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323B1 - 시료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시료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323B1
KR101577323B1 KR1020150062701A KR20150062701A KR101577323B1 KR 101577323 B1 KR101577323 B1 KR 101577323B1 KR 1020150062701 A KR1020150062701 A KR 1020150062701A KR 20150062701 A KR20150062701 A KR 20150062701A KR 101577323 B1 KR101577323 B1 KR 101577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ample
hook
collecting box
sample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
신동혁
어영상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062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323B1/ko
Priority to US15/571,656 priority patent/US10288533B2/en
Priority to PCT/KR2016/003873 priority patent/WO20161784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2Dippers; Dred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involving an extracting tool, e.g. core b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with provision for splitting samples into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6Grabs actuated by a single rope or chai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02D1/04Sampling of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4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reciprocating digging or scraping elements moved by cables or hoisting ropes ; Drive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 E02F3/47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reciprocating digging or scraping elements moved by cables or hoisting ropes ; Drive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with grab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9/00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 E21B49/02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by mechanically taking samples of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9/00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 E21B49/02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by mechanically taking samples of the soil
    • E21B49/025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by mechanically taking samples of the soil of underwater soil, e.g. with grab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06Dispersed solids
    • G01N2001/1012Suspensions
    • G01N2001/1025Liquid suspensions; Slurries; Mud; Slud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Abstract

시료 채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채취장치는, 해저면에 안착되는 하부 프레임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과 연결된 상부 프레임의 중앙에는 작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프레임 사이에 작동공간을 형성하도록 된 프레임부; 상기 작동공에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하부 좌,우측에는 중량물이 구비되며 상단에는 인양 케이블과 연결되는 트리거 장치가 마련된 상,하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하단에는 상,하부가 개구된 시료 채취박스가 장착되거나 탈거되도록 된 박스 장착부가 마련된 상,하 작동부; 및 상기 박스 장착부의 양쪽 측면에 한 쌍의 회전부재가 회전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부는 당김 케이블에 의해 상기 트리거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타단부에는 원호형의 박스 개폐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부가 해저에 안착되어 상기 트리거 장치가 작동되고 상기 상,하 작동부재가 하강하여 상기 박스 장착부에 장착된 시료 채취박스가 해저면에 삽입된 후 상기 당김 케이블의 상김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박스 개폐부재가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개방된 하부를 막아 시료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된 회전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료 채취장치를 단순한 조작으로 운용하여 해저의 퇴적물을 교란 없이 안정적으로 채취할 수 있고, 시료 채취장치의 설치시 작동 구조가 단순하여 선박에서의 운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채취된 시료를 이동대차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고, 시료 채취박스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박스 장착부에 장착되거나 탈거된 후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시료 채취박스를 장착하거나 탈거하는 작업 및 운반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시료 채취장치{CORER OF BOX TYPE}
본 발명은 시료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저의 퇴적물을 교란없이 안정적으로 채취할 수 있고, 시료가 수용된 박스 자체를 채취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켜 운반할 수 있도록 된 시료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해저에서 망간단괴는 물론 퇴적물도 교란 없이 함께 채취하고, 시료 채취 시간을 절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박스 타입 시료 채취장치를 사용한다.
이러한 박스 타입의 시료 채취장치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77324호(공고일 : 2013.06.20)에는 복합식 시료 채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복합식 시료 채취 장치는 일정의 중량을 구비하여 해저에 침투되며, 해저 지형 내부에 삽입되어 퇴적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채취하는 메인 시료 채취부와, 상기 메인 시료 채취부의 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해저 지형에 도달함을 인지하여 상기 해저 지형 표면의 시료를 긁어 일정량 채취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서브 시료 채취부와, 상기 메인 시료 채취부에 설치되며 상기 해저 지형의 영상을 취득하는 영상 취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복합식 시료 채취장치는 해저의 동일 영역에서 자유 낙하식과 박스식을 동시에 사용하여 망간 단괴와 같은 시료를 동시에 채취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으나, 시료 박스가 퇴적물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시료의 교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채취장치의 시료 박스가 채취장치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채취장치를 선상으로 이동시킨 후, 박스에 수용된 시료를 연구실로 교란없이 운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77324호(공고일 : 2013.06.20)
본 발명의 목적은, 시료 채취장치를 단순한 조작으로 운용하여 해저의 퇴적물을 교란 없이 안정적으로 채취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채취된 시료가 수용된 시료 채취박스를 채취장치로부터 분리시켜 연구실 등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해저면에 안착되는 하부 프레임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과 연결된 상부 프레임의 중앙에는 작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프레임 사이에 작동공간을 형성하도록 된 프레임부; 상기 작동공에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하부 좌,우측에는 중량물이 구비되며 상단에는 인양 케이블과 연결되는 트리거 장치가 마련된 상,하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하단에는 상,하부가 개구된 시료 채취박스가 장착되거나 탈거되도록 된 박스 장착부가 마련된 상,하 작동부; 및 상기 박스 장착부의 양쪽 측면에 한 쌍의 회전부재가 회전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부는 당김 케이블에 의해 상기 트리거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타단부에는 원호형의 박스 개폐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부가 해저에 안착되어 상기 트리거 장치가 작동되고 상기 상,하 작동부재가 하강하여 상기 박스 장착부에 장착된 시료 채취박스가 해저면에 삽입된 후 상기 당김 케이블의 상김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박스 개폐부재가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개방된 하부를 막아 시료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된 회전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료 채취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트리거 장치는, 상단부는 상기 인양 케이블과 연결되고, 양쪽 단부는 각각 상기 당김 케이블와 연결되며, 하단부에는 걸림공이 형성된 인양 연결구;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상단 내측에 일단부가 지지축으로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걸림공에 걸리기 위한 후크가 