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325B1 -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 - Google Patents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325B1
KR101577325B1 KR1020150078154A KR20150078154A KR101577325B1 KR 101577325 B1 KR101577325 B1 KR 101577325B1 KR 1020150078154 A KR1020150078154 A KR 1020150078154A KR 20150078154 A KR20150078154 A KR 20150078154A KR 101577325 B1 KR101577325 B1 KR 101577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ample
sample collection
sample collect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
신동혁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078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2Dippers; Dred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06Dispersed soli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은, 해저면에 안착되는 하부 프레임의 일측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과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에 의해 상,하부 프레임 사이에 작동공간을 형성하도록 된 프레임부; 중량물을 구비한 상,하 작동부재가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상단에는 인양 케이블과 연결되는 트리거 장치가 마련되는 상,하 작동부; 및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양쪽 측면에 한 쌍의 회전부재가 회전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부는 당김 케이블에 의해 상기 트리거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타단부에는 원호형의 박스 개폐부재가 마련되는 회전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료 채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상,하 작동부재와 분리되어 구성된 시료 채취박스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장착되거나 탈거되기 위한 박스 장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박스 장착부는, 상기 시료 채취박스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박스 장착부에 결합되거나 탈거되도록 상기 박스 장착부의 내부 양쪽 벽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양측면에 마련되는 안내단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박스 장착부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안내레일에 안내되어 상기 박스 장착부의 내부로 진입하는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걸림바와 결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거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장착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료 채취박스가 시료 채취기와 분리 구성될 수 있고, 시료 채취기와 분리 구성된 시료 채취박스를, 개구부를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박스 장착부에 장착하거나, 장착된 시료 채취박스를 탈거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연구실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HORIZONTAL DIRECTION MOUNTING AND DEMOUNTING STRUCTURE FOR SAMPLER BOX}
본 발명은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료 채취장치의 시료 채취박스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시료 채취박스에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고, 시료 채취장치로부터 탈거된 시료 채취박스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해저에서 망간단괴는 물론 퇴적물도 교란 없이 함께 채취하고, 시료 채취 시간을 절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박스 타입 시료 채취장치를 사용한다.
이러한 박스 타입의 시료 채취장치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77324호(공고일 : 2013.06.20)에는 복합식 시료 채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복합식 시료 채취 장치는 일정의 중량을 구비하여 해저에 침투되며, 해저 지형 내부에 삽입되어 퇴적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채취하는 메인 시료 채취부와, 상기 메인 시료 채취부의 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해저 지형에 도달함을 인지하여 상기 해저 지형 표면의 시료를 긁어 일정량 채취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서브 시료 채취부와, 상기 메인 시료 채취부에 설치되며 상기 해저 지형의 영상을 취득하는 영상 취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복합식 시료 채취장치는 해저의 동일 영역에서 자유 낙하식과 박스식을 동시에 사용하여 망간 단괴와 같은 시료를 동시에 채취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으나, 시료 박스가 퇴적물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시료의 교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채취장치의 시료 박스가 채취장치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채취장치를 선상으로 이동시킨 후, 박스에 수용된 시료를 연구실로 교란없이 운반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77324호(공고일 : 2013.06.20)
본 발명의 목적은, 시료 채취장치의 시료 채취박스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시료 채취장치에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료 채취장치와 분리된 시료 채취박스를 연구실 등으로 용이하게 운반하거나, 시료 채취박스를 시료 채취장치에 장착하기 위하여 연구실 등으로부터 시료 채취장치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해저면에 안착되는 하부 프레임의 일측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과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에 의해 상,하부 프레임 사이에 작동공간을 형성하도록 된 프레임부; 중량물을 구비한 상,하 작동부재가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상단에는 인양 케이블과 연결되는 트리거 장치가 마련되는 상,하 작동부; 및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양쪽 측면에 한 쌍의 회전부재가 회전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부는 당김 케이블에 의해 상기 트리거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타단부에는 원호형의 박스 개폐부재가 마련되는 회전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료 채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상,하 작동부재와 분리되어 구성된 시료 채취박스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장착되거나 탈거되기 위한 박스 장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박스 장착부는, 상기 시료 채취박스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박스 장착부에 결합되거나 탈거되도록 상기 박스 장착부의 내부 양쪽 벽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양측면에 마련되는 안내단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박스 장착부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안내레일에 안내되어 상기 박스 장착부의 내부로 진입하는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걸림바와 결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거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장착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박스 장착부에 원호형의 작동공을 각각 구비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 일단에는 하향으로 개구된 걸림후크가 형성되고, 중간부가 축에 의해 상기 지지 브라켓에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손잡이가 마련된 작동 브라켓; 및 상기 원호형의 작동공에 대응되는 상기 작동 브라켓의 중간 영역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원호형의 작동공으로 노출되며, 각 양단에는 조임너트가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작동 브라켓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 고정축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료 채취박스가 상기 안내레일에 의해 상기 박스 장착부 내측으로 진입하면, 상기 작동 브라켓을 회전시켜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걸림바에 걸리도록 한 후, 상기 조임너트를 조여 상기 작동 브라켓의 위치를 고정하여 상기 시료 채취박스가 상기 박스 장착부에 장착되도록 될 수 있다.
