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491B1 -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 - Google Patents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491B1
KR101524491B1 KR1020140179621A KR20140179621A KR101524491B1 KR 101524491 B1 KR101524491 B1 KR 101524491B1 KR 1020140179621 A KR1020140179621 A KR 1020140179621A KR 20140179621 A KR20140179621 A KR 20140179621A KR 101524491 B1 KR101524491 B1 KR 101524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sample
rotation
plate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주)지산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산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지산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140179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 G01N2001/1043Sampling from special places from sewers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는, 하수관거의 맨홀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승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채수함(130)을 구비하여 맨홀 하부의 하수시료를 채수하는 자동승강 채수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스테인레스 강관으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111)과, 상기 하부프레임(111)의 상측 길이방향으로 고정결합되고 이송체인용 구동모터(10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회전축(102)을 구비하기 위한 공간부를 내부에 형성하며 일측면 및 타측면이 개구되는 판형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상부프레임(112)을 포함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부프레임(111)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110)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 개의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몸체 다리부(140)와; 및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 및 타측면 둘레를 따라 감기거나 풀리는 체인방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채수함(130)의 승하강동작을 수행하는 이송체인(15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수관거의 맨홀내 하수시료를 일정한 시간간격마다 자동으로 채수할 수 있고, 맨홀내 설치가 가능하여 파손 및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 { Auto-Lifting Water Sampler Apparatus for Manhole}
본 발명은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채수함을 맨홀내부에서 수직으로 승하강시켜 하수시료를 자동으로 채수하는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간선 하수관거의 맨홀내 하수시료 채수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간선 하수관거의 특정지점에 위치한 맨홀내 하수시료를 채수하기 위하여 채수함이 달린 채수용 장비를 이동차량에 싣고 다니며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반복적으로 특정지점에 위치한 맨홀을 방문하여 하수시료를 수동으로 채수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하수시료를 수동으로 채수하는 경우에 차량내에서 채수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인원과 맨홀내에 채수함을 투입시켜 하수시료를 채수하기 위한 인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최소한 두 명 이상의 인원이 항시 출동상태에 있게 되고 업무 교대에 필요한 인원까지 포함할 경우에 하수시료를 채수하는데 소용되는 인원과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수관거의 특정지점에 위치한 맨홀의 상부지점에 칸막이를 친다음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자동으로 하수시료를 채수하기 위한 자동채수기를 설치하는 기술이 시도되었으나 대다수의 맨홀이 차량통행 및 유동인구가 많은 도심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간에는 도심내 미관을 해치고 야간에는 주행차량에 의해 자동채수기가 파손이 되거나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동채수기는 대형으로 제작되는 사각함체내부에 고정설치되는 다수개의 시료수집통에 펌프방식으로 동작하는 파이프와 분배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하수시료를 시료수집통에 분배하는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치방식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하수관거의 맨홀내 하수시료를 일정한 시간간격마다 자동으로 채수할 수 있고, 맨홀내 설치가 가능하여 파손 및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맨홀삽입형 채수장치에 관한 현실적이고도 적용이 가능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KR 10-2007-0081461호(공개일 2007.08.16.)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수관거의 맨홀내 하수시료를 일정한 시간간격마다 자동으로 채수할 수 있고, 맨홀내 설치가 가능하여 파손 및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는, 하수관거의 맨홀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승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채수함(130)을 구비하여 맨홀 하부의 하수시료를 채수하는 자동승강 채수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스테인레스 강관으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111)과, 상기 하부프레임(111)의 상측 길이방향으로 고정결합되고 이송체인용 구동모터(10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회전축(102)을 구비하기 위한 공간부를 내부에 형성하며 일측면 및 타측면이 개구되는 판형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상부프레임(112)을 포함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부프레임(111)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110)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 개의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몸체 다리부(140)와; 및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 및 타측면 둘레를 따라 감기거나 풀리는 체인방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채수함(130)의 승하강동작을 수행하는 이송체인(15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는, 상기 몸체(110)의 상부프레임(112) 상단 일측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이송체인(150)에 의해 이송된 채수함(130)이 상기 상부프레임(112)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채수함(130)으로부터 수거되는 하수시료를 시료수집용기로 유도하는 시료유도 수거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상기 이송체인(150)의 구동시에 유동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12) 및 하부프레임(111)에 각각 삼기 몸체(110)와 일정간격 이격된 채 상기 이송체인(150)을 지지하는 이송체인용 로울러(1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상기 이송체인(150)의 경로와 대응되며 일측면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채수감지용 센서(103), 및 상기 이송체인(150)의 경로와 대응되며 타측면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수거감지용 센서(10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상부프레임(112) 상측에 상기 상부프레임(112)의 메인회전축(102)에 동력체인(105)으로 연동되는 구동스프라켓(106)과 이송체인(150)과 연동되는 종동스프라켓(107)을 구비하여 상기 이송체인(150)을 이송체인용 구동모터(101)에 의한 간접구동방식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체인(150)은, 상기 채수함(130)과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센서감지봉(180)을 구비하여 채수함(130)이 몸체(110)의 타측면을 따라 하강하거나 상승 하는 경우에 상기 센서감지봉(180)이 상기 몸체(110)에 설치되는 채수감지용 센서(103) 및 수거감지용 센서(104)가 설치된 지점에 도달하면 채수함(130)의 진행방향 역방향으로 동작하거나 일정시간동안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채수함(130)은, 상기 이송체인(15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연결커넥터부(131)를 일측면에 구비하고, 상기 이송체인(150)을 따라 상승하는 방향의 선단부에 개구부(132)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박스형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채수함(130)은, 상기 몸체(110)의 하부방향에 배치되어 하수시료를 채수하는 경우에 상기 선단부의 개구부(132)를 통하여 하수시료를 용이하게 채수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상기 몸체(110)의 타측면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여 하수시료를 채수하거나 수거하는 시점에 회전반경을 줄일 수 있도록, 타측면이 일측면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상기 이송체인(150)을 따라 상승하는 방향의 선단부 및 