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266B1 -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266B1
KR101576266B1 KR1020150045867A KR20150045867A KR101576266B1 KR 101576266 B1 KR101576266 B1 KR 101576266B1 KR 1020150045867 A KR1020150045867 A KR 1020150045867A KR 20150045867 A KR20150045867 A KR 20150045867A KR 101576266 B1 KR101576266 B1 KR 101576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rescent
mold
layer
block
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축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축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축테크
Priority to KR1020150045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87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acting on the mould ; Fixation thereof to the moul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주간에 자연광 또는 인조광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축적한 후 일몰 후 야간에도 일정시간 발광함으로써 일반 보행자 및 시각 장애인에게 시인성을 극대화시켜 정확한 방향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안전 유도기능을 제공하는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점자블록이, 종횡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원뿔 절단형 돌기(11a) 또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상단부 평면형 돌기(11b)로 이루어진 메인 돌기(11)가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돌기(11)의 표면에 사각뿔 형상의 음각부 또는 사각뿔 형상의 소돌기로 이루어진 돌기부(12)가 일정하게 배열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몸체(10)와; 상기 메인 돌기(11)에 설치되며, 상기 돌기부(12)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축광부재(21)와 그 배면의 반사부재(22)로 이루어진 축광층(20)과; 구성 요소간의 일체화를 이루어 분리, 박리 및 이탈이 발생하지 않고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몸체(10)와 축광층(20)을 일체화시키는 코팅층(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Integrated Phosphorescent Braille Block Manufacturing Method }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간에 자연광 또는 인조광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축적한 후 일몰 후 야간에도 일정시간 발광함으로써 일반 보행자 및 시각 장애인에게 시인성을 극대화시켜 정확한 방향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안전 유도기능을 제공하는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자블록은 사각판체로 이루어진 본체 상면에 다수의 돌기를 종과 횡으로 균등하게 돌출시켜, 시각 장애인이나 또는 약시자들을 위해 보행위치와 보행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진행방향을 따라 매립시킨 시설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자블록은 건축물의 주출입구와 도로 또는 교통시설을 연결하는 보도, 그리고 교통시설의 주출입구로부터 매표소나 대합실 및 승강장에 이르는 통로(시설관리자 등으로부터 별도의 상시 안내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는 제외), 그리고 교통시설 중 버스정류장 및 택시 승강장의 승/하차 지점에 시각 장애인이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있다.
한편, 점자블록은 본체 표면에 형성된 돌기들을 그 단면이 사다리꼴인 원형으로 형성한 것과, 돌기들이 선형으로 연속하여 성형된 것 등, 두 종류로 구분되고 있다. 그 중 표면에 원형돌기를 갖는 점자블록은 주로 시발지점과 종착지점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곳에 설치되며, 선형 돌기를 갖는 점자블록은 지하철의 플랫폼을 따라 매입하거나 건널목의 끝단에 폭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경계선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점자블록은 주로 맹인이나 약시자들을 위해 설치되어 그 용도가 한정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장애인뿐만 아니라 일반 정상인들도 공용할 수 있는 용도의 다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즉, 점자블록의 기본적인 기능에 더하여 블록 외부 면이나 내측에 별도의 발광체를 삽입하여 어두운 장소 또는 야간에 블록이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도로 안내 기능과 함께 조명 기능을 갖도록 하고 있다. 또, 점자블록에 축광부를 포함시켜, 축광부가 주간에 태양광(자연광) 또는 수은등, 형광등, 백열등, 가로등 같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인조광의 에너지를 흡수축적하여 야간에도 일정시간 발광하도록 하기도 한다.