상기 시료 채취박스는, 상기 시료 채취장치가 인양된 후에 상기 시료 채취박스에 채취된 시료가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박스 개폐부재가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하부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박스 개폐부재와 시료 채취박스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개방된 하부를 막으면서 상기 시료 채취박스에 결합되는 채취박스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취박스 커버부재는,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하단부에 형성된 원호형의 삽입부와 같은 곡률의 원호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채취박스의 하부를 막도록 된 막음부;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양쪽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막음부의 양단에서 상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결합부; 및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양쪽 측면에 마련되는 고리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각각의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막음부가 상기 박스 개폐부재와 시료 채취박스의 삽입부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삽입부를 전부 커버했을 때 상기 시료 채취박스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시료 채취박스에 간섭되는 이동제한용 바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가 육상이나 선박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시료 채취박스를, 상기 박스 장착부에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작동공간으로 수평 이동시키거나, 상기 박스 장착부에서 탈거된 상기 시료 채취박스를 상기 작동공간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대차를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대차는, 저면에 이동용 바퀴가 마련되고, 상면에는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삽입부 또는 채취박스 커버부재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바가 거리를 유지하여 각각 설치된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상면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체 및 손잡이를 구비한 지지부; 및 상기 안착바에 안착된 상기 시료 채취박스를 상기 지지체에 결속하여 고정하기 위한 결속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료 채취박스가 시료 채취기와 분리 구성될 수 있고, 시료 채취기와 분리 구성된 시료 채취박스를, 개구부를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박스 장착부에 장착하거나, 장착된 시료 채취박스를 탈거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연구실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채취박스 커버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채취된 시료의 교란없이 시료 채취박스를 연구실 등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료 채취박스가 박스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시료 채취장치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박스 개폐부재와 시료 채취박스의 삽입부 사이로 채취박스 커버부재가 삽입되어 시료 채취박스의 개방된 하부를 막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시료 채취장치로부터 시료 채취박스를 탈거하여 이동대차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료 채취박스가 박스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은, 사각뿔 형상을 갖는 프레임부(20)와, 상단부는 인양 케이블(31)과 연결되고 트리거 장치(30)를 구비하여 상,하부로 이동하도록 프레임부(20)에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하향으로 개구된 박스 장착부(42)가 마련되는 상,하 작동부(40)와, 프레임부(20)가 해저에 안착되어 시료 채취박스(50)의 하단부가 해저면에 삽입되면 회전 작동하여 시료 채취박스(50)의 하부를 막아 채취된 퇴적물 시료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 작동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 시료 채취장치(10)에 적용되는 것이다.
즉, 시료 채취박스(50)가 상,하 작동부재(42)와 분리 구성되고, 상,하 작동부재(42)의 하단에는, 상,하 작동부재(42)와 분리되어 구성된 시료 채취박스(50)가 개구부(24A)를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장착되거나 탈거되기 위한 박스 장착부(44)가 마련된다. 그리고, 박스 장착부(44)는, 시료 채취박스(50)가 개구부(24A)를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박스 장착부(44)에 결합되어 장착되거나 탈거되도록 박스 장착부(44)의 내부 양쪽 벽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설치되어 시료 채취박스(50)의 양측면에 마련되는 안내단(51)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44A)을 구비한다. 또한, 박스 장착부(44)의 내부 일측에는, 안내레일(44A)에 안내되어 박스 장착부(44)의 내부로 진입하는 시료 채취박스(50)의 걸림바(53)와 결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거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장착수단(46)이 구비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시료 채취장치(10)를 이루는 프레임부(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뿔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해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개구부(24A)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하부 프레임(24)과, 하부 프레임(24)의 상면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각각의 기둥들로 이루어지고 상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작동공(22A)이 형성된 상부 프레임(22)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하부 프레임(24)과 상부 프레임(22)의 구조에 의해 내부에는 작동공간(S)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사각뿔 형상을 갖음으로써 해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하 작동부(40)는, 프레임부(20)의 작동공(22A)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트리거 장치(30)가 해제되면 중량물(45)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여 박스 장착부(44)에 장착된 시료 채취박스(50)가 해저면의 퇴적층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작동공(22A)에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하부 좌,우측에는 중량물(45)이 각각 설치되며 상단에는 인양 케이블(31)과 연결되는 트리거 장치(30)가 마련된 상,하 작동부재(42)와, 작동공간(S)에 위치하는 상,하 작동부재(42)의 하단에는 상,하부가 개구된 시료 채취박스(50)가 장착되거나 탈거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구조의 박스 장착부(44)가 결합된 것이다.
