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472B1 - 차량용 악세사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악세사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472B1
KR101575472B1 KR1020140058703A KR20140058703A KR101575472B1 KR 101575472 B1 KR101575472 B1 KR 101575472B1 KR 1020140058703 A KR1020140058703 A KR 1020140058703A KR 20140058703 A KR20140058703 A KR 20140058703A KR 101575472 B1 KR101575472 B1 KR 101575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lock
actual vehicle
control board
vehicle
model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1672A (ko
Inventor
임용철
Original Assignee
임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철 filed Critical 임용철
Priority to KR1020140058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472B1/ko
Publication of KR20150131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제차량의 조명상태와 동일한 조명상태를 가지도록 하여 실내장식으로서의 기능을 보다 강화하고, 실제차량의 조명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모형차 형상의 차량용 악세사리에 반영함으로써 실제차량의 각 조명등에 대한 고장이나 단락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차량용 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 실제차량의 대시보드에 고정 설치된 고정블럭과, 상기 실제차량을 일정비율로 작게 축소한 형상으로 상기 고정블럭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제차량에 구비된 각각의 조명등과 대응되도록 각각의 발광램프가 구비된 모형차와, 상기 고정블럭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제차량에 구비된 상기 조명등 각각에 대한 점멸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모형차에 구비된 상기 발광램프 각각이 동일하게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판과, 상기 고정블럭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고정블럭의 외부에 버튼식으로 설치되고, 누름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상기 제어기판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악세사리{ACCESSOR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대시보드에 설치되어 차량 내부의 실내장식과 함께 차량의 조명상태 및 주행정보 등을 표시하는 차량용 악세사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실내장식을 위하여 각종 악세사리가 비치된다. 예컨대, 백미러나 사이드브레이크에 걸어둘 수 있도록 염주나 묵주와 같은 목걸이 형상의 악세사리를 비롯하여 대시보드나 뒷좌석의 빈 공간에 설치되는 방향제부터 각종 캐릭터 형상의 피규어와 같은 장식품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악세사리 중에서도 차량의 대시보드에 설치되고, 실제차량을 일정비율로 작게 축소한 모형차 형상의 악세사리가 있다.
모형차 형상의 차량용 악세사리는 단순히 실내장식으로서 사용하거나 차향제로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인데, 이러한 차량용 악세사리를 실내장식으로서의 기능을 넘어 운전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기능들을 추가할 수 있으면 좋을 것이다.
예컨대, 차량에는 좌우 한 쌍으로 전조등, 방향지시등 및 브레이크등과 같은 각각의 조명등이 구비되어 밤길 운전시 운전자의 시야 확보와 함께 차량의 진행방향이나 속도조절 및 돌발상황을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차량에 구비된 각각의 조명등은 운전자가 운전 중에 그 점멸상태를 확인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고, 간혹 다른 차량의 운전자가 이를 알려주기도 하며, 어느 하나의 조명등이 단선되어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차량의 정비과정에서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차량에 구비된 각각의 조명등의 현재 상태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상황에서 특정의 조명등이 단선이 되는 등 고장이 발생한 채로 운전하는 경우 각종 운전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즉, 좌우 한 쌍의 전조등 중 어느 하나가 단선된 채로 밤길 운전시 전방 시야를 제대로 확보하지 못할 수가 있고, 방향지시등이나 브레이크등이 단선되어 작동하지 않는다면 차량 상호 간에 소통이 원활하지 못해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차량의 조명상태와 동일한 조명상태를 가지도록 하여 실내장식으로서의 기능을 보다 강화하고, 실제차량의 조명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모형차 형상의 차량용 악세사리에 반영함으로써 실제차량의 각 조명등에 대한 고장이나 단락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차량용 악세사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악세사리는, 실제차량의 대시보드에 고정 설치된 고정블럭과, 상기 실제차량을 일정비율로 작게 축소한 형상으로 상기 고정블럭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제차량에 구비된 각각의 조명등과 대응되도록 각각의 발광램프가 구비된 모형차와, 상기 고정블럭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제차량에 구비된 상기 조명등 각각에 대한 점멸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모형차에 구비된 상기 발광램프 각각이 동일하게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판과, 상기 고정블럭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고정블럭의 외부에 버튼식으로 설치되고, 누름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상기 제어기판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실제차량에 구비된 상기 조명등 각각의 단선여부를 감지하는 단선감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판은, 상기 단선감지수단으로부터 상기 조명등 각각에 대한 단선감지신호를 전송받고, 특정의 조명등이 단선된 경우 단선된 상기 조명등에 대응되는 발광램프를 소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제차량의 운전석을 바라보도록 상기 고정블럭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판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특정의 