이러한 축광부를 구비한 점자블록은 후술하는 특허문헌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문헌 이외의 축광층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일부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882220호의 "축광층이 코팅된 흙 블록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베이스를 이루는 흙 블록과, 상기 흙 블록의 표면에 표면 평탄화를 위해 형성되는 평탄화층과; 상기 평탄화층 위에 축광층의 효율 향상을 위해 형성되는 배면반사층과, 상기 배면반사층 위에 축광을 위해 형성되는 축광층과; 상기 축광층 위로 축광층의 보호를 위해 형성되는 보호층을 포함하여 축광에 의한 발광 시간 및 휘도를 극대화시키도록 구성된 흙 블록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축광층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배면반사층을 스프레이 코팅 또는 브러시 코팅 법 등을 이용하여 코팅하고, 배면반사층 위에 유기 결합제와 축광 분말의 혼합 페이스트를 코팅하여 축광층을 형성하며, 그 위에 보호층으로 투명한 UV 경화성 에폭시 수지를 코팅하는 공정등을 포함하여 대부분이 코팅 공정을 활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은 건물 내부에서는 정전 시나 화재 발생으로 인하여 전기 공급이 차단되어 캄캄할 때 출구유도 표시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옥외에서는 가로등이 없는 한적한 공원 등에서 자동차 등의 유도로 표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흙 블록은 그 발광 잔광시간이 짧아 현재에는 실내 화재 대피용으로만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는 다른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935413호의 "축광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야간이나 화재 시 방향 유도를 할 수 있는 문양의 축광판이 표면에 삽입된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골재 60 ~ 80 wt%, 포틀랜트 시멘트 10 ~ 30 wt%, 물 1 ~ 10 wt%, 혼화제 0.1 ~ 0.5 wt%를 포함하는 하부몰탈 조성물을 성형기에 투입하고; 상기 하부몰탈 조성물을 20 ~ 40톤의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1차 압축하며; 상기 압축된 몰탈의 상부에 골재 40 ~ 50 wt%, 알루미나 시멘트 20 ~ 40 wt%, 물 10 ~ 30 wt%를 포함하는 상부몰탈 조성물을 투입하고; 상기 상부몰탈조성물을 40 ~ 60톤의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2차 압축하며; 상기 상부몰탈 가압면에 축광판투입장치를 이용하여 축광판을 올려놓고, 150 ~ 300 톤의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1 ~ 20 초간 압축시켜 축광판이 일체화되면서 압축되도록 하는 공정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시멘트를 사용함에 따라 시멘트 경화물에 다량 존재하는 수산화칼슘(소석회,Ca(OH)2)이 유출되어 발생하는 백화현상(Whitening Event)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가장 심각한 문제인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축광판을 삽입하기 위해서 대형의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압축시키는 공정을 활용함으로써, 블록의 제작 도중에 파손 또는 크랙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압착 공정은 대량 생산 시 그 제조과정이 까다롭고, 이로 인한 제조단가의 상승 및 블록으로써 제품의 가치가 떨어져 시장진출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563646호의 "축광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축광물질이 포함된 축광성(photoluminescent) 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결정으로 MAl2O4 혼합물(M은 금속)이 포함된 축광성 형광체와 프리트를 건식 혼합시킨 축광성 유약 분말을 타일에 충전(filling)하거나 도포(glazing)시키고, 이를 소성시켜서 제조되는 축광성 타일 및 상기 축광성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어둠 속에서 발광하는 축광성을 가짐으로써 건물 내부 등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비상시에, 표시기호 등으로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광고 대용품으로 사용할 경우 전력 절감 등의 경제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은 타일이 본래 가지고 있던 정교한 장식용 무늬와 다양한 색상을 그대로 느낄 수 있어 낮이나 불이 켜져 있는 경우에 실내외의 건축자재로서의 타일의 원래 색상과 무늬 장식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둠 속에서는 발광하는 축광성을 동시에 얻을 수 있으므로 장식용 타일 및 도로의 주행선 표시등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타일제조방법으로서, 소성공정을 활용하여야 하므로 대형 제조설비가 필요하고, 제작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제작비용이 고가(高價)이어서, 일반적으로 대량 생산되어 저가로 시공되어야 하는 보도블록으로서는 활용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KR 20-0419110 Y1 KR 10-2006-0084475 A KR 10-2012-0111470 A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코팅층에 의해 축광부재와 반사부재 및 몸체가 서로 일체화되어 구성 요소간 분리, 박리, 이탈이 발생하지 않고, 야간에 잔광시간이 길어짐과 동시에, 대한민국 시각 장애인의 95%가 전맹이 아닌 약시자로 야간에도 점자블록을 인식할 수 있도록 야간이나 일몰 후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위험물이나 위험구간을 명확하게 인식시켜 줄 수 있으며, 일반 보행자 및 시각 장애인에게 야간에도 정확한 방향을 안전하게 유도해주는 안내블록을 구현할 수 있는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심 외관이 미려한 보도 디자인에 기여할 수 있고, 표면 및 결합구조가 화학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가지며, 내수성, 내알카리성, 내산성,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보도블록 자체의 수명 연장을 가져올 수 있고, 오염에도 강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저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한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은, 종횡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원뿔 절단형 돌기 또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상단부 평면형 돌기로 이루어진 메인 