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512U -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512U
KR20110011512U KR2020100005941U KR20100005941U KR20110011512U KR 20110011512 U KR20110011512 U KR 20110011512U KR 2020100005941 U KR2020100005941 U KR 2020100005941U KR 20100005941 U KR20100005941 U KR 20100005941U KR 20110011512 U KR20110011512 U KR 201100115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ver
closing
hinge
g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0838Y1 (ko
Inventor
강종옥
정용기
Original Assignee
강종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종옥 filed Critical 강종옥
Priority to KR2020100005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838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5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5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8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8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5Gully gratings with elastic locking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유체가 통과 가능한 다수의 배수홀(12a)과, 상기 배수홀(12a)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개구부(14)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개구부(1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200)과, 상기 개폐수단(200)이 상기 몸체(10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잠궈지도록 하는 잠금수단(3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잠금수단(300)은, 상기 몸체(100)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는, 그레이팅에 필요한 높은 내구성을 유지하는 한편, 배수로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A GRATING WITH PARTIAL OPENING DOOR}
본 고안은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빗물 등의 유체가 배수는 배수홀이 형성된 그레이팅에 있어서, 그레이팅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도로의 가장자리 등에 형성되는 배수로 상부에 설치되어 빗물 등의 유체의 배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로 등에 빗물 등의 유체가 발생하는 경우, 유체가 도로의 경사로를 통해 낮은곳에 위치하는 배수로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되는 유체는 배수로 상단에 설치된 그레이팅의 배수홀을 통해 배수로로 유입되게 된다.
이러한 그레이팅은, 지면과 동일 높이로 수평하게 설치되며, 그레이팅의 상부로 차량 또는 보행자가 통행하게 된다. 따라서,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주로 스틸재로 구성되며, 다수개의 빔들이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어져 배수홀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그레이팅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그레이팅의 내구성을 위해 스틸 등의 재질로 구성할 경우에, 그레이팅의 중량으로 인해 배수로 상부로부터의 분리가 어렵다. 따라서, 유체와 함께 배수로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어려우므로, 배수로가 막히게 되고,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배수로 상부로부터 그레이팅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그 중량으로 인해 작업자의 부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레이팅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량의 재질로 구성할 경우에는, 그레이팅 상부를 통행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좋지 못하고, 배수로로부터의 필요 외의 이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레이팅을 중량의 재질로 구성할 수 있어 높은 내구성을 유지하는 한편, 배수로 내부의 이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은, 유체가 통과 가능한 다수의 배수홀과 상기 배수홀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개구부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수단이 상기 몸체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잠궈지도록 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몸체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일단에 구비되어 덮개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힌지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개구부에는, 상기 덮개의 하단을 지지하는 걸림턱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개폐수단 또는 몸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힌지와, 상기 고정힌지와 대응되는 위치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동힌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유동힌지는, 상기 몸체와 덮개를 관통하여 덮개의 회전축 기능을 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이 몸체 또는 덮개에 장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힌지축이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강제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몸체와 덮개를 선택적으로 관통하여 덮개의 개폐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일단에는 인체의 일부가 걸어지는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잠금바와, 상기 몸체 또는 덮개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바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바가 탄성에 의해 유동되도록 강제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잠금바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와 덮개에는, 유체의 유동이 가능한 배수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테두리에는, 측면지지대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와 덮개에는, 전후 또는 좌우를 가로지르는 보강부재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에 의하면, 그레이팅에 필요한 높은 내구성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즉, 그레이팅을 스틸재 등의 금속재료로써 구성하여, 그레이팅 상부를 통행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개폐수단의 하단을 지지하는 걸림턱을 강하게 형성하여, 그레이팅 상부를 통행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하중을 견디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그레이팅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배수로 내부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로 내부의 이물질 누적으로 인한 막힘 현상과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잠금수단이 그레이팅 