형성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당김 케이블의 당김 작동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부에 마련된 걸림단과 걸림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일단이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부재와 같이 소정 각도에서 회전 작동하는 회전방지용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후크의 수직 중심선이 상기 지지축의 수직 중심선과 어긋나도록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가 해저면에 안착되어 견인력이 제거된 상기 인양 연결구가 하강하여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공에서 걸림 해제되면, 상기 후크부재가 지지축을 중심으로 한쪽으로 치우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인양 연결구와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장치는,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후크를 관통하는 안전핀과,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상단부 양쪽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당김 케이블를 지지하고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안내 로울러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스 장착부에는, 상기 프레임부가 해저에 안착되어 상기 시료 채취박스가 해저면에 삽입되면 상기 트리거 장치의 해제 작동과 연동되어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시료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유출방지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유출방지수단은, 상기 박스 장착부의 저면 일측에 일단이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상부를 덮어 커버하기 위한 상부커버; 및 일단이 상기 상부커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후크부재의 한쪽으로 치우친 영역에 연결되며,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인양 연결구와 결합되었을 때에는 상기 상부커버를 상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시료 채취박스를 개방하고,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인양 연결구와 분리되어 한쪽으로 치우친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에는 이완 되면서 상기 상부커버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상부를 덮도록 하기 위한 개폐용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상단부에는, 한 쌍의 원호형 안내공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에는 상기 개폐용 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는 안내핀이 상기 후크부재의 한쪽으로 치우친 영역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박스 장착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시료 채취박스가 슬라이딩 되어 결합되거나 탈거되도록 수평안내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수평안내수단은, 상기 박스 장착부의 내부 양쪽에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설치되는 안내레일; 및 상기 안내레일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안내레일에 대응되는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안내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스 장착부에는, 상기 수평안내수단에 의해 상기 박스 장착부 내부로 진입한 상기 시료 채취박스를 위치고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장착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박스 장착부의 내부 양측에 원호형의 작동공을 각각 구비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 일단에는 하향으로 개구된 걸림후크가 형성되고, 중간부가 축에 의해 상기 지지 브라켓에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손잡이가 마련된 작동 브라켓; 및 상기 원호형의 작동공에 대응되는 상기 작동 브라켓의 중간 영역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원호형의 작동공으로 노출되며, 각 양단에는 조임너트가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작동 브라켓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 고정축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안내수단에 의해 상기 박스 장착부 내측으로 진입하면, 상기 작동 브라켓을 회전시켜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일면에 마련된 장착용 걸림바에 걸리도록 한 후, 상기 조임너트를 조여 상기 작동 브라켓의 위치를 고정하여 상기 시료 채취박스가 상기 박스 장착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료 채취박스는, 상기 박스 개폐부재가 상기 시교 채취박스의 하부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박스 개폐부재와 시료 채취박스 사이로 삽입되어 채취된 시료가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개방된 하부를 막으면서 상기 시료 채취박스에 결합되는 채취박스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프레임부가 육상이나 선박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하강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하강방지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하강방지수단은, 상기 상,하 작동부재에 관통 형성되는 멈춤공; 및 상기 멈춤공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가 육상이나 선박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시료 채취박스를 상기 박스 장착부에 장착하기 위하여 박스 장착부의 내부 쪽으로 수평 이동시키거나, 상기 박스 장착부에서 탈거된 상기 시료 채취박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대차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대차에는, 상면에 상기 시료 채취박스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시료 채취박스가 이동 중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유동방지로프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료 채취장치를 단순한 조작으로 운용하여 해저의 퇴적물을 교란 없이 안정적으로 채취할 수 있고, 시료 채취장치의 설치시 작동 구조가 단순하여 선박에서의 운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채취된 시료를 이동대차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료 채취박스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박스 장착부에 장착되거나 탈거된 후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시료 채취박스를 장착하거나 탈거하는 작업 및 운반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채취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료 채취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시료 채취장치로 해저의 퇴적물을 채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9는 시료 채취박스에 채취박스 커버부재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시료 채취박스가 박스 장착부에서 탈거되어 이동대차에 의해 운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채취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료 채취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채취장치는, 사각뿔 형상을 갖는 프레임부(20)와, 상단부는 인양 케이블(31)과 연결되고 트리거 장치(30)를 구비하여 상,하부로 이동하도록 프레임부(20)에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하향으로 개구된 박스 장착부(42)가 마련되는 상,하 작동부(40)와, 프레임부(20)가 해저에 안착되어 시료 채취박스(50)의 하단부가 해저면에 삽입되면 회전 작동하여 시료 채취박스(50)의 하부를 막아 채취된 퇴적물 시료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 작동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시료 채취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프레임부(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뿔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해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개구부(24A)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하부 프레임(24)과, 하부 프레임(24)의 상면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각각의 기둥들로 이루어지고 상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작동공(22A)이 형성된 상부 프레임(22)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하부 프레임(24)과 상부 프레임(22)의 구조에 의해 내부에는 작동공간(S)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사각뿔 형상을 갖음으로써 해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하 작동부(40)는, 프레임부(20)의 작동공(22A)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트리거 장치(30)가 해제되면 중량물(45)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여 박스 장착부(44)에 장착된 시료 채취박스(50)가 해저면의 퇴적층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작동공(22A)에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하부 좌,우측에는 중량물(45)이 각각 설치되며 상단에는 인양 케이블(31)과 연결되는 트리거 장치(30)가 마련된 상,하 작동부재(42)와, 작동공간(S)에 위치하는 상,하 작동부재(42)의 하단에는 상,하부가 개구된 시료 채취박스(50)가 장착되거나 탈거되도록 구성된 하부가 개구된 구조의 박스 장착부(44)가 결합된 것이다.
