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748B1 - 하수도용 준설구 - Google Patents

하수도용 준설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748B1
KR100970748B1 KR1020080024072A KR20080024072A KR100970748B1 KR 100970748 B1 KR100970748 B1 KR 100970748B1 KR 1020080024072 A KR1020080024072 A KR 1020080024072A KR 20080024072 A KR20080024072 A KR 20080024072A KR 100970748 B1 KR100970748 B1 KR 100970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edging
plate
width
dredge
s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8594A (ko
Inventor
이호천
박동형
Original Assignee
보은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은군 filed Critical 보은군
Priority to KR1020080024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748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되어 노면의 배수는 물론 오수(汚水) 또는 우수(雨水)를 배제, 처리하는 하수도에 적체된 퇴적물을 준설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조준설판을 폭 방향으로 신축하면서 전체적인 준설폭을 자유롭게 제어하여 다양한 규격의 폭을 갖는 하수도에 맞춤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보조준설판에 설치된 자동 폭가변판이 자동으로 출몰하면서 하수도의 측벽에 밀착되어 퇴적물을 빠짐없이 준설함은 물론 준설판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도용 준설구에 관한 것이다.
하수도, 준설, 준설폭, 준설판, 가변, 관측카메라

Description

하수도용 준설구{Dredger for Sewerage}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되어 노면의 배수는 물론 오수(汚水) 또는 우수(雨水)를 배제, 처리하는 하수도에 적체된 퇴적물을 준설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조준설판을 폭 방향으로 신축하면서 전체적인 준설폭을 자유롭게 제어하여 다양한 규격의 폭을 갖는 하수도에 맞춤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보조준설판에 설치된 자동 폭가변판이 자동으로 출몰하면서 하수도의 측벽에 밀착되어 퇴적물을 빠짐없이 준설함은 물론 준설판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도용 준설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에는 지표면에 떨어지는 우수를 집수하여 하천으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도로에 인접한 가옥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의 배수구 역할을 수행하는 하수도(일명 "측구"라 함)가 설치된다.
상기한 종래의 하수도는 통상 우수와 함께 각종 쓰레기, 오물 등의 퇴적물이 바닥면에 적체됨으로써 장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우수의 흐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오물이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하며, 특히 우수의 흐름 방해로 인해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외부로 우수가 범람하여 가옥을 침수시키는 재해를 발생하는 심각 한 문제점이 야기되는바 반드시 정기적으로 이를 제거 및 청소하는 작업을 실시하여야만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하수도의 준설작업을 시행함에 있어 반드시 인력에 의존하여 덮개를 분리, 개방시켜야만 퇴적물의 준설이 가능함에 따라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노동력을 요하는 것이었다.
즉 상기 덮개는 철근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중량이 많이 나가 개폐작업에 많은 힘이 들고, 특히 개폐작업시 모서리부가 빈번하게 파손됨은 물론 이에 따라 도시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준설작업시 별도의 준설장비를 이용하여 퇴적물을 준설함에 따라 막대한 예산이 소요됨은 물론 준설작업시 준설장비의 대형화로 인해 교통의 흐름에 방해를 초래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 출원인의 선등록 발명인 「특허등록 제808273호 명칭 준설이 용이한 하수도」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선등록 발명은 도 1과 같이 하수도(1)의 양측 측벽(2) 상단에 하수도상판(3)이 설치되고, 상기 하수도의 내부에 준설구를 투입한 후 준설구 이동로(4)를 따라 이동하면서 바닥에 적체된 퇴적물을 밀어내고, 상기 준설구에 의해 밀리는 퇴적물은 하수도의 중간중간에 설치된 퇴적조로 수거되는 것이었다.
한편, 종래의 하수도는 규격이 단일화되지 못하고 도로의 여건이나 하수의 처리량에 따라 다양한 폭을 갖는 규격으로 제작되어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하수도가 다양한 폭을 갖는 규격임에도 선등록 발명의 준설구는 준설판의 규격이 일정하게 제한됨으로써 이를 다양한 규격의 하수도에 맞춤으로 사용할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준설판의 폭에 비해 하수도의 폭이 큰 경우에는 퇴적물을 한꺼번에 빠짐없이 준설할 수 없고, 다만 반복적인 작업을 통해서만 하수도의 전체영역을 말끔하게 준설할 수 있으며, 상기 준설판의 폭에 비해 하수도의 폭이 작은 경우에는 준설판을 하수도의 길이방향과 직교로 위치할 수 없어 퇴적물이 일측으로 쏠리면서 준설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로 인해 다양한 규격을 갖는 하수도의 준설작업을 모두 수행하기 위해서는 하수도의 규격에 알맞는 개별적인 다양한 규격의 준설구를 다수로 구비하여야만 하는 실정이다.
