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122B1 -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 Google Patents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122B1
KR101578122B1 KR1020090042774A KR20090042774A KR101578122B1 KR 101578122 B1 KR101578122 B1 KR 101578122B1 KR 1020090042774 A KR1020090042774 A KR 1020090042774A KR 20090042774 A KR20090042774 A KR 20090042774A KR 101578122 B1 KR101578122 B1 KR 101578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core
template
hook
moving block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3511A (ko
Inventor
어형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2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122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2형판(20)의 상면에 안착되고 제1형판 및 제2형판의 상대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캐비티의 일부를 형성하며 인서트물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설치홈(53')이 요입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드코어(40)와, 상기 슬라이드코어(4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슬라이드코어(4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블록(35)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블록(35)에는 상기 슬라이드코어(40)와의 상대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의 직선이동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코어(40)의 상대체결턱(58)에 걸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후크(37)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코어(40)를 제2형판(20) 상에 안착시킨 상태로 이동블록(35) 및 이에 연결된 구동부(30)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체결후크(37)가 슬라이드코어(40)의 일측에 자연스럽게 걸어져 슬라이드코어(40)를 이동블록(35)에 결합시킬 수 있므로 슬라이드코어(40)의 착탈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
금형조립체, 인서트사출, 슬라이드코어

Description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Mold assembly for insert mold}
본 발명은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인서트물이 삽입된 상태에서 사출성형이 이루어지는 금형조립체에서 인서트물이 고정되는 슬라이드코어를 금형조립체 내에 설치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조립체는 고정측과 가동측이 상대이동하면서 제품을 성형하여 취출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측과 가동측에는 상기 제품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메인코어가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 메인코어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에 용융된 상태의 수지가 주입되고, 상기 수지는 고온 고압에 의해 고화되어 제품으로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금형조립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품 중에는 내부에 터미널과 같은 금속부품이 고정된 상태로 제조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것을 소위 인서트 사출이라 하는데, 이는 먼저 상기 터미널을 금형조립체의 캐비티 내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수지를 주입하여 하나의 제품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면, 금형조립체의 고정측과 가동측에 각각 구비된 메인코어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 내부에 터미널과 같은 인서트물을 안착시 키고, 상기 메인코어를 결합시켜 상기 캐비티가 닫히도록 한 후에, 마지막으로 상기 금형조립체의 캐비티 내부로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인서트물 주변을 감싸도록 하면서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인서트 사출에 있어서, 제품에 인서트물이 다수개 구비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다수개의 터미널이 커넥터하우징에 인서트된 상태로 사출성형되는 경우에는, 인서트물인 다수개의 터미널이 각각 캐비티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사출성형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인서트물의 개수가 많아지는 경우에는 캐비티 내부에 이를 고정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상기 금형조립체의 좁은 캐비티 내부에서 이러한 인서트물 고정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인서트물을 고정하고 캐비티를 형성하는 코어를 금형조립체로부터 분리하여 인서트물을 고정하여 다시 금형조립체에 조립할 수도 있으나, 인서트물이 고정된 코어는 그 무게가 매우 무거우므로, 캐비티에 다시 정확하게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캐비티를 형성하는 슬라이드코어가 금형조립체의 설치공간에 슬라이딩을 통해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드코어를 금형조립체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후크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직선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동측판에 설치되어 고정측판에 설치된 제1형판과 밀착되어 제품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2형판과, 상기 제2형판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1형판 및 제2형판의 상대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캐비티의 일부를 형성하며 인서트물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설치홈이 요입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드코어와, 상기 슬라이드코어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코어와의 상대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의 직선이동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코어의 상대체결턱에 걸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후크가 구비되는 이동블록과, 상기 제2형판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록의 일측을 걸어 상기 이동블록 및 이에 결합된 상기 슬라이드코어를 상기 제1형판 및 제2형판의 상대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블록에는 직선이동가능한 체결후크 및 상기 체결후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형판의 상기 체결후크의 이동경로 상에는 가이드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후크와 간섭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체결후크의 직선이동을 유도한다.
