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758Y1 - 터빈발전기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터빈발전기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758Y1
KR200486758Y1 KR2020180000765U KR20180000765U KR200486758Y1 KR 200486758 Y1 KR200486758 Y1 KR 200486758Y1 KR 2020180000765 U KR2020180000765 U KR 2020180000765U KR 20180000765 U KR20180000765 U KR 20180000765U KR 200486758 Y1 KR200486758 Y1 KR 2004867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coupled
turbine casing
turbin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균
Original Assignee
김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균 filed Critical 김도균
Priority to KR2020180000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7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7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7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01D25/285Temporary support structures, e.g. for testing, assembling, installing, repairing; Assembly methods using such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대의 서포터 설치를 손쉽게 함으로서 작업대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서포터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터빈발전기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터빈로터가 회전 지지되는 터빈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되어 정비를 위하여 작업자의 통로 및 발판이 되는 터빈발전기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터빈케이싱은, 상부에 좌우 대칭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와이어브라켓과, 외주면에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는, 상기 터빈케이싱의 좌우 상방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작업발판과, 상기 터빈케이싱의 플랜지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작업발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 각각은, 상기 터빈케이싱의 플랜지에 고정 결합되는 서포터브라켓과, 장형의 빔 형상으로 하단이 상기 서포터브라켓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작업발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수직서포터와, 장형의 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터빈케이싱의 와이어브라켓을 향하도록 타단이 상기 수직서포터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작업발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수평서포터와, 장형의 빔 형상으로 양단이 상기 수평서포터 각각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작업발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연결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발전기용 작업대.

Description

터빈발전기용 작업대{SCAFFOLDING FOR TURBINE GENERATOR}
본 고안은 원자력발전소 및 화력발전소에 설치된 터빈을 정비하고 보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빈의 파이프 및 터빈케이싱을 분해 및 재조립시 터빈케이싱의 상부로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터빈발전기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의 터빈은 고압, 중압 및 저압터빈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터빈이란 유체의 흐름으로부터 에너지를 생성하는 회전 기관을 지칭하는데 이때, 터빈은 공급된 에너지원에 의해 회전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과 동축선상에 결합되고,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경우 함께 회전하여 상기 공급된 에너지원을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터빈로터와, 상기 터빈로터의 외주면을 보호하고, 상기 공급된 에너지원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씰링하는 터빈케이싱(TC)과, 상기 터빈케이싱(TC)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공급된 에너지원이 상기 블레이드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공급된 에너지원은 물에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변환된 증기이거나 또는 연료의 연소열로 가스를 가열하여 발생하는 고온 고압의 가스를 사용하는데, 증기를 사용하는 경우 증기터빈,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 가스터빈이라 지칭한다. 상기 가스터빈의 경우 연료를 연소하는 경우 대기오염 물질이 생성됨으로 일반적인 경우 증기터빈을 사용한다. 상기 증기터빈의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보일러에 공급된 물이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고온 고압의 증기로 변환되고, 상기 증기가 파이프를 따라 터빈케이싱(TC)을 통과하여 터빈날개와 접촉하게 된다. 계속하여 증기에 의해 터빈날개가 회전함과 동시에 터빈로터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후 터빈로터의 끝단과 연결된 발전기가 회전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고온 고압의 증기가 직접적으로 터빈날개와 접촉함으로 터빈날개가 손상되거나 변형되어 터빈의 작동이 멈추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터빈의 경우 회전축 즉, 터빈로터가 회전하여 터빈날개를 회전하는 방식이 아닌 터빈날개에 압력을 가하여 터빈로터를 회전시키는 장치임으로 터빈날개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에 의해 터빈로터가 손상되거나 변형되어 에너지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증기터빈을 정비하는 유지 및 보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터빈날개와 접촉하는 고온 고압의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터빈케이싱(TC)이 터빈날개를 완벽히 감싸도록 설치된다. 즉, 터빈케이싱(TC)을 분해하여야만 터빈날개 및 터빈로터 각각을 정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터빈케이싱(TC)은 상부에 좌우 대칭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와이어브라켓(WB)과 외주면에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플랜지(FG)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터빈로터 및 터빈날개 등과 같은 부품들을 설치한 후 터빈케이싱(TC)을 결합하여 터빈로터 및 터빈날개를 보호하게 된다. 또한, 터빈케이싱(TC)의 설치 작업이 완료된 후 터빈케이싱(TC)의 상부에 파이프를 결합시키게 된다. 즉, 터빈날개 및 터빈로터 각각을 정비하기 위해서는 파이프를 터빈케이싱(TC)으로부터 분해한 후 터빈케이싱(TC)을 분해하여야 된다. 이때, 파이프 및 터빈케이싱(TC) 각각은 볼트 결합됨으로 작업자가 직접 볼트를 해체하는 볼트분해 작업을 수행해야 된다.