상,하 작동부재(42)는, 도 1 및 도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관 형태를 갖으며, 상단부는 소정 길이와 폭을 갖는 2개의 판부재가 간격을 유지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상,하 작동부재(42)의 상단부에는 트리거 장치(30)가 결합된다.
중량물(45)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작동부재(42)의 하부 영역에 결합된 박스 장착부(44)의 좌,우측 상면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하 작동부재(42)의 상단부에는, 트리거 장치(30)의 후크부재(36)가 지지축(36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원호형 안내공(42A)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공(42A)에는 개폐용 와이어(47B)의 타단이 연결되는 안내핀(42B)이 후크부재(36)의 한쪽으로 치우친 영역(36C)을 관통하여 설치 된다.
이러한 구조는, 트리거 장치(30)의 작동으로 걸림이 해제된 후크부재(36)가 한쪽으로 치우친 영역(36C) 쪽으로 회전할 때, 개폐용 와이어(47B)의 타단이 연결된 안내핀(42B)이 원호형의 안내공(42A)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부 커버부재(47A)를 상부로 당겨 긴장되었던 개폐용 와이어(47B)의 긴장상태가 해제되어 상부 커버부재(47A)가 시료 채취박스(50)의 상부를 덮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하 작동부재(42)의 하부 영역에는, 프레임부(20)가 육상이나 선박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하 작동부재(42)의 하강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하강방지수단이 마련된다. 이러한 하강방지수단은, 상,하 작동부재(42)에 관통 형성되는 멈춤공(42C)과, 멈춤공(42C)에 관통 설치되어 작동공(22A)에 걸림으로써 상,하 작동부재(42)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핀(42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강방지수단은 시료 채취장치가 육상이나 선박에 안착되었을 때 멈춤핀(42B)을 멈춤공(42C)에 끼워 상,하 작동부재(42)가 임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상,하 작동부재(42)의 하단부에는, 상,하부가 개구된 시료 채취박스(50)가 장착되거나 탈거되도록 된 박스 장착부(44)가 결합된다.
이러한 박스 장착부(44)는, 하부가 개구된 구조를 갖으며, 프레임부(20)의 개구부(24A)를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시료 채취박스(50)가 슬라이딩 되어 결합되거나 탈거되도록 수평안내수단을 구비한다. 전술한 개구부(24A)는 하부 프레임(24)의 일측(시료 채취박스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에 이동대차(70)가 프레임부(20)의 내측에 형성된 작동공간(S)으로 진입하거나 진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개구부(24A)에 의해 이동대차(70)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안내수단은, 박스 장착부(44)의 내부 양쪽에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설치되는 안내레일(44A)과, 안내레일(44A)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레일(44A)에 대응되는 시료 채취박스(5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안내단(5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평안내수단에 의해 시료 채취박스(50)는 수평으로 이동하여 박스 장착부(44)에 장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안내레일(44A) 또는 안내단(51)에 이동용 로울러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박스 장착부(44)에는, 수평안내수단에 의해 박스 장착부(44) 내부로 진입한 시료 채취박스(50)를 위치고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장착수단(46)을 구비한다. 장착수단(46)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장착부(44)의 내부 양측에 원호형의 작동공(46C)을 각각 구비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46A)과, 일단에는 하향으로 개구된 걸림후크(46E)가 형성되고, 중간부가 축에 의해 지지 브라켓(46A)에 소정각도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손잡이(46F)가 형성된 작동 브라켓(46G)과, 원호형의 작동공(46C)에 대응되는 작동 브라켓(46G)의 중간 영역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양단이 원호형의 작동공(46C)으로 노출되며, 각 양단에는 조임너트(46H)가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작동 브라켓(46G)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 고정축(46D)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장착수단(46)은, 수평안내수단에 의해 시료 채취박스(50)가 박스 장착부(44) 내측으로 진입하면, 작동 브라켓(46G)을 시료 채취박스(50)에 형성된 걸림바(53) 방향으로 회전시켜 양쪽의 걸림후크(46E)가 시료 채취박스(50)의 일면에 마련된 장착용 걸림바(53)에 걸리도록 한 후, 작동축(46D)의 양쪽 단부에 구비된 조임너트(46H)를 각각 조여 작동 브라켓(46G)이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 브라켓(46G)의 회전 작동 및 회전 고정됨으로써, 시료 채취박스(50)를 박스 장착부(44)에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박스 장착부(44)에는, 프레임부(20)가 해저에 안착되어 시료 채취박스(50)가 해저면에 삽입되면 트리거 장치(30)의 해제 작동과 연동되어 시료 채취박스(5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시료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유출방지수단이 마련된다.