상기 체결후크는 골격을 형성하는 후크몸체와, 상기 후크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코어의 상대체결턱에 걸어지는 체결턱과, 상기 제2형판의 상면과 마주보는 상기 후크몸체의 외면에 그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형판의 가이드어셈블리에 구비된 가이드핀에 눌려 이동블록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체결후크를 직선이동시키는 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형판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는 상기 제2형판의 설치포켓에 삽입되고 승강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승강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제2형판의 상면으로 입출되는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코어로부터 상기 캠부 보다 먼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체결후크의 외면에는 경사부가 상기 캠부와 연속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체결후크가 상기 가이드핀에 의해 직선이동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핀 상부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핀을 상기 가이드몸체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상기 슬라이드코어는 상기 제2형판 상에서 상대이동되는 제1슬라이드코어와 제2슬라이드코어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코어는 상기 인서트물을 고정한 상태로 형합됨으로써 상기 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 및 제2슬라이드코어에는 각각 제1이동블록과 제2이동블록이 결합되고 분리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형판의 외면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형판의 상대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입출되는 실린더로드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블록에 형성된 결합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블록과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서트물을 고정한 상태로 이동되면서 제품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슬라이드코어가 별도의 체결구 없이 이동블록을 통해 구동부에 걸어진 상태로 제2형판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좁은 캐비티 내부에서 인서트물을 고정할 필요없이, 제2형판으로부터 슬라이드코어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인서트물을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인서트물을 삽입하기 위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2형판 상을 이동하는 이동블록에 체결후크가 직선이동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작업자는 슬라이드코어를 제2형판 상에 안착시킨 상태로 이동블록 및 이에 연결된 구동부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체결후크가 슬라이드코어의 일측에 자연스럽게 걸어져 슬라이드코어를 이동블록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코어의 착탈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체결후크가 슬라이드코어에 걸어지는 과정에서 회전되지 않고, 제2형판에 구비된 가이드어셈블리에 안내되어 직선이동되므로, 회전동작에 비해 체결후크의 작동을 위해 필요한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있고 이는 이동블록 내부에 형성되는 체결후크의 설치공간이 작아짐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큰 설치공간에 의해 이동블록의 두께가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동블록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코어가 제거된 상태에서 제2형판의 구성이 요부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어셈블리 및 체결후크의 구성이 각각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는 금형조립체의 하형측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성형기의 고정측(도시되지 않음)에는 고정측판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측판은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측판의 일면에는 런너판이 구비되는데, 상기 런너판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런너판에는 제1형판이 설치된다. 상기 제1형판은 상기 런너판 또는 고정측판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 정된다.
상기 제1형판에는 제1메인코어가 구비된다. 상기 제1메인코어는 후술할 캐비티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품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메인코어가 상기 제1형판과 별개물로 형성되었지만, 이와 달리 상기 제1형판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가동측판(10)은 성형기의 가동측에 설치된다. 상기 가동측판(10)도 상기 고정측판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판상이다. 상기 가동측판(10)에는 스페이서블록(12)이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블록(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밀판(15)이 구비된다. 상기 밀판(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밀판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밀판(15)은, 밀핀(P, 도 2 참조)을 상기 고정측을 향해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17은 밀판(15)을 원위치시켜주는 리턴핀이다.
