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637Y1 -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637Y1
KR200376637Y1 KR20-2004-0034708U KR20040034708U KR200376637Y1 KR 200376637 Y1 KR200376637 Y1 KR 200376637Y1 KR 20040034708 U KR20040034708 U KR 20040034708U KR 200376637 Y1 KR200376637 Y1 KR 2003766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m
main body
discharge
water
typ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7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균
Original Assignee
조창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창균 filed Critical 조창균
Priority to KR20-2004-0034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6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6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6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5Floating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 등과 같은 개량침전지에서 발생하는 부유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스컴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부유물의 수집 배출을 위하여 상하 이송이 가능한 동시에 스컴 및 물의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한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배출통수단, 수위에 맞게 배출통수단을 상하 이송시켜주는 동력수단, 수질의 상태나 부유물의 발생량에 따라 자동으로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등을 포함함으로써, 설비의 운영이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정수처리공정이나 하수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유물을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Scum disposal equipment for filtration/sewage disposal plant}
본 고안은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 등과 같은 개량침전지에서 발생하는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는 스컴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위에 맞게 부력형 배출통을 자동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방식, 수질의 상태나 부유물의 발생량에 따라 자동으로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방식 등을 포함하는 스컴제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정수처리공정이나 하수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유물을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컴의 발생 원인이 되는 조류는 수중의 탄산가스 및 유기염류를 섭취하고 광합성 작용을 하며 성장하는 생물군으로서, 개량침전지, 예를 들면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 등에 널리 분포하면서 스컴을 발생시키는 원인을 제공한다.
보통 정수처리공정이나 하수처리공정에서의 스컴의 제거는 스컴 발생에 영향을 주는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는 운전방식을 적용하거나, 약품을 투입하여 처리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스컴 발생량에 비해 그 처리효율은 상당히 낮은 실정이고, 운전비용이나 약품 사용비용 등 적지 않은 비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 부담이 많이 가는 실정이다.
현재 스컴의 제거는 과거의 수작업에 의존하던 차원에서 한단계 발전하여 기계적인 설비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점차 나아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스컴 제거를 위한 설비들은 부유되어 있는 스컴을 걷어내는 정도의 단순한 설비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처리조의 수위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점, 스컴 발생량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점, 스컴 제거를 위한 처리용량에 한계가 있는 점 등 설비의 운용이나 관리측면에서 만족할만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부유물의 수집 배출을 위하여 상하 이송이 가능한 동시에 스컴 및 물의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한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배출통수단, 수위에 맞게 배출통수단을 상하 이송시켜주는 동력수단, 수질의 상태나 부유물의 발생량에 따라 자동으로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등을 포함함으로써, 설비의 운영이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정수처리공정이나 하수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유물을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침전조 내의 전 길이에 걸쳐 배치되면서 부유물을 수집하고 배출하는 배출통수단과, 적어도 2개의 배출통수단을 매달고 있는 구조로 지지하는 지지수단 및 이 지지수단의 상하로 움직여주는 구동수단과, 센서수단의 신호를 받아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배출통수단 및 지지수단 전체의 수위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해주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통수단은 일정 폭과 침전조의 내부 전 길이에 걸쳐 배치되는 길이를 갖는 동시에 상부 2곳에 지지점을 이용하여 지지되면서 상하 이송가능하며 상부의 수집구는 부유물 및 물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개방형 구조로 되어 있는 동시에 하부의 배출구는 관을 통해 외부의 펌핑장치측과 연결되는 부력형 배출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형 배출통은 상하 이송시의 안내를 위하여 침전조 양쪽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양쪽의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형 배출통의 하부 배출구에서 연장되는 관은 상하 이송시 저항을 주지않는 주름관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구동수단측에 그 중심이 결합 지지되면서 상하 이송이 가능하게 되며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침전조 구간에 걸쳐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의 길다란 플레이트 조합형 구조로 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면서 아래로 수직 연장되어 그 하단이 부력형 배출통의 상부에 