유출방지수단은,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장착부(44)의 저면 일측에 일단이 힌지로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시료 채취박스(50)의 상부를 덮어 커버하기 위한 상부커버(47A)와, 일단이 상부커버(47A)에 결합되고, 타단은 트리거 장치(30)를 구성하는 후크부재(36)의 한쪽으로 치우친 영역(36C)에 연결되며, 후크부재(36)가 인양 연결구(34)와 결합되었을 때에는 상부커버(47A)를 상향으로 들어올려 시료 채취박스(50)를 개방하고, 후크부재(36)가 인양 연결구(34)와 분리되어 한쪽으로 치우친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에는 이완되면서 상부커버(47A)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시료 채취박스(50)의 상부를 덮도록 하기 위한 개폐용 와이어(47B)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유출방지수단에 의해 시료 채취박스(5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시료가 유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트리거 장치(30)는, 프레임부(20)가 해저면에 안착되면 회전 작동부(60)가 회전 작동을 시작하도록 걸림해제 작동을 하도록 된 것으로, 상단부는 인양 케이블(31)과 연결되고, 양쪽 단부는 일단이 회전부재(62)에 각각 결합된 각 당김 케이블(66)와 연결되며, 하단부에는 수직 장공 형태의 걸림공(34A)이 형성된 인양 연결구(34)와, 상,하 작동부재(42)의 상단 내측에 일단부가 지지축(36A)으로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걸림공(34A)에 걸리기 위한 후크(36B)가 형성되는 후크부재(36)와, 당김 케이블(66)의 당김 작동에 의해 회전부재(62)가 회전축(62A)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면 회전부재(62)의 일단부에 마련된 걸림단(62B)과 걸림 결합되어 회전부재(62)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일단이 지지축(36A)에 결합되어 후크부재(36)와 같이 소정 각도에서 회전 작동하는 회전방지용 걸림부재(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후크(36B)의 수직 중심선(C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36A)의 수직 중심선(C1)과 어긋난 위치에 있다. 즉, 후크(36B)는 지지축(36A)을 중심으로 한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후크부재(36)는 프레임부(20)가 해저면에 안착되어 인양 연결구(34)에 작용하는 견인력이 제거되면서 인양 연결구(34)가 후크(36B)가 걸림공(34A)에서 걸림 해제되면, 후크부재(36)가 지지축(36A)을 중심으로 한쪽으로 치우친 영역(36C) 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양 연결구(34)와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즉, 후크부재(36)는 지지축(36A)에 결합되는 하단부에서 한쪽 방향 상부로 치우쳐 연장된 후 상단부에 후크(36B)가 형성되는 것으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자중에 의해 치우친 영역(36C)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후크(36B)가 인양 연결구(34)와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인양 케이블(31)의 견인력이 이완되어 인양 연결구(34)가 하강하면 후크부재(36)가 지지축(36A)을 기준으로 회전하므로 후크(36B)가 걸림공(34A)에서 이탈될 수 있는 것이고, 이에 따라 인양 연결구(34)와 후크부재(36)의 걸림이 해제되는 것이다.
한편, 트리거 장치(30)는, 상,하 작동부재(42)의 상단부와 후크(36B)를 관통하는 안전핀(37)과, 상,하 작동부재(42)의 상단부 양쪽면에 각각 설치되어 당김 케이블(66)를 지지하고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안내 로울러(39)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안전핀(374)은, 상,하 작동부재(42)의 상단부와 후크부재(36)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후크부재(36)가 임의로 걸림해제 되지 않도록 한다. 즉, 시료 채취장치가 지상이나 선박에 위치할 때에는 후크부재(36)를 상,하 작동부재(42)에 결합하여 트리거 장치(3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트리거 장치(30)의 걸림 해제 작동은 후크부재(36)의 작동을 방지하는 안전핀(37)이 제거된 상태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방지용 걸림부재(38)는, 일단이 지지축(36A)에 결합된 것으로, 단부에는 회전부재(62)가 트리거 장치(30) 쪽으로 회전했을 때, 걸림단(62B)이 걸려 회전부재(62)의 회전 완료상태(박스 개폐부재가 시료 채취박스의 하부를 막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회전방지용 걸림부재(38)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항상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후크부재(36)와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후크부재(36)의 걸림이 해제되어 안내공(42A) 쪽으로 회전할 때 회전방지용 걸림부재(38)도 상향으로 회전하여 걸림단(62B)의 걸림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회전 작동부(60)는, 프레임부(20)가 해저면에 안착되어 트리거 장치(30)가 작동되면 인양 케이블(31)과 연결된 당김 케이블(66)에 의해 회전축(62A)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여 퇴적물에 삽입된 시료 채취박스(50)의 하부를 막아 채취된 시료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 장착부(44)의 양쪽 측면에 한 쌍의 회전부재(62)가 회전축(62A)으로 결합되고, 회전부재(62)의 일단부는 당김 케이블(66)에 의해 트리거 장치(30)의 인양 연결구(34)와 연결되며, 회전부재(62)의 타단부에는 원호형의 박스 개폐부재(64)가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박스 개폐부재(6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 채취박스(50)의 하단부와 같은 곡률을 갖는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회전부재(62)가 회전축(62A)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원호형의 시료 채취박스(50) 하단부에 간섭되지 않고 개구된 하단부를 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회전부재(62)는, 회전축(62A)에 결합되는 영역에서 걸림단(62B)이 구비된 영역까지 회전축(62A)의 수직 중심선에서 벗어난 위치로 절곡된 구조를 갖는다. 이는 일측으로 돌출된 회전방지용 걸림부재(38)에 걸림단(62B)이 용이하게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시료 채취박스(50)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사각 박스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하단부는 박스 개폐부재(64)의 곡률과 같은 곡률의 원호형 삽입부(54)가 형성된다. 원호형의 삽입부(54)는 박스 개폐부재(64)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해저면 퇴적층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며, 채취박스 커버부재(56)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시료 채취박스(50)의 일측면 상부영역에는 걸림바(53)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걸림바(53)는 작동 브라켓(46G)의 걸림후크(46E)에 걸리기 위한 것이다.
시료 채취박스(50)는, 박스 개폐부재(64)가 시교 채취박스(50)의 하부를 막아 채취된 시료의 유출을 방지한 상태에서, 박스 개폐부재(64)와 시료 채취박스(50)의 삽입부(54) 사이로 삽입되어 시료 채취박스(50)로 채취된 시료가 시료 채취박스(50)의 이동 중에 유출되지 않도록 시료 채취박스(50)의 개방된 하부를 막으면서 시료 채취박스(50)에 결합되는 채취박스 커버부재(58)를 더 포함한다.