여기서, 작업자가 터빈케이싱(TC)의 상부에 결합된 파이프에 접근할 수 있도록 작업대(10)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작업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빈케이싱(TC)의 좌우 상방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작업발판(11)과, 상기 터빈케이싱(TC)의 볼트체결부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작업발판(11)의 하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터(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작업발판(11)은 상기 서포터(12)의 상부에 결합되는 플레이트(11)와, 상기 플레이트(11)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안전바와, 상기 플레이트(11)의 일측에 설치되는 작업사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서포터(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빈케이싱(TC)의 볼트체결홀 둘레 즉, 하부터빈케이싱의 상면에 설치되는데, 복수의 볼트를 통하여 서포터(12)를 결합한다.
한편, 터빈 정비과정은 작업대(10)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터빈케이싱(TC)의 상부에 결합된 파이프를 분해하여 크레인을 통하여 이동시킨 후 작업대를(10)를 해체한다. 계속하여 터빈케이싱(TC)을 분해하여 크레인을 통하여 이동시켜 터빈날개 및 터빈로터 각각을 정비한다. 이후, 정비가 끝나게 되면 터빈케이싱(TC)을 재결합하고, 작업대(10)를 재설치한 후 터빈케이싱(TC)의 상부에 파이프를 재결합하게 되면 터빈 정비과정이 완료된다.
즉, 터빈을 정비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빈케이싱(TC)의 상부에 결합된 파이프를 분해한 후 작업대(10)를 터빈케이싱(TC)의 둘레를 따라 결합된 볼트를 분해시키고, 터빈케이싱(TC)을 분해함으로서 작업대(10)를 2회에 걸쳐 설치 및 분해 작업을 수행해야 된다. 따라서, 터빈 정비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서포터(12)의 경우 작업발판(11)의 하면을 지지하는 수직서포터와, 상기 수직서포터 각각을 연결하는 수평서포터를 포함하여 이루지는데, 먼저 수직서포터를 설치한 후 클램프를 이용하여 수평서포터를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서포터(12)를 설치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직서포터와 수평서포터가 교차되는 부분을 영구접합하여 하나의 서포터(12)로 만들어 수직서포터 및 수평서포터 각각을 결합하는 작업과정을 없앰으로서 서포터(12)의 설치 시간을 단축시켰다. 하지만, 수직서포터 및 수평서포터가 영구 접합된 서포터(12)의 경우 각각의 서포터(12)가 분해되지 않아 부피가 커지게 되고, 이는 서포터(12)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소가 넓어야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영구접합된 서포터(12)의 크기와 유사한 터빈케이싱(TC)에만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대의 서포터 설치를 손쉽게 함으로서 작업대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터빈 정비작업시 작업대의 설치 및 분해 작업 횟수를 줄여 터빈 작업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며, 작업대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터빈발전기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터빈발전기용 작업대는, 내부에 터빈로터가 회전 지지되는 터빈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되어 정비를 위하여 작업자의 통로 및 발판이 되는 터빈발전기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터빈케이싱은, 상부에 좌우 대칭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와이어브라켓과, 외주면에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는, 상기 터빈케이싱의 좌우 상방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작업발판과, 상기 터빈케이싱의 플랜지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작업발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 각각은, 상기 터빈케이싱의 플랜지에 고정 결합되는 서포터브라켓과, 장형의 빔 형상으로 하단이 상기 서포터브라켓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작업발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수직서포터와, 장형의 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터빈케이싱의 와이어브라켓을 향하도록 타단이 상기 수직서포터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작업발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수평서포터와, 장형의 빔 형상으로 양단이 상기 수평서포터 각각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작업발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연결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발판은, 하면이 상기 서포터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고, 둘레를 따라 안전바설치부재가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안전바설치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바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업사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하면에 복수의 결합부재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 각각은, 하단이 상기 수직서포터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프레임의 결합부재가 삽입 결합되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제1 스페이서와, 하단이 상기 연결서포터의 끝단에 고정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프레임의 결합부재가 삽입 결합되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제2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 