상,하 작동부재(42)의 상단부에는, 트리거 장치(30)의 후크부재(36)가 지지축(36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원호형 안내공(42A)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공(42A)에는 개폐용 와이어(47B)의 타단이 연결되는 안내핀(42B)이 후크부재(36)의 한쪽으로 치우친 영역(36C)을 관통하여 설치 된다.
이러한 상,하 작동부재(42)의 상단부 구조는, 트리거 장치(30)의 작동으로 걸림이 해제된 후크부재(36)가 한쪽으로 치우친 영역(36C) 쪽으로 회전할 때, 개폐용 와이어(47B)의 타단이 연결된 안내핀(42B)이 원호형의 안내공(42A)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부 커버부재(47A)를 상부로 당겨 긴장되었던 개폐용 와이어(47B)의 긴장상태가 해제되어 상부 커버부재(47A)가 시료 채취박스(50)의 상부를 덮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하 작동부재(42)의 하부 영역에는, 프레임부(20)가 육상이나 선박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하 작동부재(42)의 하강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하강방지수단이 마련된다. 이러한 하강방지수단은, 상,하 작동부재(42)에 관통 형성되는 멈춤공(42C)과, 멈춤공(42C)에 관통 설치되어 작동공(22A)에 걸림으로써 상,하 작동부재(42)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핀(42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강방지수단은 시료 채취장치(10)가 육상이나 선박에 안착되었을 때 멈춤핀(42B)을 멈춤공(42C)에 끼워 상,하 작동부재(42)가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하 작동부재(42)의 하단부에는, 상,하부가 개구된 시료 채취박스(50)가 장착되거나 탈거되도록 된 박스 장착부(44)가 결합된다.
이러한 박스 장착부(44)는, 하부가 개구된 구조를 갖으며, 프레임부(20)의 개구부(24A)를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시료 채취박스(50)가 슬라이딩 되어 결합되거나 탈거되도록 수평안내수단을 구비한다.
개구부(24A)는, 하부 프레임(24)의 일측(시료 채취박스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에 이동대차(70)가 프레임부(20)의 내측에 형성된 작동공간(S)으로 진입하거나 진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개구부(24A)에 의해 이동대차(70)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안내수단은, 박스 장착부(44)의 내부 양쪽에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설치되는 안내레일(44A)과, 안내레일(44A)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레일(44A)에 대응되는 시료 채취박스(5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안내단(5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평안내수단에 의해 시료 채취박스(50)는 수평으로 이동하여 박스 장착부(44)에 장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안내레일(44A) 또는 안내단(51)에 이동용 로울러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박스 장착부(44)에는, 수평안내수단에 의해 박스 장착부(44) 내부로 진입한 시료 채취박스(50)를 위치고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장착수단(46)이 설치된다.
장착수단(46)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장착부(44)의 내부 양측에 원호형의 작동공(46C)을 각각 구비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46A)과, 일단에는 하향으로 개구된 걸림후크(46E)가 형성되고, 중간부가 축에 의해 지지 브라켓(46A)에 소정각도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손잡이(46F)가 형성된 작동 브라켓(46G)과, 원호형의 작동공(46C)에 대응되는 작동 브라켓(46G)의 중간 영역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양단이 원호형의 작동공(46C)으로 노출되며, 각 양단에는 조임너트(46H)가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작동 브라켓(46G)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 고정축(46D)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장착수단(46)은, 수평안내수단에 의해 시료 채취박스(50)가 박스 장착부(44) 내측으로 진입하면, 작동 브라켓(46G)을 시료 채취박스(50)에 형성된 걸림바(53) 방향으로 회전시켜 양쪽의 걸림후크(46E)가 시료 채취박스(50)의 일면에 마련된 장착용 걸림바(53)에 걸리도록 한 후, 작동축(46D)의 양쪽 단부에 구비된 조임너트(46H)를 각각 조여 작동 브라켓(46G)이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 브라켓(46G)의 회전 작동 및 회전 고정됨으로써, 시료 채취박스(50)를 박스 장착부(44)에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박스 장착부(44)에는, 프레임부(20)가 해저에 안착되어 시료 채취박스(50)가 해저면에 삽입되면 트리거 장치(30)의 해제 작동과 연동되어 시료 채취박스(5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시료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유출방지수단이 마련된다.