채취박스 커버부재(58)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 채취박스(50)의 삽입부(54)와 같은 곡률을 갖는 막음부(58A)가 하단에 원호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막음부(58A)의 양쪽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결합부(58B)가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결합부(58B) 단부에는 일명 매미고리 클램프가 각각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채취박스 커버부재(58)의 한쪽에는 박스 개폐부재(64)와 시료 채취박스(50)의 삽입부(54) 사이로 삽입될 때, 시료 채취박스(50)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동제한 바(58C)가 마련된다.
따라서, 채취박스 커버부재(58)는 박스 개폐부재(64)와 시료 채취박스(50)의 삽입부(54) 사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매미고리 클램프의 고리가 시료 채취박스(50)의 양 측면에 마련된 고리에 걸림으로써 시료 채취박스(50)와 일체화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채취장치는, 프레임부(20)가 육상이나 선박에 안착된 상태에서 시료 채취박스(50)를 박스 장착부(44)에 장착하기 위하여 박스 장착부(44)의 내부 쪽으로 수평 이동시키거나, 박스 장착부(44)에서 탈거된 시료 채취박스(5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대차(70)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이동대차(70)는, 이동용 바퀴(72)를 구비하고,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면에 시료 채취박스(5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74)가 마련되고, 안착부(74)에 안착된 시료 채취박스(50)가 이동 중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유동방지로프(76)가 마련된다. 안착부(74)는, 원호형의 채취박스 커버부재(58)의 저면이 안착되도록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2개의 바로 이루어지며, 유동방지로프(76)는 이동대차(70)의 한쪽에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대에 고정된다. 이때, 유동방지로프(76)의 단부에는 매미고리 클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료 채취장치를 이용하여 해저면의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에 연결된 인양 케이블(31)이 인양 연결구(34)와 연결되고, 인양 연결구(34)의 걸림공(34A)에는 후크부재(36)의 후크(36B)가 걸린 상태이다. 물론, 안전핀(37)이 제거된 상태이며, 인양 케이블(31)이 크레인에 의해 당겨진 상태이므로 인양 연결구(34)와 후크부재(36)는 긴장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회전 작동부(60)는 수평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에 의해 시료 채취장치가 해저면에 안착되면, 상,하 작동부재(40)는 중량물(45)의 무게에 의해 작동공(22A)을 통하여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으로 박스 장착부(44)에 장착된 시료 채취박스(50)의 삽입부(54)가 해저의 퇴적층을 파고들어 삽입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4)이 해저면에 안착됨과 동시에 인양 연결구(34)가 하강하므로 인양 연결구(34)와 후크부재(36)의 긴장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후크부재(36)가 안내공(42A)이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후크(36B)가 걸림공(34A)에서 이탈되어 걸림이 해제된다. 이때 인양 연결구(34)의 하강거리는 후크부재(36)가 이탈될 정도이고, 후크부재(36)가 이탈되면 인양 연결구(34)는 상승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후크부재(36)가 한쪽으로 치우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안내핀(42B)이 안내공(42A)에 안내되어 하향으로 이동하므로, 상부 커버부재(47A)를 상향으로 당기고 있던 개폐용 와이어(47B)가 하강하게 되어, 상부 커버부재(47A)가 여 시료 채취박스(50)의 상부를 덮어 채취된 시료가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이 작동하여 인양 연결구(34)가 상승하면, 당김 케이블(66)이 상향으로 당겨지면서 수평상태로 있던 회전 작동부(60)를 회전시킨다. 회전 작동부(60)가 회전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개폐부재(64)가 시료 채취박스(50)의 하부 쪽으로 회전하여 시료 채취박스(50)의 하부를 막아 시료의 유출을 막음과 동시에 회전부재(62)의 걸림단(62B)이 회전방지 후크부재(38)에 걸려 상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고정된다.
전술한 과정으로 시료 채취장치가 선박으로 인양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박스 커버부재(58)를 박스 개폐부재(64)와 삽입부(54) 사이로 밀어 넣은 후 매미고리 클램프를 시료 채취박스(50)의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된 고리에 걸어 채취박스 커버부재(58)를 시료 채취박스(50)에 장착한다. 이 작업으로 채취박스 커버부재(58)는 시료 채취박스(50)와 일체화되어 시료 채취박스(50)가 박스 장착부(44)에서 분리되더라도 시료가 유출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을 하강 작동시켜 회전부재(62)는 하향으로 회전하고 박스 개폐부재(64)는 상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즉, 회전 작동부(60)가 수평상태가 되도록 인양 케이블(31)을 하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박스 개폐부재(64)가 시료 채취박스(50)의 하부에서 벗어나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차(70)를 시료 채취박스(50) 하부, 즉 프레임부(20)에 형성된 개구부(24A)를 통하여 작동공간(S)으로 이동시키고, 장착수단(46)의 조임너트(46H)를 풀어 작동축(46D)이 원호형 작동공(46C)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하도록 한 후, 작동 브라켓(46G)를 걸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후크(46E)가 걸림바(53)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이 과정으로 시료 채취박스(50)는 박스 장착부(44)에 고정된 상태가 해제된다.
이어서, 시료 채취박스(50)를 장착수단(46)이 구비된 방향의 반대 방향, 즉 개구부(24A) 방향으로 밀어 시료 채취박스(50)를 박스 장착부(44)에서 탈거시킨다.
이때, 시료 채취박스(50)는 양쪽의 안내단(51)이 박스 장착부(44)의 안내레일(44A)에 안내되어 개구부(24A)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어 이동대차(70)의 안착부(74)에 안착된다.
물론, 시료 채취박스(50)가 박스 장착부(44)에서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면 이동대차(70)에 상면에 시료 채취박스(50)를 위치시킨 후, 이동대차(70)를 개구부(24A) 방향으로 이동시켜 시료 채취박스(50)를 박스 장착부(44)에서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도 있다.