후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는, 상기 몸체(110)를 구성하는 상부프레임(112)의 상단 일측 전방에 형성되는 시료유도 수거부(16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161)가 상기 상부프레임(112)을 구성하는 판형플레이트의 측면에 체결볼트로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료유도 수거부(160)는, 채수함(130)의 개구부(132)를 통해 낙하되는 하수시료를 안정적으로 받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132)에 비해 면적이 넓은 유입구(162)가 상부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수거용기(163); 및 상기 수거용기(163)의 하부면 타측에서 외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거용기(163)로 유입되는 하수시료를 시료수집용기로 유도할 수 있도록 길게 굽혀진 모양으로 형성되는 수거관(16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 다리부(140)는, 세모꼴을 가지며 일체로 형성되는 세 개의 막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 개의 막대 중 하나의 막대가 상기 몸체부의 하부프레임 측면을 관통하며 결합하는 몸체 지지부(141); 및 상기 몸체 지지부(141)를 구성하는 세 개의 막대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각각 하부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나사결합을 이용해 독립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 개의 높이조절 다리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는, 시료채수용 자동승강 채수장치(100)를 구성하는 채수감지용 센서(103) 및 수거감지용 센서(104)의 감지신호를 받아 이송체인(150)의 승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채수기 제어장치(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채수기 제어장치(300)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310); 상기 시료채수용 자동승강 채수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제어장치(320)와; 상기 채수감지용 센서(103),및 수거감지용 센서(104)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센서케이블(330); 상기 이송체인(150)의 승하강 동작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구동모터케이블(340); 상기 채수감지용 센서(103), 및 수거감지용 센서(104)의 동작을 미리 입력한 시간 간격으로 제어하는 타이머(350); 및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361,362), 채수횟수표시부(363), 및 설정제어표시부(364)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310)을 커버하는 표시덮개부(3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채수함을 맨홀내부에서 수직으로 승하강시켜 하수시료를 자동으로 채수하는 시료채수용 자동승강 채수장치를 구비하여 하수관거의 맨홀내 하수시료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자동으로 채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분실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채수함의 승하강동작을 수행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체인방식으로 동작하는 이송체인을 사용함으로써 정밀제어가 가능하여 종래의 벨트방식에 비해 하수시료를 정확한 위치에서 채수하여 수거용기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채수함의 승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이송체인이 일정한 힘으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송체인을 몸체로 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킬 수 있는 체인로울러를 몸체에 부착하여 채수함의 승하강 동작시 유동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하부에 독립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 개의 다리를 구비하는 몸체 다리부를 구비하여 몸체가 설치되는 맨홀 하부의 인접하게 위치하는 바닥에 요철이 있거나 수위가 다르더라도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맨홀내에 설치되는 몸체를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오폐수에 함유된 황화수소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경량화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상단에 설치하는 시료유도 수거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지지대를 구비하여 다양한 규격의 수거용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채수함의 선단부 및 후단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수거용기에 하수시료가 낙하하는 경우에 정위치에서 떨어지게 할 수 있고, 회전시 회전반경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체인에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에 구동모터의 메인회전축에서 직접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을 이용하여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상부회전축 및 하부회전축을 통해 전달하는 간접구동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구동모터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시료유도 수거부로부터 구동모터에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구동모터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고 고장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간선 하수관거의 맨홀내 하수시료 채수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가 적용된 자동채수기의 전체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승강 채수장치의 채수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자동채수기를 구성하는 자동회전 채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자동회전 채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회전 채수장치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채수기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가 적용된 자동채수기의 전체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가 적용되는 자동채수기는, 자동승강 채수장치(100), 자동회전 채수장치(200), 채수기 제어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자동승강 채수장치(100)는, 하수관거의 맨홀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장방형의 몸체(110)와, 수직형 슬롯부(121)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탈착판(120), 및 상기 몸체(110)의 타측면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버킷 엘리베이터 방식으로 승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채수함(13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회전 채수장치(200)는, 상기 탈착판(120)에 형성된 슬롯부(121)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ㄱ'자 형상의 견착부(220)를 구비하여 상기 자동승강 채수장치(10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자동승강 채수장치(100)에서 채수한 하수시료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기 위하여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시료수집용기용 안착홀(201)을 구비한 채 일정한 시간주기로 회전하는 원형 회전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수기 제어장치(300)는, 상기 자동승강 채수장치(100)에 구비되는 이송체인(150)의 승하강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자동회전 채수장치(200)에 구비되는 회전부(210)의 회전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승강 채수장치의 채수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승강 채수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승강 채수장치(100)는, 몸체(110), 몸체 다리부(140), 이송체인(150), 및 시료유도 수거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하부프레임(111)과 상부프레임(112)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11)은, 자동회전 채수장치(200)가 탈착 결합되는 탈착판(120)이 상측 둘레에 고정결합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스테인레스 강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2)은, 상기 하부프레임(111)의 상측 길이방향으로 고정결합되고, 이송체인용 구동모터(10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회전축(102)을 구비하기 위한 공간부를 내부에 형성하며, 일측면 및 타측면이 개구되는 판형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프레임(111)과 동일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프레임(112)을 구성하는 판형 플레이트에 이송체인용 구동모터(101)에 연결되는 메인회전축(102) 및 상부회전축(108)이 설치되고, 상기 판형 플레이트의 상단으로는 지지대(161)에 의하여 높이 변경이 가능한 시로유도 수거부(160)가 조립되고, 타측면으로는 이송체인(150)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이송체인용 로울러(170)가 조립될 수 있으며, 채수함(13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수거감지용 센서(104)를 구비 할 수 있다.