유출방지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장착부(44)의 저면 일측에 일단이 힌지로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시료 채취박스(50)의 상부를 덮어 커버하기 위한 상부커버(47A)와, 일단이 상부커버(47A)에 결합되고, 타단은 트리거 장치(30)를 구성하는 후크부재(36)의 한쪽으로 치우친 영역(36C)에 연결되며, 후크부재(36)가 인양 연결구(34)와 결합되었을 때에는 상부커버(47A)를 상향으로 들어올려 시료 채취박스(50)를 개방하고, 후크부재(36)가 인양 연결구(34)와 분리되어 한쪽으로 치우친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에는 이완되면서 상부커버(47A)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시료 채취박스(50)의 상부를 덮도록 하기 위한 개폐용 와이어(47B)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유출방지수단에 의해 시료 채취박스(5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시료가 유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트리거 장치(30)는, 프레임부(20)가 해저면에 안착되면 회전 작동부(60)가 회전 작동을 시작하도록 걸림해제 작동을 하도록 된 것으로, 상단부는 인양 케이블(31)과 연결되고, 양쪽 단부는 일단이 회전부재(62)에 각각 결합된 각 당김 케이블(66)와 연결되며, 하단부에는 수직 장공 형태의 걸림공(34A)이 형성된 인양 연결구(34)와, 상,하 작동부재(42)의 상단 내측에 일단부가 지지축(36A)으로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걸림공(34A)에 걸리기 위한 후크(36B)가 형성되는 후크부재(36)와, 당김 케이블(66)의 당김 작동에 의해 회전부재(62)가 회전축(62A)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면 회전부재(62)의 일단부에 마련된 걸림단(62B)과 걸림 결합되어 회전부재(62)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일단이 지지축(36A)에 결합되어 후크부재(36)와 같이 소정 각도에서 회전 작동하는 회전방지용 후크부재(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후크(36B)의 수직 중심선(C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36A)의 수직 중심선(C1)과 어긋난 위치에 있다. 즉, 후크(36B)는 지지축(36A)을 중심으로 한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후크부재(36)는 프레임부(20)가 해저면에 안착되어 인양 연결구(34)에 작용하는 견인력이 제거되면서 인양 연결구(34)가 후크(36B)가 걸림공(34A)에서 걸림 해제되면, 후크부재(36)가 지지축(36A)을 중심으로 한쪽으로 치우친 영역(36C) 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양 연결구(34)와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즉, 후크부재(36)는 지지축(36A)에 결합되는 하단부에서 한쪽 방향 상부로 치우쳐 연장된 후 상단부에 후크(36B)가 형성되는 것으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자중에 의해 치우친 영역(36C)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후크(36B)가 인양 연결구(34)와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인양 케이블(31)의 견인력이 이완되어 인양 연결구(34)가 하강하면 후크부재(36)가 지지축(36A)을 기준으로 회전하므로 후크(36B)가 걸림공(34A)에서 이탈될 수 있는 것이고, 이에 따라 인양 연결구(34)와 후크부재(36)의 걸림이 해제되는 것이다.
한편, 트리거 장치(30)는, 상,하 작동부재(42)의 상단부와 후크(36B)를 관통하는 안전핀(37)과, 상,하 작동부재(42)의 상단부 양쪽면에 각각 설치되어 당김 케이블(66)를 지지하고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안내 로울러(39)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안전핀(37)은, 상,하 작동부재(42)의 상단부와 후크부재(36)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후크부재(36)가 임의로 걸림해제 되지 않도록 한다. 즉, 시료 채취장치가 지상이나 선박에 위치할 때에는 후크부재(36)를 상,하 작동부재(42)에 결합하여 트리거 장치(3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트리거 장치(30)의 걸림 해제 작동은 후크부재(36)의 작동을 방지하는 안전핀(37)이 제거된 상태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방지용 후크부재(38)는, 일단이 지지축(36A)에 결합된 것으로, 단부에는 회전부재(62)가 트리거 장치(30) 쪽으로 회전했을 때, 걸림단(62B)이 걸려 회전부재(62)의 회전 완료상태(박스 개폐부재가 시료 채취박스의 하부를 막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회전방지용 후크부재(38)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항상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후크부재(36)와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후크부재(36)의 걸림이 해제되어 안내공(42A) 쪽으로 회전할 때 회전방지용 후크부재(38)도 상향으로 회전하여 걸림단(62B)의 걸림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회전 작동부(60)는, 프레임부(20)가 해저면에 안착되어 트리거 장치(30)가 작동되면 인양 케이블(31)과 연결된 당김 케이블(66)에 의해 회전축(62A)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여 퇴적물에 삽입된 시료 채취박스(50)의 하부를 막아 채취된 시료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 장착부(44)의 양쪽 측면에 한 쌍의 회전부재(62)가 회전축(62A)으로 결합되고, 회전부재(62)의 일단부는 당김 케이블(66)에 의해 트리거 장치(30)의 인양 연결구(34)와 연결되며, 회전부재(62)의 타단부에는 원호형의 박스 개폐부재(64)가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박스 개폐부재(6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 채취박스(50)의 하단부에 원호형으로 형성된 삽입부(54)와 같은 곡률을 갖는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회전부재(62)가 회전축(62A)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원호형의 시료 채취박스(50) 삽입부(54)에 간섭되지 않고 개구된 삽입부(54)를 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회전부재(62)는, 회전축(62A)에 결합되는 영역에서 걸림단(62B)이 구비된 영역까지 회전축(62A)의 수직 중심선에서 벗어난 위치로 절곡된 구조를 갖는다. 이는 일측으로 돌출된 회전방지용 후크부재(38)에 걸림단(62B)이 용이하게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시료 채취박스(50)는, 회전 작동부(60)와 분리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사각 박스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하단부에는 박스 개폐부재(64)의 곡률과 같은 곡률의 원호형 삽입부(54)가 형성된다. 원호형의 삽입부(54)는 회전축(62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박스 개폐부재(64)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해저면 퇴적층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며, 채취박스 커버부재(56)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시료 채취박스(50)의 일측면 상부영역에는 걸림바(53)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걸림바(53)는 작동 브라켓(46G)의 걸림후크(46E)에 걸리기 위한 것이다.