상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일반인들이 함부로 개폐수단을 열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개폐수단을 개폐하는 경우 발생하는 고장 및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그레이팅에 의하면, 타 장치와의 결합시에도 효과적인 이물 제거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근래에는 역류 차단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악취차단장치 등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악취차단장치의 상측에 본 발명과 같은 그레이팅을 부가하여 세트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악취차단장치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본 발명의 개폐수단을 개방하여 이물질을 상측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의 개폐수단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의 몸체를 제외한 개폐수단 및 잠금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의 개폐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의 일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의 개폐수단이 개폐된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의 몸체를 제외한 개폐수단 및 잠금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의 개폐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은,
배수홀(12a) 및 개구부(14)가 형성되는 몸체(100)와, 몸체(100)의 개구부(1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200)과, 몸체(100)에 개폐수단(200)을 선택적으로 체결시키는 잠금수단(300) 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몸체(100)에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배수홀(12a)이 다수개 형성된다. 즉, 상기 배수홀(12a)은, 가늘고 긴 형상의 관통홀이, 상기 몸체(100)부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홀(12a)은, 상기 몸체(100) 상부로 유입되는 빗물 등의 유체가, 하측의 배수로(미도시)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며, 상기 배수홀(12a)보다 크기가 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홀(12a)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개구부(14)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4)는, 상기 배수홀(12a)을 통해 배수로(미도시)로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개구부(14)를 통해 작업자가 손 또는 도구 등을 배수로 내부로 삽입하여, 배수로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0)의 개구부(14)에는, 걸림턱(16)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걸림턱(16)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4)의 하단에, 상기 개구부(14)의 내측으로 돌출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6)은, 아래에서 설명할 개폐수단(200)의 덮개(22)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6)은, 충분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할 덮개(22) 상부로 통행하는 사람 또는 차량 등의 하중을 견디도록, 덮개(22)의 하단을 견고하게 지지한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테두리에는, 측면지지대(102)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측면지지대(102)는, 상기 몸체(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는, 전후 또는 좌우를 가로지르는 보강부재(104a)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104a)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홀(12a)의 사이의 공간에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104a)는,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주어지는 하중을 견디도록, 상기 몸체(100)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구부(14)에는, 상기 몸체(100)의 개구부(1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200)이 구비된다. 상기 개폐수단(200)은, 상기 개구부(1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덮개(22)와, 상기 덮개(22)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힌지부재(4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덮개(22)는, 상기 개구부(14)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4)에 삽입된다. 즉, 도 1,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2)는, 하부가 상기 개구부(14)에 삽입되며, 상면이 상기 몸체(100)의 상면과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덮개(22)는, 상기 개구부(14)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22)에는, 유체의 유동이 가능한 배수홀(12b)이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배수홀(12b)은, 상기 덮개(22) 상부로 유입되는 빗물 등의 유체가, 하측의 배수로(미도시)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며, 상기 배수홀(12b)보다 크기가 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가 아래에서 설명할 잠금수단(300)를 조작하기 위해 손가락 또는 도구를 삽입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덮개(22)에는, 덮개측면지지대(24)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덮개측면지지대(24)는, 상기 개구부(14)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개구부(14) 하단의 걸림턱(16)에 접한다. 상기 덮개측면지지대(24)는, 상기 걸림턱(16)에 걸려 상기 덮개(22)가 더 이상 하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덮개측면지지대(24)는, 상기 덮개(22)가 회전할 때에, 회전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3면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22)의 하부에는, 전후 또는 좌우를 가로지르는 보강부재(104b)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104b)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2)의 배수홀(12b)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104b)는, 상기 덮개(22)의 상부에 주어지는 하중을 견디도록, 상기 덮개(22)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22)에는, 힌지부재(400)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부재(400)는, 상기 덮개(22)의 하단 일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재(400)는, 상기 개폐수단(200) 또는 몸체(10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힌지(410)와, 상기 고정힌지(4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동힌지(42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힌지(410)는, 상기 덮개(22)의 하단 일측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고정힌지(410)는, 상기 몸체(100)와 덮개(22)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축홀(10a)에 삽입된다.