일체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침전조측에 고정 설치되면서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포스트에 의해 슬라이드 관통되어 상하 이송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가이드포스트와의 슬라이드 관통부위 저면부에 설치되어 본체의 낙하시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 내장형 쇽업소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위아래 다수의 너트를 이용하여 본체측에 체결 고정되는 상단부의 체결 구조에 의해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침전조상의 플레이트 위에서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면서 체인전동구조로 동력이 연결되는 구동모터 및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출력축으로서 상하 이동가능하며 상단이 본체의 중심 저면부에 결합되어 본체의 상하 이송을 가능하게 해주는 이송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부력형 배출통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위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수단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침전조의 수위에 맞게 부력형 배출통의 위치를 조절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는 자동운전 및 수동운전이 가능하며, 부유물 발생량에 따라 작동시간을 입력하여 운전을 할 수 있는 배출간격 및 배출시간 타이머를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는 부력형 배출통의 수위면으로 이동시 센서수단의 신호값에 따라 수위면에 근접하기 까지는 빠르게 이동시키고 수위면에 근접하여서는 물의 파장이 최소가 되도록 서서히 이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력형 배출통(12)은 부유물을 수집 및 배출하는 수단으로서, 자체 중량과 부력을 일치시켜 상하 이송시 저항을 최소화하고, 부유물 및 물이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하며, 이탈시 패들 및 기타 기구와 충돌을 피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부력형 배출통(12)은 폭이 좁고 침전조의 전 길이에 걸쳐 배치되는 길이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는 수집구(10)로서 전체 면적이 개방되어 있고 바닥부는 호퍼형태로 이루어지면서 그 중심쪽에 배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부력형 배출통(12)은 후술하는 본체(16)측에서 수직 연장되는 2개 정도의 지지대(17)의 하단부에 그 상부가 연결되어서 본체(16)와 함께 상하 이송이 가능한 구조로 지지된다.
상기 부력형 배출통(12)의 상부 수집구(10)는 침전조의 수위와 동일하게 위치되어 부유물 및 물이 곧바로 넘어오는데 전혀 문제가 없게 되며, 하부 배출구(11)는 관을 통해 외부의 펌핑장치(미도시)측과 연결되어 있어서 펌핑장치가 가동하면 수집구(10)를 통해 통 내부로 수집된 부유물과 물이 빨려나와 외부로 배출 처리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부력형 배출통(12)의 하부 배출구(11)에서 연장되는 관은 주름관(15)으로 되어 있어서 부력형 배출통(12)의 상하 이송시 전혀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부력형 배출통(12)의 양쪽 측면부에는 가이드수단, 예를 들면 가이드롤러(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때의 가이드롤러(14)는 침전조 양쪽 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13)을 따라 이동하면서 부력형 배출통(12)의 상하 이송을 안내하게 되므로 부력형 배출통(12)은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상하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력형 배출통(12)의 수위 높이 조절은 수위센서(24)의 신호를 바탕으로 자동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부력형 배출통(12)의 일측, 예를 들면 부유물 및 물의 수위와 일치하게 되는 수집구(10)의 상단 끝부분에는 수위센서(24)가 설치되며, 이 수위센서(24)의 신호가 후술하는 컨트롤박스(미도시)에 제공되면 컨트롤박스의 제어에 의해 구동수단, 즉 구동모터(21)가 작동되면서 부력형 배출통(12)이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수위에 맞게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부력형 배출통은 수위센서의 신호값에 따른 컨트롤 박스의 제어에 의해 수면 상측으로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수면에 근접할 때까지 빠르게 이송되며 수면에 근접하여서는 물의 파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서서히 이동시킴으로써 부유물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며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력형 배출통(12)의 지지를 위한 본체(16)는 폭이 좁고 길이가 긴 길다란 2개의 플레이트를 겹쳐놓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침전조를 커버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플레이트는 연이어서 배치되어 있는 2개 이외의 침전조를 커버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본체(16)에는 그 두께를 관통하면서 아래로 수직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대(1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때의 지지대(17) 하단부는 부력형 배출통(12)의 상단부에 직접 또는 브라켓 등을 통해 용접이나 볼트 체결방식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7)는 하나의 부력형 배출통(12)에 2개가 배속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일 구현예와 같이 하나의 본체(16)로 2개의 부력형 배출통(12)를 지지하는 경우 총 4개의 지지대(17)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력형 배출통(12)은 본체(16)의 지지대(17)를 통해 매달린 형태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지지대(17)는 위아래 다수의 너트를 이용하여 본체(16)측에 체결 고정되는 구조로 결합되어 있어서 그 길이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단부 일부 길이가 나사부로 되어 있는 지지대(17)가 본체(16)에 형성되어 있는 홀을 관통한 후 그 윗면과 밑면에서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가 이루어짐에 따라 너트를 풀고 조이는 조작에 의해 지지대(17)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지지대(17)의 길이조정은 부력형 배출통(12)의 초기 위치를 침전조의 크기에 맞게 세팅하는데 유리한 잇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체(16)는 구동수단측에 그 길이의 중심이 결합 지지되면서 상하 이송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본체(16)는 부력형 배출통(12)을 위로 올리거나 아래로 내릴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본체(1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보여준다.