상기 스페이서블록(12)에는 제2형판(2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형판(20)에는 가이드레일(25)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5)은 상기 제2형판(20)에 다수개가 나란히 구비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도 2에 보듯이, 상기 제2형판(20)에는 안착공간(C)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공간(C)은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가 최종적으로 안착되어 제품을 성형하게 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형판(20)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형판(20)에는 가이드어셈블리(27)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어셈블리(27)는 상기 제2형판(20)에 설치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블록(35)의 체결후 크(37)를 직선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이드어셈블리(27)는 이동블록(35)의 체결후크(37)가 직선이동되면서 제1슬라이드코어(50) 또는 제2슬라이드코어(60)에 걸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어셈블리(27)는 이동블록(35)의 체결후크(37)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총 4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어셈블리(27)의 자세한 모습은 도 3에서 볼 수 있는데, 이에 보듯이, 상기 가이드어셈블리(27)는 상기 제2형판(20)에 삽입되는 가이드몸체(27a)가 그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몸체(27a)는 대략 원통형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가이드몸체(27a)의 내부에는 승강홀(27b)이 형성되는데, 상기 승강홀(27b)의 일측은 상기 제2형판(20)의 외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홀(27b)의 내부에는 리턴스프링(27c)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홀(27b)에는 가이드핀(28)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핀(28)은 이동블록(35)의 체결후크(37)를 직선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를 위해 체결후크(37)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이드핀(28)은 체결후크(37)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후크(37)의 캠부(37d)를 눌러 체결후크(37)가 일측으로 밀리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핀(28)은 걸림헤드부(28a)와 돌출부(28b)로 구성되는데, 상기 걸림헤드부(28a)는 상기 승강홀(27b)의 입구 가장자리에 걸어져 가이드핀(28)이 가이드몸체(27a)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돌출부(28b)는 체결후크(37)를 실질적으로 눌러주게 되는 부분이다.
도 3에는 상기 돌출부(28b)의 일부가 가이드몸체(27a)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체결후크(37)의 이동에 따라 상기 돌출부(28b)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후크(37)의 경사부(37e)에 눌려져 상기 승강홀(27b)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다.
다시 도 1을 보면, 상기 제2형판(20)의 외면에는 구동부(3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30)는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를 이동시켜주는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가 대칭되게 설치되어 각각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를 이동시켜준다.
상기 구동부(30)는 실린더몸체(31)와 상기 실린더몸체(31)로부터 입출되는 실린더로드(3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몸체(31)는 유압이나 공압 등을 이용하여 실린더로드(32)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실린더로드(32)의 일단에는 헤드부(33)가 구비되는데, 상기 헤드부(33)는 후술할 이동블록(35)의 결합슬롯(35', 도 5참조)에 삽입되어 이동블록(35)이 실린더로드(32)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로드(32)의 선단에는 이동블록(35)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블록(35)은 상기 실린더로드(32)의 헤드부(33)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5)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블록(35)은 제1이동블록과 제2이동블록이 쌍을 이루어, 각각 제1슬라이드코어(50)와 제2슬라이드코어(60)에 결합된다.
상기 이동블록(35)에는 체결후크(37)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후크(37)는 상기 이동블록(35)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록(35)과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체결후크(37)는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와의 결합과정에서 이동블록(35)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 즉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에 형성된 상대체결턱(58, 도 6a참조)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체결후크(37)는 상기 이동블록(35)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이동블록(35)에 두 개의 체결후크(37)가 각각 구비되고, 두 체결후크(37)는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직선이동된다.
상기 체결후크(37)의 자세한 형상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체결후크(37)의 골격은 대략 육면체 형상의 후크몸체(37a)가 형성한다.