상기 유동힌지(420)는, 상기 덮개(22)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힌지(410)와 평행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힌지(410)와 상기 유동힌지(420)는, 상기 덮개(22)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하(도 3에서)로 평행하게 구비된다.
상기 유동힌지(420)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덮개(22)를 상기 몸체(100)로부터 탈착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유동힌지(420)는, 힌지축(42)과 지지부재(44) 및 스프링(4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축(42)은, 상기 몸체(100)와 덮개(22)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축홀(10b)에 삽입된다. 상기 힌지축(42)은, 아래에서 설명할 지지부재(4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힌지축(42)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축(42)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손잡이(42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축(42)은, 지지부재(44)에 의해 상기 몸체(100) 또는 덮개(22)에 장착된다. 상기 지지부재(44)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2)의 하면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재(44)는, 상기 덮개(22)와 접하는 밑면(44a)에, 상기 밑면(44a)의 양측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수직면(44b)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지지부재(44)는, 도 3에서 도시된 도면에서 우측으로 봤을 때, 'ㄷ'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면(44b)에는, 관통공(미도시)이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힌지축(42)이 관통되어 삽입된다.
상기 지지부재(44)는, 상기 힌지축(42)이 상기 몸체(100) 또는 상기 덮개(22)에 장착되도록 지지하며, 상기 힌지축(42)이 상하(도 3에서)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힌지축(42)의 외측에는, 스프링(46)이 구비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46)에는, 상기 힌지축(42)이 관통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46)은, 상기 지지부재(44)를 관통하는 상기 힌지축(42)의 중간부에 장착된다.
상기 스프링(46)은, 상기 힌지축(42)이 일측, 즉 상측(도 3에서)으로 이동하여, 상기 몸체(100)의 축홀(10b)에 삽입되도록 힘을 강제한다.
한편, 상기 힌지축(42)에는, 상기 스프링(46)의 탄성력(압축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스프링(46)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단(4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46)의 하단(도 3에서)은, 상기 지지부재(44)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46)의 상단(도 3에서)은, 상기 힌지축(42)의 상기 지지단(48)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상기 개폐수단(200)에는, 잠금수단(300)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개폐수단(200)의 상기 덮개(22) 하면에는, 잠금수단(300)이 구비된다. 상기 잠금수단(300)은, 상기 몸체(100)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수단(300)은, 상기 개폐수단(200)이 상기 몸체(10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잠가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잠금수단(300)은, 잠금바(32)와, 지지브라켓(34) 및 탄성부재(3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잠금바(32)는, 상기 몸체(100)와 덮개(22)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잠금홀(10c)에 삽입된다. 상기 잠금바(32)는, 상기 힌지부재(400)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바(32)는, 아래에서 설명할 지지브라켓(3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잠금바(32)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축(42)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인체의 일부가 걸어지는 손잡이부(32a)가 형성된다.
상기 잠금바(32)는, 상기 몸체(100)와 덮개(22)를 선택적으로 관통하여 덮개(22)의 개폐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잠금바(32)는, 지지브라켓(34)에 의해 상기 몸체(100) 또는 덮개(22)에 장착된다. 상기 지지브라켓(34)은,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2)의 하면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브라켓(34)은, 상기 덮개(22)와 접하는 밑면(34a)에, 상기 밑면의 양측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수직면(34b)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지지브라켓(34)은, 도 3에서 도시된 도면에서 하측으로 봤을 때, '└┘'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면(34b)에는, 관통공(미도시)이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잠금바(32)가 관통되어 삽입된다.
상기 지지브라켓(34)은, 상기 잠금바(32)가 상기 몸체(100) 또는 상기 덮개(22)에 장착되도록 지지하며, 상기 잠금바(32)가 좌우(도 3에서)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잠금바(32)의 외측에는, 탄성부재(36)가 구비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36)에는, 상기 잠금바(32)가 관통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6)는, 상기 지지브라켓(34)을 관통하는 상기 잠금바(32)의 중간부에 장착된다.