시료 채취박스(50)가 이동대차(70)에 안착되면, 유동방지로프(76)를 이용하여 시료 채취박스(50)를 이동대차(70)에 결속시켜 이동시 시료 채취박스(5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동대차(70)에 시료 채취박스(50)가 안착되어 결속되면 이동대차(70)를 작동공단(S)에서 개구부(24A)를 통하여 외부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박스 장착부(44)에 탈거된 시료 채취박스(50)가 수평 이동하여 이동대차(70)에 안착되고 이동대차(70)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유동이 최소화되어 시료의 교란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채취장치는, 프레임부(20)가 해저면에 안착되면 시료 채취박스(50)가 퇴적물로 삽입됨과 동시에 트리거 장치(30)가 걸림해제 작동되어 회전 작동부(60)를 회전 작동시켜 박스 개폐부재(64)가 시료 채취박스(50)의 하부를 막아 시료의 유출을 방지하고, 시료 채취장치가 선박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대차(70)를 이용하여 시료가 채워진 시료 채취박스(50)를 시료의 교란없이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20 : 프레임부 22 : 상부 프레임
24 : 하부 프레임 24A : 개구부
30 : 트리거 장치 31 : 인양 케이블
34 : 인양 연결구 36 : 후크부재
36A : 지지축 36B : 후크
38 : 회전방지용 걸림부재 40 : 상,하 작동부
42 : 상,하 작동부재 44 : 박스 장착부
45 : 중량물 47A : 상부 커버부재
46 : 장착수단
47B : 개폐용 와이어 50 : 시료 채취박스
51 : 안내단 53 : 걸림바
60 : 회전 작동부 62 : 회전부재
64 : 박스 개폐부재 70 : 이동대차
72 : 이동용 바퀴 74 : 안착부
76 : 유동방지로프

Claims (11)

  1. 해저면에 안착되는 하부 프레임의 일측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과 연결된 상부 프레임의 중앙에는 작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프레임 사이에 작동공간을 형성하도록 된 프레임부;
    상기 작동공에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하부 좌,우측에는 중량물이 구비되며 상단에는 인양 케이블과 연결되는 트리거 장치가 마련된 상,하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하단에는 상,하부가 개구된 시료 채취박스가 장착되거나 탈거되도록 된 박스 장착부가 마련된 상,하 작동부; 및
    상기 박스 장착부의 양쪽 측면에 한 쌍의 회전부재가 회전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부는 당김 케이블에 의해 상기 트리거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타단부에는 원호형의 박스 개폐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부가 해저에 안착되어 상기 트리거 장치가 작동되고 상기 상,하 작동부재가 하강하여 상기 박스 장착부에 장착된 시료 채취박스가 해저면에 삽입된 후 상기 당김 케이블의 상김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박스 개폐부재가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개방된 하부를 막아 시료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된 회전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장치는,
    상단부는 상기 인양 케이블과 연결되고, 양쪽 단부는 각각 상기 당김 케이블와 연결되며, 하단부에는 걸림공이 형성된 인양 연결구;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상단 내측에 일단부가 지지축으로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걸림공에 걸리기 위한 후크가 형성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당김 케이블의 당김 작동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부에 마련된 걸림단과 걸림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일단이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부재와 같이 소정 각도에서 회전 작동하는 회전방지용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후크의 수직 중심선이 상기 지지축의 수직 중심선과 어긋나도록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가 해저면에 안착되어 견인력이 제거된 상기 인양 연결구가 하강하여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공에서 걸림 해제되면, 상기 후크부재가 지지축을 중심으로 한쪽으로 치우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인양 연결구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장치는,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후크를 관통하는 안전핀과,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상단부 양쪽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당김 케이블를 지지하고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안내 로울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장착부에는,
    상기 프레임부가 해저에 안착되어 상기 시료 채취박스가 해저면에 삽입되면 상기 트리거 장치의 해제 작동과 연동되어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시료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유출방지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유출방지수단은,
    상기 박스 장착부의 저면 일측에 일단이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상부를 덮어 커버하기 위한 상부커버; 및
    일단이 상기 상부커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후크부재의 한쪽으로 치우친 영역에 연결되며,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인양 연결구와 결합되었을 때에는 상기 상부커버를 상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시료 채취박스를 개방하고,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인양 연결구와 분리되어 한쪽으로 치우친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에는 이완 되면서 상기 상부커버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상부를 덮도록 하기 위한 개폐용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상단부에는,
    한 쌍의 원호형 안내공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에는 상기 개폐용 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는 안내핀이 상기 후크부재의 한쪽으로 치우친 영역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장착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시료 채취박스가 슬라이딩 되어 결합되거나 탈거되도록 수평안내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수평안내수단은, 상기 박스 장착부의 내부 양쪽에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설치되는 안내레일; 및
    상기 안내레일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안내레일에 대응되는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안내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장착부에는,
    상기 수평안내수단에 의해 상기 박스 장착부 내부로 진입한 상기 시료 채취박스를 위치고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장착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박스 장착부의 내부 양측에 원호형의 작동공을 각각 구비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
    일단에는 하향으로 개구된 걸림후크가 형성되고, 중간부가 축에 의해 상기 지지 브라켓에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손잡이가 마련된 작동 브라켓; 및