상기 후크몸체(37a) 일측에는 체결턱(37b)이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턱(37b)은 제1슬라이드코어(50) 또는 제2슬라이드코어(60)의 상대체결턱(58)에 실질적으로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턱(37b)의 외면에는 가이드면(37b')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체결턱(37b)과 상대체결턱(58)의 결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후크몸체(37a)의 외면 중에서 상기 제2형판(20)을 향하는 외면에는 가이드리브(37c)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리브(37c)는 상기 이동블록(35)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어셈블리(27)의 가이드핀(28) 외주면과 접하게 되는 부분으로, 상기 체결후크(37)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리 브(37c)는 상기 후크몸체(37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37c)의 일단에는 캠부(37d)가 구비된다. 상기 캠부(37d)는 상기 후크몸체(37a)의 외면에 그 폭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28)에 눌리게 된다. 즉, 상기 이동블록(35)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캠부(37d)는 상기 가이드핀(28)에 의해 눌리게 되고(도 4의 화살표①방향), 이에 따라 이동블록(35)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체결후크(37) 전체가 직선이동되는 것이다.(도 4의 화살표②방향)
상기 후크몸체(37a)의 외면에는 상기 캠부(37d)와 연속되도록 경사부(37e)가 구비된다. 상기 경사부(37e)는 상기 슬라이드코어(40)로부터 상기 캠부(37d) 보다 먼 위치(도 4를 기준으로 우측)에 해당하는 상기 체결후크(37)의 외면에 구비된다. 상기 경사부(37e)는 상기 체결후크(37)가 상기 가이드핀(28)에 의해 직선이동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핀(28) 상부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핀(28)을 상기 가이드몸체(27a)의 내부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체결후크(37)가 이동블록(35)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먼저 체결후크(37)는 캠부(37d)가 가이드핀(28)의 외주면에 눌려 이동되던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직선이동되고, 체결후크(37)가 이동블록(35)을 따라 계속하여 이동됨에 따라 체결후크(37)의 경사부(37e)가 리턴스프링(27c)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가이드핀(28)을 눌러주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체결후크(37)의 캠부(37d)를 누르고 있던 가이드핀(28)은 더 이상 캠부(37d)와 접하지 않게 되므로 체결후크(37)는 자연스럽게 원위치되는 방향(도 4의 화살표①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제1슬라이드코어(50) 또는 제2슬라이드코어(60)의 상대체결턱(58)에 걸어지게 된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블록(35)에는 장착공간(38)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38)에는 푸시핀(39)이 구비된다. 상기 푸시핀(39)은 걸림부(39a)와 누름부(38b)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39a)의 일측은 푸시스프링(S2)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상기 푸시핀(39)은 상기 체결후크(37)의 일측을 밀어, 상기 가이드핀(28)에 의해 이동되었던 상기 체결후크(37)를 원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블록(35)에 두 개의 푸시핀(39)이 구비되는데, 푸시핀(39)의 개수는 하나 또는 3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슬라이드코어(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형판(20)에는 슬라이드코어(4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드코어(40)는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는 상기 제2형판(20) 상에서 상대이동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가 결합되면 함께 캐비티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 또는 제2슬라이드코어(60)에는 인서트물(미도시)이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로 사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에 상기 인서트물이 고정된다. 상기 인서트물은, 예를 들어, 커넥터 내부에 설치되는 터미널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에는 제품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1코어부(53)가 구비되고, 상기 제1코어부(53)의 양측에는 걸이홈(51)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홈(51)의 하부에는 상대체결턱(58)이 구비된다.(도 6a 참조). 상기 상대체결턱(58)에는 상기 체결후크(37)의 체결턱(37b)이 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에는 설치홈(53')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53')에는 인서트물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슬라이드코어(60)에는 밀핀홀(65)이 형성된다. 상기 밀핀홀(65)은 상기 밀핀(P)이 선택적으로 돌출되면서 완성된 제품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 와 도 7a 내지 도 7c는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코어 및 이동블록이 결합되는 모습이 각각 다른 각도로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6 및 도 7은 각각 슬라이드코어 및 이동블록 등을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먼저, 인서트물을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에 조립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작업자는 우선 제2형판(20)으로부터 제1슬라이드코어(50)를 분리한다. 즉,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를 제2형판(20)으로부터 들어올려 분리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는 구동부(30)의 이동블록(35)에 구비된 체결 후크(37)에 걸어진 상태이나, 체결후크(37)는 이동블록(35)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므로 구동부(30)를 가동시켜 제1슬라이드코어(50)와 제2슬라이드코어(60)로부터 이동블록(35)이 멀어지도록 하면 체결후크(37)가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는 가고정핀(미도시)으로 제2형판(20)에 고정시킨 상태로 상기 구동부(3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구동부(30)의 이동블록(35)이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에 형성된 걸이홈(51)으로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푸시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체결후크(37)를 이동시킨 후에 이동블록(35)을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로부터 분리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이와 같이 분리된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를 가이드프레임(미도시)와 같은 틀에 