상기 탄성부재(36)는, 상기 잠금바(32)가 일측, 즉 우측(도 3에서)으로 이동하여, 상기 몸체(100)의 잠금홀(10c)에 삽입되도록 힘을 강제한다.
한편, 상기 잠금바(32)에는, 상기 탄성부재(36)의 탄성력(압축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탄성부재(36)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턱(3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6)의 좌측단(도 3에서)은, 상기 지지브라켓(34)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36)의 우측단(도 3에서)은, 상기 잠금바(32)의 상기 지지턱(38)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를들어, 배수로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누적되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그레이팅의 개폐수단(200)을 개폐해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200)을 열기 위해서는, 상기 개폐수단(200)의 덮개(22)에 형성된 배수홀(12b)을 통해 삽입되는 작업자의 손가락 또는 도구에 의해 상기 덮개(22) 하부에 구비된 잠금수단(300)을 조작한다.
보다 상세하게, 작업자가 손가락 또는 도구를 상기 배수홀(12b)로 삽입하여, 상기 잠금수단(300)에 구비된 잠금바(32)의 손잡이부(32a)를 걸어 당기면, 상기 잠금바(32)가 몸체(100)의 잠금홀(10c)에서 이탈된다.
상기 잠금바(32)가 상기 잠금홀(10c)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22)를 상측으로 당기면, 상기 덮개(22)가 힌지부재(400)를 축으로하여, 회전(도 2에서 시계 방향)하면서 열리고, 몸체(100)에 형성된 개구부(14)가 개방된다.
상기 개구부(14)가 개방되면, 상기 개구부(14)를 통해 작업자의 팔이나 도구를 배수로 내로 삽입하여, 상기 배수로 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수로 내의 이물질이 제거되면, 상기 잠금바(32)의 손잡이부(32a)를 당긴 상태로, 상기 덮개(22)를 하측으로 회전(도 2에서 반시계 방향)시킨다.
상기 덮개(22)를 회전(도 2에서 반시계 방향)시켜서 닫히게 되면, 상기 덮개(22)의 덮개측면지지대(24)가 상기 개구부(14)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16)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 덮개(22)의 상기 덮개측면지지대(24) 상기 걸림턱(16)에 걸려 더 이상 하측으로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면, 상기 잠금바(32)의 손잡이부(32a)를 놓는다. 그러면, 상기 잠금바(32)에 구비된 탄성부재(36)의 탄성 의해 상기 잠금바(32)가 상기 몸체(100)쪽으로 강제 이동하고, 상기 잠금바(32)의 일부(도 3에서 우측단)가 상기 몸체(100)의 잠금홀(10c)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수단(200)은, 상기 덮개(22)가 상기 개구부(14)를 차단한 상태에서, 몸체(100)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상기 개폐수단(200)은, 필요시에만 선택적으로 열어, 상기 개구부(14)를 개방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상기 개폐수단(200)으로 인해, 상기 개구부(14)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개폐수단(200)의 덮개(22) 상면은, 상기 몸체(100)의 상면과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본 고안인 그레이팅의 상부로 사람이나 차량의 통행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몸체(100)의 상면은, 도로면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상기 몸체(100)와 덮개(22)의 하부에는, 보강부재(104a, 104b)가 형성되어, 그레이팅 상부에 사람이나 차량이 통행할 때에, 그 하중을 견디도록 지지해주며, 상기 몸체(100) 및 덮개(22)가 아래로 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와 덮개(22)에는, 배수홀(12a, 12b)이 형성되어, 빗물 등의 유량을 효과적으로 배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수단(200)은 탈착이 용이한 구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수단(200)이 손상되어, 교체해야 할 때에, 상기 개폐수단(200)의 힌지부재(400)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100)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200)을 상기 몸체(100)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개폐수단(200)의 덮개(22)에 형성된 유동힌지(420)를 조작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개폐수단(200)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유동힌지(420)에 구비된 힌지축(42)의 손잡이(42a)를 당기면, 상기 힌지축(42)이 몸체(100)의 축홀(10b)에서 이탈된다.