    상기 원호형의 작동공에 대응되는 상기 작동 브라켓의 중간 영역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원호형의 작동공으로 노출되며, 각 양단에는 조임너트가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작동 브라켓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 고정축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안내수단에 의해 상기 박스 장착부 내측으로 진입하면, 상기 작동 브라켓을 회전시켜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일면에 마련된 장착용 걸림바에 걸리도록 한 후, 상기 조임너트를 조여 상기 작동 브라켓의 위치를 고정하여 상기 시료 채취박스가 상기 박스 장착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채취박스는,
    상기 박스 개폐부재가 상기 시교 채취박스의 하부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박스 개폐부재와 시료 채취박스 사이로 삽입되어 채취된 시료가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개방된 하부를 막으면서 상기 시료 채취박스에 결합되는 채취박스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프레임부가 육상이나 선박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하강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하강방지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하강방지수단은,
    상기 상,하 작동부재에 관통 형성되는 멈춤공; 및
    상기 멈춤공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가 육상이나 선박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시료 채취박스를 상기 박스 장착부에 장착하기 위하여 박스 장착부의 내부 쪽으로 수평 이동시키거나, 상기 박스 장착부에서 탈거된 상기 시료 채취박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대차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에는,
    상면에 상기 시료 채취박스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시료 채취박스가 이동 중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유동방지로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




KR1020150062701A 2015-05-04 2015-05-04 시료 채취장치 KR101577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701A KR101577323B1 (ko) 2015-05-04 2015-05-04 시료 채취장치
US15/571,656 US10288533B2 (en) 2015-05-04 2016-04-14 Sample collection apparatus
PCT/KR2016/003873 WO2016178479A1 (ko) 2015-05-04 2016-04-14 시료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701A KR101577323B1 (ko) 2015-05-04 2015-05-04 시료 채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323B1 true KR101577323B1 (ko) 2015-12-14

Family

ID=55021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701A KR101577323B1 (ko) 2015-05-04 2015-05-04 시료 채취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88533B2 (ko)
KR (1) KR101577323B1 (ko)
WO (1) WO201617847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653B1 (ko) 2017-08-09 2017-09-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해저면 시료 채취기
CN107219089A (zh) * 2017-08-09 2017-09-29 湖南科技大学 一种摆角分体箱式取样器及其取样方法
CN110455573A (zh) * 2019-07-08 2019-11-15 青岛海洋地质研究所 深海沉积物原位插管装置
CN112881084A (zh) * 2021-01-25 2021-06-01 江苏省水文水资源勘测局泰州分局 一种水土保持径流泥沙取样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60889B (zh) * 2017-08-28 2019-06-25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大通量底泥柱状采样装置及采样方法
CN109269837A (zh) * 2018-09-13 2019-01-25 上海大学 海底表层沉积物的取样装置及其装配方法
CN109267560A (zh) * 2018-11-08 2019-01-25 中交二航局成都城市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土体松散系数测定装置及方法
CN109238773A (zh) * 2018-12-06 2019-01-18 长沙开元仪器有限公司 一种防旋装置及采样系统
CN109540596B (zh) * 2019-01-21 2020-07-03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一种大口径采样器
CN109682633B (zh) * 2019-01-23 2020-07-03 青岛海洋地质研究所 一种自动多向可调式海洋沉积物岩心剖样方法
JP7150669B2 (ja) * 2019-06-27 2022-10-11 株式会社クボタ 土壌採取装置
CN110530677B (zh) * 2019-10-09 2021-09-21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一种海洋地质沉积物取样结构
CN110847144A (zh) * 2019-11-28 2020-02-28 孙琴 一种路基压实度检测装置
CN112033736B (zh) * 2020-09-22 2022-07-19 福建恒实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工程监理的取样系统
CN112697493B (zh) * 2020-12-10 2021-12-03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无扰动取样的沉积物原位修复模拟装置及方法
CN113358402B (zh) * 2021-06-04 2022-08-19 中国煤炭地质总局第一勘探局科教中心 一种用于工程地质勘探便于展开的土壤取样管
CN113640038B (zh) * 2021-06-22 2022-07-12 浙江大学 一种用于海底沉积物含上覆水的保压转移装置及方法
CN113514275B (zh) * 2021-07-07 2023-03-10 广东海洋大学 一种便于定位查找的海上采样装置
CN115004961B (zh) * 2022-05-27 2023-04-28 湖南润万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湖泊水草种植存活管理与控制系统
CN115030135B (zh) * 2022-06-13 2024-03-29 上海市基础工程集团有限公司 叠臂式地下连续墙槽取浆装置
CN114878235B (zh) * 2022-06-14 2023-08-22 长沙海纳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水泥净浆取样器
CN117054159A (zh) * 2023-03-15 2023-11-14 杭州瀚陆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高效率的深海取样装置
CN116929833B (zh) * 2023-07-27 2024-02-13 广东海洋大学 一种海洋地质环境勘探取样设备及取样方法
CN117309484B (zh) * 2023-09-26 2024-03-22 安徽配隆天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深层水质检测取样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324B1 (ko) 2011-08-11 2013-06-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복합식 시료 채취 장치
JP3188856U (ja) 2013-11-18 2014-02-13 株式会社東京久栄 採泥器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357A (en) * 1898-09-27 Dredging-bucket
US400936A (en) * 1889-04-09 Dredging-bucket
US321159A (en) * 1885-06-30 thompson
US1477679A (en) * 1921-08-18 1923-12-18 Woolley Edward Dredging bucket
US2136890A (en) * 1937-12-13 1938-11-15 Joel M Roberts Excavating bucket
US2242940A (en) * 1940-03-28 1941-05-20 Caoli Frank Automatic clamshell bucket
US3036393A (en) * 1960-01-06 1962-05-29 Jr James Baird Single line hoisting bucket
FR1410326A (fr) * 1964-07-28 1965-09-10 Benne de forage
US3693274A (en) * 1970-09-10 1972-09-26 Ugo Piccagli Clam shell excavator