시료 채취박스(50)는, 박스 개폐부재(64)가 시료 채취박스(50)의 하부를 막아 채취된 시료의 유출을 방지한 상태에서, 박스 개폐부재(64)와 시료 채취박스(50)의 삽입부(54) 사이로 삽입되어 시료 채취박스(50) 내부로 채취된 시료가 시료 채취박스(50)의 이동 중에 유출되지 않도록 시료 채취박스(50)의 개방된 삽입부(54)를 막으면서 시료 채취박스(50)에 결합되는 채취박스 커버부재(58)를 더 포함한다.
채취박스 커버부재(58)은, 시료 채취박스(50)가 박스 장착부(44)에서 분리되더라도 내부에 수용된 시료가 유출되지 않도록 시료 채취박스(50)의 하부를 막으면서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 채취박스(50)의 삽입부(54)와 같은 곡률을 갖는 막음부(58A)가 하단에 원호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막음부(58A)의 양쪽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결합부(58B)가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결합부(58B) 단부에는 시료 채취박스(50)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고리(55)에 걸리기 위한 매미고리형 클램프(58D)가 각각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결합부(58D)에는, 막음부(58A)가 박스 개폐부재(64)와 시료 채취박스(50)의 삽입부(54) 사이로 삽입되어 삽입부(54)를 전부 커버하여 막았을 때 채취박스 커버부재(58)가 시료 채취박스(50)를 벗어나지 않도록 시료 채취박스(50)에 간섭되는 이동제한용 바(58C)가 마련된다. 이러한 이동제한용 바(58C)는, 막음부(58A)가 삽입부(54)를 모두 막은 상태에서 각 클램프(58B)가 각 고리(55)에 걸리도록 채취박스 커버부재(58)가 시료 채취박스(50)에 결합된 상태에서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채취박스 커버부재(58)는 박스 개폐부재(64)와 시료 채취박스(50)의 삽입부(54) 사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각 클램프(58B)가 시료 채취박스(50)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된 고리(55)에 걸림으로써 시료 채취박스(50)와 일체화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시료 채취박스(50)에 수용된 시료가 유출되지 않게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은, 프레임부(20)가 육상이나 선박에 안착된 상태에서 시료 채취박스(50)를, 박스 장착부(44)에 장착하기 위하여 개구부(24A)를 통하여 작동공간(S)으로 수평 이동시키거나, 박스 장착부(44)에서 탈거된 시료 채취박스(50)를 작동공간(S)으로부터 개구부(24A)를 통하여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대차(70)를 구비한다.
이러한 이동대차(70)는, 저면에 이동용 바퀴(72)가 마련되고, 상면에는 시료 채취박스(50)의 삽입부(54) 또는 채취박스 커버부재(58)의 저면이 안착되기 위한 한 쌍의 안착바(74)가 거리를 유지하여 각각 설치된 안착판(75)과, 안착판(75)의 상면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체(78A) 및 손잡이(78B)를 구비한 지지부(78)와, 안착바(74)에 안착된 시료 채취박스(50)를 지지체(78A)에 결속하여 고정하기 위한 결속로프(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이동용 바퀴(72)는,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바퀴(72)와, 안착판(75)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안착판(75)의 저면 한쪽에 설치되는 수평유지용 다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박스 장착부(44)에서 분리된 시료 채취박스(50)의 상부를 덮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수용된 시료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뚜껑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동대차(70)의 안착바(74)에 시료 채취박스(50)를 안착시킨 후 결속로프(76)로 묶어 시료 채취박스(50)가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어서, 이동대차(70)를, 개구부(24A)를 통하여 프레임부(20)의 내부, 즉 작동공간(S)으로 이동시켜 박스 장착부(44)에 진입시키되, 시료 채취박스(50)의 양쪽면에 마련된 각 안내단(51)이 박스 장착부(44)의 안내레일(44A)에 지지되도록 한다.