조명등이 단선된 경우 단선된 상기 조명등이 단선되었음을 문자 또는 이미지로 표시하는 표시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블럭을 기준으로 상기 모형차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일단이 상기 모형차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블럭의 상부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고정블럭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판으로부터 작동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블럭의 외부에 버튼식으로 설치되고, 누름 작동에 따라 상기 제어기판으로부터 상기 회전모터에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회전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판은, 특정의 조명등이 단선된 경우 단선된 상기 조명등에 대응되는 발광램프가 상기 실제차량의 운전석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모형차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악세사리는, 실제차량의 조명상태와 동일한 조명상태를 가지도록 하여 실내장식으로서의 기능을 보다 강화하고, 실제차량의 조명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모형차 형상의 차량용 악세사리에 반영함으로써 실제차량의 각 조명등에 대한 고장이나 단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모형차가 고정블럭에 고정된 경우에 운전석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모형차의 발광램프는 운전자에게 보이지 않으므로 실제차량에 단선된 조명등이 있는 경우 고정블럭에 설치된 표시패널을 통해 문자 또는 이미지로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실제차량의 각 조명등에 대한 고장이나 단락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회전수단을 통해 고정블럭을 기준으로 모형차를 회전시킬 수 있어 실내장식으로서의 기능을 한층 더 강화하고, 운전자가 실제차량의 각 조명등에 대한 고장이나 단락 여부를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악세사리의 일 실시예가 실제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2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악세사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악세사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악세사리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악세사리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8 및 9는 도 7의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악세사리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악세사리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차량(1)의 운전석(20) 전방으로 대시보드(10)에 고정 설치되고, 도 3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블럭(100), 모형차(200), 제어기판(300), 전원공급수단(400) 및 전원스위치(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단선감지수단(600), 표시패널(700), 회전수단(800) 및 회전스위치(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블럭(100)은 도 1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차량(1)의 대시보드(10)에 고정 설치된다. 고정블럭(10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모형차(200)가 설치되는데, 모형차(200)의 대시보드(10)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고정블럭(100)을 개재함으로써 대시보드(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블럭(100)은 내부에 후술하는 제어기판(300) 및 전원공급수단(400)을 수용하는 박스커버로서의 기능도 수행하면서 후술하는 회전수단(800)을 통해 모형차(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기준체로도 기능한다.
모형차(200)는 도 1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제차량(1)을 일정비율로 작게 축소한 형상으로 상기 고정블럭(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제차량(1)에 구비된 각각의 조명등(30)과 대응되도록 각각의 발광램프(210)가 구비된다. 예컨대, 실제차량(1)의 조명등(30)으로 전방라이트, 미등, 안개등, 비상등, 방향지시등(깜박이) 및 브레이크등 등이 각각의 위치, 즉 실제차량(1)의 프레임 전후 또는 좌우에 구비되는데, 모형차(200) 역시 실제차량(1)과 동일하게 각각의 발광램프(210)가 각각의 조명등(30)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제작된다. 상기 발광램프(210)는 어떠한 종류의 램프이든 발광할 수 있으면 족하나, 차량용 악세사리의 구조적 전기제어적 조건상 엘이디(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렇게 실제차량(1)의 조명등(30)과 대응되는 모형차(200)의 발광램프(210)가 단순 발광만 되는 경우라도 실내장식으로서 시각적인 효과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모형차(200)의 발광램프(210)를 실제차량(1)의 조명등(30)과 동일하게 점멸될 수 있다면 운전자 입장에서 모형차(200)의 발광램프(210)를 통해 조명등(30)의 현재 점멸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어기판(300)은 도 3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블럭(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제차량(1)에 구비된 조명등(30) 각각에 대한 점멸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모형차(200)에 구비된 상기 발광램프(210) 각각이 동일하게 점멸되도록 제어한다. 실제차량(1)의 조명등(30) 각각에 대한 점멸신호를 제어기판(300)이 전송받는데, 도면상 유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무선송수신 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실제, 실제차량(1)의 조명등(30)에 대한 점멸신호는 계기판 또는 클러스터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각 조명등(30)에 설치된 점멸센서(미도시)로부터 점멸신호 각각을 제어기판(300)이 수신할 수도 있다. 어떠한 송수신 방식이든 또는 어디서 전송을 받는지에 관계없이 제어기판(300)은 실제차량(10)에 구비된 조명등(30) 각각에 대한 점멸신호를 전송받고, 그에 따라 모형차(200)에 구비된 발광램프(210) 각각이 동일하게 점멸되도록 제어한다.