또한, 하수도의 측벽이 평탄하지 않거나 굴곡이 발생하는 경우 준설판이 걸리면서 원활한 준설작업이 불가함은 물론 준설판이 파손될 우려가 있는 것이었다.
더욱이 하수도상판에 의해 하수도 내부가 가려진 상태이므로 준설작업시 하수도 내의 시야를 확보할 수 없어 준설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준설구가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준설판의 폭을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하수도의 규격 에 관계없이 최적의 맞춤상태로 준설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하수도 내부의 상태를 관측카메라로 촬영한 후 지상에서 모니터를 통해 확인하면서 준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준설판의 양측에 폭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수도의 전체폭에 알맞도록 준설폭을 자유자재로 신축조절하는 보조준설판을 설치하도록 함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조준설판의 선단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출몰하면서 하수도의 측벽에 밀착된 상태로 준설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 폭가변판을 설치하도록 함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준설판에 연결된 고정대에 관측카메라를 설치하고 이 관측카메라가 촬영한 하수도의 내부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를 핸들에 설치하도록 함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준설판의 양측에 폭 방향으로 이동 자유로운 보조준설판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보조준설판의 신축조절에 따라 하수도의 규격에 관계없이 모든 하수도의 전체폭에 알맞도록 준설폭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어 단일 준설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규격의 하수도를 준설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조준설판의 선단에는 자동 폭가변판이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됨으로써 상기 자동 폭가변판이 자동으로 출몰하면서 하수도의 측벽에 밀착되어 단일준설작업만으로도 하수도의 전체영역을 빈틈없이 준설함은 물론 하수도의 소정구간 이 돌출되거나 굴곡지더라도 자동 폭가변판이 수축하면서 충격을 완화하여 준설판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준설판에 연결된 고정대에 관측카메라가 설치됨으로써 준설작업시 하수도의 내부상태를 촬영한 후 모니터를 통해 지상에서 확인할 수 있어 준설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실시함은 물론 상기 고정대에는 핸들과 연결된 길이가변대가 길이가변 조절구를 매개로 결합됨으로써 핸들의 높낮이를 작업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자유자재로 제어하여 작업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핸들(5)과 연결된 고정대(6)의 하단에 준설판(7)이 설치된 준설구에 있어서,
상기 준설판(7)의 후면 양측에 상하로 이격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돌기(10)와; 상기 가이드돌기(10)에 슬라이딩홈(21)이 관통된 상태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보조준설판(20)과; 상기 가이드돌기(10)에 나사 결합되고 록킹/언록킹 조작에 따라 보조준설판(20)의 이동을 제어하는 준설폭 제어구(3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은 준설판(7)의 폭 방향 길이가 제한적으로 형성됨을 탈 피하여 폭 방향으로 길이를 자유롭게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을 갖는 하수도의 준설작업을 하나의 준설구를 이용하여 모두 소화할 수 있음을 발명의 지배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상기 준설판(7)의 후면 양측에는 각각 한 쌍의 가이드돌기(10)가 상하로 이격 설치되되 이 가이드돌기(10)는 보조준설판(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기본적인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나사부가 형성됨으로써 준설폭 제어구(30)를 록킹/언록킹하여 준설판(7)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돌기(10)에 안내되어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보조준설판(20)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10)에 관통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홈(21)이 이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10)에는 준설폭 제어구(30)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준설폭 제어구(30)의 록킹 조작시 보조준설판(2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준설작업이 가능하며, 상기 준설폭 제어구(30)의 언록킹 조작시 보조준설판(20)을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준설폭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하수도(1)의 규격에 따라 준설폭을 조절할 경우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설폭 제어구(30)를 언록킹한 후 보조준설판(20)을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소망하는 준설폭으로 조절하고, 상기 준설폭 제어구(30)를 록킹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보조준설판(20)을 이용하여 하수도(1)의 준설폭을 대폭으로 조절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준설폭을 보다 미세하게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보조준설판(20)이 하수도(1)의 측벽(2) 내면에 밀착하도록 하는 준설폭 자동조절장치(40)가 추가로 구비된다.