각각은, 하단이 상기 수직서포터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작업발판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보조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의 서포터브라켓 각각은, 하부에 상기 터빈케이싱의 플랜지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터빈케이싱의 플랜지 외주면과 대응되는 플랜지결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수직서포터의 하단이 삽입 결합되도록 서포터설치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빈케이싱의 와이어브라켓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서포터의 하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보조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부재 각각은, 측단면상 '┑'자 형상으로 세로변이 상기 와이어브라켓의 일측에 결합되고, 가로변이 상기 연결서포터의 하면을 지지하는 보조브라켓과, 하부가 상기 와이어브라켓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부에 한 쌍의 와이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보조와이어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터빈발전기용 작업대는, 터빈케이싱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에 고정 결합되는 서포터브라켓에 수직서포터를 결합하여 작업대를 설치함으로서 작업대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터빈 정비에 최종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서포터브라켓을 통하여 작업대가 터빈케이싱의 외주면에 설치됨으로서 터빈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된 파이프를 분해한 후 터빈케이싱을 분해하기 위해 작업대를 재분해하는 과정 없이 터빈케이싱을 분해할 수 있어 터빈 정비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서포터를 서포터브라켓, 수직서포터, 수평서포터 및 연결서포터로 구성하고, 각각의 서포터가 분해 및 결합됨으로서 터빈 작업이 완료된 후 서포터를 분해하여 보관할 수 있어 작업대의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1 스페이서 및 제2 스페이서를 통하여 서포터의 상부에 설치되는 안전발판의 분해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작업대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와이어브라켓에 보조브라켓 및 보조와이어브라켓을 포함하는 보조지지부재를 통하여 안전발판의 하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터빈케이싱의 와이어 이동작업까지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빈발전기용 작업대가 터빈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실시예 중 작업대가 터빈발전기에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터빈발전기용 작업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실시예 중 터빈케이싱으로부터 분해된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예 중 서포터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예를 A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9는 터빈케이싱에 서포터브라켓이 결합되고, 서포터브라켓에 수직서포터가 삽입 결합된 상태를 단면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서포터를 서포터브라켓, 수직서포터, 수평서포터, 연결서포터, 보조서포터. 제1 스페이서 및 제2 스페이서 각각으로 분해 도시한 전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 중 수직서포터와 수평서포터가 결합방법 중 일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2는 작업발판을 프레임, 플레이트, 안전바 및 작업사다리 각각으로 분해 도시한 전개도이며,
도 13은 서포터 및 안전발판이 제1 스페이서 및 제2 스페이서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실시예 중 B 구역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실시예 중 제1 스페이서의 결합압버 중 일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6은 터빈케이싱의 와이어브라켓에 결합된 보조브라켓 및 보조와이어브라켓 각각을 분해 도시한 전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실시예 중 보조브라켓의 상부에 연결서포터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터빈발전기용 작업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터빈발전기용 작업대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터빈로터가 회전 지지되는 터빈케이싱(TC)의 상부에 설치되어 정비를 위하여 작업자의 통로 및 발판을 통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대(100) 및 보조지지부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터빈케이싱(TC)은 터빈발전기의 회전구동부인 터빈로터를 감싸는 커버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터빈발전기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부케이싱 및 상부케이싱으로 나누어지고, 터빈발전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하부케이싱을 설치하고, 상기 하부케이싱 내부에 터빈로터 및 터빈날개 등과 같이 각각의 부품들을 결합한 후 상부케이싱을 하부케이싱에 볼트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터빈케이싱(TC)이란 상부케이싱을 지칭하고, 상기 터빈로터 및 터빈날개 등과 같은 각종 부품들이 결합된 하부케이싱을 하부모듈이라 지칭힌다.
상기 터빈발전기를 정비하기 위하여 터빈케이싱(TC)을 하부모듈로부터 이탈시켜야 되는데 이때, 터빈케이싱(TC)을 하부모듈의 상방으로 이격시키기 위해 체인 또는 와이어와 같은 연결부재들을 터빈케이싱(TC)에 결합하게 된다. 또한, 터빈케이싱(TC)의 경우 직경이 크게 형성됨으로 복수의 터빈케이싱조각으로 나누어 제작한 후 각각의 터빈케이싱조각을 결합하여 하나의 터빈케이싱(TC)을 형성하게 된다.