돌기가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돌기의 표면에 사각뿔 형상의 음각부 또는 사각뿔 형상의 소돌기로 이루어진 돌기부가 일정하게 배열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메인 돌기에 설치되며, 상기 돌기부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축광부재와 그 배면의 반사부재로 이루어진 축광층과; 구성 요소간의 일체화를 이루어 분리, 박리 및 이탈이 발생하지 않고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몸체와 축광층을 일체화시키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에 따르면, 상기 축광층은 메인 돌기 중 폭방향 가운데의 2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은 상면에 원뿔 절단형 돌기 또는 상단부 평면형 돌기 형상을 갖는 복수의 메인 돌기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메인 돌기의 상면에 사각뿔 형상을 갖는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된 몸체에 대응하도록, 저면에 상기 메인 돌기에 대응하는 제1음각부가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제1음각부의 저면에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는 제2음각부가 복수 개 형성된 상부 개방형 중공 공간이 구비된 몰드를 준비하는 몰드 준비단계와; 상기 몰드의 제1음각부에 투명수지와 축광안료 및 경화제가 배합된 혼합물을 투입하여 일정 두께의 축광부재를 형성한 후 자연 경화시키는 축광부재 형성 단계와; 상기 몰드를 이용하여 미리 제작한 반사부재를 상기 축광부재가 형성된 제1음각부에 삽입하여 상기 축광부재와 일체화시키는 축광층 형성 단계와; 점자블록의 표면 유색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수지, 석분, 산화철을 포함하는 착색안료 및 경화제가 배합된 혼합물을 상기 몰드 내에 투입하는 유색층 형성 단계와; 상기 몰드에 미리 제작된 다기공블록으로 이루어진 몸체를 투입하여 상기 축광층과 몸체을 일체화시키는 본체 형성 단계와; 상기 축광층과 몸체가 일체화된 본체를 자연 경화시켜 양생한 후 상기 몰드로부터 탈형하는 본체 탈형 단계와; 상기 몰드의 바닥면에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된 투명 코팅제를 투입한 후 탈형된 본체를 투입하여 축광층과 본체를 일체화 코팅하고, 코팅층을 일정 시간 동안 자연 경화시켜 양생하는 코팅층 형성단계와; 상기 몰드로부터 완제품을 탈형하여 적재하는 완제품 탈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축광층 형성단계는, 별도 제작된 반사부재를 부착하는 대신 상기 몰드에 형성된 축광부재 위에 투명수지와 반사안료 및 경화제로 이루어진 반사부재용 혼합물을 투입한 후 양생하여 상기 축광부재와 일체화된 반사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반사부재를 제작하는 공정은, 상기 몰드에 투명수지와 반사안료 및 경화제로 이루어진 반사부재용 혼합물을 투입하는 단계와, 8시간 자연 경화시켜 양생한 후 상기 몰드로부터 반사부재를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다기공블록을 제작하는 공정은, 내측에 복수의 지지용 돌기가 형성된 블록몰드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몰드에 골재와 수지 배합물이 혼합된 배합물을 투입하는 단계와; 압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몰드의 배면을 가압하여 배합물을 평탄화 및 다짐하는 단계와; 12시간 동안 자연 경화시켜 양생한 후 상기 블록몰드로부터 다기공블록을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배합물은 투명수지 6~10wt%, 석분 7~10wt%, 경화제 1~2wt%, 안료 1~2wt%가 혼합된 조성물에 2~6㎜ 크기의 골재 70-85wt%를 부은 후 10~15분 동안 배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축광부재는 자외선 차단제가 포함된 투명수지 60~70 wt%와, 축광안료 25~35 wt% 및 경화제 1~5wt%가 배합된 혼합물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반사부재는 투명수지 35~45 wt%와, 반사안료 54~64 wt% 및 경화제 1~5 wt%가 배합된 혼합물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유색층을 구성하는 수지와 석분은 1: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축광부재는 20분 동안 자연 경화시켜 양생하고, 상기 본체는 12시간 동안 자연 경화시켜 양생하며, 상기 코팅층은 6~9시간 동안 자연 경화시켜 양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 및 그 제조방법은, 블록의 표면 및 결합구조가 화학적으로 안정된 상태이므로, 내수성, 내알카리성, 내산성,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보도블록 자체의 수명 연장을 가져올 수 있으며, 오염에도 강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저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 제조시 시멘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 시멘트 경화물에 다량 존재하는 수산화칼슘(소석회,Ca(OH)2)이 유출되어 발생하는 백화현상(Whitening Event)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가장 심각한 문제인 균열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시공 후 발생하는 유지보수 비용 등의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코팅층에 의해 축광부재와 반사부재 및 몸체가 일체화되어 구성 요소간 분리, 박리, 이탈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축광부재와 반사부재가 주간에 자연광 또는 인조광의 에너지를 흡수 및 축적한 후 일몰 후 야간에도 일정시간 발광하게 되므로, 일반 보행자 및 시각 장애인의 시인성을 극대화시켜 정확한 방향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안전 유도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야간에 잔광시간이 길어짐과 동시에 대한민국 시각 장애인의 95%를 차지하는 약시자들이 야간에도 점자블록을 인식할 수 있도록 야간이나 일몰 후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위험구간을 명확하게 구분해 주는 안내블록의 기능과, 일반 보행자에게는 정확한 방향을 안전하게 유도해주는 방향 