이를 위한 준설폭 자동조절장치(40)는 보조준설판(20)의 선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준설판(7)의 후면에는 로드봉 케이싱(41)이 부착되고, 이 로드봉 케이싱(41)의 내부에 텐션 로드봉(42)이 외부로 돌출하도록 내장되되 상기 텐션 로드봉(42)은 스프링(43)으로 탄력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프링(43)의 탄성에 의해 텐션 로드봉(42)이 로드봉 케이싱(41)의 내, 외부로 출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텐션 로드봉(42)의 선단은 보조준설판(20)의 전면에 중첩된 상태로 보조준설판(20)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된 자동 폭가변판(45)과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자동 폭가변판(45)은 하수도(1)의 전체폭이 좁거나 또는 측벽(2)의 소정구간이 돌출된 경우 도 7과 같이 내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자동으로 준설폭을 조절함은 물론 탄성을 축적함으로써 원상태로 복원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수도(1)의 측벽(2)이 평탄하지 않고 굴곡지더라도 상기 자동 폭가변판(45)이 자동으로 작동함으로써 자동 폭가변판(45)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항상 측벽(2)에 밀착상태를 유지하여 준설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하수도(1)의 전체적인 폭이 상기 한 쌍의 자동 폭가변판(45)의 사이 폭보다 협소한 경우에도 도 4와 같이 준설구를 하수도(1)에 투입시킨 후 회전시키면 상기 자동 폭가변판(45)이 측벽(2)에 밀착됨과 동시에 수축함에 따라 파손을 방 지하면서도 하수도(1) 측벽(2)과는 우수한 기밀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자동 폭가변판(45)의 측면에는 충격방지롤러(46)가 추가로 설치됨으로써 자동 폭가변판(45)이 측벽(2)에 밀착될 때 충격을 완화함은 물론 자동 폭가변판(45)의 회전작동에 따른 원활성을 제고하며, 상기 준설구를 주행하면서 준설작업시 더욱 원활한 이동성을 제고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수도(1)의 상단에 설치되는 하수도상판(3)에 의해 하수도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을 고려하여 준설판(7)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된 고정대(6)의 하측에 관측카메라(50)와 작업등(60)이 설치되며, 핸들(5)에는 모니터(70)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관측카메라(50)가 관측한 하수도의 내부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지상에서 상기 모니터(70)를 통해 하수도(1)를 확인하면서 준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준설구는 핸들(5)의 높낮이를 자유자재로 제어함으로써 작업자의 신체적인 조건에 알맞는 최적의 상태로 핸들(5)을 위치할 수 있는 것으로, 고정대(6)의 상단에는 길이가변 조절구(80)가 설치되고, 이 길이가변 조절구(80)를 관통하여 고정대(6)의 내부에는 핸들(5)의 하부에 연결된 길이가변대(81)가 상하로 높낮이 자유롭게 삽입 설치됨으로써 상기 길이가변 조절구(80)를 하부로 누른 상태로 길이가변대(81)를 상부로 당기거나 하부로 누르면서 길이를 가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길이가변 조절구(80), 길이가변대(81) 및 고정대(6)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에 따른 길이가변 작동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것과 동일한 것으 로, 이들 기술구성은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한 길이가변 구성을 본 발명의 준설구에 유기적으로 접목함으로써 준설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편의성을 제공함을 발명의 특이한 점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하수도에 하수도상판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준설구가 하수도에 투입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준설구가 하수도에 투입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준설구를 하수도의 측벽에 밀착하도록 회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보조준설판의 작동상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보조준설판의 작동상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준설폭 자동조절장치의 작동상태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관측카메라 및 작업등의 설치상태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수도 7: 준설판
10: 가이드돌기 20: 보조준설판
21: 슬라이딩홈 30: 준설폭 제어구
40: 준설폭 자동조절장치 42: 텐션 로드봉
43: 스프링 45: 자동 폭조절판
50: 관측카메라 80: 길이가변 조절구