US3762078A (en) * 1972-06-05 1973-10-02 Trippensee Corp Benthic dredge construction
US3934917A (en) * 1973-12-10 1976-01-27 Mcginnes Manufacturing Company Clamshell bucket apparatus
US3949497A (en) * 1974-08-23 1976-04-13 Trippensee Corporation Releasable latching apparatus for a benthic grab
GB1472163A (en) * 1974-09-16 1977-05-04 Preussag Ag Free-fall grab for pickung up ground samples from the sea bed
NO134943C (ko) * 1975-06-20 1977-01-12 Kongshavn Industri As
US4116069A (en) * 1976-07-16 1978-09-26 Georgy Mikhailovich Lezgintsev Device for taking bottom soil samples from deep water basins
US4129329A (en) * 1977-03-07 1978-12-12 International Dynetics Corporation Self-powered bucket arrangement
US4174131A (en) * 1978-04-21 1979-11-13 Royce Equipment Company, Division of McGinnes Manufacturing Co. Clamshell bucket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US4328987A (en) * 1978-09-19 1982-05-11 Zoudlik Adolph F Rope-actuated implements
US4381872A (en) * 1981-03-26 1983-05-03 Mcginnes Manufacturing Company Remote controlled clamshell bucket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US4373278A (en) * 1981-05-15 1983-02-15 Myrick Edward E Single line deep-sea bucket and release
US4908966A (en) * 1988-12-01 1990-03-20 Trippensee Corporation Benthic dredge construction
US5199194A (en) * 1991-09-30 1993-04-06 C-Core-Centre For Cold Ocean Resources Eng. Sea bottom sampler
US5836089A (en) * 1993-02-22 1998-11-17 Lipsker; Yitshaq Excavating equipment fitted with surface clamps
US5443294A (en) * 1993-09-22 1995-08-22 Hawco Manufacturing Co. Single-line clamshell bucket
US5540005A (en) * 1995-07-21 1996-07-30 Lynch; Robert P. Contaminated marine sediments dredging apparatus
US5649729A (en) * 1996-05-29 1997-07-22 Allied Power Products Inc. Single line grab system
US6463801B1 (en) * 1998-12-02 2002-10-15 Marsco, Inc.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measurement of sea-floor soil characteristics
US6684536B2 (en) * 2001-07-24 2004-02-03 James F. Anderson Sea grass slab planter and related process
NL1027337C2 (nl) * 2004-10-26 2006-04-27 Fugro Eng Bv Verplaatsbare draagconstructie.
NL1033589C2 (nl) * 2007-03-26 2008-09-29 Maasland Nv Samenstel van een melkrobot met een melkrobotvoerplaats, en inrichting voor het grijpen en verplaatsen van materiaal.
US7607643B1 (en) * 2008-01-03 2009-10-27 Anvil Attachments Fairlead
KR101064297B1 (ko) * 2010-01-28 2011-09-14 (주)해양정보기술 수중카메라를 구비한 채니기
KR101048528B1 (ko) * 2010-02-19 2011-07-1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해저 탐사장치 및 탐사방법
KR101056355B1 (ko) * 2011-03-24 2011-08-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미고결 퇴적물 채취장치 및 그를 이용한 미고결 퇴적물 채취방법
KR101361143B1 (ko) * 2012-06-15 2014-02-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비교란 채취가 가능한 주상시료 채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324B1 (ko) 2011-08-11 2013-06-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복합식 시료 채취 장치
JP3188856U (ja) 2013-11-18 2014-02-13 株式会社東京久栄 採泥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653B1 (ko) 2017-08-09 2017-09-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해저면 시료 채취기
CN107219089A (zh) * 2017-08-09 2017-09-29 湖南科技大学 一种摆角分体箱式取样器及其取样方法
US10139316B1 (en) 2017-08-09 2018-11-27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Bottom sampler
CN107219089B (zh) * 2017-08-09 2023-04-21 湖南科技大学 一种摆角分体箱式取样器及其取样方法
CN110455573A (zh) * 2019-07-08 2019-11-15 青岛海洋地质研究所 深海沉积物原位插管装置
CN112881084A (zh) * 2021-01-25 2021-06-01 江苏省水文水资源勘测局泰州分局 一种水土保持径流泥沙取样设备
CN112881084B (zh) * 2021-01-25 2022-06-28 江苏省水文水资源勘测局泰州分局 一种水土保持径流泥沙取样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43104A1 (en) 2018-05-24
US10288533B2 (en) 2019-05-14
WO2016178479A1 (ko)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323B1 (ko) 시료 채취장치
KR101092838B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US7413060B2 (en) Car fall-prevention apparatus
KR101577325B1 (ko)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
JP3181598U (ja) 底部採水器
KR100588479B1 (ko) 맨홀 뚜껑 개폐장치
KR100834000B1 (ko) 맨홀덮개 잠금장치
KR101524491B1 (ko)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
KR100775126B1 (ko) 맨홀덮개 잠금장치
JP2008026139A (ja) 浮遊砂採取器
KR20110011512U (ko)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
KR20120000345U (ko) 맨홀 뚜껑 개폐장치
JP4516672B2 (ja) マンホールの梯子兼用転落防止装置
NL1036953C2 (en) Mounting assembly with supporting bracket for mounting a water treatment unit in a water reservoir.
KR200490622Y1 (ko) 선박용 이동식 대빗
US20150241133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heater tube in a vessel
JP4855365B2 (ja) 地下構造物用転落防止装置
JP2013249626A (ja) マンホール用梯子
KR200436686Y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KR20200067720A (ko) 탄성링을 이용한 맨홀덮개 개폐 구조
GB2530993A (en) Fish-friendly water intake screen pivoting mounting base assembly with blanking capability
KR102620270B1 (ko) 배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전선보호용 트레이
FR3039141A1 (fr) Platine de levage et de manutention pour conteneurs semi enterres
EP2949816A1 (en) Safety anchorage for inspection wells
JP4551907B2 (ja) 転落防止用梯子および転落防止用梯子を備えた地下構造物用蓋の受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