유도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보도 디자인에 변혁을 주어 도심 미관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반사부재 제조공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축광층의 형성과정을 나타낸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다기공블록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인 다기공블록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횡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원뿔 절단형 돌기(11a) 또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상단부 평면형 돌기(11b)로 이루어진 메인 돌기(11)가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돌기(11)의 표면에 사각뿔 형상의 음각부 또는 사각뿔 형상의 소돌기로 이루어진 돌기부(12)가 일정하게 배열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몸체(10)와; 상기 메인 돌기(11)에 설치되며, 상기 돌기부(12)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축광부재(21)와 그 배면의 반사부재(22)로 이루어진 축광층(20)과; 구성 요소간의 일체화를 이루어 분리, 박리 및 이탈이 발생하지 않고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몸체(10)와 축광층(20)을 일체화시키는 코팅층(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축광층(20)은 메인 돌기(11) 중 폭방향 가운데의 2열에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비교적 고가의 재료로 형성되는 축광부재 및 반사부재의 소모량을 줄임으로써 제조원가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은 도 4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원뿔 절단형 돌기(11a) 또는 상단부 평면형 돌기(11b) 형상을 갖는 복수의 메인 돌기(11)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메인 돌기(11)의 상면에 사각뿔 형상을 갖는 복수의 돌기부(12)가 형성된 몸체(10)에 대응하도록, 저면에 상기 메인 돌기(11)에 대응하는 제1음각부(51)가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제1음각부(11)의 저면에 상기 돌기부(12)에 대응하는 제2음각부(52)가 복수 개 형성된 상부 개방형 중공 공간이 구비된 몰드(M1)를 준비하는 몰드 준비단계와; 상기 몰드(M1)의 제1음각부(51)에 투명수지와 축광안료 및 경화제가 배합된 혼합물을 투입하여 일정 두께의 축광부재(21)를 형성한 후 자연 경화시키는 축광부재 형성 단계와; 상기 몰드(M1)를 이용하여 미리 제작한 반사부재(22)를 상기 축광부재(21)가 형성된 제1음각부(51)에 삽입하여 상기 축광부재(21)와 일체화시키는 축광층 형성 단계와; 점자블록의 표면 유색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수지, 석분, 산화철을 포함하는 착색안료 및 경화제가 배합된 혼합물을 상기 몰드(M1) 내에 투입하는 유색층 형성 단계와; 상기 몰드(M1)에 미리 제작된 다기공블록으로 이루어진 몸체(10)를 투입하여 상기 축광층(20)과 몸체(10)을 일체화시키는 본체 형성 단계와; 상기 축광층(20)과 몸체(10)가 일체화된 본체를 자연 경화시켜 양생한 후 상기 몰드(M1)로부터 탈형하는 본체 탈형 단계와; 상기 몰드(M1)의 바닥면에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된 투명 코팅제를 투입한 후 탈형된 본체를 투입하여 축광층(20)과 본체를 일체화 코팅하고, 코팅층(30)을 일정 시간 동안 자연 경화시켜 양생하는 코팅층 형성단계와; 상기 몰드(M1)로부터 완제품을 탈형하여 적재하는 완제품 탈형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몰드(M1)의 제1음각부(51)는 최대 깊이가 6㎜가 되도록 형성하고, 제2음각부(52)는 최대 깊이가 2㎜가 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축광부재(21)를 형성하기 위한 축광부재 혼합물이 제1음각부(51) 외측으로 넘쳐 제품의 모양이 정형적인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아 발생하는 불량이 방지되도록, 상기 축광부재(21) 및 반사부재(22)의 두께를 설정한다. 즉, 축광부재 혼합물을 상기 몰드(M1)의 제2음각부(52)에 2~3㎜ 정도의 깊이로 투입하여 축광부재(21)를 형성하고, 상기 축광부재(21)의 휘도를 증대시키는 반사부재(22)를 형성하기 위한 반사부재 혼합물 역시 상기 몰드(M1)의 제2음각부(52)에 2~3㎜ 정도 투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축광부재(21)는 상기 몰드(M1)의 제2음각부에 투명수지와 축광안료 및 경화제가 배합된 혼합물을 투입하여 대략 20분 정도의 자연 경화를 통해 양생하여 형성한다. 이때, 축광부재 혼합물의 배합비는 UV차단제가 포함된 투명수지와 산화알루미늄, 산화 디스프로슘, 산화 유로퓸, 스트론튬 산화물로 구성된 축광안료(SrAlO : Eu,Dy, 스트론튬알루마트)를 2:1로 배합하고, 이때 축광안료 입자의 크기를 90~100μm(마이크로미터)로 하여 약 20여 분간 자연 경화 시키는 동안 몰드 내 돌기의 최저면으로 자연 침전시켜 휘도를 올릴 수 있다.
이때 축광안료의 입자 크기가 90~100μm(마이크로미터) 이하인 경우 휘도가 현저히 떨어지고 입자 크기가 90~100μm(마이크로미터) 이상인 경우 입자가 커서 투명수지와 배합시 축광안료의 침전이 급속히 이루어져 배합물 내에 축광안료 입자가 균일하게 분포하지 못하고 하부층에만 분포하게 되므로, 축광부재 혼합물을 몰드 내 돌기 홈으로 투입시 축광부재의 안정적인 형성이 어렵게 된다.
여기서, 상기 축광부재(21)는 투명수지 60∼70 wt%와, 축광안료 25∼35 wt% 및 경화제 1∼5wt%가 배합된 혼합물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투명수지 66 wt%, 축광안료 33 wt%, 경화제 1 wt%를 배합하여 축광부재 혼합물을 형성한다.
상기 축광부재(21)의 형성이 완료되면 미리 제작된 반사부재(22)를 상기 축광부재(32) 위에 올려 일체화시킴으로써 축광층(20)을 형성한다. 즉,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M1)에 투명수지와 반사안료 및 경화제로 이루어진 반사부재용 혼합물을 투입한 후, 대략 8시간 자연 경화시켜 양생하고, 양생이 끝나면 상기 몰드(M1)로부터 반사부재(22)를 탈형하는 과정을 거쳐, 반사부재(22)의 제작을 완료한다. 이어, 도 6의 (b)와 같이 미리 제작된 반사부재(22)를 몰드(M1)에 형성된 축광부재(21)의 위에 올려놓음으로써 축광층(20)을 일체화시킨다.