즉, 터빈케이싱(TC)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좌우 대칭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와이어브라켓(WB)과 외주면에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각각의 터빈케이싱조각을 볼트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의 플랜지(FG)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와이어브라켓(WB)은 와이어나 또는 갈고리와 같은 연결부재가 삽입되도록 와이어삽입홀이 관통 형성된다.
다음으로 작업대(1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빈케이싱(TC)의 좌우 상방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작업발판(110)과 상기 터빈케이싱(TC)의 플랜지(FG)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작업발판(110)의 하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터(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서포터(120) 각각은 서포터브라켓(121), 수직서포터(122), 수평서포터(123) 및 연결서포터(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서포터브라켓(121)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빈케이싱(TC)의 플랜지(FG)에 고정 결합되는데, 이때 서포터브라켓(121)의 하부에 상기 터빈케이싱(TC)의 플랜지(FG)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터빈케이싱(TC)의 플랜지 외주면과 대응되는 플랜지결합홈(121a)이 함몰 형성되고, 상부에 후술하는 수직서포터(122)의 하단이 삽입 결합되도록 서포터설치홈(121b)이 함몰 형성된다.
즉, 서포터브라켓(12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랜지결합홈(121a)에 터빈케이싱(TC)의 플랜지(FG)가 삽입되는 구조로서 터빈케이싱(TC)에 상기 서포터브라켓(121)을 결합한 후 용접하여 영구 결합시킬 수도 있고, 또는 볼트 결합을 통하여 분해 및 조립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다만, 작업대(100)의 안정성이고, 서포터(120)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포터브라켓(121)과 터빈케이싱(TC)을 용접하여 영구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서포터(122)는 도 4 내지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형의 빔 형상으로 하단이 상기 서포터브라켓(121)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작업발판(11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된다. 즉, 수직서포터(122)의 하단은 서포터브라켓(121)의 서포터설치홈(121b)에 삽입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 서포터(110)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해 볼트를 체결하는 작업이 생략되어 작업대(100)를 설치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수직서포터(122)는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나,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는 I자 형상의 I빔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포터브라켓(121)의 서포터설치홈(121b)을 통하여 수직서포터(122)가 삽입 설치될 뿐만 아니라 터빈케이싱(TC)의 외주면에 작업대(100)가 설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서, 터빈케이싱(TC)으로부터 파이프를 분해한 후 작업대(100)을 다시 해체한 다음 터빈케이싱(TC)을 분해하지 않고, 터빈케이싱(TC)으로부터 파이프를 분해한 후 터빈케이싱(TC)을 바로 분해할 수 있게 되어 터빈을 정비하기 위해 작업대(100)를 분해 및 결합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대(100)를 설치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는 터빈 정비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수평서포터(123)은 도 4 내지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형의 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터빈케이싱(TC)의 와이어브라켓(WB)을 향하도록 타단이 상기 수직서포터(122)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작업발판(11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된다. 즉, 수직서포터(122)의 상단에 수평서포터(123)가 결합되게 되면 측단면상 '┎'자 형상으로 형성되게 되고, 세로변 즉, 수평서포터(123)의 상면이 작업발판(11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수직서포터(122)와 수평서포터(123)는 용접 결합되어도 무관하나 터빈 정비작업이 완료된 후 작업대(100)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서포터(123)는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나, 작업발판(110)의 하중 및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I자 형상의 I빔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서포터(124)는 도 4 내지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형의 빔 형상으로 양단이 상기 수평서포터(123) 각각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작업발판(11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된다. 즉, 연결서포터(124)는 터빈케이싱(TC)에 설치된 복수의 수직서포터(122)의 상단에 결합된 각각의 수평서포터(123) 중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수평서포터(123)의 타단을 각각 연결시켜 블록화된 서포터(120)의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분해, 결합 및 보관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외력에의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음으로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연결서포터(124)는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나,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는 I자 형상의 I빔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서포터(1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상기 수직서포터(122)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작업발판(11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보조서포터(127)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보조서포터(127)를 더 설치함으로서 서포터(120)의 안정성을 더 높일 수 있게 되고, 이는 작업자의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수직서포터(122), 수평서포터(123) 및 연결서포터(124) 각각이 결합되어 작업발판(11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는데, 여기서 작업발판(110)이 서포터(120)의 