상기 힌지축(42)이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힌지(420)의 반대편에 구비된 고정힌지(410)를 축홀(10a)에서 이탈시키면, 상기 몸체(100)로부터 상기 개폐수단(200)이 분리된다.
반대로, 상기 개폐수단(200)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힌지(410)를 축홀(10a)에 삽입하고, 상기 유동힌지(420)의 힌지축(42)을 상기 몸체(100)의 축홀(10b)에 대응시킨다.
상기 힌지축(42)과 상기 축홀(10b)이 일직선을 이루면, 상기 힌지축(42)의 손잡이(42a)를 놓는다. 그러면, 상기 힌지축(42)에 구비된 스프링(46)의 탄성 의해 상기 힌지축(42)이 상기 몸체(100)쪽으로 강제 이동하고, 상기 힌지축(42)의 일부가 상기 몸체(100)의 축홀(10b)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수단(200)이 상기 몸체(100)에 장착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에서는 잠금수단이 덮개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기술하였으나, 몸체의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잠금수단이 몸체부에 구비되고 잠금홀이 덮개부에 형성되어, 잠금바의 이동이 덮개부 쪽으로 강제 이동되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힌지부재가 덮개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기술하였으나, 몸체의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힌지부재가 몸체부에 구비되고 삽입홀이 덮개부에 형성되어, 힌지축의 이동이 덮개부 쪽으로 강제 이동되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힌지부재를 체결한 후에, 유동힌지의 손잡이를 덮개에 용접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힌지부재가 몸체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유동힌지의 손잡이를 몸체부에 용접시켜 고정 시킬 수 있다.
12a, 12b : 배수홀 14 : 개구부
16 : 걸림턱 22 : 덮개
24 : 덮개측면지지대 32 : 잠금바
34 : 지지브라켓 36 : 탄성부재
38 : 지지턱 42 : 힌지축
44 : 지지부재 46 : 스프링
48 : 지지단 100 : 몸체
102 : 측면지지대 104a, 104b : 보강부재
200 : 개폐수단 300 : 잠금수단
400 : 힌지부재 410 : 고정힌지
420 : 유동힌지 300 : 잠금수단

Claims (5)

  1. 유체가 통과 가능한 다수의 배수홀(12a)과, 상기 배수홀(12a)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개구부(14)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개구부(1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200)과;
    상기 개폐수단(200)이 상기 몸체(10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잠궈지도록 하는 잠금수단(3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잠금수단(300)은, 상기 몸체(100)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200)은,
    상기 개구부(1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덮개(22)와, 상기 덮개(22)의 일단에 구비되어 덮개(22)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힌지부재(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몸체(100)의 개구부(14)에는,
    상기 덮개(22)의 하단을 지지하는 걸림턱(16)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400)는,
    상기 개폐수단(200) 또는 몸체(10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힌지(410)와, 상기 고정힌지(4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동힌지(4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유동힌지(420)는,
    상기 몸체(100)와 덮개(22)를 관통하여 덮개(22)의 회전축 기능을 하는 힌지축(42)과, 상기 힌지축(42)이 몸체(100) 또는 덮개(22)에 장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44)와, 상기 힌지축(42)이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강제하는 스프링(46)과, 상기 스프링(46)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단(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300)은,
    상기 몸체(100)와 덮개(22)를 선택적으로 관통하여 덮개(22)의 개폐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일단에는 인체의 일부가 걸어지는 손잡이부(32a)가 구비되는 잠금바(32)와;
    상기 몸체(100) 또는 덮개(22)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바(32)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34)과;
    상기 지지브라켓(34)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바(32)가 탄성에 의해 유동되도록 강제하는 탄성부재(36)와;