상기 몸체 다리부(140)는, 상기 몸체(110)의 하부프레임(111)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110)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 개의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송체인(150)은,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 및 타측면 둘레를 따라 감기거나 풀리는 체인방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채수함(130)의 승하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시료유도 수거부(160)는, 상기 몸체(110)의 상부프레임(112) 상단 일측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이송체인(150)에 의해 이송된 채수함(130)이 상기 상부프레임(112)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채수함(130)으로부터 수거되는 하수시료를 상기 시료수집용 자동회전 채수장치(200)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10)는, 상기 이송체인(150)의 구동시에 유동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12) 및 하부프레임(111)에 각각 삼기 몸체(110)와 일정간격 이격된 채 상기 이송체인(150)을 지지하는 이송체인용 로울러(17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이송체인용 로울러(170)는 이송체인(150)의 장력을 일정한 힘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상기 이송체인(150)의 경로와 대응되며 일측면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채수감지용 센서(103), 및 상기 이송체인(150)의 경로와 대응되며 타측면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수거감지용 센서(104)를 구비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몸체(110)는, 상부프레임(112) 상측에 상기 상부프레임(112)의 메인회전축(102)에 동력체인(105)으로 연동되는 구동스프라켓(106)과 이송체인(150)과 연동되는 종동스프라켓(107)을 구비하여 상기 이송체인(150)을 이송체인용 구동모터(101)에 의한 간접구동방식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체인(150)은, 상기 채수함(130)과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센서감지봉(180)을 구비하여 채수함(130)이 몸체(110)의 타측면을 따라 하강하거나 상승 하는 경우에 상기 센서감지봉(180)이 상기 몸체(110)에 설치되는 채수감지용 센서(103) 및 수거감지용 센서(104)가 설치된 지점에 도달하면 채수함(130)의 진행방향 역방향으로 동작하거나 일정시간동안 정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채수함(130)은, 상기 이송체인(15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연결커넥터부(131)를 일측면에 구비하고, 상기 이송체인(150)을 따라 상승하는 방향의 선단부에 개구부(132)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박스형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커넥터부(131)는 채수 목적에 부합하는 다양한 양의 하수시료를 채수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수함(130)은, 상기 몸체(110)의 하부방향에 배치되어 하수시료를 채수하는 경우에 상기 선단부의 개구부(132)를 통하여 하수시료를 용이하게 채수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상기 몸체(110)의 타측면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여 하수시료를 채수하거나 수거하는 시점에 회전반경을 줄일 수 있도록, 타측면이 일측면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상기 이송체인(150)을 따라 상승하는 방향의 선단부 및 후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거되는 하수시료를 자동회전 채수장치(200)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10)를 구성하는 상부프레임(112)의 상단 일측 전방에 형성되는 시료유도 수거부(16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161)가 상기 상부프레임(112)을 구성하는 판형플레이트의 측면에 체결볼트로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161)를 고정시키는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각 지지대(161)의 경사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시료유도 수거부(1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자동회전 채수장치(200)에 배치되는 시료수집용기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지지대(161)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시료유도 수거부(160)는, 수거용기(163)와 수거관(16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거용기(163)는, 채수함(130)의 개구부(132)를 통해 낙하되는 하수시료를 안정적으로 받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132)에 비해 면적이 넓은 유입구(162)가 상부면 일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거관(164)은, 상기 수거용기(163)의 하부면 타측에서 외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거용기(163)로 유입되는 하수시료를 자동회전 채수장치(200)에 구비되는 시료수집용기로 유도할 수 있도록 길게 굽혀진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100)가 적용된 자동채수기는, 착탈식 지지대(1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지지대(190)는, 상측 끝단은 높이조절나사(191)를 구비하여 상기 자동회전 채수장치(200)의 하부와 위치조절이 가능한 나사결합으로 지지결합하고 하측 끝단은 상기 몸체 다리부(140)의 상부에 거치되어 착탈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착탈식 지지대(190)에 의하여 시료수집용 자동회전 채수장치(200)의 처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 다리부(140)는, 몸체 지지부(141), 세 개의 높이조절 다리부(142), 및 이탈방지턱(143)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 지지부(141)는, 세모꼴을 가지며 일체로 형성되는 세 개의 막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 개의 막대 중 하나의 막대가 상기 몸체부의 하부프레임 측면을 관통하며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 개의 높이조절 다리부(142)는, 상기 몸체 지지부(141)를 구성하는 세 개의 막대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각각 하부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나사결합을 이용해 독립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이탈방지턱(143)은, 상기 착탈식 지지대(190)의 하측 끝단이 상기 몸체 지지부(141)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몸체 지지부(141) 상측 가장자리에 정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탈방지턱(143)에 의하여 상기 착탈식 지지대(19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채수용 자동승강 채수장치(100)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수시료를 채수하기 위하여 몸체(110)가 맨홀내 삽입되어 설치된 다음 채수기제어장치(300)에 의해 사전에 입력된 예약시간이 되면 이송체인용 구동모터(101)가 정회전으로 구동하여 이송체인(150)에 결합된 채수함(130)이 하강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채수함(130)이 맨홀하부에 배치되는 몸체(110)의 하단을 지나면서 개구부(132)를 통해 하수시료를 채수하게 되고, 채수기 제어장치(300)에서 역회전 신호를 받은 이송체인용 구동모터(101)에 의해 이송체인(150)에 결합된 채수함(130)이 역방향으로 상승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승동작을 수행하는 채수함(130)이 몸체(110)의 상단을 지나게 되면 선단부의 개구부(132)가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지게 되어 시로유도 수거부(160)의 수거용기(163)로 하수시료가 유입되고 결과적으로 자동회전 채수장치(200)에 거치된 시료수집용기에 하수시료가 수집될 수 있다.