여기서 축광부재(21)가 완전히 경화된 이후에 반사부재(22)를 올려놓을 수도 있으나, 축광부재(21)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 바람직하게는 50% 경화되기 전에 반사부재(22)를 제2음각부(52)에 맞추어 올려놓아서 반사부재(22)가 축광부재(21)를 어느 정도 눌러주어서 축광부재(21)가 제2음각부(52)의 표면을 따라 고르게 펴질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고가인 축광부재(21)를 얇게 제2음각부(52)의 표면에 도포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그 사용량이 줄어들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미리 제작된 반사부재(22)를 축광부재와 일체화시키는 경우 축광부재(21)의 상부에 반사부재 혼합물을 투입하여 반사부재(22)를 형성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이 없어지고 일률적이며 안정적인 제품 생산이 가능하고 제품의 불량률을 현저히 떨어뜨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반사부재(22)는 투명수지 35∼45 wt%와, 반사안료 54∼64 wt% 및 경화제 1∼5 wt%가 배합된 혼합물에 의해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투명수지 40 wt%와, 반사안료 59 wt% 및 경화제 1 wt%를 배합하여 반사부재(22)를 제작한다. 이때, 상기 투명수지로는 겔코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축광부재(21)의 조성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일례로서 아래의 표 1과 같이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구 분 회사명 종 류 제품명
투명수지 애경화학(주) 겔코트 AC500
축광제 욱성화학(주) PANAX LUMINO PANAX
경화제 CRAY VALLEY 상온경화용 BU
이상에서는 미리 제작된 반사부재(22)를 축광부재(21)에 올려놓음으로써 축광층을 형성하는 것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반사부재(22)를 따로 형성하지 않고 축광부재(21)에 반사부재용 혼합물을 투입하여 축광부재(21)와 반사부재(22)가 일체로 형성된 축광층(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축광부재(21)를 대략 20분 정도 자연 경화시켜 50% 정도의 경화가 이루어진 시점에서 그 축광부재(21)가 형성된 표면 위에 투명수지와 반사안료 및 경화제로 이루어진 반사부재 혼합물을 투입하여 축광부재(21)와 일체화시키는 방식으로 축광층(20)을 형성하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에는 반사부재 혼합물이 돌기 이외의 부분에 떨어지거나 최대 6㎜인 제1음각부의 깊이에 비해 반사부재 혼합물이 과다하게 투입됨으로써, 축광부재(21)와 반사부재(22)로 이루어진 축광층(20)의 모양이 정형적인 제품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다시 말해서, 반사부재(22)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축광부재(21)가 50%정도 경화된 상태에서 투명수지와 반사안료 및 경화제로 이루어진 반사부재 혼합물을 투입하는 방법과, 축광부재(21)와 동일한 규격과 모양으로 경화시켜 개별 제작한 반사부재(22)를 축광부재(21)에 바로 투입하여 일체화시키는 방법 등, 두 가지 방법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공정을 통해 축광층(20)이 형성되면, 점자블록의 표면 유색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몰드(M1)에 수지, 석분, 산화철을 포함하는 착색안료 및 경화제가 배합된 유색층 혼합물을 투입한다. 이때, 상기 유색층 혼합물을 구성하는 수지와 석분은 1:1 비율로 혼합하게 되는데, 이는 유색층 혼합물에 유동성이 형성되어 다기공블록 표면으로 쉽게 침투하여 유색층 혼합물과 다기공블록이 일체화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자외선은 시각으로는 느껴지지 않지만 화학작용, 표백작용이 강하기 때문에 착색안료 등은 햇빛에 포함되어 있는 자외선에 의해 색이 쉽게 바랠 수 있다. 따라서, 유색층 혼합물에는 자외선(UV)차단제가 포함된 수지를 사용해야 하며, 그로 인해 도막에서 발생하는 황변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유색층을 형성하는 본연의 색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착색안료의 경우 산화철(FeO)이 주성분이며, 화학적 성질이 우수한 착색제를 사용해야만 제품의 변색이나 퇴색을 방지하여 색상의 변화가 없는 안정적인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
상기 다기공블록은 상기 몰드(M1)에 비해 각각의 사면 크기가 0.5㎜ 정도 작고, 음각부의 깊이 역시 상기 몰드(M1)에 비해 1~3㎜ 정도 작게 형성된 상부 개방형 중공 공간이 형성된 블록몰드(M2)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몰드(M2)에 투명수지 6~10wt%, 석분 7~10wt%, 경화제 1~2wt%, 안료 1~2wt%(이때, 안료는 상부면과 같은 색상 또는 콘크리트블록의 회색색상을 따로 사용할 수 있다)를 혼합한 조성물에 2~6mm 크기의 골재 70~85wt%에 부은 후, 이들 재료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약 10여 분간 배합한 혼합물을 투입하고, 상기 블록몰드(M2)의 규격보다 대략 0.5㎜ 정도 작은 크기의 지그판(도시 생략)을 뒷면에 덮은 후, 고압의 압축기로 지그판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평탄화 다짐하고, 이를 12시간 동안 자연 경화시켜 양생한 후 상기 블록몰드(M2)로부터 다기공블록을 탈형하여 제작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블록몰드(M2)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다기공블록의 뒷면이 균일한 높이와 고른 면을 가지게 된다.
이때, 투입되는 다기공블록의 상부층은 축광층의 반사부재가 부착되도록 돌기 상면에 평면부가 형성된 부분과 축광층이 없는 메인 돌기가 형성된 부분으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다기공블록의 돌기는 축광층이 일정 높이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지지층의 기능을 제공한다.