Claims (5)

  1. 핸들(5)과 연결된 고정대(6)의 하단에 준설판(7)이 설치된 준설구에 있어서,
    상기 준설판(7)의 후면 양측에 상하로 이격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돌기(10)와;
    상기 가이드돌기(10)에 슬라이딩홈(21)이 관통된 상태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보조준설판(20)과;
    상기 가이드돌기(10)에 나사 결합되고 록킹/언록킹 조작에 따라 보조준설판(20)의 이동을 제어하는 준설폭 제어구(30)와;
    상기 준설판(7)의 후면에 로드봉 케이싱(41)이 부착되고, 상기 로드봉 케이싱(41)의 내부에 텐션 로드봉(42)이 폭 방향으로 출몰가능하게 스프링(43)으로 탄력 설치되며, 상기 텐션 로드봉(42)은 준설판(7)의 전면에 중첩된 상태로 배치된 자동 폭가변판(45)과 연결된 구성을 구비하여 준설폭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준설폭 자동조절장치(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용 준설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자동 폭가변판(45)의 측면에는 충격방지롤러(46)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용 준설구.
  4.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대(6)의 하측에는 관측카메라(50) 및 작업등(60)이 설치되고, 상기 관측카메라(50)가 관측한 하수도의 내부상태는 핸들(5)에 설치된 모니터(70)를 통해 지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용 준설구.
  5.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대(6)의 상단에는 길이가변 조절구(80)가 설치되고, 상기 길이가변 조절구(80)를 관통하여 고정대(6)의 내부에는 핸들(5)의 하부에 연결된 길이가변대(81)가 상하로 높낮이 조절 자유롭게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용 준설구.
KR1020080024072A 2008-03-14 2008-03-14 하수도용 준설구 KR100970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072A KR100970748B1 (ko) 2008-03-14 2008-03-14 하수도용 준설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072A KR100970748B1 (ko) 2008-03-14 2008-03-14 하수도용 준설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594A KR20090098594A (ko) 2009-09-17
KR100970748B1 true KR100970748B1 (ko) 2010-07-16

Family

ID=4135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072A KR100970748B1 (ko) 2008-03-14 2008-03-14 하수도용 준설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7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273B1 (ko) * 2005-06-25 2008-02-29 보은군 준설이 용이한 하수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273B1 (ko) * 2005-06-25 2008-02-29 보은군 준설이 용이한 하수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594A (ko)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928B1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102035183B1 (ko) 자동 수문의 퇴적 방지장치
KR100977492B1 (ko)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813621B1 (ko) 교면 배수 장치
KR101106890B1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0681844B1 (ko) 도로의 가변에 설치되는 배수박스구조
KR102301308B1 (ko) 체인블럭으로 개폐하는 다기능 안전맨홀덮개
KR100970748B1 (ko) 하수도용 준설구
KR100741695B1 (ko) 하수도 집수정의 악취차단장치
KR20110011512U (ko)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
KR102354746B1 (ko) 청소차에 의해 청소가 가능한 맨홀 악취 차단 장치
KR100529737B1 (ko) 건축물의 수해방지 설비구조
KR20120075808A (ko) 오수 및 우수의 배수시스템
KR100564921B1 (ko) 하수도관 맨홀
CN215105882U (zh) 一体化路面雨水排涝装置
KR100761013B1 (ko) 하수 역류 방지구
KR100877703B1 (ko) 하수 역류 방지구
KR200416889Y1 (ko) 맨홀 구조.
KR101618517B1 (ko) 슬라이딩 결합구조를 갖는 유량조절장치
KR102678778B1 (ko) 맨홀블록
KR200410547Y1 (ko) 하천연안의 이물질 차단 구조
KR102399564B1 (ko) 하수 또는 우수의 적정량 차집과 악취저감을 위한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
JP2005030159A (ja) 越流堰における移動式除塵スクリーン
KR102350582B1 (ko)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
KR100707722B1 (ko) 하천연안의 이물질 차단 및 배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