즉, 하수시료를 채수하는 과정은 채수기 제어장치(300)의 정회전신호에 의해 채수함(130)을 하강시키는 동작을 시작으로 수행되며, 이송체인(150)에 고정 결합된 센서감지봉(180)이 몸체의 하부에 부착된 채수감지용 센서(103)에 의하여 감지되면 동력이 정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110)의 하부회전축(109) 하측으로 채수함(130)이 맨홀 하부에 흐르는 하수시료에 잠긴 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한 다음 구동모터(101)의 역회전 동작에 의해 채수함(130)이 상승하여 하수시료를 채수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101)의 역회전 동작에 의해 상승한 채수함(130)은 몸체(110)를 구성하는 상부프레임(112)에 부착된 수거감지용 센서에 의해 센서감지봉(180)이 감지되면 동력이 정지하게 되고, 이때, 몸체(110)의 상부회전축(108)에 위치하는 채수함(130)에서 수거용기(163)로 하수시료가 수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승강 채수장치(100)는, 채수기 제어장치(300)에서 정회전 신호를 받아 이송체인용 구동모터(101)가 구동되면 메인회전축(102)에 연결된 동력체인(105)에 의하여 상부회전축(108)이 회전하면서 이송체인(150)에 부착된 채수함(130)이 하강하게 되고, 하수시료의 채수가 완료된 다음 상기 구동모터(101)가 역회전하면 메인회전축(102)이 역회전하여 채수함(130)이 상승할 수 있으며, 이때, 수거감지용 센서(104)에 이송체인(150)에 부착된 센서감지봉(180)이 감지되면 동력이 정지하면서 채수함(130)에서 수거용기(163)에 하수시료를 부어주게 되고 사전에 정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채수기 제어장치(300)에서 정회전 신호를 보내면 상기 구동모터(101)가 구동되어 동일한 승하강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자동채수기를 구성하는 자동회전 채수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자동회전 채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채수기를 구성하는 자동회전 채수장치는, 회전부(210)와 고정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자동회전 채수장치(200)는, 'ㄱ'자 형상의 견착부(220)를 구비하여 시료채수용 자동승강 채수장치(100)의 탈착판(120)에 형성된 슬롯부(121)에 끼워 맞춤식으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10)는, 시료수집용기를 위한 다수개의 홀이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다수개의 시료수집용 안착홀(201)을 형성하는 상부회전판(211)과, 상기 안착홀(201)에 안착되는 시료수집용기를 지지하는 하부회전판(212)이 상호간에 서로 일정간견 이격된 채 적층구조로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회전판(211) 및 하부회전판(212)을 포함하는 회전부(210)는 회전판 구동모터(233)의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채수기 제어장치(300)에 미리 입력된 시간간격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판 구동모터(233)의 회전력을 감속하는 웜(234)과 웜기어(235)에 의해 미리 입력된 시간간격으로 시료유도 수건부(160)의 수거관(164) 끝단에 시료수집용기용 안착홀(201)이 정위치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0)는, 상호간에 서로 일정간견 이격된 채 상기 회전부(210)의 하부에 적층구조로 결합되는 상부고정판(231)과 하부고정판(2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210)를 지지고정하며 상기 견착부(220)의 끝단을 상기 상부고정판(231)의 일측가장자리에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회전 채수장치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회전 채수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회전 채수장치(200)는, 시료수집용기를 위한 다수개의 홀이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다수개의 시료수집용 안착홀(201)을 형성하는 상부회전판(211)과, 상기 안착홀(201)에 안착되는 시료수집용기를 지지하는 하부회전판(212)이 상호간에 서로 일정간견 이격된 채 적층구조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회전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회전 채수장치(200)는, 상호간에 서로 일정간견 이격된 채 상기 회전부(210)의 하부에 적층구조로 결합되는 상부고정판(231)과 하부고정판(2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210)를 지지고정하며 상기 견착부(220)의 끝단을 상기 상부고정판(231)의 일측가장자리에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회전부(210)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202)를 고정시키는 고정커넥터(203)를 상부면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30)는, 도 2의 회전판 구동모터(233), 상기 회전판 구동모터(233)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웜(234), 상기 웜(234)의 회전력을 특정감속비로 감속시키는 웜기어(235), 및 상부고정판(231)의 중심부를 수직으로 관통한 채 상기 회전부(210)의 하부면에 고정되게 형성되고 상기 웜기어(235)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부(210)의 회전동작을 구동시키는 원형관 형상의 구동샤프트(2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지지대(239) 및 샤프트베어링(238)을 함께 구비하여 상기 구동샤프트(236)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웜(234)은 웜베어링(234a) 및 웜지지대(234b)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230)는, 회전부(210)를 지지하며 회전시키는 구동샤프트(23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고정판(231)과 하부고정판(232)이 상호간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시키는 중공의 원형결합관(237)을 상기 상부고정판(231)과 하부고정판(232) 사이에 다수개 배치하고, 상기 다수개의 원형결합관(237)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에 대응되는 너트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고정판(231)과 하부고정판(232)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230)의 구동샤프트(236)에 의해 회전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부회전판(211)과 하부회전판(212)이 상호간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시키는 중공의 원형결합관(237a)을 상기 상부회전판과 하부회전판 사이에 다수개 배치하고, 상기 다수개의 원형결합관(237a)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에 대응되는 너트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회전판(211)과 하부회전판(212)을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210)의 상부회전판(211)과 하부회전판(212)을 결합시키는 체결볼트는, 끝단이 상기 하부회전판의 하부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회전부(210)가 회전동작을 하는 경우에 상기 고정부(230)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회전감지센서(202)에 의해 회전이 감지되는 회전감지봉(24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감지봉(240)은, 상기 회전부(210)를 