빈 몸체부(21)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면적증가부(43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이동제공부(410)에 연결되도록 중앙에 관통홀(430b)을 구비할 수 있으며, 중앙의 상기 관통홀(430a) 둘레에 배치되는 또 다른 관통홀(430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면적증가부(430)는 둘레에 배치되는 상기 관통홀(430a)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상기 터빈 몸체부(21)와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면적증가부(430)의 형상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면적증가부(430)가 상기 터빈 몸체부(21)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여 상기 터빈 몸체부(21)를 고정하는 형상일 수도 있다.
즉, 상기 면적증가부(430)가 상기 터빈 몸체부(21)를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상기 면적증가부(430)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일례로, 상기 면적증가부(430)는 회전에 의해 상기 위치이동제공부(410) 상에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면적증가부(430)는 수나사를 형상하는 상기 위치이동제공부(410) 상에서 회전에 의해 위치 이동되도록 중앙의 상기 관통홀(430b)을 형성하는 내면에은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면적증가부(430)에 연결된 상기 터빈 조립체(20)는 상기 면적증가부(43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은 프레임 몸체부(110) 및 상기 터빈 플렌지(23)를 소정의 위치에 안착되도록 상기 프레임 몸체부(110)에 형성되는 안착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터빈 플렌지(23)는 상기 터빈 몸체부(21)보다 상대적으로 그 둘레가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빈 조립체(20)를 상기 프레임(100) 상에서 지면과 평행하게 거치할 때, 상기 터빈 플렌지(23)가 상기 프레임(100)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터빈 플렌지(23)가 상기 프레임(100)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상기 안착부(130)는 상기 터빈 플렌지(23)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착부(130)는 상기 터빈 플렌지(23)의 둘레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상기 프레임 몸체부(110)로부터 지면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30)는 상기 터빈 플렌지(23)가 상기 위치이동부(40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충분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 몸체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부(130)는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터빈 플렌지(23)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터빈 플렌지(23)가 지면으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안착부(130)는 상기 프레임 몸체부(110)를 기준으로 높이 조절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부(130)는 상기 프레임 몸체부(110) 상에 리프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터빈 플렌지(23)를 상기 프레임(100) 상의 소정의 위치에 안착되도록 상기 프레임 몸체부(110)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150)는 상기 터빈 플렌지(23)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터빈 플렌지(23)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터빈 조립체(20)는 상기 절개부(150) 상에서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100)에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절개부(150)는 상기 프레임 몸체부(110)의 일단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개부(150)는 상기 프레임 몸체부(110)로부터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프레임 몸체부(110)의 일단에서부터 절개되어 형성되어, 상기 터빈 조립체(20)가 상기 프레임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절개부(150) 상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 몸체부(110)에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회전부(3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 방향에 치우쳐 상기 프레임(10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절개부(150)는 상기 프레임(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에 치우쳐 상기 프레임(10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300)와 상기 절개부(150)는 상기 프레임(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300) 및 상기 절개부(150)에 각각 거치된 상기 터빈 조립체(20)의 무게 중심을 상기 프레임(100)의 중심 영역에 위치 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300) 및 상기 절개부(150)에 각각 상기 터빈 조립체(20)를 거치 하더라도 상기 프레임(100)은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프레임
200: 레그
300: 회전부
400: 위치이동부
500: 이동유도부

Claims (7)

  1. 가스 터빈의 회전축을 수용하는 터빈 몸체부 및 상기 가스 터빈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터빈 몸체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터빈 몸체부에 연결되는 터빈 플렌지를 구비하는 터빈 조립체의 수리를 위해, 상기 가스 터빈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터빈 조립체를 거치되도록 하는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레그;
    상기 프레임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고, 상기 터빈 몸체부에 고정되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위치이동부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위치이동부 상에서 회전하는 이동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유도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위치이동부 상에서 상기 회전부를 향해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이동유도부가 상기 회전부와 접촉한 상태로 계속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부를 가압하면, 상기 이동유도부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회전부 상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력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터빈 몸체부를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이동유도부가 회전되어 위치 이동되도록 수나사를 형성하는 위치이동제공부 및 상기 위치이동제공부에 연결되며, 상기 터빈 몸체부에 고정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면적증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증가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위치이동제공부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 몸체부 및 상기 터빈 플렌지를 소정의 위치에 안착되도록 상기 프레임 몸체부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 몸체부 및 상기 터빈 플렌지를 소정의 위치에 안착되도록 상기 프레임 몸체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프레임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 방향에 치우쳐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에 치우쳐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
KR1020150124124A 2015-09-02 2015-09-02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 KR101579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124A KR101579042B1 (ko) 2015-09-02 2015-09-02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124A KR101579042B1 (ko) 2015-09-02 2015-09-02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042B1 true KR101579042B1 (ko) 2015-12-22

Family

ID=55081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124A KR101579042B1 (ko) 2015-09-02 2015-09-02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957U (ko) * 2018-01-25 2019-08-0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가스터빈 연료노즐용 회전작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2305A (ja) * 1994-07-02 1996-02-13 Abb Manag Ag 機械部分の交換法
JPH10317912A (ja) * 1997-05-23 1998-12-02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ービン上車室反転方法
JPH11239767A (ja) * 1998-02-24 1999-09-0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機械部品の洗浄乾燥装置
KR20130082376A (ko) * 2012-01-11 2013-07-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연료 분사펌프 분해 조립용 작업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2305A (ja) * 1994-07-02 1996-02-13 Abb Manag Ag 機械部分の交換法
JPH10317912A (ja) * 1997-05-23 1998-12-02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ービン上車室反転方法
JPH11239767A (ja) * 1998-02-24 1999-09-0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機械部品の洗浄乾燥装置
KR20130082376A (ko) * 2012-01-11 2013-07-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연료 분사펌프 분해 조립용 작업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957U (ko) * 2018-01-25 2019-08-0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가스터빈 연료노즐용 회전작업장치
KR200489867Y1 (ko) * 2018-01-25 2019-08-2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가스터빈 연료노즐용 회전작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7904B2 (ja) ガスタービンケーシングの心合せ装置
US10724385B2 (en) Installation or removal of turbine blade at turbine blade base
KR101598868B1 (ko) 조정 가능한 마모 패드를 구비한 터빈 연소 시스템 커플링 및 대응 조립 방법
US9206705B2 (en) Sealing device and gas turbine having the same
US20140366556A1 (en) Gas turbine engine vane-to-transition duct seal
US10001029B2 (en) Bearing lock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KR101579042B1 (ko) 터빈 조립체용 작업대
KR101127036B1 (ko) 가스터빈엔진의 고정장치
KR101884712B1 (ko) 로터 블레이드용 로킹 스페이서
US10429073B2 (en) Combustor cap module and retention system therefor
KR200486758Y1 (ko) 터빈발전기용 작업대
US10808609B2 (en) Method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gas turbine and gas turbine assembled thereby
US20140356152A1 (en) Apparatus for moving turbine shell
US10969106B2 (en) Axial retention assembly for combustor components of a gas turbine engine
US9140141B2 (en) Turbine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a turbine
JP4865508B2 (ja) 調芯機構
US9200539B2 (en) Turbine shell support arm
US10989413B2 (en) Axial retention assembly for combustor components of a gas turbine engine
KR101594278B1 (ko) 연료 분사 장치용 분리 장치
KR200482849Y1 (ko) 유압 텐셔너 테스트 장치
KR101862946B1 (ko) 지그
JP2014173475A (ja) 回転機械、及びタービンケーシング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