양쪽의 안내단(51)이 박스 장착부(44)의 양쪽 안내레일(44A)에 지지되면, 시료 채취박스(50)를 박스 장착부(44)의 내측으로 밀어 넣는다. 즉, 시료 채취박스(5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시료 채취박스(50)가 박스 장착부(44)의 내부로 진입하면, 장착수단(46)의 작동 브라켓(46G)을 걸림바(53) 쪽으로 회전시켜 걸림후크(46E)가 걸림바(53)에 걸리도록 하고, 조임너트(46H)를 조여 작동 브라켓(46G)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안내레일(44A)에 안내되면서 수평으로 이동한 시료 채취박스(50)는, 걸림바(53)가 걸림후크(46E)에 걸리게 되므로, 박스 장착부(44)에 안정되게 장착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 채취장치(10)의 인양 케이블(31)을 크레인과 연결한다. 즉, 시료 채취장치(10)가 해저로 투입되기 전에는, 크레인에 연결된 인양 케이블(31)이 인양 연결구(34)와 연결되고, 인양 연결구(34)의 걸림공(34A)에는 후크부재(36)의 후크(36B)가 걸린 상태가 된다. 이때 안전핀(37)이 제거된 상태이며, 인양 케이블(31)이 크레인에 의해 당겨진 상태이므로 인양 연결구(34)와 후크부재(36)는 긴장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회전 작동부(60)는 수평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에 의해 시료 채취장치(10)가 해저면에 안착되면, 상,하 작동부재(40)는 중량물(45)의 무게에 의해 작동공(22A)을 통하여 하향(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으로 박스 장착부(44)에 장착된 시료 채취박스(50)가 해저의 퇴적층을 파고들어 삽입된다. 즉, 삽입부(54)가 퇴적층에 삽입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4)이 해저면에 안착됨과 동시에 인양 연결구(34)가 하강하므로 인양 연결구(34)와 후크부재(36)의 긴장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후크부재(36)가 안내공(42A)이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후크(36B)가 걸림공(34A)에서 이탈되어 걸림이 해제된다. 이때 인양 연결구(34)의 하강거리는 후크부재(36)가 이탈될 정도이고, 후크부재(36)가 이탈되면 인양 연결구(34)는 상승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후크부재(36)가 한쪽으로 치우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안내핀(42B)이 안내공(42A)에 안내되어 하향으로 이동하므로, 상부 커버부재(47A)를 상향으로 당기고 있던 개폐용 와이어(47B)가 하강하게 되어, 상부 커버부재(47A)가 여 시료 채취박스(50)의 상부를 덮어 채취된 시료가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이 작동하여 인양 연결구(34)가 상승하면, 당김 케이블(66)이 상향으로 당겨지면서 수평상태로 있던 회전 작동부(60)를 회전시킨다. 회전 작동부(60)가 회전하면, 박스 개폐부재(64)가 시료 채취박스(50)의 하부 쪽으로 회전하여 시료 채취박스(50)의 하부를 막기 시작하게 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개폐부재(64)가 시료 채취박스(50)의 하부 쪽으로 회전하여 시료 채취박스(50)의 하부를 막아 시료의 유출을 막음과 동시에 회전부재(62)의 걸림단(62B)이 회전방지 후크부재(38)에 걸려 상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고정된다.
전술한 과정으로 시료 채취장치(10)의 박스 장착부(44)에 장착된 시료 채취박스(50)에 시료가 채취되고, 회전 작동부(60)의 회전으로 박스 개폐부재(64)가 시료 채취박스(50)의 저면을 막은 상태에서, 크레인의 작동으로 시료 채취장치(10)가 선박으로 인양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박스 커버부재(58)를 박스 개폐부재(64)와 삽입부(54) 사이로 밀어 넣는다.
즉, 채취박스 커버부재(58)의 막음부(58A)가 삽입부(54)의 저면을 막아 시료가 유출되지 않도록, 채취박스 커버부재(58)를 박스 개폐부재(64)와 삽입부(54) 사이로 밀어 넣는 것이다.
이와 같이 채취박스 커버부재(58)가 박스 개폐부재(64)와 삽입부(54) 사이로 삽입되면, 각 클램프(58D)를 시료 채취박스(50)의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된 고리(55) 걸어 채취박스 커버부재(58)를 시료 채취박스(50)에 결하한다. 이 작업으로 채취박스 커버부재(58)는 시료 채취박스(50)와 일체화되어 시료 채취박스(50)가 박스 장착부(44)에서 분리되더라도 채취박스 커버부재(58)가 삽입부(54)를 막은 상태이므로 시료가 유출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을 하강 작동시켜 인양 케이블(31)을 하강사키면, 회전부재(62)는 하향으로 회전하여 수평상태가 되고, 박스 개폐부재(64)가 상향으로 회전하여 작동공간(S)에서 벗어나게 된다. 즉, 회전 작동부(60)가 수평상태가 되도록 인양 케이블(31)을 하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박스 개폐부재(64)가 시료 채취박스(50)의 하부에서 벗어나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차(70)를 시료 채취박스(50) 하부, 즉 프레임부(20)에 형성된 개구부(24A)를 통하여 작동공간(S)으로 이동시키고, 장착수단(46)의 조임너트(46H)를 풀어 작동축(46D)이 원호형 작동공(46C)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하도록 한 후, 작동 브라켓(46G)를 걸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후크(46E)가 걸림바(53)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이 과정으로 시료 채취박스(50)는 박스 장착부(44)에 고정된 상태가 해제된다.