침전조의 상부를 일부 덮고 있는 커버플레이트(미도시)에는 한 곳의 침전조에 대해 2개 정도의 가이드포스트(18)가 세워지고, 이렇게 세워지는 가이드포스트(16)상에 본체(16)가 관통되면서 슬라이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의 본체 관통부위에는 부시(25)가 삽입되어 있어서 슬라이드 안내시의 저항을 최소화시켜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본체(16)에는 가이드포스트(18)와의 슬라이드 관통부위 저면부에 각각의 스프링 내장형 쇽업소버(1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6)의 낙하시 충격이 흡수될 수 있게 되고, 또 이때의 쇽업소버(19)는 본 고안의 장치가 하나의 본체(16)로 2개의 부력형 배출통(12)을 움직여야 하는 중량물인 관계로 상하 이송시의 수평 밸런스를 유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부력형 배출통(12)을 포함하는 본체(16) 전체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동수단을 보여준다.
상기 구동수단은 수위에 맞게 자동으로 부력형 배출통(12)을 상하로 이송시켜주는 장치로서, 응집지 청소 등 수위 과다 또는 저하시 운전을 정지하는 센서가 내장되어 있으며, 수위의 정확한 제어를 위해 웜과 웜 스크류, 브레이크 감속모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수단은 침전조 구조물상의 플레이트(20)상에 설치되면서 서로 전동가능한 구동모터(21) 및 기어박스(22)와, 상하 이동하면서 실질적으로 본체(16)을 올려주고 내려주는 이송축(23)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21)와 기어박스(22)는 각각의 축에 장착된 풀리와 그 사이에 연결되는 체인을 이용한 전동구조를 갖게 되며, 체인 전동구조 이외에 벨트나 기어 등의 전동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송축(23)은 기어박스(22)의 내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면서 내부의 기어조합과 연계되는 구조로 조합되며, 그 상단부는 본체(16)의 중심 저면부에 결합되어 본체(16)의 상하 이송을 가능하게 해준다.
예를 들면, 수위센서(24)의 신호에 따른 컨트롤박스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21)가 정방향으로 작동하면 기어박스(22) 내에서의 전동을 통해 이송축(23)이 상승하면서 본체(16)의 위치도 수위에 맞게 윗쪽으로 조정되고, 반대로 구동모터(21)의 역방향 작동시에는 이송축(23)이 하강하면서 본체(16)의 위치도 수위에 맞게 아래쪽으로 조정된다.
스컴제거를 위한 장치의 제어수단으로서 컨트롤박스가 제공된다.
상기 컨트롤박스는 자동운전 및 수동운전을 할 수 있으며, 부유물(스컴)의 발생량이나 형상에 따라 작동간격 시간을 입력하여 최적의 조건으로 장치의 운전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력형 배출통의 수위 높이 조절은 수위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박스에는 배출간격과 배출시간 타이머가 내장되어 있어서 수질, 계절 등 부유물의 생성조건에 따라 임의 조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침전지의 부유물 발생량 및 조건에 맞추어 1일 작동 횟수는 24시간 기준으로 0∼60회까지 작동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1회 작동시간은 수질 상태에 따라 0∼5분까지 설정이 가능하다.
자동운전시 부유물 과다 발생시에는 배출간격은 좁히고 배출시간은 늘리는 운전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운전 중 이상 발생시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경광등 및 싸이렌(미도시)이 갖추어져 있어서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스컴제거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침전조 내의 부력형 배출통(12)은 수위센서(24)의 검출신호를 입력받은 컨트롤박스의 제어에 의해 그 상단 수집구(10)가 침전조의 수위와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부력형 배출통(12)은 최초 수위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컨트롤박스의 제어에 의해 수면에 일정거리 근접되기 까지는 약간 빠르게 이동되고 수면에 근접되서는 물의 파장을 최대한 일으키지 않으면서 부유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서서히 수위면에 이동 근접시키도록 한다.