구성하는 상부회전판(211)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시료수집용기용 안찰홀(201)에 일대일 대응되는 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210)를 구성하는 하부회전판(212)의 가장자리에 회전감지센서(202)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슬롯(250)이 형성되어 회전시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자동회전 채수장치(200)는, 하부에 상부고정판(231) 및 하부고정판(232)으로 이루어진 고정부(230)가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23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구동샤프트(236)가 상부 수직방향으로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샤프트(236)에는 하부회전판(212) 및 상부회전판(211)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채 순차적으로 적층조립되어 상기 구동샤프트(236)가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두 개의 회전판(211,212)으로 이루어진 회전부(210)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3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견착부(220)를 조립결합하여 몸체(110)의 탈착판(120)에 끼워 맞춤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으며, 회전감지센서(202)를 고정부(230)의 상부에 설치하여 하부회전판(212)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회전감지봉(240)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회전 채수장치(200)의 회전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자동회전 채수장치(200)는, 후술하는 채수기 제어장치(300)에서 정회전 신호를 받아 회전판 구동모터(233)가 구동되면 상기 구동모터(233)에 연결된 웜(234) 및 상기 웜(234)에 치합된 웜기어(235)가 구동샤프트(236)를 회전시키면서 시료수집용기가 거치된 상부회전판(211)을 회전시키고, 회전감지봉(240)이 고정부(230)에 설치된 회전감지센서(202)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채수기 제어장치(300)에 미리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회전판 구동모터(233)가 정지하여 자동승강 채수장치(100)를 통해 수거된 하수시료를 시료수집용기에 담을 수 있다.
또한, 이후에도 미리 설정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채수기 제어장치(300)에서 정회전 신호를 보내면 회전판 구동모터(233)가 회전감지봉(240)이 회전감지센서(202)에 감지될 때가지 구동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료수집용기가 거치되는 상부회전판(211)의 안착홀(201)이 여섯개 형성되어 시간간격을 두 시간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열두시간 동안 무인상태로 자동으로 하수시료를 채수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조건하에서는 종래에 두 시간 간격으로 하수시료를 채수하러 다니는 인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에 비해 시간과 투입되는 노동력을 줄여 하수시료를 채수하는 작업에 있어서 생산성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채수기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채수기는, 시료채수용 자동승강 채수장치(100)를 구성하는 채수감지용 센서(103) 및 수거감지용 센서(104)의 감지신호를 받아 이송체인(150)의 승하강 동작을 제어하고, 시료수집용 자동회전 채수장치(200)에 구비된 회전감지센서(202)의 감지신호를 받아 회전부(210)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채수기 제어장치(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채수기 제어장치(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이송체인용 구동모터(101) 및 회전판 구동모터(2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송체인(150)의 정/역방향 승하강동작과 회전부(210)의 정회전동작을 제어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채수기 제어장치(300)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310), 상기 시료채수용 자동승강 채수장치(100) 및 시료수집용 자동회전 채수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제어장치(320)와, 상기 채수감지용 센서(103)와 수거감지용 센서(104) 및 회전감지센서(202)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센서케이블(330)과, 상기 이송체인(150)의 승하강 동작 및 상기 회전부(210)의 회전동작을 구동시키는 각 구동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구동모터케이블(340)과, 상기 채수감지용 센서(103)와 수거감지용 센서(104) 및 회전감지센서(202)의 동작을 미리 입력한 시간 간격으로 제어하는 타이머(350), 및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361,362)와 채수횟수표시부(363) 및 설정제어표시부(364)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310)을 커버하는 표시덮개부(36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표시덮개부(360)와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경첩(311)을 각 모서리에 구비하고 케이블 정리를 위한 케이블트레이(3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덮개부(360)는 상기 경첩(311)에 대응되는 경첩핀(311a)을 구비하여 하우징(310) 개폐를 돕고, 잠금핀(365)을 구비하여 하우징(310)의 시건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제어장치(320)를 구성하는 제어박스의 측면에 전원제어스위치(321)를 별도 구비하여 응급상황발생시 채수기 제어장치(300)의 전원제어상태를 초기화 할 수 있으며, 메인전원스위치(301)도 추가로 구비하여 전체 동작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채수함을 맨홀내부에서 수직으로 승하강시켜 하수시료를 자동으로 채수하는 시료채수용 자동승강 채수장치와, 상기 시료채수용 자동승강 채수장치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정한 시간주기로 회전하는 회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채수함의 하수시료를 시료수집용기에 수집하는 시료수집용 자동회전 채수장치를 맨홀내부에 동시에 구비하여 하수관거의 맨홀내 하수시료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자동으로 채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분실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간선 하수관거에 적용가능한 자동채수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채수함의 승하강동작을 수행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체인방식으로 동작하는 이송체인을 사용함으로써 정밀제어가 가능하여 종래의 벨트방식에 비해 하수시료를 정확한 위치에서 채수하여 수거용기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채수함의 승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이송체인이 일정한 힘으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송체인을 몸체로 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킬 