전원공급수단(400)은 상기 고정블럭(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판(3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수단(400)은 제어기판(300)에 연결된 배터리일 수도 있고, 실제차량(1)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제어기판(300)에 재공급하는 전원연결단자일 수도 있다. 어떠한 구성이든 상기 전원공급수단(400)은 제어기판(300)을 통해 상기 모형차(200)의 발광램프(210)가 발광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면 족하다.
전원스위치(500)는 상기 고정블럭(100)의 외부에 버튼식으로 설치되고, 누름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수단(400)으로부터 상기 제어기판(300)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한다. 즉, 운전자는 실제차량(10)의 조명등(30)에 대한 현재 점멸상태를 알고 싶거나, 실내장식으로서 시각적인 존재감을 누리고 싶을 때 전원스위치(500)를 온(on)하여 발광램프(210)를 발광시키고, 그 외의 상황에서는 전원스위치(500)를 오프(off)하여 두면 좋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차량(1)의 조명등(30)에 대한 현재 점멸상태는 조명등(30) 각각의 점멸신호를 통해 모형차(200)의 발광램프(210)가 발광됨으로써 확인할 수 있지만, 실제차량(1)의 조명등(30) 중 어느 하나가 단선되거나 파손 등의 이유로 단선된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즉, 조명등(30)의 점멸신호만을 제어기판(300)이 전송받아 발광램프(210)를 제어하게 되면, 특정의 조명등(30)이 단선된 경우 단선된 상기 조명등(30)은 발광하지 않지만 그에 대응하는 모형차(200)의 발광램프(210)는 발광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제차량(1)의 조명등(30)에 대한 단선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선감지수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단선감지수단(600)은 상기 실제차량(1)에 구비된 상기 조명등(30) 각각의 단선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제어기판(300)은 상기 단선감지수단(600)으로부터 상기 조명등(30) 각각에 대한 단선감지신호를 전송받고, 특정의 조명등(30)이 단선된 경우 단선된 상기 조명등(30)에 대응되는 발광램프(210)를 소등한다. 예컨대, 실제차량(1)의 조작에 따라 특정의 조명등(30)에 대한 점등신호가 발생하면, 실제차량(1)에 특정의 조명등(30)이 발광하게 됨과 동시에 그에 대응되는 모형차(200)의 발광램프(210) 역시 발광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특정의 조명등(30)이 파손이나 고장 등에 의하여 단선된 경우 상기 단선감지수단(600)이 이를 감지하고, 제어기판(300)에 특정의 조명등(30)이 단선되었다는 단선감지신호를 전송하면, 제어기판(300)은 단선된 상기 조명등(30)에 대응되는 발광램프(210)를 발광하지 않고 소등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모형차(200)의 발광램프(210)만을 보고도 실제차량(1)의 조명등(30) 각각에 대한 현재 점멸상태와 함께 점등신호 이후에 특정의 발광램프(210)가 소등되어 있다면 그에 대응되는 실제차량(1)의 조명등(30)이 단선되어 있음을 반대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악세사리는, 실제차량(1)의 조명상태와 동일한 조명상태를 가지도록 하여 실내장식으로서의 기능을 보다 강화하고, 실제차량(1)의 조명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모형차(200) 형상의 차량용 악세사리에 반영함으로써 실제차량(1)의 각 조명등(30)에 대한 고장이나 단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한편,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상 고정블럭(100)에 설치된 모형차(200)가 고정블럭(10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경우라면, 보통 모형차(200)의 측면이 운전석을 향하도록 대시보드(10)에 설치된다. 도 1 및 2의 도면상 모형차(200)는 좌측면이 운전석(20)을 바라보도록 고정 설치되는데, 이때 운전석(20)에 착석한 운전자는 모형차(200)의 우측면은 보이지 않을 것이다. 이 경우 모형차(200)의 우측면에 위치하는 발광램프(210), 예컨대 실제차량(1)의 조명등(30) 중 우측깜박이나 우측브레이크등 등이 고장이나 파손에 의해 단선되어도 확인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서, 실제차량(1)의 대시보드(10)에 고정 설치된 고정블럭(100)과 고정블럭(100)의 상부에 설치된 모형차(200)가 최초 대시보드(10)에 설치된 상태, 예컨대 도 1 및 2와 같이 모형차(200)의 좌측면이 운전석(20)을 바라보거나,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형차(200)의 우측면이 운전석(20)을 바라보는 경우 그 반대면은 운전자에게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모형차(200)의 전면이 운전석(20)을 바라보거나 후면이 운전석(20)을 바라보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고정 설치된 모형차(200)의 운전석(20)을 바라보는 반대면은 운전자에게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운전석(20)에 앉아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실제차량(1)의 조명등(30) 각각과 대응되는 모형차(200)에 구비된 각각의 발광램프(210) 중 운전자에게 보이지 않는 발광램프(210)에 대한 확인이 곤란해진다면, 실제차량(1)에 구비된 조명등(30) 각각의 현재상태를 확인시킬 수 있는 기능이 완전히 발휘되지 못하는 것과 같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700)이 구비되는 것이다.