안착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물을 제1슬라이드코어(50)의 설치홈(53')에 각각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는 좁은 금형조립체 내가 아니라 외부로 분리되어 가이드프레임에 안착된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용이하게 인서트물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물을 모두 삽입한 후에는, 작업자는 상기 제2슬라이드코어(60)를 동일한 방식으로 제2형판(20)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안착시고, 상기 제2슬라이드코어(60)를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 기 제1슬라이드코어(50)와 제2슬라이드코어(60)가 서로 조립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가 형성하는 캐비티 내부에 상기 인서트물의 일부가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또한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하여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를 조립할 수 있어,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인서트물이 휘어지는 등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를 완전히 결합시킬 필요는 없으며, 인서트물이 보호될 수 있을 정도로 어느 정도만 조립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의 완전한 조립은 상기 구동부(30)의 유압이나 공압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이와 같이 조립된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로 구성되는 조립체(40)를 상기 제2형판(20)에 안착시킨다. 이때,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의 조립체(40)는 상기 제2형판(20)의 안착공간(C)에 안착되어야 한다. 만일, 상기 조립체(40)가 상기 제2형판(20)의 안착공간(C)에 정확하게 안착되지 않더라도, 실린더로드(32)의 동작에 의해 이동하여 안차공간(C)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30)를 작동시키면, 양측의 실린더로드(32)가 각각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그리 고, 이와 동시에 상기 실린더블록에 결합된 이동블록(35)은 함께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를 향해 이동된다.(도 7a의 화살표방향)
이 과정에서, 상기 이동블록(35)에 구비된 체결후크(37)는 상기 제2형판(20)에 설치된 가이드어셈블리(27)의 가이드핀(28)에 접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6a 및 도 7a에서 보듯이, 상기 체결후크(37)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리브(37c)가 상기 가이드핀(28)의 돌출부(28b)에 접한 상태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가이드핀(28)의 돌출부(28b)가 상기 리턴스프링(27c)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제2형판(20)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블록(35)과 체결후크(37)가 보다 더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체결후크(37)의 가이드리브(37c) 일측에 구비된 캠부(37d)와 상기 가이드핀(28)의 돌출부(28b)가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6b 및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캠부(37d)의 이동경로 상에 상기 가이드핀(28)의 돌출부(28b)가 위치되므로, 상기 캠부(37d)는 상기 가이드핀(28)의 외주면에 눌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체결후크(37)는 상기 가이드핀(28)에 의해 눌리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6b에서 보듯이, 상기 체결후크(37)는 푸시스프링(S2)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체결후크(37)를 하방으로 밀고 있는 상기 푸시핀(39)을 상방(화살표②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상기 캠부(37d)가 가이드핀(28)의 돌출부(28b)에 눌려 이동블록(35)의 이동방향(화살표①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어느 정도 직선이동됨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체결후크(37)의 체결턱(37b)은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의 상대체결턱(58)과 접한 상태이고, 상기 체결후크(37)가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체결턱(37b)은 상대체결턱(58)과 마주본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블록(35) 및 이에 구비된 상기 체결후크(37)가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 방향으로 더욱 이동되면, 도 6c에서 보듯이, 상기 체결턱(37b)은 상기 상대체결턱(58)을 타고 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도 7c에서 보듯이, 상기 가이드핀(28)의 돌출부(28b) 선단은 상기 체결후크(37)의 경사부(37e)를 따라 상방, 즉 화살표①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도 7c는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체결후크(37)를 저면에서 본 상태이므로, 도면을 중심으로 상방이라 함은 가이드몸체(27a)의 내부, 즉 제2형판(20)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핀(28)이 가이드몸체(27a)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핀(28)의 돌출부(28b)는 더 이상 상기 체결후크(37)와 간섭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체결후크(37)는 푸시핀(39)에 의해 원위치, 즉 화살표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체결후크(37)가 원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체결후크(37)의 체결턱(37b)은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의 상대체결턱(58)에 걸어져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체결후크(37) 사이가 서로 결합된다. 한편, 제2슬라이드코어(60) 측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체결후크(37)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로 구 성되는 조립체를 단순히 제2형판(20) 상에 안착시킨 상태로 구동부(30)를 작동시키면 실린더로드(32)와 슬라이드코어(40) 사이가 자연스럽게 결합되므로, 슬라이드코어(40)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체결후크(37)가 회전을 통해 상대체결턱(58)에 걸어지는 것이 아니라, 직선이동되면서 걸어지므로 슬라이드코어(40)의 걸이홈(51) 및 체결후크(37)가 설치되는 이동블록(35)의 설치공간(K)의 폭이 작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는 상기 걸이홈(51)이나 설치공간(K)으로 인해 제2슬라이드코어(60) 및 이동블록(35)의 두께가 얇아지는 정도가 작아져 이들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강해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계속하여 설명하면,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측판과 가동측판(10)이 상대이동하여 제1형판과 제2형판(20)이 밀착되면 제품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가 만들어지게 되고, 용융된 수지가 캐비티로 삽입되어 제품이 만들어진다.