수 있는 체인로울러를 몸체에 부착하여 채수함의 승하강 동작시 유동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하부에 독립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 개의 다리를 구비하는 몸체 다리부를 구비하여 몸체가 설치되는 맨홀 하부의 인접하게 위치하는 바닥에 요철이 있거나 수위가 다르더라도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맨홀내에 설치되는 몸체를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오폐수에 함유된 황화수소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경량화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상단에 설치하는 시료유도 수거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지지대를 구비하여 다양한 규격의 수거용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채수함의 선단부 및 후단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수거용기에 하수시료가 낙하하는 경우에 정위치에서 떨어지게 할 수 있고, 회전시 회전반경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체인에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에 구동모터의 메인회전축에서 직접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을 이용하여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상부회전축 및 하부회전축을 통해 전달하는 간접구동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구동모터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시료유도 수거부로부터 구동모터에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구동모터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고 고장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료채수용 자동승강 채수장치를 구성하는 몸체에 시료수집용 자동회전 채수장치를 탈착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견착부를 구비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자동회전 채수장치의 하부를 지지하며 높이조절이 가능한 착탈식 지지대를 동시에 구비하여 자동회전 채수장치가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착탈식 지지대를 거치하는 몸체다리부의 상단에 이탈방지턱을 구비하여 상기 착탈식 지지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형의 회전판과 이를 지지하는 원형의 고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회전 채수장치를 구비하여 회전동작을 걸림동작없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어 맨홀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회전판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와 이에 대응되는 회전봉을 회전부에 설치하여 회전시간을 감지할 수 있어 채수기 제어장치와 연동하여 회전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회전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적층결합시킬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원형결합관 이를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체결볼트 을 이용함으로써 회전부에 거치되는 시료용기의 크기가 변할 경우에 용이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고정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적층결합시키는 원형결합관을 구비하기 때문에 고정부에 회전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원하는 수준으로 정밀하게 감속시킬 수 있는 웜기어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속비가 높은 웜기어를 구비하여 회전부의 회전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부와 고정부를 복수개의 원형판으로 적층하는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고 무게를 줄일 수 있어 경량화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회전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중공의 원형결합관에 체결볼트를 일정길이 돌출되게 관통시켜 회전감지봉으로 사용함으로써 부품수를 절감하고 조립구조를 단순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자동승강 채수장치 101 : 이송체인용 구동모터
102 : 메인회전축 103 : 채수감지용 센서
104 : 수거감지용 센서 105 : 동력체인
106 : 구동스프라켓 107 : 종동스프라켓
108 : 상부회전축 109 : 하부회전축
110 : 몸체 111 : 하부프레임
112 : 상부프레임
120 : 탈착판 121 : 슬롯부
130 : 채수함 131 : 연결커넥터부
132 : 개구부 140 : 몸체다리부
141 : 몸체지지부 142 : 높이조절 다리부
143 : 이탈방지턱 150 : 이송체인
160 : 시료유도 수거부 161 : 지지대
162 : 유입구 163 : 수거용기
164 : 수거관 170 : 이송체인용 로울러
180 : 센서감지봉 190 : 착탈식 지지대
191 : 높이조절나사
200 : 자동회전 채수장치 201 : 시료수집용기용 안착홀
202 : 회전감지센서 203 : 고정커넥터
210 : 회전부 211 : 상부회전판
212 : 하부회전판 220 : 견착부
230 ; 고정부 231 : 상부고정판
232 : 하부고정판 233 : 회전판 구동모터
234 : 웜 234a : 웜베어링
234b : 웜지지대 235 : 웜기어
236 : 구동샤프트 237,237a : 원형결합관
238 : 샤프트베어링 239 : 샤프트지지대
240 : 회전감지봉 250 : 거치슬롯
300 : 채수기 제어장치 310 : 하우징
311 : 경첩 312 : 케이블트레이
320 : 전원제어장치 321 : 전원제어스위치
330 : 센서케이블 340 : 구동모터케이블
350 : 타이머 360 : 표시덮개부
361 : 온스위 362 : 오프스위치
363 : 채수횟수표시부 364 : 설정제어표시부

Claims (13)

  1. 하수관거의 맨홀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수직형 슬롯부(121)를 구비하는 탈착판(120) 및 버킷 엘리베이터방식으로 승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채수함(130)을 구비하여 맨홀 하부의 하수시료를 채수하는 자동승강 채수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스테인레스 강관으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111)과, 상기 하부프레임(111)의 상측 길이방향으로 고정결합되고 이송체인용 구동모터(10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회전축(102)을 구비하기 위한 공간부를 내부에 형성하며 일측면 및 타측면이 개구되는 판형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상부프레임(112)을 포함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부프레임(111)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110)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 개의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몸체 다리부(140)와; 및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 및 타측면 둘레를 따라 감기거나 풀리는 체인방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채수함(130)의 승하강동작을 수행하는 이송체인(150);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110)의 