물론, 상기 다기공블록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유색층이 투입된 몰드(M1)에 상기한 혼합물을 투입하여 다기공블록 형태의 몸체(10)와 유색층 및 축광층(20)이 일체로 이루어진 본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몸체(10)는 골재 70~85 wt%, 투명수지 6~13 wt%와, 석분 7~13 wt%, 내광내후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산화철(Fe2O3)을 주성분으로 하는 착색안료 1~2 wt% 및, 경화제 1~2 wt%가 배합된 혼합물로 제작한다. 바람직하게는 골재 82wt%, 수지 6 wt%와, 석분 10 wt%, 착색안료 1 wt% 및, 경화제 1 wt%를 배합하여 몸체(10)를 제작한다. 이때, 수지는 복합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를 사용한다.
다만, 이러한 몸체(10)의 조성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색층을 이용하여 상기 축광층(20)과 다기공블록으로 이루어진 몸체(10)를 일체화시켜 본체를 완성하는 공정은 대략 12시간 정도 유색층을 자연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양생함으로써 완료되며, 완성된 본체는 탈형 공정에서 상기 몰드(M)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투명수지와 UV 차단제 및 경화제로 이루어진 투명 코팅제를 상기 몰드(M)에 투입한 후 본체를 상기 몰드(M)에 투입함으로써, 본체의 상면을 일체화코팅 한다. 이에 따라 점자블록을 구성하는 몸체(10)와 축광층(20)이 코팅층(30)에 의해 일체화된다.
여기서, 상기 투명 코팅제는 투명수지 85~94 wt%와, UV 차단제 5~14 wt% 및 경화제 1~2 wt%가 배합되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투명수지 90 wt%와 UV 차단제 9 wt% 및 경화제 1 wt%를 배합하여 코팅액을 형성한다. 그리고, 투명수지는 겔코트 수지를 사용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투명 코팅제는 다양한 조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일례로서 아래의 표 2과 같이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구 분 회사명 종 류 제품명
투명수지 애경화학(주) 겔코트 POLYCOR
UV차단제 한국정밀화학 Poly6 CSC 944
경화제 CRAY VALLEY 상온경화용 BU
그리고, 코팅 공정에서는 투명 코팅제를 몰드(M)의 하부면에 일정량을 투입하여 점자블록의 돌기를 포함하는 표면 부분에만 코팅층(3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야 완제품으로써의 탈형 및 적재가 용이하다. 이러한 코팅 공정은 대략 6~9시간의 자연 경화, 바람직하게는 대략 8시간의 자연 경화를 통해 코팅층(30)이 완전히 경화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양생한다. 코팅층(30)의 양생이 끝단 완제품은 몰드(M)로부터 분리되며, 그 품질을 개별 검사하여 적재 및 포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축광층(20)과 몸체(10)를 일체로 형성하는 수지는 내열성, 내용제성, 내약품성이 좋으며 경화 성형하면 다시 열을 가해도 형태가 변하지 않는 열경화성 수지로서 제품 전체를 일체화시킬 수 있고, 몰드 베이스 방식을 통해 제품의 규격과 높이를 현장 여건에 알맞도록 자유롭게 생산할 수 있으며, 에폭시 수지에 비해 원가가 저렴하여 제품의 가격 경쟁력에서도 월등히 유리하다.
이렇게 종횡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원뿔 절단형 돌기(11a) 또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상단부 평면형 돌기(11b)로 이루어진 메인 돌기(11)가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돌기(11)의 표면에 사각뿔 형상의 음각부 또는 사각뿔 형상의 소돌기로 이루어진 돌기부(12)가 일정하게 배열되는 몸체(10)와 상기 돌기부(12)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축광부재(21)와 그 배면의 반사부재(22)로 이루어진 축광층(20)과 구성 요소간의 일체화를 이루어 분리, 박리 및 이탈이 발생하지 않고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몸체(10)와 축광층(20)을 일체화시키는 코팅층(30)으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에 대해 다시 한 번 설명하면,
상기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은, 상면에 원뿔 절단형 돌기(11a) 또는 상단부 평면형 돌기(11b) 형상을 갖는 복수의 메인 돌기(11)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메인 돌기(11)의 상면에 사각뿔 형상을 갖는 복수의 돌기부(12)가 형성된 몸체(10)에 대응하도록, 저면에 상기 메인 돌기(11)에 대응하는 제1음각부(51)가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제1음각부(51)의 저면에 상기 돌기부(12)에 대응하는 제2음각부(52)가 복수 개 형성된 상부 개방형 중공 공간이 구비된 몰드(M1)를 준비하는 몰드 준비단계가 먼저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몰드(M1)의 제2음각부(52)에 투명수지와 축광안료 및 경화제가 배합된 혼합물을 투입하여 일정 두께의 축광부재(21)를 형성한 후 자연 경화시키는 축광부재 형성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몰드(M1)와 동일한 몰드를 이용하여 별도로 미리 제작한 반사부재(22)를 상기 축광부재(21)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상기 축광부재(21)가 형성된 제2음각부(52)에 맞추어 삽입하여 상기 축광부재(21)와 일체화 시키는 축광층 형성 단계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이후에 점자블록의 표면에 유색층을 형성하고 상기 축광층(20)과 다기공블록으로 이루어진 몸체(10)를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수지, 