제품이 완성되면, 상기 고정측판과 가동측판(10)이 상대이동하여 제1형판과 제2형판(20)이 분리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가 상기 이동블록(35)을 따라 상기 제품으로부터 분리되어 제품이 취출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 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1슬라이드코어(50)와 제2슬라이드코어(60)가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50) 및 제2슬라이드코어(60) 중에서 어느 하나만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제2형판(20)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코어(40)는 상기 제2형판(20)이 아니라, 제1형판에 구비되거나 또는 제1형판 및 제2형판(20) 양측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코어가 제거된 상태에서 제2형판의 구성을 보인 요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체결후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코어 및 이동블록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코어 및 이동블록이 결합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코어 및 이동블록이 결합되는 모습을 각각 도 6a 내지 도 6c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가동측판 20: 제2형판
25: 가이드레일 27: 가이드어셈블리
28: 가이드핀 30: 구동부
31: 실린더몸체 32: 실린더로드
35: 이동블록 37: 체결후크
37a: 후크몸체 37b: 체결턱
37c: 가이드리브 37d: 캠부
37e: 경사부 40: 슬라이드코어
50: 제1슬라이드코어 60: 제2슬라이드코어

Claims (7)

  1. 가동측판에 설치되어 고정측판에 설치된 제1형판과 밀착되어 제품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2형판과,
    상기 제2형판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1형판 및 제2형판의 상대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캐비티의 일부를 형성하며 인서트물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설치홈이 요입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드코어와,
    상기 슬라이드코어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코어와의 상대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의 직선이동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코어의 상대체결턱에 걸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후크가 구비되는 이동블록과,
    상기 제2형판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록의 일측을 걸어 상기 이동블록 및 이에 결합된 상기 슬라이드코어를 상기 제1형판 및 제2형판의 상대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에는 직선이동가능한 체결후크 및 상기 체결후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푸시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2형판의 상기 체결후크의 이동경로 상에는 가이드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후크와 간섭되어 상기 푸시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체결후크의 직선이동을 유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후크는
    골격을 형성하는 후크몸체와,
    상기 후크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코어의 상대체결턱에 걸어지는 체결턱과,
    상기 제2형판의 상면과 마주보는 상기 후크몸체의 외면에 그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형판의 가이드어셈블리에 구비된 가이드핀에 눌려 이동블록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체결후크를 직선이동시키는 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형판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는
    상기 제2형판의 설치포켓에 삽입되고 승강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승강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제2형판의 상면으로 입출되는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코어로부터 상기 캠부 보다 먼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체결후크의 외면에는 경사부가 상기 캠부와 연속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체결후크가 상기 가이드핀에 의해 직선이동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핀 상부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핀을 상기 가이드몸체의 내부로 삽입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코어는 상기 제2형판 상에서 상대이동되는 제1슬라이드코어와 제2슬라이드코어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코어는 상기 인서트물을 고정한 상태로 형합됨으로써 상기 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제1슬라이드코어 및 제2슬라이드코어에는 각각 제1이동블록과 제2이동블록이 결합되고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형판의 외면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형판의 상대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입출되는 실린더로드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블록에 형성된 결합슬롯에 삽 입되어 상기 이동블록과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KR1020090042774A 2009-05-15 2009-05-15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KR101578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774A KR101578122B1 (ko) 2009-05-15 2009-05-15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774A KR101578122B1 (ko) 2009-05-15 2009-05-15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511A KR20100123511A (ko) 2010-11-24