즉, 표시패널(700)은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제차량(1)의 운전석(20)을 바라보도록 상기 고정블럭(100)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판(300)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특정의 조명등(30)이 단선된 경우 단선된 상기 조명등(30)이 단선되었음을 문자 또는 이미지로 표시한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운전석(20)에 앉아 본 발명의 차량용 악세사리를 바라볼 경우 모형차(200)의 우측면이 보이고, 이때 고정블럭(100)의 우측면에 표시패널(700)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제차량(1)의 좌측 깜박이가 고장나 단선된 경우라면 그에 대응되는 모형차(200)의 발광램프(210)가 제어기판(300)의 제어에 의해 소등된 상태가 되는데, 이는 운전자가 운전석(20)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모형차(200)의 좌측면에 위치하는 발광램프(210)를 볼 수 없어 확인이 힘들게 된다. 그러나, 고정블럭(100)의 우측면에 설치된 표시패널(700)을 통해 문자로 "좌측 깜박이 고장"이라거나 각 조명등(30)을 나타내는 이미지로 좌측 깜박이가 고장났음을 표시하여 운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700)과 함께 또는 별도로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블럭(100)을 기준으로 상기 모형차(20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블럭(100)의 상부에 모형차(20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회전수단(800)을 통해 모형차(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면 운전석(20)에 앉은 운전자는 모형차(200)의 회전에 따라 모든 발광램프(210)의 점멸여부가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수단(800)은 상기 고정블럭(100)을 기준으로 모형차(2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무관하나, 가장 단순한 예시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810) 및 회전모터(82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회전축(810)은 일단이 상기 모형차(200)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블럭(100)의 상부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회전모터(820)는 상기 고정블럭(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판(300)으로부터 작동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810)의 타단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회전모터(820)와 회전축(810)의 단순한 구조를 통해 고정블럭(100)을 기준으로 모형차(20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때 모형차(200)의 회전을 작동 및 정지시킬 수 있도록 회전스위치(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전스위치(900)는 상기 고정블럭(100)의 외부에 버튼식으로 설치되고, 누름 작동에 따라 상기 제어기판(300)으로부터 상기 회전모터(820)에 작동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회전스위치(900)의 조작으로 고정블럭(100)을 기준으로 모형차(200)를 정지된 상태로 두거나 회전시킬 수 있어, 실내장식으로서 시각적 효과와 더불어 조명등(30)의 단선시 그에 대응되는 모형차(200)의 발광램프(210)를 용이하게 주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제차량(1)에 구비된 각각의 조명등(30) 중 특정의 조명등(30)이 단선된 경우 운전자가 직접 회전스위치(900)를 조작하여 단선된 조명등(30)에 대응하는 모형차(200)의 발광램프(210)가 보이도록 모형차(20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운전 중 운전자가 이를 조작하기 어려울 수 있고, 자동적으로 운전자에게 확인될 수 있도록 제어기판(300)의 제어를 통해 이루어낼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단선감지수단(600)으로부터 제어기판(300)에 단선감지신호가 전송되면 제어기판(300)은 단선된 조명등(30)에 대응되는 모형차(200)의 발광램프(210)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발광램프(210)가 운전석(20)을 향하도록 모형차(20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즉, 도 7을 기준으로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기판(300)은 특정의 조명등(30)이 단선된 경우 단선된 상기 조명등(30)에 대응되는 발광램프(210)가 상기 실제차량(1)의 운전석(20)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수단(800)을 제어하여 상기 모형차(200)를 회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악세사리는, 모형차(200)가 고정블럭(100)에 고정된 경우에 운전석(20)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모형차(200)의 발광램프(210)는 운전자에게 보이지 않으므로 실제차량(1)에 단선된 조명등(30)이 있는 경우 고정블럭(100)에 설치된 표시패널(700)을 통해 문자 또는 이미지로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실제차량(1)의 각 조명등(30)에 대한 고장이나 단락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회전수단(800)을 통해 고정블럭(100)을 기준으로 모형차(200)를 회전시킬 수 있어 실내장식으로서의 기능을 한층 더 강화하고, 운전자가 실제차량(1)의 각 조명등(30)에 대한 고장이나 단락 여부를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 : 실제차량 10 : 대시보드
20 : 운전석 30 : 조명등
100 : 고정블럭
200 : 모형차 210 : 발광램프
300 : 제어기판
400 : 전원공급수단
500 : 전원스위치
600 : 단선감지수단
700 : 표시패널