상부에 안전하게 설치되도록 프레임(111), 플레이트(112), 안전바(113) 및 작업사다리(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구성들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111)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이 상기 서포터(12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프레임(111)은 후술하는 플레이트(112)를 서포터(1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서포터(120)의 상부와 결합되는데, 볼트 결합될 수도 있고, 끼워맞춤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서포터(120)가 설치되는 터빈케이싱(TC)의 크기 및 장소에 따라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각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작업발판(11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플레이트(11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1)의 상부에 결합되고, 둘레를 따라 안전바설치부재(112a)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안전바(113)가 결합된다. 여기서, 플레이트(112)는 작업자가 직접 접촉하는 발판으로 터빈케이싱(TC)의 상부에 설치된 파이프를 분해하기 위한 장비 및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플레이트(112)가 터빈케이싱(TC)의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변형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프레임(111)을 서포터(120) 및 플레이트(112) 사이에 결합함으로서 플레이트(112)에 가해지는 하중을 프레임(111)이 지지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하여 안전바(11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12)의 안전바설치부재(112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안전바(113)는 종래 사용되는 안전바(113)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다만, 플레이트(112)의 안전바설치부재(112a)에 안전바(113)의 하부가 삽입 설치되는 경우 안전바(113)의 하부가 플레이트(112)의 안전바설치부재(112a)를 통과하여 플레이트(112)의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안전바(113)의 하부 외주면에 환형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작업사다리(114)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1)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터빈케이싱(TC)의 하방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터빈케이싱(TC)의 상방에 위치하는 플레이트(112)로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작업사다리(114)는 프레임(111)의 일측에 삽입 결합될 수도 있고, 볼트 및 너트를 통하여 볼트 결합될 수도 있다.
즉, 터빈케이싱(TC)에 서포터(120)를 설치한 후 프레임(111), 플레이트(112), 안전바(113) 및 작업사다리(114) 각각이 결합된 작업발판(110)을 서포터(120)의 상부에 설치하게 되는데 여기서, 작업발판(110)을 서포터(120)의 상부에 설치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키위해 프레임(111)의 하면에 복수의 결합부재(111a)를 하방으로 돌출 형성시키고, 서포터(120)는 제1 스페이서(125) 및 제2 스페이서(12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제1 스페이서(125)는 도 10,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상기 수직서포터(122)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프레임(111)의 결합부재(111a)가 삽입 결합되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스페이서(125)는 수직서포터(122)의 상단에 용접 결합될 수도 있고, 볼트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제1 스페이서(125)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서포터(122) 및 수평서포터(123)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직서포터(122)의 상단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서포터(122)의 상단에 고정 결합된 후 수직서포터(122)의 상단 및 제1 스페이서(125)의 측면에 수평서포터(123)가 설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페이서(125)가 수직서포터(122) 및 수평서포터(123)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직서포터(122)의 상단에 고정 결합된 경우 프레임(111)의 결합부재(111a)가 제1 스페이서(125)의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제1 스페이서(125)의 상면에 프레임(111)이 안착되면 제1 스페이서(125)에 의해 서포터(120)의 상부와 프레임(111)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즉, 수평서포터(123)가 프레임(111)과 이격되어 지지되지 않는 구조가 된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작업발판(110)을 서포터(120)에 결합하거나 또는 분해하는 경우 충분한 작업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수평서포터(123)의 경우 일단은 수직서포터(122)에 의해 지지되지만, 타단은 지지받지 못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수평서포터(122)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수평서포터(122)가 타단 방향으로 변형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지만, 제1 스페이서(125)를 통하여 수평서포터(122)에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페이서(125)가 수직서포터(122)의 상단에 고정 결합된 후 수직서포터(122)의 상단 및 제1 스페이서(125)의 측면에 수평서포터(123)가 설치되는 경우 서포터(120)의 상부면에 고르게 프레임(111)이 안착되어 서포터(120)의 특정 부분에 높은 하중이 가해지는 응력집중현상을 방지하여 서포터(120)의 손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터빈케이싱(TC)에 설치되는 서포터(120)의 크기에 따라 제1 스페이서(125)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계속하여 제2 스페이서(126)는 도 10,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서포터(124)의 끝단에 고정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프레임(111)의 결합부재(111a)가 삽입 결합되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서포터(124)의 끝단은 연결서포터(124)와 수평서포터(123)가 결합되는 곳을 지칭한다. 