KR101578122B1 true KR101578122B1 (ko) 2015-12-16

Family

ID=4340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774A KR101578122B1 (ko) 2009-05-15 2009-05-15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853B1 (ko) * 2011-04-15 2013-09-02 강창식 자동차 헤드레스트 락 스위치 성형용 금형
CN103817878B (zh) * 2012-11-19 2016-06-15 苏州汉扬精密电子有限公司 强制脱模机构
CN103273590B (zh) * 2013-06-26 2015-07-22 苏州速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模具定位机构
CN114872267A (zh) * 2021-02-05 2022-08-09 深圳市华文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高清数据线加工的注塑装置
CN114670398B (zh) * 2022-03-07 2023-08-08 新谱(广州)电子有限公司 一种背光源胶框注塑模具以及注塑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3795A (ja) 2001-08-09 2003-02-26 Incs Inc スライドコアのスライド機構
KR200426750Y1 (ko) 2006-06-22 2006-09-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의 인서트물 고정장치
US7108498B2 (en) 2001-03-15 2006-09-19 Cim Precision Molds (Hk) Limited Quick insert change system for multi-material plastic injection molds
KR100838787B1 (ko) 2007-03-23 2008-06-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인서트사출용 슬라이드코어조립체와 이를 구비한금형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인서트사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8498B2 (en) 2001-03-15 2006-09-19 Cim Precision Molds (Hk) Limited Quick insert change system for multi-material plastic injection molds
JP2003053795A (ja) 2001-08-09 2003-02-26 Incs Inc スライドコアのスライド機構
KR200426750Y1 (ko) 2006-06-22 2006-09-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의 인서트물 고정장치
KR100838787B1 (ko) 2007-03-23 2008-06-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인서트사출용 슬라이드코어조립체와 이를 구비한금형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인서트사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511A (ko)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5585A (en) Slide retainer for injection molds
US7175421B2 (en) Slide core unit
KR101578122B1 (ko)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KR100955058B1 (ko) 금형조립체
JP6892090B2 (ja)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及び成形用金型
US20200147847A1 (en) Undercut Processing Mechanism, Mold For Molding, And Molded Article
KR100838787B1 (ko) 인서트사출용 슬라이드코어조립체와 이를 구비한금형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인서트사출방법
WO2021044664A1 (ja) スライド機構、固定型、可動型及び成形用金型
KR20170058033A (ko) 슬라이드 코어를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
CN113858560B (zh) 脱模结构和模具装置
CN215095334U (zh) 多方向滑块抽芯机构及注塑模具
WO2016075943A1 (ja) 成形金型、及び金型交換方法
KR20090073877A (ko) 금형조립체
CN110978419A (zh) 一种旋转滑块结构及双色注塑模具
KR100787196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02981A (ko) 금형조립체의 인서트물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인서트물고정방법
KR20090051645A (ko) 금형조립체
KR101156196B1 (ko) 사출 금형장치
KR200450293Y1 (ko) 금형조립체의 인서트물고정장치
KR20090073851A (ko) 금형조립체
KR20100012383A (ko)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인서트사출물의제조방법
KR100846850B1 (ko) 금형조립체의 취출장치
KR100838791B1 (ko) 슬라이드코어 고정장치
KR100906818B1 (ko) 'ㄷ'자형 언더컷 제거를 위한 사출금형
KR101301709B1 (ko)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이륜차의 바테리 팩 케이스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