상부프레임(112) 상단 일측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이송체인(150)에 의해 이송된 채수함(130)이 상기 상부프레임(112)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채수함(130)으로부터 수거되는 하수시료를 시료수집용기로 유도하는 시료유도 수거부(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 다리부(140)는, 세모꼴을 가지며 일체로 형성되는 세 개의 막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 개의 막대 중 하나의 막대가 상기 몸체부의 하부프레임 측면을 관통하며 결합하는 몸체 지지부(141); 및 상기 몸체 지지부(141)를 구성하는 세 개의 막대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각각 하부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나사결합을 이용해 독립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 개의 높이조절 다리부(142);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110)는, 상기 이송체인(150)의 구동시에 유동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12) 및 하부프레임(111)에 각각 삼기 몸체(110)와 일정간격 이격된 채 상기 이송체인(150)을 지지하는 이송체인용 로울러(170)와, 상기 이송체인(150)의 경로와 대응되며 일측면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채수감지용 센서(103), 및 상기 이송체인(150)의 경로와 대응되며 타측면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수거감지용 센서(104)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110)는, 상부프레임(112) 상측에 상기 상부프레임(112)의 메인회전축(102)에 동력체인(105)으로 연동되는 구동스프라켓(106)과 이송체인(150)과 연동되는 종동스프라켓(107)을 구비하여 상기 이송체인(150)을 이송체인용 구동모터(101)에 의한 간접구동방식으로 동작시키고,
    상기 이송체인(150)은, 상기 채수함(130)과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센서감지봉(180)을 구비하여 채수함(130)이 몸체(110)의 타측면을 따라 하강하거나 상승 하는 경우에 상기 센서감지봉(180)이 상기 몸체(110)에 설치되는 채수감지용 센서(103) 및 수거감지용 센서(104)가 설치된 지점에 도달하면 채수함(130)의 진행방향 역방향으로 동작하거나 일정시간동안 정지하며,
    상기 채수감지용 센서(103) 및 수거감지용 센서(104)의 감지신호를 받아 이송체인(150)의 승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채수기 제어장치(30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채수기 제어장치(300)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310); 상기 시료채수용 자동승강 채수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제어장치(320)와; 상기 채수감지용 센서(103),및 수거감지용 센서(104)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센서케이블(330); 상기 이송체인(150)의 승하강 동작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구동모터케이블(340); 상기 채수감지용 센서(103), 및 수거감지용 센서(104)의 동작을 미리 입력한 시간 간격으로 제어하는 타이머(350); 및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361,362), 채수횟수표시부(363), 및 설정제어표시부(364)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310)을 커버하는 표시덮개부(360);를 구비하며,
    상기 채수기 제어장치(300)에 의하여 회전동작이 제어되는 회전부(210)를 구비하고, 상기 탈착판(120)에 형성된 슬롯부(121)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ㄱ'자 형상의 견착부(220)를 구비하여 상기 시료채수용 자동승강 채수장치(10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시료채수용 자동승강 채수장치(100)에서 채수한 하수시료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기 위하여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시료수집용기용 안착홀(201)을 구비한 채 일정한 시간주기로 회전하는 시료수집용 자동회전 채수장치(200);를 포함하고,
    상측 끝단은 상기 시료수집용 자동회전 채수장치(200)의 하부와 위치조절이 가능한 나사결합으로 지지결합하고 하측 끝단은 상기 몸체 다리부(140)의 상부에 거치되어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는 원형봉형상의 착탈식 지지대(190);를 더 구비하며,
    상기 몸체 다리부(140)는, 상기 착탈식 지지대(190)의 하측 끝단이 상기 몸체 지지부(141)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몸체 지지부(141) 상측 가장자리에 정방형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턱(143);을 구비하고,
    상기 시료수집용 자동회전 채수장치(200)는, 시료수집용기를 위한 다수개의 홀이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다수개의 시료수집용 안착홀(201)을 형성하는 상부회전판(211)과, 상기 안착홀(201)에 안착되는 시료수집용기를 지지하는 하부회전판(212)이 상호간에 서로 일정간견 이격된 채 적층구조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회전부(210); 및 상호간에 서로 일정간견 이격된 채 상기 회전부(210)의 하부에 적층구조로 결합되는 상부고정판(231)과 하부고정판(2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210)를 지지고정하며 상기 견착부(220)의 끝단을 상기 상부고정판(231)의 일측가장자리에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부(230);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회전부(210)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202)를 고정시키는 고정커넥터(203)를 상부면에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230)는, 회전판 구동모터(233); 상기 회전판 구동모터(233)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웜(234); 상기 웜(234)의 회전력을 특정감속비로 감속시키는 웜기어(235); 및 상부고정판(231)의 중심부를 수직으로 관통한 채 상기 회전부(210)의 하부면에 고정되게 형성되고, 상기 웜기어(235)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부(210)의 회전동작을 구동시키는 원형관 형상의 구동샤프트(236);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210)를 지지하며 회전시키는 구동샤프트(236)를 포함하는 고정부(230)는, 상부고정판(231)과 하부고정판(232)이 상호간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시키는 중공의 원형결합관(237)을 상기 상부고정판(231)과 하부고정판(232) 사이에 다수개 배치하고, 상기 다수개의 원형결합관(237)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에 대응되는 너트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고정판(231)과 하부고정판(232)을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부(230)의 구동샤프트(236)에 의해 회전동작을 수행하는 회전부(210)는, 상부회전판(211)과 하부회전판(212)이 상호간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시키는 중공의 원형결합관(237a)을 상기 상부회전판과 하부회전판 사이에 다수개 배치하고, 상기 다수개의 원형결합관(237a)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에 대응되는 너트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회전판(211)과 하부회전판(212)을 결합시키며,