이어서, 시료 채취박스(50)를 장착수단(46)이 구비된 방향의 반대 방향, 즉 개구부(24A)가 형성된 방향으로 밀어 시료 채취박스(50)를 박스 장착부(44)에서 탈거시킨다.
이때, 시료 채취박스(50)는 양쪽의 안내단(51)이 박스 장착부(44)의 안내레일(44A)에 안내되므로, 적은 힘으로 개구부(24A)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어 이동대차(70)의 안착바(74)에 안착된다.
물론, 시료 채취박스(50)가 박스 장착부(44)에서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면 이동대차(70)에 상면에 시료 채취박스(50)를 위치시킨 후, 이동대차(70)를 개구부(24A) 방향으로 이동시켜 시료 채취박스(50)를 박스 장착부(44)에서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도 있다.
시료 채취박스(50)가 이동대차(70)에 안착되면, 유동방지를 위한 결속로프(76)를 이용하여 시료 채취박스(50)를 이동대차(70)에 결속시켜 이동시 시료 채취박스(5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동대차(70)에 시료 채취박스(50)가 안착되어 결속되면 이동대차(70)를 작동공단(S)에서 개구부(24A)를 통하여 외부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박스 장착부(44)에 탈거된 시료 채취박스(50)가 수평 이동하여 이동대차(70)에 안착되고 이동대차(70)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안정적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시료의 교란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은, 시료 채취박스(50)가 시료 채취장치(10)와 분리 구성되고, 시료 채취박스(5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박스 장착부(44)에 장착하거나, 박스 장착부(44)에 장착된 시료 채취박스(50)를 탈거한 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시료 채취장치(10)로부터 분리할 수 있음으로써, 중량물인 시료 채취박스(10)의 이동 및 장착, 탈거와 같은 운용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채취된 시료가 채워진 시료 채취박스(50)를 시료의 교란없이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시료 채취장치
20 : 프레임부 22 : 상부 프레임
24 : 하부 프레임 24A : 개구부
30 : 트리거 장치 31 : 인양 케이블
34 : 인양 연결구 36 : 후크부재
36A : 지지축 36B : 후크
38 : 회전방지용 후크부재 40 : 상,하 작동부
42 : 상,하 작동부재 44 : 박스 장착부
45 : 중량물 47A : 상부 커버부재
46 : 장착수단
46A : 지지 브라켓 46C : 작동공
46D : 위치 고정축 46E : 걸림후크
46F : 손잡이 46G : 작동 브라켓
46H : 조임너트 47B : 개폐용 와이어 50 : 시료 채취박스
51 : 안내단 53 : 걸림바
54 : 삽입부 55 : 고리
60 : 회전 작동부 62 : 회전부재
64 : 박스 개폐부재 70 : 이동대차
72 : 이동용 바퀴 74 : 안착바
75 : 안착판 76 : 결속로프
78 : 지지부 78A : 지지체
78B : 손잡이

Claims (7)

  1. 해저면에 안착되는 하부 프레임의 일측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과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에 의해 상,하부 프레임 사이에 작동공간을 형성하도록 된 프레임부;
    중량물을 구비한 상,하 작동부재가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상단에는 인양 케이블과 연결되는 트리거 장치가 마련되는 상,하 작동부; 및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양쪽 측면에 한 쌍의 회전부재가 회전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부는 당김 케이블에 의해 상기 트리거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타단부에는 원호형의 박스 개폐부재가 마련되는 회전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료 채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 작동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상,하 작동부재와 분리되어 구성된 시료 채취박스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장착되거나 탈거되기 위한 박스 장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박스 장착부는,
    상기 시료 채취박스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박스 장착부에 결합되거나 탈거되도록 상기 박스 장착부의 내부 양쪽 벽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양측면에 마련되는 안내단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박스 장착부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안내레일에 안내되어 상기 박스 장착부의 내부로 진입하는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걸림바와 결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거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장착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시료 채취박스는,
    상기 시료 채취장치가 인양된 후에 상기 시료 채취박스에 채취된 시료가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박스 개폐부재가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하부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박스 개폐부재와 시료 채취박스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개방된 하부를 막으면서 상기 시료 채취박스에 결합되는 채취박스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채취박스 커버부재는,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하단부에 형성된 원호형의 삽입부와 같은 곡률의 원호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채취박스의 하부를 막도록 된 막음부;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양쪽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막음부의 양단에서 상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결합부; 및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양쪽 측면에 마련되는 고리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각각의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박스 장착부에 원호형의 작동공을 각각 구비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
    일단에는 하향으로 개구된 걸림후크가 형성되고, 중간부가 축에 의해 상기 지지 브라켓에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손잡이가 마련된 작동 브라켓; 및