계속해서, 부력형 배출통(12)의 위치가 결정되면 이때부터 물 위에 떠 있는 부유물에 대한 회수작업이 진행된다.
즉, 외부의 펌핑장치가 가동하면 부유물은 물과 함께 부력형 배출통(12)의 수집구(10)→배출구(11)→주름관(15)을 거쳐 외부로 수거되고, 이렇게 수거된 부유물과 물은 별도의 후처리 공정을 통해 처리된다.
침전조 내로 들어오는 유입수의 양이 많아지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침전조의 수위가 변하면 이에 맞게 부력형 배출통(12) 또한 상하로 이송하면서 수위에 맞는 위치를 찾아갈 수 있게 된다.
즉, 수위센서(24)의 수위감지신호 제공→컨트롤박스의 제어신호 출력→구동모터(21) 및 기어박스(22)의 작동에 의한 이송축(23)의 상승 또는 하강→본체(16)의 상하 이송의 과정을 통해 부력형 배출통(12)은 침전조의 수위와 동일한 높이수준을 자동으로 맞출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부력형 배출통, 배출통 상하 이송장치, 컨트롤박스 등을 포함하면서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 등과 같은 개량침전지에서 발생하는 부유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스컴제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스컴 제거를 위한 장치의 설비 운영이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정수처리공정이나 하수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유물을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컴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컴제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컴제거장치의 본체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컴제거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컴제거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집구 11 : 배출구
12 : 부력형 배출통 13 : 가이드레일
14 : 가이드롤러 15 : 주름관
16 : 본체 17 : 지지대
18 : 가이드포스트 19 : 쇽업소버
20 : 플레이트 21 : 구동모터
22 : 기어박스 23 : 이송축
24 : 수위센서 25 : 부시

Claims (12)

  1. 침전조 내의 전 길이에 걸쳐 배치되면서 부유물을 수집하고 배출하는 배출통수단과, 적어도 2개의 배출통수단을 매달고 있는 구조로 지지하는 지지수단 및 이 지지수단의 상하로 움직여주는 구동수단과, 센서수단의 신호를 받아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배출통수단 및 지지수단 전체의 수위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해주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수단은 일정 폭과 침전조의 내부 전 길이에 걸쳐 배치되는 길이를 갖는 동시에 상부 2곳에 지지점을 이용하여 지지되면서 상하 이송가능하며 상부의 수집구(10)는 부유물 및 물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개방형 구조로 되어 있는 동시에 하부의 배출구(11)는 관을 통해 외부의 펌핑장치측과 연결되는 부력형 배출통(1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력형 배출통(12)은 상하 이송시의 안내를 위하여 침전조 양쪽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13)을 따라 이동가능한 양쪽의 가이드롤러(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부력형 배출통(12)의 하부 배출구(11)에서 연장되는 관은 상하 이송시 저항을 주지않는 주름관(15)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구동수단측에 그 중심이 결합 지지되면서 상하 이송이 가능하게 되며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침전조 구간에 걸쳐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의 길다란 플레이트 조합형 구조로 되어 있는 본체(16)와, 상기 본체(16)에 고정되면서 아래로 수직 연장되어 그 하단이 부력형 배출통(12)의 상부에 일체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대(1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16)는 침전조측에 고정 설치되면서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포스트(18)에 의해 슬라이드 관통되어 상하 이송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본체(16)는 가이드포스트(18)와의 슬라이드 관통부위 저면부에 설치되어 본체(16)의 낙하시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 내장형 쇽업소버(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7)는 위아래 다수의 너트를 이용하여 본체(16)측에 체결 고정되는 상단부의 체결 구조에 의해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침전조상의 플레이트(20) 위에서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면서 체인전동구조로 동력이 연결되는 구동모터(21) 및 기어박스(22)와, 상기 기어박스(22)의 출력축으로서 상하 이동가능하며 상단이 본체(16)의 중심 저면부에 결합되어 본체(16)의 상하 이송을 가능하게 해주는 이송축(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부력형 배출통(12)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위센서(24)의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수단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침전조의 수위에 맞게 부력형 