    상기 회전부(210)의 상부회전판(211)과 하부회전판(212)을 결합시키는 체결볼트는, 끝단이 상기 하부회전판의 하부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회전부(210)가 회전동작을 하는 경우에 상기 고정부(230)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회전감지센서(202)에 의해 회전이 감지되는 회전감지봉(240);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수함(130)은,
    상기 이송체인(15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연결커넥터부(131)를 일측면에 구비하고,
    상기 이송체인(150)을 따라 상승하는 방향의 선단부에 개구부(132)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박스형상을 갖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채수함(130)은,
    상기 몸체(110)의 하부방향에 배치되어 하수시료를 채수하는 경우에 상기 선단부의 개구부(132)를 통하여 하수시료를 용이하게 채수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상기 몸체(110)의 타측면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여 하수시료를 채수하거나 수거하는 시점에 회전반경을 줄일 수 있도록,
    타측면이 일측면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상기 이송체인(150)을 따라 상승하는 방향의 선단부 및 후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를 구성하는 상부프레임(112)의 상단 일측 전방에 형성되는 시료유도 수거부(16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161)가 상기 상부프레임(112)을 구성하는 판형플레이트의 측면에 체결볼트로 고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유도 수거부(160)는,
    채수함(130)의 개구부(132)를 통해 낙하되는 하수시료를 안정적으로 받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132)에 비해 면적이 넓은 유입구(162)가 상부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수거용기(163); 및
    상기 수거용기(163)의 하부면 타측에서 외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거용기(163)로 유입되는 하수시료를 시료수집용기로 유도할 수 있도록 길게 굽혀진 모양으로 형성되는 수거관(16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40179621A 2014-12-12 2014-12-12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 KR101524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621A KR101524491B1 (ko) 2014-12-12 2014-12-12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621A KR101524491B1 (ko) 2014-12-12 2014-12-12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491B1 true KR101524491B1 (ko) 2015-06-01

Family

ID=5349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621A KR101524491B1 (ko) 2014-12-12 2014-12-12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4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3621A (zh) * 2019-11-21 2020-02-21 河北工程大学 一种使底泥采样器垂直投放的装置
KR102211839B1 (ko) 2020-08-24 2021-02-03 (주)청담이엠텍 자동 채수장치
CN114814132A (zh) * 2022-04-01 2022-07-29 江西省水产科学研究所(江西省鄱阳湖渔业研究中心、江西省渔业资源生态环境监测中心) 一种用于江豚繁殖的水质监测装置及监测方法
KR102629522B1 (ko) 2023-05-19 2024-01-25 (주)에코베이스 채수장치의 맨홀 고정용 브라켓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663B1 (ko) * 1997-06-20 1999-07-01 신재호 수질자동측정기 수직 왕복이동장치
JP2007255137A (ja) * 2006-03-24 2007-10-04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採水装置および採水方法
KR20110087981A (ko) * 2010-01-28 2011-08-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시료채취장치
KR101084304B1 (ko) * 2011-04-26 2011-11-16 태성산업주식회사 상자 가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663B1 (ko) * 1997-06-20 1999-07-01 신재호 수질자동측정기 수직 왕복이동장치
JP2007255137A (ja) * 2006-03-24 2007-10-04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採水装置および採水方法
KR20110087981A (ko) * 2010-01-28 2011-08-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시료채취장치
KR101084304B1 (ko) * 2011-04-26 2011-11-16 태성산업주식회사 상자 가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3621A (zh) * 2019-11-21 2020-02-21 河北工程大学 一种使底泥采样器垂直投放的装置
KR102211839B1 (ko) 2020-08-24 2021-02-03 (주)청담이엠텍 자동 채수장치
CN114814132A (zh) * 2022-04-01 2022-07-29 江西省水产科学研究所(江西省鄱阳湖渔业研究中心、江西省渔业资源生态环境监测中心) 一种用于江豚繁殖的水质监测装置及监测方法
CN114814132B (zh) * 2022-04-01 2024-02-02 江西省水产科学研究所(江西省鄱阳湖渔业研究中心、江西省渔业资源生态环境监测中心) 一种用于江豚繁殖的水质监测装置及监测方法
KR102629522B1 (ko) 2023-05-19 2024-01-25 (주)에코베이스 채수장치의 맨홀 고정용 브라켓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385B1 (ko) 맨홀삽입형 자동회전 채수장치
KR101513463B1 (ko) 간선 하수관거에 적용가능한 맨홀삽입형 자동채수기
KR101524491B1 (ko)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
KR101795286B1 (ko) 맨홀삽입형 자동채수장치
CN103028849B (zh) 激光切管机自动上下料装置
CN111188315B (zh) 一种地下车库智能挡水排水装置
KR20140017965A (ko)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
CN210150855U (zh) 一种高效机械污水净化装置
KR101170324B1 (ko) 도로용 빗물 저류조시설
CN108499901A (zh) 塑料箱分类设备及塑料箱分类方法
CN212173705U (zh) 一种托盘自动回传系统
CN205381781U (zh) 一种双线自动收料机
CN210947112U (zh) 一种预制泵站底部拉杆升降自清洁装置
KR100856851B1 (ko) 침전지의 스컴배출장치
KR200376637Y1 (ko)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US6851441B2 (en) Apparatus for collecting rainwater
KR100646158B1 (ko) 펌프장 협잡물 처리장치
CN206763020U (zh) 球磨机自动加球装置
CN219238645U (zh) 一种链条装配机的自动化上料系统
CN219218185U (zh) 一种溶铜自动添料系统
CN204883928U (zh) 钱币出料装置
CN204916259U (zh) 一种袋装货品分装系统
CN215957704U (zh) 一种全自动的生猪养殖喂料系统
CN116730476B (zh) 一种废水处理用反应池
KR101566315B1 (ko) 수처리시스템의 스컴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