또한, 제2 스페이서(125)는 연결서포터(124)의 끝단에 용접 결합될 수도 있고, 볼트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스페이서(125) 및 제2 스페이서(126) 각각을 통하여 서포터(120)의 상부에 작업발판(110)을 설치하는 경우 작업발판(110)의 하중에 의해 수평서포터(123)의 타단방향으로 서포터(120)가 기울어지거나 또는 수평서포터(123)가 휘어지게 변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빈케이싱(TC)의 와이어브라켓(WB)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서포터(124)의 하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보조지지부재(2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조지지부재(220)는 보조브라켓(210) 및 보조와이어브라켓(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보조브라켓(210)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면상 '┑'자 형상으로 세로변이 상기 와이어브라켓(WB)의 일측에 결합되고, 가로변이 상기 연결서포터(124)의 하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보조브라켓(210)은 와이어브라켓(WB)의 와이어삽입홀을 통하여 볼트 결합되게 된다. 즉, 보조브라켓(210)을 설치함으로서 작업발판(110)을 안정성을 높이게 되어 작업자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보조와이어브라켓(220)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상기 와이어브라켓(WB)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부에 한 쌍의 와이삽입홀(221)이 관통 형성된다. 즉, 터빈 정비작업을 위하여 작업대(100)를 설치하고, 보조브라켓(210)을 추가로 더 설치한 경우 터빈케이싱(TC)의 상부에 설치된 파이프 분해작업이 완료되고, 터빈케이싱(TC)의 둘레를 따라 체결된 볼트 해체 작업까지 완료된 후 크레인을 통해 터빈케이싱(TC)을 하부모듈로부터 이탈시키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터빈케이싱(TC)의 와이어브라켓(WB)에 와이어를 결합한 후 크레인을 통하여 터빈케이싱(TC)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상기 보조브라켓(210)의 설치하는 경우 보조브라켓(210)이 터빈케이싱(TC)의 와이어브라켓(WB)과 결합됨으로서 와이어를 설치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삽입홀(221)이 관통 형성된 보조와이어브라켓(220)을 더 설치함으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TC : 터빈케이싱
WB : 와이어브라켓 FG : 플랜지
100 : 작업대
110 : 작업발판
111 : 프레임 111a : 결합부재
112 : 플레이트 112a : 안전바설치부재
113 : 안전바 114 : 작업사다리
120 : 서포터
121 : 서포터브라켓
121a : 플랜지결합홈 121b : 서포터설치홈
122 : 수직서포터 123 : 수평서포터
124 : 연결서포터 125 : 제1 스페이서
126 : 제2 스페이서 127 : 보조서포터
200 : 보조지지부재 210 : 보조브라켓
220 : 보조와이어브라켓 221 : 와이어삽입홀

Claims (6)

  1. 내부에 터빈로터가 회전 지지되는 터빈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되어 정비를 위하여 작업자의 통로 및 발판이 되는 터빈발전기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터빈케이싱은,
    상부에 좌우 대칭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와이어브라켓과, 외주면에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는,
    상기 터빈케이싱의 좌우 상방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작업발판과, 상기 터빈케이싱의 플랜지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작업발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 각각은,
    상기 터빈케이싱의 플랜지에 고정 결합되는 서포터브라켓과, 장형의 빔 형상으로 하단이 상기 서포터브라켓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작업발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수직서포터와, 장형의 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터빈케이싱의 와이어브라켓을 향하도록 타단이 상기 수직서포터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작업발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수평서포터와, 장형의 빔 형상으로 양단이 상기 수평서포터 각각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작업발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연결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의 서포터브라켓 각각은,
    하부에 상기 터빈케이싱의 플랜지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터빈케이싱의 플랜지 외주면과 대응되는 플랜지결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수직서포터의 하단이 삽입 결합되도록 서포터설치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발전기용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발판은,
    하면이 상기 서포터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고, 둘레를 따라 안전바설치부재가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안전바설치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바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업사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발전기용 작업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하면에 복수의 결합부재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 각각은,
    하단이 상기 수직서포터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프레임의 결합부재가 삽입 결합되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제1 스페이서와,
    하단이 상기 연결서포터의 끝단에 고정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프레임의 결합부재가 삽입 결합되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제2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발전기용 작업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 각각은,
    하단이 상기 수직서포터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작업발판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보조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발전기용 작업대.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케이싱의 와이어브라켓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서포터의 하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보조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부재 각각은,
    측단면상 '┑'자 형상으로 세로변이 상기 와이어브라켓의 일측에 결합되고, 가로변이 상기 연결서포터의 하면을 지지하는 보조브라켓과,
    하부가 상기 와이어브라켓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부에 한 쌍의 와이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보조와이어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발전기용 작업대.