석분, 산화철을 포함하는 착색안료 , 경화제가 배합된 혼합물을 상기 몰드(M1) 내에 투입하는 유색층 형성 단계가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몰드(M1)에 미리 제작된 다기공블록으로 이루어진 몸체(10)를 투입하여 상기 축광층(20)과 몸체(10)을 일체화시키는 본체 형성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축광층(20)과 몸체(10)가 일체화된 본체를 자연 경화시켜 양생한 후 상기 몰드(M1)로부터 탈형하는 본체 탈형 단계를 거친 후상기 몰드(M1)의 바닥면에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된 투명 코팅제를 투입한 후 탈형된 본체를 투입하여 축광층(20)과 몸체(10)를 일체화 코팅하고, 코팅층(30)을 일정 시간 동안 자연 경화시켜 양생하는 코팅층 형성단계가 이루어지며, 상기 몰드(M1)로부터 완제품을 탈형하여 적재하는 완제품 탈형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별도로 미리 제작한 반사부재(22)는 축광부재 형성단계 이후에 상기 몰드(M1)에 투명수지와 반사안료 및 경화제로 이루어진 반사부재용 혼합물을 투입하고, 일정 시간 동안 자연 경화시켜 양생한 후 상기 몰드(M1)로부터 탈형하는 반사부재 제작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제작된 다기공블록으로 이루어진 몸체(10)는 유색층 형성단계 이후에 상기 몰드(M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블록몰드(M2)를 준비하고, 상기 블록몰드(M2)에 골재와 수지 배합물이 혼합된 배합물을 투입하고 압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몰드(M2)의 배면을 가압하여 배합물을 평탄화 및 다짐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자연 경화시켜 양생한 후 상기 블록몰드(M2)로부터 탈형하는 다기공블록을 제작하는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몸체
11...메인 돌기
11a...원뿔 절단형 돌기
11b...상단부 평면형 돌기
12...돌기부
20...축광층
21...축광부재
22...반사부재
M1...몰드
51...제1음각부
52...제2음각부
M2...블록몰드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종횡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원뿔 절단형 돌기(11a) 또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상단부 평면형 돌기(11b)로 이루어진 메인 돌기(11)가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돌기(11)의 표면에 사각뿔 형상의 음각부 또는 사각뿔 형상의 소돌기로 이루어진 돌기부(12)가 일정하게 배열되는 몸체(10)와; 상기 돌기부(12)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축광부재(21)와 그 배면의 반사부재(22)로 이루어진 축광층(20)과; 구성 요소간의 일체화를 이루어 분리, 박리 및 이탈이 발생하지 않고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몸체(10)와 축광층(20)을 일체화시키는 코팅층(30);으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은,
    상면에 원뿔 절단형 돌기(11a) 또는 상단부 평면형 돌기(11b) 형상을 갖는 복수의 메인 돌기(11)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메인 돌기(11)의 상면에 사각뿔 형상을 갖는 복수의 돌기부(12)가 형성된 몸체(10)에 대응하도록, 저면에 상기 메인 돌기(11)에 대응하는 제1음각부(51)가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제1음각부(51)의 저면에 상기 돌기부(12)에 대응하는 제2음각부(52)가 복수 개 형성된 상부 개방형 중공 공간이 구비된 몰드(M1)를 준비하는 몰드 준비단계와;
    상기 몰드(M1)의 제2음각부(52)에 투명수지와 축광안료 및 경화제가 배합된 혼합물을 투입하여 일정 두께의 축광부재(21)를 형성한 후 자연 경화시키는 축광부재 형성 단계와;
    상기 몰드(M1)와 동일한 몰드를 이용하여 별도로 미리 제작한 반사부재(22)를 상기 축광부재(21)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상기 축광부재(21)가 형성된 제2음각부(52)에 맞추어 삽입하여 상기 축광부재(21)와 일체화 시키는 축광층 형성 단계와;
    점자블록의 표면에 유색층을 형성하고 상기 축광층(20)과 다기공블록으로 이루어진 몸체(10)를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수지, 석분, 산화철을 포함하는 착색안료 , 경화제가 배합된 혼합물을 상기 몰드(M1) 내에 투입하는 유색층 형성 단계와;
    상기 몰드(M1)에 미리 제작된 다기공블록으로 이루어진 몸체(10)를 투입하여 상기 축광층(20)과 몸체(10)을 일체화시키는 본체 형성 단계와;
    상기 축광층(20)과 몸체(10)가 일체화된 본체를 자연 경화시켜 양생한 후 상기 몰드(M1)로부터 탈형하는 본체 탈형 단계와;
    상기 몰드(M1)의 바닥면에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된 투명 코팅제를 투입한 후 탈형된 본체를 투입하여 축광층(20)과 몸체(10)를 일체화 코팅하고, 코팅층(30)을 일정 시간 동안 자연 경화시켜 양생하는 코팅층 형성단계와;
    상기 몰드(M1)로부터 완제품을 탈형하여 적재하는 완제품 탈형 단계;를 포함하며,
    별도로 미리 제작한 반사부재(22)는
    축광부재 형성단계 이후에 상기 몰드(M1)에 투명수지와 반사안료 및 경화제로 이루어진 반사부재용 혼합물을 투입하고, 일정 시간 동안 자연 경화시켜 양생한 후 상기 몰드(M1)로부터 탈형하는 반사부재 제작 공정;을 통해 형성되며,
    미리 제작된 다기공블록으로 이루어진 몸체(10)는