800 : 회전수단
810 : 회전축 820 : 회전모터
900 : 회전스위치

Claims (6)

  1. 실제차량의 대시보드에 고정 설치된 고정블럭과,
    상기 실제차량을 일정비율로 작게 축소한 형상으로 상기 고정블럭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제차량에 구비된 각각의 조명등과 대응되도록 각각의 발광램프가 구비된 모형차와,
    상기 고정블럭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제차량에 구비된 상기 조명등 각각에 대한 점멸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모형차에 구비된 상기 발광램프 각각이 동일하게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판과,
    상기 고정블럭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고정블럭의 외부에 버튼식으로 설치되고, 누름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상기 제어기판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실제차량에 구비된 상기 조명등 각각의 단선여부를 감지하는 단선감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판은,
    상기 단선감지수단으로부터 상기 조명등 각각에 대한 단선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며, 특정의 조명등이 단선된 경우 단선된 상기 조명등에 대응되는 발광램프를 소등하고,
    상기 고정블럭을 기준으로 상기 모형차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판은,
    특정의 조명등이 단선된 경우 단선된 상기 조명등에 대응되는 발광램프가 상기 실제차량의 운전석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모형차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악세사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차량의 운전석을 바라보도록 상기 고정블럭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판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특정의 조명등이 단선된 경우 단선된 상기 조명등이 단선되었음을 문자 또는 이미지로 표시하는 표시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악세사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일단이 상기 모형차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블럭의 상부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고정블럭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판으로부터 작동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블럭의 외부에 버튼식으로 설치되고, 누름 작동에 따라 상기 제어기판으로부터 상기 회전모터에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회전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악세사리.
  6. 삭제
KR1020140058703A 2014-05-16 2014-05-16 차량용 악세사리 KR101575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703A KR101575472B1 (ko) 2014-05-16 2014-05-16 차량용 악세사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703A KR101575472B1 (ko) 2014-05-16 2014-05-16 차량용 악세사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672A KR20150131672A (ko) 2015-11-25
KR101575472B1 true KR101575472B1 (ko) 2015-12-07

Family

ID=54845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703A KR101575472B1 (ko) 2014-05-16 2014-05-16 차량용 악세사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4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166Y1 (ko) 2001-08-01 2001-12-24 임승만 차량용 램프의 단선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166Y1 (ko) 2001-08-01 2001-12-24 임승만 차량용 램프의 단선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672A (ko)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423607B (zh) 增强的车辆危险系统
EP3342643B1 (en) Exterior rearview device with illumination functions
CN106809112B (zh) 中分式车门的照明开门警告
KR20200057865A (ko) 차량의 주행정보 전달 장치 및 방법
KR101575472B1 (ko) 차량용 악세사리
JP3196682U (ja) デイライト変換アダプタ
JP4396903B1 (ja) 表示装置
JP3073881B2 (ja) 自動車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3203807U (ja) 自動車用ペダル踏み間違い防止装置
GB2236172A (en) Stop signal for motor vehicles
KR101105133B1 (ko) 자동차용 후방보조램프장치
CN209938706U (zh) 一种发光方向盘、控制方向盘发光的系统及汽车
TWM608645U (zh) 警示裝置控制器
JP3175790U (ja) 後輪照明装置
KR101885984B1 (ko) 자동차 2차 사고 방지용 비상 신호장치
TWM486580U (zh) 傾倒閃光警報裝置
KR101616110B1 (ko) 차량의 클러스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421686Y1 (ko) 후방등을 겸비한 측면 깜박이
TWI779394B (zh) 警示裝置控制器
JP6432922B1 (ja) 意思表示システム
KR200257166Y1 (ko) 차량용 램프의 단선감지장치
JP3190054U (ja) 自動車ライト用ガーニッシュ
KR20040101114A (ko) 관성에 의한 점멸식 후방 센터브레이크등
JP3196434U (ja) 自転車用警告灯
KR200415871Y1 (ko) 차량의 감속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4