    상기 잠금바(32)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36)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턱(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와 덮개(22)에는, 유체의 유동이 가능한 배수홀(12a, 12b)이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테두리에는, 측면지지대(102)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와 덮개(22)에는, 전후 또는 좌우를 가로지르는 보강부재(104a, 104b)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
KR2020100005941U 2010-06-07 2010-06-07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 KR2004608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941U KR200460838Y1 (ko) 2010-06-07 2010-06-07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941U KR200460838Y1 (ko) 2010-06-07 2010-06-07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512U true KR20110011512U (ko) 2011-12-14
KR200460838Y1 KR200460838Y1 (ko) 2012-06-11

Family

ID=46607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941U KR200460838Y1 (ko) 2010-06-07 2010-06-07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83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452B1 (ko) * 2013-05-06 2013-12-02 민성준 받침이 구비된 맨홀 덮개
KR101365250B1 (ko) * 2011-12-21 2014-02-21 한솔크린텍주식회사 스틸그레이팅
KR20160046197A (ko) * 2014-10-20 2016-04-28 한국전력공사 그레이팅 안전 출입장치
KR101977528B1 (ko) * 2018-01-16 2019-05-10 최지영 다기능 안전맨홀덮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31994B1 (en) * 2022-05-26 2023-01-06 China Railway Northeast Invest Development Co Ltd Environmental-protection rainwater inlet pipeline filter device for ecological green belt of municipal roa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4701Y2 (ko) * 1988-08-12 1992-10-21
JPH09184104A (ja) * 1995-12-28 1997-07-15 Nippon Sutetsupu Kogyo Kk グレーチング
JP2002294618A (ja) * 2001-04-03 2002-10-09 Japan Life Kk グレーチング
KR20090096942A (ko) * 2008-03-10 2009-09-15 이필승 스틸그레이팅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250B1 (ko) * 2011-12-21 2014-02-21 한솔크린텍주식회사 스틸그레이팅
KR101335452B1 (ko) * 2013-05-06 2013-12-02 민성준 받침이 구비된 맨홀 덮개
KR20160046197A (ko) * 2014-10-20 2016-04-28 한국전력공사 그레이팅 안전 출입장치
KR101977528B1 (ko) * 2018-01-16 2019-05-10 최지영 다기능 안전맨홀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838Y1 (ko) 2012-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1512U (ko)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
KR101295818B1 (ko) 잡물 유입방지용 맨홀덮개
KR101998353B1 (ko) 오물 및 악취 차단 기능을 갖는 그레이팅
KR101558325B1 (ko) 악취방지 및 해충의 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맨홀용 악취 차단장치
US11761190B2 (en) Stormwater inlet seal and a stormwater inlet
KR200446850Y1 (ko) 배수용 집수구
KR101988841B1 (ko) 강우에 의한 자동개폐 가능한 스틸그레이팅
JP6854159B2 (ja) 側溝用蓋
KR100681844B1 (ko) 도로의 가변에 설치되는 배수박스구조
NL2004578C2 (en) Improved gulley.
KR100623426B1 (ko) 이물질 유입방지용 부재가 설치된 도로 배수로
KR101365250B1 (ko) 스틸그레이팅
KR100799509B1 (ko) 잠금수단을 갖는 힌지형 그레이팅
JP3986418B2 (ja) ゴミ除去用スクリーン付き溝蓋
JP2010031629A (ja) グレーチング用固定具
KR102467582B1 (ko) 빗물 배수구의 개폐장치
KR100830685B1 (ko) 유로 개폐용 밸런스게이트를 갖는 그레이팅
RU112683U1 (ru) Элемент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дождеприемного канала и пескоуловитель
KR20120003412U (ko) 배수 트랩
JP2015081432A (ja) 泥溜部用土砂分離装置
JP2006045987A (ja) 排水用ストレーナ
JP6894072B2 (ja) 排水路の集水口用グレーチング外れ止め装置
JP5722948B2 (ja) フィルター構造体及び長尺のフィルター構造体
KR20140122989A (ko) 잡물 유입방지용 맨홀덮개
KR100970748B1 (ko) 하수도용 준설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