    유색층 형성단계 이후에 상기 몰드(M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블록몰드(M2)를 준비하고, 상기 블록몰드(M2)에 골재와 수지 배합물이 혼합된 배합물을 투입하고 압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몰드(M2)의 배면을 가압하여 배합물을 평탄화 및 다짐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자연 경화시켜 양생한 후 상기 블록몰드(M2)로부터 탈형하는 다기공블록을 제작하는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공블록으로 이루어진 몸체를 형성하는 상기 배합물은 투명수지 6~13wt%, 석분 7~13wt%, 경화제 1~2wt%, 안료 1~2wt%가 혼합된 조성물에 2~6㎜ 크기의 골재 70-85wt%를 부은 후 10~15분 동안 배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부재(21)는 자외선 차단제가 포함된 투명수지 60~70 wt%와, 축광안료 25~35 wt% 및 경화제 1~5wt%가 배합된 혼합물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22)는 투명수지 35~45 wt%와, 반사안료 54~64 wt% 및 경화제 1~5 wt%가 배합된 혼합물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층을 구성하는 수지와 석분은 1: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코팅제는 투명수지 85~94 wt%와, UV 차단제 5~14 wt% 및 경화제 1~2 wt%가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부재(21)는 20분 동안 자연 경화시켜 양생하고, 상기 몸체(10)는 12시간 동안 자연 경화시켜 양생하며, 상기 코팅층(30)은 6~9시간 동안 자연 경화시켜 양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KR1020150045867A 2015-04-01 2015-04-01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KR101576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867A KR101576266B1 (ko) 2015-04-01 2015-04-01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867A KR101576266B1 (ko) 2015-04-01 2015-04-01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6266B1 true KR101576266B1 (ko) 2015-12-09

Family

ID=54874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867A KR101576266B1 (ko) 2015-04-01 2015-04-01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2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7131A3 (en) * 2021-09-24 2023-05-04 I-Glo Limited Improved safety features for tactile profiles
KR20230133694A (ko) * 2022-03-11 2023-09-19 주식회사 금부산업 발광형 차로 이탈방지장치
KR20230138292A (ko) 2022-03-23 2023-10-05 (주)메리엘커머스 비상유도 야광타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710B1 (ko) * 2014-04-16 2014-10-07 주식회사 한축테크 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710B1 (ko) * 2014-04-16 2014-10-07 주식회사 한축테크 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7131A3 (en) * 2021-09-24 2023-05-04 I-Glo Limited Improved safety features for tactile profiles
KR20230133694A (ko) * 2022-03-11 2023-09-19 주식회사 금부산업 발광형 차로 이탈방지장치
KR102630215B1 (ko) * 2022-03-11 2024-01-29 주식회사 금부산업 발광형 차로 이탈방지장치
KR20230138292A (ko) 2022-03-23 2023-10-05 (주)메리엘커머스 비상유도 야광타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266B1 (ko) 일체형 축광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CN100453616C (zh) 夜光及发光性人造石及其结构体
CN102774066B (zh) 超长余辉发光人造石材及其制备方法
CN109137672B (zh) 一种发光多孔隙透水混凝土路面结构
KR20090113545A (ko) 축광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KR101582120B1 (ko) 야광콘크리트블록의 제조방법
KR102098656B1 (ko) 축광석을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US6500543B2 (en) Artificial stone molded product
CN104844064A (zh) 发光玻璃颗粒人造石材的制备方法
KR101445710B1 (ko) 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EP3204343B1 (en) Surface provided with a pattern of luminescent elements
KR102484260B1 (ko) Led 폐유리입자, 축광안료 및 광촉매가 무기결합된 기능성 복합골재를 이용한 보행시인성 향상 및 대기정화기능을 가지는 어스 클린 블록
CN201065514Y (zh) 一种反光瓷片砖
CN103643773B (zh) 一种光致蓄光陶瓷砖及其生产方法
JP4067170B2 (ja) 人造石成形体
CN101078200A (zh) 一种反光瓷片砖及其制造方法
EP0906894A1 (en) Formed artificial stone
CN1373054A (zh) 一种夜光玻璃画及其制作方法
WO1998057315A1 (fr) Materiau de construction anti-catastrophe
KR19980033706A (ko) 칼라 보도블럭
KR20110066717A (ko) 축광성 플라스틱 보드 및 그 제조방법
PL216707B1 (pl) Wytwór ceramiczno-szklany lub szklano-szklany o budowie warstwowej, do stosowania w budownictwie i wyposażeniu wnętrz
JPH11296116A (ja) 蓄光土木建築・家具材
CN110372413B (zh) 一种蓄能发光型人造石材及其制造方法
KR200344661Y1 (ko) 폴리머 콘크리트를 이용한 기능성 마감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