KR2020180000765U 2018-02-20 2018-02-20 터빈발전기용 작업대 KR2004867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765U KR200486758Y1 (ko) 2018-02-20 2018-02-20 터빈발전기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765U KR200486758Y1 (ko) 2018-02-20 2018-02-20 터빈발전기용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758Y1 true KR200486758Y1 (ko) 2018-06-27

Family

ID=6274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765U KR200486758Y1 (ko) 2018-02-20 2018-02-20 터빈발전기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7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166B1 (ko) * 2021-05-25 2021-12-06 한일마이크로텍(주) 터빈쉘의 보수용 플랫폼
KR102360324B1 (ko) * 2021-06-10 2022-02-14 티엠디이엔지(주) 터빈 케이싱 회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269Y1 (ko) * 2006-04-20 2006-08-07 김도균 증기터빈 정비용 블록화된 비계
JP2011074725A (ja) * 2009-10-01 2011-04-14 Asahi Gakuen Group:Kk 階段ベランダ工事用足場
KR200465907Y1 (ko) * 2012-07-04 2013-03-25 (주)원프랜트 터빈 케이스용 비계 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269Y1 (ko) * 2006-04-20 2006-08-07 김도균 증기터빈 정비용 블록화된 비계
JP2011074725A (ja) * 2009-10-01 2011-04-14 Asahi Gakuen Group:Kk 階段ベランダ工事用足場
KR200465907Y1 (ko) * 2012-07-04 2013-03-25 (주)원프랜트 터빈 케이스용 비계 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166B1 (ko) * 2021-05-25 2021-12-06 한일마이크로텍(주) 터빈쉘의 보수용 플랫폼
KR102360324B1 (ko) * 2021-06-10 2022-02-14 티엠디이엔지(주) 터빈 케이싱 회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288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n inner casing structure
US8607451B2 (en) Combustor-transition-piece guide jig and method of detaching and attaching combustor of gas turbine
US9500130B2 (en) Centerline support bar for steam turbine component
KR200486758Y1 (ko) 터빈발전기용 작업대
US9790066B2 (en) Rotating shaft lifting jig and rotating shaft lifting method
US20110016881A1 (en) Gas turbine with exhaust gas casing and method for producing a gas turbine
CN105351016B (zh) 有利于涡轮机壳体组件的方法和装置
JP2010237207A (ja) ジェットポンプ拘束具アセンブリの修理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0286485A (ja) ジェットポンプ用ライザブレースクランプ
JP2016531243A (ja) ターボ機械における偏心結合装置及び嵌合ケーシングを結合する方法
CN108412783B (zh) 核电用屏蔽主泵拆装工艺试验台架
JP2003106110A (ja) 発電プラント
JP7076943B2 (ja) 燃焼器キャップ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ための保持システム
JP6220418B2 (ja) ターボ機械におけるブレード接近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662181A1 (en) Fixture and method for adjusting workpiece
JP6205058B2 (ja) タービンシュラウドブロック取り外し装置
KR102183508B1 (ko) 지그장치
KR200423269Y1 (ko) 증기터빈 정비용 블록화된 비계
KR20120048774A (ko) 터빈 로터용 피트 작업대
US20180347285A1 (en) Plant module with perforated beams
US20140356152A1 (en) Apparatus for moving turbine shell
KR102334166B1 (ko) 터빈쉘의 보수용 플랫폼
US9200539B2 (en) Turbine shell support arm
KR101161513B1 (ko) 저압터빈 정비용 발판
KR200463243Y1 (ko) 터빈 내부 케이스용 리프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