    상기 원호형의 작동공에 대응되는 상기 작동 브라켓의 중간 영역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원호형의 작동공으로 노출되며, 각 양단에는 조임너트가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작동 브라켓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 고정축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료 채취박스가 상기 안내레일에 의해 상기 박스 장착부 내측으로 진입하면, 상기 작동 브라켓을 회전시켜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걸림바에 걸리도록 한 후, 상기 조임너트를 조여 상기 작동 브라켓의 위치를 고정하여 상기 시료 채취박스가 상기 박스 장착부에 장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막음부가 상기 박스 개폐부재와 시료 채취박스의 삽입부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삽입부를 전부 커버했을 때 상기 시료 채취박스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시료 채취박스에 간섭되는 이동제한용 바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
  6. 제1항, 제2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가 육상이나 선박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시료 채취박스를, 상기 박스 장착부에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작동공간으로 수평 이동시키거나, 상기 박스 장착부에서 탈거된 상기 시료 채취박스를 상기 작동공간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대차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는,
    저면에 이동용 바퀴가 마련되고, 상면에는 상기 시료 채취박스의 삽입부 또는 채취박스 커버부재가 안착되기 위한 한 쌍의 안착바가 거리를 유지하여 각각 설치된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상면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체 및 손잡이를 구비한 지지부; 및
    상기 안착바에 안착된 상기 시료 채취박스를 상기 지지체에 결속하여 고정하기 위한 결속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


KR1020150078154A 2015-06-02 2015-06-02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 KR101577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154A KR101577325B1 (ko) 2015-06-02 2015-06-02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154A KR101577325B1 (ko) 2015-06-02 2015-06-02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325B1 true KR101577325B1 (ko) 2015-12-14

Family

ID=5502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154A KR101577325B1 (ko) 2015-06-02 2015-06-02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3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823A1 (ko) * 2020-07-15 2022-01-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표층 퇴적물 채집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1548B2 (ja) 1995-09-22 1999-08-09 五洋建設株式会社 軟泥サンプルの採取方法および採取器
KR101277324B1 (ko) 2011-08-11 2013-06-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복합식 시료 채취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1548B2 (ja) 1995-09-22 1999-08-09 五洋建設株式会社 軟泥サンプルの採取方法および採取器
KR101277324B1 (ko) 2011-08-11 2013-06-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복합식 시료 채취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823A1 (ko) * 2020-07-15 2022-01-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표층 퇴적물 채집장치
KR20220009242A (ko) * 2020-07-15 2022-01-2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표층 퇴적물 채집장치
KR102410605B1 (ko) 2020-07-15 2022-06-1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표층 퇴적물 채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323B1 (ko) 시료 채취장치
JP5606166B2 (ja) 水処理設備および水処理機器の吊り上げ装置
KR101092838B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KR101577325B1 (ko) 시료 채취장치용 시료 채취박스의 수평방향 탈착 및 장착 구조물
US7413060B2 (en) Car fall-prevention apparatus
KR101279802B1 (ko) 천장 크레인용 집전장치
KR101713801B1 (ko) 맨홀덮개의 개방이 용이한 맨홀구조물
KR100588479B1 (ko) 맨홀 뚜껑 개폐장치
KR100834000B1 (ko) 맨홀덮개 잠금장치
KR200475548Y1 (ko) 맨홀 커버 분리 장치
JP2019124055A (ja) マンホール用安全柵装置
KR100775126B1 (ko) 맨홀덮개 잠금장치
KR101451093B1 (ko) 리니어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교량 등 설치대
KR200490622Y1 (ko) 선박용 이동식 대빗
KR101957386B1 (ko) 무게중심 유지가 가능한 맨홀뚜껑 개폐장치
JP5935165B2 (ja) マンホール用梯子
EP2336053B1 (en) Safety construction for closing an opening in the ground surface from which an underground waste container has been removed
JP4516672B2 (ja) マンホールの梯子兼用転落防止装置
KR101333052B1 (ko)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더 장착장치
JP4855365B2 (ja) 地下構造物用転落防止装置
FR3039141A1 (fr) Platine de levage et de manutention pour conteneurs semi enterres
CN215626198U (zh) 管片吊具的卡爪锁定装置及管片吊具
JP4551907B2 (ja) 転落防止用梯子および転落防止用梯子を備えた地下構造物用蓋の受枠
EP2949816A1 (en) Safety anchorage for inspection wells
JP4373975B2 (ja) 開閉体装置及び該開閉体装置に用いられる吊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