배출통(12)의 위치를 조절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는 자동운전 및 수동운전이 가능하며, 부유물 발생량에 따라 작동시간을 입력하여 운전을 할 수 있는 배출간격 및 배출시간 타이머를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는 부력형 배출통의 수위면으로 이동시 센서수단의 신호값에 따라 수위면에 일정거리 근접하기 까지는 빠르게 이동시키고 수위면에 근접하여서는 물의 파장이 최소가 되도록 서서히 이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KR20-2004-0034708U 2004-12-07 2004-12-07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KR2003766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708U KR200376637Y1 (ko) 2004-12-07 2004-12-07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708U KR200376637Y1 (ko) 2004-12-07 2004-12-07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637Y1 true KR200376637Y1 (ko) 2005-03-11

Family

ID=43678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708U KR200376637Y1 (ko) 2004-12-07 2004-12-07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63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174B1 (ko) 2006-09-25 2008-01-02 주식회사하이워텍엔지니어링 스컴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1010831B1 (ko) 2008-07-30 2011-01-25 조창균 스컴제거설비의 집수통 위치조절장치
CN109304057A (zh) * 2018-12-04 2019-02-05 中冶沈勘秦皇岛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V型滤池
KR20190029918A (ko) * 2017-09-13 2019-03-21 기영호 부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위추적 및 스컴수집이 가능한 스컴수집장치
KR102292010B1 (ko) * 2021-02-03 2021-08-23 박길태 이동형 스컴 제거장치
KR20230000979U (ko) 2021-11-08 2023-05-16 장용현 침전지 스컴 제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174B1 (ko) 2006-09-25 2008-01-02 주식회사하이워텍엔지니어링 스컴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1010831B1 (ko) 2008-07-30 2011-01-25 조창균 스컴제거설비의 집수통 위치조절장치
KR20190029918A (ko) * 2017-09-13 2019-03-21 기영호 부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위추적 및 스컴수집이 가능한 스컴수집장치
KR102067998B1 (ko) * 2017-09-13 2020-01-20 대구광역시 부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위추적 및 스컴수집이 가능한 스컴수집장치
CN109304057A (zh) * 2018-12-04 2019-02-05 中冶沈勘秦皇岛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V型滤池
CN109304057B (zh) * 2018-12-04 2024-04-30 中冶沈勘秦皇岛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V型滤池
KR102292010B1 (ko) * 2021-02-03 2021-08-23 박길태 이동형 스컴 제거장치
KR20230000979U (ko) 2021-11-08 2023-05-16 장용현 침전지 스컴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8864B2 (en) Screened decanter assembly for a settling tank
US20100018929A1 (en) Primary equalization settling tank
KR101016488B1 (ko)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KR102418093B1 (ko) 녹조 및 부유물 회수장치
RU2431610C2 (ru) Комплексный способ безреагентн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брикетирования ила
KR200376637Y1 (ko)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KR101443735B1 (ko) 레일형 부력식 스파이럴 원형 슬러지 수집기
KR102139901B1 (ko) 부유물 데드존이 없는 무한궤도형 슬러지 수집기
JPH09234465A (ja) スカム・水分離装置ならびに分離水の利用方法
CN110713291A (zh) 生活有机废水处理装置
KR101517285B1 (ko) 침전지용 슬러지 일괄처리시스템
KR101278957B1 (ko) 폐수처리용 침전부상장치
KR102272151B1 (ko) 녹조 유도 정화장치
US3215276A (en) Adjustable baffle grit chamber
KR101582653B1 (ko) 슬러지 수집장치
KR200445430Y1 (ko) 태양광 자동 부유물 제거기
JP2007117870A (ja) 移床式集泥装置及び集泥方法
KR101010831B1 (ko) 스컴제거설비의 집수통 위치조절장치
KR100642202B1 (ko) 스크롤형 주행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CN111112205A (zh) 晶核投加清洗装置
KR102319878B1 (ko) 녹조 복합 처리장치
CN215102138U (zh) 一种自动撇渣管
KR101609534B1 (ko) 조류 제거장치
KR102511082B1 (ko) 하, 폐수용 종합 전처리장치
CN111603842B (zh) 一种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